KR101951356B1 -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356B1
KR101951356B1 KR1020140143959A KR20140143959A KR101951356B1 KR 101951356 B1 KR101951356 B1 KR 101951356B1 KR 1020140143959 A KR1020140143959 A KR 1020140143959A KR 20140143959 A KR20140143959 A KR 20140143959A KR 101951356 B1 KR101951356 B1 KR 10195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nection
registered
communication terminal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721A (ko
Inventor
정광희
김남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은,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닐 때,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의 연결이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데 적합한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또는 휴대 단말)의 증가와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인해 핫스팟(Hot-spot) 지역에서 와이파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랜 방식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에게 끊김 없는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UX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에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이라 함은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하거나 혹은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될 때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연결을 3G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로 자동 전환시키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의 사용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을 통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고 품질의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근래 들어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카메라, TV,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 기기와 통신 단말을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기기들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때 통신 단말은 자신과 직접 연결되는 이러한 주변 기기들을 와이파이 AP(무선랜 AP)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주변 기기들은 네트워크 접속(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통신 단말은 자신과 연결된 주변 기기가 와이파이 AP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주변 기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3G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로 자동 전환하게 됨으로써, 해당 주변 기기와 통신 단말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 단말과 카메라 간을 직접 연결하여 통신 단말이 카메라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받는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해 통신 단말과 카메라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자동 해제되어 버리면, 원하는 사진 데이터를 카메라로부터 수신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록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이 통신 단말에 탑재되어 있더라도 통신 단말과 원하는(혹은 선택된) 주변 기기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에 의해 자동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절실하게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새로운 기법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3181호, 공개일자 2011년 06월 29일.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되는 환경이 될 때 대상 기기가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 후 전환 회피 기기일 때 네트워크의 연결을 전환하지 않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 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 온 상태일 때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인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킬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 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닐 때,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기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대상 기기 검출부와,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닐 때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온 상태일 때, 상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이 아닐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닐 때,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와 연결이 온 상태일 때, 상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연결 지역 관리부와,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의 학습 결과에 따라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는 대상 기기 판별부와,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이 아니거나 상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인식되지 않을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와,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기기가 등록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기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대상 기기 검출부와, 상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인식될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키며,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닐 때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되는 환경이 될 때 대상 기기가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 후 전환 회피 기기일 때 네트워크의 연결을 전환하지 않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자동 전환에 기인하여 통신 단말과 주변 기기간의 연결이 원하지 않게 자동 해제되는 것을 차단(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단말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 온 상태이면서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켜 줌으로써, 통신 단말과 주변 기기간의 직접 연결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102), 대상 기기 검출부(104),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 기기 관리부(108) 및 저장부(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102)는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120)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일 때 제 1 네트워크(120)에서의 통신 품질 저하 여부에 따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 2 네트워크(130)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제 2 네트워크(130)로의 연결 전환(또는 접속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이를 대상 기기 검출부(104)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은,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PMP, 스마트패드, 스마트북,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과 무선 단말(또는 휴대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네트워크(120)의 통신 품질이 저하한다는 것은, 예컨대 제 1 네트워크(120)의 성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하거나 혹은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될 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120)는, 예컨대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130)는, 예컨대 주변의 다른 와이파이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기기 검출부(104)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102)로부터 제 2 네트워크(130)로의 연결 전환 시도가 통지될 때, 저장부(110)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의 탐색을 통해 휴대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로 전달(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기기라 함은, 예컨대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주변 기기(예컨대, 인터넷 접속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 TV, 프린터 등)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환 회피 기기의 구분자로서는, 예컨대 대상 기기의 와이파이 MAC 어드레스 또는 대상 기기의 식별부호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는 대상 기기 검출부(104)로부터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닌 것으로 통지될 때 제 1 네트워크(120)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의 연결을 제 2 네트워크(130)로 전환시키고, 대상 기기 검출부(104)로부터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 것으로 통지될 때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120)와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이 와이파이를 통해 카메라와 연결된 상태이고, 통신 품질이 좋지 않아 연결을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이라고 가정할 때, 해당 카메라가 전환 회피 기기로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에서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 1 네트워크(120)에서 제 2 네트워크(130)로 전환(휴대 단말과 카메라 간의 연결은 자동 차단)하게 될 것이고, 해당 카메라가 전환 회피 기기로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에서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 1 네트워크(120)로 그대로 유지(휴대 단말과 카메라 간의 연결 유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기기 관리부(108)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는 전환 회피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등록 해제시키는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기기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로서 등록하고,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기기의 등록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로부터 등록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관리부(108)는 통신 단말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지의 사업자 서버(예컨대, 이동 통신사 서버, 기기의 제조사 서버, 서비스 제공자 서버 등)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를 등록하거나 또는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의 등록을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기기 관리부(108)는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로 등록된 이후의 경과시간 및 제 1 네트워크(120)와의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등) 이내에 제 1 네트워크(120)와의 연결이 발생하지 않을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로부터 등록 해제(삭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간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120)를 통해 주변 기기와 연결된 상태(또는 통신 수행 상태)일 때(단계 202),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102)에서는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120)간의 통신 품질을 체크하여 제 2 네트워크(130)로의 연결 전환을 필요로 하는 상황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4).
여기에서, 연결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은 제 1 네트워크(120)의 성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하거나 혹은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될 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제 2 네트워크(130)로의 연결 전환 시도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상 기기 검출부(104)에서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를 탐색함으로써(단계 206), 제 1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신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8).
상기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에서는 제 1 네트워크(120)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의 연결을 제 2 네트워크(130)로 전환시키며(단계 210), 그 결과 휴대 단말과 대상 기기 간의 연결은 차단된다.
상기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106)에서는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120)와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단계 212). 따라서, 통신 단말과 대상 기기 간에는 제 1 네트워크(1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는 연결 지역 관리부(302), 대상 기기 판별부(304),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306), 대상 기기 검출부(308),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 기기 관리부(312) 및 저장부(3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결 지역 관리부(302)는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320)와 연결이 온 상태일 때,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의 탐색을 통해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연결 지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대상 기기 판별부(304) 또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306)로 전달(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지역은, 예컨대 통신 단말 사용자의 자택 위치, 회사의 사무실 위치, 자신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 등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대상 기기 판별부(304)는 연결 지역 관리부(302)로부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연결 지역인 것으로 통지될 때,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를 탐색함으로써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의 학습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인식)하고, 연결 대상 기기가 존재할 때 이를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314)에는 연결 대상 기기(예컨대, 기기명과 기기의 MAC 어드레스 등) 정보와 GPS 좌표 등으로 된 연결 지역(위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연결 지역 정보는 통신 단말 사용자에 의해 등록 또는 등록 해제될 수 있으며, 연결 대상 기기는 해당 지역(위치)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에 대한 학습 결과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등록(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 사용자가 자택을 연결 지역으로 설정한 경우라고 가정할 때, 자택의 위치에서 이전에 제 1 네트워크(320)에 연결되었던 주변 기기들, 예컨대 카메라, TV, 프린터 등이 연결 대상 기기로서 화이트 리스트에 자동 등록될 수 있다.
다음에,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306)는 연결 지역 관리부(302)로부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연결 지역이 아닌 것으로 통지될 때, 제 1 네트워크(320)에서의 통신 품질 저하 여부에 따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 2 네트워크(330)로 전환할 것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제 2 네트워크(330)로의 연결 전환(또는 접속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이를 대상 기기 검출부(308)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네트워크(320)의 통신 품질이 저하한다는 것은, 예컨대 제 1 네트워크(320)의 성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하거나 혹은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될 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네트워크(320)는, 예컨대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330)는, 예컨대 주변의 다른 와이파이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기기 검출부(308)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306)로부터 제 2 네트워크(330)로의 연결 전환 시도가 통지될 때,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의 탐색을 통해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기기라 함은, 예컨대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주변 기기(예컨대, 인터넷 접속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 TV, 프린터 등)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3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기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환 회피 기기의 구분자로서는, 예컨대 대상 기기의 와이파이 MAC 어드레스 또는 대상 기기의 식별부호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는 대상 기기 판별부(304)로부터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존재(인식)하는 것으로 통지될 때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통신 단말과 해당 대상 기기 간을 자동 연결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는 대상 기기 검출부(308)로부터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닌 것으로 통지될 때 제 1 네트워크(320)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의 연결을 제 2 네트워크(330)로 전환시키고, 대상 기기 검출부(308)로부터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 것으로 통지될 때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320)와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기 관리부(312)는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는 연결 대상 기기들에 대한 정보와 전환 회피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등록 해제시키는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연결 지역으로 등록한 위치에서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주변 기기와의 연결이 발생될 때 해당 주변 기기를 해당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기기로 자동 등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관리부(312)는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기기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로서 등록하고,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기기의 등록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로부터 등록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관리부(312)는 통신 단말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지의 사업자 서버(예컨대, 이동 통신사 서버, 기기의 제조사 서버, 서비스 제공자 서버 등)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를 등록하거나 또는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의 등록을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기기 관리부(312)는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로 등록된 이후의 경과시간 및 제 1 네트워크(320)와의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제 1 네트워크(320)와의 연결이 발생하지 않을 때 해당 기기를 화이트 리스트로부터 등록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간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 전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주변 기기와 연결 온 상태(또는 통신 수행 상태)일 때(단계 402), 연결 지역 관리부(302)에서는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를 탐색함으로써(단계 404),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연결 지역인지의 여부를 판단(체크)한다(단계 406).
상기 단계(406)에서의 체크 결과,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연결 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상 기기 판별부(304)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탐색함으로써 설정된 연결 지역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의 학습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인식)한다(408).
상기 단계(408)에서의 판별 결과, 해당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에서는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통신 단말과 해당 대상 기기 간을 자동 연결시킨다(단계 410).
예컨대, 등록된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카메라가 연결 대상 기기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고 가정할 때,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에서는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통신 단말과 카메라를 자동으로 연결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단계(406)에서의 체크 결과,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306)에서는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320)간의 통신 품질을 체크하여 제 2 네트워크(330)로의 연결 전환을 필요로 하는 상황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12).
여기에서, 연결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은 제 1 네트워크(320)의 성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하거나 혹은 트래픽의 폭주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저하될 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계(412)에서의 체크 결과, 제 2 네트워크(330)로의 연결 전환 시도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상 기기 검출부(308)에서는 저장부(314)에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를 탐색함으로써(단계 414),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통신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16).
상기 단계(416)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에서는 제 1 네트워크(320)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의 연결을 제 2 네트워크(330)로 전환시키며(단계 418), 그 결과 휴대 단말과 대상 기기 간의 연결은 차단된다.
상기 단계(416)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기기가 화이트 리스트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환 회피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310)에서는 통신 단말과 제 1 네트워크(320)와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단계 420). 따라서, 통신 단말과 대상 기기 간에는 제 1 네트워크(3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통신 단말의 연결이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환되는 환경이 될 때 대상 기기가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전환 회피 기기일 때 네트워크의 연결을 전환하지 않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로 유지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대상 기기가 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일 때 네트워크의 연결을 전환하지 않고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자동 전환에 기인하여 통신 단말과 주변 기기간의 연결이 원하지 않게 자동 해제되는 방지할 수 있다.
102, 306 :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
104, 308 : 대상 기기 검출부
106, 310 :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
108, 312 : 기기 관리부
110, 314 : 저장부
302 : 연결 지역 관리부
304 : 대상 기기 판별부

Claims (13)

  1.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니면,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라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과정과,
    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기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대상 기기 검출부와,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니면,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라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를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의 등록을 해제시키는 기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따라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전환 회피 기기를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의 등록을 해제시키는 기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
  10.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온 상태일 때, 상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과 대응하여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식된 대상기기를 상기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키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이 아닐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체크 결과,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니면,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라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는,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의 학습 결과에 따라 연결 대상 기기로서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기기인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12. 통신 단말이 제 1 네트워크와 연결이 온 상태일 때, 상기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연결 지역 관리부와,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일 때,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서의 이전 사용 패턴의 학습 결과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 대응하여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를 인식하는 대상 기기 판별부와,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연결 지역이 아니거나 상기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인식되지 않을 때,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품질 관리부와,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기기가 등록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환 회피 기기가 기 등록되는 화이트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가 검출될 때, 상기 통신 단말에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대상 기기 검출부와,
    상기 기 설정된 연결 지역에 대응하여 등록된 연결 대상 기기가 인식될 때 상기 인식된 대상 기기를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에 자동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전환 시도 결과 상기 연결된 대상 기기가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가 아니면,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연결을 전환시키고, 상기 등록된 전환 회피 기기라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네트워크 연결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연결 지역으로 등록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기기와의 연결이 발생될 때 해당 주변 기기를 상기 연결 지역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기기로 자동 등록하는 기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장치.
KR1020140143959A 2014-10-23 2014-10-23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959A KR101951356B1 (ko) 2014-10-23 2014-10-23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959A KR101951356B1 (ko) 2014-10-23 2014-10-23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035A Division KR102055372B1 (ko) 2019-02-01 2019-02-01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21A KR20160047721A (ko) 2016-05-03
KR101951356B1 true KR101951356B1 (ko) 2019-02-22

Family

ID=5602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959A KR101951356B1 (ko) 2014-10-23 2014-10-23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406A (ja) * 2011-07-27 2013-03-07 Panasonic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および方法
JP2014192758A (ja) * 2013-03-27 2014-10-06 Kddi R & D Laboratories Inc 無線通信装置、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181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 셀룰러 망으로의 빠른 핸드 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406A (ja) * 2011-07-27 2013-03-07 Panasonic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および方法
JP2014192758A (ja) * 2013-03-27 2014-10-06 Kddi R & D Laboratories Inc 無線通信装置、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21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2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EP2437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US84729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KR101889848B1 (ko)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20090068970A1 (en) Scanning frequency optimization for alternate network access in dual mode wireless devices
KR20110047772A (ko) 무선 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장치 및 방법
KR1012915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10959143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5282820A (zh) 一种终端管控方法及装置
US8850513B2 (en) System for data flow protection and use control of applications and portable devices configured by location
KR102055372B1 (ko)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1356B1 (ko)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8260898B2 (en) Mobile terminal mail system, mobile terminal mail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mail control program
KR20210111210A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40059467A (ko)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187595A (ja) 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571525B1 (ko) 복수 통신망 연결상태에 있는 무선 단말기의 통신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KR20130057638A (ko)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
EP3986087A1 (en) Method for switching operator networks,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072180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386520B2 (en) Method for registering mobile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40136603A (ko) 정책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009013A (ko)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5727A (ko) 네트워크 상태 정보 전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JP2010283513A (ja) アクセス方法案内システム、アクセス方法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