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031B1 -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 Google Patents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031B1
KR101951031B1 KR1020170127627A KR20170127627A KR101951031B1 KR 101951031 B1 KR101951031 B1 KR 101951031B1 KR 1020170127627 A KR1020170127627 A KR 1020170127627A KR 20170127627 A KR20170127627 A KR 20170127627A KR 101951031 B1 KR101951031 B1 KR 10195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ntilever
coupling portion
energy harvester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찬세
강형원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4Beam type
    • H10N30/306Cantilevers
    • H01L41/1136
    • H01L41/0478
    • H01L41/08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101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and mechanical input and output, e.g. having combined actuator and sensor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7Conductive materials
    • H10N30/878Conductive materials the principal material being non-metallic, e.g. oxide or carbon based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 또는 양측 수직면에 계단 형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결합부의 수직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일측 단부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지지체의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탄성 기재; 상기 탄성 기재를 구성하는 타측 단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질량체; 및 상기 결합부와 질량체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압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Broadban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본 발명은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다른 캔틸레버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계단형으로 배열하여 브로드밴드 폭을 출력하는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 재료(piezoelecric materials)는 외부의 응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전기적 입력을 기계적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압전 효과를 이용해 센서, 액츄에이터, 에너지 하베스팅 디바이스, 초음파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압전 재료를 이용한 소자 중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 진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써 일반적으로 좁은 진동 주파수 범위 내에서만 전압 출력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에 대한 전압 출력 값의 관계에서 반치폭(full width half maximum: FWHM)이 좁은 피크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주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어서 진동 주파수 범위가 조금만 벗어나도 얻을 수 있는 출력값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어 안정적인 에너지 하베스팅이 어렵게 된다.
한편,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에서 공진 주파수를 바꿀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는 캔틸레버를 구성하는 탄성 기재의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질량체의 무게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6은 종래의 배열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지체에 길이가 다른 캔틸레버를 배열하여, 각각의 캔틸레버의 공진주파수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브로드 밴드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열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진동원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 진동원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하베스터의 경우 진폭이 작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6076호(2010.04.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2326호(2017.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좁은 면적의 진동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진동에너지를 수확하면서 브로드 밴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일 측 또는 양측 수직면에 계단 형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결합부의 수직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일측 단부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지지체의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탄성 기재; 상기 탄성 기재를 구성하는 타측 단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질량체; 및 상기 결합부와 질량체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압전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의 결합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는 짝수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동일선상에 대칭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틸레버를 구성하는 탄성 기재는 각각의 결합부마다 다른 길이를 가지며 타측 단부의 끝단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의 질량체는 동일 또는 하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중량이 작아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압전체의 길이는 하부 방향으로 결합부의 폭만큼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체는 탄성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압전체는 결합부의 수직면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탄성 기재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규격으로 되어 있는 캔틸레버 구조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경우 특정 주파수에서 일정한 전력이 나오고 진동 주파수가 조금만 벗어나도 얻을 수 있는 전압 출력값이 급격히 낮아지는 반면, 본원발명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순 배열형 에너지 하베스터는 진동원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진동원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캔틸레버의 진폭이 작아지게 되어 전력이 작아지는 반면, 본 발명의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좁은 면적의 진동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진동에너지를 수확하면서 브로드 밴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성하는 캔틸레버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브로드 밴드 형태의 진동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전력 그래프.
도 6은 종래의 배열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성하는 캔틸레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원발명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체(200)와 상기 지지체(200)의 동일선상에 장착되는 캔틸레버(300)로 대별된다.
상기 지지체(2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일 측 또는 양측 수직면(220)에 계단 형상으로 결합부(24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200)의 형상은 도시된 도 1 및 2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된 도 3(a) 및 3(b)와 같이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체(200)의 형상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200)의 수직면(220)에 형성되는 결합부(240)의 폭과 높이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결합부(240)의 폭(W)은 하부를 향할수록 넓게 형성되는 예를 든다.
즉, 상기 결합부(240)는 하부를 향할수록 하중이 증가하는 캔틸레버(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40)의 폭(W)을 하부를 향할수록 넓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캔틸레버(300)는 지지체(200)를 구성하는 결합부(240)의 수직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고 진동에너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즉, 상기 캔틸레버(300)는 도시된 도 1 및 2와 같이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에 각각 장착되고, 상·하부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3(a) 및 3(b)와 같이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캔틸레버(300)는 지지체(200)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지지체(200)의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동서남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캔틸레버(300)은 진동에 따른 상·하부의 작동과 지지체(200)의 균형 등을 고려하여 짝수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체(200)의 동일선상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캔틸레버(300)는 도시된 도 4와 같이 탄성 기재(320), 질량체(340), 압전체(36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기재(320)는 소정의 두께 길이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321)는 체결구(400)를 통해 상기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322)는 자유단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기재(32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탄성 기재(320)는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321)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322)의 끝단이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 기재(320)는 타측 단부(322)의 끝단이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할수록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 기재(32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전달시 폭이 커질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질량체(340)는 탄성 기재(320)를 구성하는 타측 단부(322)의 상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질량체(340)는 탄성 기재(320)의 타측 단부(322)에 장착되어 진폭을 증가시키거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질량체(34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중량은 동일하거나 또는 하부 방향을 향할수록 중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질량체(340)는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에 장착되는 각각의 캔틸레버(300)가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도록 중량을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압전체(360)는 결합부(240)와 질량체(340)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 기재(32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압전체(360)는 탄성 기재(320)를 통한 진동에너지의 전달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전체(360)는 탄성 기재(32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 기재(320)의 길이는 하부 방향으로 결합부(240)의 폭(W)만큼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전체(360)는 탄성 기재(32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결합부(240)의 폭(W)만큼 짧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전체(360)는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결합부(240)의 수직면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탄성 기재(320)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두께 길이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기재(320)를 형상한 후, 상기 탄성 기재(320)를 구성하는 타측 단부(322)의 상부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질량체(34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탄성 기재(320)의 상부에 압전체(360)를 장착하여, 캔틸레버(3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탄성 기재(320)와 압전체(360)의 길이가 짧아지는 다수개의 캔틸레버(3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 수직면(220)에 계단 형상으로 결합부(240)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체(2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체(200)를 형성하는 양측 결합부(240)의 하부부터 상부 방향으로 탄성 기재(320)와 질량체(340) 및 압전체(360)로 이루어진 캔틸레버(300)를 장착하면,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에 장착되는 캔틸레버(300)는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면서 탄성 기재(320)의 타측 단부(322) 끝단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지지체(200)에 외부 진동이 전달되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와 각각 결합된 캔틸레버(300)의 탄성 기재(320)는 수직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 반복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200)의 결합부(240)에 결합된 다수개의 캔틸레버(300)가 수직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기재(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압전체(360)도 함께 연동작동하면서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넓은 진동 주파수 범위에서 전력을 유지하면서 좁은 면적에서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200 : 지지체 220 : 수직면
240 : 결합부 300 : 캔틸레버
320 : 탄성 기재 321 : 일측 단부
322 : 타측 단부 340 : 질량체
360 : 압전체 W : 결합부의 폭

Claims (9)

  1. 일 측 또는 양측 수직면에 계단 형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결합부의 수직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일측 단부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지지체의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탄성 기재;
    상기 탄성 기재를 구성하는 타측 단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질량체; 및
    상기 결합부와 질량체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압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결합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는 짝수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동일선상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를 구성하는 탄성 기재는 각각의 결합부마다 다른 길이를 가지며 타측 단부의 끝단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의 질량체는 동일 또는 하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중량이 작아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압전체의 길이는 하부 방향으로 결합부의 폭만큼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탄성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장착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결합부의 수직면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탄성 기재에 장착되는 것인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KR1020170127627A 2017-09-29 2017-09-29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KR10195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27A KR101951031B1 (ko) 2017-09-29 2017-09-29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27A KR101951031B1 (ko) 2017-09-29 2017-09-29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031B1 true KR101951031B1 (ko) 2019-02-22

Family

ID=6558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627A KR101951031B1 (ko) 2017-09-29 2017-09-29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94A (ko) 2020-04-09 2021-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응형 클램프를 이용한 자기공진 조절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76B1 (ko) 2008-10-02 2010-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선형 구조를 가지는 고효율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KR101222005B1 (ko) * 2011-10-14 2013-01-1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수확 장치
KR20130023810A (ko) * 2011-08-30 2013-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저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2971A (ko) * 2013-06-27 2015-0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1722326B1 (ko) 2014-10-02 2017-03-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모듈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용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76B1 (ko) 2008-10-02 2010-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선형 구조를 가지는 고효율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KR20130023810A (ko) * 2011-08-30 2013-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저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2005B1 (ko) * 2011-10-14 2013-01-1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수확 장치
KR20150002971A (ko) * 2013-06-27 2015-0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1722326B1 (ko) 2014-10-02 2017-03-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모듈형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용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94A (ko) 2020-04-09 2021-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응형 클램프를 이용한 자기공진 조절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305B2 (en)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1552579B2 (en)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element
US10581344B2 (en) Miniature kinetic energy harveste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mechanical vibrations
CN101771395B (zh) 弯曲振动片以及电子部件
EP3410586A1 (en) Actuator
US9893655B2 (en)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2011152004A (ja) 発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装置
WO2016020481A1 (en) Energy harvester
US20190068087A1 (en) Power generating element
KR101951031B1 (ko) 브로드밴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GB2540406A (en) Vibration-based energy harvester with strain optimised topology
Lallart et al. Mechanical effect of combined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KR20150109129A (ko) 진동발생장치
JP6247556B2 (ja) 圧電振動ユニットおよび圧電スピーカ
Magdy et al. Design methodology of a micro-scale 2-DOF energy harvesting device for low frequency and wide bandwidth
KR101332006B1 (ko) 전방향 진동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CN110912371A (zh) 一种多机理复合式宽频带振动俘能器
KR101588713B1 (ko) 양방향 압축하중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장치 및 자가발전 무선 센서 모듈
Jia et al. Autoparametric resonance in a piezoelectric MEMS vibration energy harvester
JP6309698B1 (ja) 発電装置と発電素子
KR20110066645A (ko) 진동 에너지 하베스트 소자
WO2018189545A1 (en) A vibration-based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proof mass surrounding a central anchor
Ahmad et al. Energy harvesting based on cantilever beam for different piezoelectric materials from acoustic vibration by simulation process
KR101830385B1 (ko) 광대역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KR102143686B1 (ko) Rf 신호를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