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450B1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450B1
KR101949450B1 KR1020170078590A KR20170078590A KR101949450B1 KR 101949450 B1 KR101949450 B1 KR 101949450B1 KR 1020170078590 A KR1020170078590 A KR 1020170078590A KR 20170078590 A KR20170078590 A KR 20170078590A KR 101949450 B1 KR101949450 B1 KR 10194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information output
unit
mo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11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7007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4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01L41/1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5/00Magnetostric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관통부를 구비한 제2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자력부,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된 운동부 및 상기 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운동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운동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2 베이스의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 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관통부를 구비한 제2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자력부,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된 운동부 및 상기 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운동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운동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2 베이스의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코일부의 내부의 공간과 중첩된 영역에서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운동부의 사이에 상기 표현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코일부의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 운동부 및 표현부는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적어도 일 영역에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본체 부재 및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자력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의 면 중 상기 표현부와 연결된 면의 반대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코일부의 내부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의 공간부에 상기 자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지지부의 공간부의 일 영역과 중첩되고 이와 다른 일 영역과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은 서로 일 방향 또는 이와 다른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일 정보 출력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1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120), 자력부(170), 운동부(110), 표현부(130),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12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1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
코일부(120)는 내부에 공간(1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는 권선된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120a)을 가질 수 있다.
자력부(170)는 코일부(1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120)에 전류가 흘러 코일부(120)의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자기장의 영향으로 힘을 받고, 예를들면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받을 수 있다.
자력부(170)는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의 공간(12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시점에서 코일부(120)의 공간(120a)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170)가 코일부(120)의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운동할 경우 자력부(170)의 일 영역이 코일부(120)의 공간(120a)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110)는 자력부(1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자력부(170)는 코일부(120)의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고 운동할 수 있는데, 운동부(110)는 자력부(170)와 연결되어 자력부(17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자력부(170)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운동부(110)는 다양한 재료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운동부(110)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1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자력부(170)와 연결되어 코일부(120) 주변의 자기장에 의한 운동 시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표현부(130)는 운동부(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130)는 운동부(11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표현부(130)는 일 영역이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부(130)의 단부, 즉 표현부(130)의 영역 중 운동부(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은 곡면을 갖도록 모서리가 처리될 수 있다.
표현부(130)는 운동부(110)와 연결되어 운동부(110)의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있다. 예를들면 표현부(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13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2)의 사이에 코일부(120), 자력부(170) 및 운동부(1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130)는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1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01)의 상부에 코일부(12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101)는 코일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120)는 제1 베이스(101)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코일부(120)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력부(170)가 운동 시 코일부(120)는 제1 베이스(10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70) 및 운동부(110)의 운동 시 코일부(120)는 제1 베이스(101)에 접하고, 이러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베이스(10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01)에 코일부(12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다양한 고정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용접을 이용할 수 있고, 제1 베이스(101) 및 코일부(120)의 각각에 결합을 위한 결합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101)와 코일부(120)의 사이에 버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101)의 상부에 자력부(170)가 배치될 때, 자력부(170)는 제1 베이스(101)와 간격(L)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즉, 자력부(170)가 운동 시 자력부(170)과 제1 베이스(101)의 사이에는 최소 이격된 거리로서 간격(L)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101)는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01)가 자성체를 함유하여 자력부(170)의 운동 시 제1 베이스(101)를 향하는 방향, 즉 도 2를 기준으로 하강 시 자력부(17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베이스(102)는 제1 베이스(1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102)는 관통부(1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130)는 관통부(1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1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1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1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1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102)의 관통부(102a)는 표현부(1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1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운동부(110)의 적어도 일 방향의 폭은 제2 베이스(102)의 관통부(102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운동부(110)는 제2 베이스(102)의 관통부(102a)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2 베이스(102)와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110)의 영역 중 표현부(130)를 중심으로 양쪽의 영역, 또는 다른 구체적 예로서 운동부(110)의 영역 중 표현부(130)의 주변의 영역은 제2 베이스(102)와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110)의 일 방향의 운동, 예를들면 도 2를 기준으로 상승 운동을 통하여 운동부(110)와 제2 베이스(102)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의 운동, 예를들면 도 2를 기준으로 하강 운동을 통하여 운동부(110)와 제2 베이스(102)의 간격은 멀어질 수 있다.
제2 베이스(102)를 통하여 운동부(110)의 운동, 예를들면 제2 베이스(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102)의 관통부(102a)를 통하여 운동부(110)는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102)와 운동부(110)의 사이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베이스(102)는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102)가 자성체를 함유하고, 전술한 운동부(1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110)의 일 방향의 운동, 즉 도 2를 기준으로 상승 운동 시 운동부(11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베이스(102) 및 운동부(110)가 철, 니켈 등의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운동부(110)는 자력부(170)와 연결되어 더 강한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를 기준으로 운동부(110)가 상승 시 제2 베이스(102)와 상호 작용하여, 예를들면 인력이 작용하여 운동부(110)가 제2 베이스(102)와 접할 수 있고, 별도의 전력 공급이 없을 때에 운동부(110)가 제2 베이스(102)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정보 출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에 대응하도록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커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90)는 제2 베이스(1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102)의 면 중 운동부(1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90)는 제2 베이스(102) 및 그 하부의 부재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90)는 표현부(130)의 운동 시 표현부(130)에 대응하는 관통부(190a)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현부(130)는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상태는 코일부(120)에 상이한 전류가 흐르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a에서는 코일부(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일 수 있고, 도 3b에서는 코일부(120)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미도시)를 통하여 코일부(120)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1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자력부(170)는 운동할 수 있고, 자력부(170)와 연결된 운동부(110)가 운동할 수 있고, 표현부(130)는 운동부(11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대로 운동부(110)의 상승으로 인하여 운동부(110)와 코일부(12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력부(170)와 제1 베이스(101)의 간격(L)은 자력부(170)의 운동을 통하여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증가할 수 있다. 0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70)에 연결된 운동부(1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11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베이스(102)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110)와 제2 베이스(102)간의 자력을 통하여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정보 출력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부(130)의 운동의 크기 및 속도는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표현부는 운동부와 연결되고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100)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를 포함하여 코일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베이스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자력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를 포함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범위를 제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베이스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고, 도 5는 도 4의 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4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2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220), 자력부(270), 운동부(210), 표현부(230), 제1 베이스(201) 및 제2 베이스(2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2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22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2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220)는 내부에 공간(2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220)는 권선된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220a)을 가질 수 있다.
자력부(270)는 코일부(2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220)에 전류가 흘러 코일부(220)의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자기장의 영향으로 힘을 받고, 예를들면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받을 수 있다.
자력부(270)는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220)의 공간(22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시점에서 코일부(220)의 공간(220a)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270)가 코일부(220)의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운동할 경우 자력부(270)의 일 영역이 코일부(220)의 공간(220a)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210)는 자력부(2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270)는 코일부(220)의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고 운동할 수 있는데, 운동부(210)는 자력부(270)와 연결되어 자력부(27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210)는 본체 부재(211), 연결 부재(213) 및 그루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211)는 표현부(230)과 연결되고 표현부(230)의 양쪽, 또는 주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고 표현부(230)를 벗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211)는 표현부(230)와 중첩된 일 영역 및 중첩되지 않고 표현부(230)를 벗어나는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211)는 도 5에 도시한대로 표현부(2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선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고, 원호와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13)는 본체 부재(211)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213)는 본체 부재(211)와 자력부(270)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부(27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213)는 본체 부재(211)와 연결되고 본체 부재(211)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13)는 자력부(27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력부(270)와 접할 수 있다.
그루브(215)는 연결 부재(213)의 면 중 자력부(27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15)는 표현부(230)를 대향하고 표현부(230)의 일 영역(230a)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2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운동부(210)는 다양한 재료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운동부(210)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2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자력부(270)와 연결되어 코일부(220) 주변의 자기장에 의한 운동 시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표현부(230)는 운동부(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230)는 운동부(21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표현부(230)는 일 영역이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부(230)의 단부, 즉 표현부(230)의 영역 중 운동부(2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은 곡면을 갖도록 모서리가 처리될 수 있다.
표현부(230)는 운동부(210)와 연결되어 운동부(210)의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있다. 예를들면 표현부(2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표현부(230)는 운동부(210)의 그루브(215)에 수용된 영역을 갖는다. 즉, 표현부(230)는 수용 영역(230a)을 포함하고, 수용 영역(230a)은 돌출된 형태로서 그루브(215)에 수용될 수 있다.
표현부(23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 또는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201) 및 제2 베이스(202)의 사이에 코일부(220), 자력부(270) 및 운동부(2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230)는 제1 베이스(201) 및 제2 베이스(2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2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201)의 상부에 코일부(22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201)는 코일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220)는 제1 베이스(201)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코일부(220)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력부(270)가 운동 시 코일부(220)는 제1 베이스(20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201)와 코일부(22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접착제, 용접 또는 다양한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201)와 코일부(220)의 사이에 버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2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베이스(202)는 제1 베이스(2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202)는 관통부(2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230)는 관통부(2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2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2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2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2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202)의 관통부(202a)는 표현부(2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2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베이스(2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커버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90)는 제2 베이스(2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202)의 면 중 운동부(2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90)는 제2 베이스(202) 및 그 하부의 부재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90)는 표현부(230)의 운동 시 표현부(230)에 대응하는 관통부(290a)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대로 변형예로서 운동부(210')는 본체 부재(211'), 연결 부재(미도시), 그루브(미도시) 및 연장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211')는 표현부(230')와 연결되고 표현부(230')의 양쪽, 또는 주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고 표현부(230')를 벗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211')는 표현부(230')와 중첩된 일 영역 및 중첩되지 않고 표현부(230')를 벗어나는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부재(240')는 본체 부재(2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재(211')와 연결되고 본체 부재(211')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6에 도시한대로 본체 부재(211')는 표현부(230)를 중심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보는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선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고, 원호와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부재(240')는 이러한 본체 부재(211')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연결하도록, 즉 연장 부재(240')의 복수의 영역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미도시)는 본체 부재(211')와 자력부(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그루브(미도시)에 대한 설명도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재(211')와 연장 부재(240')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211')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211') 및 자력부와 연결된 연결 부재(미도시)를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할 수 있고, 본체 부재(211') 및 연결 부재(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211')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자력부와 연결되어 코일부 주변의 자기장에 의한 운동 시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연장 부재(240')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무기 절연체 또는 유기 절연체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수지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장 부재(240')는 표현부(2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표현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전원부(미도시)를 통하여 코일부(220)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2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자력부(270)는 운동할 수 있고, 자력부(270)와 연결된 운동부(210)가 운동할 수 있고, 표현부(230)는 운동부(21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 때 운동부(210)의 연결 부재(213)와 자력부(270)가 연결되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의 그루브(215)에 표현부(230)가 수용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운동 시 표현부(230)와 운동부(210)의 박리, 운동부(210)의 위치 변동 등의 비정상적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70)에 연결된 운동부(2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21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베이스(202)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210)와 제2 베이스(202)간의 자력을 통하여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정보 출력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운동부(210')가 연장 부재(240')를 포함하고, 연장 부재(240')는 본체 부재(211')와 상이한 재료, 즉 본체 부재(211')는 자성체를 함유하고 연장 부재(240')는 무기 또는 유기 절연체,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운동부(210')의 무게를 감소하면서 운동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표현부(230)의 운동의 크기 및 속도는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22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7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3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320), 자력부(370), 운동부(310), 표현부(330), 중간 부재(350), 제1 베이스(301) 및 제2 베이스(3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3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320)는 내부에 공간(3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320)는 권선된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320a)을 가질 수 있다.
자력부(370)는 코일부(3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320)의 공간(32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시점에서 코일부(320)의 공간(320a)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370)가 코일부(320)의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운동할 경우 자력부(370)의 일 영역이 코일부(320)의 공간(320a)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310)는 자력부(3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370)는 코일부(320)의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고 운동할 수 있는데, 운동부(310)는 자력부(370)와 연결되어 자력부(37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310)는 본체 부재(311), 연결 부재(313) 및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310)는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의 운동부(310)와 동일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의 변형예를 적용할 수 있다.
표현부(330)는 운동부(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현부(330)는 운동부(310)와 연결되어 운동부(310)의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330)는 수용 영역(330a)을 포함하고, 수용 영역(330a)은 돌출된 형태로서 그루브(315)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01) 및 제2 베이스(302)의 사이에 코일부(320), 자력부(370) 및 운동부(3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330)는 제1 베이스(301) 및 제2 베이스(3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3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01)의 상부에 코일부(32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301)는 코일부(3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320)는 제1 베이스(301)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코일부(320)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력부(370)가 운동 시 코일부(320)는 제1 베이스(30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301)와 코일부(32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접착제, 용접 또는 다양한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301)와 코일부(320)의 사이에 버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3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베이스(302)는 제1 베이스(3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302)는 관통부(3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330)는 관통부(3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3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3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3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3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302)의 관통부(302a)는 표현부(3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3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부재(350)는 제2 베이스(302)와 운동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310)의 운동 시 중간 부재(350)를 통하여 제2 베이스(302)와 운동부(310)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 중간 부재(3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350)는 제2 베이스(302) 및 운동부(310)와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35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운동부(310)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부재(350)의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즉, 운동부(310)의 운동으로 운동부(310)와 제2 베이스(302)간의 간격이 줄어들면 중간 부재(350)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350)를 운동부(310)상에 형성하고 운동부(310)의 운동 전에는 제2 베이스(302)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350)를 제2 베이스(3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3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3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350)는 표현부(330)의 운동 시 표현부(330)에 대응하는 관통부(350a)를 가질 수 있다. 중간 부재(350)는 표현부(330)와 이격되어 표현부(330)의 운동에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커버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90)는 제2 베이스(3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302)의 면 중 운동부(3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390)는 제2 베이스(302) 및 그 하부의 부재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390)는 표현부(330)의 운동 시 표현부(330)에 대응하는 관통부(390a)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8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4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4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420), 자력부(470), 운동부(410), 표현부(430), 중간 부재(450), 지지부(460), 제1 베이스(401) 및 제2 베이스(4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4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420)는 내부에 공간(4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420)는 권선된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420a)을 가질 수 있다.
자력부(470)는 코일부(4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420)의 공간(42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시점에서 코일부(420)의 공간(420a)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470)가 코일부(420)의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운동할 경우 자력부(470)의 일 영역이 코일부(420)의 공간(420a)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410)는 자력부(4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470)는 코일부(420)의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고 운동할 수 있고, 운동부(410)는 자력부(470)와 연결되어 자력부(47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운동부(410)는 본체 부재(411), 연결 부재(413) 및 그루브(415)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410)는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의 운동부(410)와 동일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의 변형예를 적용할 수 있다.
표현부(430)는 운동부(4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현부(430)는 운동부(410)와 연결되어 운동부(410)의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430)는 수용 영역(430a)을 포함하고, 수용 영역(430a)은 돌출된 형태로서 그루브(415)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460)는 운동부(4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60)는 운동부(410)의 면 중 표현부(43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60)는 속이 빈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공간부(460a)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부(460a)에는 자력부(47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60)는 코일부(420)의 공간(4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운동부(410)의 정지 상태에서 지지부(460)는 코일부(420)의 공간(420a)에 배치되고 운동부(410)의 운동 시 지지부(46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코일부(420)의 공간(420a)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410)가 지지부(460)에 연결되어 운동부(410)는 코일부(420)와 간격(d2)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운동부(410)의 운동 시 이러한 간격(d2)은 증가할 수 있다. 운동부(410)의 운동 시, 즉 자력부(470)와 함께 운동 시 지지부(460)도 함께 운동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60)는 코일부(4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460)가 운동 시 코일부(420)에 의하여 방해 받지 않고 원활한 운동을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60)는 표현부(430)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속이 빈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일 면, 예를들면 후술할 제1 베이스(401)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60)내부의 공간부(460a)의 일 영역과 자력부(470)가 대응될 수 있고, 공간부(460a)에는 자력부(470)와 중첩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력부(470)는 후술할 제1 베이스(401)와 간격(L)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즉, 자력부(470)가 운동 시 자력부(470)과 제1 베이스(401)의 사이에는 최소 이격된 거리로서 간격(L)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4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60)는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60)는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지부(460)는 세라믹 재료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401) 및 제2 베이스(402)의 사이에 코일부(420), 자력부(470) 및 운동부(4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430)는 제1 베이스(401) 및 제2 베이스(4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4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401)의 상부에 코일부(42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401)는 코일부(4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420)는 제1 베이스(401)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코일부(420)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력부(470)가 운동 시 코일부(420)는 제1 베이스(40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401)와 코일부(42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접착제, 용접 또는 다양한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401)와 코일부(420)의 사이에 버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4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베이스(402)는 제1 베이스(4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402)는 관통부(4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430)는 관통부(4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4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4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4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4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402)의 관통부(402a)는 표현부(4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4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베이스(4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부재(450)는 제2 베이스(402)와 운동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410)의 운동 시 중간 부재(450)를 통하여 제2 베이스(402)와 운동부(410)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 중간 부재(4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450)는 운동부(410)와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후술할 제2 베이스(402)와 간격(d3)을 갖도록 중간 부재(450)가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410)의 운동 시 이러한 간격(d3)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운동부(410)의 운동 시 중간 부재(450)는 제2 베이스(402)와 접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45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운동부(410)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부재(450)의 두께가 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450)를 운동부(410) 및 제2 베이스(402)와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450)를 제2 베이스(4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4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4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450)는 표현부(430)의 운동 시 표현부(430)에 대응하는 관통부(350a)를 가질 수 있다. 중간 부재(450)는 표현부(430)와 이격되어 표현부(430)의 운동에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커버부(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90)는 제2 베이스(4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402)의 면 중 운동부(4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490)는 제2 베이스(402) 및 그 하부의 부재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490)는 표현부(430)의 운동 시 표현부(430)에 대응하는 관통부(490a)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운동부와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력부를 배치하여 자력부의 운동 방향을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운동부와 코일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운동부의 운동 시 코일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코일부의 불필요한 이동 또는 밀림 현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9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5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5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520), 자력부(570), 운동부(510), 표현부(530), 중간 부재(550), 지지부(560), 제1 베이스(501) 및 제2 베이스(5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500)은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한 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부(520)는 공간(520a)을 구비할 수 있다. 자력부(570)는 코일부(5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510)는 자력부(5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본체 부재(511), 연결 부재(513) 및 그루브(515)를 포함할 수 있고, 표현부(530)는 운동부(5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60)는 운동부(5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베이스(501) 및 제2 베이스(502)의 사이에 코일부(520), 자력부(570) 및 운동부(5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530)는 제1 베이스(501) 및 제2 베이스(5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5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501)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베이스(502)는 제1 베이스(5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502)는 관통부(5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530)는 관통부(5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5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5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5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5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502)는 커버부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502)의 두께를 제1 베이스(501)보다 두껍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하여 보호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제2 베이스(502)의 관통부(502a)는 표현부(5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5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베이스(5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부재(550)는 제2 베이스(502)와 운동부(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부재(550)는 운동부(510)와 제2 베이스(50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550)는 운동부(510)상에 형성하고 제2 베이스(502)와 간격을 갖도록 중간 부재(550)가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510)의 운동 시 이러한 간격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5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5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5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중간 부재(55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5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운동부와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력부를 배치하여 자력부의 운동 방향을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운동부와 코일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운동부의 운동 시 코일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코일부의 불필요한 이동 또는 밀림 현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를 포함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제2 베이스를 통한 외력을 차단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6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10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6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6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620), 자력부(670), 운동부(610), 표현부(630), 중간 부재(650), 지지부(660), 제1 베이스(601) 및 제2 베이스(6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600)은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한 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부(6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 공간(6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자력부(670)는 코일부(6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610)는 자력부(6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본체 부재(611), 연결 부재(613) 및 그루브(615)를 포함할 수 있고. 표현부(630)는 운동부(6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60)는 운동부(6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베이스(601)와 코일부(620)의 사이에 버퍼층(603)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3)은 지지부(460)가 정지 시 지지부(460)와 접할 수 있고, 지지부(460)로 인하여 제1 베이스(601)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603)은 전술한 실시예들 및 후술할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있다.
제1 베이스(601) 및 제2 베이스(6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부재(650)는 제2 베이스(602)와 운동부(610)의 사이에 제2 베이스(602)및 운동부(61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부재(650)는 도 8의 경우처럼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650)를 제2 베이스(6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6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6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중간 부재(650)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600)는 커버부(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690)는 표현부(630)의 운동 시 표현부(630)에 대응하는 관통부(690a)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60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6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운동부와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력부를 배치하여 자력부의 운동 방향을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운동부와 코일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운동부의 운동 시 코일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코일부의 불필요한 이동 또는 밀림 현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을 제1 베이스상에 형성하여 제1 베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10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7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7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코일부(720), 자력부(770), 운동부(710), 표현부(730), 중간 부재(750), 지지부(760), 제1 베이스(701) 및 제2 베이스(7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700)은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한 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부(7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 공간(7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자력부(770)는 코일부(7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710)는 자력부(7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본체 부재(711), 연결 부재(713) 및 그루브(715)를 포함할 수 있고. 표현부(730)는 운동부(7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60)는 운동부(7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베이스(701) 및 제2 베이스(70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베이스(701)의 일면을 향하도록, 즉 제1 베이스(701)의 면 중 자력부(77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보호부(70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호부(707)는 제1 베이스(701)를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중간 부재(750)는 제2 베이스(702)와 운동부(710)의 사이에 제2 베이스(702)및 운동부(71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부재(750)는 도 8의 경우처럼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750)를 제2 베이스(7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7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7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중간 부재(750)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700)는 커버부(7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790)는 표현부(730)의 운동 시 표현부(730)에 대응하는 관통부(790a)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70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7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운동부와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력부를 배치하여 자력부의 운동 방향을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운동부와 코일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운동부의 운동 시 코일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코일부의 불필요한 이동 또는 밀림 현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를 제1 베이스의 일면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제1 베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일 정보 출력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을 포함한다.
도 12에는 12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8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8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2)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2)은 코일부(820), 자력부(870), 운동부(810), 표현부(830), 중간 부재(850), 지지부(860), 제1 베이스(801) 및 제2 베이스(8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82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82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8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8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82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
코일부(820)는 내부에 공간(8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820)는 권선된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820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820a)에 자력부(870) 및 지지부(860)가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870)는 코일부(8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부(820)에 전류가 흘러 코일부(820)의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자기장의 영향으로 힘을 받고, 예를들면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받을 수 있다.
자력부(870)는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820)의 공간(820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시점에서 코일부(820)의 공간(820a)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870)가 코일부(820)의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운동할 경우 자력부(870)의 일 영역이 코일부(820)의 공간(820a)과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810)는 본체 부재(811), 연결 부재(813), 그루브(815) 및 연장 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811)는 표현부(830)와 연결되고 표현부(830)의 양쪽, 또는 주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고 표현부(830)를 벗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811)는 표현부(830)와 중첩된 일 영역 및 중첩되지 않고 표현부(830)를 벗어나는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811)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대로 표현부(830)를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선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고, 원호와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813)는 본체 부재(811)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813)는 본체 부재(811)와 자력부(870)의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부(87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813)는 본체 부재(811)와 연결되고 본체 부재(811)로부터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813)는 자력부(87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력부(870)와 접할 수 있다.
그루브(815)는 연결 부재(813)의 면 중 자력부(87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815)는 표현부(830)를 대향하고 표현부(830)의 일 영역인 수용 영역(830a)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표현부(8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연장 부재(840)는 본체 부재(8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재(811)와 연결되고 본체 부재(811)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15에 도시한대로, 그리고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본체 부재(811)는 표현부(830)를 중심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보는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선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고, 원호와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부재(840)는 이러한 본체 부재(811)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재(811)와 연장 부재(840)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811)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811) 및 연결 부재(813)를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할 수 있고, 본체 부재(811) 및 연결 부재(8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811)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자력부와 연결되어 코일부 주변의 자기장에 의한 운동 시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813)을 자성체로 형성할 경우 자력부(870)와 연결되어 운동부(810)의 운동의 구동력을 증가할 수 있다.
연장 부재(840)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무기 절연체 또는 유기 절연체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수지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장 부재(840)는 표현부(8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표현부(8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부재(840)를 자성체 또는 본체 부재(8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860)는 운동부(8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860)는 운동부(810)의 면 중 표현부(83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는 본체 부재(811), 연결 부재(813) 및 연장 부재(84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860)는 속이 빈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공간부(860a)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부(860a)에는 자력부(87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860)는 코일부(820)의 공간(8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운동부(810)의 정지 상태에서 지지부(860)는 코일부(820)의 공간(820a)에 배치되고 운동부(810)의 운동 시 지지부(86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코일부(820)의 공간(820a)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810)가 지지부(860)에 연결되어 운동부(810)는 코일부(820)와 간격(d2)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운동부(810)의 운동 시 이러한 간격(d2)은 증가할 수 있다. 운동부(810)의 운동 시, 즉 자력부(870)와 함께 운동 시 지지부(860)도 함께 운동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는 코일부(8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860)가 운동 시 코일부(820)에 의하여 방해 받지 않고 원활한 운동을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는 표현부(830)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속이 빈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일 면, 예를들면 후술할 제1 베이스(801)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내부의 공간부(860a)에는 자력부(870)와 중첩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력부(870)는 후술할 제1 베이스(801)와 간격(L)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즉, 자력부(870)가 운동 시 자력부(870)과 제1 베이스(801)의 사이에는 최소 이격된 거리로서 간격(L)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8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860)는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860)는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지부(860)는 세라믹 재료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는 연장 부재(84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860), 연장 부재(840) 및 표현부(830)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860), 연장 부재(840) 및 표현부(83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표현부(830)는 운동부(8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부(830)는 운동부(81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표현부(830)는 일 영역이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부(830)의 단부, 즉 표현부(830)의 영역 중 운동부(8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은 곡면을 갖도록 모서리가 처리될 수 있다.
표현부(830)는 운동부(810)와 연결되어 운동부(810)의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있다. 예를들면 표현부(8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83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801) 및 제2 베이스(802)의 사이에 코일부(820), 자력부(870) 및 운동부(810)가 배치될 수 있고, 표현부(830)는 제1 베이스(801) 및 제2 베이스(802)의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은 제2 베이스(80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801)의 상부에 코일부(820)가 배치되어 제1 베이스(801)는 코일부(8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820)는 제1 베이스(801)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코일부(820)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력부(870)가 운동 시 코일부(820)는 제1 베이스(80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801)와 코일부(82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접착제, 용접 또는 다양한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801)와 코일부(820)의 사이에 버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801)의 상부에 자력부(870)가 배치될 때, 자력부(870)는 제1 베이스(801)와 간격(L)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즉, 자력부(870)가 운동 시 자력부(870)과 제1 베이스(801)의 사이에는 최소 이격된 거리로서 간격(L)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801)는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801)가 자성체를 함유하여 자력부(870)의 운동 시 제1 베이스(801)를 향하는 방향, 즉 도 13을 기준으로 하강 시 자력부(87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베이스(802)는 제1 베이스(801)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802)는 관통부(802a)을 구비할 수 있고, 표현부(830)는 관통부(802a)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운동부(810)의 운동을 통하여 이와 연결된 표현부(8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이 때 관통부(802a)를 통하여 제2 베이스(802)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802)의 관통부(802a)는 표현부(830)와 이격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어 표현부(83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운동부(810)의 적어도 일 방향의 폭은 제2 베이스(802)의 관통부(802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운동부(810)는 제2 베이스(802)의 관통부(802a)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8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2 베이스(802)와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810)의 영역 중 표현부(830)를 중심으로 양쪽의 영역, 또는 다른 구체적 예로서 운동부(810)의 영역 중 표현부(830)의 주변의 영역은 제2 베이스(802)와 중첩될 수 있다.
운동부(810)의 일 방향의 운동, 예를들면 도 13을 기준으로 상승 운동을 통하여 운동부(810)와 제2 베이스(802)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의 운동, 예를들면 도 13을 기준으로 하강 운동을 통하여 운동부(810)와 제2 베이스(802)의 간격은 멀어질 수 있다.
제2 베이스(802)를 통하여 운동부(810)의 운동, 예를들면 제2 베이스(8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802)의 관통부(802a)를 통하여 운동부(810)는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베이스(802)는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고, 철,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의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802)가 자성체를 함유하고, 전술한 운동부(810)가 자성체를 함유할 경우 운동부(810)의 일 방향의 운동, 즉 도 13을 기준으로 상승 운동 시 운동부(81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베이스(801) 또는 제2 베이스(802)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에 대응하도록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부재(850)는 제2 베이스(802)와 운동부(8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810)의 운동 시 중간 부재(850)를 통하여 제2 베이스(802)와 운동부(810)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 중간 부재(8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850)는 운동부(810) 및 제2 베이스(802)와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중간 부재(45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운동부(810)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부재(850)의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850)를 운동부(810)상에 형성할 수 있고, 제2 베이스(802)와 간격을 갖도록 중간 부재(850)가 배치될 수 있고, 운동부(810)의 운동 시 이러한 간격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850)를 제2 베이스(802)상에 형성하고 운동부(810)의 운동 전에는 운동부(81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는 커버부(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890)는 제2 베이스(8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베이스(802)의 면 중 운동부(8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890)는 제2 베이스(802) 및 그 하부의 부재들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890)는 표현부(830)의 운동 시 표현부(830)에 대응하는 관통부(890a)를 가질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현부(830)는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의 상태는 코일부(820)에 상이한 전류가 흐르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6a에서는 코일부(8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일 수 있고, 도 16b에서는 코일부(820)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미도시)를 통하여 코일부(820)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8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자력부(870)는 운동할 수 있고, 자력부(870)와 연결된 운동부(810)가 운동할 수 있고, 표현부(830)는 운동부(81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운동부(810)와 함께 지지부(860)도 같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810)와 코일부(820)의 상면의 소정의 간격(d2)은 운동부(810)의 운동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860)와 제1 베이스(801)는 도 16b에 도시된 대로 운동부(810)와 함께 지지부(860)의 운동으로 인하여 지지부(860)와 제2 베이스(802)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동부(810)의 운동 전에 운동부(810) 및 제2 베이스(802)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1 두께(t1)를 갖는 중간 부재(850)는 운동부(810)의 일 방향의 운동을 통하여 감소한 두께, 즉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운동부(810)의 반대 방향으로의 운동, 예를들면 도 16a의 상태가 되면 중간 부재(850)는 다시 제1 두께(t1)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810)의 본체 부재(811) 및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813)가 자성체를 함유하여 운동부(810)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802)가 자성체를 함유하여 운동부(810)와 제2 베이스(802)간의 자력을 통하여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정보 출력 장치(8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부(830)의 운동의 크기 및 속도는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82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2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IU2)을 포함한다.
정보 출력 장치(800')의 정보 출력 유닛(IU2)은 코일부(820'), 자력부(870'), 운동부(810'), 표현부(830'), 중간 부재(850'), 지지부(860'), 제1 베이스(801'), 제2 베이스(802') 및 배치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배치부(880')는 코일부(820')를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치부(880')는 돌출 영역(881') 및 받침 영역(88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영역(881')은 받침 영역(882')으로부터 제2 베이스(8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출된 형태를 갖고, 적어도 자력부(870') 및 지지부(86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881')의 내주면은 지지부(860')와 접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돌출 영역(881')의 주변에 코일부(820')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820)가 돌출 영역(881')의 주변에 권선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코일부(820')의 내부의 공간(820'a)은 돌출 영역(881')의 주변에 대응될 수 있다.
받침 영역(882')은 제1 베이스(801')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받침 영역(882')과 돌출 영역(88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받침 영역(882')이 제1 베이스(8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820')의 최상단은 돌출 영역(881')의 최상단에까지 이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코일부(820')의 최상단이 돌출 영역(881')의 최상단에 이르지 않을 수도 있다.
배치부(880')를 통하여 코일부(820')를 용이하게 배치 및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860')와 코일부(820')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860')의 운동 시 코일부(820')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코일부(820')가 손상되거나 변형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의 정보 출력 장치에 배치부(88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자력부(870')는 지지부(860')의 공간부(860'a)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810')는 본체 부재(811'), 연결 부재(813'), 그루브(815') 및 연장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802')는 관통부(802'a)을 구비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부(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 800')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표현부는 운동부와 연결되고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표현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800, 800')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800, 800')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 특성 및 정보 출력 장치 소비 전력 저감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를 포함하여 코일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베이스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자력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를 포함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범위를 제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베이스가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를 운동부 상에 형성하여 운동부의 운동 시 충격을 운동부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부재들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 시 진동 등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운동부와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력부를 배치하여 자력부의 운동 방향을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운동부와 코일부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운동부의 운동 시 코일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코일부의 불필요한 이동 또는 밀림 현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정보 출력 장치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운동부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코일부
170, 270, 370, 470, 570, 670, 770, 870: 자력부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표현부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관통부를 구비한 제2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자력부;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된 운동부; 및
    상기 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운동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운동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2 베이스의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부와 함께 운동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의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지지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코일부와 독립적으로 운동하는 정보 출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코일부의 내부의 공간과 중첩된 영역에서 운동하는 정보 출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운동부의 사이에 상기 표현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코일부의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 운동부 및 표현부는 동시에 운동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적어도 일 영역에 자성체를 함유하도록 형성되는 정보 출력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본체 부재 및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자력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의 면 중 상기 표현부와 연결된 면의 반대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코일부의 내부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정보 출력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지지부의 공간부의 일 영역과 중첩되고 이와 다른 일 영역과 미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정보 출력 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은 서로 일 방향 또는 이와 다른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70078590A 2017-06-21 2017-06-21 정보 출력 장치 KR10194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90A KR101949450B1 (ko) 2017-06-21 2017-06-21 정보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90A KR101949450B1 (ko) 2017-06-21 2017-06-21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44A Division KR102227501B1 (ko) 2019-02-12 2019-02-12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11A KR20180138411A (ko) 2018-12-31
KR101949450B1 true KR101949450B1 (ko) 2019-04-29

Family

ID=6495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590A KR101949450B1 (ko) 2017-06-21 2017-06-21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855A (ko) * 2019-02-12 2019-02-20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6108A1 (en) 2018-11-12 2022-06-16 Lg Chem, Ltd. Colour conversion film, and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95B1 (ko) * 2015-11-04 2017-08-14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855A (ko) * 2019-02-12 2019-02-20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KR102227501B1 (ko) * 2019-02-12 2021-03-15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11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9625B2 (en) Linear vibration device having spring
US10610893B2 (e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KR101949450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0610894B2 (e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US10367402B2 (en) Vibration motor
JP663033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US10610892B2 (e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US8830042B2 (en) Haptic feedback device
KR20190017855A (ko) 정보 출력 장치
JP2020025414A (ja) 磁石ユニットの製造方法、磁石ユニット、振動モータおよび触覚デバイス
JP7219070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10512937B2 (en) Vibration motor
JP6309871B2 (ja) 振動モータ
US20180076702A1 (en) Vibration motor
JP6858088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102146458B1 (ko) 선형 진동 액추에이터
CN110098711B (zh) 致动器
US20230198365A1 (en)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device
US11573636B2 (en) Haptic actua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 having a non-vertical, magnetic polarization transition zone and related methods
US20220149710A1 (en) Actuator and display unit provided therewith
KR101844506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0719130B1 (en) Haptic actuator including overmolded field member and related methods
US10688528B2 (en) Vibration motor
US10610891B2 (en) Vibration motor including back yoke with protrusion portions
JP6625896B2 (ja) 電気機械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