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177B1 - 귀마개 - Google Patents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177B1
KR101949177B1 KR1020180118170A KR20180118170A KR101949177B1 KR 101949177 B1 KR101949177 B1 KR 101949177B1 KR 1020180118170 A KR1020180118170 A KR 1020180118170A KR 20180118170 A KR20180118170 A KR 20180118170A KR 101949177 B1 KR101949177 B1 KR 10194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ar canal
cover
e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박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용 filed Critical 박진용
Priority to KR102018011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177B1/ko
Priority to PCT/KR2019/012897 priority patent/WO20200717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A61F2011/08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이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또는 진동이 상기 몸체부에 전달되기 전에 일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를 둘러싸는 플렉시블한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몸체를 통해 고막으로 소리가 전달되기 전에 외부의 소리 또는 진동을 일부 흡수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차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고, 한 가지 사이즈로 다양한 형태의 귀 구조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제품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커버부와 몸체 사이에 에어포켓 공간이 있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귀마개가 눌리더라도 탁월한 착용감을 구현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비행기와 같은 급격한 고도의 변화에도 귀가 느낄 수 있는 기압의 변화를 최소로 하여 사용자의 귀 또는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마개{EARPLUG}
본 발명은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소음 및 기압변화에 대하여 청력을 보호하는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마개는 사용자가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귀를 막는 도구이다.
등록특허 제10-1545087호(2015.08.17.공고)는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에 관한 것으로, 소단면부와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본체와 상기 소단면부 외주면에 장착되고 귀에 착용 시 외이도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소단면부 외주면과 상기 외이도의 내주면 사이를 차단하는 이어패드를 포함하는 귀마개에서, 상기 소단면부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단면부에 대한 상기 확장부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유연부를 포함하며, 볼륨조절수단이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 제10-1545087호(2015.08.17.공고)는, 사용자가 볼륨조절을 위해 볼륨조절수단을 회전시켜야 되는데, 귀마개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볼륨조절수단을 회전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는 볼륨조절을 위해 귀마개를 착용해제한 후 볼륨조절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545087호(2015.08.17.공고)는 볼륨조절수단 등의 구성을 위해 경질의 재질을 사용해야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딱딱한 이물감을 느낄 수 있어 불편이 가중될 수 있고, 본체의 확장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소리나 진동 발생시 외부에 노출된 본체를 투과한 소리가 고막에 직접 전달되므로 차음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KR 10-1545087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소리가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귀마개의 커버를 통해 소리와 진동을 고막으로 전달하기 전에 일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귀 구조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제품 개발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압력으로 인해 귀마개가 눌리더라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착용감이 좋은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행기와 같은 급격한 고도의 변화에도 귀가 느낄 수 있는 기압의 변화를 최소로 하여 사용자의 귀 또는 청력을 보호하는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는, 외이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또는 진동이 상기 몸체부에 전달되기 전에 일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로부터 확장되게 연장되며 외이도 바깥의 귀바퀴에 걸림으로써 삽입을 제한하고 상기 커버부와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진동이 고막으로 전달되기까지의 경로를 늘리도록, 상기 제2몸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형태와 상관없이 상기 외이도의 차단을 위해 변형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외이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외이도에 삽입을 방지하며 상기 연통홀이 형성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와 이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와 반대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버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제1분리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분리부 사이에 마련되어 둘레가 상기 커버부와 접하며 제1 및 제2에어포켓을 분리하는 제2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분리부는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형성된 제3에어포켓;을 포함하고,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 일부가 상기 제1분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하측에 상기 연결부의 둘레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걸림부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2분리부에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외이도 형상에 상관없이 상기 외이도의 내면에 거치가능한 연질의 차음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몸체를 통해 고막으로 소리가 전달되기 전에 외부의 소리 또는 진동을 일부 흡수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차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몸체를 둘러싸는 플렉시블한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한가지 사이즈로 다양한 형태의 귀 구조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제품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커버부와 몸체 사이에 에어포켓 공간이 있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귀마개가 눌리더라도 탁월한 착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행기와 같은 급격한 고도의 변화에도 귀가 느낄 수 있는 기압의 변화를 최소로 하여 사용자의 귀 또는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커버부 내부를 투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1홈과 제2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1차음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2차음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커버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내지 (d)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1)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커버부 내부를 투시한 도면이며,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1홈과 제2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1차음링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2차음링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커버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의 (a) 내지 (d)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1)는 몸체부(100), 차음링부(200), 커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30)는 서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몸체(110)는 사용자의 외이도(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외측에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몸체(110)는 외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몸체(110)는 외면에 제1홈(111)과 제2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1)은 제1몸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 개가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 개의 제1홈(111)들이 서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홈(112)은 제1몸체(110)의 제1홈(111)에 수직방향, 즉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홈(111)과 제2홈(112)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제2홈(112)이 한 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제2홈(11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1)과 제2홈(112)은 서로 연통되는 것으로, 소리가 전달되는 통로일 수 있다. 외부의 소리는 후술하는 커버부(300)를 통해 제2연통홀(131a)과 제1홈(111), 제2홈(112) 및 제1연통홀(121)을 순서대로 지나 고막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d)는 제1홈(111) 또는 제2홈(112)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도 5의 (a)와 같이 제2홈(112)이 지그재그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제2홈(112)이 없이 제1홈(111a)만이 나선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 또는 (d)와 같이 제1홈(111)이 없을 수 있으며, 제2홈(112a, 112b)이 물결 또는 지그재그의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5의 (e)와 같은 제2홈(112c)은 복합적인 모습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에 형성된 제1홈(111, 111a) 또는 제2홈(112, 112a, 112b, 112c)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제2연통홀(131a)과 제1연통홀(121)에 제1홈(111) 또는 제2홈(112)이 연통되기만 한다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제1홈(111)과 제2홈(112)의 길이에 따라 고막까지 전달되는 외부의 소리의 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자는 제1홈(111)과 제2홈(112)이 다양한 패턴과 길이 및 그 크기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를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11)과 제2홈(112)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수록 사용자의 고막까지 전달되는 소리는 매우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홈(111)과 제2홈(112)의 다양한 패턴과 길이 및 그 크기에 따라, 기압의 변화를 줄일 수도 있다. 예컨대, 비행기와 같이 고도에 따라 기압의 변화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제1홈(111)과 제2홈(11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수록 사용자는 기압의 변화를 천천히 느낄 수 있어, 보다 편한 비행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1몸체(1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홈(111)과 제2홈(112)에 의해 부위별로 탄성계수가 다르므로 제1몸체(110)는 이리저리 구부러짐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제1몸체(11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0)는 후술하는 차음링부(20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을 사용자의 귀로부터 탈락시킬 경우,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에 차음링부(200)가 남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0)는 후술하는 차음링부(200)의 제1개구(212) 및 제2개구(22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탈방지부(120)는 제1연통홀(121)을 포함하며, 제1연통홀(121)은 제1몸체(110)의 제1홈(111) 또는 제2홈(112)과 연통됨으로써 제1홈(111)과 제2홈(112)을 통과하는 소리는 고막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몸체(130)는 제1몸체(110)로부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몸체(130)는 제1몸체(110)로부터 확장되게 연장될 수 있고, 외이도 바깥의 귀바퀴에 걸림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가 더이상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몸체(130)는 걸림부(131)와 연결부(132), 제1분리부(133) 및 제2분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31)는 제1몸체(110)로부터 확장되게 연장될 수 있고 제1몸체(110)가 외이도에 삽입되더라도, 귓바퀴에 걸림부(131)가 걸림으로써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걸림부(131)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부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31)는 제1홈(111) 또는 제2홈(112)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2)는 걸림부(131)로부터 제1몸체(11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축소되게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32)는 후술하는 커버부(300)의 커버개구(32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분리부(133)는 연결부(132)로부터 제1몸체(11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확장되게 연장될 수 있고, 후술하는 커버부(300)의 내측면과 접하여 커버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분리부(134)는 연결부(132)와 제1분리부(13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분리부(134)의 둘레는 후술하는 커버부(300)와 접할 수 있다.
차음링부(200)는 몸체부(100) 즉, 제1몸체(110)의 외주면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제1몸체(110)의 외주면에 둘러싸며 설치될 수 있고 플렉시블한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링부(200)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이도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링부(200)는 제1차음링(210)과 제2차음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음링(210)은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제1차음본체(211)와, 제1차음본체(211)에 제1몸체(110)가 관통하는 제1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차음링(210)이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면, 제1차음본체(211)의 최외곽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측과 접하면서 커버부(300)의 외측으로 침입하는 소리를 1차적으로 차음할 수 있다.
제1차음링(210)은 사용자의 외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0의 (a) 내지 (d)의 각 A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차음링(21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지만, 단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차음링(210)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외이도의 형태에 맞도록 각 크기의 제1차음링(210)을 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상기 A구간에 해당하는 외이도는 후술하는 B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 민감도가 둔감하므로, 제1차음링(210)은 후술하는 제2차음링(2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차음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음링(220)은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제2차음본체(221)와, 제2차음본체(221)에 제1몸체(110)가 관통하는 제2개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차음링(22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차음링(220)이 4개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차음본체(211)는 2개 이내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차음본체(221)는 2단 이상 5단 이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차음본체(211)가 1개 구비될 때, 제2차음본체(221)는 5개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차음본체(211) 1개와 제2차음본체(221) 4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제2차음링(220)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외이도의 형태에 맞도록 각 크기의 제2차음링(220)을 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외이도를 상대적으로 외부와 가까운 A구간과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B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B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A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예민한 피부 민감도를 가지므로, 제2차음링(220)은 상기 제1차음링(21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차음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음링(210)은 제2차음링(2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차음 소재로 형성가능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에 접촉하여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차음링(220)은 제1차음링(21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차음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외이도의 형상에 상관없이 삽입 및 거치가 용이하다.
제2차음링(220)이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면, 제2차음본체(221)의 최외곽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측과 접하면서 커버부(300)의 외측으로 침입하는 소리를 2차적으로 차음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차음링(220), 즉 복수 개의 제2차음본체(221)는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 및 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부의 제2차음링(220)이 외이도의 내측과 접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제2차음링(220)이 제1차음링(210)과 함께 외이도에 접하면서 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의 (a) 내지 (d)의 경우 모두에 효과적으로 밀착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10의 (c) 또는 (d)와 같이 굴곡이 형성된 외이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제1차음링(210)보다 얇은 제2차음링(220)이 플렉시블하게 일부가 구부러지면서 외이도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차음링(220) 각각의 배치를 사용자의 외이도의 형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차음링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차음링(220)은 제1차음링(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외곽 지름이 제1차음링(210)보다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차음본체(221)와 제2개구(222)는 제1차음본체(211)와 제1개구(212)보다 각각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으로 그 크기와 배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커버부(300)는 몸체부(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진동이 몸체부(100)에 전달되기 전에 소리나 진동을 일부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커버부(300)는 사용자의 외이도 차단을 위해 변형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300)는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300)는 하면이 제2몸체(130)의 걸림부(131)의 상면과 접하며, 제1분리부(133)는 커버부(300)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커버부(300)의 내측과 접하며 커버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300)의 하면(310)에는 커버개구(320)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개구(320)의 테두리는 제2몸체(130)의 연결부(132)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개구(320)의 크기보다 걸림부(131) 및 제2분리부(134)의 크기가 더 크므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커버부(300)는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부(300)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제1분리부(133)로부터 지지되면서 내측면이 제2몸체(130)와 일부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분리부(133)의 형상에 따라 커버부(300)와의 사이는 다양한 패턴 또는 길이가 형성될 수 있고, 즉, 커버부(300)는 외부의 소리 또는 진동이 고막까지 전달되기까지의 경로를 늘릴 수 있다.
한편, 커버부(300)는 내측면이 제2분리부(134)의 둘레와 접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걸림부(131)와 제1분리부(133)를 둘러싸며 에어포켓(135, 136, 137)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제2분리부(134)는 커버부(300)의 내부를 제1에어포켓(135)과 제2에어포켓(136)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에어포켓(137)은 커버부(300)와 제1분리부(133)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외부의 소리나 진동은 커버부(300)는 외면에 접촉하고, 커버부(300)와 제2몸체(130) 사이의 공간인 에어포켓(135, 136, 137)으로 침투하며 일부 분산될 수 있고, 제2연통홀(131a), 제1홈(111), 제2홈(112), 제1연통홀(121)을 통해 사용자의 고막까지 도달될 수 있다.
덧붙여서, 외부의 충격을 받아 압력에 의해 귀마개가 눌리더라도 사용자는 에어쿠션 역할을 하는 에어포켓(135, 136, 137)으로 인해 탁월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변형예는 커버부(300)와 차음링부(200)를 구비하지 않고 몸체부(100)가 귀마개(1´) 자체이므로 상기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귀마개(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귀마개(1´)는 줄기부(410)와 확장부(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줄기부(410)가 하방으로 테이퍼지는 막대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는 줄기부(410)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확장부(420, 430)는 줄기부(410)의 외면에서 외부로 확장된 형태로 줄기부(4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방으로 테이퍼지는 반구와 같은 형상을 가진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확장부(420)가 제2확장부(430)보다 크게 도시되고 제2확장부(430)는 줄기부(410)의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일 뿐으로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 외에도 제3확장부(미도시)와 같이 제n확장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의 외면에는 제1홈(421, 431)과 제2홈(422, 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421, 431)은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의 외주면에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홈(421, 431)은 제1확장부(420) 또는 제2확장부(430)의 가장 큰 둘레와 동심원을 이룰 필요는 없으며, 제1홈(421, 431)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홈(422, 432) 역시 제1홈(421, 431)과 마찬가지로 제1확장부(420)와 제2확장부(4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422, 432)는 줄기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홈(422, 432)은 제1홈(421, 431)과 각각 연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의 소리는 제1홈(421, 431)과 제2홈(422, 43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고막까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홈(421, 431)과 제2홈(422, 432)은 일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그 크기나 폭 또는 길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완화될 수 있다. 즉, 고도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귀 내부의 압력 변화는 제1홈(421, 431)과 제2홈(422, 432)의 크기나 폭 또는 길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귀마개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제1변형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변형예는 커버부(300)를 구비하지 않고 몸체부(400)와 차음링부(520, 530)가 귀마개(1˝) 자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귀마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귀마개(1˝)는 몸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줄기부(510)와 제1차음링(520)과 제2차음링(530)을 포함할 수 있다.
줄기부(510)는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도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줄기부(51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부(51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511)는 제1 및 제2차음링(520, 5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이탈방지부(511)가 줄기부(510)의 끝단에 도시되었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1차음링(520) 또는 제2차음링(530) 각각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차음링(520)과 제2차음링(53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단 또는 4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차음링(520)의 제1차음본체(521)는 1개일 수 있고, 제2차음링(530)의 제2차음본체(531)는 4개 이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차음본체(521) 1개와 제2차음본체(531) 4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차음링(520)은 제2차음링(53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차음 소재로 형성가능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에 접촉하여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차음링(530)은 제1차음링(52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차음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외이도의 형상에 상관없이 삽입되어 거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귀마개(1˝)는 줄기부(510)에 차음링(520, 530)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차음링(520, 530)이 설치되는 귀마개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1´, 1˝: 귀마개 10 : 외이도
100 : 몸체부 110 : 제1몸체
111, 111a : 제1홈 112, 112a, 112b, 112c : 제2홈
120 : 이탈방지부 121 : 제1연통홀
130 : 제2몸체 131 : 걸림부
131a : 제2연통홀 132 : 연결부
133 : 제1분리부 134 : 제2분리부
135 : 제1에어포켓 136 : 제2에어포켓
137 : 제3에어포켓
200 : 차음링부 210 : 제1차음링
211 : 제1차음본체 212 : 제1개구
220 : 제2차음링 221 : 제2차음본체
222 : 제2개구
300 : 커버부 310 : 하면
320 : 커버개구
400 : 몸체부 410 : 줄기부
420 : 제1확장부 421 : 제1홈
422 : 제2홈 430 : 제2확장부
431 : 제1홈 432 : 제2홈
500 : 몸체부 510 : 줄기부
511 : 이탈방지부 520 : 제1차음링
530 : 제2차음링

Claims (8)

  1.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로부터 확장되게 연장되며 상기 외이도 바깥의 귀바퀴에 걸림으로써 삽입을 제한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며 상기 제2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2몸체에는 소리 및 진동의 전달을 방해하도록 상기 에어포켓을 단절또는 분할하는 분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 또는 진동이 상기 몸체부에 전달되기 전에 일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귀마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진동이 고막으로 전달되기까지의 경로를 늘리도록, 상기 제2몸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형태와 상관없이 상기 외이도의 차단을 위해 변형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외이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외이도에 삽입을 방지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와 이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와 반대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버부를 내측에서 지지가능한 제1분리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분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에어포켓으로 분리하는 제2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분리부는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형성된 제3에어포켓;
    을 포함하고,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 일부가 상기 제1분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측에 상기 연결부의 둘레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걸림부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2분리부에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외이도 형상에 상관없이 상기 외이도의 내면에 거치가능한 연질의 차음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KR1020180118170A 2018-10-04 2018-10-04 귀마개 KR10194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70A KR101949177B1 (ko) 2018-10-04 2018-10-04 귀마개
PCT/KR2019/012897 WO2020071779A1 (ko) 2018-10-04 2019-10-02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70A KR101949177B1 (ko) 2018-10-04 2018-10-04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177B1 true KR101949177B1 (ko) 2019-02-18

Family

ID=6556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170A KR101949177B1 (ko) 2018-10-04 2018-10-04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79A1 (ko) * 2018-10-04 2020-04-09 박진용 귀마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136A (en) * 1998-10-08 1999-09-28 Moldex-Metric, Inc. Earplug
KR200431196Y1 (ko) * 2006-08-11 2006-11-23 박진용 청력 보호구.
KR20100111401A (ko) * 2009-04-07 2010-10-15 박진용 귀마개
US20120257774A1 (en) * 2009-12-21 2012-10-11 Widex A/S Ear plug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KR101545087B1 (ko) 2014-04-17 2015-08-17 채승호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
KR200483115Y1 (ko) * 2016-12-05 2017-04-05 오호준 귀마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136A (en) * 1998-10-08 1999-09-28 Moldex-Metric, Inc. Earplug
KR200431196Y1 (ko) * 2006-08-11 2006-11-23 박진용 청력 보호구.
KR20100111401A (ko) * 2009-04-07 2010-10-15 박진용 귀마개
US20120257774A1 (en) * 2009-12-21 2012-10-11 Widex A/S Ear plug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KR101545087B1 (ko) 2014-04-17 2015-08-17 채승호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
KR200483115Y1 (ko) * 2016-12-05 2017-04-05 오호준 귀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79A1 (ko) * 2018-10-04 2020-04-09 박진용 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3816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pparatus
JP5382821B2 (ja) イヤホン装置およびイヤホン装置本体
KR101545087B1 (ko)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
EP2606659B1 (en) Audio ear bud headphone with extended curvature
US6704429B2 (e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s blockade
EP0637896B1 (en) Earphone assembly
US6731772B1 (en) Cushion cover for preventing pains in using earphones
US4965838A (en) Ear piece transducer
US20190215595A1 (en) Integrating wax guards into earphone ear tips
RU26787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содержащее скрученный акустический рог
US20120275635A1 (en) Earphone with mutually obliquely oriented sound holes
US8223984B2 (en) System for forming a hearing protector, ear cup in such a system, and hearing protector formed by such a system
US20070253587A1 (en) Ear cana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3141118A (zh) 耳机定位和保持结构
NO314560B1 (no) Et arrangement i akustiske hodetelefoner
WO2003088706A1 (fr) Oreillette et ecouteur pourvu de cette oreillette
JP2010263460A (ja) イヤーマフ及びヘッドホン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KR101954088B1 (ko) 귀마개
KR101949180B1 (ko) 귀마개
KR101949177B1 (ko) 귀마개
US20060147079A1 (en) Earphone
EP3200476A1 (en) Headphone
EP3200477B1 (en) Headphone
US7367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ssive nois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