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70B1 -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70B1
KR101948770B1 KR1020180023464A KR20180023464A KR101948770B1 KR 101948770 B1 KR101948770 B1 KR 101948770B1 KR 1020180023464 A KR1020180023464 A KR 1020180023464A KR 20180023464 A KR20180023464 A KR 20180023464A KR 101948770 B1 KR101948770 B1 KR 10194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eight
elastic
elastic concre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섭
Original Assignee
(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이씨 filed Critical (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8002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01C11/103Joints with packings prepared only in situ; Materia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structure formed at an expansion joint area compensat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concrete due to change in temperature. More particularly, this invention comprises: elastic concrete constructed at an expansion joint area; a sealant constructed at an upper part of the elastic concrete; and a binding member fixated at a lower part concrete in order to increase binding force with the elastic concrete. Therefore, this invention is used to construct or repair an expansion joint area of a bridge or an underpass, and to repair an area where concrete has partially fell off. This invention provides rapid curing rate, superior usability, and elasticity which contributes to superior shock and wear resistance.

Description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공법 및 이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 joint method using a sealant and an elastic concrete, and an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을 보상하는 신축 이음 부위에 형성되는 신축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이음부위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와, 상기 탄성콘크리트 상부에 타설되는 실란트 및 하부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교량이나 지하 차도의 신축 이음 부위의 신축이나 보수, 또한, 콘크리트의 부분적 탈락 부분 등의 보수에 사용하기 위한, 경화 속도가 빠르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충격 및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신축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 joint structure formed at a stretch joint region that compensates for shrinkage and expansion of concrete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etch joint structure formed of elastic concrete poured into a stretch joint portion, And a binding member fixed to the lower concret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elastic concrete.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expanding or repairing a stretch joint part of a bridge or an underground driveway, Which is excellent in workability, has elasticity, and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교량이나 지하 차도의 주행 아스팔트 포장면 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는 온도 변화나 진동에 의한 응력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면까지 균열이 발생하여 이차적인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Concrete located under the running asphalt pavement of bridges or underground roads repeatedly shrinks and expands due to stress due to temperature change or vibration, resulting in cracks to the asphalt pavement surface, thus causing secondary damage.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교량이나 지하 차도 등에는 소정 거리마다 신축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신축 장치를 비롯한 콘크리트 신축 이음 부위 등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이외에도 고속도로, 활주로, 교량 등에 적용된 콘크리트는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부분적 탈락이 일어나는 등 파손의 문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이음 부위나 부분적인 탈락에 있어서 파손 부위의 보수를 위해서는 교통을 빠른 시간 내에 개방하여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화 속도가 빠른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 수지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를 이용한 모르타르를 이용하고 있다.To cope with such a problem, a telescopic devic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bridge, an underground driveway, and the like. However, concrete expansion joints and other joints, including expansion joints, are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s. In addition, concrete applied to highways, runways, bridges, etc. has a problem of breakage due to partial dropping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raffic should be open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repair the damaged part in the concrete joint part or partial dropout, mortar, concrete, epoxy resin, methyl methacrylate (MMA) resin is used as the mortar.

그러나,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 수지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를 이용한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신축 장치를 고정하거나 이음 부위를 보수할 경우, 탄성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차량에 의한 하중이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다시 파손된다. 특히, 연결 부위에 근접되어 있는 기존 아스팔트와 보수된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 모르타르에 있어서, 보수에 이용된 재료는 강도 등은 우수하나 탄성이 없고 아스팔트와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커 보수 부위 주변에서 취성(brittleness)이 약한 아스팔트가 먼저 파손되게 된다. 아스팔트가 파손되면, 파손된 아스팔트와 하부 콘크리트 층간에 물이 스며들게 되고, 물에 약한 아스팔트가 계속적으로 분리되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However, when mortar, concrete, or mortar with epoxy resin or methyl methacrylate (MMA) resin is used to fasten a stretching device or repair joints using ultra fast cement, the load due to the vehicle Or easily broken again due to vibrations or shocks. Especially, in the concrete or epoxy mortar using the existing asphalt and the modified quick cement close to the connection site, the material used for the repair has excellent strength but not elasticity,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sphalt, The asphalt with weak brittleness is broken first. If the asphalt is broken, the water will be impregnated between the broken asphalt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weak asphalt will continuously be separated and fall off.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축 장치의 고정이나 콘크리트 보수에 이용되는 탄성을 갖는 모르타르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n elastic mortar used for fixing a stretching device or for repairing concrete.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55399호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있는데,Such prior ar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355399 entitled " Construction of a joint structure for underground roadway and bridge structure,

상기 종래기술은 이격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도로포장재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가 포설되어 이루어진 도로구조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이격된 간극에 삽입 설치된 제1유공관과, 도로포장재의 절단부 수직벽 하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 깊이로 절단하여 형성한 콘크리트 절단부에 삽입 설치된 제2유공관과, 콘크리트 절단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와, 도로포장재 절단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 및 포설하고,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가 도포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도로포장재 절단부의 바닥면과 양측 수직벽 전체에 걸쳐 부착시킨 제1난연섬유부재; 제1난연섬유부재의 내외측에 도포되고, 제1유공관 상부의 간극에 충진된 탄성봉함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유공관이 삽입되는 콘크리트 절단부는 도로포장재 절단부의 양측 수직벽 하부에 각각 형성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A first pore pipe inserted in a spaced gap between concrete structures, a second pore pipe inserted into a concrete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concrete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depth below the vertical wall of the cut portion of the road pavement,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cut portion, and an elastic joint material mixed with an aggregate and a thermoplastic resin in a road package cut portion, and a finish material is appli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joint material. A first flame retardant fiber member attached 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 portion and the entire vertical walls on both sides; The concrete cut portion to which the second pip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wall on both sides of the cut portion of the road covering material, One technology is present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수직벽 전체에 걸쳐 부착시킨 섬유부재를 이용하여 수축 및 팽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잦은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섬유부재가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결국 취약부가 발생하여 강도저하 또는 균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been able to flexibly cope with shrinkage and expansion by simply using a fiber member attached over the vertical wall. However, due to frequent shrinkage and expansion, Or cracking problems may occur.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76692호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있는데,Also, in the prior art, Registration No. 10-1476692 entitled " No-joint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underground roadway and brick waterproofing "

상기 종래기술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The prior art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간격에 지하용출수 배수관이 삽입 설치되어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와 지하용출수 배수관의 상부 전체에 형성된 도막방수층;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설치된 격자 형상의 그리드(grid); 상기 그리드 상부에 포설된 아스콘 포장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에는, 도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20∼50ㅀ의 경사를 갖는 배수관 삽입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 삽입홈에는 침투수 배수관이 삽입되어 시공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A concrete slab in which an underground effluent drain pipe is inserted and installed at the interval; A primer layer formed on top of the concrete slab; A coating film waterproof layer formed on the top of the primer layer and on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effluent water pipe; A lattice-like grid provided on the top of the waterproof film layer; And an asphalt pavement lay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drain pipe insertion grooves having a slope of 20 to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penetration water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technique is present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그리드를 통하여 포장층으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변형량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배수관이 삽입된 슬래브 만으로는 수축 및 팽창의 변형량의 전달을 막는데는 한계가 있고, 직접적으로 외부에 전달되는 조사량에 의한 수축 및 팽창을 막을 수는 없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to prevent the deformation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ackage layer through the grid, and there is a limit in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formation amount of shrinkage and expansion with the slab in which the drain pipe is inserted merely. The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the irradiation amount can not be prevented and cracks may occur.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12966호 『탄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있는데,Furthermore, as another prior art, there is a registered patent No. 10-1512966 entitled " Elastic Mortar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상기 종래기술은 탄성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혼합물 80 내지 100중량부; 납화합물 0.1 내지 3중량부; 카본블랙 1 내지 5중량부; 소포제 0.05 내지 3중량부; 골재 30 내지 1,00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30중량부; 분리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가소제 0.5 내지 5중량부; 유동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세라믹 결합제 3 내지 8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ic mixture, 8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cured mixture; 0.1 to 3 parts by weight of lead compound; 1 to 5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0.05 to 3 parts by weight of an antifoaming agent; 30 to 1,000 parts by weight of aggregat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nti-segregation agent; 0.5 to 5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fluidizing agent; And 3 to 8 parts by weight of a ceramic binder,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655227호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 시공방법』이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rt 10-655227 " polyurethane resin morta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상기 종래기술은 (A)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올, 및 첨가제의 혼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B) 충전재 5 내지 15 중량부, 및 (C) 골재 6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로서, ASTM D 695에 따른 방법으로 5%의 하중 조건하에 측정한 변형 회복도가 70% 이상인 탄성회복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를 개시하고 있다.The abov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10 to 2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isocyanate, polyol and additives, (B) 5 to 15 parts by weight of a filler and (C) 65 to 85 parts by weight of an aggregate , Which has an elastic recovery performance of 70% or more as measured by a method according to ASTM D 695 under a load of 5%.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요구되는 제반 특성을 충분한 정도로 충족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같은 합성 폴리올 단독, 또는 합성 혼합 폴리올을 이용하는 것으로,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산업 전반적인 분야에서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각종 방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사람과의 노출 빈도가 많은 도로, 교량, 토목구조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환경친화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not only fail to satisfactorily satisfy all the propertie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mortar composition but also use a synthetic polyol such as a polyether polyol or a polyester polyol alone or a synthetic mixed polyol, Lt; / RTI > 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various measures for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generation in the industrial field in general. In particular, a repair mortar composition used for various roads, bridges,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etc., It is important to increase environmental friendliness in the environment.

이에, 토목구조물 보수에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환경친화성을 높일 수 있는 탄성콘크리트 개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Therefore, there is still a demand for development of elastic concrete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various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repair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enhanc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교량, 지하 차도, 도로 등에 있어서 일정 간격에 일정 크기로 설치된 신축 이음부나 콘크리트의 부분적 탈락 부위 보수에 사용되어 온도 변화에 의해 반복되는 수축, 팽창, 압축, 인장을 흡수하고, 진동 및 활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으며, 속경성, 시공성, 탄성력,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used for repairing part of joint part or concrete part which is installed at a certain size at regular intervals in bridges, underground roads, roads, etc., and absorbs repeated shrinkage, expansion, compression and tens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to provide a stretch joint structure using a sealant and an elastic concrete excellent in fastness, workability, elasticity, abras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구조는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etch joint structure using a sealant and an elastic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신축 이음부위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Elastic concrete placed at the expansion joint;

상기 탄성콘크리트 상부에 타설되는 실란트;A sealant disposed on the elastic concrete;

하부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a binding member fixed to the lower concret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with the elastic concrete,

상기 탄성콘크리트는The elastic concrete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탄성 우레탄 수지 18~22 중량% 및 충진재 78~82 중량%를 포함하며,Comprising 18 to 22% by weight of an elastic urethane resin and 78 to 82% by weight of a filler, the filler comprising a base comprising a natural polyol and a curing agent,

상기 천연 폴리올은 피마자유 29~35 중량%, 대두유 16~19 중량%, 코코넛산 9~12 중량%, 검 로진 9~1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5~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natural polyol comprises 29 to 35% by weight of castor oil, 16 to 19% by weight of soybean oil, 9 to 12% by weight of coconut acid, 9 to 11% by weight of gum rosin, 25 to 27% by weight of C12-14 alkyl glycidyl ether, By weight and 1.5 to 3.0% by weigh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구조는As described above, the stretch joint structure using the sealant and the elastic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동성이 우수하여 작고 좁은 공간에도 쉽게 충진될 수 있으며, 시공성이 우수하여 신축 이음 부위의 연결 장치의 고정이나 보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분적 탈락 부위 보수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속경성으로 조기에 교통 개방이 가능하여 효율적이다.It is easy to fill in a small and narrow space due to its excellent fluidity.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can be applied to fixation and repair of connecting device of a stretch joint part, repair of part of a concrete part of a concrete structure, Is possible.

또한 결착부재를 통하여 탄성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킴에 따라 충격에 의해 탄성콘크리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착부재에 지하수를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유공관을 더 구비함에 따라 지하수가 스며들어 지하수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onding force of the elastic concrete is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bon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concrete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mpact, and furthermore, the pipe can absorb and discharge the ground water to the bon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groundwater.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콘크리트는 우수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온도 변화에 의해 반복되는 수축, 팽창, 압축, 인장을 흡수하고, 진동 및 활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고, Also, the elastic concre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lasticity, absorbs repeated shrinkage, expansion, compression, and tensile due to temperature change, can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o vibration and live load,

내마모성이 높고, 계면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신축 이음 부위가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토목구조물에 적용되어 토목구조물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보완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t has high abra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that does not cause interface delamination, so it can be applied to civil structures such as concrete structures with stretching joints, which can effectively compl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ivil structure and prolong its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공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구조의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구조의 제2 실시예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신축 이음구조의 문제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변형회복도 시험에 있어서 하중을 받은 부위에 발생한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
도 6b는 하중을 제거한 후 변형이 회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7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 콘크리트에 대한 유동성 시험에 사용된 몰드를 나타내는 사진
도 7b는 몰드를 위로 들어 제거한 경우 이 몰드에 주입된 탄성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퍼져 직경이 증가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변형회복도 시험 사진
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scopic joi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retch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expansion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roblems of a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structure
FIG. 6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formation of a portion subjected to a load in the compression strength and deformation recovery test of the elastic concre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is restored after removing the load
7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ld used in the fluidity test for the elastic concre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hotograph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elastic concrete injected into the mold spreads horizontally to increase the diameter when the mold is lifted upward; FIG.
Fig. 8 is a graph showing compressive strength and strain recovery test results of the elastic concre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공법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scopic joi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first,

1. 신축 이음부의 주변의 콘크리트(아스콘) 면을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a)1. Step of cutting a concrete (ascon) surface around a stretch joint using a cutter (a)

2. 파쇄기를 이용하여 절단 부위를 파쇄한 후, 파쇄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청결하게 하여 신축 이음부위를 형성하는 공정.(b)2. Process of crushing the cutting site using a crusher, removing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and cleaning it to form a stretch joint (b)

3. 상기 신축이음부위의 끝부분에 탄성콘크리트가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정.(c)(C) a step of installing a mold so that the elastic concrete does not flow down at the end of the expansion joint part (c)

4. 신축이음부위에 절단된 콘크리트면에 접착 증강제를 도포하는 공정.(d)4.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dhesion enhancer to the concrete surface cut at the stretch joint (d)

5. 하부 콘크리트에 후술하는 결착부재를 고정하는 공정.(e)5. A step of fixing the below-described binding member to the lower concrete (e)

이 때 접착 증강제 적용은, 절단면 절단시 물을 사용하게 되어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수분 함량이 8%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적용하거나, 또는 콘크리트가 함수하고 있는 경우에 우수한 부착력을 발휘하는 수용성 접착 증강제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접착 증강제의 사용량은 0.2~0.4 kg/㎡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on enhancer is performed by applying water after drying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less than 8% because water is used when cutting the cut surface, or when the concrete is functioning, a water-soluble adhesion enhancer Is applied. The use amount of the adhesion enhancer may preferably be about 0.2 to 0.4 kg / m 2.

6. 도포한 접착 증강제의 표면이 손으로 만졌을 때 끈적거리면 탄성콘크리트를 혼련하여 거푸집내로 타설하는 공정.(f)6. The process of kneading the elastic concrete when the surface of the applied adhesion enhancer is touched by hand and pouring it into the mold (f)

7. 타설된 탄성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실란트를 상부 표면까지 도포하는 공정.(g)7. After curing of the poured elastic concrete, the mold is removed and the sealant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G)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결착부재를 설치하는 공정(e)은 거푸집 설치 전에 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step (e) of installing the binding memb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mold is installed,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신축이음부위에 형성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etch joint region using the elastic concrete. More specifically,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란트(20)와 탄성콘크리트(10)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이음부위(A1)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와 상기 탄성콘크리트(10) 상부에 타설되는 실란트(20), 하부 콘크리트(UC)에 고정되되,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여 탄성콘크??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착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lastic joint 10 employing the sealant 20 and the elastic concre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elastic concrete 10 placed on the expansion joint A1, A sealant 20 placed on the upper concrete 10 and a binding member 30 fixed to the lower concrete UC and positioned within the elastic concrete 10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of the elastic concrete.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신축 이음구조(A)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신축 이움구조의 문제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FIGS. 4 and 5 illustrate a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structure A.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신축이음부위에 탄성력이 강한 탄성콘크리트(10)를 타설하고,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앙에 흡음재(11)를 삽입하여 수축 및 팽창에 대비하였다.As shown in Fig. 4A, conventionally, an elastic concrete 10 having a high elastic force is laid at a stretch joint portion,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to prepare for shrinkage and expansion Respectively.

그러나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콘크리트(10)와 접하는 아스콘이 잦은 수축 및 팽창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어 균열이 발생하는 등 취약부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there is a problem that a weak portion such as a crack is generated due to a decrease in strength due to frequent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asc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concrete 10.

또한 도 5[A]와 같이, 신축 이음부위(A1)에 아스콘과 실란트(20)의 혼합도료를 타설한 후, 그 상부에 실란트(20)를 도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 또한 외부 충격 및 수축과 팽창을 상기 혼합도료가 흡수하지 못하여 실란트(20)에 전달하고, 실란트(20)는 그 충격에 의해 도 5[B]와 같이 깎여 나가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5A, a mixed paint of an ascon and a sealant 20 is applied to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and then a sealant 20 is applied on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However, The shrinkage and expansion are not absorbed by the mixed paint and are transferred to the sealant 20. The sealant 20 is shaved by the impact as shown in Fig. 5 [B], and cracks are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콘크리트(10)를 사용하여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결착부재(30)를 구비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the elastic concrete 10 to cope with shrinkage and expansion and to provide a separate fixing member 30 for firm fixing. .

먼저, 본 발명의 결착부재(30)는 하기에 2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First, the binding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two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의 탄성콘크리트(10)는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탄성 우레탄 수지 18~22 중량% 및 충진재 78~8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폴리올은 피마자유 29~35 중량%, 대두유 16~19 중량%, 코코넛산 9~12 중량%, 검 로진 9~1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5~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3.0 중량%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elastic concre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8 to 22% by weight of an elastic urethane resin and 78 to 82% by weight of a filler, which contains a subject containing a natural polyol and a curing agent, 29 to 35 wt.%, Soybean oil 16 to 19 wt.%, Coconut acid 9 to 12 wt.%, Gum rosin 9 to 11 wt.%, C12-14 alkyl glycidyl ether 25 to 27 wt. / RTI >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포함되는 탄성 우레탄 수지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있어서 결합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elastic urethane resin contained in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serves as a binder in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탄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 총 중량을 기준으로 18~22 중량%일 수 있다. 탄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1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탄성 회복력도 저하되며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콘크리트 성형이 어려워지며, 경화 상태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의 정도가 크게 나타난다.The content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may be 18 to 2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When the content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is less than 18% by weight, the fluidity is lowered, the workability is lower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lowered and the strength is not secured sufficiently. When the content exceeds 22% by weight, the fluidity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cured state, the degree of deformation becomes large.

탄성 우레탄 수지는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omeric urethane resin may comprise a base and a curing agent comprising a natural polyol.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천연 폴리올은 천연 재료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바이오 폴리올로서, 합성 폴리올 사용에 비하여 온실 가스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결합제이다. 천연 폴리올을 이루는 천연 재료로는 식물성 천연 수지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천연 수지는 글리세롤 1 분자에 3개의 지방산이 결합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다. 천연 폴리올은 분자량과 평균 하이드록실기 함유량에 따라 점도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즉, 높은 분자량과 하이드록실기 함유량을 갖는 폴리올일수록 점도가 더 높다.The natural polyol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bio-polyol produced from a natural material as a raw material, and is an environment-friendly binder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greenhouse gases as compared with the use of a synthetic polyol. Examples of the natural material constituting the natural polyol include a vegetable natural resin, and the natural resin is composed of triglyceride having three fatty acids bonded to one molecule of glycerol. The natural polyol has a difference in viscosity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verage hydroxyl group content. That is, a polyol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and a hydroxyl group content has a higher viscosity.

본 실시예에서, 천연 폴리올은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피마자유와 하이드록실기를 갖지 않는 대두유를 주원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tural polyol can be formed using castor oil having a hydroxyl group and soybean oil having no hydroxyl group as main ingredients.

피마자유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90%는 C12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리시놀산(ricinoleic acid)이다. 이와 같이 피마자유는 하이드록실기를 갖고 있으므로 직접 천연 폴리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더 많은 하이드록실기를 결합시켜 천연 폴리올로 이용될 수 있다.Ninety percent of the fatty acids that make up castor oil are ricinoleic acid with C12 and a carbon-carbon double bond hydroxyl group. Since castor oil has a hydroxyl group, it can be used directly as a natural polyol.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natural polyol by additionally bonding more hydroxyl groups.

대두유는 피마자유와 같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만 하이드록실기를 갖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대두유를 비롯한 식물성 수지는 천연 폴리올로 사용되기 위하여 하이드록실기를 결합시켜야 한다.Soybean oil has a carbon-carbon double bond such as castor oil, but does not have a hydroxyl group. Thus, vegetable resins, including soybean oil, must bind hydroxyl groups to be used as natural polyols.

피마자유 및 대두유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방산 탄소 체인에 하이드록실기를 결합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산화시키고, 에폭시화한 후, 무기산으로 개화 반응시킴으로써 천연 폴리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로 더 많은 하이드록실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bond a hydroxyl group to a fatty acid carbon chain by various methods for castor oil and soybean oil, for example, by oxidizing a carbon-carbon double bond, epoxidizing it, and then converting it into a natural polyol And more of the hydroxyl groups can be bonded to the alkyl glycidyl ether.

일 실시예에서, 천연 폴리올은 피마자유 29~35 중량%, 대두유 16~19 중량%, 코코넛산 9~12 중량%, 검 로진 9~1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5~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3.0 중량%를 이용하여, 이들 재료를 혼합 및 혼련시켜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 polyol comprises 29 to 35% by weight of castor oil, 16 to 19% by weight of soybean oil, 9 to 12% by weight of coconut acid, 9 to 11% by weight of gum rosin, By weight and 1.5 to 3.0% by weight of hydrogen peroxide, by mixing and kneading these materials.

상기 실시예에서 천연 폴리올 제조에 이용되는 각각의 구성성분 및 함량은 쳔연 폴리올의 물성 및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측면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In the above examples, the constituent components and the content of the polyol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natural polyol are set in consideration of maximizing physical properties and effects of the polyol.

천연 폴리올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공정 조건 및 환경 등을 고려하여 공지된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Specific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natural polyol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method among known methods consider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이와 같이 형성된 천연 폴리올을 이용하여 형성된 재료는 합성 폴리올을 이용하여 형성된 재료보다 반응성은 낮으나 열안정성과 내산화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이는, 천연 폴리올이 석유계 합성 폴리올에 비하여 탄화수소 함량이 높기 때문이다. 즉, 천연 폴리올은 탄화수소 함량이 높으므로 큰 분자량을 가질 수 있고, 분자량이 큰 경우 분자 안정성이 커질 수 있다.The material formed using the natural polyol thus formed has a lower reactivity than the material formed using the synthetic polyol, bu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oxidation resistance. This is because the natural polyol has a higher hydrocarbon content than the petroleum-based synthetic polyol. That is, the natural polyol has a high molecular weight because it has a high hydrocarbon content, and when the molecular weight is large, the molecular stability can be increased.

천연 폴리올은,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6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천연 폴리올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주제를 이루는 천연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적어 탄성이나 강도 등 물성 저하를 초래하며,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함량이 많아 강도가 저하되며 유동성이 증가하여 시공시 흐름이 발생한다.The natural poly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rom 60 to 6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 matter. When the content of the natural polyol is less than 6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natural polyol as a main component is small,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and strength. When the content of the natural polyol is more than 65% by weight, And flow occurs during construction.

일 실시예에서,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는, 가소제, 가교제, 경화 촉진제, 수분 흡수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ject comprising the natural polyol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sticizer, a crosslinking agent, a curing accelerator, a water absorbent and a colorant.

가소제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asticizer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and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옥틸아디페이트(DOA) 및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sticizer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octyl phthalate (DOP), dioctyl adipate (DOA), and tricresyl phosphate (TCP).

가소제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15 중량%일 수 있다. 가소제의 함량이 1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 우레탄 수지의 가소성 및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가 충분치 못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탄성 우레탄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The plasticizer content may be from 13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 including natural polyols. If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s less than 13%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lastic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may not be sufficient. If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exceeds 15% by weight, the properties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may be deteriorated.

가교제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있어서 가교 결합을 향상시켜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improves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by improving crosslinking.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가교제는 아지리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n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가교제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15 중량%일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이 1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 우레탄 수지의 점력이 낮아지게 되며, 양생이나 경화가 늦어지고 강도가 낮아지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 우레탄 수지의 점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혼합성이 낮아지며, 양생 및 경화 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된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from 13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natural polyol.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13%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is lowered and the curing or curing is delayed and the strength is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curing and curing speed is accelerat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경화 촉진제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의 경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The curing accelerator can further accelerate curing of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경화 촉진제는, 탄성콘크리트(10)의 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경화 촉진제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The curing accelerato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curing accelerators known in the art which can accelerate the curing of the elastic concrete 10.

경화 촉진제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일 수 있다.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콘크리트(10)의 경화 속도가 다소 늦어져 차량 통행 기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콘크리트(10)의 경화 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may be from 2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natural polyol. If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curing speed of the elastic concrete 10 may be somewhat delayed and the vehicle traveling time may be delay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5% by weight, the curing speed of the elastic concrete 10 is accelerated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수분 흡수제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있어서 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water absorbent can absorb and remove moisture in the natural polyol elastic concrete (10).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수분 흡수제는 탄성콘크리트(10)의 수분을 흡수 및 제거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수분흡수제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water absorbent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water absorbents known in the art capable of absorbing and removing moisture of the elastic concrete 10 and used.

수분 흡수제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2.0 중량%일 수 있다. 수분 흡수제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재료에 수분이 잔류하여 팽창하게 되어 부피와 강도 등을 적절하게 맞추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산 가격이 상승한다.The content of the water absorbent may be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s, including the natural polyol. When the content of the water absorbent is less than 1.0 wt%, moisture remains in the material and expands, making it difficult to suitably match the volume and strength, and when it exceeds 2.0 w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착색제는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원하는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The colorant can impart a desired color to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착색제는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orant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carbon black.

착색제의 함량은,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5.0 중량%일 수 있다. 착색제의 함량은 탄성콘크리트(10)의 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착색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색상이 기존 아스팔트와 차이가 있게 된다.The content of the colorant may be from 3.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natural polyol. Although the content of the colorant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lastic concrete 10, when the content of the colorant is out of the range, the color differs from the existing asphalt.

천연 폴리올을 이용한 주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톨루이딘 디이소시아네이트(TOD),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DI 또는 MDI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ing agent for curing the subject using the natural polyol may include an isocyanate curing agent. The isocyanate cur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luene diisocyanate (TDI), methyl diphenyl diisocyanate (MDI), naphthalene diisocyanate (NDI), toluidine diisocyanate (TOD),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xylene diisocya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preferably TDI or MDI. Specific examples may include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탄성 우레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는 65~75 중량%, 경화제는 25~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the subject containing natural polyo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65 to 75% by weight, and the cur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35% by weight.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의 함량이 65 중량% 미만이고, 경화제의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탄성콘크리트(10)의 강도가 저하되며,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의 함량이 75 중량%를 초과하고, 경화제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가 늦어지며 탄성콘크리트(10)에 존재하는 미반응 주제로 인하여 강도가 저하된다.When the content of the natural polyol-containing subject is less than 65%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hardening agent exceeds 35% by weight, the curing rate is somewhat faster and the strength of the elastic concrete 10 is lowered.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curing is delayed, and the strength is lowered due to the unreacted matters existing in the elastic concrete 10.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포함되는 충진재는 결합제인 탄성 우레탄 수지와 결합되는 골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ler contained in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can serve as an aggregate to be combined with the elastic urethane resin as a binder.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충진재는 백운사, 글라스 비드, 장석, 소석회 및 합성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used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lomite, glass beads, feldspar, slaked lime and synthetic zeolite.

일 실시예에서, 충진재는, 충진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47 중량%의 백운사, 35~40 중량%의 글라스 비드, 10~15 중량%의 장석, 4~6 중량%의 소석회 및 1~2 중량%의 합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ler compris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ler, 40-47 wt% dolomite, 35-40 wt% glass beads, 10-15 wt% feldspar, 4-6 wt% 2% by weight of synthetic zeolite.

본 실시예에 따른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는 이와 같이 특정하게 구성된 충진재를 이용함으로써 천연 폴리올을 이용하는 탄성 우레탄 수지의 탄성 복원력, 유동성 및 작업성을 유지 및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The natural polyol elastic concre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intain and optimiz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fluidity and workability of the elastic urethane resin using the natural polyol by using the filling material having such a specific constitution, .

예를 들어, 백운사 및 글라스 비드는 다른 무기 골재에 비하여 흡유율이 낮아 적절한 유동성 및 작업성 확보에 효과가 있다.For example, dolomite and glass beads have a lower absorption ratio than other inorganic aggregates and are effective in securing appropriate fluidit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는 유동성이 우수하여 시공되는 신축 이음 부위 등에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고, 경화된 후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의 부착성, 내충격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속경성이므로 교통 개방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있고, 우수한 탄성회복 성능 및 강도를 가지므로 온도 변화나 진동에 의한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fluidity and can be uniformly filled in a stretched joint portion to be applied, and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to concrete and asphalt, impac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Since it is fast-moving, the traffic opening can be accomplished within a short time, and since it has excellent elastic recovery performance and streng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amage due to temperature change or vibration.

일 실시예에서,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는 변형회복도가 70%이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may have a strain recovery of at least 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는 교량이나 지하 차도 등에 설치된 연결 장치를 고정하거나, 신축 이음부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분적 탈락 부위를 보수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fix a connecting device installed in a bridge or an underground driveway, or to repair a partially separated portion of an expansion joint or a concrete structure.

[실시예][Example]

1. 탄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1. Manufacture of elastic urethane resin

(1) 천연 폴리올 함유 주제의 제조(1) Production of natural polyol-containing subject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비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상기 (1)에서 제조된 천연 폴리올을 함유하는 주제를 제조하였다.The ingredients containing the natural polyols prepared in (1) above were prepared by mix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s shown in Table 1 below.

[표1][Table 1]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1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1

상기 표 1에서 이용된 각각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The respective components used in the above Table 1 are as follows.

- 천연 폴리올: 피마자유 34.6 중량%, 대두유 17.7 중량%, 코코넛산 10.1 중량%, 검 로진 9.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 중량%로 이루어진 천연 폴리올(직접 주문에 의해 공급처: S.E.A Chemical로부터 수입함)Natural polyol consisting of 34.6% by weight of castor oil, 17.7% by weight of soybean oil, 10.1% by weight of coconut acid, 9.1% by weight of gum rosin, 27% by weight of C12-14 alkyl glycidyl ether and 1.5% by weight of hydrogen peroxide By order Source: Imported from SEA Chemical)

- 가소제: 디옥틸 프탈레이트(DOP)(공급처: 대진케미칼(주))- Plasticizer: Dioctyl phthalate (DOP) (supplied by Daejin Chemical Co., Ltd.)

- 가교제: Crosslinker CL-427(제조사 Menadiona)- Crosslinker: Crosslinker CL-427 (Manufactured by Menadiona)

- 경화 촉진제: Conacure AH-40(공급처: CYTEC), Baytec 1604(공급처: Beyond Industries Limited)- Curing accelerator: Conacure AH-40 (supplied by CYTEC), Baytec 1604 (supplied by Beyond Industries Limited)

- 수분 흡수제: ZOLDIN MS-PLUS(공급처: ANGUS Chemical)- Water absorbent: ZOLDIN MS-PLUS (supplied by ANGUS Chemical)

- 착색제: 카본블랙(공급처: 태성안료)- Colorant: Carbon black (supplier pigment)

(2) 탄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2) Production of elastic urethane resin

상기 (1)에서 제조된 천연 폴리올 함유 주제 68.4 중량% 및 경화제 31.6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탄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경화제로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제조사 BASF)를 사용하였다.An elastic urethane resin was prepared by mixing 68.4% by weight of the natural polyol-containing subject prepared in (1) above and 31.6%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s the hardener,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manufactured by BASF) was used.

2. 충진재 제조2. Manufacture of Filling Materials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비에 따라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충진재를 제조하였다.The filler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s shown in Table 2 below.

[표2][Table 2]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2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2

상기 표 2에서 이용된 각각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used in Table 2 is as follows.

- 백운사: #4호사, #5호사(공급처: 진성소재)- Baekunsa: # 4 company, # 5 company (source: Jinseong material)

- 글라스 비드: 직경 1.2 mm 이하(공급처: (주)바이넥스)- Glass bead: 1.2 mm or less in diameter (BINEX Co., Ltd.)

- 장석: #200 메시(공급처: 조은소재)- Feldspar: # 200 mesh (supplied by Joe Eun)

- 소석회: 소석회 1급(공급처: 충무화학)- Thin lime: Thin lime grade 1 (supplier: Chungmoo Chemical)

- 합성 제올라이트: JST-MSP(공급처: (주)지심테크)- Synthetic zeolite: JST-MSP (available from Jisim Tech Co., Ltd.)

3.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 제조3. Manufacture of Natural Polyol Elastic Concrete (10)

상기 1에서 제조된 탄성 우레탄 수지 및 상기 2에서 제조된 충진재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비에 따라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를 제조하였다.The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elastic urethane resin prepared in 1 above and the filler prepared in 2 above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s shown in Table 3 below.

[표3][Table 3]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3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3

4. 천연 폴리올 탄성콘크리트(10)에 대한 물성 시험4. Physical properties test for natural polyol elastomeric concrete (10)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의 물성 평가를 위하여 하기 시험들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natural polyol-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10)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prepared above.

(1) 시험방법(1) Test method

1) 압축강도1) Compressive strength

4 ㎝ ㅧ 4 ㎝ ㅧ 16 ㎝ 몰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로 시편을 제작하고, 23℃에서 양생한 후 재령 5시간 및 3일째에 KSF 4042(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에 의해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The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the natural polyol-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10)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by using 4 cm, 4 cm and 16 cm molds, cured at 23 ° C, And on the third day,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by KSF 4042 (polymer mortar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2) 변형회복도2) Deformation recovery

4 ㎝ ㅧ 4 ㎝ ㅧ 16 ㎝ 몰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로 시편을 제작하고, 23℃에서 양생한 후 재령 3일째에 KSF 4042(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에 압축강도 측정을 위해 가해진 하중값의 변화가 없는 지점에서 하중을 제거하고, 시편의 변형이 안정된 후 변형된 높이를 측정하였다. 변형회복도는 하기 식에 따라 구하였다. 하기 식에서 초기 시편의 높이는 4 cm이다.A specimen was prepared from the natural polyol-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10)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by using a 4 cm, 4 cm and 16 cm mold, cured at 23 ° C, The load was removed at KSF 4042 (polymer mortar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 at the point where there was no change in the load value for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deformation height of the specimen after the deformation was stabilized was measured. Deformation recovery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In the following equation, the height of the initial specimen is 4 cm.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4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4

3) 유동성3) Liquidity

평평한 유리판상에서, 도 2a와 같은 직경 30 mm, 높이 50 mm의 원형통 몰드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를 채우고, 원형통 몰드를 위로 들어 제거한 후, 탄성콘크리트(10)가 자연적으로 퍼지게 되면, 퍼진 형태의 너비를 측정하였다.On the flat glass plate, the natural polyol organic-in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10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filled in a circular mold having a diameter of 30 mm and a height of 50 mm as shown in Fig. 2A, After removal, the elastic concrete 10 was naturally spread, and the width of the spread type was measured.

4) 골재의 분리4) Separation of aggregate

압축강도 측정 및 변형회복 시험을 완료한 시료를 횡단면 방향으로 절단하여 페이스트와 골재의 분리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and the deformation recovery test, the sample wa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property between the paste and the aggregate was visually observed.

5) 응결시간5) Coagulation time

응결시험은 KSL 5207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상부 직경 75ㅁ3 mm, 하부직경 85ㅁ3 mm, 높이 40ㅁ0.5 mm의 몰드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를 주입한 후 종결침을 낙하시켰다. 탄성콘크리트(10) 표면에 종결침을 낙하시켜도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표면에 흔적이 남지 않는 시간을 응결시간으로 결정하였다. The coagulation tes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KSL 5207. In the molds having an upper diameter of 75 mm 3 mm, a lower diameter of 85 mm 3 mm and a height of 40 mm 0.5 mm, the natural polyol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fter the elastic concrete 10 was injected, the final needles were dropped. The time for which no traces were left on the surfac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astic concrete (10) even after the drop was dropped was determined as the setting time.

(2) 시험결과(2) Test results

하기 표 4 및 도 6 내지 도 8에 각각의 시험결과를 나타낸다.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nd Figs. 6 to 8, respectively.

[표4][Table 4]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5
Figure 112018020029466-pat00005

도 6a는 압축강도 및 변형회복도 시험에 있어서 하중을 받은 부위에 발생한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후, 하중을 제거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의 천연 폴리올 유무기 복합 탄성콘크리트(10)는 탄성력에 의해 변형이 회복되었으며, 도 6b는 원형 표시선 내에 변형이 회복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하중을 받은 부위가 변형 후 회복되지 못하고 파손되었다.FIG. 6A is a photograph showing deformation occurring in a region subjected to a load i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eformation recovery test. FIG. Then, when the load was removed, the natural polyol-organic-in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10 of Examples 1 to 3 wa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and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was restored in the circular display lin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portion subjected to the load was not recovered after the deformation and was broken.

도 7a는 유동성 측정에 사용된 직경 30 mm, 높이 50 mm의 원형통 몰드를 나타내며, 도 7b는 몰드를 위로 들어 제거한 경우, 이 몰드에 주입된 직경 30 mm의 탄성콘크리트(10)가 수평으로 퍼져 직경이 증가한 형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직경이 80 mm 이상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유동성 증가가 크지 않았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유동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성형이 어려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7A shows a circular mold having a diameter of 30 mm and a height of 50 mm used for fluidity measurement. Fig. 7B shows that when the mold is lifted up, the elastic concrete 10 having a diameter of 30 mm injected into the mold spreads horizontally And the diameter increases. In Examples 1 to 3, the diameter greatly increased to 80 mm or more,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increase in fluidity was not greater than in Examples 1 to 3, and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fluidity was excessively increased, .

도 8은 압축강도 측정 및 변형회복 시험을 완료한 시료를 횡단면 방향으로 절단하여 페이스트와 골재의 분리 성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골재가 분리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8 is a photograph of the sample after completion of the compression strength measurement and deformation recovery test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and observing the separation property between the paste and the aggregate. In Examples 1 to 3, it can be seen that the aggregates are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being separated.

다시 본 발명은 결착부재(30)를 더 구비함으로서 탄성콘크리트(10)의 결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inding member (30), so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elastic concrete (10)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결착부재(30)는 2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The binding member 30 may be composed of two embodiments, and each of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제1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재(30)는 상기 하부 콘크리트(UC)에 결합되는 앙카부재(31)와, 상기 앙카부재(31)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는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binding member 30 includes an anchor member 31 coupled to the lower concrete UC, and an anchor member 31 coupled to the anchor member 31, And a fixing plate (32) located in the concrete (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을 기준으로, 상기 앙카부재(31)는 상기 중심(AM)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UC)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anchor members 3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M,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center A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AM of the expansion joint A1. So as to be positioned within the elastic concrete (10).

또한 이 앙카부재(31)에는 고정판(32)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판(32)은 사각의 판 형상으로, 상기 앙카부재(31)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공(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판(32)은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 콘크리트(U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anchor member 31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32. The fixing plate 3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coupling hole 325 through which the anchor member 31 can be coupled, The fixing plate 32 is located in the elastic concrete 10 so as to be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oncrete UC.

나아가 상기 고정판(32)은 탄성콘크리트(10)와의 결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통공(324)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plate 32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4 to further improve the binding force with the elastic concrete 10.

나아가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에는 상기 하부 콘크리트(UC)부터 탄성콘크리트(10)가 타설되는 높이까지 흡음재(1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a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AM of the expansion joint A1 to a height at which the elastic concrete 10 is poured from the lower concrete UC.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시공순서는 상기 흡음재(11)를 삽입하고, 상기 하부 콘크리트(UC)에 결착부재(30)를 고정시킨 후, 상기 탄성콘크리트(10)와 실란트(20)를 순서대로 타설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sound-absorbing material 11, fixing the binding member 30 to the lower concrete UC, inserting the elastic concrete 10 and the sealant 20 in order . ≪ / RTI >

도 3은 상기 결착부재(3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UC)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21)와, 상기 밀착부(321)에서 상향 절곡된 절곡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서로 대향되게 이격부(323)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이 이격부(323)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유공관(3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binding member 30. The fixing plate 32 includes a tight contact portion 321 closel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UC, And the bent plate 322 is formed to form the spacing portions 323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xis AM of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 And the separation part (323) is provided with a spiral pipe (34).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을 기준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의 고정판(32)과는 달리 상기 하부 콘크리트(UC)에 밀착되는 밀착부(321)가 형성되고, 이 밀착부(321)로부터 상향 절곡된 절곡부(322)로 이루어져 있으며,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late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in a shap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M of the stretch joint A1. Unlike the fixing plate 32 of the first embodiment, UC and is formed of a bent portion 322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321,

상기 고정판(32)이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으로부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판(32)의 절곡부(322)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이 절곡부(322)들 사이에 이격부(323)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plates 3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M of the stretch joint A1 so that the bent portions 322 of the pair of fixing plates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pacing portion 323 can be formed between the two spacers 322.

또한 상기 앙카부재(31)는 상기 밀착부(321)에 구비되어 하부 콘크리트(UC)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32)을 상기 하부 콘크리트(UC) 상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anchor member 31 is fixed to the lower concrete UC provided on the tightening portion 321 and is capable of fixing the fixing plate 3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UC.

나아가 흡음재(11)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유공관(34) 상부에 위치하여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을 기준으로 양측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흡음재(11)의 상면은 상기 탄성콘크리트(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provided at the center AM of the expansion joint A1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s located above the oil pipe 34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xpansion joint A1 AM, the upper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concrete 10.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유공관(34)이 더 구비되어 지하수의 유입으로 균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prevent the generation of cracks due to the inflow of the groundwater,

상기 유공관(34)은 상기 이격부(32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나선형의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perforated pipe (34) is provided in the spacing part (323) and is formed of a helical cylindrical pipe.

즉, 상기 유공관(34)은 스프링과 유사한 형상의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가 하나의 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파이프 사이사이에 틈새가 형성됨에 따라 올라오는 지하수가 상기 틈새를 통해 유공관(34) 내부로 유입되면 유공관(34)을 따라 일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에 타설되는 실란트(20)로 지하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균열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pipe (34) is formed such that a pipe having a spiral shape similar to a spring forms one pipe. Ground water rising along the gap is formed inside the pipe (34) through the gap It can be discharg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perforated pipe 34 so that the groundwater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ealant 20 placed on the upper part, thereby preventing cracks from being generated.

나아가 상기 고정판(32)에는 복수개의 통공(324)이 더 구비되어 결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fixing plate 32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4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구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alterations,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신축 이음구조 UC : 하부 콘크리트
A1 : 신축 이음부위 AM : 이음부위의 중심
10 : 탄성 콘크리트 11 : 흡음재
20 : 실란트 30 : 결착부재
31 : 앙카부재 32 : 고정판
325 : 결합공
321 : 밀착부 322 : 절곡부
323 : 이격부 324 : 통공
34 : 유공관
A: Expansion joint structure UC: Lower concrete
A1: stretch joint AM: center of joint
10: elastic concrete 11: sound absorbing material
20: sealant 30: binding member
31: anchor member 32: fixed plate
325: Coupling ball
321: tight contact portion 322:
323: separation part 324: through hole
34:

Claims (4)

신축 이음부위(A1) 주변의 면을 절단하는 공정;
절단 부위를 파쇄하여 신축 이음부위(A1)를 형성하는 공정;
신축 이음부위(A1)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정;
신축 이음부위(A1)에서 이물질 또는 수분을 제거하고, 절단면에 접착 증강제를 도포하는 공정;
신축 이음부위(A1)에 결착부재(30)를 설치하는 공정;
신축 이음부위(A1)에 탄성콘크리트(10)를 타설하는 공정; 및
탄성콘크리트(10) 상부에 실란트(20)를 도포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에 설치되는 결착부재(30)는
하부 콘크리트(UC)에 결합되는 앙카부재(31)와, 상기 앙카부재(31)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는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2)에는 복수개의 통공(324)이 형성되며,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에는 흡음재(11)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재(30)의 고정판(32)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UC)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21)와, 상기 밀착부(321)에서 상향 절곡된 절곡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서로 대향되게 이격부(323)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격부(323)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유공관(34)이 더 구비되되,
상기 흡음재(11)는 상기 유공관(34) 상부에 위치하되, 상면이 상기 탄성콘크리트(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콘크리트(10)는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탄성 우레탄 수지 18~22 중량% 및
충진재 78~82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폴리올은 피마자유 29~35 중량%, 대두유 16~19 중량%, 코코넛산 9~12 중량%, 검 로진 9~1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5~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3.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재는, 상기 충진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47 중량%의 백운사, 35~40 중량%의 글라스 비드, 10~15 중량%의 장석, 4~6 중량%의 소석회 및 1~2 중량%의 합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이음공법.
A step of cutting the surface around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Crushing the cut portion to form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A step of installing a mold in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Removing foreign matter or moisture from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and applying an adhesion enhancer to the cut surface;
Providing a binding member (30) to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Placing the elastic concrete (10) on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And
Applying a sealant (20) on the elastic concrete (10);
, ≪ / RTI >

The fastening member 30 provided at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An anchor member 31 coupled to the lower concrete UC and a fixing plate 32 coupled to the anchor member 31 and positioned in the elastic concrete 1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4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32,
A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further provided at a center (AM) of the expansion joint (A1)
The fixing plate (32) of the binding member (30)
A tight contact portion 3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UC and a bent portion 322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321,
The fixing plate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to form a spacing portion 323 facing each other,
The spacing portion 323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ral pipe tube 34,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pe tube 34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concrete 10,
The elastic concrete (10)
18-22% by weight of an elastomeric urethane resin, comprising a subject comprising a natural polyol, and a curing agent; and
78 to 82% by weight filler material,
Wherein the natural polyol comprises 29 to 35% by weight of castor oil, 16 to 19% by weight of soybean oil, 9 to 12% by weight of coconut acid, 9 to 11% by weight of gum rosin, 25 to 27% by weight of C12-14 alkyl glycidyl ether, 1.5 to 3.0% by weight,
Wherein the fill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0 to 47 wt.% Dolomite, 35 to 40 wt.% Glass beads, 10 to 15 wt.% Feldspar, 4 to 6 wt.% Slaked lime and 1 to 2 wt. Zeolite.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신축 이음부위(A1)에 타설되는 탄성콘크리트(10);
상기 탄성콘크리트(10) 상부에 타설되는 실란트(20);
하부 콘크리트(UC)에 고정되되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여 탄성콘크리트(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착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부재(30)는
하부 콘크리트(UC)에 결합되는 앙카부재(31)와, 상기 앙카부재(31)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콘크리트(10) 내에 위치하는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2)에는 복수개의 통공(324)이 형성되며,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AM)에는 흡음재(11)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재(30)의 고정판(32)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UC)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21)와, 상기 밀착부(321)에서 상향 절곡된 절곡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신축 이음부위(A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서로 대향되게 이격부(323)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격부(323)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유공관(34)이 더 구비되되,
상기 흡음재(11)는 상기 유공관(34) 상부에 위치하되, 상면이 상기 탄성콘크리트(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콘크리트(10)는
천연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탄성 우레탄 수지 18~22 중량% 및
충진재 78~82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폴리올은 피마자유 29~35 중량%, 대두유 16~19 중량%, 코코넛산 9~12 중량%, 검 로진 9~11 중량, C12-14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25~27 중량% 및 과산화수소수 1.5~3.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재는, 상기 충진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47 중량%의 백운사, 35~40 중량%의 글라스 비드, 10~15 중량%의 장석, 4~6 중량%의 소석회 및 1~2 중량%의 합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와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구조.
Elastic concrete (10) poured into the expansion joint (A1);
A sealant 20 placed on the elastic concrete 10;
And a binding member (30) fixed to the lower concrete (UC) and positioned within the elastic concrete (10)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the elastic concrete (10)
The binding member (30)
An anchor member 31 coupled to the lower concrete UC and a fixing plate 32 coupled to the anchor member 31 and positioned in the elastic concrete 1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4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32,
A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further provided at a center (AM) of the expansion joint (A1)
The fixing plate (32) of the binding member (30)
A tight contact portion 3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UC and a bent portion 322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321,
The fixing plate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tretch joint portion A1 to form a spacing portion 323 facing each other,
The spacing portion 323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ral pipe tube 34,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pe tube 34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concrete 10,
The elastic concrete (10)
18-22% by weight of an elastomeric urethane resin, comprising a subject comprising a natural polyol, and a curing agent; and
78 to 82% by weight filler material,
Wherein the natural polyol comprises 29 to 35% by weight of castor oil, 16 to 19% by weight of soybean oil, 9 to 12% by weight of coconut acid, 9 to 11% by weight of gum rosin, 25 to 27% by weight of C12-14 alkyl glycidyl ether, 1.5 to 3.0% by weight,
Wherein the fill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0 to 47 wt.% Dolomite, 35 to 40 wt.% Glass beads, 10 to 15 wt.% Feldspar, 4 to 6 wt.% Slaked lime and 1 to 2 wt. And a synthetic zeolite. The elastic joint structure using the sealant and the elastic concrete.
삭제delete
KR1020180023464A 2018-02-27 2018-02-27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48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64A KR101948770B1 (en) 2018-02-27 2018-02-27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64A KR101948770B1 (en) 2018-02-27 2018-02-27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70B1 true KR101948770B1 (en) 2019-02-15

Family

ID=6536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464A KR101948770B1 (en) 2018-02-27 2018-02-27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81B1 (en) * 2020-12-14 2021-12-10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57896B1 (en) * 2022-03-28 2022-10-25 김창겸 Composition and that using construction method for elastic concr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087B1 (en) * 2011-05-17 2011-12-19 (주)인송건설 Method of repair work on road and bridge deck flexible joints
KR101157063B1 (en) * 2012-01-12 2012-06-21 한국토지주택공사 Flexible jointing structure of road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flexible jointing structure
JP2015224478A (en) * 2014-05-28 2015-12-14 山内 重一 Abutted-type expansion/contraction device for road bridge, and construction and repair methods therefor
KR101578546B1 (en) * 2015-02-10 2015-12-18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Expansion joint device using fixed type anchor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087B1 (en) * 2011-05-17 2011-12-19 (주)인송건설 Method of repair work on road and bridge deck flexible joints
KR101157063B1 (en) * 2012-01-12 2012-06-21 한국토지주택공사 Flexible jointing structure of road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flexible jointing structure
JP2015224478A (en) * 2014-05-28 2015-12-14 山内 重一 Abutted-type expansion/contraction device for road bridge, and construction and repair methods therefor
KR101578546B1 (en) * 2015-02-10 2015-12-18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Expansion joint device using fixed type anchor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81B1 (en) * 2020-12-14 2021-12-10 주식회사 우진이엔씨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57896B1 (en) * 2022-03-28 2022-10-25 김창겸 Composition and that using construction method for elastic concr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447B1 (en) Retrofitted Aseismic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Hall et al. Soil stabilisation and earth construction: materials, properties and techniques
KR100655227B1 (en) Polyurethane resin mortar and method for applying the same
KR102119728B1 (en) Latex Modified Waterproof Asphalt Concrete Compositions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KR101948770B1 (en)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56233B1 (en) Moltar composition of polyurea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working the same
US20140242330A1 (en) Irregularly formed waterproof panel having hollow protrusion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construction using same
WO2014209000A1 (en) Method for repairing damaged part of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road
KR101778210B1 (en)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elastic polymer concrete joint
KR101135018B1 (en) A Composition of Reinforcement Mortar Having Quick-hardening and Lightweight
CN108486963B (en) Ballastless track waterproof roadbed bed structure and paving method thereof
CN112980177B (en) Waterproof vibration isolation microporous elastomer material for high-speed rail roadbed and structure of waterproof vibration isolation microporous elastomer material
KR101322760B1 (en) Composition for repairing roa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119756B1 (en) Asphalt Waterproof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Styrene Isoprene Styrene, 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and Aggregate-powder of Improved Grain Size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KR101479531B1 (en) Solid Composite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dhesiveness Waterproof Materials and Thermoplasticity Plastics Panel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KR101746409B1 (en) Expansion joint using hybrid elasticity polymer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37881B1 (en)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60016438A (en) High-speed dry type of repair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KR101906387B1 (en)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oft Ground and Restoring Disparity Sinking Construction Comprising Urethane for Solidifying Ground and complex Construction Methods Using aforesaid Composition and Cement grouting
KR102258767B1 (en) Joint Injection Compositions for Concrete of Road Having Stylene Isoprene Stylene, Stylene Butadien Stylene, and Petroleum Resin Added Hydrogen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KR101876549B1 (en) Fiber reinforcement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nd mathod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JP6082207B2 (en) Lightweight concrete slab
KR101838528B1 (en) Natural polyol-organic/inorganic hybrid composite concrete with excellent elasticity and durability used in joint gap (asphalt, concrete)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 the same
KR102467570B1 (en) Concrete structure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poxy injection and backside water barrier
KR102119732B1 (en) Modified-Asphalt Concrete Compositions for Pavement of Roads Using Styrene Isoprene Styrene, 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and Aggregate-powder of Improved Grain Size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