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589B1 -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589B1
KR101948589B1 KR1020180097182A KR20180097182A KR101948589B1 KR 101948589 B1 KR101948589 B1 KR 101948589B1 KR 1020180097182 A KR1020180097182 A KR 1020180097182A KR 20180097182 A KR20180097182 A KR 20180097182A KR 101948589 B1 KR101948589 B1 KR 10194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information
shop
fre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정용재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8009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기업으로부터 기업 정보 및 입점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 평가하고, 상기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성 평가하는 입점 요건 검증 모듈; 상기 정량 평가 및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 및 상기 제품이 충족하지 못한 입점 요건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공하는 결과 분석 모듈; 상기 제공된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입점 가능성이 높은 면세점을 선정하는 면세점 매칭 모듈; 상기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의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의 입점을 위한 사전 평가를 수행하는 사전 평가 수행 모듈; 상기 정량 평가의 결과,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 및 상기 사전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보완된 제품 정보 및 기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상기 제품의 입점을 신청하는 입점 신청 모듈; 상기 제품이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최종 입점되면, 상기 제품이 해당 면세점의 입점 요건을 갖췄음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서에 보안 알고리즘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서 발급 모듈; 및 상기 업체 또는 면세점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서를 조회하여 출력하는 인증서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ND AUTHENTICATING ENTRY REQUIREMENT OF DUTY FREE SHOP BASED ON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 1위의 한국 면세점 사업은 입점만으로 해당 제품을 해외 고객으로 하여금 럭셔리한 상품으로 인지하게 하는 부가 가치 창출 사업이다.
하지만, 입점을 희망하는 기업 측면에서, 한국 면세점에 입점하기까지는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여 최소 10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면세점별 입점 조건이 제각각이므로 면세점마다 별개의 입점 절차를 거쳐야 하며, 면세점 담당자의 주관적 평가에 의해 입점 허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절차의 공정성을 신뢰하기 힘들어, 면세점 입점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나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기업은 입점에 대한 자문을 구할 공식 업체도 전무한 상황으로 도움을 청할 곳이 없고, 이러한 상황에서 심지어는 면세점 입점을 알선하는 브로커에 의한 사기까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면세점 입장에서는, 판매 면적의 20퍼센트를 국산품으로 구성해야하므로 여러 국내 업체와 접촉을 해야하는데, 국내 업체들은 면세점 유통 지식이 전무하고, 현재 대부분의 면세점은 입점 업체 발굴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면세점의 면세점 담당자 한명이 하루 100여건의 입점 관련 문의를 받고 있어 면세점 담당자당 업무 강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세계 면세 시장의 규모는 1985년 60억 달러에서 2015년 620억 달러로 933% 성장하였고, 한국 면세 시장의 규모는 2017년 14조원으로 전년 대비 18% 성장하였으며, 2위 중국과 약 10조원 이상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한국 면세 시장의 2017년 매출 14조원 중 국산 중소·중견 제품의 매출은 약 2조 5천억원으로 면세점 입점은 곧 브랜드의 가치 상승과 수익의 극대화, 해외 시장 진출을 할 수 있는 필수 관문으로서 국내 수많은 중소기업이 면세점에 입점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5257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세점 입점에 필요한 정량 평가 데이터 및 정성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세점 입점 여부에 대한 평가 및 컨설팅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직/현직 면세점 담당자가 직접 기업의 브랜드 및 제품을 평가함으로써 평가의 전문성이 높고, 전직/현직 면세점 담당자를 비식별화하여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그들의 영업 노하우를 보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기업 정보 데이터, 기업의 제품 정보 데이터 및 기업의 인증 이력 정보를 통해 면세점별로 필요한 브랜드 및 제품을 추천하여 기업과 면세점간 연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제품의 입점 이력 정보를 면세점 담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중복 심사를 억제하고 면세점 담당자의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세점별 상이한 입점 절차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입점을 희망하는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입점 과정의 투명성, 간소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세점 입점 여부에 대한 평가의 자동화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기업 정보/면세점 정보의 활용을 통해 입점 심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기업으로부터 기업 정보 및 입점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 평가하고, 상기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성 평가하는 입점 요건 검증 모듈; 상기 정량 평가 및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 및 상기 제품이 충족하지 못한 입점 요건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공하는 결과 분석 모듈; 상기 제공된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입점 가능성이 높은 면세점을 선정하는 면세점 매칭 모듈; 상기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의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의 입점을 위한 사전 평가를 수행하는 사전 평가 수행 모듈; 상기 정량 평가의 결과,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 및 상기 사전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보완된 제품 정보 및 기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상기 제품의 입점을 신청하는 입점 신청 모듈; 상기 제품이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최종 입점되면, 상기 제품이 해당 면세점의 입점 요건을 갖췄음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서에 보안 알고리즘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서 발급 모듈; 및/또는 상기 업체 또는 면세점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서를 조회하여 출력하는 인증서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증서에 포함된 워터마크, 보안 등급 및 출력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서 정보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 담당자의 전문 분야, 경력, 나이, 신용, 부서, 직책, 성향, 이력, 경험, 담당하는 품목, 컨설팅 참여도 및 입점 성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분류된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및 상기 수집된 상세 정보를 면세점 담당자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은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및 면세점 담당자가 담당하는 품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 정보, 기업의 제품 정보 및 기업의 인증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성 평가에 관여하는 면세점 담당자를 식별할 수 없도록 면세점 담당자의 개인 정보를 다른 값으로 변환하는 면세점 담당자 비식별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면세점 정보 관리 모듈; 및/또는 상기 수집된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및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면세점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 상기 기업의 제품 정보 및 상기 기업이 보유한 인증서를 해당 면세점에 제공하는 기업 매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세점 입점에 필요한 정량 평가 데이터 및 정성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세점 입점 여부에 대한 평가 및 컨설팅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직/현직 면세점 담당자가 직접 기업의 브랜드 및 제품을 평가함으로써 평가의 전문성이 높고, 전직/현직 면세점 담당자를 비식별화하여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그들의 영업 노하우를 보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기업 정보 데이터, 기업의 제품 정보 데이터 및 기업의 인증 이력 정보를 통해 면세점별로 필요한 브랜드 및 제품을 추천하여 기업과 면세점간 연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제품의 입점 이력 정보를 면세점 담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중복 심사를 억제하고 면세점 담당자의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세점별 상이한 입점 절차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입점을 희망하는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입점 과정의 투명성, 간소성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세점 입점 여부에 대한 평가의 자동화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기업 정보/면세점 정보의 활용을 통해 입점 심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따른 전반적인 인증 및 관리 절차와 제공 가능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점 요건 검증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서 생성 모듈 및 인증서 발급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매칭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복수의 면세점(1010)으로부터 면세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기업(1030)으로부터 기업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해당 기업에 적합한 면세점을 추천하거나, 해당 면세점에 적합한 기업을 추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기업(1030)으로부터 기업 정보, 기업의 제품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기업 및 해당 기업의 제품의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기업으로 받은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기업의 제품이 해당 면세점에 입점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1차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검증의 결과를 기업에 제공할 수 있고, 입점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을 거쳐, 해당 기업이 1차 검증을 통과한 경우,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해당 기업의 제품이 입점 요건을 갖췄음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그리고,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는 인증서 발급 뒤에, 2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업은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기업 정보 등을 입력하여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인증서를 발급받고, 면세점 또는 면세점 담당자는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 정보(인증서 보유 여부) 등을 조회하여 원하는 업체와 컨텍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면세점 담당자별로 매번 인증 과정을 거쳐야만 해당 면세점에 입점할 수 있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도면의 인증시스템)에는 기업, 시스템 관리자(관리자) 및/또는 면세점 담당자(면세점 MD)가 그들의 단말기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접속하여, 기업 정보, 제품 정보 및/또는 면세점의 특성 정보 등을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기업의 입점을 희망하는 제품에 대하여 면세점별 입점 자격을 검증할 수 있다. 이 때, 1차 제품 체크 리스트가 이용되는데 이는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결과는 반려, 취소, 합격으로 표시될 수 있고, 입점 가능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1차 현장 평가 및 2차 관리자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입점 평가의 결과, 입점 진행 절차에 대한 내용 및/또는 입점을 위한 극복 방안에 대한 내용을 해당 기업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나아가,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인증서 또는 인증마크 발급 기능, 면세점 담당자 관리 기능 및/또는 면세점 입점 컨설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기업 정보 수집 모듈(4010), 데이터베이스(4020),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 결과 분석 모듈(4040), 면세점 매칭 모듈(4050), 사전 평가 수행 모듈(4060), 입점 신청 모듈(4070), 인증서 발급 모듈(4080) 및/또는 인증서 출력 모듈(409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20)는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또는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는 각 면세점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고,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는 각 면세점 담당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정보들을 면세점별 및/또는 면세점 담당자별로 조회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기업 정보 수집 모듈(4010)은 면세점 입점을 희망하는 기업으로부터 기업 담당자의 단말기를 통해 기업 정보 및/또는 입점을 희망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기업 정보는 해당 기업의 업력, 매출, 신용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 정보 수집 모듈은 복수의 기업으로부터 기업 정보 및/또는 제품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기업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은 데이터베이스(4020)에 저장된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입점 체크 리스트)를 기준으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기업 정보 및/또는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기업 또는 해당 기업의 제품이 해당 면세점의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면세점별로 입점 기준 정보가 다를 수 있으므로, 면세점별로 정량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는 신청 기업의 업력, 매출, 신용도 평가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입점 요건 검증 모듈은 다른 기준 정보들 보다, 신청 기업의 업력, 매출 및/또는 신용도 정보를 우선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나아가,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는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품목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은 데이터베이스(4020)에 저장된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를 기준으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기업 정보 및/또는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기업 또는 해당 기업의 제품이 해당 면세점의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은 인증 심사 대상인 기업과 면세점 담당자를 매칭시킬 수 있고, 면세점 담당자는 해당 기업에 대하여 본인의 입점 기준을 토대로 해당 면세점의 입점 가부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결과 분석 모듈(4040)은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에 의해 수행된 정량 평가 및/또는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해당 기업의 제품의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백분율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결과 분석 모듈은 해당 제품이 충족하지 못한 요건에 대한 극복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과 분석 모듈은 평가 결과 미흡한 부분의 해결을 위해, 면세점 담당자 또는 전문 인력을 해당 기업과 연결시켜, 현장 방문을 통해 컨설팅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면세점 매칭 모듈(4050)은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에 의해 수행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여러 면세점 중 해당 기업의 제품이 입점할 가능성이 높은 면세점을 선정할 수 있다. 즉, 면세점 매칭 모듈은 해당 기업의 제품에 적합한 면세점을 선정할 수 있다.
사전 평가 수행 모듈(4060)은 해당 제품에 대해 입점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의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의 입점을 위한 사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는 해당 면세점에 근무하고 있는 면세점 담당자, 해당 면세점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 및/또는 해당 면세점으로의 입점을 위한 컨설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사전 평가 수행 모듈은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은 다음, 해당 면세점 담당자와 해당 기업을 연결시킬 수 있고, 해당 면세점 담당자는 현장 방문을 통해 해당 기업의 입점을 위한 사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입점 신청 모듈(4070)은 정량 평가, 정성 평가 및/또는 사전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보완된 제품 또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 매칭 모듈(4050)에 의해 선정된 면세점에 해당 제품의 입점을 시스템 상에서 자동을 신청할 수 있다.
인증서 발급 모듈(4080)은 해당 제품이 면세점에 최종 입점된 경우, 해당 제품이 해당 면세점에 대한 입점 요건을 갖췄음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서 발급 모듈은 생성된 인증서에 보안 알고리즘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함으로써 인증서의 도난, 불법 복제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생성된 인증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이후에 발급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서 발급 모듈은 AES128bit 및/또는 MD5를 이용하여 인증서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는, 인증서에는 업체의 SWOT 분석 결과 및 이 결과에 대한 평가 의견이 포함될 수 있고, 업체의 SWOT 분석은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 또는 결과 분석 모듈(40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증서 출력 모듈(4090)은 업체, 관리자 및/또는 면세점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서를 조회할 수 있고,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인증서 정보 수집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서 정보 수집 모듈(미도시)은 발급된 인증서에 포함된 워터마크, 보안 등급 및 출력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인증서의 워터마크, 보안 등급 및/또는 출력자 정보는 인증서 발급 모듈(4080) 또는 인증서 발급 모듈(4090)에 의해 인증서에 기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미도시)는 면세점 담당자의 전문 분야, 경력, 나이, 신용, 부서, 직책, 성향, 이력, 경험, 담당하는 품목, 컨설팅 참여도 및/또는 입점 성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세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별 및/또는 제품별로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면세점에 A 제품의 입점 성과가 50건 이상인 면세점 담당자는 A 면세점의 A 제품에 대하여 상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A 면세점에 A 제품의 입점 성과가 10건 이상 50건 미만인 면세점 담당자는 A 면세점의 A 제품에 대하여 중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분류된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정보와 면세점 담당자의 상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면세점 담당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미도시)은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및 면세점 담당자가 담당하는 품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 정보, 기업의 제품 정보 및 기업의 인증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차등을 둘 수 있다. 또한,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미도시)은 특정 면세점의 특정 제품에 대해서 높은 등급이 부여된 면세점 담당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일정 기간 동안 등급이 향상된 면세점 담당자에게도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면세점 담당자 비식별화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면세점 담당자 비식별화 모듈(미도시)은 기업의 정성 평가 및/또는 사전 평가에 관여하는 면세점 담당자를 식별할 수 없도록 면세점 담당자의 개인 정보를 식별되지 않는 임의의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1020)은 면세점 관리 모듈(미도시) 및/또는 기업 매칭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면세점 관리 모듈(미도시)은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기업 매칭 모듈(미도시)는 상기 수집된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및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면세점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 상기 기업의 제품 정보 및 상기 기업이 보유한 인증서를 해당 면세점에 제공함으로써 면세점과 해당 면세점에 적합한 기업을 매칭할 수 있다. 즉, 기업 매칭 모듈(미도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면세점이 원하는 기업을 찾아내고 찾아낸 기업을 해당 면세점에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기업 매칭 모듈은 기업의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서 보유 여부, 해당 제품의 매출액, 면세점 입점 기준에 대한 부합 정도 등을 고려하여 해당 면세점에 적합한 기업을 찾아내고 매칭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업 매칭 모듈은 업체 추천을 원하는 면세점에게 해당 면세점에 입점하기를 원하는 업체 정보를 업체 리스트와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업체별 이전 인증 평가에 대한 정량/정성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단일 소량 품종의 제품만을 취급하는 기업이 면세점에 입점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업체의 취급 품목의 개수 정보 및 품목 정보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품목을 취급하는 업체들을 서로 연결시켜 컨소시엄을 구성시킬 수 있고, 구성된 컨소시엄 단위로 인증 평가 및/또는 인증서 발급 등을 수행하여, 단일 품목만 취급하는 업체들도 다른 업체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면세점에 입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면세점별로 구별되지 않는 면세점 입점 공통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면세점 입점 공통 기준을 통해 기업의 해당 제품에 대한 인증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역시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면세점 담당자별로 구별되지 않는 입점 공통 정성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입점 공통 정성 기준을 통해 인증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입점 요건 검증 모듈(4030)의 동작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입점 요건 검증 모듈은 면세점별 입점 정량 평가를 통해 1차적으로 해당 제품의 면세점 입점을 위한 기본 조건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이 되는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는 입점 품목, 관련 서류, 인증 여부, 입점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입점 요건 검증 모듈은 수집된 수많은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면세점별, 업체별 및/또는 품목별로 규격화된 입점 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정량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해당 기업에게 결과가 통보되고 정량 평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정량 평가를 통과한 경우, 입점 요건 검증 모듈은 수집된 면세점 담당자별 기준 정보(면세점 담당자의 주관적 의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제품을 정성 평가할 수 있다. 정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해당 기업에 결과가 통보되고 정성 평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정성 평가를 통과한 경우, 평가 결과에 따라 해당 기업에 적합한 면세점을 해당 기업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은 면세점 담당자에 대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 담당자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면세점 담당자의 실적, 기존에 제기한 주관적인 의견 등에 대한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면세점 담당자는 전직 또는 현직 면세점 담당자이거나, 그 외 전문 인력일 수 있다. 적정성 평가 결과, 해당 제품의 정성 평가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면세점 담당자로 선정된 경우, 해당 면세점 담당자의 개인 정보를 비식별화하고, 해당 면세점 담당자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정성 의견을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정성 의견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적정성 평가 결과, 적합한 면세점 담당자로 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평가 결과만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나아가,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은 수집된 면세점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규격화된 면세점 담당자 적정서 평가 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인증서 발급 모듈(4080) 및 인증서 출력 모듈(4090)의 동작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인증서 발급 모듈은 정량 평가 및 정성 평가에 통과된 기업의 제품에 대한 인증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서에 DRM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인증서에는 AES 1238bit 및/또는 3DES 128bit를 통한 문서 암호화가 적용될 수 있고, RSA 1024bit 및/또는 MD5 알고리즘을 통한 전자 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인증서 출력 모듈은 인증서 출력시 워터마크, 보안 등급, 출력자 정보, 회사 로고 등을 자동적으로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서 출력 모듈은 인증서에 QR 코드를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고, QR 코드에는 해당 인증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통해 해당 인증서에 대한 이력이 조회될 수 있다. 인증서 발급 모듈은 인증서의 유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면세점 매칭 모듈(4050)의 동작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면세점 매칭 모듈은 제품 트렌드 수집 모듈(미도시,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에 포함)에 의해 수집된 최근 트렌드 정보와 기 수집된 기업 정보/제품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최근 트렌드에 적합한 제품 및 해당 제품을 취급하는 업체를 면세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최근 트렌드 정보는 최근 유행하는 제품에 대한 뉴스 정보, 최근 유행하는 제품의 구매율, 구매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 입점에 필요한 기업 상태와 제품의 가치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전 검증함으로써, 기존 최소 10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입점 절차를 3개월 이내로 단축할 수 있고, 수십 개의 면세점별로 대응해야 하는 복잡함을 한 번의 인증 과정으로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최신 트렌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면세점 및/또는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최신 제품의 빠른 입점을 도울 수 있습니다. 나아가,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플랫폼의 형태로 기업, 관리자, 면세점 담당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 기업 정보 수집 모듈, 입점 요건 검증 모듈, 결과 분석 모듈, 면세점 매칭 모듈, 사전 평가 수행 모듈, 입점 신청 모듈, 인증서 발급 모듈, 인증서 출력 모듈, 제품 트렌드 수집 모듈, 인증서 정보 수집 모듈,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 면세점 담당자 비식별화 모듈, 면세점 정보 관리 모듈 및/또는 기업 매칭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토큰화를 통한 당사자간 자산 거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10: 면세점
1020: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1030: 기업
4010: 기업 정보 수집 모듈
4020: 데이터베이스
4030: 입점 요건 검증 모듈
4040: 결과 분석 모듈
4050: 면세점 매칭 모듈
4060: 사전 평가 수행 모듈
4070: 입점 신청 모듈
4080: 인증서 발급 모듈
4090: 인증서 출력 모듈

Claims (5)

  1.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 및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기업으로부터 기업 정보 및 입점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면세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 평가하고, 상기 면세점 담당자별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기업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기업의 상기 제품이 면세점 입점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성 평가하는 입점 요건 검증 모듈;
    상기 정성 평가에 관여하는 면세점 담당자를 식별할 수 없도록 면세점 담당자의 개인 정보를 다른 값으로 변환하는 면세점 담당자 비식별화 모듈;
    상기 정량 평가 및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 및 상기 제품이 충족하지 못한 입점 요건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공하는 결과 분석 모듈;
    상기 제공된 면세점별 입점 가능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입점 가능성이 높은 면세점을 선정하는 면세점 매칭 모듈;
    상기 선정된 면세점과 관련이 있는 면세점 담당자의 입점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제품의 입점을 위한 사전 평가를 수행하는 사전 평가 수행 모듈;
    상기 정량 평가의 결과, 상기 정성 평가의 결과 및 상기 사전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보완된 제품 정보 및 기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상기 제품의 입점을 신청하는 입점 신청 모듈;
    상기 제품이 상기 선정된 면세점에 최종 입점되면, 상기 제품이 해당 면세점의 입점 요건을 갖췄음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서에 보안 알고리즘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서 발급 모듈; 및
    상기 기업 또는 면세점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서를 조회하여 출력하는 인증서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증서에 포함된 워터마크, 보안 등급 및 출력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서 정보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 담당자의 전문 분야, 경력, 나이, 신용, 부서, 직책, 성향, 이력, 경험, 담당하는 품목, 컨설팅 참여도 및 입점 성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분류된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및 상기 수집된 상세 정보를 면세점 담당자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면세점 담당자 정보 관리 모듈은 면세점 담당자의 등급 및 면세점 담당자가 담당하는 품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 정보, 기업의 제품 정보 및 기업의 인증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은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면세점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수집된 면세점별 입점 기업 정보 및 면세점별 입점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초로 면세점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면세점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 상기 기업의 제품 정보 및 상기 기업이 보유한 인증서를 해당 면세점에 제공하는 기업 매칭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KR1020180097182A 2018-08-21 2018-08-21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KR10194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82A KR101948589B1 (ko) 2018-08-21 2018-08-21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82A KR101948589B1 (ko) 2018-08-21 2018-08-21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589B1 true KR101948589B1 (ko) 2019-02-15

Family

ID=6536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82A KR101948589B1 (ko) 2018-08-21 2018-08-21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3968A1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에이엔디플랫폼 효율적인 면세점 물품구매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834B1 (ko) * 2016-06-14 2018-0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문가 매칭 시스템을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834B1 (ko) * 2016-06-14 2018-0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문가 매칭 시스템을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3968A1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에이엔디플랫폼 효율적인 면세점 물품구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6529B2 (en) Electronic activity and business system and method
CN111861677A (zh) 基于电商平台的智能进销存及快递的方法
US201001216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Information to Identify, and Act Upon,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US11756041B2 (en) Programmatic approvals of corporate spend and employee expense
KR20200036488A (ko) 통합보안업무관리장치 및 통합보안업무관리방법
Diamantopoulou et al.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and ISO/IEC 27001: 2013: Synergies of activities towards organisations’ compliance
Vemou et al. Evaluating privacy impact assessment methods: Guidelines and best practice
KR20200025985A (ko) 분양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631169B1 (ko) 중고 물품의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KR101948589B1 (ko) 빅데이터 기반 면세점 입점 요건 인증 및 관리 시스템
JP5012453B2 (ja) 監査システム、監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12539A (ko) 인터넷 쇼핑 또는 인터넷 쇼핑몰 구매대행에서 이용자보호 방법
KR20200142371A (ko) 면세점 상품 추천 및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6255A (ko) 금융 마케팅을 위한 고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시스템
KR10056826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 방법
KR101662707B1 (ko) 중고 물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Bienstock et al. Reengineering a reverse supply chain for product returns services
KR101651586B1 (ko) 시스템 개발단계와 시스템 운영단계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 관리시스템
KR20230037887A (ko) 중고차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103B1 (ko) 스마트 할부 금융 서비스 방법
US201000826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and presenting authorization rights in an organization
KR101631166B1 (ko) 중고 전자기기의 보안 정보 삭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KR20190110071A (ko) 스마트 할부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101631168B1 (ko) 적립금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WO2009064062A1 (e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