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24B1 -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24B1
KR101947924B1 KR1020170184823A KR20170184823A KR101947924B1 KR 101947924 B1 KR101947924 B1 KR 101947924B1 KR 1020170184823 A KR1020170184823 A KR 1020170184823A KR 20170184823 A KR20170184823 A KR 20170184823A KR 101947924 B1 KR101947924 B1 KR 10194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mage
blinking state
stat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민
응웬반장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7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은,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decoding using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백열전구와 형광등과 같은 조명이 반도체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으로 교체되는 인프라를 이용하여 가시광 파장에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인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IEEE 802.15.7 국제표준규격도 완료되어 상용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IEEE 802.15.7은 주로 광 검출기(Photo Diode; PD)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국한되어 있어 VLC 동글 등의 전용 통신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검출기보다는 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의 국제표준화가 IEEE 802.15.7m OWC TG(Task Group)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은,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동일한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이진값으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서로 다른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제2 이진값으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진값은 0이고, 상기 제2 이진값은 1이거나, 상기 제1 이진값은 1이고, 상기 제2 이진값은 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신호는, 이진값 0과 1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기준 신호이고,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와 동일 위상 또는 반대 위상으로 점멸되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한 비트는 두 클럭 시간 동안 전송되고, 연속 되는 두 클럭 시간 중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 대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따라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동일한 위상으로 점멸되거나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반대 위상으로 점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롤링 셔터 방식으로 샘플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한 비트는 두 클럭 시간 동안 전송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상기 클럭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수신기,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 광원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른 샘플링 시간 차이나 이미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가 생겨도 영향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과 두 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변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복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광원들을 롤링 셔터 방식으로 촬영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적용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적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은 광학 카메라 통신 송신 장치(100) 및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광학 카메라 통신 송신 장치(100)는 변조기(110)와 송신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1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 열(bit sequence)인 이진 데이터 신호 D[i]를 입력받아, 변조된 펄스 파형을 갖는 이진 데이터 신호 S1(t) 및 S2(t)를 생성한다. 여기서, S1 및 S2는 연속 신호일 수도 있고 이산 신호일 수 있는데, 이하 연속 신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송신기(120)는 이진 데이터 신호 S1(t) 및 S2(t)에 따라 각각 제1 광원(121) 및 제2 광원(122)을 점멸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점멸(on/off)이라 함은 반드시 광원이 완전히 켜지고 완전히 꺼지는 방식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광원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이진값 0과 1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모든 방식을 포함한다. 광원의 점멸 주파수가 일정값(예: 200Hz) 이상이면 사람은 광원의 점멸을 느끼지 못한다.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는 수신기(210)와 복조기(23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광원 검출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10)는 이미지 센서가 광원들을 연속적으로 촬영(샘플링)한 이미지 열(image sequence)을 수신한다. 광원 검출기(220)는 수신한 이미지에서 광원들의 위치를 검출한다. 복조기(230)는 광원들의 점멸 상태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120)는 두 개 이상의 광원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상 광원이 두 개인 경우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렇게 복수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은 데이터 신호와 기준 신호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광학 카메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광학 카메라 통신을 구현함에 있어서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셔터 방식와 롤링 셔터 방식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즉, 글로벌 셔터 방식의 카메라(이미지 센서)와 롤링 셔터 방식의 카메라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통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둘째,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인 OS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장치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가 일정하지 않고 OS의 자원 사용 상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의 경우 프레임 레이트가 대략 20fps에서 30fps 사이에서 변동한다. 따라서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은 이러한 유동적 프레임 레이트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광학 카메라 통신은 송신 장치나 수신 장치가 이동하는 유스 케이스가 많으며, 특히 차량 간 통신 같은 경우 송수신 장치가 10m/s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연속된 이미지들 사이에 노이즈 환경이 크게 다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은 이러한 급격한 노이즈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과 두 개의 광원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방식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2에서 S(i)은 전송 신호이고 N(k)은 샘플링 시의 노이즈이다. 비동기식 통신의 특성상 전송 신호의 비트 인덱스 i와 샘플링 인덱스 k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광원이 하나이므로 기준 신호 S(i)와 데이터 신호 S’(i)을 시간적(temporal)으로 분리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기준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샘플링 시점이 각각 k과 k+1로 달라지고, 노이즈 또한 N(k)와 N(k+1)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기준 신호 S(i)와 데이터 신호 S’(i)을 비교하여 복조를 수행할 때 양 신호의 노이즈 환경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신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는 롤링 셔터 방식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화에도 대응하기 어렵다.
반면에, 도 2의 (b)를 참조하면, 광원이 두 개이므로 기준 신호 S1(i)와 데이터 신호 S2(i)을 공간적(spatial)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양 신호의 샘플링도 동시에 일어나므로 양 신호의 노이즈가 N(k)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는 공간 분리 방식은 차량 간 통신과 같이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뒤에서 살펴보는 것과 같이 공간 분리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롤링 셔터 효과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변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변조기(110)에 의해 생성된 신호 S1(t) 및 S2(t)에 따라 점멸하는 두 개의 광원 중 제1 광원(121)은 기준 광원, 제2 광원(122)은 데이터 광원이다. 데이터 광원은 실제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실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점멸하는 광원이고, 기준 광원은 이진값 0과 1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광원이다.
기준 광원을 점멸시키는 기준 신호 S1(t)는 이진값 0과 1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펄스열 신호로서, 그 파형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식에서 T는 기준 신호의 펄스 주기이며, 한 비트 구간에 N개의 펄스가 포함되고, k는 1, … , N의 자연수이다.
Figure 112017131371266-pat00001
한편, 데이터 광원을 점멸시키는 데이터 신호 S2(t)는, 기준 신호 S1(t)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펄스열 신호로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즉 입력 데이터 신호 D[i]가 0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동일한 위상을 갖고, 입력 데이터 신호 D[i]가 1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반대 위상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복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조기(230)는 샘플링된 이미지에서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의 점멸 상태, 즉 위상을 비교한다. 이때 복조기(230)는 광원 검출기(220)가 검출한 제1 광원과 제2 광원의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복조기(230)는 두 광원의 위상이 동일한 경우 이진값 0을 출력하고, 두 광원의 위상이 반대인 경우 이진값 1을 출력한다. 즉, 복조기(230)는 수학식 2과 같이 두 광원의 점멸 상태에 대한 XOR 연산에 의해 복조를 수행한다. 식에서 S1(k)와 S2(k)는 k번째 이미지에서의 각 광원의 점멸 상태이다.
Figure 112017131371266-pat00002
쉽게 말해, 복조기(230)는 샘플링된 이미지에서 두 광원이 모두 켜져 있거나 모두 꺼져 있으면 이진값 0을 출력하고, 두 광원 중 하나만 켜져 있으면 이진값 1을 출력한다. 따라서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는 복조를 위해 두 광원 중 어느 것이 기준 광원이고 어느 것이 데이터 광원인지 알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의 이미지에 촬영된 두 광원을 비교하므로 이미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에 변화가 생겨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 프레임 레이트는 데이터 클럭의 주파수 이상이어야 한다.
이상은 데이터 신호 S2(t)가 입력 데이터 신호가 0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동일한 위상을 갖고, 입력 데이터 신호가 1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반대 위상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변조기(110)는 데이터 신호 S2(t)가 입력 데이터 신호가 1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동일한 위상을 갖고, 입력 데이터 신호가 0인 경우 기준 신호 S1(t)와 반대 위상을 갖도록 변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조기(230)은 수학식 2에서 XOR 대신 NXOR 연산에 의해 복조를 수행한다.
도 5는 복수의 광원들을 롤링 셔터 방식으로 촬영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롤링 셔터 방식의 이미지 센서는 각 행마다 이미지를 샘플링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두 광원이 행과 나란하게 배열돼 있을 때는 두 광원이 동시에 샘플링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두 광원의 샘플링 시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두 광원의 샘플링 시간 차이 dt는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에서 Npixel은 두 광원의 행 간 차이의 픽셀 수이고, Fs는 이미지 센서의 행 샘플링율이다. 예를 들어 Nexus 5X의 카메라는 Fs=34.53kHz이다.
Figure 112017131371266-pat00003
이와 같이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라 두 광원의 샘플링 시간에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는 곧 두 광원의 점멸 위상차의 변동으로 이어지고, 결국 복조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전송 데이터가 0이어서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동일한 위상으로 점멸하고 있더라도 샘플링된 이미지에는 광원이 하나는 켜져 있고 하나는 꺼져 있는 것으로 보여 복조된 데이터가 1이 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터가 1이어서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반대 위상으로 점멸하고 있더라도 샘플링된 이미지에는 광원이 둘 다 켜져 있거나 둘 다 꺼져 있는 것으로 보여 복조된 데이터가 0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선로 부호화(line coding)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 카메라 통신 송신 장치(100)는 변조기(110)의 전단에 선로 부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로 부호기는 표 1에 따라 이진 데이터 신호 D[i]를 부호율 1/2로 부호화하여 출력하고, 변조기(110)은 선로 부호기가 출력하는 선로 코드를 입력받아 앞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진 데이터 신호 S1(t) 및 S2(t)를 생성한다. 선로 부호화기는 표 1 및 표 2와 같은 여덟 가지 부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 1의 방식 1에 따라 입력 비트를 부효율 1/2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입력 비트 출력 코드
방식 1 방식 2 방식 3 방식 4
0 0 0 0 0 1 1 1 1
1 0 1 1 0 0 1 1 0
입력 비트 출력 코드
방식 5 방식 6 방식 7 방식 8
0 0 1 0 1 1 0 1 0
1 0 0 1 1 0 0 1 1
이 경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는 복조기(230)의 후단에 선로 복호기를 포함하며, 선로 복호기는 복조기(230)으로부터 복조된 이진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k번째 이미지 및 k+1번째 이미지로부터 복조된 이진값을 출력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선로 부호화를 사용하면, 복호화되는 데이터는 한 이미지의 광원 점멸 상태와 그 다음 이미지의 광원 점멸 상태의 상대적 관계에 따라 결정되므로, 절대적인 광원 점멸 상태와 무관하게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즉 샘플링된 이미지의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롤링 셔터 효과로 인한 샘플링 시간 차에 의해 점멸 위상이 원래와 반대로 된 경우, 다시 말해 전송 데이터가 0인데 두 광원이 반대로 점멸하거나 전송 데이터가 1인데 두 광원이 동일하게 점멸하고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복조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로부터 전송 데이터의 이진값을 디코딩한다.
여기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는 이미지 센서에서 롤링 셔터 방식으로 샘플링될 수 있고, 또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도 이미지 센서에서 롤링 셔터 방식으로 샘플링될 수 있다. 롤링 셔터 방식은 하나의 이미지 내에서 각 행마다 샘플링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Δt)가 발생하게 되고,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Δt)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연속하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촬영 동안 두 광원 및 이미지 센서의 회전이 없다면,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의 수신기(21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이미지 센서에서 롤링 셔터 방식으로 샘플링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촬영되는 프레임 레이트는 변동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는 데이터 클럭 레이트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의 복조기(230)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의 복조기(230)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일 실시예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200)의 복조기(230)는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S330). 일 실시예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동일한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복조기(230)는 제1 이진값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서로 다른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복조기(230)는 제2 이진값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진값은 0이고, 제2 이진값은 1일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제1 이진값은 1이고, 제2 이진값은 0일 수 있다.
제1 광원의 점멸 신호는 이진값 0과 1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기준 신호이고,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는 전송 데이터에 따라 기준 신호와 동일 위상 또는 반대 위상으로 점멸되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송 데이터는 부호율 1/2로 부호화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한 비트(이진값 0 또는 이진값 1)는 두 클럭 시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연속되는 두 클럭 시간 중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 대하여,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데이터 신호)는 전송 데이터에 따라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동일한 위상으로 점멸되거나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반대 위상으로 점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진값 0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데이터 신호)는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동일 위상으로 점멸될 수 있고, 이진값 1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데이터 신호)는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반대 위상으로 점멸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적용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전송 데이터가 두 클럭 시간 동안 동일 위상으로 점멸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가 클럭 시간과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9는 프레임 레이트가 클럭 레이트와 동일하나, 광원 및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른 샘플링 시간 차이로 인해 두 광원의 점멸 위상차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가 동일하므로,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가 동일하므로,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동일한 제1 이진값으로 결정되었므로, 복조기(230)는 두 이진값을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와 클럭 레이트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더라도,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하게 샘플링되는 경우는 이상과 마찬가지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가 클럭 시간과 상이하여 두 이미지 간 점멸 상태가 상이하게 샘플링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0은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로 인해 광원의 점멸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이다. 또한, 광원 및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른 샘플링 시간 차이로 인해 두 광원의 점멸 위상차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가 반대이므로,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가 반대이므로,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동일한 제2 이진값으로 결정되었므로, 복조기(230)는 두 이진값을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을 적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전송 데이터가 두 클럭 시간 동안 반대 위상으로 점멸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가 클럭 시간과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1은 프레임 레이트가 클럭 레이트와 동일하나, 광원 및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른 샘플링 시간 차이로 인해 두 광원의 점멸 위상차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가 동일하므로,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가 반대이므로,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서로 다른 이진값으로 결정되었으므로, 복조기(230)는 두 이진값을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와 클럭 레이트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더라도,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하게 샘플링되는 경우는 이상과 마찬가지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가 클럭 시간과 상이하여 두 이미지 간 점멸 상태가 상이하게 샘플링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2는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로 인해 광원의 점멸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는 동일하게 샘플링된다. 또한, 광원 및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나 거리에 따른 샘플링 시간 차이로 인해 두 광원의 점멸 위상차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1)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가 반대이므로, 복조기(230)는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와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예: 이진값 0)가 동일하므로, 복조기(230)는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두 점멸 상태 변화를 XOR 연산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제1 이진값(예: 이진값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와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서로 다른 이진값으로 결정되었으므로, 복조기(230)는 두 이진값을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2 이진값(예: 이진값 1)으로 전송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가 상기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상기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상기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동일한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이진값으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가 서로 다른 이진값으로 결정된 경우, 제2 이진값으로 상기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진값은 0이고, 상기 제2 이진값은 1이거나,
    상기 제1 이진값은 1이고, 상기 제2 이진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신호는, 이진값 0과 1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기준 신호이고,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와 동일 위상 또는 반대 위상으로 점멸되는 데이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한 비트는 두 클럭 시간 동안 전송되고,
    연속 되는 두 클럭 시간 중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 대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신호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따라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동일한 위상으로 점멸되거나 제1 클럭 시간과 제2 클럭 시간에서 반대 위상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롤링 셔터 방식으로 샘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한 비트는 두 클럭 시간 동안 전송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사이의 샘플링 시간 차이는, 상기 클럭 시간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12.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을 이용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 및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수신기;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1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광원의 점멸 상태가 반대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제2 이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와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2 광원의 점멸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 및 상기 결정된 제2 광원의 이미지 간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카메라 통신 수신 장치.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84823A 2017-12-29 2017-12-29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94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23A KR101947924B1 (ko) 2017-12-29 2017-12-29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23A KR101947924B1 (ko) 2017-12-29 2017-12-29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24B1 true KR101947924B1 (ko) 2019-02-13

Family

ID=6536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823A KR101947924B1 (ko) 2017-12-29 2017-12-29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24A1 (ko) * 2016-01-12 2017-07-20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S2-psk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24A1 (ko) * 2016-01-12 2017-07-20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S2-psk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514B2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2092496B1 (ko) S2-psk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EP2689638B1 (en) Ligh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041011B1 (ko) Sm-psk 광학 무선 송신 방법 및 장치
US10432215B2 (e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95668B1 (ko) Dsm-psk 광학 무선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937607B1 (ko) 하이브리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디밍이 가능한 광학 무선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971370B1 (ko)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차량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US11575445B2 (en) RoI-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60359561A1 (en) Coded light
Schmid et al. Using smartphones as continuous receivers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N111108702B (zh) 用于对基于光的通信报文进行解码的技术
KR102259055B1 (ko) 하이브리드 occ 및 lifi 시스템
KR101947924B1 (ko)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JP5840066B2 (ja) 可視光通信送信装置、可視光通信受信装置、可視光通信送信方法、可視光通信受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993063B1 (ko)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광원 검출 방법 및 장치
Rapson et al. Applying NOMA to undersampl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for vehicular communication
US20220216917A1 (en)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 for the self-adaptive reception of a light communication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