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18B1 -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 Google Patents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18B1
KR101947018B1 KR1020180019444A KR20180019444A KR101947018B1 KR 101947018 B1 KR101947018 B1 KR 101947018B1 KR 1020180019444 A KR1020180019444 A KR 1020180019444A KR 20180019444 A KR20180019444 A KR 20180019444A KR 101947018 B1 KR101947018 B1 KR 10194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indoor air
indoor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7465A (en
Inventor
이억기
이진호
주원용
Original Assignee
(주)화이컴
이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컴, 이억기 filed Critical (주)화이컴
Priority to KR102018001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6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2003/16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결합을 위한 창틀 결합용 지지 플레이트는 창틀의 실외측 모서리부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에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되며, 판형의 ‘ㄱ’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의 제1 및 제2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홀을 포함한다.A window plate coupling support plate for coupl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an outdoor side edge of a window frame is fixed and a clean air supplier is fixed to the other sid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plate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of the clean air supplier.

Description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air supply device and a clean air supply device, FORMED IN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은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 같이 밀폐된 실내 생활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때, 선택적으로 정화하여 외부로부터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실내를 양압으로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 window frame provided with a clean air supply device, and a stopper for closing a perforation hole formed in a window fram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for selectively removing the fine dust from the outside w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so as to provide a pleasant indoor atmosphere by keeping the room at a positive pressure, A window frame on which the feeder is installed, and a stopper for closing the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은 냉, 난방 및 소음차단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폐된 구조로 설계 및 시공되어, 실내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실내외로 순환하지 못하여 다양한 경로로 유입된 초미세먼지가 실내에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 house, an apartment or an office is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 a closed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the cooling, heating and noise shielding function, so that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can not circulate indoors and outwards, There is a problem of accumulation in the room.

이러한 초미세먼지는 호흡에 의하여 폐로 운반되고, 폐에서 외계로 공기를 내보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초미세먼지가 실내와 신체에 계속 누적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체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These ultrafine dusts are transported to the lungs by breathing and air is sent from the lungs to the outside world. In this process, ultrafine dust accumulates in the room and body, ultimately harming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또한, 실내에서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화장실의 악취, 담배연기 및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녹스 등 유해배기가스(이하, “초미세먼지”라 함)가 발생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초미세먼지와 실내에서 발생된 초미세먼지에 의하여 각종질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room, harmful exhaust g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ultrafine dust ") such as smoke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odor of bathroom, cigarette smoke and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diseases occur due to ultrafine dust generated in the room.

특히, 최근들어 다양한 배출원에 의한 초미세먼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만큼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ultrafine dust caused by various emission sources has become serious enough to be a social problem.

종래에는 심한 외부 먼지나 오염공기 등의 유입을 막기위해 환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예 창문을 열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나마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종래의 공기정화기가 개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고 실내에서 발생된 초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방식으로서 실내 일부의 공기만을 대상으로 정화함으로써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실내공간이 공기정화기에 의하여 정화가 되지 않는 사공간이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으므로, 실내 미세먼지를 인부 제거하는 집진기에 불과하였다.In the past, in order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dust or polluted air, it was necessary to ventilate, but the window could not be opened at all. Conventionally, a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been developed to purify indoor air. However, in general, a method of sucking indoor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The cleaning a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indoor space is not cleaned by the air purifier, so that there is a lot of dead space. Therefore, it is merely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indoor fine dust.

또한, 황사 등에 의한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지 못하는 등 관행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is a conventional problem of preventing the inflow of polluted air by dust, etc.

이는 환기하는 중에는 공기 정화를 거의 하지 못하고, 실내를 밀폐하였을 경우에는 집진 및 흡착방식으로는 입자상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ir purification is rarely performed during ventilation, and when the room is sealed, particulate carbon monoxide, nitrogen oxides, and carbon dioxide are limited in terms of dust collection and adsorption.

이와 같은 실내공간의 공기정화방식은 현재 집진필터 또는 전기집진필터, 흡착필터, 음이온 발생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먼지 및 일부 악취물질, 유기화합물질 등만을 제거할 수 있을 뿐이며, 실내에 있는 사람도 동시에 호흡을 통하여 먼지 및 일부 악취물질, 유기화합물질 등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ir purifying method of the indoor space is currently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filter, an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filter, an adsorption filter, and an anion generating device. However, in this method, only dust, some odorous substances, A person in the room sucks in dust, some odor substances, and organic compounds through respiration at the same time.

실내 대기환경은 일반적으로 공기의 환기가 불량하고 음식조리, 흡연, 가구 및 의복의 도장물질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외기 대기환경에 비하여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먼지 등의 농도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Indoor air quality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outside air due to poor air ventilation and contamination from cooking, smoking, painting materials of furniture and clothes,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arbon dioxide, nitrogen oxides, Is high.

실내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일반적인 가정용 공기정화기는 집진 및 흡착방식을 통하여 개선하거나, 촉매를 이용한 방식, 오존을 이용한 방식 등으로 먼지 및 악취등을 제거하고자 하지만 실내 대기환경의 오염수준이 높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여지고 정화된 공기의 질도 낮은 편고, 밀폐된 공간에서 사람이 호흡함으로 인한 실내 산소 농도의 저하에 대하여는 대책이 없었다.General household air purifiers installed to improve the indoor air environment are intended to improve dust collection and adsorption, or to remove dust and odors by using catalysts and ozone, but the pollution level of indoor air is high Therefore,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the decrease in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apparatus, the low quality of the purified air, and the breathing of people in an enclosed space.

또한, 흡착방식은 초기에 월등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흡착제의 흡착량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질이 오히려 악화되고 정기적인 교체가 되지 않는 경우, 미생물이 필터층 위에서 번식하는 등 공기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dsorption method initially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when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adsorbent is exceeded, the air quality is rather deteriorated, and if the periodic replacement is not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icroorganisms propagate on the filter layer to further deteriorate the air quality.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02871호(발명의 명칭: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송풍장치, 1차 프리필터, 2차 HEPA 필터, 3차 흡착 활성탄필터, 4차 살균필터, 음이온 발생장치, 분배관, 조작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외기와 통기가능한 장소 예를 들어 문, 창문, 실내배기구에 위치하거나 흡입관을 설치하여 외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실내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는 실내에 설치된 창문, 배기구 등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102871 (entitled "Ai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Exterior Air and Supplying Indoor Air)"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a primary prefilter, a secondary HEPA filter, It is composed of a tertiary adsorption activated carbon filter, a tertiary sterilizing filter, anion generator, distribution pipe, and operating device. It is located in a room where air can be ventilated, for example door, window, indoor exhaust, And the purified air supplied to the roo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a window and an exhaust port installed in the room.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폐된 실내 생활 공간에 신선한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clean air supply unit for purifying fresh outside air in an enclosed indoor living space and providing a window frame to be installed do.

동시에, 소음을 가급적 줄이면서 유입외기의 풍량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핵심부라 할 수 있는 필터의 오염도를 완화시켜 교체주기를 길게하여 사용자의 건강한 호흡 및 경제적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t the same time, by reducing the noise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volume and temperature of the inflow outdoor air, thereby reduc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ilter, which is a core part of th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feeder and a window frame to be installed.

또한, 청정 공기 공급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간을 확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plate and a window frame provided with a clean air supply device for outdoor use, for securing a space for a room, and for support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that does not harm aesthetic appearan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결합을 위한 창틀 결합용 지지 플레이트는 창틀의 실외측 모서리부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에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되며, 판형의 ‘ㄱ’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의 제1 및 제2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ndow plate coupling support plate for coupling a clean air supply unit, wherein one side of an outdoor side edge of a window frame is fixed and a clean air supply unit Shaped and has a first and a second plate holes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of the clean air supplier.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은 청정 공기 공급기를 고정부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이 형성된다.The window frame provided with the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attached with a clean air supply device, and at least one or more perforation holes are formed.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기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에 있어서, 천공홀은 청정 공기 공급기의 청정 공기 유출구 또는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마개는 천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In the cap for closing the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to which the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perforation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lean air outlet port or the indoor air inlet port of the clean air supply device, And is detachably formed in the perforation hol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밀폐된 실내 생활공간에 신선한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소음을 가급적 줄이면서 유입외기의 풍량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초미세먼지가 차단된 청정 공기의 유입 및 공급으로 실내 산소 농도를 대기수준으로 유지시키고, 실내 양압을 유지하므로 문틈이나 주방 배기용 후드를 통하여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냄새의 유입 방지 및 적정온도의 공기 공급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urify fresh outside air in an enclosed indoor living space, to supply clean air, to adjust the air volume and temperature of the inflow outdoor air while reducing noise as much as possible, It keeps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t the atmospheric level by inflow and supply of the blocked clean air and keeps indoor positive pressure so that it prevents the inflow of fine dust and odor introduced through door hood or kitchen exhaust hood, It provides a pleasant and comfortable interior atmosphere.

또한, 메인 댐퍼를 이용하여, 실외 공기의 오염도가 극심할 경우의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청정 공기 공급기를 제공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clean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introducing indoor air when indoor air pollution is extremely low, using a main damper.

또한, 청정 공기 공급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간을 확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기기의 운전 소음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pport plate and a window frame provided with a clean air supply unit for supporting a clean air supply unit that is installed outdoors to secure a space in a room, reduce the noise of the equipment, and significantly reduce operation noi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의 2차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1차 필터의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에 부착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에 부착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및 청정공기 공급기가 고정부착되는 창틀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의 실내에 부착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및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부착되는 창틀의 도면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shaped secondar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rimar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indow frame.
7 is a view show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indow frame.
8 is a view of a window frame to which a support plate and a clean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ly attached.
9 is a view show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n interior of a window frame.
10 is a view of a window frame to which a support plate and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ly attach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원은 청정 공기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ai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의 사시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의 2차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1차 필터의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에 부착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에 부착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및 청정공기 공급기가 고정부착되는 창틀의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창틀의 실내에 부착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및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부착되는 창틀의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shaped secondar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primar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indow frame, 7 is a view showing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indow frame, FIG. 8 is a view of a window frame to which the support plate and the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ly attached, 9 is a plan view of a clean air ba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of a window frame to which a support plate and a cle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ly attached. FIG.

우선,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정 공기 공급기(10)(이하, ‘청정 공기 공급기(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lean air supplie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lean air suppli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외에 위치하고, 메인 댐퍼(200)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유입구(120) 또는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유입 정화시켜 청정 공기 유출구(130)를 통해 실내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is located outdoors and selectively uses the main damper 200 to selectively block the indoor air inlet 120 or the outdoor air inlet 110, So that purified air can be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clean air outlet 130.

이를 위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하우징(100), 실내공기 유입관(600), 메인 댐퍼(200), 송풍기(300), 하나 이상의 필터(410, 420, 430), 및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The clean air supplier 10 includes a housing 100, an indoor air inlet pipe 600, a main damper 200, a blower 300, one or more filters 410, 420 and 430, and a controller ).

하우징(100)은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120),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110), 및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1 천공홀(21)과 연결되고, 청정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 유출구(130)가 형성된다.The housing 100 is connected to an indoor air inlet 120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 outdoor air inlet 110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 first perforation hole 21 formed in a building structure or window frame, A clean air outlet 130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room is formed.

예시적으로, 제1 천공홀(21) 및 후술되는 제2 천공홀(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벽체(20)에 서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31, 32)은 창틀(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llustratively,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and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to be described lat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20 of the building structure . 6, the perforation holes 31 and 32 may be formed in the window frame 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또한, 하우징(100)은 필터의 교체 또는 소제를 위해 개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가 오염될 경우, 개폐부(140)를 통해 손쉽게 필터의 교체 또는 소제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art 140 for replacing or cleaning the filter. Accordingly, when the filter is contaminated,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or clea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외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기를 하우징(100)에 공급하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관(6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y unit 10 is installed outdoors and may include an indoor air inlet pipe 600 for supplying indoor air to the housing 100. [

실내공기 유입관(600)은 일단이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2 천공홀(22)과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공기 유입구(120)와 연결된다. 즉, 실내공기 유입관(600)은 일단이 실내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하우징(100) 내로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천공홀(22)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20) 또는 창틀(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천공홀(21)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indoor air inflow pipe 6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formed in the building structure or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flow port 120. That is, one end of the indoor air inflow pipe 600 is connect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indoor air inflow pipe 60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to serve as a passage for supplying indoor air into the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can be formed in the wall 20 or the window frame 30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천공홀(22)은 제1 천공홀(2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내공기 유입관(600)은 일단이 제2 천공홀(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공기 유입구(120)에 연결되도록,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door air inflow pipe 60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ther end is bent upward.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천공홀(22)은 제1 천공홀(2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내공기 유입관(600)은 일단이 일단이 제2 천공홀(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공기 유입구(120)에 연결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door air inflow pipe 600 is folded several times as shown in FIG. 4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perforation hole 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120 .

메인 댐퍼(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실외공기 유입구(110) 또는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선택량만큼 유입조절할 수 있다.The main damper 20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selectively blocks the outdoor air inlet 110 or the indoor air inlet 120 to introduce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o the housing 100 by a selected amount Can be adjusted.

아울러, 실내 공기 유입구(12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실내 공기 유입구(120)에 무동력 경량 보조댐퍼(201)를 설치하여 정전등으로 댐퍼(200)의 조작이 불능시 외부공기가 실내 공기 유입구(120)로 무단 유입되는 것을 막고, 외부공기가 오염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시, 송풍기(300)의 송풍력(흡입력)으로 인해 무동력 경량 보조댐퍼(201)가 경첩부분을 제외하고 들려서 실내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동력 경량 보조댐퍼(201)는, 그 무게가 가볍게 형성되어 있어, 송풍기(300) 작동시 송풍기(300)의 송풍력(흡입력)으로 인해 실내 공기 유입구(120)를 개방하며, 송풍기(300) 미 작동시, 중력에 의해 실내 공기 유입구(120)를 폐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inlet 120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a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is installed in the indoor air inlet 120 so that when the damper 200 can not be operated due to a power failure, The light non-powered light auxiliary damper 201 excludes the hinge portion due to the blowing forc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300 when the outside air is contaminated and the room air is cleaned by prevent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room air inlet 120. So that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 other words,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is light in weight and opens the room air inlet 120 due to the blowing forc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30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00, 300), the indoor air inlet 120 can be closed by gravity.

또한,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201)는 실내 공기 유입구(120)의 인접한 부분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201)는 실내 공기 유입구(120)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고, 실내 공기 유입구(120)와 메인 댐퍼(200)의 힌지 결합된 부분 사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201)는 실내 공기 유입구(120)의 인접한 부분 중 송풍기(300)가 위치한 부분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may be hinged to an adjacent portion of the room air inlet 120. 1,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size to cover the entir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main damper 200 are hinge- To be hinged together.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may be hinged to a portion of the adjacent portion of the indoor air inlet 120 where the blower 300 is located.

도 1을 참조하여, 실외공기 유입구(110) 및 실내공기 유입구(1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메인 댐퍼(200)는 실내공기 유입구(120)와 실외공기 유입구(110) 사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외공기 유입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0)와 수평된 면에 형성되며, 실내공기 유입구(120)는 실외공기 유입구(110)가 형성된 면과 수직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1, the outdoor air inlet 110 and the indoor air inlet 1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main damper 200 is hing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 Illustratively, the outdoor air inlet 110 is formed on a horizontal surface with the wall 20, as shown in FIG. 1, and the indoor air inlet 120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outdoor air inlet 110 is formed, As shown in FIG.

즉, 메인 댐퍼(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여, 실외공기 유입구(110) 또는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차단함에 따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선택적으로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damper 200 is hing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rotates to shut off the outdoor air inlet 110 or the indoor air inlet 120 so that indoor or outdoor ai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housing 100 ) Can be adjusted.

상세하게는, 메인 댐퍼(200)가 하우징(100)의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차단할 경우,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실외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며, 메인 댐퍼(200)가 하우징(100)의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차단할 경우,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실내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main damper 200 blocks the indoor air inlet 120 of the housing 100,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0, The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0 when the outdoor air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is blocked.

아울러, 메인 댐퍼(2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실내공기 유입구(120) 및 실외공기 유입구(110)가 모두 개방되도록 위치시켜, 하우징(100)의 내부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모두 유입되도록 하고, 그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인 댐퍼(200)의 기울기가 45도 일 경우,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유입량은 1:1일 수 있으며, 메인 댐퍼(200)의 기울기가 45도 이상인 경우, 실내공기의 유입량보다 실외공기의 유입량이 많으며, 메인 댐퍼(200)의 기울기가 45도 이하인 경우, 실내공기의 유입량보다 실외공기의 유입량이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damper 200 is adjusted so that both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are opened so that both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 The inflow amount thereof can be adjusted. Illustratively, when the slope of the main damper 200 is 45 degrees, the inflow amount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may be 1: 1. When the slope of the main damper 200 is 45 degrees or more, When the inflow amount of the outdoor air is large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in damper 200 is 45 degrees or less, the inflow amount of the outdoor air may be smaller than the inflow amount of the indoor air.

또한, 메인 댐퍼(200)는 실내 공기 유입구(120)와 실외 공기 유입구(110)의 형태에 따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 유입구(120)와 실외 공기 유입구(110)가 원형일 경우, 메인 댐퍼(200)는 원형이고, 실내 공기 유입구(120)와 실외 공기 유입구(110)가 각형일 경우, 메인 댐퍼(200)는 각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damper 2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When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are circular, the main damper 200 is circular, and when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are square, The damper 200 may be square.

송풍기(300)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형 또는 토출형 송풍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송풍기(300)는 팬과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팬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기(300)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300)는 소음 및 진동 방지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송풍기(300)는 청정 공기 유출구(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blower 300 may be a suction type or a discharge type blower that generates a flow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Illustratively, the blower 300 may include a fan and a motor, and air may flow as the fan rotates. In other words, the blower 300 can introduce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and supply the introduced air to the room. In addition, the blow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noise and vibration preventing function. In addition, the blower 30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ean air outlet 130.

또한, 송풍기(300)는 후술되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팬의 구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Further, the blower 300 can be controlled in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by a controll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필터(410, 420, 430)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e filters 410, 420, and 430 may purge the incoming air.

필터(410, 420, 430)는 송풍기(300)가 일측에 위치하는 실린더형 또는 송풍기(300)가 외부에 위치하는 판형의 제1 필터(410), 실외공기 유입구(110)에 위치하는 제3 필터(430), 및 제1 및 제3 필터(410, 430) 사이 또는 제1 필터(410)와 청정 공기 유출구(1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필터(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s 410, 420 and 430 include a first filter 410 in the form of a cylinder in which the blower 300 is located at one side or a plate in which the blower 300 is located at the outside, A filter 430 and a second filter 42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filters 410 and 430 or between the first filter 410 and the clean air outlet 130, have.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내공기보다 실외공기가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실외공기 유입구(110)에 제3 필터(430)를 구비하여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 중 크기가 큰 먼지나 벌레, 낙엽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ier 10 is provided with the third filter 430 at the outdoor air inlet 110 because the outdoor air is more polluted than the indoor air and the dust, Can be prevented.

도 1을 참조하면, 제2 필터(420)는 제1 필터(410)와 제3 필터(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410)와 청정 공기 유출구(1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filter 4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410 and the third filter 4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410 and the clean air outlet 130. [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필터(410)는 초미세먼지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주름형으로 내경 중심부의 타측이 필터소재로 막힌 실린더형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도 5의 (a)에 도시된 주름형으로 구성된 판형 필터일 수도 있다.5 (b), the first filter 410 may be a cylindrical filter configured to filter ultrafine dust,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diameter center portion may be a cylindrical filter with a clogged filter material. However, Or may be a plate-like filter having a corrugated shape as shown in Fig. 5 (a).

또한, 제2 필터(420)는 공기 중의 냄새와 세균을 걸러주는 판형의 항균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430)는 리사이클링 가능한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필터의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420 may be a plate-shaped antibacterial filter for filtering odors and bacteria in the air. Also, the third filter 430 may be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durability that can be recycled.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된 실외공기는 제3 필터(430), 제2 필터(420), 제1 필터(410) 순으로 거쳐, 공기가 정화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실내공기는 제2필터(420), 제1 필터(410) 순으로 거쳐, 공기가 정화될 수 있으며, 실외공기 유입구(110) 및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각 제3 필터(430), 제2 필터(420), 제1 필터(410) 순으로 배치된 필터에 의하여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1, the out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0 flows through the third filter 430, the second filter 420, and the first filter 410 in this order, The in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0 can be purified through the second filter 420 and the first filter 410 in this order and the in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10 and the indoor air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20 can be purified by the filters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third filter 430, the second filter 420, and the first filter 410.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된 실외공기는 제3 필터(430), 제1 필터(410), 제2 필터(420) 순으로 거쳐, 공기가 정화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실내공기는 제1 필터(410), 제2필터(420) 순으로 거쳐, 공기가 정화될 수 있으며, 실외공기 유입구(110) 및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각 제3 필터(430), 제1 필터(410), 제2 필터(420) 순으로 배치된 필터에 의하여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2, the out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0 passes through the third filter 430, the first filter 410, and the second filter 420 in this order, The indoor air suppli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0 can be purified through the first filter 410 and the second filter 420 in this order and the outdoor air inlets 110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0 can be purified by the filters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third filter 430, the first filter 410, and the second filter 420.

제3 필터(430)는 오염도가 가장 심할 수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링 가능한 내구성이 강한 금속소재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필터(43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쉬망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filter 430 may be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durability that can be recycled becaus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ay be greatest. Illustratively, the third filter 430 has a porous structure through which air can pass, and may have a mesh net shape that removes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passing air.

제2 필터(420)는 초미세먼지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주름형 필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필터(420)는 여과되는 접촉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더블유 형상으로 다단 절곡하여 형성되는 주름형 필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필터(420)는 고분자분리막, 멜트브로운 부직포, 기타 부직포, 유리섬유, 숯가루 등의 여과재가 사용되는 필터일 수 있다.The second filter 420 may be a pleated filter configured to filter ultrafine dust. In other words, the second filter 420 may be a corrugated filter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folds in a W-shaped mann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to be filtered. Illustratively, the second filter 420 may be a filter using a filter material such as a polymer separator, a meltblown nonwoven fabric, other nonwoven fabric, glass fiber, or charcoal powder.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420)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3 필터(430)를 통과하여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할 수 있다.2 (a), the second filter 4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second filter 42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passes through the third filter 430, Can be subjected to secondary filtration.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필터(410)는 내경 중심부의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필터소재로 막혀있을 수 있다. 즉, 제1 필터(4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실린더형일 수 있다. 상술한 일측이란 도 2의 (b)의 2시 방향이고, 타측이란 도 2의 (b)의 8시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하에 한하지 않고, 제1 필터(410)는 주름형 판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 the first filter 410 may have one side of the inner diameter center portion open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clogged with the filter material. That is, the first filter 410 may be a cylindrical cylinder whose one side is open. The aforementioned one side may be the 2 o'clock direction of Fig. 2 (b), and the other side may be the 8 o'clock direction of Fig. 2 (b). However, the first filter 410 may be a corrugated plate.

이때, 송풍기(300)는 제1 필터(410)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고, 청정 공기 유출구(13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300)는 팬이 제1 필터(4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300)는 제2 필터(420) 및 제3 필터(43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제1 필터(4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기(300)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제1 필터(410)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형 송풍기(300)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wer 30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410 and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 air outlet 130 is located.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1, the blower 300 may be secured to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410 by a fan. In addition, the blower 300 may allow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 420 and the third filter 430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410. In other words, the blower 300 may be a suction type blower 300 that sucks outdoor air or indoor air into the first filter 410.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린더형의 제1 필터(410)를 사용함에 따라, 좀 더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clean air supplier 10 uses the cylindrical first filter 410, the air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하우징(100) 내부에 실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3 필터(430), 제2 필터(420), 제1 필터(410), 송풍기(300), 및 가열히터가 위치할 수 있으나, 각 구성의 배치 순서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The clean air supply unit 10 includes a third filter 430, a second filter 420, a first filter 410, a blower 300, and a heating heater in order from the outdoor side inside the housing 100 However,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 1을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유입되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가열하는 가열 히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열 히터(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 공기 유출구(130)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실외공기 유입구(110)에 위치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500 for heating the incoming air as needed. Illustratively, the heating heater 500 may be located at the clean air outlet 130, but not exclusively, at the outdoor air inlet 110, as shown in FIG.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일측이 제1 천공홀(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천공홀(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천공홀(21)에 삽입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가열 히터(500)가 위치할 수있다.1, the housing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so that one side of the housing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The heating heater 50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100 inserted into the first perforation hole 21.

콘트롤러는 메인 댐퍼(200) 및 송풍기(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의 양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실외 온도에 따라 가열 히터(500)를 온/오프 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main damper 200 and the blower 300 to control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room to maintain the positive pressure in the room and to control the heating heater 500 to turn on and off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

아울러, 콘트롤러는 메인 댐퍼(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an adjust the inflow amount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in damper 200.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콘트롤러를 통해 메인 댐퍼(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하우징(100)의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차단할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로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실외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차단할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로 실내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실내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user adjusts the angle of the main damper 200 through the controller to shut off the indoor air inlet 120 of the housing 100,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0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In addition, when the outdoor air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is blocked,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0.

또한, 메인 댐퍼(200)를 소정의 기울기로 조절함에 따라, 실내공기 유입구(120) 및 실외공기 유입구(110)의 개방정도가 조절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ndoor air inlet 120 and the outdoor air inlet 110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main damper 200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o that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Can be controlled.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하우징(100)의 외부 또는 실외공기 유입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y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way of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located at the exterior or at the outdoor air inlet of the housing 100.

이때, 콘트롤러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에 따라 가열 히터(5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콘트롤러는, 온도 센서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가열 히터(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an control whether the heater 500 is drive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llustratively, the controlle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nd operate the heater 500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또한,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염도 측정센서는 실외 및 실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Further, the clean air supplier 10 may further include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outside or the room. Illustratively, the pollution measurement sensors can be located outdoors and indoors, respectively.

또한, 콘트롤러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외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메인 댐퍼(2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오염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내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콘트롤러는 송풍기(300)의 세기를 조절하여, 신속하게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an block the outdoor air inlet 110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main damper 200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outdoor is high through the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In addition,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room is high through the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the controller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air blower 300 and clean the room air quickly.

이에 따라,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밀폐된 실내 생활공간에 신선한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소음을 가급적 줄이면서 유입외기의 풍량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can purify fresh outside air in the closed indoor living space and supply clean air,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ir volume and temperature of the inflow external air while reducing the noise as much as possible.

또한, 실외에 초미세먼지농도가 높을 경우, 실외공기 유입구(110)를 차단하여, 실내로 실외의 초미세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뿐만 아니라, 청정 공기의 유입 및 공급으로, 실내 산소 농도를 대기수준으로 유지시키고, 실내 양압을 유지하므로, 문틈이나 주방 배기용 후드 등을 통하여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냄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is high outside the room, the outdoor air inlet 110 is shut off to block ultrafine dust from entering the room, And the indoor positive pressure is maintained, so that inflow of fine dust and odor introduced through the door opening, the kitchen exhaust hood,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아울러, 가열 히터(500)를 통해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적정온도의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heat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eating heater 500 and supplying the air having the proper temperature 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easant indoor atmosphere that can maintain the health of the user.

또한,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내의 환기를 위해, 별도로 개문환기가 불필요하여, 겨울철 난방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oor ventilation for ventilation of the roo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ing cost in the winter season.

도 1을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결로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결로 배출관(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further includes a condensation discharge pipe 70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ousing 100 by condensation to the outside can do.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실외에 위치하여, 실외의 온도와 하우징(100)의 내부의 온도차가 발생하고, 공기가 냉각되어서 이슬점 이하가 되면 결로현상에 의하여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응축수는 결로 배출관(7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하우징(100)의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y unit 10 is located outdoors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s generated. When the air is cooled and becomes lower than the dew point,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t this time,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700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housing 10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제1 천공홀(21) 및 제2 천공홀(22)이 건축 구조물의 벽체(20)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100)이 벽체(20)의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1 to 4, the clean air supplier 10 includes a first air hole 21 and a second air hole 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using 100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wall 20.

또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이 창틀(30)의 모서리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우징(100)이 창틀(30)의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6 and 7, the clean air supplier 10 includes a first perforation hole 31 and a second perforation hole 3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window frame 30, The housing 100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 or indoors.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창틀(30)에 설치되는 청정 공기 공급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6 to 10, the clean air supply device 10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창틀(30)의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정 공기 공급기(10)가 실외에 설치될 경우, 도 8의 (b)를 참조하면, 창틀(30)에는 2개의 천공홀, 즉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이 형성되고, 청정 공기 공급기(10)가 실내에 설치될 경우,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창틀(30)에는 하나의 천공홀, 즉 제1 천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y 10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window frame 30 or indoors. 8 (b), the window frame 30 is provided with two perforation holes, that is, a first perforation hole 31 and a second perforation hole (not shown) 10 (b), when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is installed in the room, one perforation hole, that is, a first perforation hole 31 is formed in the window frame 30 .

창틀(30)에는 모서리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은 창틀(30)의 상부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window frame 30 may have a first perforation hole 31 and a second perforation hole 3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ner. 8B, the first perforation hole 31 and the second perforation hole 3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frame of the window frame 30, respectively, have.

도 6을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에는 실내공기 유입구(120)가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 유입관(600)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indoor air inlet 12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n indoor air inlet pipe 60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clean air supplier 10.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청정 공기 공급기(10)에는 무동력 경량 보조댐퍼(201)를 설치하기 위해, 실내공기 유입구(120)가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실내 공기 유입관(600)은 제2 천공홀(32)과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실내공기 유입구(120)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7, in order to install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201 in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an indoor air inlet 120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an indoor air inlet pipe 600 May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erforation hole 32 and the indoor air inlet 1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또한,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도 8의 (a)를 참조하면, 창틀(30)에 하우징(10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a), the clean air supply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800 for fixing the housing 100 to the window frame 30.

지지 플레이트(800)는 제1 천공홀(31)과 제2 천공홀(32)이 형성된 창틀(30)의 모서리부에 고정되고, 판형의 ‘ㄱ’ 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천공홀(31)과 제2 천공홀(32)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800)는 고정 나사홀(830)를 통해 창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800)는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과 대등되는 위치에 각각 제1 플레이트 홀(810) 및 제2 플레이트 홀(8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800 is fixed to an edge of the window frame 30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31 and 32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 And the support plate 800 may be fixed to the window frame 30 through the fixing screw hole 830. The support plate 800 may be fixed to the window frame 30 through the fixing screw hole 830. [ . The support plate 800 may have a first plate hole 810 and a second plate hole 8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31 and 32, respectively.

청정 공기 공급기(10)는 지지 플레이트(800)를 이용하여 창틀(3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The clean air supply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window frame 30 using the support plate 800.

다시 말해, 지지 플레이트(800)는 창틀(30)의 실외 또는 실내 모서리부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에 청정 공기 공급기(10)가 고정되고, 판형의 ‘ㄱ’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창틀(30)의 제1 천공홀(31) 및 제2 천공홀(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플레이트 홀(810) 및 제2 플레이트 홀(820)을 포함한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plate 8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door or indoor edge of the window frame 30, the clean air supplier 10 is fixed to the other side, and the 'A' or ' And a first plate hole 810 and a second plate hole 820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31 and 32 of the window frame 30.

또한, 지지 플레이트(800)는 지지 플레이트(800)를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나사홀(830)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plate 8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screw holes 830 into which screws are inserted to fix the support plate 800 to the window frame.

이하,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청정 공기 공급기(10)가 설치되는 창틀(3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10, the window frame 30 provided with the clean air supply device 10 will be described.

창틀(30)은 청정 공기 공급기를 고정부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천공홀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30)의 상부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측면프레임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window frame 30 is fixedly attached with a clean air supply unit and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perforation holes. Illustratively, the perfor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frame of the window frame 30 as shown in FIG. 8 (b), but not necessarily in the side frame.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천공홀(33)은 청정 공기 공급기(10)를 창틀(30)의 실내측에 고정부착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외부 공기 천공홀(33)일 수 있다. 외부 공기 천공홀(33)은, 청정 공기 공급기(10)가 창틀(30)의 실내측에 고정되고, 외부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10 (b), the perforation hole 33 is formed in an outer air vent hole 33 for allowing external air to flow in order to securely attach the clean air supplier 10 to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30 . The outside air perforation hole 33 may be a hole through which the clean air supplier 1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30 and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천공홀(31, 32)은 청정 공기 공급기(10)를 창틀(30)의 실외측에 고정부착되기 위하여, 실내 공기 유동 천공홀(32) 및 정화공기 공급 천공홀(31)를 포함할 수 있다.8 (b), the perforation holes 31 and 32 are formed in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32 and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32 so that the clean air supplier 10 can be fixedly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window frame 30. [ And an air supply perforation hole 31.

또한, 실내 공기 유동 천공홀(32) 및 정화공기 공급 천공홀(31)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내 공기 유동 천공홀(32) 및 정화공기 공급 천공홀(31)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될 경우, 창틀(30)의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고, 실내 공기 유동 천공홀(32) 및 정화공기 공급 천공홀(31)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될 경우, 창틀(30)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32 and the purified air supply perforation hole 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or example, when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32 and the purified air supply perforation hole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32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of the window frame 30, And the purge air supply perforation hole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천공홀을 가진 창틀(30)은 천공홀(31, 32, 33)에 삽입되어, 청정 공기 공급기(30)의 미설치시 천공홀(31, 32, 33)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rame 30 having the perfora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and 33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perforation holes 31, 32 and 33 when the clean air supplier 30 is not installed. (Not shown).

또한, 마개는 창틀(30)에 형성된 천공홀(31, 32, 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홀(31, 32, 33)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개는 천공홀(31, 32, 33)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마개는 천공홀(31, 32, 33)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자가 마개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천공홀(31, 32, 33)에 삽입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부는 천공홀(31, 32, 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천공홀(31, 32, 33)에 완전히 삽입되고, 돌출부는 삽입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는 착탈 및 밀폐가 용이하도록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removably formed in the perforation holes 31, 32, 3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33 formed in the window frame 30. Illustratively, the stopper can be located on both open sides of the perforation holes 31, 32, 33, respectively. The stopper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and 33 and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when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and 3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stopper. have. In other words,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33 and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s 31, 32, 33. The protrus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 Further, the stopp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sealing.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청정 공기 공급기 20 : 벽체
21 : 제1 천공홀 22 : 제2 천공홀
30 : 창틀 31 : 제1 천공홀
32 : 제2 천공홀
100 : 하우징 110 : 실외공기 유입구
120 : 실내공기 유입구 130 : 청정 공기 유출구
200 : 메인 댐퍼 201 :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
300 : 송풍기
410 : 제1 필터 420 : 제2 필터
430 : 제3 필터 500 : 가열 히터
600 : 실내공기 유입관
800 : 지지 플레이트 810 : 제1 플레이트 홀
820 : 제2 플레이트 홀 830 : 고정 나사홀
10: clean air supply 20: wall
21: first perforation hole 22: second perforation hole
30: window frame 31: first perforation hole
32: second perforation hole
100: housing 110: outdoor air inlet
120: indoor air inlet 130: clean air outlet
200: main damper 201: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300: blower
410: first filter 420: second filter
430: third filter 500: heating heater
600: indoor air inlet pipe
800: Support plate 810: First plate hole
820: second plate hole 830: fixing screw hole

Claims (11)

청정 공기 공급기의 결합을 위한 창틀 결합용 지지 플레이트에 있어서,
창틀의 실외 또는 실내 모서리부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에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되고, 판형의 'ㄱ'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창틀의 제1 및 제2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홀을 포함하고,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 상기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 하부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 상기 하부면과 인접한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 및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되며,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1 천공홀과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단이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2 천공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결된 실내공기 유입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측면의 교차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 공기 유입구의 차단 상태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량을 조절하는 메인 댐퍼;
상기 하우징 내의 청정 공기 유출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형 또는 토출형 송풍기;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와 상기 메인 댐퍼의 결합 영역 사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으로 인해 실내 공기 유입구를 개방 또는 상기 송풍기 미 작동시 자중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
상기 메인 댐퍼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외부 또는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댐퍼의 실외 공기 유입구 또는 실내 공기 유입구의 차단상태를 조절하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외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를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 위치시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댐퍼에 의하여 상기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도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게 되는 것인 지지 플레이트.
A support plate for a window frame coupling for coupling a clean air supply,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holes of the window frame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outdoor or indoor corner of the window frame and the clean air supplier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frame in the shape of ' And first and second plate holes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 clean air supp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first side,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 lower surface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 indoor air inlet, an outdoor air inlet formed at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nd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 second perforated hole formed at the second side, the first perforation hole being perforated in a building structure or window frame, A housing having a clean air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 indoor air inlet pipe connected to a second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building structure or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And a hing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a first side surface of the outdoor air inflow port, wherein the indoor air inflow port or the outdoor air inflow port is interposed between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the outdoor air inflow port, A main damper for controlling an inflow amount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o the housing;
A suction or discharge blower disposed adjacent to the clean air outlet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 flow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One or more filters to filter the incoming air;
The indoor air inlet is hing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coupled area of the main damper and has an area covering the indoor air inlet. Due to the wind power of the blower, the indoor air inlet is opened or the indoor air inlet A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for blocking the room air inle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in damper and the blower; And
And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outside or the room,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indoor air inlet of the main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main damper blocks the outdoor air inlet so that the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nterrupts the indoor air inlet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s operat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main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by the main damp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나사홀이 형성된 것인 지지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fixing screw holes into which screws are inserted to fix the support plate to the window frame.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에 있어서,
청정 공기 공급기가 고정부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 상기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 하부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 상기 하부면과 인접한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 및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되며,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1 천공홀과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단이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2 천공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결된 실내공기 유입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측면의 교차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 공기 유입구의 차단 상태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량을 조절하는 메인 댐퍼;
상기 하우징 내의 청정 공기 유출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형 또는 토출형 송풍기;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와 상기 메인 댐퍼의 결합 영역 사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으로 인해 실내 공기 유입구를 개방 또는 상기 송풍기 미 작동시 자중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
상기 메인 댐퍼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외부 또는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댐퍼의 실외 공기 유입구 또는 실내 공기 유입구의 차단상태를 조절하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외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를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 위치시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댐퍼에 의하여 상기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도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게 되는 것인 창틀.
In a window frame on which a clean air supply is installed,
A clean air supply unit is fixedly attached, at least one or more perforation holes are formed,
The clean air supp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first side,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 lower surface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 indoor air inlet, an outdoor air inlet formed at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nd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 second perforated hole formed at the second side, the first perforation hole being perforated in a building structure or window frame, A housing having a clean air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 indoor air inlet pipe connected to a second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building structure or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And a hing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a first side surface of the outdoor air inflow port, wherein the indoor air inflow port or the outdoor air inflow port is interposed between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the outdoor air inflow port, A main damper for controlling an inflow amount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o the housing;
A suction or discharge blower disposed adjacent to the clean air outlet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 flow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One or more filters to filter the incoming air;
The indoor air inlet is hing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coupled area of the main damper and has an area covering the indoor air inlet. Due to the wind power of the blower, the indoor air inlet is opened or the indoor air inlet A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for blocking the room air inle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in damper and the blower; And
And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outside or the room,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indoor air inlet of the main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main damper blocks the outdoor air inlet so that the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nterrupts the indoor air inlet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s operat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main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by the main damper.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는 상기 창틀의 실내측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천공홀은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로 공급하는 외부 공기 천공홀을 포함하는 것인 창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lean air supply device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frame,
The perforation hole
And an outdoor air vent hole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supplied to the clean air suppli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는 상기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천공홀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로 공급하는 실내 공기 유동 천공홀; 및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정화 공기 공급 천공홀을 포함하는 것인 창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lean air supply device is fixedly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window frame,
The perforation hole
An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for introducing indoor air into the clean air supply unit; And
And a purge air supply hole for supplying purge air to the room through the clean air suppli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유동 천공홀 및 정화공기 공급 천공홀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인 창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door air flow perforation hole and the purified air supply perforation hole are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의 미설치시 상기 천공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창틀.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ap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perforated hole when the clean air supplier is not installed.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은 청정 공기 공급기의 청정공기 유출구 또는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천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천공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청정 공기 공급기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 상기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 하부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구, 상기 하부면과 인접한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공기 유입구, 및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되며,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1 천공홀과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단이 건축 구조물 또는 창틀에 천공된 제2 천공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결된 실내공기 유입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측면의 교차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또는 실외 공기 유입구의 차단 상태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량을 조절하는 메인 댐퍼;
상기 하우징 내의 청정 공기 유출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형 또는 토출형 송풍기;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와 상기 메인 댐퍼의 결합 영역 사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으로 인해 실내 공기 유입구를 개방 또는 상기 송풍기 미 작동시 자중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
상기 메인 댐퍼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외부 또는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댐퍼의 실외 공기 유입구 또는 실내 공기 유입구의 차단상태를 조절하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외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메인 댐퍼를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실외공기 유입구 사이에 위치시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메인 댐퍼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댐퍼에 의하여 상기 무동력 경량 보조 댐퍼도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차단하게 되는 것인 마개.
CLAIMS 1. A cap for closing a perforation hole formed in a window frame on which a clean air supply device is installed,
The perforation hole is connected to a clean air outlet or an indoor air inlet of the clean air supplier,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perforation hole,
The clean air supp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first side,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 lower surface coupled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 indoor air inlet, an outdoor air inlet formed at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and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 second perforated hole formed at the second side, the first perforation hole being perforated in a building structure or window frame, A housing having a clean air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 indoor air inlet pipe connected to a second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building structure or the window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door air inlet;
And a hing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a first side surface of the outdoor air inflow port, wherein the indoor air inflow port or the outdoor air inflow port is interposed between the indoor air inflow port and the outdoor air inflow port, A main damper for controlling an inflow amount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o the housing;
A suction or discharge blower disposed adjacent to the clean air outlet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 flow of indoor air or outdoor air;
One or more filters to filter the incoming air;
The indoor air inlet is hing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coupled area of the main damper and has an area covering the indoor air inlet. Due to the wind power of the blower, the indoor air inlet is opened or the indoor air inlet A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for blocking the room air inle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in damper and the blower; And
And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outside or the room,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indoor air inlet of the main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main damper blocks the outdoor air inlet so that the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nterrupts the indoor air inlet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or the main damper is operated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main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the non-powered lightweight auxiliary damper blocks the indoor air inlet by the main damper.
삭제delete
KR1020180019444A 2018-02-19 2018-02-19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KR101947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44A KR101947018B1 (en) 2018-02-19 2018-02-19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44A KR101947018B1 (en) 2018-02-19 2018-02-19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464A Division KR101860904B1 (en) 2016-12-12 2016-12-12 Clean air supply device, support plate supportting the same and window farame insta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465A KR20180067465A (en) 2018-06-20
KR101947018B1 true KR101947018B1 (en) 2019-02-12

Family

ID=6276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444A KR101947018B1 (en) 2018-02-19 2018-02-19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017A (en) * 2019-08-13 2019-11-29 浙江辛乙堂木业有限公司 A kind of steel timber door
CN111811072A (en) * 2020-07-10 2020-10-23 柒贰零(北京)健康科技有限公司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and system combining indoor and outdoor pollutant st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4732A (en) * 2018-07-11 2018-12-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M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room
CN109579208B (en) * 2018-12-04 2021-06-15 远大洁净空气科技有限公司 Comfortable energy-saving fresh air machin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KR102261751B1 (en) * 2019-07-12 2021-06-08 (주)화이컴 Ventilation clean air supply system
CN110375400B (en) * 2019-07-31 2020-12-29 李怡怡 Split type new trend device in kitchen
KR102210161B1 (en) * 2019-12-19 2021-02-02 주식회사 반석기술융합 Hybrid air purification system
KR102385957B1 (en) * 2020-08-14 2022-04-12 주식회사 인텀 Insect screen having air curtain
KR102541117B1 (en) * 2021-03-09 2023-06-13 (주)그렉스 Window-Mounted Ventilation with Air Cleaning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098Y1 (en) * 2004-01-30 2004-05-12 노재용 Window frame strcuture having a ventilation and air cleanness function
KR100622111B1 (en)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Ventilation device with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window frame
KR200469494Y1 (en) * 2012-06-15 2013-10-17 이성국 ventilatio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35U (en) * 1992-01-14 1994-03-25 智親 松本 Nodal ventilator
KR20030081915A (en) * 2002-04-15 2003-10-22 주식회사 대성건업 a sectional window frame
KR101734615B1 (en) * 2014-04-11 2017-05-11 (주)엘지하우시스 Automatic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098Y1 (en) * 2004-01-30 2004-05-12 노재용 Window frame strcuture having a ventilation and air cleanness function
KR100622111B1 (en)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Ventilation device with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window frame
KR200469494Y1 (en) * 2012-06-15 2013-10-17 이성국 ventilation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017A (en) * 2019-08-13 2019-11-29 浙江辛乙堂木业有限公司 A kind of steel timber door
CN110513017B (en) * 2019-08-13 2021-02-19 浙江辛乙堂木业有限公司 Steel-wood door
CN111811072A (en) * 2020-07-10 2020-10-23 柒贰零(北京)健康科技有限公司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and system combining indoor and outdoor pollutant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465A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018B1 (en)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KR101860904B1 (en) Clean air supply device, support plate supportting the same and window farame installing the same
KR101860891B1 (en) Wall penetration type selectively clean air supply system
KR101864160B1 (en) Dual window air cleaner
US5616172A (en) Air treatment system
KR101959671B1 (en) Combined Type Fan Coil Unit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ion and Air purifier
CN109952140A (en) The room air washer that low noise, ceiling are installed
US2015035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irborne Contamination
CN103298494B (en) Air cleaning system
CN108194987A (en)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indoor set
KR101518624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ir ventilation
KR10200862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outside air type fresh air unit for an affix ceiling
CN108224588A (en) For the cleaning module and window air conditioner of window air conditioner
KR101457444B1 (en) Plasma air cleaner
KR20100082430A (en)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 room purifying filter and heat exchanger
CN105570998A (en) Fresh air and air purification dual-purpose system
KR102261751B1 (en) Ventilation clean air supply system
KR101001435B1 (en) Out air intake type bio ceramic air cleaner
KR102186948B1 (en) Air purifier for window
WO2019194333A1 (en) Clean air supplier,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clean air supplier, window frame on which clean air supplier is installed, and plug for blocking bored hole formed in window frame
KR102383783B1 (en) Energy saving air purification type ventilation system linked with weather information
JP2006250396A (en) Smoking room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377288Y1 (e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20100106173A (en) Air sterilization ventilation system
CN203893322U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