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814B1 -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814B1
KR101946814B1 KR1020170136298A KR20170136298A KR101946814B1 KR 101946814 B1 KR101946814 B1 KR 101946814B1 KR 1020170136298 A KR1020170136298 A KR 1020170136298A KR 20170136298 A KR20170136298 A KR 20170136298A KR 101946814 B1 KR101946814 B1 KR 10194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social
user terminal
social story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선희
김정빈
Original Assignee
윤선희
김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희, 김정빈 filed Critical 윤선희
Priority to KR102017013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of sharing a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comprising: a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combining the short story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a social story sharing unit for sharing the social story with a shared us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ocial story; and a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for evaluating the social stories from the at least one creating user terminal and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 Therefore, the apparatus of sharing a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has the effect of sharing stories about specific topics with many people.

Description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0001]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0002] BASED ON GEO-INFORMATION [0003]

본 발명은 소셜 스토리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주제에 관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story shar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social story sharing device capable of sharing a story about a specific topic with various people.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다양한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많은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다양한 의견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동시에, 남에게 불쾌한 감정을 줄 수 있는 과격한 표현들로 인해 사람들 간의 다툼을 확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주로 활동하는 전문 커뮤니티와 일반 사람들이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일반 커뮤니티로 분류할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centering on the Internet provides a space where various people can communicate and produces a lot of contents.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the advantage of collecting various opinions together and have the disadvantage of expanding the contention among people because of the intense expressions that can give unpleasant feelings to others.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e categorized as professional communities in which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a particular topic are active, and general communities in which people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topic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349(2017.06.29)호는 영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스토리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영상을 이어 붙여가면서 스토리를 만들어가도록 하되, 참여에 따라 완성되어 가는 일련의 영상들에 후속할 영상을 제공하는 것만으로 영상으로 이루어진 직관적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고 완성된 콘텐츠를 확인 및 공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참여 기회를 공유하여 파생되는 다양한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참여에 따라 직관적이면서도 다양한 유추가 가능한 콘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54349 (Jul. 27, 2019) discloses a video story sharing service system based on image participation and a service apparatus for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story The user can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intuitive content composed of images and confirm and share the completed contents by providing the subsequent images to the series of image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nd share contents that are intuitive and various inferences according to simple participation.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540(2015.12.08)호는 감정공유가 가능한 공감댓글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서버는 복수의 감정표현정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감감정표현 DB를 가지고, 제어서버가 원문 단말기로부터 원문 및 선택된 감정표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어서버가 상기 원문 및 선택된 감정표현정보가 속한 공감 감정표현DB를 댓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제어서버가 일 댓글 단말기로부터 댓글 및 공감감정표현DB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정표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7540 (Aug. 20, 2018)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sympathetic comment service capable of sharing emo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erver for providing at least one sympathetic emotional expression DB composed of a plurality of emotional expression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receiving the original sentence and the selected emotional expression information from the original terminal, the control server providing the emotional emotional expression DB to which the original sentence and the selected emotional expression information belong to the comment terminal, And receiving at least one emotional expressi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mment and empathetic emotional expression DB.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349(2017.06.29)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54349 (June 27, 2017)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540(2015.12.08)호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7540 (Aug. 20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주제에 관한 스토리를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ographic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device capable of sharing a story about a specific topic with a plurality of peo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수에 관한 스토리를 여러 사람들이 협동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스토리를 해당 보호수와 연관된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ographic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device that enables a plurality of people to collaboratively write a story about a protected number and share the created story with peopl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protection nu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수에 관한 소셜 스토리를 평가하고 평점이 높은 스토리를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geographic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device capable of evaluating social stories about protected numbers and allowing multiple people to share high-rated stories.

실시예들 중에서,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고 상기 단편 스토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는 소셜 스토리 생성부, 상기 소셜 스토리의 지리정보와 연관된 공유 사용자 단말에 상기 소셜 스토리를 공유하는 소셜 스토리 공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소셜 스토리 평가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includes a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combining the short story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A social story sharing unit that shares the social story with a shared us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tory, and a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that performs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from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the non-authoring user terminal.

상기 소셜 스토리 생성부는 상기 단편 스토리가 특정 개수만큼 수신된 경우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single social story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short stories are received.

상기 소셜 스토리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단편 스토리를 배치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one social story by arranging the short story according to the order set by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상기 소셜 스토리 공유부는 상기 소셜 스토리와 연관된 상기 특정 보호수의 지리정보 및 상기 작성 사용자 단말의 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may determine the shar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associated with the social story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

상기 소셜 스토리 공유부는 상기 단편 스토리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특정 보호수와 연관시켜 상기 공유 사용자 단말에 공유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may share the shared story with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each time the short story is received.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결과의 가중합으로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may evaluate the social story by a weighted sum of evaluation result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the non-authoring user terminal.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에 참여한 상기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상기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보다 적어도 2배인 경우에만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may evaluate the social story only when the number of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특정 기간동안 이루어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may evaluate the social story by reflecting an evaluation result made during a specific perio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는 보호수에 관한 스토리를 여러 사람들이 협동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스토리를 해당 보호수와 연관된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The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 story about the protection number in cooperation with several people and share the created story with people related to the protection nu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는 보호수에 관한 소셜 스토리를 평가하고 평점이 높은 스토리를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다.The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valuate a social story about the protection number and share a story with a high sc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지리정보를 기초로 특정 보호수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보호수에 관한 이야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by a social story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a story about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6A to 6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ocial story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y about a protection number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시스템(100)(이하, 소셜 스토리 공유 시스템이라 한다.)은 사용자 단말(110),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1, a geographic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system 100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150, and a story database 170 .

사용자 단말(110)은 보호수에 관한 스토리를 열람하고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110a), 노트북(110b) 또는 컴퓨터(110c)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is a computing device that is used to view and share stories about protection numbers.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by a smart phone 110a, a notebook 110b, or a computer 110c, and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10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via Bluetooth, WiFi, or the like,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via the network.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보호수에 대한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단편 스토리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작성 사용자 단말과 특정 보호수에 대한 단편 스토리 및 소셜 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작성 사용자 단말이 아닌 비작성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보호수에 대한 소셜 스토리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includes a creating user terminal capable of creating and providing a short story necessary for generating a social story for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a short story for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and a shared user It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Also,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non-creating user terminal other than the creating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an evaluation score by performing an evaluation on a social story about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공공재에 관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ublic database 130 is a database for storing data on public goods. The public database 1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via Bluetooth, WiFi, or the like.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공공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일반인들이 관련 정보를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public database 130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public information and provides services that the public can freely access and use related information.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산림청이 제공하고 보호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호수 데이터베이스, 한국환경공단이 제공하고 지도기반의 미세먼지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대기오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셜 스토리 작성 및 공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The public database 130 may include a protection number database provided by the Forest Servic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tection numbers, an air pollution information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providing map-based micro dus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atabase ha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a social story creation and sharing service.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고, 공공기관이 아닌 사설기관이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 저장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시나 이야기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The public database 130 may correspond to a database operated by a public institution, may correspond to a database operated by a private institution rather than a public institution, and may correspond to various information storage devices functioning as a database have. For example, the public database 130 may correspond to an Internet site that has access to a story or story related to a particular topic.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공공 데이터베이스(130)와 연결되어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소셜 스토리 생성 및 공유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creating and sharing a social story related to a specific topic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and sharing the same.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ublic database 130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ing and sharing a social story from the public database 130. [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블루투스 또는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story database 170 and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story database 170. [ When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story database 170,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be wired to the story database 170, wirelessly connected via Bluetooth or WIFI, Lt; / RTI >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소셜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는 보호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특정 보호수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 및 소셜 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는 단편 스토리 및 소셜 스토리 작성에 참여한 작성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 공유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 및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셜 스토리 생성 및 공유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y database 170 is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social storie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Story database 17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protection numbers, and may store short story and social stories associated with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The story database 17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creating user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of the short story and the social story, information on the shared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sharing.

도 2는 도 1에 있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보호수 데이터 가공부(210),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includes a protection number data processing unit 210, a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a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a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90 ).

보호수 데이터 가공부(210)는 보호수에 대한 데이터를 공공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수집한 후 소셜 스토리 생성 및 공유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tection number data processing unit 210 may collect data on the protection number from the public database 130 and then process the data in a form usable for creating and sharing a social story and store the data in the story database 170. [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수 데이터 가공부(210)는 산림청이 제공하는 공공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한 후 보호수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보호수 메타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파싱 과정을 통해 필요한 정보들만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수 데이터 가공부(210)는 공공데이터로부터 보호수를 식별할 수 있는 보호수 아이디, 보호수에 관한 설명, 보호수의 위치정보 및 보호수 사진 등을 포함하는 보호수 정보를 추출하여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on number data processing unit 210 can collect public data on the protection number after accessing the public database 130 provided by the forest service, and performs a data parsing process on the collected protection number metadata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the protection number data processing unit 210 may include protection number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protection number from the public data, a description of the protection numb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ion number, And store it in the story database 170.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편 스토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할 수 있고, 특정 보호수와 연관시켜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may receive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combine at least one short story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More specifically, 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may receive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may store the short story in the story database 170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한 경우, 단편 스토리와 연관된 보호수 아이디, 단편 스토리의 내용, 단편 스토리의 배치 순서, 단편 스토리의 작성자 및 단편 스토리를 제공한 작성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편 스토리 정보를 특정 보호수와 연관시켜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ort story related to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is received,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short story by associating the protection number ID associated with the short story, the content of the short stor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hort story, To the story database 170 in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단편 스토리가 특정 개수만큼 수신된 경우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가 미리 설정된 개수인 9개만큼 수신된 경우, 9개의 단편 스토리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연결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고,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해당 보호수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ingle social story when a certain number of short story stories are received. For example, when nine short stories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are received by a predetermined number,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connects nine short stories in order in a predetermined order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in association with the protection number.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순서에 따라 단편 스토리를 배치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해당 보호수에 연관된 단편 스토리의 배치 순서에 따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단편 스토리를 차례대로 저장할 수 있고, 생성된 하나의 소셜 스토리도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ingle social story by arranging a short story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set by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store the short story stories in turn in the story database 17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hort story related to the protection number, and may also store the generated one social story.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가 특정 개수만큼 수신된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 단편 스토리를 제공한 작성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단편 스토리 배치 순서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단편 스토리 개수가 9개이고, 9번째 단편 스토리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이 배치 순서를 함께 수정한 경우라도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8번째 단편 스토리를 제공한 사용자가 설정한 배치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단편스토리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고, 해당 순서에 따라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certain number of short stories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are received,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can ignore the short story arrangement order set by the creating user terminal that provided the last short story. For example, even if the number of preset short story stories is nine and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ninth short story story modifies the arrangement order,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generate the short story The short stories can be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in ord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a single social story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rder.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소셜 스토리의 지리정보와 연관된 공유 사용자 단말에 소셜 스토리를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소셜 스토리와 연관된 특정 보호수의 위치정보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특정 보호수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여 해당 소셜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share a social story with a shared us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ocial story. More specifically,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can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associated with the social story from the story database 170, The terminal can be searched to provide a corresponding social story.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소셜 스토리와 연관된 특정 보호수의 지리정보 및 작성 사용자 단말의 지리정보를 기초로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보호수의 위치정보 및 작성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을 공유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determine the shar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associated with the social story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can determine a specific area range including bo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ion numb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determine the user terminal existing in the area range as a shared user terminal .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보호수 및 작성 사용자 단말의 위치 각각을 기준으로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을 공유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보호수 및 작성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변형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can determine a user terminal existing within a specific distance as a shar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rotection number and the creat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can determine the shared user terminal in various ways that can be modified based on the number of protections and the location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단편 스토리가 수신될 때마다 특정 보호수와 연관시켜 공유 사용자 단말에 공유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해당 보호수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를 공유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공유 사용자 단말이 해당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제공하도록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share with the shared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each time a short story is received.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provide a short story related to the protection number to the shared user terminal so as to induce participation so that the shared user terminal provides a short story related to the protection number.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사용자 단말(110)에 소셜 스토리에 대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270 can perform an evaluation of a social story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a non-author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provide an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110 to perform an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an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through the interface .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작성 사용자 단말의 과반수 이상과 특정 수 이상의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모두 평가에 참여한 경우에만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있고,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수는 최종 평가 점수 결정에 필요한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평가 수를 의미하며, 일 실시예에서, 특정 수는 평가에 참여한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의 적어도 2배에 해당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작성 사용자 단말의 과반수 이상이 평가에 참여한 경우라도 평가에 참여한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특정 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 정보들을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하고 특정 수 이상의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에 참여할 때까지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determine a final rating score for the social story only if more than a half of the authoring user terminals and a certain number or more of non-authoring user terminals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170). Here, the specific number refers to the number of evaluations of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s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final evaluation score, and in one embodiment, the specific number may be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created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If the number of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does not exceed the specified number,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transmits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ocial story to the story database 170 And may not determine the final score until a certain number of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결과의 가중합으로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점수에 0.3의 가중치를,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점수에 0.7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각각의 평가 점수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있고,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해당 소셜 스토리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perform an evaluation of a social story by weighted sum of evaluation results received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a non-authoring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270 may assign a weight of 0.3 to the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a weight of 0.7 to the evaluation score received from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add the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espective evaluation scores by the weights to determine the final evaluation score for the social story, and store it in the story database 170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ocial story.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에 참여한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평가에 참여한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보다 적어도 2배인 경우에만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평가에 참여한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모두 과반수를 넘은 경우에도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보다 2배를 넘지 않으면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보류할 수 있고,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보다 2배를 넘길 때까지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perform an evaluation of a social story only if the number of non-author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author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 If both the number of non-creating user terminals and the number of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exceeds a majority, the number of non-creating user terminals does not exceed twice the number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evaluates And the final score may not be determined until the number of non-creating user terminals exceeds twice the number of creating user terminals.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9명인 경우 최소 5명의 작성 사용자 단말이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5명의 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를 수행한 경우 최소 10명의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에 참여한 경우에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6명의 작성 사용자 단말이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경우 최소 12명의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에 참여한 경우에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is nine, at least five creating user terminals perform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and when five creating user terminals perform the evaluation, Non-writing If the user terminal participates in the evaluation, the final score of the social story can be determined. If at least six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may determine the final evaluation score of the corresponding social story.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기간동안 이루어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기간이 7일로 설정된 경우 7일 동안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7일 동안 과반수 미만의 평가만 이루어진 경우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없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최종 평가 점수가 결정된 소셜 스토리 중 평가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메인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perform an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 made during the specific period. For example,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may evaluate the social story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 for 7 days when the specific period is set to 7 days.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not determine the final evaluation score for the social story in the case where only the evaluation less than the majority is made for 7 days.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can provide the main score in the order of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ocial stories for which the final score is determined.

제어부(290)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보호수 데이터 가공부(210),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 및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150 and includes a protection number data processing unit 210, a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a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and a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 Of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도 3은 도 1에 있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based social story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를 통해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고 특정 수의 단편 스토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10).3,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receive a short story from a creating user terminal through 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and combine a specific number of short stories to generate a single social story Step S310).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편 스토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may receive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combine at least one short story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by a social story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를 통해 특정 보호수(410)에 대한 단편 스토리(450)를 수신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특정 보호수(410)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430) 및 가장 최근 수신한 단편 스토리(450)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4,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receive the short story 450 for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410 through the social story generating unit 230. [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store the short story 430 and the most recently received short story 450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410 in the story database 170. [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가장 최근 수신한 단편 스토리(450)를 제공한 작성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순서에 따라 단편 스토리를 배치하여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may arrange the short story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set by the creating user terminal that has provided the most recently received short story 450, and store the short story in the story database 170.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보호수(410)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430)의 배치 순서가 사용자 글 1, 2, …, n 순서였지만 가장 최근 수신한 단편 스토리(450)를 제공한 작성 사용자 단말이 단편 스토리(430)의 배치 순서를 사용자 글 2, n, n+1, …, 1 순서로 변경한 결과, 소셜 스토리 생성부(230)는 사용자 글 2, n, n+1, …, 1 순서로 단편 스토리를 배치하여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hort story 430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410 is shown in FIG. n, n + 1, ..., n,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hort story 430 is the ordering order of the short story 420, , 1,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user story 2, n, n + 1, ..., , The short story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of 1 and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를 통해 소셜 스토리의 지리정보와 연관된 공유 사용자 단말에 소셜 스토리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330).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share the social story with the shared us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ocial story through the social story sharing part 250 (step S330).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소셜 스토리와 연관된 특정 보호수의 위치정보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특정 보호수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여 해당 소셜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거리는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를 통해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can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associated with the social story from the story database 170 and searches for a shared user terminal existing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You can provide that social story. Here, the specific distance can be set manually through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and can be automatically set in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지리정보를 기초로 특정 보호수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a story about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를 통해 공유 사용자 단말(550)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공유 사용자 단말(550)의 지리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보호수(510)를 검색하거나 특정 지역 범위 내에서 작성된 단편 스토리(530)를 검색할 수 있다.5, the social story sharing apparatus 150 can determine the shared user terminal 550 through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acquire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hared user terminal 550,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protection number 510 existing within a specific area range or search for a short story 530 created within a specific area range.

예를 들어, 공유 사용자 단말(550)에 포함된 GPS를 이용하여 현재 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지리정보를 기초로 현재 공유 사용자 단말(550)이 있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2km 이내에 존재하는 보호수 또는 반경 2km 이내에서 작성된 단편 스토리를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서 검색할 수 있다. 해당 지역 범위 내에 보호수(510) 또는 단편 스토리(530)가 존재하는 경우,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공유 사용자 단말(550)에 검색된 보호수(510) 및 단편 스토리(530)를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rent geographical information can be received using the GPS included in the shared user terminal 550, and the location of the current shared user terminal 550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can search the story database 170 for a protection story existing within a radius of 2 km or a short story created within a radius of 2 km around the calculated position. If there is a protection number 510 or a short story 530 in the area range,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provides the retrieved number of protections 510 and the short story 530 to the shared user terminal 550 You can share.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공유 사용자 단말(550)에 검색된 보호수(510) 및 해당 보호수(510)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를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공유부(250)는 공유 사용자 단말(550)에 검색된 단편 스토리(530)를 해당 단편 스토리(530)와 연관된 보호수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provide the shared user terminal 550 with the retrieved number of protections 510 and the short stor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protections 510 in ord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250 may provide the retrieved short story 530 to the shared user terminal 550 with the number of protections associated with that short story 530. [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를 통해 작성 사용자 단말 및 공유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50).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evaluate the social story from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the shared user terminal through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step S350).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결과의 가중합으로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작성 사용자 단말의 과반수 이상이 평가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고, 비작성 사용자 단말은 평가에 참여한 작성 사용자 단말 수의 적어도 2배가 평가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evaluate the social story by weighted sum of the evaluation results received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the non-author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may allow more than half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and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 may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보호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 단편 스토리가 작성된 경우 자동으로 해당 보호수의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보호수에 대해 단편 스토리를 제공한 작성 사용자 단말도 해당 보호수의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automatically evaluate the social story of the protection number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short stories are created for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may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of the corresponding protection number by the creating user terminal providing the short story for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보호수에 대해 단편 스토리가 9개 작성된 경우 자동으로 해당 보호수에 대한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해당 소셜 스토리에 대해 적어도 n/2 개의 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고, 적어도 n 개의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nine short stories are prepared for the protection number,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automatically generate a social story for the protection number and perform evaluation on the social story.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may allow at least n / 2 creating user terminals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for the social story, and allow at least n non-creating user terminals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특정 보호수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해당 보호수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or 270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store it in the story database 170 in association with the protection number.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1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1

여기에서, P는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 점수를, n은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편 스토리의 수를, q는 단편 스토리를 작성한 작성 사용자 단말 중 평가에 참여한 단말의 수를, r은 단편 스토리를 작성하지 않은 비작성 사용자 단말 중 평가에 참여한 단말의 수를, xq 및 xr은 평가 점수를, w0 및 w1은 가중치를, f(q) 및 f(r)은 다음 수학식 2 및 3을 의미한다.Here, P is the score of the social story, n is the number of short stories needed to generate the social story, q is the number of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mong the user terminals that created the short story, r is the short story (Q) and f (r)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x q and x r are the evaluation scores, w 0 and w 1 are weights, And 3, respectively.

[수학식 2]&Quot; (2) "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2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2

여기에서, n은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편 스토리의 수를, q는 단편 스토리를 작성한 작성 사용자 단말 중 평가에 참여한 단말의 수를 의미한다.Here, n is the number of short stories required to create a social story, and q is the number of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mong the user terminals that created the short story.

[수학식 3]&Quot; (3) "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3
Figure 112017103536954-pat00003

여기에서, q는 단편 스토리를 작성한 작성 사용자 단말 중 평가에 참여한 단말의 수를, r은 단편 스토리를 작성하지 않은 비작성 사용자 단말 중 평가에 참여한 단말의 수를 의미한다.Here, q is the number of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mong the user terminals that created the short story, and r is the number of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mong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s that did not create the short story.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보호수의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 점수를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이 평가한 평가점수의 평균 값에 대한 가중합으로 구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수가 각각 과반수를 넘어야 평가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평가 점수 산정에 사용되는 가중치를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외부에서 수신하여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270 can obtai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ocial story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by a weighted sum of the average scores of the evaluation scores evaluated by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 The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270 can reflect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in the evaluation score only when the number of users exceeds a majority.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can automatically set the weight used in the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or manually receive it from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평가부(270)는 특정 보호수의 소셜 스토리에 대해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평가가 추가될 때마다 전체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해당 보호수의 평가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evaluation unit 270 calculates the total score each time an evaluation of a non-creating user terminal is added to a social story of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and evaluates the corresponding protection number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The score can be updated.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가 보호수에 관한 이야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6A to 6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ocial story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y about a protection number to a user terminal.

도 6a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GPS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보호수의 위치를 해당 지역의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6A,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receives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GP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rotection number within a specific range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a map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도 6b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지리정보와 연관된 보호수에 관한 소셜 스토리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6B,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list of social stories related to the number of protections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도 6c를 참조하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대한 소셜 스토리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보호수에 대한 내용을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검색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6C, when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ocial story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110, it searches contents of the protection number from the story database 170, To the user terminal 110 that requested the service.

일 실시예에서,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2차 저작물을 생산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produce various forms of secondary works utiliz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예를 들어,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특정 보호수에 대한 사진 및 해당 보호수와 연관된 단편 스토리 또는 소셜 스토리를 이용하여 엽서 또는 카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보호수에 관한 소셜 스토리를 모아 산문집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150)는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 또는 소셜 스토리를 SNS에 제공하거나 포털에 게재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process a postcard or card format using a short story or a social story associated with a picture of a specific number of protections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and a corresponding protection number, (110).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can collect a social story about the number of protections stored in the story database 170 and can generate a prose collec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social story sharing device 15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function of providing a short story or social story related to the protection number to the SNS or displaying it on the porta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410: 특정 보호수
430: 단편 스토리
450: 가장 최근 수신한 단편 스토리
510: 보호수 530: 단편 스토리
550: 공유 사용자 단말
100: Geo-based social story sharing system
110: user terminal 410: specific protection number
430: Short story
450: Most recently received short story
510: Protected Number 530: Short story
550: Shared user terminal

Claims (8)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보호수에 관한 단편 스토리를 수신하고 상기 단편 스토리가 특정 개수만큼 수신된 경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단편 스토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는 소셜 스토리 생성부;
상기 소셜 스토리와 연관된 상기 특정 보호수의 지리정보와 상기 작성 사용자 단말의 지리정보를 기초로 공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공유 사용자 단말에 상기 소셜 스토리를 공유하는 소셜 스토리 공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소셜 스토리 평가부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A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receiving a short story related to a specific protection number from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combining the short stor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short story is received by a predetermined number to generate a single social story;
A social story sharing unit for determining a shar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associated with the social story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 and sharing the social story with the shared user terminal; And
And a social story evaluator for evaluating the social stories from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the non-authoring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스토리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단편 스토리를 배치하여 하나의 소셜 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ial story generation unit
Wherein the short story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set by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to generate one social stor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스토리 공유부는
상기 단편 스토리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특정 보호수와 연관시켜 상기 공유 사용자 단말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ial story sharing unit
Wherein the shared story is shared with the shared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protection number whenever the short story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성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비작성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 결과의 가중합으로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Where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performed by a weighted sum of evaluation result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authoring user terminal and the non-authoring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에 참여한 상기 비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가 상기 작성 사용자 단말의 수보다 적어도 2배인 경우에만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Where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performed only when the number of the non-creating user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the creating user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스토리 평가부는
특정 기간동안 이루어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소셜 스토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반 소셜 스토리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ial story evaluating unit
And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story is performed by reflecting an evaluation result made during a specific period.

KR1020170136298A 2017-10-20 2017-10-20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KR101946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98A KR101946814B1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98A KR101946814B1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814B1 true KR101946814B1 (en) 2019-02-12

Family

ID=6536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298A KR101946814B1 (en) 2017-10-20 2017-10-20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81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86A (en) * 2007-02-15 2009-01-07 안상일 Evaluator credibility based contents credibil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10103674A (en) * 2010-03-15 2011-09-21 김만섭 Method of determinating ranking of contents in on-line contest
KR101577540B1 (en) 2014-07-21 2015-12-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haring reply providing method for feeling share
KR20160066693A (en) * 2014-12-03 2016-06-13 김홍균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 of story contents
KR20160100186A (en) * 2015-02-13 2016-08-2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Image story sharing service system based on image sharing and service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86A (en) * 2007-02-15 2009-01-07 안상일 Evaluator credibility based contents credibil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10103674A (en) * 2010-03-15 2011-09-21 김만섭 Method of determinating ranking of contents in on-line contest
KR101577540B1 (en) 2014-07-21 2015-12-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haring reply providing method for feeling share
KR20160066693A (en) * 2014-12-03 2016-06-13 김홍균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 of story contents
KR20160100186A (en) * 2015-02-13 2016-08-2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Image story sharing service system based on image sharing and service apparatus thereof
KR101754349B1 (en) 2015-02-13 2017-07-19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Image story sharing service system based on image sharing and service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308B2 (en) Programs that update facility characteristics, programs that profile facilities, computer systems, and how to update facility characteristics
Mischaud Twitter: Expressions of the whole self
KR101876481B1 (en) View dependent techniques to determine user interest in a feature in a 3d application
Long et al. Does intelligibility affect place legibilit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of the urban environment
US20150170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oring Points of Interest in a Parallel Reality Game
Kurata Potential-of-interest maps for mobil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García-Crespo et al. CESARSC: Framework for creating cultural entertainment systems with augmented reality in smart cities
JP2007219655A (en)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20140027011A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friends, and terminal thereof
JP5710576B2 (en) Itinerary table generating device, itinerary table generating method, and itinerary table generating program
JP6159877B2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JP4720569B2 (en) Employee residence search support program, employee residence search support device, and employee residence search support method
KR101946814B1 (en) Apparatus of sharing social story based on geo-information
KR1011250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managing and evaluating a meeting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US20120321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matic map creation
US201500070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News Forum
Zamani et al. Visualization of job availability based on text analytics localization approach
Yamamoto et al. Social recommendation GIS for urban tourist spots
Baltaretu et al. Improving route directions: The role of intersection type and visual clutter for spatial reference
Farrelly Claiming Places: An Exploration of People's Use of Locative Media and the Relationship to Sense of Place
CN110148009A (en) Building room rate data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Yamini Krishna The neo-liberal city and cinema: Deccani films
Koga et al. SIGHTSEEING PLANNING SUPPORT SYSTEM ADOPTING GAMIFICATION
Kim et al. Inferring tweet location inference for twitter mining
Postl Employed Technological Trends for Enhancing the Tourist Experience in Vienna: A Benchmark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