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550B1 -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 Google Patents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550B1
KR101946550B1 KR1020170095333A KR20170095333A KR101946550B1 KR 101946550 B1 KR101946550 B1 KR 101946550B1 KR 1020170095333 A KR1020170095333 A KR 1020170095333A KR 20170095333 A KR20170095333 A KR 20170095333A KR 101946550 B1 KR101946550 B1 KR 10194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at
floor
wall
composi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양석
김성태
조세현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7009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콤포지트 구조의 바닥용, 벽체용,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하여 각 용도별 설계 도면상의 창문틀 및 문틀 형성부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재단하여 재단된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조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할 바닥을 다지는 바닥 기초공사 공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평탄화된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4 단계; 상기 지지대에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L형으로 고정 설치하는 제 5 단계; 및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접하는 영역에 접착제 또는 지지 고정체를 이용해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만 하루만에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 공사가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짧은 내에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벽체나 지붕, 바닥용 패널을 일일이 현장에서 결합하고 다시 문틀, 창틀 등의 형성을 위해 개방부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 없이 한 스팬으로 이루어진 벽체, 지붕, 바닥용 패널을 기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간단히 결합만 하면 완공되므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금속자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질의 특성상 열교(heat bridge)가 없어 단열이 우수하여 겨울철엔 따뜻하고, 여름철엔 시원하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Construction method of relocatable pixel type building using composites structural insulated panel and relocatable pixel type building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축조할 수 있으며 단열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이동식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은 여러 장의 패널을 붙여서 벽체, 지붕 등을 만든 후에 창문이나 문 등을 설치할 때는 다시 그 부분을 잘라내고 문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사 기간도 오래 소요되고 인부가 많이 필요하며 설치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건축물은 열전도성이 매우 높은 금속 소재를 많이 채용하여 열교(heat bridge)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는 관계로 하절기에는 내부 온도가 높게 올라가고, 동절기에는 내부 온도가 많이 내려가는 등 단열 성능에 있어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단열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고질적인 문제였다.
한편, 관련된 기술로서 종래의 기술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25881호 "대기속에 포함된 수분들이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질촉매작용과 결로 현상과 공기의 대류 현상을 발생시켜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해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은 전해질성분이 보다 더 많이 분출되도록 작용하는 물질촉매작용과 결로 현상과 공기의 대류 현상을 발생시켜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해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 2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00461호 "단열구조를 구비하는 모듈화된 이동식 건축물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은 모듈식으로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16957호 "열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건축물"은 바닥판의 상부에 출입구와 창호를 갖는 벽판이 결합되어지고, 벽판의 상부에 천정판이 결합하여지며, 상기 바닥판에 리프트홀이 형성된 이동식 건축물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4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81895호 "샌드위치 패널의 밴딩 방법과 밴딩 패널 및 밴딩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은 건축재로 규격 생산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곡면 가공에 의해 밴딩 패널을 제조하고 이 패널을 이용하여 이동식 건물 또는 캠핑카, 캐러밴 등의 외벽을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의 밴딩 방법과 밴딩 패널 및 밴딩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1 내지 종래의 기술 4는 모두 기존의 기술과 소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열교 문제의 발생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제고하는 데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25881호 "대기속에 포함된 수분들이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질촉매작용과 결로 현상과 공기의 대류 현상을 발생시켜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해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00461호 "단열구조를 구비하는 모듈화된 이동식 건축물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16957호 "열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건축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81895호 "샌드위치 패널의 밴딩 방법과 밴딩 패널 및 밴딩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단 하루만에도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 공사가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으며, 금속자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질의 특성상 열교(heat bridge)가 없어 단열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이동식 건축물과 비교할 때에 겨울철엔 따뜻하고, 여름철엔 시원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콤포지트 구조의 바닥용, 벽체용,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하여 각 용도별 설계 도면상의 창문틀 및 문틀 형성부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재단하여 재단된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조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할 바닥을 다지는 바닥 기초공사 공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평탄화된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4 단계;
상기 지지대에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L형으로 고정 설치하는 제 5 단계; 및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접하는 영역에 접착제 또는 지지 고정체를 이용해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지지대는, 주 부재가 'ㄷ' 자 중 홈부가 상향을 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대 내부 단면을 기준으로 홈부의 표면 양 끝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단과 돌출단의 형성에 따라 지지대 홈부 표면 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구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부재의 결합홈을 통해 주 부재와 결합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단이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 부재는 주 부재의 결합홈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ㄴ' 자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의 보조 부재는, 열접착 방식을 통해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보조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로 형성된 L형 형상으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L형 앵커,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이 맞닿는 영역의 외벽에 부착되는 수평 부착판을 이용해서 설치되며, 상기 L형 앵커와 수평 부착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의 지지 고정체는, 리벳(rivet), 네일(nail), 스크류(screw) 중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적 조인트를 사용하되, 리벳, 네일, 스크류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외벽으로는 표면 마무리층, 내벽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목재 부재, 상기 목재 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 1 석고보드층, 상기 제 1 석고보드층 상부로 추가되는 제 2 석고보드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제 7 단계;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바닥 기초공사 공정은 철근 콘크리트에 의한 기초공사, 또는 철근 콘크리트 없이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는, 전체 바닥에 상부면에 직경 20mm 내지 50mm의 잡석과 흙을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잡석과 흙에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콤팩터로 바닥을 다져 1차 기초 공정층을 형성하고, 2차 기초 공정층으로 경화된 1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직경 10mm 내지 20mm의 잡석과 흙을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전체 바닥 1차 기초 공정층과 마찬가지로 바닥을 다져 형성하며, 3차 기초 공정층에 해당하는 마감층으로 2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각섬석, 황토, 갯벌 흙(머드), 각섬석 분말, 광석 분말을 도포하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하여 바닥을 다져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3차 기초 공정층 형성시 각섬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갯벌 흙(머드) 100 내지 150중량부, 각섬석 분말 50 내지 70중량부, 광석 분말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 상태로 도포한 후 바닥 수평을 맞추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하여 경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1차 기초 공정층은 10 내지 20cm, 2차 기초 공정층은 20 내지 30cm, 3차 기초 공정층는 10c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의 경화된 1 내지 3차 기초 공정층을 스터드 볼트가 관통하고 스터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이 바닥면에 가압 지지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만 하루 만에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 공사가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벽체나 지붕, 바닥용 패널을 일일이 현장에서 결합하고 다시 문틀, 창틀 등의 형성을 위해 개방부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 없이 한 스팬으로 이루어진 벽체, 지붕, 바닥용 패널을 기 제작하고 운반하여, 현장에서는 간단히 결합만 하면 완공되므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소요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루에 하나의 주택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작업 편의성의 장점 외에도, 금속자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질의 특성상 열교(heat bridge)가 없어 단열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이동식 건축물과 비교할 때에 겨울철엔 따뜻하고, 여름철엔 시원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의해 제작된 이동식 건축물의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을 중심으로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중 단계(S150)에서 지지대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중 단계(S150)에 의해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체결하여 시공이 완료된 이동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의해 내부가 복층으로 설치된 이동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콤포지트 구조의 단열 복합재료 패널에 해당하는 바닥용, 벽체용,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일명, LitePan)을 제조한 뒤, 각 용도별 설계 도면상의 창문틀, 문틀 등이 형성되는 개방부를 재단하여 재단된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생성한다(S110).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은 도 2와 같이 공통적으로 중앙 패널(11), 표면 시트(12)로 이루어지며, 공통된 구조 및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패널(11)은 기능성 패널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를 발포시켜 경량화한 발포 폼 소재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메타아라미드 등과 같은 수지나 종이,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허니컴 형상의 셀을 형성하여 제조한 허니컴(honeycomb) 소재가 이용됨으로써, 발포 폼 구조 또는 허니컴 구조에 의해 경량으로 차음성, 흡음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시트(12)는 중앙 패널(11)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으며,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매트상 보강재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내재된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 시트(12)는 중앙 패널(11)의 양면에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통해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표면 시트(12)는 중앙 패널(11)과 맞닿는 내측 또는 중앙 패널(11)과 맞닿지 않는 외측에 따라 내부 보강재(12a)와 외부 스킨재(12b)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보강재(12a)는 중앙 패널(11)을 보강하기 위한 소재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XPS(Crosslinked Polystyrene), PPS(Polyphenylene sulf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중 하나의 재료 또는 복합 재료의 보드(board)나 폼(foam)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패널(11)에 부착되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부가 폼이나 보드의 독립적인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 내부 보강재(12a)는 외부 스킨재(12b)에 내재되어 표면 시트(12)의 기계적 물성을 보강하는 기능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인서트 부품이나 다른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를 샌드위치 패널에 구멍을 뚫어 고정하는 경우에도 가공된 구멍이 원하는 형상으로 깨끗하게 유지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양호하여 체결이 견고하게 장기간 동안 유지된다.
여기서, 내부 보강재(12a)는 중앙 패널(11)의 테두리, 전체면, 양면 중 하나에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통해 각각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보강재(12a)는 바닥용, 벽체용,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LitePan) 간의 체결을 위하여 리벳(rivet), 네일(nail), 스크류(screw) 등과 같은 기계적 조인트(mechanical joint)를 사용할 때 강한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내부 보강재(12a)는 중앙 패널(1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중앙 패널(11)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부 보강재(12a)가 PET 폼(foam)으로 제작되면 PET 폼 재질은 75 내지 200kg/m3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EPS 재질에 비해 중량이 크나, 압축강도가 EPS 대비 매우 높은 성질을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PS의 압축강도는 10~20 N/cm2이고, PET 폼의 압축강도 80~90N/cm2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PET 폼은 EPS 대비 무거워서 패널전체에 PET 폼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중앙 패널(11)과 외부 스킨재(12b) 사이에서 테두리나 양면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외부 스킨재(12b)는 내부 보강재(12a)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의 표피재를 구성한다.
외부 스킨재(12b)는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로서, 강화섬유 직물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 함침 및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시트 형태의 섬유강화 복합재이며, 강화섬유 및 기지재를 복합화하여 기계적 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소재이다.
여기서, 강화섬유는 일방향 파이버(fiber)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상 섬유 직물(woven fabric)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직물(woven fabric)은 파이버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배열되어 있으므로 복수 개의 방향으로 강화 효과를 가지면서 높은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직조, 이축, 다축 등 다양한 형태의 직물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제조 부품의 형태에 따라 물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섬유 직물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기계적 물성의 측면에서, 상기 강화섬유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사가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속상 섬유 직물로서 섬유사를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직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직물을 사용한다. 사용하는 연속상 섬유 직물의 선택은 요구하는 최종 제품의 물리적 성질, 기계적 물성과 기능에 따라 소재 및 직조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제품에 고강성이 요구될 때에는 탄소섬유를 적용하고, 충격 강도가 요구될 때에는 주로 아라미드 섬유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연속상 섬유 직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재(matrix resin)로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기지재는 강화섬유에 함침되어 복합화함으로써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하게 된다.
이때,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비닐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용되는 수지는 중합 촉매, UV 안정제, 색상 조절 첨가제, 충격 강도 보강제, 내열 안정제, 점도 조절제, 난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스킨재(12b)가 표피층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층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접착제층은 심재인 내부 보강재(12a)로 보강된 중앙 패널(11)의 표면에 외부 스킨재(12b)가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제층은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 또는 심재 상에 1액형 우레탄계 수지 접착제, 2액형 우레탄계 수지 접착제 및 에폭시계 수지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중앙 패널(11)과 내부 보강재(12a)을 결합하는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의 구성물인 중앙 패널(11), 내부 보강재(12a) 및 외부 스킨재(12b)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능성 패널, 기지재 및 접착제층에 난연제를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 보강재(12a)에 의해 중앙 패널(11)의 외곽부를 구성함으로써, 내부 보강재(12a)가 중앙 패널(11)의 단점에 대한 보강으로 기계적 강도 보완, 내마모성 보완, 내구성 보완이 가능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외부 스킨재(12b)는 중앙 패널(11) 및 내부 보강재(12a)에 의해 형성된 심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한 외장재(facing materials)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앙 패널(11), 내부 보강재(12a), 외부 스킨재(12b)를 각각 제조한 뒤, 하나의 사출기의 금형 내에 내장하고, 각 구성요소의 사이에 용융 가소화된 상태의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서 구조물들은 그 사이에 플라스틱 수지가 충진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야 한다.
이때, 플라스틱 수지는 금형에 내장된 구조물들의 표면을 따라 흘러들어가 그 구조물들을 접합함과 동시에 성형된다. 그리고, 금형은 플라스틱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수지는 금형 내에서 고화되어 구조물들 사이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플라스틱 수지는 비강화 고분자 소재 또는 고분자 소재에 비연속상 강화재가 분산된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 경우, 플라스틱 수지는 Polyethylene 수지(PE), Poly vinyl chloride 수지(PVC), Polypropylene 수지(PP), Polystyrene 수지(PS), Polyacrylonitrile 수지, Styrene-acrylonitrile 수지(S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ABS), Polymethyl metacrylate 수지(PMMA),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PC), 폴리카보네이트/ABS 수지(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카보네이트/ASA 수지(polycarbonate/ASA),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PA), 폴리아미드/ABS 수지(polyamide/AB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butylene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olyphenylene sulfide, PPS),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 개질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Modified Poly Penyleneoxide, MPPO), 폴리설폰 수지(polysulfone, PSU), 폴리에테르설폰 수지(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polyetheretherketone, PEEK), 신디오탁틱폴리스티렌 수지(syndiotactic polystyrene)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단계(S110) 이후, 바닥을 다지는 바닥 기초공사 공정을 수행한다(S120).
바닥 기초공사 공정은 철근 콘크리트에 의한 기초공사로 진행될 수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없이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바닥에 상부면에 직경 20mm 내지 50mm의 잡석과 흙을 40~60 : 60~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잡석과 흙에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콤팩터 등으로 바닥을 다져 1차 기초 공정층을 형성한다. 2차 기초 공정층은 경화된 1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직경 10mm 내지 20mm의 잡석과 흙을 40~60 : 60~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전체바닥 1차 기초 공정층과 마찬가지로 바닥을 다져 형성된다.
3차 기초 공정층은 마감층으로 2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각섬석, 황토, 갯벌 흙(머드), 각섬석 분말, 광석 분말을 각섬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갯벌 흙(머드) 100 내지 150중량부, 각섬석 분말 50 내지 70중량부, 광석 분말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 상태로 도포한 후 바닥 수평을 맞추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하여 경화시킨다. 이러한 3차 기초 공정층는 대략 10cm 전후의 두께로 형성하여 바닥 수평을 맞추며, 상술한 1차 기초 공정층은 10 내지 20cm, 2차 기초 공정층은 20 내지 30c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 기초공사 공정(S120)에서 이동식 건축물이 설치되는 곳의 지면을 평탄화할 뿐만 아니라, 바닥 기초를 친환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닥 기초공사 공정(S120) 이후,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한다(S130). 이 경우, 바닥 기초공사 공정(S120)에서 평탄화된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는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은 경화된 1 내지 3차 기초 공정층을 관통하는 스터트 볼트가 관통하고 스터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바닥면에 가압 지지될 수 있다.
패널 설치 단계(S130) 이후,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한다(S140). 여기서 지지대는 기본적으로 'U'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지지대는 기본적으로 주 부재가 'ㄷ' 자 중 홈부가 상향을 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대 내부 단면을 기준으로 홈부의 표면 양 끝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단과, 돌출단의 형성에 따라 지지대 홈부 표면 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구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 부재의 결합홈과 결합하여 주 부재와 결합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단은 하부에서 후술할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가압하며, 보조 부재는 주 부재의 결합홈의 중앙을 향하여 대칭되는 'ㄴ' 자 형태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유연한 TPU 소재로 형성된 뒤, 열접착 방식을 통해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보조 결합시킬 수 있다.
패널 지지대 설치 단계(S140) 이후, 지지대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설치한다(S1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로 형성된 L형 형상으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L형 앵커,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이 맞닿는 영역의 외벽에 부착되는 수평 부착판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으며, L형 앵커와 수평 부착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50) 이후,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접하는 영역에 접착제 또는 지지 고정체를 이용해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한다(S160). 여기서 지지 고정체는 리벳(rivet), 네일(nail), 스크류(screw) 등과 같은 기계적 조인트(mechanical joint)를 사용할 수 있으며, 리벳, 네일, 스크류 등과 같은 지지 고정체도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의해 제작된 이동식 건축물의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을 중심으로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10)의 외벽으로는 표면 마무리층(20), 내벽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목재 부재(30), 상기 목재 부재(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 1 석고보드층(40), 상기 제 1 석고보드층(40) 상부에 추가되는 제 2 석고보드층(50)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4 (a)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중 단계(S150)에서 지지대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 (b)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중 단계(S160)에 의해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체결하여 시공이 완료된 이동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에 의해 내부가 복층으로 설치된 이동식 건축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이해 시공되는 이동식 건축물은 만 하루 만에 건축물의 벽체 및 지붕 공사가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동식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으며, 금속자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질의 특성상 열교(heat bridge)가 없어 단열이 우수하여 겨울철엔 따뜻하고, 여름철엔 시원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소형 건축물을 픽셀 하우스(PIXEL HOUSETM)로 명명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단열 복합재료 패널
11 : 중앙 패널
12 : 표면 시트
12a : 내부 보강재
12b : 외부 스킨재

Claims (11)

  1. 콤포지트 구조의 바닥용, 벽체용,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하여 각 용도별 설계 도면상의 창문틀 및 문틀 형성부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재단하여 재단된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조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할 바닥을 다지는 바닥 기초공사 공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평탄화된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 4 단계;
    상기 지지대에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세워서 상기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L형으로 고정 설치하는 제 5 단계; 및
    지붕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접하는 영역에 접착제 또는 지지 고정체를 이용해 체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계의 각 용도별 단열 복합재료 패널은 중앙 패널, 표면 시트로 이루어지며, 중앙 패널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지를 발포시켜 경량화한 발포 폼 소재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메타아라미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지나 종이,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경금속으로 허니컴 형상의 셀을 형성하여 제조한 허니컴(honeycomb) 소재가 이용되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중앙 패널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으며,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매트상 보강재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내재된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중앙 패널과 맞닿는 내측 또는 상기 중앙 패널과 맞닿지 않는 외측에 따라 내부 보강재와 외부 스킨재로 구분되며, 상기 내부 보강재는 상기 중앙 패널을 보강하기 위한 소재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XPS(Crosslinked Polystyrene), PPS(Polyphenylene sulf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중 하나의 재료 또는 복합 재료의 보드(board)나 폼(foam)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 패널에 부착되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부가 폼이나 보드의 독립적인 형태로 활용되며, 상기 내부 보강재는 상기 중앙 패널의 테두리, 전체면, 양면 중 하나에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통해 각각 접착되며, 상기 내부 보강재는 75 내지 200kg/m3의 밀도를 가지는 PET 폼(foam)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 4 단계의 지지대는, 주 부재가 'ㄷ' 자 중 홈부가 상향을 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대 내부 단면을 기준으로 홈부의 표면 양 끝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단과 돌출단의 형성에 따라 지지대 홈부 표면 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구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부재의 결합홈을 통해 주 부재와 결합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단이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 부재는 주 부재의 결합홈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ㄴ' 자 형태가 형성되며, 보조 부재는, 열접착 방식을 통해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보조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로 형성된 L형 형상으로,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L형 앵커,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과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이 맞닿는 영역의 외벽에 부착되는 수평 부착판을 이용해서 설치되며, 상기 L형 앵커와 수평 부착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의 지지 고정체는, 리벳(rivet), 네일(nail), 스크류(screw) 중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적 조인트를 사용하되, 리벳, 네일, 스크류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 상기 벽체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의 외벽으로는 표면 마무리층, 내벽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목재 부재, 상기 목재 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 1 석고보드층, 상기 제 1 석고보드층 상부로 추가되는 제 2 석고보드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제 7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바닥 기초공사 공정은 철근 콘크리트에 의한 기초공사, 또는 철근 콘크리트 없이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콘크리트 기초공사는, 전체 바닥에 상부면에 직경 20mm 내지 50mm의 잡석과 흙을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잡석과 흙에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콤팩터로 바닥을 다져 1차 기초 공정층을 형성하고, 2차 기초 공정층으로 경화된 1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직경 10mm 내지 20mm의 잡석과 흙을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하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한 후 전체 바닥 1차 기초 공정층과 마찬가지로 바닥을 다져 형성하며, 3차 기초 공정층에 해당하는 마감층으로 2차 기초 공정층의 상부면에 각섬석, 황토, 갯벌 흙, 각섬석 분말, 광석 분말을 도포하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하여 바닥을 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3차 기초 공정층 형성시 각섬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갯벌 흙 100 내지 150중량부, 각섬석분말 50 내지 70중량부, 광석분말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 상태로 도포한 후 바닥 수평을 맞추고, 토양응고 경화제를 살포하여 경화시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1차 기초 공정층은 10 내지 20cm, 2차 기초 공정층은 20 내지 30cm, 3차 기초 공정층는 10c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의 경화된 1 내지 3차 기초 공정층을 스터드 볼트가 관통하고 스터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바닥용 단열 복합재료 패널이 바닥면에 가압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0170095333A 2017-07-27 2017-07-27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KR10194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33A KR101946550B1 (ko) 2017-07-27 2017-07-27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33A KR101946550B1 (ko) 2017-07-27 2017-07-27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550B1 true KR101946550B1 (ko) 2019-02-11

Family

ID=6537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33A KR101946550B1 (ko) 2017-07-27 2017-07-27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774A (ko) * 2021-08-04 2023-02-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무하지 프리패브 패널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76Y1 (ko) * 2002-09-12 2003-01-06 곽인학 프리-패브식 건축물
JP2006328828A (ja) *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断熱パネル、壁パネル、外壁構造
KR101265100B1 (ko) * 2012-11-02 2013-05-16 (주)돔하우스코리아 조립식 시설의 친환경 바닥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5045125A (ja) * 2013-08-27 2015-03-12 茂 坂 Frpサンドイッチパネル工法建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76Y1 (ko) * 2002-09-12 2003-01-06 곽인학 프리-패브식 건축물
JP2006328828A (ja) *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断熱パネル、壁パネル、外壁構造
KR101265100B1 (ko) * 2012-11-02 2013-05-16 (주)돔하우스코리아 조립식 시설의 친환경 바닥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5045125A (ja) * 2013-08-27 2015-03-12 茂 坂 Frpサンドイッチパネル工法建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774A (ko) * 2021-08-04 2023-02-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무하지 프리패브 패널 시스템
KR102594589B1 (ko) * 2021-08-04 2023-10-2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무하지 프리패브 패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579Y1 (ko) 고강도 초경량 패널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US6584742B1 (en) Oriented strand board wall panel system
EP3026186A1 (en)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sheathing board and wall and/or ceiling system
US7601234B2 (en) Housing created from high strength expanded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with cementitious reinforcement
CZ314795A3 (en) Elongated, hollow, rectangular extruded thermoplastic building ele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KR101946803B1 (ko) 내구성과 시공 편의성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
US20080307739A1 (en) Modular Building Panel
US20240002644A1 (en) Natural fiber composite construction materials
KR101946550B1 (ko) 단열 복합재료 패널을 이용한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동식 픽셀형 건축물
WO2007082356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KR101199308B1 (ko) 경량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7272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US20230347628A1 (en) Reinforced roof panel for mobile homes and refrigerated lorries
DE202021102201U1 (de) Bauplatte und Duschbodenelement unter Verwendung derselben
KR102064922B1 (ko)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180120490A (ko) 비금속 기반의 건축 자재용 하이브리드 패널 및 이의 체결 방법
KR101927963B1 (ko) 직접 열성형법을 이용한 일체화된 기능성 패널의 체결 방법
CN220848307U (zh) 超低能耗装配式门窗洞口复合墙板
KR102107518B1 (ko) 복합재료판넬을 이용한 경량 방음 및 가림막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US20170167162A1 (en) Free-Standing Modular Fence System
KR101851445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부 마감재
KR101968667B1 (ko) 조립식 건축물을 위한 경량 샌드위치 패널 및 이형 압출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제조방법 및 조립식 건축물
NL2008741C2 (nl) Plaatvormig constructie-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het constructie-element.
JP2001140374A (ja) 外張断熱における複合断熱材パネルを用いた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