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207B1 - Braille output device - Google Patents

Braille out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207B1
KR101946207B1 KR1020180101280A KR20180101280A KR101946207B1 KR 101946207 B1 KR101946207 B1 KR 101946207B1 KR 1020180101280 A KR1020180101280 A KR 1020180101280A KR 20180101280 A KR20180101280 A KR 20180101280A KR 101946207 B1 KR101946207 B1 KR 10194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ille
character
characters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민희
김형진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장민희
김형진
김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희, 김형진, 김은수 filed Critical 장민희
Priority to KR102018010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2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output device for converting letters included on a paper of a book into braille or voice and outputting the same.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anning unit for scanning an image of a paper to generate an image file; a lette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et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letters extracted by the letter extraction unit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unit; a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letters extracted by the letter extraction unit into a voice;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converted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Description

점자 출력 장치 {Braille output device}Braille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서의 지면에 포함된 문자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lle output device for converting characters included in a book surface into braille or voic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으로 마음의 양식과 지식을 쌓기 위해 독서를 한다. 또한 독서는 경험해보지 못한 것들을 간접적으로 느끼고, 나와 다른 세계를 여행할 기회를 준다. 도서의 내용을 몰입하고 집중하다 보면 그 속에서 행복, 기쁨, 슬픔, 좌절, 분노 모든 감정을 느끼고 배우며, 또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기회를 준다. 때문에 사회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보탬이 되는 것은 독서라고 소개하며, 전 연령층에게 권장하고 있다.People basically read to build their minds and knowledge. Reading also indirectly feels things you have not experienced and gives you the opportunity to travel with me in another world. When you immerse and concentrate the contents of the book, you feel happiness, joy, sadness, frustration, anger and feelings in it and give you the opportunity to go in another direction. Therefore, society introduces "reading"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and is recommended to all ages.

그러나 이러한 아름답고 따뜻함이 들어 있는 글들을 볼 수가 없어서 독서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시각장애인들이다.However, there are some people who can not read because they can not see these beautiful and warm texts. They are blind people.

우리나라에는 등록된 시각장애인의 수만 252,794명(장애인현황, 국가승인통계 제117061호)이 있고 세계로 나가면 2억 8500만 명이 시각장애를 갖고 있다. 이 엄청난 수의 시각장애인들이 도서를 읽는 방법은 점자도서와 음성도서 두 가지 방법이 있다.There are 252,794 registered persons with blindness (Status of Disabled Persons,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No. 117061) in Korea, and 285 million people have visual impairment when they go to the world. There are two ways to read this huge numbe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Braille books and Voice books.

그러나 이들이 읽을 수 있는 도서들은 비장애인들이 읽을 수 있는 도서들에 비해 그 수가 현저히 작고, 열악하다. 특히 문제집 같은 경우는 더 그러하다.However, the books they can read are significantly smaller and poorer than the books that non-disabled people can rea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problem books.

따라서 좀 더 많은 도서와 문제집들을 점자로 나타내거나 음성으로 들려주기 위해 비장애인들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봉사활동이 마련되어 있다. Therefore, non-disabled people have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display more books and problem books in braille or by voice.

봉사활동 중에 ‘점역봉사’와 ‘낭독봉사’ 라는 것이 있다. 점역봉사(타이핑 봉사라고도 한다.)는 봉사자들이 도서와 문제집 내용 전체를 타이핑하여 텍스트문서로 만든 후 제출하면 봉사단체에서 이를 이용하여 점역(점자화)하고 점자 도서로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낭독봉사'는 일반 도서를 봉사자들이 직접 낭독하여 녹음하는 봉사로 음성으로 도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점역봉사의 경우 많은 페이지에 담긴 글자들을 봉사자들이 직접 하나하나 입력해야 하고, 낭독봉사 또한 일정기간 동안 연습, 녹음을 해야 하여 그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There are two types of service activities: "Together Service" and "Reading Service". The volunteer service (also known as typing service) is to volunteer the volunteers to write the textbooks and textbooks in the text and submit them to the servic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read aloud service' is a voluntary reading and recording service by the volunteers to read the book by voice. In this process, the volunteers must input the letters on many pages directly, and the service of reading aloud is also required to practice and recor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한국등록특허 10-1523619호Korean Patent No. 10-1523619

본 발명은 도서의 지면에 포함된 문자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ille output device which converts characters included in the ground of a book into braille or voice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In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A scanning unit that scans the ground to generate an image file;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unit; A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voice;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converted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문단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to recognize the paragraphs using the recognized int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문단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aragraph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paragraph using the recognized character spac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자 변환부 또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opera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storage unit to store a text fil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tex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converted into braille or converted into vo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 출력 장치는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이 눌려지면, 외부에 마련된 무선 충전기에서 위치 알림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When the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a location notification sound may be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er provided outside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 블록;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스캐닝부를 포함하는 확장 블록;을 포함한다.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nd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section, and a speech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speech,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converted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an extension block including an extension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paper surface to generate an image fi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문단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string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is recognized by recognizing a line-to-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recognition s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character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can be recognized, and the identity of paragraph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ecognized inter-spac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자 변환부 또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operab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torage unit to store a text fil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unit can convert the tex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braille or vo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과 상기 확장 블록은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이 눌려지면, 외부에 마련된 무선 충전기에서 위치 알림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block and the extension block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er position notification button. When the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Sound may be generated.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embodiments of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서의 지면에 포함된 문자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문장이 점자 출력 또는 음성 출력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시각 장애우의 도서 내용 파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서의 크기와 관계없이 한 번에 한 줄 스캔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각 장애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included in the ground of a book can be converted into braille or voice and outpu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same sentence is outputted as braille or audio,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ook content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can one line at a tim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ok,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bli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서 문단 인식부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aragraph recognizer 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the specific embodiments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를 설명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are us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 전원부(110), 스캐닝부(120), 문자 추출부(130), 점자 변환부(140), 문단 인식부(150), 점자 출력부(160), 음성 변환부(170), 음성 출력부(180), 통신부(191), 저장부(1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동작 과정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1,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110, a scanning unit 120, a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a braille conversion unit 140, a paragraph recognition unit A speech output unit 180, a communication unit 191, and a storage unit 192. The speech output unit 180 may include a speech output unit 150, a braille output unit 160, a speech conversion unit 170, Their operation process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전원부(110)는 점자 출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자 출력 장치에는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미도시)이 형성되어, 장애우인 사용자가 충전을 원하는 경우,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여 외부에 마련된 무선 충전기에서 위치를 알리는 위치 알림 소리가 발생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power to the braille output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charged by a wired or wireless charging scheme. In the braill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not shown) is formed. When a user who is a disabled user wants to charge the wireless charger,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harger A no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스캐닝부(120)는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스캐닝부(12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문자 추출부(130)로 전송된다.The scanning unit 120 scans the ground to generate an image file.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문자 추출부(130)는 스캐닝부(12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를 점자 변환부(140) 또는 음성 변환부(170)로 전송한다. 문자 추출부(130)는 이미지로부터 문자, 텍스트 등을 추출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 텍스트 등을 추출한다.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extracts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120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haracters to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or the voice conversion unit 170. [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characters, text,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image file using an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capable of extracting characters, text, and the like from the image.

점자 변환부(140)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문자가 “장”인 경우, "ㅈ"에 대한 점자 정보(즉, 6개의 점자 도트에서 "ㅈ"을 나타내는 특정 위치의 점자 도트를 돌출시키기 위한 정보), 모음 "ㅏ"에 대한 점자 정보, 종성 "ㅇ"에 대한 점자 정보를 순서대로 생성한다. 점자 변환부(140)는 변환된 점자 정보를 점자 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점자 출력부(160)는 전송된 점자 정보에 해당하는 점자를 출력한다.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into braill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extracted character is " chapter ", braille information (i.e., information for projecting braille dots at a specific position indicating "X" in six braille dots) And braille information for the trailing "o" are sequentially generated.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transmits the converted braille information to the braille output unit 160. The braille output unit 160 outputs braill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braille information.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는 음성 변환부(170)로 전송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음성 변환부(170)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는 TTS(Text To Speech)를 이용하여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음성 출력부(180)는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소리 형태로 출력한다.The character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can be transmitted to the voice converting unit 170. The voice converting unit 170 receives the text and uses a text to speech (TTS) And converts the extracted characters into voice. The voice output unit 180 outputs the voice-converted characters in a voice form.

한편, 모든 도서가 같은 문자, 문단 배치를 갖고 있지는 않다. 도서마다 다른 구성의 문단과 문자 배치를 구비하지만, 시각 장애우들은 그러한 차이를 눈으로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문단 구분없이 점자를 출력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점자와 관련없는 내용이 출력되어 장애우의 도서 내용 파악에 혼란을 줄 수 있다. 한편, 시각 장애우의 사용 미숙으로 같은 문단을 반복하여 스캐닝할 경우, 이미 출력된 내용이 다시 출력되어 장애우의 도서 내용 파악에 혼란을 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ot all books have the same character or paragraph layout. Each book has a different arrangement of paragraphs and text layouts, but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not recognize such differences visually. Therefore, when outputting braille without paragraphs, it is possible to confuse the contents of the book of the handicapped by outputting conten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current braille output. On the other hand, if the same paragraph is repeatedly scanned due to insufficient u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output contents may be output again, which may confuse the contents of the book of the disabled.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점자 출력 장치는 문단 인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raill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ragraph recognizer 150.

문단 인식부(150)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한다. 또는, 문단 인식부(150)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할 수 있다. The paragraph recognizing unit 150 recognizes the inter-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and determines the identities of the paragraphs using the recognized inter-line spacing. Alternatively, the paragraph recognizer 150 may determine the identity of paragraphs using the inter-character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or 130. [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에서 문단 인식부(150)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3a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이용하는 경우이며, 도 3b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행간 간격을 이용하는 경우이다.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aragraph recognizer 150 in the braill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shows a case in which the inter-line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is used.

도 3a를 참조하면, 문단 인식부(150)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S151a)하고, 인식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S152a ~ S154)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한다. (S155). 그 다음,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S156, S157)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점자 출력부(160) 또는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S156, S158)Referring to FIG. 3A, the paragraph recognizer 150 recognizes a character spacing interval between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S151a). If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spacing between recognized characters is widened, (S152a to S154), and then stores the deleted character information. (S155). If there is no overlapping character information,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deleted (S156, S157). If no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braille output unit 160 or the speech output unit 180 Lt; / RTI > (S156, S158)

도 3b를 참조하면, 문단 인식부(150)는 문자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S151b)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S152b ~ S154)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한다. (S155). 그 다음,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S156, S157)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점자 출력부(160) 또는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S156, S158)Referring to FIG. 3B, the paragraph recognizing unit 150 recognizes the inter-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130 (S151b). If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recognized inter- , The characters after the widened portion are recognized as another paragraph,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deleted (S152b to S154), and then the non-deleted character information is stored. (S155). If there is no overlapping character information,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deleted (S156, S157). If no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braille output unit 160 or the speech output unit 180 Lt; / RTI > (S156, S158)

문단 인식부(150)에 의해 중복된 문단을 제거함으로서, 같은 문장이 점자 출력 또는 음성 출력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장애우의 도서 내용 파악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eliminating the redundant paragraphs by the paragraph recognizing unit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same sentence is outputted as braille or audio, thereby improving the grasp of the book contents of the handicapped.

통신부(191)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이 탑재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자 출력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D1), 컴퓨터(D2), 노트북(D3) 등 e-Book 콘텐츠,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통신부(191)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와 본 발명의 점자 출력 장치가 통신 연결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e-Book 콘텐츠, 디지털 콘텐츠 등을 수신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91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chip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so that the braille output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locked by wireless communication as shown in Fig. The external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transmitting e-Book content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1, a computer D2, a notebook D3, and digital contents. The external device and the braill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91 and e-Book contents, digital contents, and the like ar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통신부(191)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는 저장부(192)에 저장된다. 사용자(시각 장애우 또는 그 지인, 보호자)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e-Book 등의 콘텐츠를 플레이하면, e-Book 등의 콘텐츠는, 전술한 스캐닝부(120), 문자 추출부(130), 점자 변환부(140), 문단 인식부(150), 점자 출력부(160), 음성 변환부(170), 음성 출력부(180) 등을 거쳐서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콘텐츠가 텍스트 파일인 경우라면, 스캐닝부(120), 문자 추출부(130)를 거칠 필요없이 점자 변환부(140), 문단 인식부(150), 점자 출력부(160), 음성 변환부(170), 음성 출력부(180) 등을 거쳐서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The conten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9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 When a user (a visually impaired person or an acquaintance, a guardian) plays content such as an e-book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the content such as an e-Book is read by the scanning unit 120,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the paragraph recognition unit 150, the braille output unit 160, the voice conversion unit 170, the voice output unit 180, and the like. If the content is a text file,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the paragraph recognition unit 150, the braille output unit 160, the sound conversion unit 130, The sound output unit 170, and the sound output unit 180, or the like.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B1은 음성 출력 버튼, B2는 음성 세기 조절 버튼, B3은 이전 버튼, B4는 다음 버튼 등을 예시하는 것이며, 버튼 종류 및 그 형상,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2, reference numerals B1, B2, B3, and B4 designate audio output buttons, B2, B3, and B4, respectively, and the types and locations of the buttons are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Next,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점자 출력 장치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고, 도서의 크기는 다양하여, 하나의 점자 출력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도서를 점자 출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가로 폭이 20cm이고, 도서 중 문자 부분의 가로 폭이 이와 유사한 크기인 경우, 한 번의 스캔으로 한 줄에 있는 문자들을 한 번에 스캔하여 점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지만, 도서 중 문자 부분의 가로 폭이 20cm를 초과하는 경우, 한 번의 스캔으로 한 줄 모두를 한 번에 스캔하지 못하여, 한 줄에 대해 반복 스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시각 장애우의 입장에서는 가로 폭이 큰 도서의 한 줄에 대해 어느 부분을 스캔 시작점으로 잡아야 하는지 알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서의 크기와 관계없이 한 번에 한 줄 스캔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자 출력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Since the size of the braille output device is limited and the sizes of the books vary, it may be difficult to output braille characters of various sizes with one braille output device. For example, if the width of the device is 20 cm and the width of the text portion of the book is similar, a single scan can scan characters in one line at one time and output it in braille or voice, If the width of the text portion of the book exceeds 20 cm, it is inconvenient to scan one line at a time because one line can not be scanned at one time. Also,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can be very difficult to know which part of a book with a large width is to be take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can. Thus, in this embodiment, a braille output device capable of scanning one line at a time regardless of the size of a book is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 본체 블록(100)과 확장 블록(200)을 포함한다. 5,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block 100 and an expansion block 200. [

본체 블록(100)은 제1 연결 커넥터(C1)가 형성된 제1 하우징(H1)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H1) 내에는 전원부(110), 스캐닝부(120), 문자 추출부(130), 점자 변환부(140), 문단 인식부(150), 점자 출력부(160), 음성 변환부(170), 음성 출력부(180), 통신부(191), 저장부(1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C1)를 제외한 나머지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block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H1 having a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formed therein and a power supply unit 110, a scanning unit 120, a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At least one of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40, the paragraph recognition unit 150, the braille output unit 160, the voice conversion unit 170, the voice output unit 180, the communication unit 191, and the storage unit 192 Can be formed. The remainder of the first connector C1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the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연결 커넥터(C1)는 제1 하우징(H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C1)는 돌출된 형상(C11) 또는 함몰된 형상(C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1 하우징(H1)의 두 측면에 형성되고, 하나는 돌출된 형상, 하나는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형성 위치와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H1.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may be formed with a projected shape C11 or a recessed shape C12. In FIG. 5, the first housing H1 is formed on two sides,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H1 and H2 is formed to have a protruding shape and a recessed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연결 커넥터(C1)는 후술하는 확장 블록(200)의 제2 연결 커넥터(C2)와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of the expans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확장 블록(200)은 제2 연결 커넥터(C2)가 형성된 제2 하우징(H2)을 포함한다. 확장 블록(200)은 스캐닝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최소한의 기능 구현을 위해, 제2 하우징(H2) 내에는 확장 스캐닝부(미도시, 도 1의 스캐닝부(120) 참조)가 형성된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하우징(H2) 내에 전원부(110), 문자 추출부(130), 점자 변환부(140), 문단 인식부(150), 점자 출력부(160), 음성 변환부(170), 음성 출력부(180), 통신부(191), 저장부(1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expansion block 200 includes a second housing H2 formed with a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Since the extension block 200 is for extending the scanning area, an extended scanning unit (not shown, see the scanning unit 120 in FIG. 1)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H2 for minimizing the func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a power source unit 110, a character extraction unit 130, a braille conversion unit 140, a paragraph recognition unit 150, a braille output unit 160, At least one of the conversion unit 170, the audio output unit 180, the communication unit 191, and the storage unit 192 may be formed.

제2 연결 커넥터(C2)는 제1 연결 커넥터(C1)와 연결되어, 본체 블록(100)과 확장 블록(2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제2 연결 커넥터(C2)는 제1 연결 커넥터(C1)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커넥터(C1)가 돌출된 형상(C11)인 경우, 제2 연결 커넥터(C2)는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so that the body block 100 and the expansion block 200 are coupled.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is a protruded shape C11,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is formed in a shape depres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제1 연결 커넥터(C1)와 제2 연결 커넥터(C2)는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커넥터(C1)와 제2 연결 커넥터(C2)가 병렬 연결된 경우, 작은 크기의 도서에 대해 한 번에 여러 줄을 스캐닝하여 점자 출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커넥터(C1)와 제2 연결 커넥터(C2)가 직렬 연결된 경우, 큰 크기의 도서에 대해 한 번에 한 줄 모두를 스캐닝하여 반복 스캔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may be coupled in series or in paralle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are connected in parallel, a plurality of lines are scanned at a time for a small-sized book, Can be improved. 7, when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C1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2 are connected in series, it is possible to scan all one line at a time for a large-sized book, Can be solv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블록 200 : 확장 블록
110 : 전원부 120 : 스캐닝부
130 : 문자 추출부 140 : 점자 변환부
150 : 문단 인식부 160 : 점자 출력부
170 : 음성 변환부 180 : 음성 출력부
191 : 통신부 192 : 저장부
100: Body block 200: Extension block
110: power supply unit 120: scanning unit
130: Character extraction unit 140: Braille conversion unit
150: paragraph recognition unit 160: braille output unit
170: Voice conversion unit 180: Voice output unit
191: communication unit 192:

Claims (10)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상기 점자 출력부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문단 인식부
를 포함하는 점자 출력 장치.
A scanning unit that scans the ground to generate an image file;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unit;
A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voic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converted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And
Recognizes the inter-character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recognizes the characters after the widened portion as a different paragraph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recognized characters is widened, deletes the characters, and deletes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stored character information is duplicated, deleting the duplicated character information if it exists,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if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not present, part
And a braille output device.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상기 점자 출력부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문단 인식부
를 포함하는 점자 출력 장치.
A scanning unit that scans the ground to generate an image file;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unit;
A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into voic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converted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And
Recognizes the inter-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recognizes the characters after the extended portion as a different paragraph when the recognized inter-line spacing is widened, Next, the non-deleted character information is stor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stored character information is duplicated. If duplicate character information exists, the duplicated character information is deleted. If no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A paragraph recognizer
And a braille output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자 변환부 또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변환하는 점자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mmunication unit opera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text fil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braille conversion unit or the voice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tex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braille or vo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자 출력 장치는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이 눌려지면, 외부에 마련된 무선 충전기에서 위치 알림 소리가 발생하는 점자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raille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Wherein when the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a location no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in an external wireless charger.
제1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문단 인식부를 포함하는 본체 블록;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스캐닝부를 포함하는 확장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문단 인식부는,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들의 자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상기 점자 출력부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점자 출력 장치.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nd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section, and a speech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speech, A speech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haracter converted into speech by the speech conversion unit; and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spacing interval between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paragraph using the recognized interval A body block including a paragraph recognizing unit;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and an extension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paper surface to generate an image file;
Wherein the paragraph recognizer comprises:
Recognizes the inter-character spacing of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recognizes the characters after the widened portion as a different paragraph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recognized characters is widened, deletes the characters, and deletes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when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not present, if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not present, Device.
제1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와, 상기 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와, 상기 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 문자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을 이용하여 문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문단 인식부를 포함하는 본체 블록;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커넥터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지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스캐닝부를 포함하는 확장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문단 인식부는,
상기 문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문자들이 이루는 복수개의 행 사이의 행간 간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행간 간격이 넓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넓어진 부분 이후의 문자들은 다른 문단으로 인식하고, 해당 문자들을 삭제한 다음, 삭제되지 않은 문자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된 문자 정보들이 존재하면 이를 삭제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문자 정보들을 상기 점자 출력부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점자 출력 장치.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nd a charac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scanning unit, A braille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braille information, a braille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the braille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braille conversion section, and a speech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section into speech,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haracter converted into a voice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and a voice output unit for recognizing an inter-line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on unit, A body block including a paragraph recognizing unit for judging the identity of a paragraph;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connect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onnector, and an extension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paper surface to generate an image file;
Wherein the paragraph recognizer comprises:
Recognizes the inter-line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lines formed by the characters extracted by the character extracting unit, and recognizes the characters after the extended portion as a different paragraph when the recognized inter-line spacing is widened, Next, the non-deleted character information is stor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stored character information is duplicated. If duplicate character information exists, the duplicated character information is deleted. If no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A braille output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자 변환부 또는 상기 음성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변환하거나 음성으로 변환하는 점자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 communication unit opera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text fil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braille conversion unit or the voice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tex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braille or voice.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과 상기 확장 블록은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 위치 알림 버튼이 눌려지면, 외부에 마련된 무선 충전기에서 위치 알림 소리가 발생하는 점자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body block and the extension block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Wherein when the wireless charger location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a location no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in an external wireless charger.
KR1020180101280A 2018-08-28 2018-08-28 Braille output device KR101946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80A KR101946207B1 (en) 2018-08-28 2018-08-28 Braille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80A KR101946207B1 (en) 2018-08-28 2018-08-28 Braille out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207B1 true KR101946207B1 (en) 2019-02-08

Family

ID=6536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80A KR101946207B1 (en) 2018-08-28 2018-08-28 Braille out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2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73B1 (en) 2019-12-04 2021-05-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Voice recording metho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KR20210094264A (en) 2020-01-21 2021-07-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A Braille Informating System and A Service Provis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34B1 (en) * 2015-08-06 2018-01-30 서인식 Automatic retrieval device of alternative cont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849036B1 (en) * 2017-01-03 2018-04-13 한국건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hybrid language display mode by caption scan in moving pi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34B1 (en) * 2015-08-06 2018-01-30 서인식 Automatic retrieval device of alternative cont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849036B1 (en) * 2017-01-03 2018-04-13 한국건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hybrid language display mode by caption scan in moving pi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73B1 (en) 2019-12-04 2021-05-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Voice recording metho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KR20210094264A (en) 2020-01-21 2021-07-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A Braille Informating System and A Service Provis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9296A1 (en) Barcode, barcode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4901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aille assistance
KR101946207B1 (en) Braille output device
US614091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generate graphical data in a computer
KR101789057B1 (en) Automatic audio book system for blind peop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879273B1 (en)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US20100167244A1 (en) Language teaching system of orientation phonetic symbols
KR100654183B1 (en) Let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KR101994845B1 (en) Toy with recognition for character and block
KR20180119100A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device for forming and reading hangul syllables
KR20110014372A (en) System for interacting braille education using the feel presentat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for
KR100765371B1 (en) System for learning hangeul using text-to-speech and method therefor
US10902744B2 (en) Braille and/or in auditive Morse code writing device, for user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or any motor disorder
KR101865251B1 (en) Intelligent braille translation device
KR2009003263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ight disabled and method of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the terminal
JPH0883092A (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06011643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aille-points data and outputting braille-points data
Kumar et al. A pragmatic approach to aid visually impaired people in reading, visualizing and understanding textual contents with an automatic electronic pen
KR20180017556A (en) The Method For Dictation Using Electronic Pen
Zeineddine et al. Low Cost Electronic Brailler
KR100805259B1 (en) User created interactive interface
KR100889890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bet in keypad and method therefor
KR101845780B1 (en) Method for providing sign image search service and sign image search server used for same
KR1019226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honetic symbols
Waghela et al. BRAILLE KEYBOARD AND PRINTER INTERFAC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