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05B1 -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05B1
KR101945405B1 KR1020120150492A KR20120150492A KR101945405B1 KR 101945405 B1 KR101945405 B1 KR 101945405B1 KR 1020120150492 A KR1020120150492 A KR 1020120150492A KR 20120150492 A KR20120150492 A KR 20120150492A KR 101945405 B1 KR101945405 B1 KR 10194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control
uni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362A (ko
Inventor
문영찬
소성환
김종한
정국성
이동훈
우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PCT/KR2013/0005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11971A1/ko
Priority to EP13740658.3A priority patent/EP2808944B1/en
Priority to CN201380006723.6A priority patent/CN104067443B/zh
Publication of KR2013008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62A/ko
Priority to US14/297,021 priority patent/US100909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1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shape of the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의 레이돔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서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진 무선 신호, 직류 전원 신호 및 안테나 제어를 위한 미리 설정된 포맷의 제어 신호의 합성 신호를 분리하여, 직류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는 무선 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며, 무선 신호는 안테나부로 제공 하는 신호 분리부와; 안테나의 레이돔 내부에서,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직류 전원 신호는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며, 제어 신호는 내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모뎀을 구비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안테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대상 장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ANTENNA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기반, 또는 AISG(Antenna Interface Standards Group)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안테나의 동작이 원격 제어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은 통상 서로 수직인 두 개의 편파(통상 X자 편파)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방사 소자들이 다수개 수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X자 편파는 편파 평면이 기본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 평면에 대하여 +45ㅀ 또는 -45의 각도로 정렬된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에는 통상, 원격에서 안테나의 방사 빔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전자식의 다운틸트(Down Tilt)각 조정을 위한 RET(Remote Electrical Tilt) 장치를 비롯하여, 원격으로 방위각 스티어링 조정을 위한 RAS(Remote Azimuth Steering) 장치 및 원격으로 방위각의 빔폭 조정을 위한 RAB(Remote Azimuth Beamwidth)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구비한 안테나의 예로는 암페놀 코포레이션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2202호(명칭: 멀티 디바이스 제어 유닛을 갖춘 다중빔 안테나, 발명자 지라드 그레고리, 술리에 프랑크, 공개일: 2010년 11월 19일)에 개시된 바를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다운틸트각 조정은 동일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을 줄이거나 기지국 바로 근처에서 서비스가 안 되는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시지역 통화량이 밀집되어 기지국이 많은 지역에서 각 기지국 섹터 간 중첩을 최소로 줄이고, 안테나 사이드로브(Side-lobe)에 의한 인접 기지국에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RET 장치, 또는 RAS 장치 및 RAB 장치들의 제어를 위하여, 근래에, AISG(Antenna Interface Standards Group) v2.1.0이 제안되었으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안테나의 RET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의 일 예시도이다. 3GPP 또는 AISG의 규격에 따르면, 예를 들어, RET 제어는 크게 일차국(primary station)과 이차국(secondary station)으로 구분되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통상 건물이나 지주 등과 같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안테나 시스템과, 지상에 설치되는 기지국 본체 시스템 및 이들 간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feeder cable)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일차국 부분은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 해당하며, 이차국 부분은 안테나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차국 부분은 마스터(master)부분으로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MCU(Master Control Unit; 22) 등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부분을 말하며, 이차국은 슬레이브(slave) 부분으로 RET(14)와 ALD 모뎀(Antenna Line Device Modem; 13)과 같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기지국 본체부(21)는 기본적인 송신 및 수신 RF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급전 케이블 통하여 RF신호를 송신하며, MCU(22)에서는 RET 장비(1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에 해당하는 DC 신호와, 제어를 위한 RS485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위 두 부분에서 송신된 신호는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 구비되는 하부 모뎀(Bottom ALD modem)(23)에서DC(Direct Current) 신호 + RF 신호 + OOK(On-Off Keying) 신호로 변환되어 합쳐지게 된다. 위 신호는 다시 급전 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밑단까지 송신이 된다. 안테나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부 모뎀(Top ALD modem)(13)은 상기와 같이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진 신호에서 DC 신호 + OOK 신호를 걸러내어 RET 장비(14)로 제공하여RET 장비(14)가 명령을 수신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때, 상부 모뎀(13)과 RET 장비(14)간에는 AISG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부 모뎀(13)과 안테나(10)간에는 급전 케이블로 연결되어 RF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상부 모뎀(13)은 상기 DC 신호 + OOK 신호와 분리된 RF 신호를 다수의 송신 및 수신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는 제1안테나부(11)로 제공한다. 한편, 안테나(10)에는 각각 다수의 송신 및 수신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는 다수의 안테나부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부(11) 및 제2안테나부(12)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RET 장비(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이들 중 하나의 안테나부, 예를 들어 제1안테나부(11)의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안테나(10)에 장착되어 기지국 본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RET 장비(14)를 예로 들었으나, RAS 및 RAB 장비도 마찬가지로 장착되며,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RET 장비, RAS 장비 및 RAB 장비가 모두 장착될 경우에는 이들간에는 AISG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상부 모뎀(13)으로부터 제공되는 DC + RS485 신호는 일차적으로 RET 장비로 제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살펴보면, RET 장비(14) 등은 안테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레이돔 내부에 장착되며 AISG 커넥터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모뎀(13)은 안테나(10)의 레이돔의 외부의 밑단에서 별도의 장비로서 부가적으로 설치되며, RET 장비(14)와는 AISG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안테나(10)와는 별도의 급전 케이블을 통해, 안테나(10)의 레이돔의 하부 캡에 형성된 커넥터, 예를 들어, DIN(Deutsch Industrial Norms) 커넥터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서 안테나 시스템까지 신호 전달을 위해 필요한 수 m ~ 수십 m의 급전 케이블과 더불어, 상부 모뎀(13)에서 RET 장비(14)와 안테나(10)의 커넥터간에 신호 전달을 위해 별도의 급전 케이블 및 AISG 케이블이 추가로 더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부 모뎀(13) 자체에 대해서도 별도의 기구물로 구성하여 안테나(10)의 외부에 장착하는 구조로 설치되므로, 설치 비용, 설치 공간 및 무게 등을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시스템에 설치되는 기지국 본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및 요구되는 부품들을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며, 필요한 설치 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의 레이돔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서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진 무선 신호, 직류 전원 신호 및 안테나 제어를 위한 미리 설정된 포맷의 제어 신호의 합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직류 전원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무선 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며, 상기 무선 신호는 안테나부로 제공하는 신호 분리부와; 상기 안테나의 레이돔 내부에서,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직류 전원 신호는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내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안테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대상 장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OOK(On-Off Keying) 신호 포맷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격 제어 대상 장비는 상기 OOK 신호 포맷을 RS485 신호 및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에서, 원격 제어 대상 장비는,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 신호를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하는 전원부와; 상기 OOK 신호를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모뎀과; 상기 모뎀에서 출력되는 TTL 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하는 제1 RS485 회로와; 상기 제1 RS485 회로에서 출력되는 RS485로 신호를 다시 TTL 신호로 변환하는 제2 RS485 회로와; 상기 제2 RS485 회로에서 출력되는 TTL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안테나의 동작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전기, 기구적 장비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은, 기지국 본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및 요구되는 부품들을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며, 필요한 설치 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안테나의 RET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안테나의 RET 제어를 위한 기지국 본체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 중 안테나에서 주요부의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안테나의 RET 제어를 위한 기지국 본체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은 종래와 유사하게, 기지국 본체 시스템과 안테나 시스템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는 3GPP 또는 AISG의 규격에 따라 일차국(primary station)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MCU(Master Control Unit; 22) 및 하부 모뎀(23) 등이 구비되며, 안테나 시스템에는 이차국(secondary station)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RET 장비(16) 및 신호 분리부(15)가 구비된다. 안테나 시스템과 기지국 본체 시스템간에는 급전 케이블(feeder cable)로 연결된다.
기지국 본체부(2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송신 및 수신 RF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급전 케이블 통하여 RF신호를 송신한다. MCU(22)에서는 RET 장비(16)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에 해당하는 DC 신호와, 제어를 위한 RS485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위 두 부분에서 송신된 신호는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 구비되는 하부 모뎀(Bottom ALD modem)(23)에서 직류 전원 신호(DC 신호) + 무선 신호(RF 신호) + 안테나 제어를 위한 미리 설정된 포맷의 제어신호(OOK 신호)로 변환되어 합쳐지게 된다. 즉, 하부 모뎀(23)은 MCU(22)에서 제공되는 RS485 통신 신호를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미리 설정된 OOK(On-Off Keying)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기지국 본체부(21)에서 전송된 RF 신호와 합성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서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신호는 안테나 시스템에 제공되는데, 종래의 하부 모뎀(도 1의 13)을 거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안테나(10)의 레이돔의 하부 캡에 형성된 커넥터(DIN 커넥터)로 곧바로 급전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안테나(10)의 외측에 별도로 부착되어지는 하부 모뎀(도 1의 13)이 구비되지 않는다.
안테나(10)에는 그 레이돔의 내부에 신호 분리부(15)가 구비되는데, 신호 분리부(15)는 RF 신호와 DC 신호(및 DC 신호와 결합된 OOK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캐패시터(C)와 인덕터(L)로 간단히 구성되는 바이어스-T(bias-T)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관련된 부품 및 회로 패턴이 인쇄된 PCB(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신호 분리부(15)는 안테나(10)의 내부에서 급전 케이블을 통해 DIN 커넥터로 입력된 RF + DC + OOK 신호를 제공받아 DC 신호 + OOK 신호를 걸러내어 RET 장비(16)로 제공하며, RF 신호는 다수의 송수신용 방사 소자들로 구성되는 제1안테나부(11)로 제공한다. 한편, 안테나(10)에는 각각 다수의 송신 및 수신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는 다수의 안테나부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부(11) 및 제2안테나부(12)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RET 장비(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이들 중 하나의 안테나부, 예를 들어 제1안테나부(11)의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RET 장비(16)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RET 제어를 위한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는데,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신호 분리부(15)에서 제공되는 DC + OOK 신호를 수신하여 DC 신호는 동작 전원으로 사용한다. 또한, RET 장비(16)는 OOK 신호를 내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예를 들어, RS485 신호 및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16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RET 장비(16)는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모뎀(161)을 통해 RET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관련된 RET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 RET 장비(16)와 신호 분리부(15)간은 통상적인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RET 장비(16) 및 신호 분리부(15) 등은 안테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레이돔 내부에 장착되며 이들간은 (급전 케이블과 비교하여 상당히 저비용인) 통상적인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상부 모뎀(도 1의 13)의 설치 구조와 비교하여, 필요한 급전 케이블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부 모뎀(도 1의 13)과 RET 장비(14)를 연결하는AISG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부 모뎀(도 1의 13) 자체에 대한 별도의 제작 비용이나, 상부 모뎀을 안테나(10)의 외부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설치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안테나(10)에 장착되어 기지국 본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RET 장비(16)를 예로 들었으나, RAS 및 RAB 장비도 마찬가지로 장착되며,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RET 장비, RAS 장비 및 RAB 장비가 모두 장착될 경우에는 이들간에는 AISG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 중 안테나에서 주요부의 상세 구성도로서, 신호 분리부(15) 및 RET 장비(16)의 상세 구성 등이 개시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분리부(15)는 기본적으로 캐패시터(C)와 인덕터(L)로 간단히 구성되는 바이어스-T 구조를 가지는데, 제1캐패시터(C1)를 통해 실질적으로 RF 신호만 분리되어 안테나부(11)로 제공되며, 제1인덕터(L1)를 통해 실질적으로 DC + OOK 신호가 분리되어 RET 장비(16)로 제공된다.
RET 장비(16)에는 상기 신호 분리부(15)에서 제공되는 DC + OOK 신호를 수신하여 이중 DC 신호를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하는 전원부(162)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도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OOK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161)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원부(162)는 예를 들어, 10∼30V의DC 전압을 공급 받을 수 있는데, 3개의 전력 IC를 구비하여, 각각 예를 들어, +12V, +5V, +3.3V로 전압 변환하여 해당 전압이 필요한 각 기능부에 공급할 수 있다.
모뎀(161)에서 출력되는TTL 신호는 제1 RS485 회로(163)에 제공되는데, 제1 RS485 회로(163)는 이를 RS485로 신호로 변환하여 제2 RS485 회로(164)로 제공한다. 제2 RS485 회로(164)는 이를 다시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받을 수 있는 TTL 신호로 변환하여, CPU(165)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CPU(165)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RET 조정을 위한 전기, 기구적 장비인 모터(17) 및 MLPS(Multi Line Phase Shifter)(18)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구동부(166)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모터 구동부(166)는 이에 따라 상기 모터(17)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 RS485 회로(163) 및 제2 RS485 회로(164)를 이용하여 모뎀(161)으로부터 제공되는 TTL 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하였다가, 다시 TTL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데이지 체인 형태로 연결되는 다른 원격 제어 대상 장비들인 RAS 및 RAB 장비 또는 또다른 RET 장비 등을 위한 것으로, 제1 RS485 회로(163)에서 RS485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제2 RS485 회로(164)와 더불어 AISG 커넥터로 분배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외부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RAS 장비 및 RAB 장비 도는 RET 장비 등이 데이지 체인 형태로 연결될 경우에, 상기와 같이, RET 장비(16)에서 외부로 출력되는 RS485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MLPS(18)는 제1안테나부(11)(및/또는 제2안테나부 12) 의 각 방사소자들의 위상을 서로간 미리 설정된 차이만큼 발생하도록 조정하여, 전체적인 안테나의 다운틸트(Down Tilt)각을 조정한다. 상기 MLPS(18)는 실제로는 신호 분리부(15)에서 제1안테나부(11)(및/또는, 제2안테나부12)의 각 방사소자에 제공되는 신호 경로로 설치되나,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MLPS(18)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상기에서는 안테나(10)에 장착되어 기지국 본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RET 장비(16)를 예로 들었으나, RAS 및 RAB 장비도 마찬가지로 장착되며,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장비들이 마찬가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의 레이돔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지국 본체 시스템에서 급전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진 무선 신호, 직류 전원 신호 및 안테나 제어를 위한 미리 설정된 포맷의 제어 신호의 합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직류 전원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무선 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며, 상기 무선 신호는 안테나부로 제공하는 신호 분리부와;
    상기 안테나의 레이돔 내부에서,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직류 전원 신호는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내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안테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대상 장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OOK(On-Off Keying) 신호 포맷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격 제어 대상 장비는 상기 OOK 신호 포맷을 RS485 신호 및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대상 장비는,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 신호를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하는 전원부와,
    상기 OOK 신호를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모뎀과,
    상기 모뎀에서 출력되는 TTL 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하는 제1 RS485 회로와,
    상기 제1 RS485 회로에서 출력되는 RS485로 신호를 다시 TTL 신호로 변환하는 제2 RS485 회로와,
    상기 제2 RS485 회로에서 출력되는 TTL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안테나의 동작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전기, 기구적 장비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S485 회로에서 제2 RS485 회로로 제공되는 R485 신호는 해당 원격 제어 대상 장비의 외부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15)는 캐패시터(C)와 인덕터(L)로 구성되는 바이어스-T 구조를 가지며, 관련된 부품 및 회로 패턴이 인쇄된 PCB(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대상 장비는, 전자식의 다운틸트(Down Tilt)각 조정을 위한 RET(Remote Electrical Tilt) 장비, 방위각 스티어링 조정을 RAS(Remote Azimuth Steering) 장비 및 방위각의 빔폭 조정을 위한 RAB(Remote Azimuth Beamwidth) 장비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0120150492A 2012-01-27 2012-12-21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KR10194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565 WO2013111971A1 (ko) 2012-01-27 2013-01-24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EP13740658.3A EP2808944B1 (en) 2012-01-27 2013-01-24 Antenna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N201380006723.6A CN104067443B (zh) 2012-01-27 2013-01-24 移动通信基站的天线系统
US14/297,021 US10090912B2 (en) 2012-01-27 2014-06-05 Antenna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17 2012-01-27
KR20120008317 201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62A KR20130087362A (ko) 2013-08-06
KR101945405B1 true KR101945405B1 (ko) 2019-02-08

Family

ID=4921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492A KR101945405B1 (ko) 2012-01-27 2012-12-21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0912B2 (ko)
EP (1) EP2808944B1 (ko)
KR (1) KR101945405B1 (ko)
CN (1) CN104067443B (ko)
WO (1) WO2013111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8576B2 (en) 2014-02-17 2016-09-20 Commscope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power supplies for cellular base stations and related methods of reducing power loss in cellular systems
US10281939B2 (en) 2014-02-17 2019-05-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equipment for reducing power loss in cellular systems
US11333695B2 (en) 2014-02-17 2022-05-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equipment for reducing power loss in cellular systems
KR101535811B1 (ko) * 2014-04-16 2015-07-24 주식회사 케이지피텍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인터페이스 장치
DE102014011822A1 (de) * 2014-08-08 2016-02-11 Kathrein-Werke Kg Antennenanlage für mehrere Primaries, insbesondere mehrere Basisstationen
WO2016052779A1 (ko) 2014-10-01 2016-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휴대용 안테나 제어 장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KR101740024B1 (ko) * 2014-11-25 2017-05-2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제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CN111244607B (zh) * 2015-02-11 2021-05-04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到远程无线电头的电力输送的模块、系统和方法
KR102345228B1 (ko) * 2015-04-21 2021-12-3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34039A (ko) 2015-05-14 2016-11-23 (주)엠에스전자 기지국용 안테나 커넥터
CA2987099C (en) * 2015-05-26 2021-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ical tilt apparatus, antenna, and electrical tilt method
CN105871421A (zh) * 2015-10-27 2016-08-17 武汉天降科技有限公司 一种单线传输直流电源、信号电路
CN105390812B (zh) * 2015-11-24 2018-09-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远程调整天线的方法、设备以及系统
CN105896077A (zh) * 2015-12-01 2016-08-24 东莞市本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rcu和sbt的电调天线控制装置
US10854967B2 (en) 2017-03-30 2020-12-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s that are configurable for either independent or common down tilt control and related methods
CN109600176A (zh) * 2018-12-29 2019-04-09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信号分流电路及校准网络
CN110518356A (zh) * 2019-08-20 2019-11-29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电调天线控制装置及方法
WO2021154127A1 (en) * 2020-01-27 2021-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ns and method for microwave radio transceiver control
WO2021223142A1 (zh) 2020-05-07 2021-11-11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天线Ping功能的装置及方法
KR20220068564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알이티 모듈과 바이어스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안테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047A1 (en) 2003-11-25 2005-05-26 Duk-Yong Kim Antenna remote control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WO2005048401A1 (en) 2003-11-07 2005-05-26 Quintel Technology Limite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controllable electrical tilt
EP1653636A2 (en) 2004-10-27 2006-05-03 Nihon Dempa Kogyo Co., Ltd. Control method for high frequency radio equipment and high-frequency radio system
US20060244675A1 (en) 2001-07-10 2006-11-02 Elliot Robert D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192B2 (en) * 2003-06-10 2006-12-05 Lucent Technologies Inc. Base station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an antenna assembly,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n antenna assembly
KR100590631B1 (ko) * 2003-11-05 2006-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KR100611806B1 (ko) * 2004-03-03 2006-08-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프로브 급전의 적층형 패치 방사소자가 어레이된 이중편파기지국 안테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0790558B1 (ko) * 2004-04-20 2008-01-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원격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시스템의 안테나 원격 제어 시스템
GB0425813D0 (en) * 2004-11-24 2004-12-29 Finglas Technologies Ltd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
SE528018C2 (sv) * 2004-11-26 2006-08-08 Powerwave Technologies Sweden Antennstyrsystem
US20070161348A1 (en) * 2006-01-06 2007-07-12 Gribben Douglas A Cellular base station subsystem
SE530306C2 (sv) * 2006-09-15 2008-04-29 Powerwave Technologies Sweden Kommunikationslösning för antenner
CN101043239B (zh) * 2007-04-28 201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偏置t形头与控制天线的系统
CA2725886C (en) 2008-02-11 2017-06-27 Amphenol Corporation Remote electrical tilt antenna with motor and clutch assembly
CN101740864B (zh) * 2008-11-21 2013-10-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调天线通信系统和方法
US8027703B2 (en) * 2009-02-11 2011-09-27 Amphenol Corporation Multi-beam antenna with multi-device control unit
KR101508978B1 (ko) * 2009-04-20 2015-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dd용 기지국 안테나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안테나
CN101626231B (zh) * 2009-08-11 2011-11-16 武汉凡谷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Aisg塔顶放大器ret端rs485电路
CN201732859U (zh) * 2010-04-22 2011-02-02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方位角及俯仰角的天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4675A1 (en) 2001-07-10 2006-11-02 Elliot Robert D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WO2005048401A1 (en) 2003-11-07 2005-05-26 Quintel Technology Limite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controllable electrical tilt
US20050113047A1 (en) 2003-11-25 2005-05-26 Duk-Yong Kim Antenna remote control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EP1653636A2 (en) 2004-10-27 2006-05-03 Nihon Dempa Kogyo Co., Ltd. Control method for high frequency radio equipment and high-frequency ra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90912B2 (en) 2018-10-02
WO2013111971A1 (ko) 2013-08-01
KR20130087362A (ko) 2013-08-06
EP2808944B1 (en) 2019-07-10
US20140287696A1 (en) 2014-09-25
CN104067443A (zh) 2014-09-24
EP2808944A1 (en) 2014-12-03
EP2808944A4 (en) 2015-08-05
CN104067443B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05B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시스템
US10886610B2 (en) Portable antenna control device and antenna control system
EP2897224B1 (en)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540224B1 (ko) 안테나 전송제어 장치를 구비한 안테나 시스템.
EP1305844B1 (en) Antenna arrangement and 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01057367B (zh) 天线控制系统
KR101635932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제어 장치
US9425506B2 (en) Multi-beam shape supplementary device
US2017004795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ulti-band antenna
CN104900984A (zh) 天线装置、穿戴式设备和用于设置天线装置的方法
JP4788685B2 (ja) アンテナ、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JP2009049982A (ja) 多重入出力通信装置、これに用いるアンテ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AU2012237533A1 (en) Beam shape control device for an antenna and associated antenna
CN102891697B (zh) 一种终端设备
KR1012866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KR102057968B1 (ko) 휴대용 안테나 제어 장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WO2016072159A1 (ja) アクティブアンテナシステム
WO2016022182A1 (en) Multiple-input smart bias tee
CN110366743B (zh) 遥控辅助装置、遥控器以及遥控系统
KR101651465B1 (ko) 수직 양방향 안테나
JP2006191275A (ja) 電子キ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