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26B1 -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26B1
KR101944926B1 KR1020170009181A KR20170009181A KR101944926B1 KR 101944926 B1 KR101944926 B1 KR 101944926B1 KR 1020170009181 A KR1020170009181 A KR 1020170009181A KR 20170009181 A KR20170009181 A KR 20170009181A KR 101944926 B1 KR101944926 B1 KR 10194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ffset
terminal
event
compensation perio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5535A (en
Inventor
장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8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5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g. determination of delay spread, derivative or peak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과,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단말의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even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disclosed. Specifically, the method includes estimating a frequency offse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generating an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terminal by reflec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vent triggering a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s detected;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detected. have.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voice service while ensuring the user 's activity. 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t only the voice but also the data service are extended. At present, due to the increase of the explosive traffic, there is a shortage of resources and users require higher speed service, have.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The requirements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argely depend on the acceptance of explosive data traffic,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rate per user, the acceptance of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connected devices, very low end-to-end latency, Should be able to. For this purpose, a dual connectivity, a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 in-band full duplex, 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deband support, and device networking.

단말에서 전류 또는 전력을 급격하게 소모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으로 인한 수신 성능의 열화 문제가 야기된다. There arise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reception performance due to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apidly consumes current or pow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이벤트를 예측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by predicting an event that abruptly increases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in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이벤트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by using a message on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n event that abruptly increases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n a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소모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통해 측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by measuring a current or power consumed in a terminal through a hardware configuration or a softwar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이벤트를 예측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주파수 신호의 갱신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hanging an update period of a frequency signal for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by predicting an event that abruptly increases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n a termina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과,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단말의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even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stimating a frequency offse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Generating an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UE by reflec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generating an event triggering a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detected.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 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the step of estimating the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calculating a signal-to-noise ratio (SNR)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And estimating the frequency offset when the calculated SNR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not detected.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벤트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event list)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은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method,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event is detected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the event using a preset event list, And information about a message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event that triggers a change.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detecting the event using the preset event list may include receiving a message o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base station.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은, 감소된 누적 비에 기반하여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누적된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comprises the steps of: accumula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reduced accumulation ratio; and calculat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based on the accumulated frequency offset. .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현재 소모 전류 또는 현재 소모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에 대한 편차 값(deviation value)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the step of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may include calculating at least one value of a current consumption current or a current consumption power of the terminal, and using at least one calculated value, Calculating a deviation value with respect to a current or consumed power;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현재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 목록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formation on a message on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ted to a currently generated event in the event list if the event is not detected.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not detected and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if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formation on a message on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ted to the event is deleted from the event list. And the like.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산출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calculated SNR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을 보상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that compensates for a frequency offset may include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rocess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단말의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even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estimates a frequency offse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calculates an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And to check whether or not an event triggering the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s detected and to change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det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에서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at the terminal suddenly increases,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compensat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에서 수신하는 신호에 대한 품질 및 주파수에 대한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1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UL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5 shows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for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that compensates for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UE for correcting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show graphs of quality and frequency for signals received at a terminal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has a meaning as a terminal node of a network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The specific operation described herein as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may be performed by an upper node of the base station, as the case may be. That i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in a network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including a base station can be performed by a network node other than the base station or the base station. A 'base station (BS)' may be replaced by terms such as a fixed station, a Node B, an evolved 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P) . Also, a 'terminal'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mobile station (UE),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 subscriber station (SS) Advanced Mobile Station (WT), Wireless Terminal (WT),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Machine-to-Machine (M2M), and Device-to-Device (D2D) devices.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a downlink (DL) means communica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nd an uplink (UL) means communication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The following techniques may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the like. CDMA can be implemented with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DMA can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can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volved UTRA (E-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is part of E-UMTS (evolved UMTS) using E-UTRA, adopting OFDMA in downlink and SC-FDMA in uplink. LTE-A (advanced) is the evolution of 3GPP L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access systems IEEE 802, 3GPP and 3GPP2. That is, the steps or por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orted by th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scribed by the standard document.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larity of description, 3GPP LTE / LTE-A is mainly described, bu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has a meaning as a terminal node of a network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The specific operation described herein as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may be performed by an upper node of the base station, as the case may be. That i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in a network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including a base station can be performed by a network node other than the base station or the base station. A 'base station (BS)' may be replaced by terms such as a fixed station, a Node B, an evolved 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P) . Also, a 'terminal'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mobile station (UE),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 subscriber station (SS) Advanced Mobile Station (WT), Wireless Terminal (WT),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Machine-to-Machine (M2M), and Device-to-Device (D2D) devices.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a downlink (DL) means communica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nd an uplink (UL) means communication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The following techniques may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the like. CDMA can be implemented with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DMA can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can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volved UTRA (E-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is part of E-UMTS (evolved UMTS) using E-UTRA, adopting OFDMA in downlink and SC-FDMA in uplink. LTE-A (advanced) is the evolution of 3GPP L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access systems IEEE 802, 3GPP and 3GPP2. That is, the steps or por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orted by th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scribed by the standard document.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larity of description, 3GPP LTE / LTE-A is mainly described, bu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시스템 일반System Gener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1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GPP LTE/LTE-A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3GPP LTE / LTE-A supports a Type 1 radio frame structure applicable to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and a Type 2 radio frame structure applicable to TDD (Time Division Duplex).

도 1에서 무선 프레임의 시간 영역에서의 크기는 T_s=1/(15000*2048)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T_f=307200*T_s=10ms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In FIG. 1, the size of the radio frame in the time domain is represented by a multiple of a time unit of T_s = 1 / (15000 * 2048). The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are composed of radio frames having intervals of T_f = 307200 * T_s = 10ms.

도 1의 (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타입 1 무선 프레임은 전이중(full duplex) 및 반이중(half duplex) FDD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1 (a)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Type 1 radio frame. Type 1 radio frames can be applied to both full duplex and half duplex FDD.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T_slot=15360*T_s=0.5ms 길이의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0부터 19까지의 인덱스가 부여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연속적인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 i는 슬롯 2i 및 슬롯 2i+1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A radio frame is composed of 10 subframes. One radio frame is composed of 20 slots having a length of T_slot = 15360 * T_s = 0.5 ms, and each slot is given an index from 0 to 19. One subframe consists of two consecutive slots in the time domain, and the subframe i consists of slots 2i and 2i + 1. The time taken to transmit one subframe is calle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For example, one subframe may have a length of 1 ms and the length of one slot may be 0.5 ms.

FDD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구분된다. 전이중 FDD에 제한이 없는 반면, 반이중 FDD 동작에서 단말은 동시에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없다.In the FDD, the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are classified in the frequency domain. While there is no limit to full-duplex FDD, terminals can not transmit and receive simultaneously in half-duplex FDD operation.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OFDM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적인 부 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One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s) in the frequency domain. Since 3GPP LTE uses OFDMA in the downlink, an OFDM symbol is intended to represent one symbol period. The OFDM symbol may be one SC-FDMA symbol or a symbol interval. A resource block is a resource allocation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subcarriers in one slot.

도 1의 (b)는 타입 2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type 2)를 나타낸다. 1 (b) shows a type 2 frame structure (frame structure type 2).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각 153600*T_s=5ms의 길이의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된다. 각 하프 프레임은 30720*T_s=1ms 길이의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The Type 2 radio frame is composed of two half frames each having a length of 153600 * T_s = 5 ms. Each half frame consists of 5 subframes with a length of 30720 * T_s = 1 ms.

TDD 시스템의 타입 2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은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할당(또는 예약)되는지 나타내는 규칙이다. In the Type 2 frame structure of the TDD system,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s a rule indicating whether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allocated (or reserved) for all the subframes.

표 1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나타낸다.Table 1 shows an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Figure 112017006696212-pat00001
Figure 112017006696212-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 별로, 'D'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P: 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 3가지의 필드로 구성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나타낸다.Referring to Table 1, 'D' denotes a subframe for downlink transmission, 'U' denotes a subframe for uplink transmission, 'S' denotes a downlink pilot (DwPTS) A special subframe consisting of three fields: a time slot, a guard interval (GP),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UpPTS).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The DwPTS is used for initial cell search, synchronization, or channel estimation in the UE. UpPTS is used to synchronize the channel estimation at the base sta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of the UE. GP is a period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caused in the uplink due to the multi-path delay of the downlink signal betwee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각 서브프레임 i는 각 T_slot=15360*T_s=0.5ms 길이의 슬롯 2i 및 슬롯 2i+1로 구성된다.Each subframe i is composed of a slot 2i and a slot 2i + 1 each having a length of T_slot = 15360 * T_s = 0.5 ms.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7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 별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다르다.The uplink-downlink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and the positions and / or the numbers of the downlink subframe, the special subframe, and the uplink subframe are different for each structure.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 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 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가 모두 지원된다.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은 하프-프레임 마다 존재하고,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첫번째 하프-프레임에만 존재한다. The point of time when the downlink is changed to the uplink or the time when the uplink is switched to the downlink is referred to as a switching point. Switch-point periodicity refers to a period in which the uplink subframe and the downlink subframe are switched in the same manner, and both 5ms or 10ms are supported. The special sub-frame S exists for each half-frame when a 5-ms downlink-uplink switching point has a period, and exists only in the first half-frame when a 5-ms downlink-uplink switching point has a period.

모든 구성에 있어서, 0번, 5번 서브프레임 및 DwPTS는 하향링크 전송만을 위한 구간이다. UpPTS 및 서브프레임 서브프레임에 바로 이어지는 서브프레임은 항상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구간이다. In all configurations, the 0th and 5th subframes and the DwPTS are only for downlink transmission. UpPTS and subframes immediately following a subframe subframe are always intervals for uplink transmission.

이러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로써 기지국과 단말이 모두 알고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정보가 바뀔 때마다 구성 정보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구성 정보는 일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로서 다른 스케줄링 정보와 마찬가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방송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s system information, and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know it. The base station can inform the terminal of the change of the uplink-downlink allocation state of the radio frame by transmitting only the index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every time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chang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s a kind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like other scheduling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all terminals in a cell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s broadcast information .

표 2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DwPTS/GP/UpPTS의 길이)을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configuration (DwPTS / GP / UpPTS length) of the special subframe.

Figure 112017006696212-pat00002
Figure 112017006696212-pat00002

도 1의 예시에 따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부 반송파의 수 또는 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1 is only one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carriers included in a radio frame,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a subframe,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a slot are changed variously .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 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2, one downlink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a time domain. Herein, one downlink slot includes 7 OFDM symbols, and one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원 그리드 상에서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은 12 × 7 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의 수 N^DL은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Each element on the resource grid is a resource element, and one resource block (RB) contains 12 × 7 resource elements.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N DL included in the downlink slot is dependent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bandwidth.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uplink slot may be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downlink slot.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에서 앞의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이 제어 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이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일례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3, a maximum of three OFDM symbols preceding a first slot in a subframe is a control region in which control channels are allocated, and the remaining OFDM symbols are allocated to a data region (PDSCH) to whic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ata region). Examples of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used in the 3GPP LTE include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HICH).

PCFICH는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들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 링크에 대한 응답 채널이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Tx) 파워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The PCFICH is carried in the first OFDM symbol of the subframe and carri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OFDM symbols (i.e., the size of the control region) used for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s in the subframe. The PHICH is a response channel for the uplink and carries an ACK (Acknowledgment) / NACK (Not-Acknowledgment) signal for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is referred to a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r an uplink transmission (Tx) power control command for an arbitrary terminal group.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이를 하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이를 상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PCH(Paging Channel)에서의 페이징(paging) 정보, DL-SCH에서의 시스템 정보, PDSCH에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 레이어(upper-layer) 제어 메시지에 대한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들의 집합,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들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을 PDCCH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들에 대응된다. PDCCH의 포맷 및 사용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는 CCE들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 간의 연관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PDCCH includes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mission format (also referred to as downlink grant) of DL-SCH (Downlink Shared Channel),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UL-SCH (also referred to as uplink grant), PCH Resource allocation for an upper-layer control message such as paging information in a paging channel, system information in a DL-SCH, and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on a PDSCH, A set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for individual terminals in the group, and activation of VoIP (Voice over IP). The plurality of PDCCHs can be transmitted in the control domain, and the UE can monitor a plurality of PDCCHs. The PDCCH consists of a set of one or a plurality of consecutive control channel elements (CCEs). The CCE is a logical allocation unit used to provide a coding ra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dio channel to the PDCCH. The CCE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resource element groups. The format of the PDCCH and the number of bits of the available PDC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CCEs and the coding rate provided by the CCEs.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특정의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를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하여,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PDCCH format according to the DCI to be transmitted to the UE, and attaches a CRC (Cyclic Redundancy Check) to the control information. The CRC is masked with a unique identifier (called 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according to the owner or use of the PDCCH. If the PDCCH is for a particular U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UE, e.g., C-RNTI (Cell-RNTI), may be masked in the CRC. Or a PDCCH for a paging message, a paging indication identifier, e.g., a Paging-RNTI (P-RNTI), may be masked to the CRC. System information identifier, SI-RNTI (system information RNTI) can be masked in the CRC if it is a PDCCH for system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A random access-RNTI (RA-RNTI) may be masked in the CRC to indicate a random access response that is a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UE's random access preamble.

EPDCCH(enhanced PDCCH)는 단말 특정(UE-specific) 시그널링을 나른다. EPDCCH는 단말 특정하게 설정된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는 서브 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에서 앞의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에서 전송될 수 있으나, EPDCCH는 PDCCH 이외의 자원 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 EPDCCH가 시작되는 시점(즉, 심볼)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The enhanced PDCCH (EPDCCH) carries UE-specific signaling. The EPDCCH is located in a physical resource block (PRB) that is set to be terminal specific.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PDCCH can be transmitted in up to three OFDM symbols in the first slot in a subframe, but the EPDCCH can be transmitted in a resource region other than the PDCCH. The time (i.e., symbol) at which the EPDCCH starts in the subframe can be set in the terminal via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etc.).

EPDCCH는 DL-SCH와 관련된 전송 포맷, 자원 할당 및 HARQ 정보, UL-SCH와 관련된 전송 포맷, 자원 할당 및 HARQ 정보, SL-SCH(Sidelink Shared Channel) 및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과 관련된 자원 할당 정보 등을 나를 수 있다. 다중의 EPDCCH가 지원될 수 있으며, 단말은 EPCCH의 세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EPDCCH is a resource allocation (DL) associated with DL-SCH related transport format, resource allocation and HARQ information, UL-SCH related transport format, resource allocation and HARQ information, SL-SCH (Sidelink Shared Channel) and PSCCH Information, and so on. Multiple EPDCCHs may be supported and the terminal may monitor the set of EPCCHs.

EPDCCH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속된 진보된 CCE(ECCE: enhanced CCE)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각 EPDCCH 포맷 별로 단일의 EPDCCH 당 ECCE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The EPDCCH may be transmitted using one or more successive advanced CCEs (ECCEs), and the number of ECCEs per EPDCCH may be determined for each EPDCCH format.

각 E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EREG: 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으로 구성될 수 있다. EREG는 ECCE의 RE에의 매핑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RB 쌍 별로 16개의 EREG가 존재한다. 각 PRB 쌍 내에서 DMRS를 나르는 RE를 제외하고, 모든 RE는 주파수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그 다음 시간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0 내지 15까지의 번호가 부여된다. Each ECC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s (EREGs). EREG is used to define the mapping of ECCEs to REs. There are 16 EREGs per PRB pair. All REs are numbered from 0 to 15 in the order in which the frequency increases, except for the RE carrying the DMRS in each PRB pair.

단말은 복수의 E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EPDCCH 전송을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PRB 쌍 내 하나 또는 두 개의 EPDCCH 세트가 설정될 수 있다.The UE can monitor a plurality of EPDCCHs. For example, one or two EPDCCH sets may be set in one PRB pair in which the terminal monitors the EPDCCH transmission.

서로 다른 개수의 ECCE가 병합됨으로써 EPCCH를 위한 서로 다른 부호화율(coding rate)이 실현될 수 있다. EPCCH는 지역적 전송(localized transmission) 또는 분산적 전송(distributed transmission)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RB 내 RE에 ECCE의 매핑이 달라질 수 있다. Different coding rates can be realized for the EPCCH by merging different numbers of ECCEs. The EPCCH may use localized transmission or distributed transmission, and thus the mapping of the ECCE to the RE in the PRB may vary.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UL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을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4, the uplink subframe can be divided into a control region and a data region in the frequency domain. A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hat carries the uplink control information is allocated to the control region. A data area is assigned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for carrying user data. To maintain a single carrier characteristic, one UE does not transmit PUCCH and PUSCH at the same time.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에는 서브 프레임 내에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 쌍이 할당된다.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개의 슬롯들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 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은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A resource block (RB) pair is allocated to a PUCCH for one UE in a subframe. RBs belonging to the RB pair occupy different subcarriers in each of the two slots. It is assumed that the RB pair assigned to the PUCCH is frequency hopped at the slot boundary.

무선 통신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및/또는 단말의 사용자(또는 서비스 이용자(service user))는 높은 데이터 송수신 속도(rate) 및/또는 높은 처리량(high throughput)을 요구하고 있다. A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velops, a service provider and / or a user of a terminal (or a service user) require a high data transmission rate and / or high throughput .

이에 따라, 상기 요구되는 속도 및/또는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중 캐리어 집성기술(Multiple Carrier Aggregation), 4x4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Fi(Wireless Fidelity) 집성기술 등이 도입되었다.Accordingly, Multiple Carrier Aggregation, 4x4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d Wi-Fi (Wireless Fidelity) aggregation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achieve the required rate and / or throughput.

또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예: 5G(Generation) 통신 시스템)에서는 매우 짧은 단위 시간(예: 1ms)에 다수의 연산이 요구되는 기술들이 고려되고 있다.Further, in a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e.g., a 5G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requiring a large number of operations in a very short unit time (e.g., 1 ms) are being considered.

그러나, 다수의 연산이 필요하거나 복잡도가 높은 상기 기술들이 활성화되는(activated) 시점에서, 단말은 급격하게 전류 또는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However, at a point in time whe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ies requiring a large number of operations or having a high complexity are activated, the terminal may abruptly consume current or pow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변화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단말을 구성하는 하드웨어(HardWare, H/W)(예: 무선 주파수 집성 회로(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기저대역 칩(baseband chip) 등)등의 열화(degradation) 등에 기인한 수신 성능(예: 신호 대 간섭 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의 열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rdware (HardWare, H / W)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For example, Signal to Noise Ratio (SNR)) due to degradation of a baseband chip, a baseband chip, and the like, .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H/W의 열화 등에 기인한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의 발생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또는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time of a frequency offset due to deterioration of H / W and compensating (or correcting) the detected frequency offse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Multipath fading channel) 환경에 강인한 특성으로 인해, 직교 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스템(또는 방식)은 널리 이용된다.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ue to their robust nature in multipath fading channel environment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or schemes) are widely used.

그러나, OFDM 시스템의 경우, 주파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부반송파(서브캐리어(subcarrier))들간의 간격은 부반송파들간의 직교성(orthogonality)이 만족되는 조건 하에서 최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OFDM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requency, the interval between subcarriers (subcarriers) may be set to a minimum value under the condition that orthogonality between subcarriers is satisfied.

이 경우, 부반송파들간의 직교성 유지를 위한 간격 마진(margin)이 없기 때문에, 주파수 오프셋에 의하여 부반송파들의 직교성이 파괴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gap margin for maintaining the orthogonality between the subcarriers, the orthogonality of the subcarriers can be destroyed by the frequency offset.

보다 구체적으로, OFDM 시스템의 성능은 송/수신단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도플러 주파수(Doppler frequency) 및/또는 송/수신단의 발진기(oscillator)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rformance of the OFDM syste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oppler frequency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 receiving end and / or the frequency offset generated by the oscillator of the transmitting / receiving end.

따라서,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수신 성능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고 고 신뢰성(high reliability)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신단(또는 단말)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estimate)하고,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compensate)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reception performance due to frequency offset and to establish a system of high reliability, a receiver estimates a frequency offset at a receiving end (or a terminal), compensates an estimated frequency offset )Needs to be.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5 shows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단말은 RF 유닛 502, 기저대역 유닛 504, 및 수정 발진기(crystal oscillator) 506을 포함한다.5, the terminal includes an RF unit 502, a baseband unit 504, and a crystal oscillator 506.

여기에서, RF 유닛 502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RF 유닛 502는 RFIC,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또는 RF 모듈(module)로 지칭될 수 있다.Here, the RF unit 502 is used to receive a radio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us, the RF unit 502 may be referred to as an RFIC, a communication module, or an RF module.

기저대역 유닛 504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high frequency signal)를 기저대역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하거나,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 유닛 504는 기저대역 모뎀(baseband modem)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baseband unit 504 may convert a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to a baseband signal or convert a baseband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ccordingly, the baseband unit 504 may be referred to as a baseband modem.

또한, 상기 기저대역 유닛 504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발생되는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또는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파수 오프셋은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주파수와 단말에서 이용되는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기 위하여, 기저대역 유닛 504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모듈(frequency offset estimation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band unit 504 can estimate a frequency offset (or estimate an estimated frequency offset) gener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Here, the frequency offset may me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used in the base station and the frequency used in the terminal. To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the baseband unit 504 may include a frequency offset estimation module.

이 경우, 기저대역 유닛 504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발생되는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기준 시퀀스(reference sequence)에서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또는 추정 주파수 오프셋 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band unit 504 calculates an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or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from a reference sequenc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by using an algorithm that estimates a frequency offset gener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do.

또한, 기저대역 유닛 504는, 산출된 주파수 오프셋 값의 신뢰도(reliability)를 고려하여, 처리 단위마다 산출된 추정 주파수 오프셋 값을 누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처리 단위는 기저대역 유닛 504가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Also, the baseband unit 504 can accum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s calculated for each process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ed frequency offset values. Here, the processing unit may mean a unit by which the baseband unit 504 performs an operation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offset.

여기에서, 기저대역 유닛 504는 추정 주파수 오프셋이 누적되는 길이(또는 누적 길이(accumulation length))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누적 길이에 따라 기저대역 유닛 504는 추정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할 수 있다. Here, baseband unit 504 may calculate the length (or accumulation length) at which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is accumulated. The baseband unit 504 may accum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umulated length.

이 경우, 기저대역 유닛 504는 산출된 추정 주파수 오프셋에 누적 윈도우(accumulation window)를 적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기저대역 유닛 504는 이전에 산출된 값과의 누적 비(accumulation ratio)를 고려하는 방식(예: 루프 필터(Loop filter))을 적용하여 추정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aseband unit 504 may use a scheme of applying an accumulation window to the calculated estimated frequency offset. Alternatively, the baseband unit 504 may accum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by applying a schem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accumulation ratio with previously calculated values (e.g., a Loop filter).

또한, 기저대역 유닛 504는 누적된 추정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기 위한 갱신(update)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갱신 주기는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주파수 변경(frequency modification) 갱신 주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band unit 504 may calculate an update period to reflect the accumulated estimated frequency offset. Here, the update period may mean a frequency modification update period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offset.

상기 절차를 통해 추정 주파수 오프셋 값들이 누적되면, 기저대역 유닛 504는 누적된 값을 수정 발진기 506을 제어할 수 있는 값(예: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수준(level))으로 변환할 수 있다.I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s are accumulated through the above procedure, the baseband unit 504 can convert the accumulated value to a value (e.g., 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level)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 oscillator 506 .

이에 따라, 기저대역 유닛 504는 수정 발진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band unit 504 can control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using a crystal oscillator.

수정 발진기 506은 기저대역 유닛 504에 의해 변환된 값을 이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갱신된 수정 발진기 506은 변경된 주파수를 발진(또는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단말과 기지국 간에 발생되는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또는 보정)할 수 있다. The crystal oscillator 506 may be updated using the value converted by the baseband unit 504. The updated crystal oscillator 506 can oscillate (or generate a frequency signal) the changed frequency, and compensate (or correct) the frequency offset gener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여기에서, 수정 발진기 506은 VCTCXO(Voltage Control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VCTCXO를 갱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값은 'VCTCXO 제어 DAC(VCRCXO control DAC)'일 수 있다.Herein, the crystal oscillator 506 may mean a VCTCXO (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In this case, the value set to update the VCTCXO may be 'VCTCXO control DAC (VCRCXO control DAC)'.

도 5에서 설명된 장치에서,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증가는 RF 유닛 502에 포함된 PLL(Phase Locked Loop)과 전원(power)의 동작뿐만 아니라 기저대역 유닛 504 및 수정 발진기 506의 동작에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은 단말(또는 RF 유닛, 수정 발진기, 기저대역 유닛 등)에서 소모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5, an increase in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may cause deterior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baseband unit 504 and the crystal oscillator 506 as well as the operation of PLL (Phase Locked Loop) and power included in the RF unit 502 ≪ / RTI > Her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may mean current or power consumed in the terminal (or RF unit, crystal oscillator, baseband unit, etc.).

이 경우, 도 5에서 설명된 장치는,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주파수 갱신의 주기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도 5에서 설명된 장치는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주파수 갱신 주기를 변경할 수 없다.In this case, since the apparatus shown in Fig. 5 can not predic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sharply increases, the frequency update period for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can not be variably applied. In other words, the apparatus described in Fig. 5 can not change the frequency update period in accordance with a sudden change in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이에 따라,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증가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기존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파수가 갱신되므로, 단말은, SNR 수신 관점에서, 주파수 오프셋이 보상된 최적의 수신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특히,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256QAM 등의 고 차수(high order)의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의 수신 성능의 열화가 크게 유발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an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occurs, the frequency is updated according to a previously set period, so that the terminal can not secure optimal reception performance in which the frequency offset is compensated from the viewpoint of SNR reception. Particularly, when a high order operation such as 64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or 256QAM is performed, deterioration of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UE can be caused to a large extent.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시스템(또는 환경)에서, 해당 변경 시점을 예측하고, 추정 주파수 오프셋(또는 주파수 추정 오프셋)의 누적 길이 및 주파수 값의 갱신 주기를 최적화(optimization)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predicting a change point in a system (or environment) in which a consumed current or a consumed power is abruptly changed and a cumulative length of an estimated frequency offset (or frequency estimation offset)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an update period of a frequency value.

여기에서, 본 발명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a)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b)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하드웨어(hardware)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 구성(또는 구성 루프)을 이용하는 방법, c) a)와 b)의 방식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compensate the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b) hardware for measuring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A method of using a configuration or a software configuration (or a configuration loop), and c) a method of using a combination of the methods of a) and b).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Method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using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6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RF 유닛 602, 기저대역 유닛 604, 및 수정 발진기 606은 도 5에서 설명된 RF 유닛 502, 기저대역 유닛 504, 및 수정 발진기 506과 각각 유사하다(또는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6, RF unit 602, baseband unit 604, and crystal oscillator 606 are each similar (or corresponding) to RF unit 502, baseband unit 504, and crystal oscillator 506 described in FIG.

다만, 도 5의 기저대역 유닛 504와 달리, 도 6의 기저대역 유닛 604는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608 상의 메시지(또는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e baseband unit 504 of FIG. 5, the baseband unit 604 of FIG. 6 may utilize a message (or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608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have.

여기에서, 통신 프로토콜 608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프로토콜,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프로토콜, 중간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rotocol 608 includes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a Radio Link Control (RLC) protocol, 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and a physical layer (PHY) protocol.

이 경우, 기저대역 유닛 604는 단말의 스케줄링(scheduling)을 관리하는 스케줄링 모듈(scheduling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band unit 604 may include a scheduling module that manages the scheduling of the UE.

또한,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기저대역 유닛 604는 이벤트 목록 610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 목록 610은 트리거링 이벤트 목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목록 610은 통신 프로토콜 608 상의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변화를 유발하는 메시지 이벤트 항목들(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제3 이벤트 내지 제n 이벤트)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o utilize the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the baseband unit 604 may utilize the event list 610. Here, the event list 610 may be referred to as a triggering event list. The event list 610 includes message event items (a first event, a second event, a third event, and a nth event) that cause a sudden change in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608.

이에 따라, 기저대역 유닛 604는, 이벤트 목록 610에 포함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검출(detect)됨에 따라,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변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band unit 604 can predict that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will change drastically a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cluded in the event list 610 is detected.

예를 들어, 이벤트 목록 610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 플래그(flag), 상향링크(uplink) 캐리어 집성기술(Carrier Aggregation, CA)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 플래그, 유휴(idle)/연결된(connected) 상태 등에 대한 이벤트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vent list 610 may include a secondary cell (SCell) activation / deactivation flag, an uplink Carrier Aggregation (CA) uplink grant, A flag, an idle / connected state,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의 데이터가 요청되는 경우,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SCell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SCell로의 데이터를 할당하기에 앞서, L2(Layer 2)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이용하여 SCell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시그널링을 수신한 단말은 일정 시간 이후에 수행될 데이터의 수신을 가정하고(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을 예상하고), 그에 따른 준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SCell을 활성화 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본 발명의 이벤트 목록 610에 포함되는 이벤트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data of a terminal supporting the CA function is requested,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data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CELL as needed. At this time, before allocating data to the SCell, the BS transmits a signaling for activating the SCell to the UE using a L2 (Layer 2) MAC Control Element (CE). Accordingly, the terminal receiving the signaling assumes reception of data to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anticipates tha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will increase sharply in order to receive data), and can prepare accordingly have.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signaling for activating the SCell may correspond to the event message included in the event list 61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벤트 목록 610은 사전에(또는 미리) 정의될 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DataBase, DB)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목록 610은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조건에 따라 갱신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목록 6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갱신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event list 610 can be defined in advance (or in advance), and can be stored in a database (DataBase, DB). In addition, the event list 610 may be updated or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a certain condition. Also, the event list 610 may be updat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통신 상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이하 도 7에 대한 부분에서 설명된다.A specific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using the protocol message on the communication and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미리 설정된(또는 정의된) 메시지(또는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또는 단말에 포함된 기저대역 유닛)이 추정 주파수 오프셋 값의 누적 주기 및 주파수 값의 갱신(또는 변경) 주기를 적응적으로(adaptively) 결정하는 경우가 가정된다.7, when a preset (or defined) message (or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event occurs, the terminal (or the baseband unit included in the terminal) updates the cumulative period and frequency value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Or change) period is adaptively determined.

S705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 신호에 대한 SNR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SNR 이외에, 수신 신호에 대한 간섭의 정도(degree 또는 level)를 나타내는 값(또는 지표)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단말은 유휴 상태(idle state)(예: RRC idle mode) 또는 연결된 상태(connected state)(예: RRC connected mode)로 동작한다.In step S705, the terminal can calculate the SNR value for the received signal. Here, the terminal may calculate a value (or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interference (degree or level)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o the SNR. Also, in this case, the terminal operates in an idle state (e.g., RRC idle mode) or in a connected state (e.g., RRC connected mode).

SNR 값이 산출된 경우, 단말은 산출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threshold)보다 큰 값인지(또는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또는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임계 값은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이용자(예: 단말의 사용자), 또는 단말의 생산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임계 값은 현재 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When the SNR value is calculated, the UE can determine (or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SNR value is greater than (or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He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by a service provider, a service user (e.g., a user of the terminal), or a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The threshold value may also be set based on the current network environment.

단말이 SNR 값을 임계 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S71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와 주파수 갱신 비율(frequency update ratio)을 유지할 수 있다. If the UE determines that the SNR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UE can maintain a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a frequency update ratio in step S710.

다시 말해, 이 경우, 단말은 수신 신호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현재의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is cas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signal is good and can maintain the current setting accordingly.

여기에서, 주파수 오프셋의 누적 비는 도 5에 대한 부분에서 설명된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누적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한다는 것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기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cumulative ratio of frequency offsets may correspond to the cumulative length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s described in the section for FIG. Also, maintaining the frequency update rate may mean maintaining a frequency change period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또한,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는 자동 주파수 제어(Automatic Frequency Control, AFC) 누적 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를 유지시키는 것은 기존의 AFC 누적 알고리즘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may mean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FC) accumulation ratio. In this case,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may mean maintaining the existing AFC accumulation algorithm.

또한, 주파수 갱신 비율은 수정 발진기의 갱신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갱신 비율은 VCTCXO에서 발진하는 주파수의 갱신(또는 변경)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하는 것은 VCTCXO의 갱신 주기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update rate may mean the update rate of the crystal oscillator. For example, the frequency update rate may refer to the update (or change) rate of the frequency oscillated in the VCTCXO. In this case, maintaining the frequency update rate may mean maintaining the refresh cycle of the VCTCXO.

반면, 단말이 SNR 값을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S715 단계에서, 단말은 트리거링 이벤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SNR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an check the triggering event list in step S715.

여기에서, 트리거링 이벤트 목록은 도 6에서 설명된 이벤트 목록 6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또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triggering event list may correspond to the event list 610 described in FIG. In other words, the terminal can identify information about events (or messages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that are expected to drastically increase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이 경우, 단말은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 메시지 항목 및/또는 갱신된(또는 변경된) 프로토콜 메시지 항목을 획득(obtain)(또는 수집(collect))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DB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obtain (or collect) or manage a preset protocol message item and / or an updated (or changed) protocol message item.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collect or manage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B.

단말이 트리거링 이벤트 목록을 확인한 후, S720 단계에서, 단말은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유발하는(또는 발생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 시그널링의 검출 여부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fter the terminal confirms the triggering event list, in step S720, the terminal can detect whether an event causing (or causing)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v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message signaling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tected.

여기에서,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유발하는 이벤트는 전류 드레인을 트리거링 하는 이벤트(current drain triggering event)로 지칭될 수 있다.Here, an event causing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may be referred to as a current drain triggering event.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Cell 활성화와 관련된 메시지를 MAC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한 경우, 단말은 전류 드레인을 트리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것을 예측(또는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rminal receives a message related to SCell activation from the base station via the MAC protocol, the terminal may predict (or detect) that an event triggering the current drain will occur.

단말이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S710 단계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 및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If the UE fails to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UE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the frequency update ratio according to step S710.

반면, 단말이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S725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갱신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가 감소되는 것은 단말이 추정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하는 길이가 감소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AFC 누적 비가 감소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E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UE decreases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increases the frequency update rate in step S725. Here,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may mean that the length in which the UE accumulates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is reduced. For example, the UE can accum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using an algorithm in which the AFC accumulation ratio is reduced.

또한, 주파수 갱신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단말이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수정 발진기(또는 VCTCXO)의 갱신 비율을 증가, 즉 수정 발진기의 갱신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Also, increasing the frequency update rate may mean that the frequency at which the UE changes the frequency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is shorten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increase the update rate of the crystal oscillator (or VCTCXO), i.e., reduce the update period of the crystal oscillator.

각각의 S710 단계 및 S725 단계 이후에, 단말은 S715 단계에 따라 트리거링 이벤트 목록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상기 도 7에서 설명된 절차들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fter step S710 and step S725, the terminal can confirm the triggering event list again in step S715.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perform the procedures described in FIG. 7 repeatedly.

이에 따라, 단말은,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주파수를 더 반복적으로(또는 자주) 변경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다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더 빠르게 추적하고(tracking),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can more accurately compensate the frequency offset by changing the frequency more repeatedly (or frequently) when the occurrence of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s predicted. In other words, the terminal can more quickly track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nd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accordingly.

상술한 절차에 따라, 단말은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누적 비와 주파수 보상을 적용하는 주기(또는 주파수 갱신 비율)를 적응적으로 결정(또는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UE can adaptively determine (or control) the cumulative ratio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nd the period (or frequency update rate) to which the frequency compensation is applied.

도 6 및 도 7의 경우, 통신상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S. 6 and 7,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by using the protocol message on the communication, thereby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이와 달리,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또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 구성을 추가하여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이 이하 도 8 및 도 9에서 설명된다.Alternatively, a method of predicting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by adding a separate hardware configuration (or device) or a software configuration and compensating accordingly frequency offset will be described in FIGS. 8 and 9 below.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A method of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us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r software configuration that measures power consumption or power consump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8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RF 유닛 802, 기저대역 유닛 804, 및 수정 발진기 806 각각은 도 5의 RF 유닛 502, 기저대역 유닛 504, 및 수정 발진기 506에 대응된다.8, RF unit 802, baseband unit 804, and crystal oscillator 806, respectively, correspond to RF unit 502, baseband unit 504, and crystal oscillator 506 of FIG.

다만, 도 5 및 도 6과 달리, 도 8에 나타난 장치는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은 RF 유닛 802 및/또는 기저대역 유닛 804, 즉 단말에서 소모되는 전류 또는 전력 값(또는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변화량(변화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발생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However, unlike Figures 5 and 6, the apparatus shown in Figure 8 further includes a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may measure the current or power value (or amount) consumed at the RF unit 802 and / or the baseband unit 804, i.e., the terminal. Thus,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hange amount (change value) of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predict that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will be generated.

여기에서, 상기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은 측정 센서(sensor) 또는 측정 소자(elemen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may be constituted by a measurement sensor or a measurement element.

도 8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또는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이 도시되어 있지만, 단말은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류 측정 루프(loop) 또는 전력 측정 루프를 이용하여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저대역 유닛 804에서의 사후적인 연산 처리를 통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FIG. 8, a hardware configuration (or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for efficient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is shown, but a terminal can measure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using a softwar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using a current measuring loop or a power measuring loop.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through the post-processing operation in the baseband unit 804. [

하드웨어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이하 도 9에서 설명된다.A specific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us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and / or the software configuration and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for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측정된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또는 단말에 포함된 기저대역 유닛)이 추정 주파수 오프셋 값의 누적 주기 및 주파수 값의 갱신 주기를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가정된다.9, the terminal (or the baseband unit included in the terminal) adaptively determines the update period of the accumulation period and the frequency value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based on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measured terminal Case is assumed.

S905 단계에서, 단말은 산출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보다 큰 값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905,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SNR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단말이 SNR 값을 임계 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S91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 및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Also, if the UE determines that the SNR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UE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the frequency update rate in step S910.

여기에서, S905 단계 및 S91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도 7의 S705 단계 및 S71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Her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s S905 and S910 is similar to that of the terminal in steps S705 and S710 in FIG. 7,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반면, 단말이 SNR 값을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S915 단계에서, 단말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또는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도 8의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SNR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an measure (or calculat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in step S915. Here, the terminal can use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or the software configuration in Fig.

이 경우, 단말은 일정한 시간 단위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일정한 시간 단위는 단말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 단위(또는 측정 가능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Here, the constant time unit may mean a time unit (or a measurable unit) in which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단말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한 경우, S920 단계에서, 단말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편차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측정 가능 단위로 측정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값을 이전에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편차 값을 산출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measures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the terminal can calculate the deviation value of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in step S920.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alculate the deviation value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with the previously measured value in the measurable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이전에 측정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 값과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값의 차이(양의 값 또는 음의 값)를 편차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fference (positive value or negative value) between the previously measured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value and the currently measured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value can be calculated as a deviation value.

여기에서, 상기 편차 값은 측정 가능 단위마다 측정된 값들의 기울기(gradient) 값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eviation value may mean a gradient value of measured values for each measurable unit.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을 이용하여, 단말은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Using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the terminal can predict that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will increase sharply.

단말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편차 값을 산출한 후, S925 단계에서, 단말은 산출된 편차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은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이용자(예: 단말의 사용자), 또는 단말의 생산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은 현재 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After the terminal calculates the deviation value of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the terminal can compare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step S925. Her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determined by a service provider, a service user (e.g., a user of the terminal), or a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Also, the preset threshold may be set based on the current network environment.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단말은, S910 단계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 및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the frequency update ratio in step S910.

반면,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93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갱신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S93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도 7의 S725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decreases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increases the frequency update ratio in step S930.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930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725 of FIG. 7,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각각의 S910 단계 및 S930 단계 이후에, 단말은 S915 단계에 따라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상기 도 9에서 설명된 절차들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fter step S910 and step S930,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in step S915.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perform the procedures described in FIG. 9 repeatedly.

이에 따라, 단말은,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주파수를 더 자주 변경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다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더 빠르게 추적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sudden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s predicted to be generated, the terminal can more accurately compensate the frequency offset by changing the frequency more frequently. In other words, the terminal may track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ore quickly,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상술한 절차에 따라, 단말은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누적 비와 주파수 보상을 적용하는 주기(또는 주파수 갱신 비율)를 적응적으로 결정(또는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UE can adaptively determine (or control) the cumulative ratio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nd the period (or frequency update rate) to which the frequency compensa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925 단계의 임계 값의 설정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성능은 달라질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threshold in step S925.

예를 들어, S925 단계의 임계 값이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S930 단계의 동작 보다 S910 단계의 동작을 더 많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동작에 대한 단말의 오버헤드(overhead)는 증가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reshold value of step S925 is set to a large value, the terminal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910 more than the operation of step S930. Accordingly, the performance for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can be enhanced. In this case, however, the overhead of the UE for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may be increased.

다른 예를 들어, S925 단계의 임계 값이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S910 단계의 동작보다 S930 단계의 동작을 더 많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동작에 대한 단말의 오버헤드는 감소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reshold value of step S925 is set to a small value, the terminal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930 more than the operation of step S910.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can be lowered. In this case, however, the overhead of the UE for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can be reduced.

앞서 설명된 두 가지 방법은 각각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하거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can predict sudden power consumption or power consumption using hardware configuration or software configuration, respectively, or using messages on communication protocols.

이와 달리, 단말이 상기 두 가지 방법을 결합(또는 병행, 병합)하여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이 이하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된다.Alternatively,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combines (or concatenates and merges) the above two methods to predict a sudden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and thereby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상기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A method of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by combining the above two methods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10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RF 유닛 1002, 기저대역 유닛 1004, 수정 발진기 1006, 통신 프로토콜 1010, 및 이벤트 목록 1012는 각각 도 6의 RF 유닛 602, 기저대역 유닛 604, 수정 발진기 606, 통신 프로토콜 608, 및 이벤트 목록 610에 대응된다. 또한, 전류/전력 측정 유닛 1008은 도 8의 전류/전력 측정 유닛 808에 대응된다.10, the RF unit 1002, the baseband unit 1004, the crystal oscillator 1006, the communication protocol 1010, and the event list 101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F unit 602, the baseband unit 604, the crystal oscillator 606, the communication protocol 608, Corresponding to the event list 610. Also,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1008 corresponds to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808 in Fig.

또한, 도 8의 경우와 같이, 전류/전력 측정 유닛 1008은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8,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1008 can be replaced with a software configuration that measures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또한,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과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법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and a method of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us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r software configur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또한, 도 10의 경우, 단말은, 전류/전력 측정 유닛 1008에서 측정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 값에 기반하여, 이벤트 목록 1012를 갱신(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10, the terminal can update (or manage) the event list 1012 based on the consumed current or the consumed power measured by the current / power measurement unit 1008. [ Thus, the terminal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message.

도 10에 나타난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이하 도 11에서 설명된다.A specific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10 and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E that compensates for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고하면, S1105 단계, S1110 단계, S1125 단계, S1130 단계, 및 S114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각각 도 7의 S705 단계, S710 단계, S715 단계, S720 단계, 및 S725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Referring to FIG. 11, operations of the terminals in steps S1105, S1110, S1125, S1130, and S1140 are performed in steps S705, S710, S715, S720,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S1115 단계 및 S112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각각 도 9의 S915 단계 및 S92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The operations of the terminal in steps S1115 and S1120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erminal in steps S915 and S920 of FIG. 9, respectively,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11의 경우, S1115 단계, S1120 단계, 및 S1125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세 개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25 단계의 동작이 먼저 수행된 후, S 1115단계 및 S112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IG. 11, steps S1115, S1120, and S1125 are sequentially performed, but the order in which the three steps are performed may be changed. For example, after the operation of step S1125 is performed first, steps S1115 and S1120 may be performed.

단말이 S1130 단계에서 편차 값이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S1135 단계에서, 단말은 이벤트의 발생(또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the terminal determines in step S1130 that the deviation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an occurrence of an event (or an event occurrence message) is detected in step S1135.

이 경우, 단말은 도 10의 이벤트 목록 1012에 포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이벤트 목록 1012에 포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이벤트 발생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use message signaling associated with the event included in the event list 1012 of FIG.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at an event occurrence has been detected when a message related to the event included in the event list 1012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S114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갱신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검출된 이벤트(또는 현재 발생된 이벤트)가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또는 유효한(valid)) 이벤트로서 이벤트 목록(트리거링 이벤트 목록 또는 이벤트 목록 1012)에 포함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 UE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UE decreases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increases the frequency update ratio in step S1140. In this case,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etected event (or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s an event (a triggering event list or an event list 1012) that rapidly increases (or validate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included.

반면,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S1145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벤트 목록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 시그널링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does not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terminal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n step S1145, Can be add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store the message signaling information for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n the event list.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또는 유효한) 이벤트임에도 이벤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추후 상기 이벤트가 다시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an identify that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s not included in the event list even though it is a sudden increase (or valid) event of consuming current or consumed power.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add information about the event to the event list in case the event occurs again in the future.

단말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 추가한 후, S114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갱신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fter the terminal adds information on the event to the event list, the terminal decreases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increases the frequency update rate in step S1140.

반면,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임계 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S111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 및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가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또는 유효하지 않은(invalid)) 이벤트로서 이벤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E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does not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UE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the frequency update rate in step S1110.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confirm that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s not included in the event list as an event that does not abruptly increase (or invalidate) the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반면, 단말이 산출된 편차 값을 임계 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 경우, S1155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벤트 목록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 시그널링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terminal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n step S1155, Can be delet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lete the message signaling information for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from the event list.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가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또는 유효한) 이벤트가 아님에도 이벤트 목록에 포함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추후 상기 이벤트가 다시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an identify that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is included in the event list even though it is not a sudden increase (or valid) event of consumption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delete information on the event from the event list in case the event occurs again in the future.

단말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한 후, S111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누적 비 및 주파수 갱신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After the UE deletes the information on the event from the event list, the UE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accumulation ratio and the frequency update rate in step S1110.

각각의 S1110 단계 및 S1140 단계 이후에, 단말은 S1115 단계에 따라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상기 도 11에서 설명된 절차들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fter step S1110 and step S1140,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step S1115.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perform the procedures described in FIG. 11 repeatedly.

이에 따라, 단말은,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주파수를 더 자주 변경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다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더 빠르게 추적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sudden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is predicted to be generated, the terminal can more accurately compensate the frequency offset by changing the frequency more frequently. In other words, the terminal may track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ore quickly,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frequency offset.

상술한 절차에 따라, 단말은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누적 비와 주파수 보상을 적용하는 주기(또는 주파수 갱신 비율)를 적응적으로 결정(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절차를 통해, 단말은 이벤트 목록이 유효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들만 포함할 수 있도록 관리(또는 갱신)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UE can adaptively determine (or control) the cumulative ratio of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nd the period (or frequency update rate) to which the frequency compensation is applied. Also,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terminal may manage (or update) the event list so that it contains only information on valid events.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12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UE for correcting a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이 발생되는 경우가 가정된다.Referring to FIG. 12, it is assumed that a frequency offset occur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12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도 5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기저대역 유닛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In step S1205, the UE can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S and the UE. Here, the terminal can calc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UE can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using the baseband unit described in FIG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SNR 값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7의 S705 단계에서 설명된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다.Furth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estimate the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SNR value f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a UE can estimate a frequency offset between a Node B and a UE when the SNR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scribed in step S705 of FIG.

단말이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 후, S1210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할 수 있다. After the UE estimates the frequency offset, in step S1210, the UE can generate an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여기에서, 상기 생성된 발진 주파수는 S1205 단계에서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이 반영된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는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발진기에서 발진 주파수를 갱신하는 주기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generated oscillation frequency may refer to a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offset estimated in step S 1205 is reflected. Also,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may mean a period in which the oscillator updates the oscillation frequency to compensate for the frequency offset.

단말은 상기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진 주파수는 앞서 설명된 수정 발진기(예: VCTCXO)에서 생성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The UE can compens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us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Here, the oscillation frequency may refer to a frequency generated by the crystal oscillator (for example, VCTCXO) described above.

이 후, S1215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의 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1215, the UE can confirm whether or not an event triggering the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s detected.

여기에서,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 이벤트는 단말에서 소모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Here, an event that triggers a change in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may mean an event that abruptly increases the current or power consumed in the terminal.

또한, 단말은 상기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event list)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벤트 목록은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목록은 도 6의 이벤트 목록 610 및/또는 도 10의 이벤트 목록 1012와 유사하다.Also, the terminal can use a preset event list to confirm the event. Here, the event li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essage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event that triggers a change in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The event list is similar to the event list 610 of FIG. 6 and / or the event list 1012 of FIG.

또한,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Also,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confirm the event as it receives the message o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base station.

S121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도 7의 S72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 및/또는 도 11의 S1135 단계 및 S115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다.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1210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720 of FIG. 7 and / 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s S1135 and S1150 of FIG.

단말이 상기 이벤트를 확인한 후, S12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S1205 단계에서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After the terminal confirms the event, if the event is detected in step S1215, the terminal can change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n step S1205.

예를 들어, 단말은 감소된 누적 비에 기반하여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하고, 누적된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감소된 누적 비는 이전에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들과 비교하여 현재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 값이 반영되는 비율이 감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may accumulate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reduced accumulation ratio, and may reduce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based on the accumulated frequency offset. Here, the reduced accumulation ratio may mean that the rate at which the currently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 is reflected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estimated frequency offset values.

S1215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은 도 7의 S725 단계 및/또는 도 11의 S1140 단계에서의 단말의 동작과 유사하다.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1215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S725 of FIG. 7 and / or step S1140 of FI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기 위하여, 단말에서 현재 소모되는 전류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단말은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전류 또는 전력에 대한 편차 값을 산출하고, 상기 두 개의 값을 비교할 수 있다.Furth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ange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at least one value of current or power currently consumed in the terminal may b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use a hardware configuration or a software configuration. Also,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calculate the deviation value for current or power using the calculated value, and compare the two values.

이 경우, 단말은 도 9 및 도 11에서 설명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perform operations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s. 9 and 11.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1215 단계에서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11의 S1110 단계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다.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 event is not detected in step S1215, the UE can maintain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in step S1110 of FI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산출된 편차 값이 임계 값보다 크지만 S1215 단계에서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 목록에 저장(또는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11의 S1145 단계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다.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but the event is not detected in step 1215, th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n a message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related to the currently generated event to the event list (Or add) it.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in step S1145 of FI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1215 단계에서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고 산출된 편차 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11의 S1110 단계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다.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vent is not detected in step S1215 and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in step S1110 of FI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1215 단계에서 이벤트가 검출되었지만 산출된 편차 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검출된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11의 S1155 단계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다.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 event is detected in step S1215, but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terminal may delete information about the message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the detected event from the event list have.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in step S1155 in Fi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산출한 SNR 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은 도 11의 S1105 단계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NR value calculated f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terminal can maintain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similar to the operation in step S1105 in Fig.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에서 수신하는 신호에 대한 품질 및 주파수에 대한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도 13a 및 13b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13A and 13B show graphs of quality and frequency for signals received at a terminal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13b를 참고하면, CA를 지원하는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 및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가정된다. 또한,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그래프들은 단말에서 측정된 값들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그래프들의 수평 축(x축)은 시간(time)을 의미한다.13A and 13B, it is assumed that a terminal supporting a CA receives a signal from a primary cell (PCell) and a secondary cell (SCELL). In addition, the graphs shown in Figs. 13A and 13B a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at the terminal, and the horizontal axis (x axis) of the graphs shown in Figs. 13A and 13B means time.

도 13a 및 13b에서, 그래프 1301 및 그래프 1302는 P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예: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13A and 13B, a graph 1301 and a graph 1302 show graph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a signal (e.g., a reference signal (RS)) received from a PCell.

또한, 그래프 1303 및 그래프 1304는 P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SNR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Graph 1303 and graph 1304 also show graphs of SNRs of signals received from PCell.

또한, 그래프 1305 및 그래프 1306은 P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AFC 보고(report)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Graph 1305 and graph 1306 also show graphs for AFC reports on signals received from PCell.

또한, 그래프 1307 및 그래프 1308은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RSSI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Graph 1307 and graph 1308 also show graphs for RSSI for signals received from SCell.

또한, 그래프 1309 및 그래프 1310은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SNR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Graphs 1309 and 1310 also show graphs of SNRs of signals received from SCell.

또한, 도 13a 및 13b에 나타난 박스(box)는 SCell이 활성화(activation)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의 값들(예: RSSI, SNR, AFC 보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SCell이 활성화되는 시점은 단말의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13A and 13B show values (e.g., RSSI, SNR, AFC repor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Cell is activated. Her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Cell is activated may indicate a time point at which the terminal consumes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sharply increases.

도 13a는 상기 설명된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경우의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13A shows graphs for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without using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described above.

도 13a를 참고하면, 박스(또는 SCell이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PCell 및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예: RSSI, SNR)이 낮아진다. Referring to FIG. 13A, at the box (or at the time SCell is activated), the quality (e.g., RSSI, SNR) of the signal received from PCell and SCell is lowered.

보다 구체적으로, 그래프 130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이 단말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을 예측하여 주파수를 제어(변경 또는 갱신)(또는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지 않으므로, 그래프 1309에 나타난 것과 같이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SNR 값이 약 28데시벨(decibel, dB)에서 약 24dB까지 낮아지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graph 1305, since the terminal does not control (change or update) the frequency (or compensate the frequency offset) by predicting that the terminal will rapidly increase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The SNR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Cell is reduced to about 24 dB from about 28 decibels (dB).

반면, 도 13b는 상기 설명된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을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경우의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FIG. 13B shows graphs for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using a method of predicting the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consumed power described above.

도 13b를 참고하면, 박스(또는 SCell이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PCell 및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예: RSSI, SNR)이 낮아진다.13B, the quality (e.g., RSSI, SNR) of the signal received from PCell and SCell is lowered at the box (or at the time SCell is activated).

다만, 그래프 1306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이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을 예측하여 주파수를 제어하므로, 그래프 13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SCell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SNR 값이 약 28dB에서 약 26dB까지 낮아지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the graph 1306, since the terminal estimates that the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will increase rapidly, the SNR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Cell changes from about 28dB to about 26dB .

따라서, 도 13a와 13b의 그래프들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급격한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이 발생할 것을 미리 예측하여 주파수를 제어(또는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경우,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graphs of FIGS. 13A and 13B, when the control of the frequency (or the compensation of the frequency offset) is anticipated in advance of the occurrence of the abrupt consumption current or the consumption power a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quality is higher.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14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노드(1410)와 다수의 단말(UE)(14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4,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network node 14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UE) 1420.

네트워크 노드(1410)는 프로세서(processor, 1411), 메모리(memory, 1412) 및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14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3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유/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4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12)는 프로세서(14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4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1413)은 프로세서(1411)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특히, 네트워크 노드(1410)가 기지국인 경우, 통신 모듈(1413)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radio frequenc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node 1410 includes a processor 1411, a memory 1412,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13. Processor 1411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previously suggested in FIGS. 1-13. The layers of the wired / wireless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411. The memory 1412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411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411. The communication module 141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411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wired / wireless signal. In particular, when the network node 1410 is a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413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 signals.

단말(1420)은 프로세서(1421), 메모리(1422) 및 통신 모듈(또는 RF부)(14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3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4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22)는 프로세서(14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4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1423)는 프로세서(14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terminal 1420 includes a processor 1421, a memory 1422 and a communication module (or RF section) 1423. Processor 1421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suggested earlier in FIGS. 1-13. The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421. The memory 1422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421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421. Communication module 1423 is coupled to processor 1421 to transmit and / or receive wireless signals.

메모리(1412, 1422)는 프로세서(1411, 14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411, 14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410)(기지국인 경우) 및/또는 단말(14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The memories 1412 and 1422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s 1411 and 1421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s 1411 and 1421 in various well known means. Also, the network node 1410 (if a base station) and / or the terminal 1420 may have a single antenna or multiple antenna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the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all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otherwise expressly stated.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of the elements and / or features.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certain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claims that are not express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be included in a new claim by an amendment after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 procedure, a function, or the like which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memory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already know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는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LTE-A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mpensating the frequency offset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applied to the 3GPP LTE / LTE-A syst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ther than the 3GPP LTE / LTE- It is possible.

Claims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과,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단말의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even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compensating for a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Estimating a frequency offse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Generating an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UE by reflec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triggering a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s detected;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SNR) 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stimating the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Calculating a signal-to-noise ratio (SNR) value for the received signal;
And estimating the frequency offset if the calculated SNR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f the event is not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event list)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은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event is detected includes:
And identifying the event by using a preset event list,
Wherein the preset event lis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message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event that triggers a change in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event using the preset event list comprises:
And receiving a message on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base st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은,
감소된 누적 비에 기반하여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누적된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comprises:
Accumula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reduced accumulation ratio;
And decreas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based on the accumulated frequency offs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현재 소모 전류 또는 현재 소모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소모 전류 또는 소모 전력에 대한 편차 값(deviation value)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comprises:
Calculating at least one value of a current consumption current or a current consumption power of the terminal;
Calculating a deviation value with respect to consumed current or consumed power by using the calculated at least one value;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f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현재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 목록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f the event is not detected, storing information on a message on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ted to a currently generated event in the event lis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if the event is not detected and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편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leting information on a message on a communication protocol related to the event from the event list if the calculated devi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SNR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maintaining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f the calculated SNR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을 보상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compensation period)에 따라,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단말의 발진 주파수(oscillation frequency)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의 변경을 트리거하는(triggering) 이벤트(even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상 주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A terminal for compensating a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The processor comprising:
Estimating a frequency offse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Generates an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terminal by reflecting the estimated frequency offset according to a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ther or not an event triggering a change of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is detected,
And to change th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period when the event is detected.
KR1020170009181A 2017-01-19 2017-01-19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44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81A KR101944926B1 (en) 2017-01-19 2017-01-19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81A KR101944926B1 (en) 2017-01-19 2017-01-19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35A KR20180085535A (en) 2018-07-27
KR101944926B1 true KR101944926B1 (en) 2019-02-01

Family

ID=6307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81A KR101944926B1 (en) 2017-01-19 2017-01-19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7741B (en) * 2020-12-30 2023-09-29 天翼物联科技有限公司 Big packet data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ternet of things water meter and storage medium
CN117330604B (en) * 2023-12-01 2024-05-07 深圳市城市公共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Automatic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223A1 (en) 2008-04-30 200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receiver
US20120163516A1 (en) 2010-12-22 2012-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frequency predict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223A1 (en) 2008-04-30 200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receiver
US20120163516A1 (en) 2010-12-22 2012-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frequency predict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35A (en)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222B1 (en)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data, and terminal therefor
US1163279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apparatus suppor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US1068734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AU2017264109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RU2643803C1 (en) Method of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for direct exchange of data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this purpose
US988841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fast fallback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illimeter waves (mmWave)
JP636020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hange of usage of radio re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CN108141853B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54685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325776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CN108293252B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3139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fast fallback in order to avoid link disconnec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illimeter wave (mmWave)
KR102034836B1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US11212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CR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33470A1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US10959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WO2017134954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29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CN108702741B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269104A1 (en) Downlink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201401193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rror for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for same
WO201502037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radio link measurement for mtc and apparatus therefor
US99306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ining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08516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ference signal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3437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through T-RP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