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76B1 - Interior speaker - Google Patents

Interior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76B1
KR101944676B1 KR1020180127153A KR20180127153A KR101944676B1 KR 101944676 B1 KR101944676 B1 KR 101944676B1 KR 1020180127153 A KR1020180127153 A KR 1020180127153A KR 20180127153 A KR20180127153 A KR 20180127153A KR 101944676 B1 KR101944676 B1 KR 10194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interior
vibrating surface
speaker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준
고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소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ior speaker comprises: a vibrator for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to convert the electric signal into kinetic energy; a vibrator fixing unit for fixing a position of the vibrator to easily transfer a vertical motion of the vibrator to a vibration surface; and the vibration surface to which the vibrator fixing unit is attached. The vibration surface realizes a sound by using an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 partition, a frame, and a ceiling material of an office space, a meeting space, a living space, and a moving space.

Description

인테리어 스피커{INTERIOR SPEAKER}Interior speaker {INTERIOR SPEAKER}

본 발명은 인테리어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이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되어서, 즉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또는 이동공간에 별도의 스피커 외부 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설치된 파티션 같은 구조물을 활용하여 음향이 구현된 인테리어 스피커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he vibration surface of the interior speaker is implemented using materials of an interior including partitions, picture frames, and ceiling materials of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In other words, it is an interior speaker that realizes sound by utilizing a structure such as a partition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speaker external device protruding from an office space, a meeting space, a living space, or a moving space.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를 말한다. 확성기 또는 라우드스피커라고도 한다. 진동판이 공기 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A speaker refers to an acoustic device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of a diaphragm to generate a small density wave in the air to radiate sound waves. Also called a loudspeaker or loudspeaker. The type in which the diaphragm is placed directly in the air is called a radiant speaker, and the type in which the diaphragm is placed in a horn is called a horn type speaker.

직접 복사형은 보통 라디오 ·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한편, 콘스피커는 진동판에 원뿔형(cone) 판을 많이 사용하며 전자기형(電磁氣型)인 마그네틱 스피커(자기확성기)보다 동전형(動電型)이 많이 쓰인다. The direct radiation type is mostly a cone speaker which is commonly used in radio and stereo devices, and a metal vibrating plate is also used. On the other hand, the cone speaker uses a lot of cone-shaped (cone) plate for the diaphragm and a coin type (moving magnet type) than the electromagnetic speaker (magnetic speaker) is used more.

이와 같은 스피커는 최근에 인공지능이 접목되어 AI 스피커로 발전하고 있다. 아마존의 알렉사 등이 대표적이며, 구글이나 엘지전자, 에스케이텔레콤 등의 국내외의 다수의 기업이 앞다투어 AI 스피커를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Such speaker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to AI speaker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mazon's Alexa is a major example, and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such as Google, LG Electronics and SK Telecom, are launching AI speakers.

이와 같은 종래 스피커는 별도로 형태로 구현되거나, 가전제품과 함께 일체로 구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본 출원인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형태의 인테리어 스피커, 즉 파티션, 액자 또는 천장재료와 같은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스피커를 구현하는 기술이나 제품은 전무한 상황이었다. Such a conventional speaker is generally implemented in a separate form or integrated with a home appliance. There is no technology or product for implementing the speaker using the interior speaker of the typ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terior materials such as partitions, frames or ceiling materials.

종래 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299호(2011.01.26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를 들 수 있다. 해당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의 하면에 요크가 설치되고,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의 상면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12299 (registered on Jan. 26, 2011, name of the invention: a speake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may be mentio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comprising: a frame,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side the frame, a voice coil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permanent magnet, and moving up and down by interacting with the permanent magnet; And a damp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il, and a diaphragm connected to the voice coil, wherein the permanent magnet includes a first permanent magnet disposed inside the voice coil, and a first permanent magnet disposed outside the voice coil. It consists of a second permanent magnet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yok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Are each installed to form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s, the speaker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 power while minimizing thickness.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에 구현되는 스피커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본 출원인과 같이, 파티션, 액자 또는 천장재료와 같은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스피커를 구현하는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문제의식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As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that the speaker is implemented in home appliances, and as in the present applicant, a problem of a technology, a product, or a service for implementing an interior speaker using an interior material such as a partition, a frame, or a ceiling material Seems to be absent at all.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187호(2017.02.20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SPEAKER AND DEVICE HAVING THE SAME))를 들 수 있다. 해당 발명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구조와 진동판을 제동 지지하는 댐핑 구조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대한 것으로, 상기 자기 회로 구조는, 환형의 상부 플레이트, 환형의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영구 자석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주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폴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구조는, 상기 폴 피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일단부가 진동판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댐퍼에 의해 의해 지지되는 제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피커"를 개시하고 있다. As anothe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10187 (registered February 20, 2017, the name of the invention: a speaker and a device including the same) (SPEAKER AND DEVICE HAV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having a magnetic circuit structure forming a magnetic field and a damping structure for braking and supporting the diaphragm, wherein the magnetic circuit structure includes an annular upper plate, an annular low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ortion. An annular permanent magnet disposed between the plate and a cylindrical pole piece extending up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damping structure is located inside the pole piece,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the other Loudspeaker comprising a braking support whose end is supported by a damper.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과 같이, 파티션, 액자 또는 천장재료와 같은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스피커를 구현하는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문제의식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Similarly,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roblem with a technology, a product, or a service for implementing an interior speaker by using an interior material such as a partition, a frame, or a ceiling material.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6824호(2018.10.01 공개, 발명의 명칭 : 휴대용 무선 스피커장치(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를 들 수 있다. 해당 발명은,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적은 공간에 설치가능하며 중저음을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부품이 실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고, 전기신호에 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의한 공기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새로운 음향을 출력하는 패시브덕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시브덕프모듈은 상기 스피커에 의한 공기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스피커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6824 (October 01, 2018 publication, the name of the invention: a 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can be mentio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mall space and at the same time ensures durability, and for this purpose, a housing in which parts are mounte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ical signal And a passive duct module for vibrating by air vibration by the speaker and outputting new sound, wherein the passive duct module includes a vibration unit vibrating by air vibration by the speaker; Speaker device including a duct extending from the vibr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발명은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중저음을 강화한 별도 구성의 휴대용 무선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만 있을 뿐, 본 출원인과 같이, 파티션, 액자 또는 천장재료와 같은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스피커를 구현하는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문제의식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Similarl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a problem of providing a 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of a separate configuration that improves productivity by enhancing assembly by simplifying assembly while improving durability, and, like the applicant, partitions, There seems to be no problem regarding the technology, products, and services for implementing interior speakers using interior materials such as picture frames or ceiling materials.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299호(2011.01.26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12299 (January 26, 2011 registered, the name of the invention: speake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187호(2017.02.20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SPEAKER AND DEVICE HAVING THE SAME))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10187 (2017.02.20 registered, the name of the invention: speaker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SPEAKER AND DEVICE HAVING THE SAME))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6824호(2018.10.01 공개, 발명의 명칭 : 휴대용 무선 스피커장치(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3.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106824 (October 01, 2018 Publication, the name of the invention: 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이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되어서, 즉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또는 이동공간에 별도의 스피커 외부 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설치된 파티션 같은 구조물을 활용하여 음향이 구현된 인테리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ibration surface of the interior speaker is implemented using the material of the interior including the partition of the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frame and ceiling materials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ior speaker in which sound is realized by utilizing a structure such as a partition installed without an external speaker external device protruding from an office space, a meeting space, a living space, or a moving spa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상하 운동이 상기 진동면에 전달이 용이하도록 상기 진동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진동자 고정부; 및 상기 진동자 고정부가 부착되는 진동면;을 포함한다.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oscillato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to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into kinetic energy; A vibrator fixing part which fixes the position of the vibrator so that vertical movement of the vibrator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And a vibrating surface to which the vibrator fixing part is attached.

여기서, 상기 진동면은,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된다. Here, the vibration surface, the sound is implemented using a material of the interior including the partition of the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frame and ceiling materials.

또한, 상기 진동자 고정부는, 상기 진동자가 진동하면서 운동할 때 상기 진동면에 상기 진동자가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진동자를 상기 진동면과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서 고정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vibrator fixing part, the vibrator must be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vibrating surface so that the vibrator does not hit the vibrating surface when the vibrator moves while vibrating.

또한, 상기 진동면은 아크릴 재질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surface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crylic material.

또한, 상기 진동면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재질의 외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하여 패브릭 또는 인쇄물을 포함한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vibrat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o attach an external finish including a fabric or printed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for interior decoration.

한편, 상기 진동자는, 상기 진동면과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자성체; 상기 제1자성체의 측방둘레를 따라 근접 배치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의 사이에 상향 개구된 공극을 형성하는 제2자성체; 상기 진동면의 저면에 형성된 진동자 연결구조물에 상단 둘레가 장착되며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하단이 상기 공극에 삽입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면을 상하 진동시키는 보빈; 및 상기 제2자성체의 측방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자성체를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에서는 상기 진동자 고정부와 연결되는 진동자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or, the first magnetic body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the vibration surface; A second magnetic body disposed proximate along a lateral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gnetic body to form a void open upwardly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A bobbin mounted on a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ibrating surface, and having a bottom wound around a voice coil inserted into the air gap to vibrate the vibrating surface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oice coil; And a vibrator frame part formed along a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to fix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at the other side thereof.

여기서,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은 상기 보빈을 향하여 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보빈의 상단 둘레가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의 홈을 따라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is formed with a groove toward the bobbin so that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can be inserted along the groove of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또한,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은, 상기 진동자의 운동에너지가 손실 없이 상기 진동면에 전달되며, 상기 음향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진동자의 가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상기 보빈이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에 삽입된 홈의 그 안팎에서, 각각 상기 진동자에서 상기 진동면 방향으로의 그 단면이 점점 커지게 아치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the kinetic energy of the vibrator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surface without loss, so that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the bobbin is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so as to maintain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rcuate structure so that its cross section from the vibrator to the vibrating surface direction becomes larger in and out of the grooves inserted into each.

또한, 상기 진동자 고정부는 SUS, 스틸,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brator fixing part is preferably formed of SUS, steel, aluminum material.

또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진동자의 가진력 전달시 상기 진동자 무게에 대한 댐핑 왜곡을 감쇄시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보빈과 상기 진동자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의 측면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하 진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brator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so as to attenuate the damping distortion of the vibrator weight when transmit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to improv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vibrator, the bobbin and the vibrator frame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damper to prevent movement to the side of the voice coil and guide the up and down vibration; preferably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첫째,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이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되어서, 즉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또는 이동공간에 별도의 스피커 외부 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설치된 파티션 같은 구조물을 활용하여 음향이 구현된 인테리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티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칠판, 거울, 액자 등등 나아가서 차량,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의 이동공간에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irst, the vibration surface of the interior speaker is realized by using interior materials including partitions of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frame, and ceiling material, that is,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or moving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ior speaker in which sound is realized by utilizing a structure such as a partition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speaker external device protruding. It is not only limited to partitions, but also blackboards, mirrors, frames, etc., and it can be applied to moving spaces such as vehicles, trains, airplanes and ships.

둘째, 진동자 고정부는, 진동자를 진동면과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서 고정하여서, 진동자가 진동하면서 운동할 때 진동면에 진동자가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Secondly, the vibrator fixing part fixes the vibrat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brating surface, so that the vibrator does not hit the vibrating surface when the vibrator moves while vibrating.

셋째, 진동면이 인테리어 재질로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 당업계에서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본 출원인은 여러 가지 인테리어 재질을 시험한 결과, 진동면이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특성상 가장 원래의 음향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rd, not only did not consider in the art that the vibrating surface is implemented in the interior material, 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also tested various interior materials. As a result, the vibrating surface is made of acrylic material, which is the most original in the frequency dom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und is close.

해당 아크릴 재질의 외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하여 패브릭 또는 인쇄물을 포함한 외부 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을 그대로 살리되,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음향 특성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By attaching an external finish including fabric or printed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for interior decora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terior decoration as it is, but also maintai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domain.

넷째, 진동자 연결구조물은, 그 단면의 형상이, 보빈이 진동자 연결구조물에 삽입된 홈의 그 안팎에서, 각각 진동자에서 진동면 방향(상 방향)으로의 그 단면이 점점 커지게 아치형 구조를 가져서, 진동자의 운동에너지가 손실 없이 진동면에 전달되며, 음향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자의 가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ourth,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has an arcuate structure such that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thereof becomes larger and larger in cross section in the vibrating plane direction (upward direction) inside and outside of the groove into which the bobbin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The kinetic energy of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without loss,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다섯째, 보빈과 진동자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어, 진동면의 상하진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가져서, 진동자는, 진동자의 가진력 전달시 진동자 무게에 대한 댐핑 왜곡을 감쇄시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ifth, it is connect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vibrator frame portion, and has a damper for guiding the up and down vibration of the vibrating surface, so that the vibrator can improve the acoustic properties by attenuating the damping distortion on the weight of the vibrator when transmit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Do.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티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가 적용된 파티션을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전면 투시도 및 측단면 투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분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상세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아크릴로 적용할 경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스틸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석고 보드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유리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 연결구조물이 일자형 형태인 경우와 아치형 형태인 경우 각각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 연결구조물의 일자형 형태인 경우와 아치형 형태인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in which an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general parti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acrylic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steel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gypsum board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glass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ight shape and an arc shape.
FIG. 10 is an experimental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ound in the case of a straight form and an arch form of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interior speaker illustrated in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인테리어 스피커의 구조)(Structure of the interior speake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티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가 적용된 파티션을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전면 투시도 및 측단면 투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분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상세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to which a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general parti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ploded view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100)는, 진동자(10), 진동자 고정부(20) 및 진동면(30)을 포함한다. 1 to 4, the interior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or 10, a vibrator fixing part 20, and a vibrating surface 30.

여기서, 진동자(10)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Here, the vibrator 10 is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into kinetic energy.

구체적으로 진동자(10)는 제1자성체(11~13), 하부플레이트(요크)를 포함하는 제2자성체(14), 보빈(15), 보이스코일(16), 진동자 프레임부(17), 댐퍼(18) 및 진동자 연결구조물(19)를 포함한다. 제1자성체는 상부 마그네트(11), 상부 플레이트(12) 및 하부 마그네트(13)를 포함한다. 자력이 부족한 경우에, 상부 플레이트(12) 위에 마그네트를 더 추가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vibrator 10 includes a first magnetic body 11 to 13, a second magnetic body 14 including a lower plate (yoke), a bobbin 15, a voice coil 16, a vibrator frame part 17, and a damper. 18 and the oscillator coupling structure 19. The first magnetic body includes an upper magnet 11, an upper plate 12, and a lower magnet 13. In the case of a lack of 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further arrange the magnet on the upper plate 12.

제1자성체(11~13)는 진동면(30)과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2자성체(14)는 제1자성체(14)의 측방둘레를 따라 근접 배치되어 제1자성체(14)와의 사이에 상향 개구된 공극을 형성하며, 보빈(15)는 진동면의 저면에 형성된 진동자 연결구조물(19)에 상단 둘레가 장착되며 보이스코일(16)이 권취된 하단이 공극에 삽입되어 보이스코일(16)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진동면(30)에 운동에너지를 주어 상하 진동시킨다. The first magnetic bodies 11 to 13 are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with the vibration surface 30, and the second magnetic bodies 14 are disposed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gnetic body 14 to be adjacent to the first magnetic body 14.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15 is mounted on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ibrating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coil coil 16 is inserted into the void so that the bobbin 15 is inserted into the void.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ng surface 30 gives kinetic energy to vibrate up and down.

또한, 진동자 프레임부(17)은 제2자성체(14)의 측방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2자성체(14)를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에서는 진동자 고정부(20)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vibrator frame portion 17 is formed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14 to fix the second magnetic body 14, and a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20.

또한, 진동자(10)는, 진동자(10)의 가진력 전달시 진동자 무게에 대한 댐핑 왜곡을 감쇄시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빈(15)과 진동자 프레임부(17) 사이에 연결되어, 진동면(30)의 상하진동을 가이드하는 댐퍼(1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ibrator 10 is connected between the bobbin 15 and the vibrator frame portion 17 so as to attenuate the damping distortion of the vibrator weight when transmit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10 to improv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vibrat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amper 18 for guiding the up and down vibration of the (30).

또한, 진동자(10)는, 진동자 고정부(20)에 연결되어 있고, 진동자(10)의 가진력 전달시 진동자 무게에 대한 댐핑 왜곡을 감쇄시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or 10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20, and attenuates damping distortion of the vibrator weight when transmit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10, thereby impro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또한, 진동자(10)는, 보빈(15)과 진동자 프레임부(17) 사이에 연결되어, 보이스코일의 측면으로의 움직임을 막고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댐퍼는 왜곡을 감쇄시키는 기능 또한 일부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vibrator 10 includes a damper connected between the bobbin 15 and the vibrator frame portion 17 to prevent movement to the side of the voice coil and to smoothly move up and down. The damper also performs some of the function of damping distortion.

또한, 진동자 연결구조물(19)은 보빈(15)을 향하여 홈이 형성되어서 보빈(15)의 상단 둘레가 진동자 연결구조물(19)의 홈을 따라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may have a groove formed toward the bobbin 15 so that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15 may be inserted along the groove of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다음으로, 진동자 고정부(20)는 상술한 진동자(10)의 상하 운동이 진동면(30)에 전달이 용이하도록 진동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진동자 고정부(20)는, 진동자(10)가 진동하면서 운동할 때 진동면(30)에 진동자(10)가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자(10)를 진동면(30)과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서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 고정부는 SUS, 스틸,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vibrator fixing part 20 is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vibrator 10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ibrator 10 described above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30. The vibrator fixing part 20 should fix the vibrator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brator surface 30 so that the vibrator 10 does not hit the vibrating surface 30 when the vibrator 10 vibrates and moves. In addition, the vibrator fixing part is preferably formed of SUS, steel, aluminum material.

본 출원인은 소리를 내는 구조와 관련해서는, 연성 성질이 있는 모든 재질을 진동면(30)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진동자(exciter) 고정부(20)를 부착한 구조물 형태로 소리를 내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실험한 결과, 연성 재질의 진동면(30)에서도 어느 정도 소리는 발현되나 진동자 고정부(20)를 포함할 경우에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applicant can use any material having a ductile property as the vibrating surface 30 or make a sound in the form of a structure having an exciter fixing part 20 attached theret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ound is expressed to some extent even in the vibrating surface 30 of the flexible material, but the characteristics are further improved when the vibrator fixing part 20 is included.

또한, 진동면(30)은 진동자 고정부(20)가 부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진동면(30)은,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된다. 파티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칠판, 거울, 액자 등등 나아가서 차량,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의 이동공간에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ibrating surface 30 i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vibrator fixing part 20 is attached. Here, the vibration surface 30, the sound is implemented using the material of the interior, including partitions, picture frames and ceiling materials of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It is not only limited to partitions, but also blackboards, mirrors, frames, etc., and it can be applied to moving spaces such as vehicles, trains, airplanes and ships.

또한, 진동자(10)의 자계부를 고정하여 자계에서 발생한 진동력을 진동면(30)에 왜곡없이 전달하는데, 진동면(30)과 진동자(exciter)(10)를 테이프(tape) 등으로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of the vibrator 10 is fixed to transmit the vibra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gnetic field to the vibrating surface 30 without distortion, and the vibrating surface 30 and the vibrator 10 may be joined by a tape or the like. Do.

(진동면 재질 및 실험)(Vibration surface material and experimen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아크릴로 적용할 경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스틸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석고 보드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에서, 진동면을 유리로 적용할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5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acrylic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eel surface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applied, Figure 7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gypsum board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n the interior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hen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glass.

진동면(30)은 스틸(steel), 석고 보드(board), 유리(glass), 합성 재료나, 멀티레이어층으로 이루어진 재질의 진동면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면(30)을 구현할 때, 진동면(30)을 아크릴 재질과 같은 유연한(flexible) 재질로 선택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PL은 sound pressure level을 의미하며, 사람의 가청 주파수라고 알려진 20Hz 내지 20,000Hz까지에서 기존의 스피커의 SPL과 가장 유사한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엇다. The vibrating surface 30 may be implemented with a vibrating surface made of steel, a gypsum board, glass, a synthetic material, or a multilayer layer. As shown in FIG. 5, the vibrating surface 30 ), It is preferable to effectively implement vibration by selecting the vibration surface 30 as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crylic material. Here, SPL means a sound pressure level, and from 20Hz to 20,000Hz, which is known as a human audible frequency, it can be seen that the SPL exhibits sound characteristics most similar to those of a conventional speaker.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면이 인테리어 재질로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 당업계에서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본 출원인은 여러 가지 인테리어 재질을 시험한 결과, 진동면이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특성상 가장 원래의 음향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described above, not only does the present invention not consider the vibrating surface to be implemented as an interior material at all, but the present applicant has also tested various interior materials, and as a result, the vibrating surface is made of acrylic material in the frequency domain. It is confirmed that it is close to the original sound.

참고로, 도 5에서의 점선의 그래프는 기준이 되는 평판 스피커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의 그래프는 진동면의 재료를 아크릴로 적용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or reference, the graph of the dotted line in FIG. 5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t panel speaker as a reference, and the graph of the solid line shows the characteristic when the material of the vibrating surface is applied to acrylic.

나아가, 해당 아크릴 재질의 외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하여 패브릭 또는 인쇄물을 포함한 외부 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이나 인테리어 느낌을 그대로 살리되,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음향 특성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more, by attaching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ncluding fabric or printed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for interior decora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terior decoration or interior feel as it is, but also maintai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domain.

또한, 진동면(30)에 있어서, 아크릴 재질의 외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하여 패브릭 또는 인쇄물을 포함한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vibrating surface 30, it is preferable to attach an external finish including a fabric or printed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for interior decoration.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면(30)을 스틸(steel), 석고 보드(board), 유리(glass)로 하는 경우, 원래의 음향 특성과 비교하여 특성이 많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서의 점선의 그래프는 기준이 되는 평판 스피커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의 그래프는 진동면의 재료를 각각 스틸, 석고 보드, 유리로 적용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6 to 8, when the vibration surface 30 is made of steel (steel), gypsum board (glass), glass (glas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much less than the original acoustic characteristics. . For reference, the graph of the dotted line in Figures 6 to 8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t panel speaker as a reference, the graph of the solid line shows the characteristics when the material of the vibration surface is applied to steel, gypsum board, glass, respectively.

(진동면 연결구조물의 발명 및 개량)(Invention and improvement of vibration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 연결구조물이 일자형 형태인 경우와 아치형 형태인 경우 각각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테리어 스피커의 진동면 연결구조물의 일자형 형태인 경우와 아치형 형태인 경우의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10에서 점선의 그래프는 진동면 연결구조물이 일자형 형태로 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실선의 그래프는 진동면 연결구조물이 아치형 형태로 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interior speaker has a straight shape and an arch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interior speaker shown in FIG. 9. This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ound in the case of the straight form and the arch form. For reference, the graph of the dotted line in FIG. 10 shows a case in which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is in a straight shape, and the graph in the solid line shows a case in which the vibra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 is in an arcuate shap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 연결구조물(19)은, 진동자(10)의 운동에너지가 손실 없이 진동면(30)에 전달되며, 음향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자(10)의 가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보빈(15)이 진동자 연결구조물(19)에 삽입된 홈의 그 안팎에서, 각각 진동자(10)에서 진동면(30) 방향(상 방향)으로의 그 단면이 점점 커지게 아치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30 without loss of kinetic energy of the vibrator 10, so that the vibration force of the vibrator 10 may be maintained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arch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from the vibrator 10 toward the vibrating surface 30 (upward direction) becomes larger and larger inside and outside the groove into which the bobbin 15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형태, 즉 아치형 구조를 갖는 진동자 연결구조물(19)에 의하여, 음향의 고주파 특성이 향상된 모습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감성 음향이나 감성 스피커라고 하여,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인 20,000Hz 이상에서, 통상 20,000Hz 내지 40,000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향 특성도 고려하는 경향이 있은데, 아치형 구조를 갖는 진동자 연결구조물(19)의 경우의 SPL이, 일자형 구조를 갖는 진동자 연결구조와 달리, 급격히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form of FIG. 9, that is,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having an arched structure, showed that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were improved through experiments. Specifically, in recent years, the emotional sound or the emotional speaker has a tendency to consider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range of 20,000 Hz to 40,000 Hz, usually 20,000 Hz or more, which is a human audible frequency ban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19, the SPL, unlike the oscillator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straight structure, exhibits a characteristic that is maintained without abrupt reduction.

즉, 진동자 연결구조물(19)은, 그 단면의 형상이, 보빈(15)이 진동자 연결구조물(19)에 삽입된 홈의 그 안팎에서, 각각 진동자(10)에서 진동면(30) 방향(상 방향)으로의 그 단면이 점점 커지게 아치형 구조를 가져서, 진동자(10)의 운동에너지가 손실 없이 진동면(30)에 전달되며, 음향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자(10)의 가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That i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is the direction of the vibrating surface 30 in the vibrator 10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roove in which the bobbin 15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respectively (upward direction). It has an arched structure so that its cross section becomes larger and larger, so that the kinetic energy of the vibrator 10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30 without loss,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10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Was done.

본 출원인은 진동자 연결구조물(19)에 대해서 일자형 형태와 아치형 형태 2가지를 발명하였으나, 아치형 형태의 특성이 좀 더 나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plicant invented two types of straight shape and arch shape for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19,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 shape is bett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0…진동자10... Oscillator

11~13…제1자성체11-13... First magnetic body

11…상부마그네트, 11... Upper Magnet,

12..상부플레이트 12. Upper plate

13…하부마그네트, 13... Bottom Magnet,

14…하부플레이트 또는 제2자성체14... Bottom plate or second magnetic material

15… 보빈15... Bobbin

16… 보이스코일 16... Voice coil

17…진동자 프레임부17... Oscillator Frame

18… 댐퍼, 18... Damper,

19…진동자 연결구조물19... Oscillator Connection Structure

20…진동자 고정부20... Oscillator fixture

30…진동면30... Vibrating surface

100…인테리어 스피커 100... Interior speakers

Claims (10)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상하 운동이 진동면에 전달이 용이하도록 상기 진동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진동자 고정부; 및
상기 진동자 고정부가 부착되는 진동면;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면은, 사무공간, 회의공간, 생활공간 및 이동공간의 파티션, 액자 및 천장 재료을 포함한 인테리어의 재질을 이용하여 음향이 구현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진동면과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자성체;
상기 제1자성체의 측방둘레를 따라 근접 배치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의 사이에 상향 개구된 공극을 형성하는 제2자성체;
상기 진동면의 저면에 형성된 진동자 연결구조물에 상단 둘레가 장착되며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하단이 상기 공극에 삽입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면을 상하 진동시키는 보빈; 및
상기 제2자성체의 측방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자성체를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에서는 상기 진동자 고정부와 연결되는 진동자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은 상기 보빈을 향하여 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보빈의 상단 둘레가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의 홈을 따라서 삽입 장착되고,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은,
상기 진동자의 운동에너지가 손실 없이 상기 진동면에 전달되며, 상기 음향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진동자의 가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상기 보빈이 상기 진동자 연결구조물에 삽입된 홈의 그 안팎에서, 각각 상기 진동자에서 상기 진동면 방향으로의 그 단면이 점점 커지게 아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A vibrato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into kinetic energy;
A vibrator fixing part which fixes the position of the vibrator so that the vertical motion of the vibrator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And
And a vibrating surface to which the vibrator fixing part is attached.
The vibration surface, the sound is implemented using the material of the interior including partitions, picture frames and ceiling materials of office space, meeting space, living space and moving space,
The vibrator,
A first magnetic body disposed to face the vibration surface up and down;
A second magnetic body disposed proximate along a lateral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gnetic body to form a void open upwardly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A bobbin mounted on a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ibrating surface, and having a bottom wound around a voice coil inserted into the air gap to vibrate the vibrating surface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oice coil; And
And a vibrator frame part formed along a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to fix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and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at the other side.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has a groove formed toward the bobbin so that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is inserted along the groove of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The vibrator connection structure,
The kinetic energy of the vibrator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ng surface without loss, so that the vibration force of the vibrator can be maintained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The cross-section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bbin has an arcuate structure such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vibrating surface from the vibrator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roove inserted into the vibrator connecting structure, respectively, becomes larger and larger,
Interior speak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고정부는, 상기 진동자가 진동하면서 운동할 때 상기 진동면에 상기 진동자가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진동자를 상기 진동면과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or fix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vibrat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vibrating surface, so that the vibrator does not hit the vibrating surface when the vibrator moves while vibrating,
Interior speak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면은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bration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crylic material,
Interior speak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면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재질의 외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하여 패브릭 또는 인쇄물을 포함한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vibrating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acrylic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ttaching an external finish including a fabric or printed material for interior decoration,
Interior spe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고정부는 SUS, 스틸,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or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SUS, steel, aluminum material,
Interior speak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진동자의 가진력 전달시 상기 진동자 무게에 대한 댐핑 왜곡을 감쇄시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보빈과 상기 진동자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의 측면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하 진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The vibrator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fixing part to attenuate the damping distortion of the vibrator weight when transmit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vibrator to improv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vibrator is connect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vibrator frame, a damper to prevent movement to the side of the voice coil and guide the up and down vibration; includes;
Interior speaker.
KR1020180127153A 2018-08-06 2018-10-24 Interior speaker KR1019446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1129 2018-08-06
KR1020180091129 2018-08-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866A Division KR102074823B1 (en) 2018-12-10 2018-12-10 Interior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676B1 true KR101944676B1 (en) 2019-02-28

Family

ID=6558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153A KR101944676B1 (en) 2018-08-06 2018-10-24 Interior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16B1 (en) * 2019-10-21 2021-02-18 삼원액트 주식회사 Panel with sound reproduction
KR20210047249A (en) * 2019-10-21 2021-04-29 삼원액트 주식회사 Panel with sound reprod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217A (en) * 2003-10-06 2005-04-28 Foster Electric Co Ltd Panel speaker
JP2009260763A (en) * 2008-04-18 2009-11-05 Panasonic Corp Flat speaker
JP6326649B1 (en) * 2017-03-26 2018-05-23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Sp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217A (en) * 2003-10-06 2005-04-28 Foster Electric Co Ltd Panel speaker
JP2009260763A (en) * 2008-04-18 2009-11-05 Panasonic Corp Flat speaker
JP6326649B1 (en) * 2017-03-26 2018-05-23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Speake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299호(2011.01.26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187호(2017.02.20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SPEAKER AND DEVICE HAVING THE SAME))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6824호(2018.10.01 공개, 발명의 명칭 : 휴대용 무선 스피커장치(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16B1 (en) * 2019-10-21 2021-02-18 삼원액트 주식회사 Panel with sound reproduction
KR20210047249A (en) * 2019-10-21 2021-04-29 삼원액트 주식회사 Panel with sound reproduction
KR102252696B1 (en) * 2019-10-21 2021-05-17 삼원액트 주식회사 Panel with sound repro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994B1 (en) Surface acoustic transducer
US11418891B2 (en) Loudspeaker unit comprising an electrodynamic loudspeaker and a MEMS loudspeaker
RU2523094C2 (en) Low-frequency loudspeaker with flat diffuser and use thereof
JP2023120259A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US7961553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US6411723B1 (en) Loudspeakers
JP7385626B2 (en) transducer placement
US201701939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nhanced audible environment within an aircraft cabin
JP2018537910A (en) Surface acoustic transducer
JP6326649B1 (en) Speaker
CN209787426U (en) Vibration sound 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10243364A1 (en) Structure of loudspeaker for reducing thickness and mounting depth
KR101944676B1 (en) Interior speaker
US20160227326A1 (en) Electromagnetic Speaker
US20140301579A1 (en) Vibrating acoustic device
JP2019110440A (en) Diaphragm and speaker
EP373498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KR101622155B1 (en) Microspeaker with improved center diaphragm
KR102074823B1 (en) Interior speaker
KR102115383B1 (en) The exciter mounted on a vibrating panel
KR102625408B1 (en) Speaker unit and speaker curved diaphragm
US20070286439A1 (en) Loudspeaker driver
MXPA01000037A (en) Loudspeakers.
KR100492945B1 (en) loudspeakers
KR100769885B1 (en) The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