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03B1 -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03B1
KR101944303B1 KR1020170109110A KR20170109110A KR101944303B1 KR 101944303 B1 KR101944303 B1 KR 101944303B1 KR 1020170109110 A KR1020170109110 A KR 1020170109110A KR 20170109110 A KR20170109110 A KR 20170109110A KR 101944303 B1 KR101944303 B1 KR 10194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voice recognition
voice
speech recognition
audio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10L2015/025Phonemes, fenemes or fenones being the recogni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o a method thereof. The car audio system can automatically select a sound source using voice recognition by recognizing a song, to which a driver wants to listen, using the voice recognition and playing the song through an automatic sound source detection; and can re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driver operating a button and can improve convenience. The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comprises: a voice recognition button for select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a voice inputted through a microphone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selected by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in a sound source playlist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selected,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which is similar or same as the voice, and automatically playing the searched sound source.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using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노래를 음성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음원 탐색을 통해 재생을 함으로써, 운전자가 선곡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운전자의 편의를 도와주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using speech recogni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using speech recognition, which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to-be-operated button and facilitates the driver's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오디오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오디오 장치, 오디오/비디오 장치(A/V 시스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시스템(AVN) 등이 그것이다.In general, a car is equipped with various audio devices. For example, an audio device, an audio / video device (A / V system), an audio / video / navigation system (AVN), and the like.

이렇게 자동차에 장착된 다양한 오디오 장치들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음원을 듣기 위해서, 운전자는 오디오 장치를 온 상태로 동작시키고, 채널을 돌리거나 다수의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듣고 싶은 음원을 탐색한 후, 재생 버튼을 동작시켜야만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listen to the sound source by the driver using various audio devices mounted on the vehicle, the driver operates the audio device in an ON state, turns the channel or operates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to search for a sound source to be heard,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desired sound source.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an audio device mounted on a vehicl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용자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위치, 상기 터치 스위치에 대응하는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음향 데이터 추출 제어부, 및 상기 음향 데이터 추출 제어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touch switch for sensing a touch with a user and receiving a user input, an acoustic data storage for storing acoustic data corresponding to the touch switch, And an audio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audio data extraction control unit into an audio signal.

이러한 구성을 통해, 터치 스위치를 구비하는 카 오디오 장치에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음향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user by select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from the sound data storage unit in the car audio apparatus having the touch switch.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8391(2009.02.20. 공개)(음향 선택이 가능한 터치 스위치를 구비하는 카 오디오장치)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18391 (published on February 20, 2009) (car audio apparatus having a touch switch capable of sound selec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장치나 종래기술로 언급된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 또는 터치 스위치를 다수 조작하여 해당 음원을 탐색한 후, 플레이 키를 조작하여 음원을 청취하는 방식이므로, 다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udio device mounted on a general vehicle or the audio device referred to in the related art is a method in which a user operates a button or a touch switch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nd then operates the play key to listen to the sound source, There is an inconvenien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r the touch switch.

또한, 운전 중에 버튼이나 터치 스위치를 조작은 주시 부주의로 인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peration of a button or a touch switch during operation can cause an accident due to carelessness.

만약, 오디오 장치 조작을 위해 차량을 정차한 후 오디오 장치를 조작하여 원하는 음원을 청취한다면 이것 또한 시간적인 손실을 야기한다.If you stop the car to operate the audio device and then operate the audio device to listen to the desired sound source, this also causes a time lo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카 오디오 장치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노래를 음성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음원 탐색을 통해 재생을 함으로써, 운전자가 선곡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ar audio apparatus and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song desired by a driver in a car audio syst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 automatic sound source by using speech recognition, which improves convenience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driver operating the button for song sel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을 가수, 노래제목만을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가수나 노래제목과 같은 음성 인식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음원을 자동 재생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aylist using only a singer and a song title stored in a sound source database and generating a play list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a sound source selection And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car audio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은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음성 인식 버튼; 상기 음성 인식 버튼에 의해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처리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고,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음성과 음원 플레이리스트의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또는 일치하는 음원을 탐색하고, 탐색한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button for select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processor for recognizing a voice inputted through a microphone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selected by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comparing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 list to search for a similar or identical sound source and automatically reproducing the searched sound source do.

상기에서 음성인식 처리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성 인식을 위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음성 분석부; 상기 음성 분석부에서 추출한 특징점으로 단어 인식을 위한 음소를 검출하는 음성 검출부; 상기 음성 검출부에서 검출한 음소를 기초로 단어를 인식하는 단어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may include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sampling an analog speech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converting the sampled analog speech signal into digital data; A speech analyzer for extracting feature points for speech recognition from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A voice detector for detecting a phoneme for word recognition with the minutiae extracted by the voice analyzer; And a word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word based on the phoneme detected by the voice det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은 외부 메모리인 USB 메모리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USB 포트;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B memory, which is an external memory, and a USB port for data interface; Further comprising a sound source database in which sound source data is sto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USB 메모리가 접속되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에서 인식된 단어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유사 또는 일치하는 가수 또는 제목의 음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 unit extracts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and stores the sound source data in a sound source database when the USB memory is connected through the USB port and searches the sound source database based on a word recognized by the sound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searching for the sound source of the singer or the tit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은 (a) 오디오 시스템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음성인식 버튼이 온 상태로 조작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음성인식 버튼이 온 상태로 조작되면, USB 메모리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상기 (c)단계 후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확인 결과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면, 인식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수 또는 제목이 유사 또는 일치하는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추출한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matic audio source selection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a voice recognition button is operated in an on- Checking; (b) confirming whether the USB memory is inserted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is operated in an ON state; (c)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when the USB memory is insert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b); (d) confirming whether the USB memory is not inserted or the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after step (c)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b); (e) if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d), searching the sound source database based on the recognized voice to extract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similar or identical title or title; (f) automatically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extracted in the step (e).

상기에서 (e)단계는 인식된 음성의 단어와 유사 또는 동일한 음원 정보를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되, 상기 인식된 음성의 단어의 음소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유사도 또는 일치도를 기초로 음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e), the sound source similar or identical to the recognized sound word is extracte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and the sound source is searched based on a similarity or a match degre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phoneme of the recognized sound word .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노래를 음성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음원 탐색을 통해 재생을 함으로써, 운전자가 선곡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편의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is improved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driver operates the button for the song selection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song desired by the driver in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and performing the search through the sound source search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을 가수, 노래제목만을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가수나 노래제목과 같은 음성 인식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음원을 자동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playlists using only the singers and song titles of the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and to automatically reproduce sound sources desired by the driver only by voice recognition such as singers and song titles,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음성인식 처리부의 실시 예 및 그 연계 블록 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은 음성인식버튼(10), 마이크(20), 음성인식처리부(30), 음원 데이터베이스(DB)(40), 제어부(50), 스피커(60), 디스플레이(70), USB 포트(80)를 포함한다.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button 10, a microphone 20, a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a sound source database (DB) 40, a control unit 50, A speaker 60, a display 70, and a USB port 80.

상기 음성 인식 버튼(10)은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며, 마이크(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수단이다.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a button operated by a user to select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microphone 20 is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또한,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30)는 상기 음성 인식 버튼(10)에 의해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recognize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selected by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

이러한 음성인식 처리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성 인식을 위한 특징점을 추출하는 음성 분석부(32), 상기 음성 분석부(32)에서 추출한 특징점으로 단어 인식을 위한 음소를 검출하는 음성 검출부(33), 상기 음성 검출부(33)에서 검출한 음소를 기초로 단어를 인식하는 단어 인식부(34)를 포함한다.2,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30 include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31 for sampling the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 and converting the sampled analog voice signal into digital data, A speech analyzer 32 for extracting feature points for speech recognition from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speech analyzer 31, a speech detector 33 for detecting phonemes for word recognition with the feature points extracted by the speech analyzer 32, And a word recognition unit 34 for recognizing words based on the phonemes detected by the voice detection unit 33. [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고,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30)에 의해 인식된 음성과 음원 플레이리스트의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또는 일치하는 음원을 탐색하고, 탐색한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selects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compares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or 30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list, searches for a similar or identical sound source, It plays the role of automatic reproduction.

상기 스피커(60)는 재생되는 음원을 송출해주는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70)는 재생되는 곡의 정보 표출, 기능 등을 표출해주는 역할을 하며, USB 포트(80)는 외부 메모리인 USB 메모리와 데이터 인터페이스 하는 역할을 한다.The USB port 80 is connected to a USB memory, which is an external memory, and a USB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It serves as an interface.

또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40)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stores sound source dat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tomobil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the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50)는 음성인식버튼(10)의 조작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음성인식버튼(10)의 조작 상태를 확인한 결과,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인식버튼(10)이 오프(off)된 상태이면 기존과 같이 오디오 시스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car audio system, the control unit 50 confirms the operation state o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not selected, that is,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turned off,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udio system as it is.

이와는 달리 상기 음성인식버튼(10)이 온(on) 된 상태이면, USB 포트(80)에 음원이 저장된 USB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turned on, it is confirmed whether a USB memory having a sound source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80 or not.

이 확인 결과, USB 포트(80)에 음원이 저장된 USB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40)에 음원을 저장할 경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가수, 노래 제목 등과 같이 해당 음원을 구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검색 데이터로 음원 정보에 매칭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B memory 8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80,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In this case,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extracted and the sound source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representative information such as an artist, a song title,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match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s search data, .

상기 제어부(50)는 USB 포트(80)에 접속된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정보를 처리한 후, 음성 인식에 의한 음원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음성인식 처리부(30)의 음성 인식을 대기한다.The controller 50 processes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a USB memory connected to the USB port 80 and then waits for speech recognition by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30 to automatically perform sound source playback by voice recognition .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원하는 음원을 자동으로 청취하기 위해서 가수나 노래 제목만을 말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노래 가사에 포함된 단어 등을 인식하여 음원을 탐색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가수나 노래 제목을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user speaks only a singer or a song title in order to automatically listen to a desired sound source through voice. Herein,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sound source by recognizing words included in the lyrics of the song according to need, but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singer or song title.

사용자가 가수나 노래 제목을 말하면,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고, 음성인식 처리부(3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 음성을 인식한다.When the user speaks the singer or the song title, the user's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 and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recognizes the input voic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algorithm.

여기서 음성인식 처리부(30)는 음성 인식을 위해 알려진 다양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그대로 채택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30 recognizes speech by adopting various speech recognition algorithms known for speech recognition as they are.

음성 인식의 예로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는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음성 분석부(3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성 인식을 위한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어, 음성 검출부(33)에서 상기 음성 분석부(32)에서 추출한 특징점으로 단어 인식을 위한 음소를 검출하고, 마지막으로 단어 인식부(34)에서 검출한 음소를 기초로 단어를 인식한다.As an example of speech recognition,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1 samples the analog voic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20 and converts the sampled analog voice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the voice analyzer 32 performs the analog- 31 extracts feature points for speech recognition from the converted digital data. Then, the speech detection unit 33 detects a phoneme for word recognition with the minutiae extracted by the speech analysis unit 32, and finally recognizes the word based on the phoneme detected by the word recognition unit 34. [

음성 인식 결과는 제어부(50)에 전달되며, 제어부(50)는 음성 인식 대기 상태에서 음성 인식 결과가 입력되면, 이를 기초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40)를 검색하여 유사 또는 일치하는 가수 또는 제목의 음원을 탐색한다.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Whe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s input in the voice recognition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50 searches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

여기서 음성 인식 결과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음원 정보를 찾게 되면 음성 인과 일치한 음원을 찾은 것이며, 음성 인식 결과와 미리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갖는 음원 정보를 찾게 되면 유사한 음원을 찾은 것이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유사도는 적어도 음성 인식 단어와 60% 이상 일치하는 유사도를 의미한다.Here, i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information as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found,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is found. I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similarity with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found, the similar sound source is found. Here, the similarity set in advance means a degree of similarity at least equal to 60% with the speech recognition wor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추잠자리"이라고 말하였다고 가정을 하면, 가수나 노래 제목에 "고추잠자리"라는 데이터가 있는 음원을 찾게 되면 음성 인식과 일치한 음원을 찾은 것이며, 가수나 노래 제목에 "고추잠", "잠자리" 등과 같은 데이터가 있는 음원을 찾게 되면 음성 인식과 유사한 음원을 찾은 것이다.For example, supposing that a user has said "red dragonflies", if a singer or song finds a sound source with data "red dragonflies" in the title, the sound source that matches the speech recognition is found, When you find a sound source that contains data such as "hibernation," "hibernation," or "dragonfly," you find a sound source similar to speech recognition.

음원 탐색 결과, 1곡이 탐색되면 해당 탐색 곡을 선곡 리스트로 하여 바로 재생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음원 탐색 결과 2곡 이상이 탐색되면, 해당 탐색 곡을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렬 기준은 "가나다" 순서를 이용하거나 "노래 제목"의 음소가 적은 순서 또는 그 반대의 순서 등과 같은 기준을 이용할 수 있다.If one music piece is searched for as a result of the sound source search, the corresponding search piece is selected as a music list and playback is immediately performed. If two or more tunes are searched for as a result of the sound source search, the search tiles are sorted according to the sorting reference to generate a play list. In this case, the sorting criterion may be the order of "alphabetical order" or the order of the "phonetic" order of the "song title" or vice versa.

플레이리스트 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50)는 플레이리스트 순서에 따라 음원 재생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play list gen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0 automatically controls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lay list order.

재생된 음원은 스피커(60)를 통해 송출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나 재생되는 음원의 정보는 디스플레이(70)를 통해 표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produced sound source is sent out through the speaker 6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reproduced sound source. Information about the play list information and the reproduced sound sourc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70.

이로써 운전자가 오디오 시스템 사용 시, 음원을 찾기 위해 다수의 기능 버튼이니 선곡 버튼 등과 같은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음성으로 가수나 노래 제목만을 말하면, 음성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찾아 재생해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해주며, 아울러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운전 부주의에 따른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Thus, when the driver uses the audio system,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a song selection button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for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Simply spea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 lot of convenience and to prevent the driving concentration of the driver from being deteriorated so that an accident caused by carelessne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으로서, (a) 제어부(50)에서 오디오 시스템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음성인식 버튼(10)이 온 상태로 조작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 S12), (b) 상기 음성인식 버튼(10)이 온 상태로 조작되면, USB 메모리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는 단계(S14),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상기 (c)단계 후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5), (e) 상기 (d)단계의 확인 결과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면, 인식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40)를 검색하여 가수 또는 제목이 유사 또는 일치하는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6, S17), (f) 상기 (e)단계에서 추출한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단계(S18, S19)를 포함한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audio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USB memory is inserted (S13)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c) (S14)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when the USB memory is inserted into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d) if the USB memory is not inserted or (c) A step (S15)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speech recognition is performed after step (e); (e) if speech recognition i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d), searching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Similar or matching source information And a step of extracting (S16, S17), (f) step (S18, S19) to automatically play the sound source extracted in the step (e).

상기 (e)단계는 인식된 음성의 단어와 유사 또는 동일한 음원 정보를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되, 상기 인식된 음성의 단어의 음소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유사도 또는 일치도를 기초로 음원을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e), it is preferable to extract sound source information similar or identical to the recognized speech wor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and search the sound source based on a degree of similarity or degree of match based on the phoneme of the recognized sound word D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ontrol method of a car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제어부(50)는 단계 S11과 같이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단계 S12로 이동하여 음성인식버튼(10)의 조작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음성인식버튼(10)의 조작 상태를 확인한 결과,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 즉, 음성인식버튼(10)이 오프(off)된 상태이면 기존과 같이 오디오 시스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car audio system as in step S11, the control unit 50 proceeds to step S12 and confirms the operation state o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whe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not selected, that is,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turned off,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udio system as it is.

이와는 달리 상기 음성인식버튼(10)이 온(on) 된 상태이면, 단계 S13으로 이동하여 USB 포트(80)에 음원이 저장된 USB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10 is turned 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to check whether the USB memory 80 having the sound source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80. [

이 확인 결과, USB 포트(80)에 음원이 저장된 USB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단계 S14로 이동하여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40)에 음원을 저장할 경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가수, 노래 제족 등과 같이 해당 음원을 구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검색 데이터로 음원 정보에 매칭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B memory 8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8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 where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 In this case,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extracted and the sound source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representative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sound source such as a singer, a song legend, etc.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matche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s search data, .

다음으로, 음성 인식에 의한 음원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음성인식 처리부(30)의 음성 인식을 대기한다. Next, in order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by the speech recognition,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waits for speech recognition.

상기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원하는 음원을 자동으로 청취하기 위해서 가수나 노래 제목만을 말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노래 가사에 포함된 단어 등을 인식하여 음원을 탐색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가수나 노래 제목을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user speaks only a singer or a song title in order to automatically listen to a desired sound source through voice. Herein,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sound source by recognizing words included in the lyrics of the song according to need, but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singer or song title.

사용자가 가수나 노래 제목을 말하면,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고, 음성인식 처리부(30)는 단계 S15에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 음성을 인식한다.When the user speaks the singer or the song title, the user's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 and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 recognizes the input voic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algorithm in step S15.

여기서 음성인식 처리부(30)는 음성 인식을 위해 알려진 다양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그대로 채택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30 recognizes speech by adopting various speech recognition algorithms known for speech recognition as they are.

음성 인식 결과는 제어부(50)에 전달되며, 제어부(50)는 음성 인식 대기 상태에서 음성 인식 결과가 입력되면, 이를 기초로 단계 S16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40)를 검색하여 유사 또는 일치하는 가수 또는 제목의 음원을 탐색한다.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When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inputted in the speech recognition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50 searches the sound source database 40 at step S16 based on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title.

여기서 음성 인식 결과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음원 정보를 찾게 되면 음성 인과 일치한 음원을 찾은 것이며, 음성 인식 결과와 미리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갖는 음원 정보를 찾게 되면 유사한 음원을 찾은 것이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유사도는 적어도 음성 인식 단어와 60% 이상 일치하는 유사도를 의미한다.Here, i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information as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found,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is found. I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similarity with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found, the similar sound source is found. Here, the similarity set in advance means a degree of similarity at least equal to 60% with the speech recognition wor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추잠자리"이라고 말하였다고 가정을 하면, 가수나 노래 제목에 "고추잠자리"라는 데이터가 있는 음원을 찾게 되면 음성 인식과 일치한 음원을 찾은 것이며, 가수나 노래 제목에 "고추잠", "잠자리" 등과 같은 데이터가 있는 음원을 찾게 되면 음성 인식과 유사한 음원을 찾은 것이다.For example, supposing that a user has said "red dragonflies", if a singer or song finds a sound source with data "red dragonflies" in the title, the sound source that matches the speech recognition is found, When you find a sound source that contains data such as "hibernation," "hibernation," or "dragonfly," you find a sound source similar to speech recognition.

음원 탐색 결과, 1곡이 탐색되면 해당 탐색 곡을 선곡 리스트로 하여 바로 재생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음원 탐색 결과 2곡 이상이 탐색되면, 단계 S17로 이동하여 해당 탐색 곡을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렬 기준은 "가나다" 순서를 이용하거나 "노래 제목"의 음소가 적은 순서 또는 그 반대의 순서 등과 같은 기준을 이용할 수 있다.If one music piece is searched for as a result of the sound source search, the corresponding search piece is selected as a music list and playback is immediately performed. If two or more songs are searched for as a result of the sound source search,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 where the search songs are sorted according to sorting criteria to generate a playlist. In this case, the sorting criterion may be the order of "alphabetical order" or the order of the "phonetic" order of the "song title" or vice versa.

플레이리스트 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50)는 단계 S18로 이동하여 플레이리스트 순서에 따라 음원 재생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play list gen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0 proceeds to step S18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lay list order.

재생된 음원은 스피커(60)를 통해 송출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나 재생되는 음원의 정보는 디스플레이(70)를 통해 표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produced sound source is sent out through the speaker 6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reproduced sound source. Information about the play list information and the reproduced sound sourc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70.

단계 S19에서 생성된 플레이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음원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재생할 음원이 존재하면 상기 단계 S18로 이동하여 음원 재생을 하며, 모든 음원의 재생이 종료되면 제어부(50)는 다시 오디오 시스템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인식을 대기하거나 오디오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troller 50 checks whether or not the reproduction of all the sound sources existing in the play list generated in the step S19 is completed. If there is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18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It switches to the audio system mode, waits for voice recognition, or performs the basic operation of the audio system.

이로써 운전자가 오디오 시스템 사용 시, 음원을 찾기 위해 다수의 기능 버튼이니 선곡 버튼 등과 같은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음성으로 가수나 노래 제목만을 말하면, 음성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찾아 재생해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해주며, 아울러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운전 부주의에 따른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Thus, when the driver uses the audio system,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a song selection button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for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Simply spea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 lot of convenience and to prevent the driving concentration of the driver from being deteriorated so that an accident caused by carelessne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음성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음원을 재생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of automatically reproducing a sound source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an audio system of a vehicle.

10: 음성인식버튼 20: 마이크
30: 음성인식처리부 3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32: 음성 분석부 33: 음성 검출부
34: 단어 인식부 40: 음원 데이터베이스
50: 제어부 60: 스피커
70: 디스플레이 80: USB 포트
10: voice recognition button 20: microphone
30: speech recognition processor 31: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Voice analysis unit 33: Voice detection unit
34: word recognition unit 40: sound source database
50: control unit 60: speaker
70: Display 80: USB por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원을 선곡 및 재생하기 위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제어부에서 오디오 시스템이 동작하면 음성인식 버튼이 온 상태로 조작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음성인식 버튼이 온 상태로 조작되면, USB 메모리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면,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USB 메모리가 삽입되지 않았거나 상기 (c)단계 후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d)단계의 확인 결과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면, 인식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수 또는 제목이 유사 또는 일치하는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e)단계에서 추출한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음원 데이터로부터 가수, 노래 제목을 포함한 해당 음원을 구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검색 데이터로 음원 정보에 매칭하여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f)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e)단계에서 음원 정보를 검색한 결과, 1곡이 검색되면 해당 검색 곡을 선곡 리스트로 하여 바로 재생을 수행하며, 상기 음원 검색 결과 2곡 이상이 검색되면, 해당 검색 곡을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리스트 순서에 따라 음원 재생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audio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d reproducing a sound source using speech recognition,
(a) confirming whether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is turned on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udio system;
(b) confirming whether the USB memory is inserted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is operated in an ON state;
(c)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when the USB memory is insert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b);
(d) confirming whether the USB memory is not inserted or the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after step (c)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b);
(e)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voic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d), searching the sound source database based on the recognized voice to extract sound source information having similar or identical title or title; And
(f) automatically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extracted in the step (e) by the control unit,
In the step (c), the control unit extracts representative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corresponding sound sources including the singer and the song title from the sound source data, match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ound source database,
In the step (f), when the controller searches for tone source information in the step (e), the control unit plays the selected search tune as a selected tune list, and if the tune is fou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play list by sorting the search tune according to sorting criteria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reproduction of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generated play list order. .
청구항 4에서, 상기 (e)단계는 인식된 음성의 단어와 유사 또는 동일한 음원 정보를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되, 상기 인식된 음성의 단어의 음소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유사도 또는 일치도를 기초로 음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동 음원 선곡이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tep (e)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is similar to or the same as a recognized sound wor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wherein the sound source is based on a degree of similarity or degree of match based on a phoneme of the recognized sound word Wherein the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speech recognition.





KR1020170109110A 2017-08-29 2017-08-29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4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10A KR101944303B1 (en) 2017-08-29 2017-08-29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10A KR101944303B1 (en) 2017-08-29 2017-08-29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303B1 true KR101944303B1 (en) 2019-02-07

Family

ID=6536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110A KR101944303B1 (en) 2017-08-29 2017-08-29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9891A (en) * 2021-04-29 2021-07-16 平顶山聚新网络科技有限公司 Automobile use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20210142446A (en) * 2020-05-18 2021-11-25 니나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servi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song selection using voice recogn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446A (en) * 2020-05-18 2021-11-25 니나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servi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song selection using voice recognition
WO2021235708A1 (en) * 2020-05-18 2021-11-25 니나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voice-recognized music selection service, and voice-recognized music selection device
KR102362815B1 (en) * 2020-05-18 2022-02-14 니나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ong selection servi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song selection using voice recognition
CN113129891A (en) * 2021-04-29 2021-07-16 平顶山聚新网络科技有限公司 Automobile use guidance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980B1 (en) Interactive speech recognition system
EP1818837B1 (en) System for a speech-driven selection of an audio file and method therefor
KR100267663B1 (en) Karaoke apparatus responsive to oral request of entry songs
US7870142B2 (en) Text to grammar enhancements for media files
KR100735820B1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data retrieval in mobile device
JP4116233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16257A1 (en) Sou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keywords of music data
US8112276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JP4155383B2 (en) Voice recognition device operation device
US20030072463A1 (en) Sound-activated song selection broadcasting apparatus
KR101944303B1 (en) Automotive audio system capable of automatic sound source sele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456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80288254A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apparatus
EP2507792B1 (en) Vocabulary dictionary recompile for in-vehicle audio system
WO2016103465A1 (en) Speech recognition system
JP2006227954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ts method
JP2001013984A (en) Speech manipulation apparatus
JP3296783B2 (en) In-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JP2001154691A (en) Voice recognition device
JP2006276560A (en) Music playback device and music playback method
KR101301148B1 (en) Song selection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US20070260590A1 (en) Method to Query Large Compressed Audio Databases
JPH08195070A (en) On-vehicle program selector
JPH11242496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KR101576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file comprising history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