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79B1 -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079B1
KR101944079B1 KR1020170010643A KR20170010643A KR101944079B1 KR 101944079 B1 KR101944079 B1 KR 101944079B1 KR 1020170010643 A KR1020170010643 A KR 1020170010643A KR 20170010643 A KR20170010643 A KR 20170010643A KR 101944079 B1 KR101944079 B1 KR 10194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reference frequency
ultrasonic humidifi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779A (ko
Inventor
함성욱
김창덕
Original Assignee
(주)네오티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티즌 filed Critical (주)네오티즌
Priority to KR102017001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0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소리 및 육성으로 이루어진 음향신호의 고저에 따라 물 입자의 분출양 및 분출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가습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피씨비(PCB)에는 마이크와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원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원입력부의 출력신호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와 엠씨유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운드출력부에 전달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운드출력부(114)는 후단에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가 추가된 스피커(speaker) 또는 내부적으로 음향증폭기능이 포함된 음향처리 칩(chip)을 통해 사운드가 증폭되며, 상기 사운드출력부는 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신호인 연출데이타(direct data)를 생성하여 엠씨유에 전달하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엠씨유에서는 디에스피에서 전달된 연출데이타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송풍팬의 모터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디에스피의 연출데이타는 레퍼런스 주파수값(Fr)를 이상의 유효한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여, 제로(zero) 주파수와 레퍼런스 주파수(Fr)중 각 싸인파(sign wave)가 먼저 완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레퍼런스 주파수(Fr) 위쪽은 '강', 레퍼런스 주파수(Fr)와 제로 주파수 사이는 '중', 제로 주파수 아래쪽은 '약'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획득하는 '강 또는 중 또는 약'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과 연동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의 음악 소리 및 육성을 포함하는 음원(sound source)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초음파발진기의 동작과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수분 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Process of ultrasonic humidifier linked sound source}
본 발명은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악 소리 및 육성을 포함하는 음원(sound source)에 연동하여 송풍팬의 모터 또는 초음파발진소자를 제어하여 수분 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를 인체에 알맞은 습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습수를 수증기로 만들어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이다.
가습기는 크게 나누어 히터를 이용한 방식과 초음파 방식이 있는데, 히터를 이용하는 방식의 가습기는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여 가습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수증기를 송풍수단을 이용해 실내로 토출하여 가습을 행한다.
반면에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가습수를 수증기로 변환함으로써 가습을 행하게 되는데, 히터를 이용하는 방식의 가습기는 수조 내의 가습수를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가열에 따른 전기사용료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의 소형 가습기는 주로 초음파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는 가습수를 저장하는 수조의 하부에 물받이를 만들고, 그 물받이로 유입되는 가습수를 수증기로 변환하기 위한 진동자 유닛을 설치하고, 이를 송풍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 방식 가습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108호에서 제안되어 있는데, 물통 내의 전방 측에 진동자를 형성하고, 물통 내의 후방 측에는 진동자와 마주하면서, 상기 진동자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구를 구성하는 관계로, 수조 내에서 와류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와류 현상으로 인해 분출커버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는 가습수의 분출량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실내공간에 가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 동작을 오래 지속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전력소비량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089호에서는 물통 내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송풍구의 송풍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물통 내에서 와류 현상을 방지하고, 송풍 되는 공기가 물통 내의 벽면을 따라 물통 내의 전방 측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물 입자의 외부 분출량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 동작시의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습량 증대를 위한 초음파 가습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초음파 가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물 입자의 양을 증대시키는 단순한 기능이 추가될 뿐, 분출되는 물 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소비자의 구매욕 및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악 소리 및 육성을 포함하는 음원(sound source)에 연동하여 송풍팬의 모터 또는 초음파발진소자를 제어하여 수분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초음파가습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피씨비(PCB)에는 마이크와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원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원입력부의 출력신호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와 엠씨유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운드출력부에 전달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운드출력부(114)는 후단에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가 추가된 스피커(speaker) 또는 내부적으로 음향증폭기능이 포함된 음향처리 칩(chip)을 통해 사운드가 증폭되며, 상기 사운드출력부는 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신호인 연출데이타(direct data)를 생성하여 엠씨유에 전달하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엠씨유에서는 디에스피에서 전달된 연출데이타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송풍팬의 모터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디에스피의 연출데이타는 레퍼런스 주파수값(Fr)를 이상의 유효한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여, 제로(zero) 주파수와 레퍼런스 주파수(Fr)중 각 싸인파(sign wave)가 먼저 완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레퍼런스 주파수(Fr) 위쪽은 '강', 레퍼런스 주파수(Fr)와 제로 주파수 사이는 '중', 제로 주파수 아래쪽은 '약'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획득하는 '강 또는 중 또는 약'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음악 소리 및 육성을 포함하는 음원(sound source)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초음파발진기의 동작과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수분 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이 구현되는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구현된 사운드출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2의 디에스피에서 진행되는 단계별 진행도,
도 4는 일반적인 싸인파에서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는 파형도,
도 5는 도 2의 디에스피에서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는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초음파 가습기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음원에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가습기는 음원과 수분입자 분출의 싱크(synchronization)를 정확하게 조율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음원에 내재된 음향의 고저장단에 따라 송풍팬 및 초음파발진소자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하였다.
본원출원인은 장치와 방법에 관한 특허를 동일자에 구분하여 출원하며,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자 출원발명(발명의 명칭: 음원에 연동하는 분리식 초음파가습기)과 도면부호를 통일하여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음원에 연동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분리식/일체식을 포함하는 모든 방식의 초음파가습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가습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피씨비(PCB)에는 마이크(113a), 통신모듈(113b), 블루투스모듈(113c)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원입력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음원입력부(113)에서는 입력신호는 사운드출력부(114)를 통해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운드출력부(114)의 출력신호가 미약한 경우에는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므로, 사운드출력부(114)의 후단에 증폭부(115)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출력부(114)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스피커(speak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피커의 출력단에서 전기선을 인출하여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의 (+)(-) 단자에 각각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 사운드출력부(114)는 내부적으로 음향증폭기능이 포함된 음향처리 칩(chip)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보다 세밀한 음원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운드출력부(114)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에스피(114a)와 엠씨유(114b)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마이크(113a), 통신모듈(113b), 블루투스모듈(113c)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원입력부(113)에서는 입력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취득하여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114a)에 전달하며, 상기 디에스피(114a)에서는 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신호인 연출데이타(direct data)를 생성하여 엠씨유(115)에 전달하고, 상기 엠씨유(115)에서는 디에스피(114a)에서 전달된 연출데이타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음원입력부(113)는 3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하다.
첫째, 바로 현장에서 음원을 취득하는 마이크(113a)
둘째, 외부의 원격지에 있는 전자기기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을 취득하는 통신모듈(113b)
셋째, 인접한 전자기기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을 취득하는 블루투스모듈(113c)
이외에 음원을 취득하기 위한 다른 전자소자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에스피(114a)의 연출데이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마다 음원에 내재된 아날로그신호의 피크(peak) 주파수값을 디지털 샘플링하고, 진폭과 주파수를 추출하여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고, 상기 샘플링 데이타를 특정화된 값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싸인파(정현파; sign wave)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진폭과 주기를 가지고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하면 정형화된 디지탈 샘플링 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싸인파가 복합된 비정형적인 신호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점선으로 표시된 아날로그신호는 시간에 따라 주파수와 진폭이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이를 디지털 샘플링하기 위해 일정 시간간격마다 피크 주파수값을 특정하여 샘플링 데이타를 획득한 것이 직사각형 막대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아래의 기준에 따라 신호해석방법을 적용한다.
가. 제로(zero) 주파수와, 레퍼런스 주파수(Fr)중 각 싸인파(sign wave)가 먼저 완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나. 레퍼런스 주파수(Fr) 위쪽은 '강', 레퍼런스 주파수(Fr)와 제로 주파수 사이는 '중', 제로 주파수 아래쪽은 '약'으로 구분한다.
다. 각 샘플링데이타는 't1' 간격으로 획득한다.
라. 1번째 싸인파에서는 ①,②,③ 은 '강"이고, ④는 '중'이다.
마. 2번째 싸인파에서 ⑤,⑥은 '강'이고, ⑦,⑧은 '약'이다.
바. 3번째 싸인파에서 ⑨,⑩은 모두 '중'
사. 4번째 싸인파에서 ⑪,⑫는 모두 '강'
이때, 상기 T1은 임의의 시간으로 프로그램 설정단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악에서 가장 빠른 presto가 4분음표를 분당 200회 정도 표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음에 따라 분무되는 양의 세분화를 위해 샘플링데이타를 40회/초 간격으로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연출데이타는 일정한 간격마다 획득하는 '강 또는 중 또는 약'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며, 위 "가 내지 사"의 해석기준에 따라 도 3의 파형을 정리하면, 샘플링 데이타는 일정시간마다「강 - 강 - 강 - 중 - 강 - 강 - 약 - 약 - 중 - 중 - 강 - 강 」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보다 음악과 세밀하게 연동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레퍼런스 주파수(Fr)을 몇개로 더 구분하여 적용하고, '강' 신호를 세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높은 주파수부터 Fr1, Fr2, Fr3라 설정하면, 「 Fr1 이상은 강++, Fr1 ~ Ff2 사이는 강+, Fr2 ~ Fr3 사이는 강 」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샘플링 데이타는 신호의 고저장단이 심하게 변곡되는 경우에는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 모터(116)의 온오프 전환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동작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샘플링 데이타는 레퍼런스 주파수값(Fr)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화고, 레퍼런스 주파수값(Fr) 이하인 경우에는 무효화하여,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가 너무 빈번하게 온오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샘플링 데이타 중에서 레퍼런스 주파수값(Fr) 이상이 연속되는 경우, 그 연속시간동안 초음파발진소자(220)는 연속적으로 동작하고, 송풍팬의 모터(116)는 샘플링 주기마다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이 구현되는 초음파 가습기의 일 실시예를 도 6의 단면도에 의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가습기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피씨비가 설치된 베이스(100)와, 물이 저장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초음파가습기 본체(200)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게 되며, 상기 물의 상부에는 초음파발진소자(220)에 의해 발생된 수분입자가 분포하게 된다.
이때, 음원의 강약에 따라 초음파발진소자(220)가 발생하는 수분입자의 양이 변경되어 본체(200)의 수분입자의 밀도가 달라지게 되고, 상기 수분입자는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모터(116)에 의해 음원의 강약에 따라 분무홀(320)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는 본 발명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피씨비(PCB)(110)가 설치되며, 상기 피씨비(110)에는 음원입력부(113)를 통해 전달된 외부의 음원을 신호처리하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ing)(114)가 구비된다.
상기 디에스피(114a)는 음원의 진폭 및 고저가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엠씨유(115)에 전달하고, 상기 엠씨유(115)에서는 상기 디지털신호에 따라 송풍팬(F)의 회전속도 및 초음파발진소자(220)의 작동신호를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수분입자의 분출량 및 분출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본체(200)는 커버(300)를 개방하여 소모된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내측에 공간을 갖는 설치관(21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20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초음파발진소자(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진소자(220)는 베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된 피씨비(110)의 접속단자(11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관(210)의 상측에는 송풍팬(F)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송풍팬(F)의 회전축은 설치관(210)을 통해 베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한 모터(116)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상기 커버(300)의 상측 중앙부에는 본체(200)의 내측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310)과 간격을 이룬 커버(300)의 상측에는 분무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와 본체(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관(210)의 내주면이 베이스(100)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안착구(120) 외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상측에는 공기유입구(310)가 구비된 커버(30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버(300)에는 송풍팬(F)에 의해 흡입된 공기압에 의해 본체(200) 내측에서 생성된 수분입자를 외부로 분출하는 분무홀(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310)에는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공기홀(410)이 형성되고, 이물질의 투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420)가 구비된 캡(400)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원입력부(113)에서 취득한 아날로그신호는 디에스피(114a)에서 연출데이타(direct data)로 변환되어 엠씨유(114b)에 전달되고, 상기 엠씨유(114b)에서는 디에스피(114a)에서 전달된 연출데이타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초음파발진소자(220) 또는 송풍팬의 모터(1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작동시켜, 음향의 고저장단에 따라 분무량 및 분무속도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리듬과 멜로디만 있어도 음악은 만들어지만, 음악에 화성을 더하면 훨씬 풍성하고 다채로운 감정을 담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아노 건반 2개를 동시에 누르면 어떤 음들은 듣기 좋은 소리(협화음)가 나고 어떤 음들은 듣기에 불편한 소리(불협화음)가 나는데, 이렇게 서로 잘 어울리는 음들을 동시에 울려 내는 소리를 화음(chord)이라고 한다.
또한, 서양 음악은 12음계로 이루어지며, 피아노의 경우 24개의 기본 화음을 멜로디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한 것이 바로 화성(harmony)이다.
화성은 멜로디의 배경을 이룰 뿐 아니라 악구에서 구두점 역할도 해서 음의 맺고 끊는 느낌을 강조한다. 실제로 사람들은 가사와 멜로디 없이 화성만 듣고도 음악이 어떻게 흐르고 언제 끝을 맺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응용하면, 엠씨유(114b)에서는 음원의 박자 또는 화성과 강약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초음파발진소자(220)에서는 음원의 박자 또는 화성에 따라 동작하고, 모터(116)에서는 음원의 강약 또는 화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현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각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엠씨유(114b)에서 박자, 화성을 구분하는 기술 및 엠씨유에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기술은 종래 신호처리분야에서 구현되고 있는 공지기술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기술설명은 생략한다.
100 : 베이스 110 : 피씨비(PCB)
111 : 전원부 112 : 스위치
113 : 음원입력부 114 : 사운드출력부
114a: 디에스피(DSP) 114b : 엠씨유
115 : 증폭부 116 : 모터
117 : 접속단자 120 : 안착구
140 : 설치공간 141 : 공기흡입홀
142 : 공기배출홀
200 : 본체 210 ; 설치관
220 : 초음파발진소자
300 : 커버 310 : 공기유입구
320 : 분무홀
400 : 캡 410: 공기홀
420 : 필터

Claims (7)

  1. 초음파가습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피씨비(PCB)에는 마이크와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원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원입력부의 출력신호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와 엠씨유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운드출력부에 전달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운드출력부(114)는 후단에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5)가 추가된 스피커(speaker) 또는 내부적으로 음향증폭기능이 포함된 음향처리 칩(chip)을 통해 사운드가 증폭되며, 상기 사운드출력부(114)는 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신호인 연출데이타(direct data)를 생성하여 엠씨유(115)에 전달하는 디에스피(DSP; Digital Signal Processer)(114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엠씨유(115)에서는 디에스피(114a)에서 전달된 연출데이타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송풍팬의 모터(116)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디에스피(114a)의 연출데이타는 레퍼런스 주파수값(Fr) 이상의 유효한 샘플링 데이타를 취득하여, 제로(zero) 주파수와 레퍼런스 주파수(Fr)중 각 싸인파(sign wave)가 먼저 완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레퍼런스 주파수(Fr) 위쪽은 '강', 레퍼런스 주파수(Fr)와 제로 주파수 사이는 '중', 제로 주파수 아래쪽은 '약'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획득하는 '강 또는 중 또는 약'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과 연동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데이타중에서 레퍼런스 주파수값(Fr) 이상이 연속되는 경우, 그 연속시간동안 초음파발진소자(220)는 연속적으로 동작하고, 송풍팬의 모터(116)는 샘플링 주기마다 온·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과 연동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10643A 2017-01-23 2017-01-23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KR10194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43A KR101944079B1 (ko) 2017-01-23 2017-01-23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43A KR101944079B1 (ko) 2017-01-23 2017-01-23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779A KR20180086779A (ko) 2018-08-01
KR101944079B1 true KR101944079B1 (ko) 2019-04-17

Family

ID=6322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643A KR101944079B1 (ko) 2017-01-23 2017-01-23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057A (zh) * 2019-06-14 2019-09-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环境质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环境调节设备
CN113251585A (zh) * 2021-04-27 2021-08-13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噪音控制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203B2 (ja) * 1998-12-14 2005-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流体搬送装置、この流体搬送装置を用いた加湿装置、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564U (ko) * 2010-11-15 2012-05-23 김현동 디스플레이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203B2 (ja) * 1998-12-14 2005-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流体搬送装置、この流体搬送装置を用いた加湿装置、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779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737A (en) Whistle synthesizer
KR101944079B1 (ko)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제어방법
EP3574496B1 (en) Transducer apparatus for an edge-blown aerophone and an edge-blown aerophone having the transducer apparatus
CN101991473B (zh) 指压式基频调节电子人工喉
CN105185366A (zh) 电子乐器、发音控制方法
CN104658529A (zh) 一种电子音乐合成方法和装置
CN101991475B (zh) 气压式基频调节电子人工喉
CN101282590B (zh) 高效率全调制气流扬声器
CN101966106B (zh) 具有个人特征的声门波模拟式电子人工喉
KR20180086787A (ko)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링형 초음파 가습기
CN201060639Y (zh) 一种电子鼓槌
KR102087932B1 (ko)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
CN111613196B (zh) 一种通过体感控制颤音与弯音的电子乐器
CN212967074U (zh) 一种吹弹一体式电子乐器
CN204480657U (zh) 一种电子音乐合成装置
CN108282726A (zh) 一种声波共振发电装置
CN112509592A (zh) 电器设备、噪音处理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207752745U (zh) 一种具有降低声音功能的吉他
CN110584607A (zh) 一种作息调节执行装置及实时作息调节系统
CN111243558A (zh) 一种智能音调响度动态调节的鼓
US11823653B1 (en) Mouth-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7664335A (zh) 景观加湿器
CN207690488U (zh) 一种可拆卸的计算机效果器
CN201057585Y (zh) 一种萨克斯弱音器
CN2321091Y (zh) 电子哨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