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73B1 -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73B1
KR101943973B1 KR1020170058377A KR20170058377A KR101943973B1 KR 101943973 B1 KR101943973 B1 KR 101943973B1 KR 1020170058377 A KR1020170058377 A KR 1020170058377A KR 20170058377 A KR20170058377 A KR 20170058377A KR 101943973 B1 KR101943973 B1 KR 10194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charging
electromagnetic wave
charging devic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4216A (en
Inventor
강덕수
변정건
최철승
Original Assignee
(주)윈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인텍 filed Critical (주)윈인텍
Priority to KR102017005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973B1/en
Publication of KR2018012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에 있어,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의 일 영역을 감싸고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둘레부와; 둘레부를 갖는 다른 영역에 장착되고,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코일과,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갖고, 필터부는, 발생되는 전자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범위 동안 측정되는 전자파의 크기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코일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터의 용량 범위가 조절된 상태로 장착된다.I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s installed is s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inside the automobile A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a radial direction; And a filter portion mounted in another region having a peripheral portion and including a coil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a capacit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wherein the filter portion sets a frequency range of an electromagnetic wave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And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the capacitance range of the capacitor are adjust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measured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becomes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Description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이를 위한 전자파 감쇄장치{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이를 위한 전자파 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이를 위한 전자파 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device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charging ope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 / RTI >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를 장착한 자동차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Recently, automobile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wirelessly are increasing.

이와 같은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 시, 무선 충전을 위하여 기본 동작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 때 기본 동작주파수의 고조파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When a smart phone is charged with a wireless phone in su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 power having a basic operating frequency is transmitted for wireless charging. At this time,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having a fundamental operating frequency are generated.

이러한 고조파 전자파는 예컨대 라디오의 수신 감도를 떨어뜨리거나 자동차 내에서 사용되는 여러 전자기기를 오작동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uch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for example, may deteriorate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adio or may malfunction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automobile.

또한, 고조파 전자파에 의한 간섭 현상으로 인해 자동차의 자체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 또한 보장하지 못하게 된다.Also, interference due to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does not guarantee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vehicle's own computer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충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서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charging ope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n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장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which can be moun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에 있어,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의 일 영역을 감싸고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둘레부와; 둘레부를 갖는 다른 영역에 장착되고,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코일과,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갖고, 필터부는, 발생되는 전자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범위 동안 측정되는 전자파의 크기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코일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터의 용량 범위가 조절된 상태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recharging device, comprising: a motor vehicle having a wireless recharging device installed therein so as to correspond to a radiation direction of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a charging operation of a wireless re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n automobile A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one region of the body and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filter portion mounted in another region having a peripheral portion and including a coil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a capacit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wherein the filter portion sets a frequency range of an electromagnetic wave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And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the capacitance range of the capacitor are adjust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measured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고조파 전자파를 감쇄함에 의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 및 자동차의 자체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enuating the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electronic equipment used in the automobile and the self computer system of the automobile can be guaranteed.

또한,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폐루프 형태로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장착이 가능한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around the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루프 형태로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되는 거치대의 둘레면에 부착하거나 둘레면 안쪽에 장착하여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to be enclosed or embedded in the peripheral por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from being hindered by being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dle o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n a closed loop form or by being mount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평면에 대해 0° 내지 90° 이내의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되는 거치대의 위치 및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mounted at an angle of 0 ° to 90 ° with respect to a plane o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ly, i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tand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코일 위에 덮이는 절연체 케이스의 외곽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의 거치대 또는 자동차 내부 구조물이 아닌 무선충전장치 자체의 절연체 케이스 둘레에 설치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ulator case covered on the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being enclosed or embedded therein. Accordingly, it can be installed around the insulator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self, not the cradl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obile.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절연체 케이스 위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외곽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 자체에 마련되거나, 무선충전장치 상에 별도로 장착되는 고무 성분의 충전 패드 둘레에도 설치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n-slip pad on the insulator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ly, it can be provid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self or on the periphery of the rubber component charging pad separately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코일의 인덕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의 폐루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파를 감쇄하도록 코일의 인덕턴스가 적정 범위에 있는지를 고려하여 코일의 폐루프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losed loop of the coil based on the measured inductance of the coil. Accordingly, the size and shape of the closed loop of the coil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inductance of the coil is in an appropriate range so as to attenuate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의 양 단부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루프 형태의 코일과 캐패시터가 연결되는 기본 구성 외에 PCB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구조로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and the capacitor.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basic structure in which the closed loop type coil and the capacitor are connected,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using the PCB.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와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 구성을 이용하여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necto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when the coil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Lt; / RTI > Accordingly, a closed loop type coil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by using a connector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and a plurality of wires.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와;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제작하는 경우 PCB 상에 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pair of connecto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when the coil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nnectors and the capacitor. Accordingly, when a closed-loop type coil is manufactured using a plurality of wires,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a coil on a PCB can be realized.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연성기판과; 상기 도체 패턴의 양 단부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대신 FPCB 상에 싱글 와이어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Wherein the coil is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and the filter section compris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the conductor pattern;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and the capacitor. Accordingly, instead of fabricating a closed-loop coil using a wire,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a single wire may be formed on the FPCB.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도체 패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연결부를 포함하는 연성기판과; 상기 커넥터연결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커넥터와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FPCB 상에 복수의 와이어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Wherein the coil is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and the filter sec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conductor pattern and a pair of connector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and the capacitor. Accordingly, the closed loop type coil can also be realized by a method of forming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ires on the FPCB.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상기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의 거치대 자체 둘레면의 외부 혹은 내부에 폐루프 형태의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형성하여 동일한 전자파 감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by enclosing or embedding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in the peripheral portion. Accordingly,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a closed-loop type coil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radle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to provide the same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effect.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품의 양산시 자동차 내부에 무선충전장치와 함께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구성이 장착된 형태로 생산할 수 있다.The above object can also be achieved by a vehicle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in a vehicle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when the automobile is mass-produced, the automobile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configuration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are mounted in the automobi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s attenu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장착이 용이한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which can be easily moun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감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와 전자파 감쇄장치 상호간 동작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와이어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FPCB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FPCB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 거치대의 표면에 형성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 의한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 그래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필터부에 의한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 그래프를 도시한 예이다.
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of an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 plurality of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 plurality of wires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n FPCB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n FPCB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formed on a surfac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ultipl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showing impedance graphs of frequency bands of electromagnetic waves by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graph showing impedance graphs of frequency bands of electromagnetic waves by the multipl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감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는 바디(body)(11), 무선충전장치(12) 및 전자파 감쇄장치(10)를 포함한다. 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automobi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 a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바디(11)는 자동차(1)의 내부 구조물로서, 운전석, 보조석 및 뒷자석 주변에 장착된 모든 자동차 부품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바디(11)는 계기판, 경음기, 에어백, A/V장치, 히터 및 에어컨, 글로브 박스, 변속레버, AUTO HOLD, 전자 파킹 브레이크, 컵홀더 및 무선충전장치 거치대 등을 포함한다. The body 11 i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obile 1 and includes all the automobile parts mounted around the driver's seat, the assistant seat and the rear magnet. For example, the body 11 includes a dash panel, a horn, an airbag, an A / V device, a heater and an air conditioner, a glove box, a shift lever, an AUTO HOLD, an electronic parking brake,

무선충전장치(12)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기기(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에 설치된다. 무선충전장치(12)는 예컨대,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변속레버 주변에 마련되는 무선충전장치 거치대(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충전장치(12) 및 무선충전장치 거치대는 자동차의 생산 시 자동차 바디(11)에 장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configured to charg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such as a smart phone, and is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1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cradle (not shown) provided around the shift leve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ssistant's seat.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older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1 when the vehicle is produced.

무선충전장치(12)는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무선충전장치(12)가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무선통신기기가 거치되는 충전 패드만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고, 다른 구성들은 바디(11)의 몰드(mold) 안으로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11, or may be installed in an attachable and detachable form.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fixedly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11, only the charging pad o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mounted is visible to the user, ) So as not to be viewed by the user.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 주변에 설치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configured to attenuat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is installed around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11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 및 무선충전장치 거치대(미도시)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생산 시 자동차의 바디(11)에 장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being mounted on the body 11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vehicle, lik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older (not shown).

다른 예로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 거치대의 둘레면에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거나, 자동차의 튜닝 작업을 통해 무선충전장치 거치대의 둘레면 안쪽에 내장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and, or may be built inside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and through a tuning operation of the vehicle.

또 다른 예로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코일 위에 덮이는 절연 뚜껑 케이스의 외곽 부분에 부착 또는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절연 뚜껑 케이스 위에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용 충전 패드의 외곽 부분에도 부착 또는 내장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attached to or embedded in an outer portion of an insulating lid case that covers the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Further, Anti-slip filler pad attached to the insulating lid case of the base 12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와 전자파 감쇄장치 상호간 동작을 도시한 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장치(12)는 무선통신기기(13)를 충전 패드 위에 올려놓은 방법으로 무선통신기기(13)를 충전한다. 다른 예로서, 무선충전장치(12)는 무선통신기기(13)를 충전 패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켜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charg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by plac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on the charging pad. As anothe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can charg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pad.

무선충전장치(12)는 무선통신기기(13)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충전용 코일(Coil)과, 코일 위를 덮는 절연체 케이스, 절연체 케이스 위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충전 패드(PAD), PWR/GND 및 제어신호 연결용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configured to charg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and includes a charging coil Coil, an insulator case covering the coil, and a charging pad PAD ), PWR / GND, and control signal connection cable.

무선충전장치(12)는 송신(Tx) 코일에 해당하는 충전용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Rx) 코일을 포함한 무선통신기기(13)로 전력 전송을 수행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performs power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including the reception (Rx) coil using the charging coi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x) coil.

구체적으로, 무선충전장치(12)는 송신 회로에서 전력 전송에 필요한 고출력 및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출력 및 고주파 신호가 송신 코일에 입력되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 때 송신 코일에 발생한 자기장이 무선통신기기(13)의 수신 코일을 통과하면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전류는 수신 회로를 통해 정류되어 직류 변환 후 충전 에너지로 공급된다.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generates high-power and high-frequency signals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in the transmission circuit,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en the generated high-power and high-frequency signals are input to the transmission coil. At this time,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whil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coil passes through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and the generated induced current is rectified through the reception circuit and DC-converted and supplied as charge energy.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무선충전장치(12)는 무선통신기기(13)로 충전 에너지를 공급하게 되고, 이 때 생성되는 고출력 및 고주파 신호에 의해 고조파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In this wa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supplies the charging energy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and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by the high-power and high-frequency signals generated at this time.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장치로,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 주변에 설치된다. 예로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가 장착된 무선충전장치 거치대(미도시)의 둘레면에 부착 혹은 내장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a device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is installed around one area of the vehicle body 11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installed on or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holder (not shown) o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일실시예로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 자체의 절연체 케이스 또는 고무 재질의 충전 패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송신 코일 위를 덮고 있는 절연체 케이스의 외곽 부분 둘레에 부착되거나 내장(embedded)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절연체 케이스 위에 부착되는 고무 재질의 충전 패드의 외곽 부분 둘레에 부착되거나 내장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mounted on an insulator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tself, or on a filling pad made of rubber.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attached or embedded around an outer portion of the insulator case covering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also be attached or embedded around an outer portion of a rubber-made filling pad that is attached to the insulator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둘레부(1010) 및 필터부(101)를 포함하고, 필터부(101)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부(104)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04)의 제어 프로세스에 관해서는 도 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further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1010 and a filter portion 101 and further includes a control portion 104 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filter portion 101. [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0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둘레부(10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을 감싸고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된다. 즉, 둘레부(1010)는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중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구조물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무선충전장치(12)가 무선충전장치 거치대(미도시)에 장착되는 경우, 둘레부(1010)는 무선충전장치 거치대의 둘레면에 대응한다. 또한 둘레부(1010)는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구조물 둘레의 형태에 부합하게 무정형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의 외부 또는 내부, 상면 또는 측벽의 각각에, 또는 상면과 측벽에 연속할 수 있다.The peripheral portion 1010 surrounds a region of the vehicle body 11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do. That is, the peripheral portion 10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among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automobile.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cradle (not shown), the periphery 1010 corresponds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radle. The perimeter 1010 may also be amorphous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ay be continuous to the exterior or interior, top, or sidewall, or top and sidewall, of the perimeter.

필터부(101)는 둘레부(1010)를 갖는 자동차 바디(11)의 다른 영역에 장착되고,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는 코일(coil)과,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한다.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둘레부(101)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01 is mounted on another region of the vehicle body 11 having the peripheral portion 1010 and includes a coil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 The filter unit 101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al portion 101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by being enclosed or embedded therein.

일실시예로서,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에 대해 0° 내지 90° 이내의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무선충전장치(12)가 자동차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와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무선충전장치(12)의 주변 구조물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portion 101 may be mounted at an angle within an angle of 0 to 90 with respect to the plan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vehicle, the filter portion 101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n the sam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s shown in FIG.

다른 경우에 있어, 무선충전장치(12)가 자동차 내에서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무선통신기기(13)을 수직으로 꽂는 형태로 충전하는 경우,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와 90° 의 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으로 주변 구조물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가 자동차 내에서 설치된 형태에 따라 무선충전장치(12)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other cases,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to charg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vertically, the filter portion 10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ipheral struc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 In addition, the filter unit 101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ccording to the form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in the vehicle.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크기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 및 캐패시터의 용량 범위가 조절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 때, 감쇄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범위 동안 전자파의 크기를 측정한다. 예로서, 주파수 범위를 530KHz~1,000KHz 또는 80MHz~100MHz 로 설정하고, 설정한 주파수 범위 동안 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범위가 0.05μH~500μH 가 되도록 코일의 면적, 형태 및 권선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01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the capacity range of the capacitor are adjusted so that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becomes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t this time, the frequency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o be attenuated is set, and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easured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For example, you can set the frequency range from 530KHz to 1,000KHz or 80MHz to 100MHz, and determine the area, shape, and winding of the coil so that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oil is 0.05μH to 500μH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또한. 설정된 주파수 범위 및 측정된 인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 값의 범위를 결정하도록 한다. 예로서, 캐패시터 값의 범위는 10pF~100μF 내에서 전자파가 최대로 감쇄되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range of capacitor valu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is determined using the set frequency range and the measured inductance value. As an example, the range of the capacitor value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at which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ttenuated to the maximum within 10 pF to 100 μF.

상기와 같이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둘레부(1010) 및 필터부(101)의 구성을 이용하여,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고조파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 및 자동차의 자체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can effectively attenuate the harmonic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by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1010 and the filter portion 101. [ This can ensure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electronic equipment used in a car and its own computer system of an automobil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는, 무선충전장치(12)가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중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변속 레버 주변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이다. 이 경우 무선통신기기(13)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패드 상에 올려놓는 방법으로 충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충전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해,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주변 구조물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전자파 감쇄장치(10)를 설치한다.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of an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horizontally around the shift leve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ssistant seat among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is charged by placing it on the charging pa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At this time, in order to attenuate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at the time of char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structure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전자파 감쇄장치(10)는 주변 구조물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둘레부(1010)와, 둘레부(1010)를 갖는 주변 구조물의 일 영역에 장착되는 필터부(101)를 포함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101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structure and a filter portion 101 mounted on one area of the peripheral structure having the peripheral portion 1010. [

둘레부(10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된다. The peripheral portion 1010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

필터부(101)는 폐루프 형상의 코일과,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코일의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터의 용량 범위를 조절하여 전자파에 대한 역방향 전류를 제어함에 의해 전자파를 감쇄시킨다. The filter unit 101 includes a closed loop coil and a capacit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The filter unit 101 attenuates the electromagnetic wave by controlling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oil and the capacitance range of the capacitor to control the reverse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wave .

이에 따라,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주변 구조물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unit 101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surrounding struc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thereby effectively attenu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는, 무선충전장치(12)가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변속 레버 주변에 커버(1210)가 마련된 구조물 내부에 경사진 형태로 장착된 경우이다. 이 경우, 무선통신기기(13)는 무선충전장치(12)가 위치한 구조물 내부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인입하여 충전을 하게 된다.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in an inclined manner inside a structure provided with a cover 1210 around the shift leve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ssistant's seat.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enters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locat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to charg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이 때, 충전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해,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경사진 평면과 예컨대 45°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커버(12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전자파 감쇄장치(10)를 설치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ttenuate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at the time of char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fo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woun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ver 1210 at a position, ).

전자파 감쇄장치(10)의 설치시, 커버(1210)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둘레부(1010)를 형성하고, 둘레부(1010)가 포함된 주변 구조물의 일 영역에 폐루프 형상의 코일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장착한다. A circumferential portion 10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210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and a closed loop coil 1010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peripheral structure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010, And a filter unit 101 composed of a capacitor.

이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커버(1210)와 같은 주변 구조물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Thu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unit 101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al structure such as the cover 1210 at a position that i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thereby effectively attenu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는, 무선충전장치(12)가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변속 레버 주변의 커버(1210)가 있는 경사진 구조물 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이다. 이 경우, 무선통신기기(13)는 구조물 내에서 무선충전장치(12) 위에 올려놓는 방법으로 충전을 하게 된다. 5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example is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horizontally in a tilted structure with a cover 1210 around the shift leve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ssistant's seat.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is charged by placing it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n the structure.

이 때, 충전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해,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예컨대 45°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커버(12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전자파 감쇄장치(10)를 설치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ttenuat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upon char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wound around the cover 1210 at a position at an angle of, for example,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Install it.

전자파 감쇄장치(10)의 설치시, 커버(1210)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둘레부(1010)를 형성하고, 둘레부(1010)가 포함된 주변 구조물의 일 영역에 폐루프 형상의 코일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장착한다. A circumferential portion 10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210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and a closed loop coil 1010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peripheral structure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010, And a filter unit 101 composed of a capacitor.

이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주변 구조물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unit 10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urrounding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can be effectively attenu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예는, 무선충전장치(12)가 뒷자석의 중간에 위치한 커버(1210)가 있는 수납 구조물 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이다. 이 경우, 무선통신기기(13)는 수납 구조물 내부로 무선충전장치(12)가 장착된 수직방향을 따라 인입하여 충전하게 된다.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example is the cas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vertically in a housing structure with a cover 1210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ar magnet.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is draw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into the housing structure and charged.

이 때, 충전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해,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수직방향의 평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수납 구조물의 둘레면을 따라 전자파 감쇄장치(10)를 설치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ttenuat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char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structure at positions at various angles to the vertical plan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도시된 예에서,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평행한 제1방향과, 설치된 평면과 예컨대 45°를 이루는 제2방향, 및 설치된 평면에 수직인 제3방향을 따라 꺾어지는 형태로 수납 구조물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has a first direction that is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a second direction that is 45 degrees with the installed plane, and a third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installed plane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structure.

전자파 감쇄장치(10)의 설치시,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을 따라 꺾어지도록 수납 구조물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둘레부(1010)를 형성하고, 둘레부(1010)가 포함된 주변 구조물의 일 영역에 폐루프 형상의 코일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장착한다.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0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structure so as to be b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A filter portion 101 composed of a coil and a capacitor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is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이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주변 구조물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unit 101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surrounding structure at various angles with the plan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thereby effectively attenu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감쇄장치(10)는 자동차 내부 구조물 또는 무선충전장치 거치대가 아닌 무선충전장치(12) 자체에 장착될 수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a vehicle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mount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tself, not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o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older.

도시된 예에서, 무선충전장치(12)는 장치 내부에 포함된 송신 코일 위에 뚜껑 기능의 절연체 케이스(128)가 덮여 있는 형태이다. 이 때, 절연체 케이스(128)의 외곽 둘레부를 따라 부착되거나 내장되는 형태로 전자파 감쇄장치(10)가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 the form of an insulating case 128 of a lid function being covered on a transmission coil included in the device. 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attached or embed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ulator case 128.

전자파 감쇄장치(10)의 설치시, 절연체 케이스(128)의 외곽 둘레부에 폐루프 형상의 코일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장착한다. A filter portion 101 composed of a coil and a capacitor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ulator case 128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이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 자체의 절연체 케이스(128)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portion 101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or case 128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tself, thereby effectively attenu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장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 자체에 마련되거나 무선충전장치(12) 상에 별도로 장착되는 충전 패드(129)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tself or around the charging pad 129, which is separately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도시된 예에서, 무선충전장치(12)는 절연체 케이스(128) 위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충전 패드(129)가 장착된 상태이다. 충전 패드(129)는 무선충전장치(12)에 놓이는 무선통신기기(13)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고무 재질 등으로 마련된다. 이 때, 충전 패드(129)의 외곽 둘레부를 따라 부착되거나 내장되는 형태로 전자파 감쇄장치(10)가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mounted on the insulator case 128 with a charging pad 129 to prevent slippage. The charging pad 129 is made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plac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from slipping. 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attached or embed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arging pad 129.

전자파 감쇄장치(10)의 설치시, 충전 패드(129)의 외곽 둘레부에 폐루프 형상의 코일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장착한다. A filter portion 101 composed of a coil and a capacitor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ling pad 129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installed.

이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 자체에 마련되거나 무선충전장치(12) 상에 별도로 장착되는 충전 패드(129)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Thu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lter unit 101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harging pad 129, which is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2 itself or separately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2, Can be attenu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의 설계를 위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감쇄장치(10)로 자동차용 무선충전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구성을 설계할 때에, 필터부(101) 및 제어부(104)를 마련한다.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전자파를 감쇄시킨다.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designing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filter unit 101 and the control unit 104 are provided when designing a configuration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automobile by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to attenuate the electromagnetic wave.

전자파 감쇄장치(10)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의 일 영역을 감싸고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둘레부(1010)를 더 포함한다. 둘레부(1010)의 구성은 앞서 도 2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서술하였으며, 도시된 제어블럭도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surrounds one area of the vehicl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Not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101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the control block diagram shown.

필터부(101)는 폐루프 형상의 코일(102)과,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103)를 포함한다. 필터부(101)는 둘레부(1010)를 갖는 자동차 바디(11)의 다른 영역에 장착된다.The filter unit 101 includes a closed loop type coil 102 and a capacitor 10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The filter portion 101 is mounted in another region of the vehicle body 11 having the peripheral portion 1010. [

필터부(101)는 발생되는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범위 동안 측정되는 전자파의 크기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코일(102)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터(103)의 용량 범위가 조절된 상태로 장착된다. The filter unit 101 sets the frequency range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s and adjusts the inductance of the coil 102 and the capacity range of the capacitor 103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measured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becomes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Respectively.

제어부(104)는 필터부(101)를 구성함에 있어, 코일(102)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터(103)의 용량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04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inductance of the coil 102 and the capacitance range of the capacitor 103 in configuring the filter unit 101. [

제어부(104)는 발생되는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한 주파수 범위 동안 코일(102)의 인덕턴스를 측정한다. 예로서, 감쇄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530KHz~1,000KHz 또는 80MHz~100MHz 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4 sets the frequency range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and measures the inductance of the coil 102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For example, the frequency rang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o be attenuated can be set to 530 KHz to 1,000 KHz or 80 MHz to 100 MHz.

이 때, 제어부(104)는 측정된 코일(102)의 인덕턴스에 기초하여 코일(102)의 폐루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로서, 코일(102)의 인덕턴스 값의 범위가 예컨대 0.05μH~500μH 가 되도록 코일(102)의 면적, 형태 및 권선수 등을 결정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4 provid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losed loop of the coil 102 based on the measured inductance of the coil 102. [ For example, the area, shape, and winding angle of the coil 102 are determined so that the range of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oil 102 is, for example, 0.05 μH to 500 μH.

또한, 제어부(104)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 및 측정된 인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코일(10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103)의 값을 결정하도록 한다. 예로서, 캐패시터 값의 범위는 10pF~100μF 내에서 전자파가 최대로 감쇄되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the value of the capacitor 10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102 using the set frequency range and the measured inductance value. As an example, the range of the capacitor value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at which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ttenuated to the maximum within 10 pF to 100 μF.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04)는 필터부(101)에서 캐패시터(103)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4 may perform the following two methods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capacitor 103 in the filter unit 101. For example,

첫번째 방법으로서, 코일(102)에 소정 캐패시터 값의 범위를 가지고 있는 가변 캐패시터(Variable Capacitor)가 직렬로 연결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장착한다. 이 때, 가변 캐패시터의 용량 조절 위치를 조정해 가면서 전자파가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상태에서 가변 캐패시터의 용량 조절 위치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된 가변 캐패시터의 용량 값을 측정하여 이를 필터부(101)에 적용할 최종 캐패시터의 용량 값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As a first method, a filter unit 101 in which a variable capacitor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or value range is connected in series to a coil 102 is mounted around the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capacity adjustment position of the variable capacitor is fixed while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ost effectively reduced while adjusting the capacity adjustment position of the variable capacitor. Accordingly,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fixed variable capacitor is measured and determined as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final capacitor to be applied to the filter unit 101.

두번째 방법으로서, 코일(102)에 캐패시터 값의 범위 중 최소값(혹은 최대값)을 가지는 캐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필터부(101)를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장착한다. 이 때,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의 크기를 먼저 측정하고, 최소값보다 좀더 큰 용량 값으로 증가시킨 캐패시터를 교체하여 적용하거나 최대값보다 좀더 작은 용량 값으로 감소시킨 캐패시터를 교체하여 적용한 후 전자파의 크기를 다시 측정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캐패시터의 값을 증가 혹은 감소시켜 전자파의 크기를 거듭 측정하고, 전자파의 크기가 가장 많이 감소되는 캐패시터 값을 선택하여 이를 필터부(101)에 적용할 최종 캐패시터의 용량 값으로 결정하도록 한다.As a second method, a filter unit 101 in which a capacitor having a minimum value (or a maximum value) of a capacitor value range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coil 102 is mounted arou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obil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firstly measured in a desired frequency band, and a capacitor whose capacity is increased to a value larger than the minimum value is replaced or a capacitor whose capacity is reduced to a value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is replaced. Measure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epeatedly measur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alue of the capacitor, and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final capacitor to be applied to the filter unit 101 is determined .

상기와 같은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 캐패시터의 용량 값이 결정되면, 코일(102)에 최종 결정된 캐패시터(103)가 연결된 필터부(101)를 장착하고, 최종적으로 전자파의 감쇄 효과를 검사하도록 한다. When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final capacitor is determined by using any one of the above two methods, the filter unit 101 connected to the capacitor 103 finally determined in the coil 102 is mounted, and finally the attenuation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하기 위해,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주변에 폐루프 형태로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장착이 가능한 전자파 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ttenuate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Can be provid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폐루프 형상의 코일(102) 및 코일(10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103)로 구성된다. 이 때, 코일(102)은 도체 및 절연체로 이루어진 와이어(wire)를 폐루프 형태로 권선하여 제작한다. 예로서, 와이어는 내부에 직경이 약 3mm 이하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도성 심선을 포함하고, 외부에 약 2mm 이하 두께의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he filter unit 101 is constituted by a closed-loop-shaped coil 102 and a capacitor 10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102. [ At this time, the coil 102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wire made of a conductor and an insulator in a closed loop form. By way of example, the wire may include one or more conductive cores so as to have a diameter of about 3 mm or less in the inside, and may include an insulator of about 2 mm or less in thickness on the outside.

또한, 코일(102)는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11)의 일 영역 주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꺾어진 형태, 이들을 조합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coil 10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square shape, a bent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so as to be mounted around one area of the automobile body 11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

캐패시터(103)는 코일(102)의 양 단부를 연결하고,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한 조절 회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capacitor 103 connects both ends of the coil 102 and functions as an adjusting circuit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캐패시터(103)는 전자파 감쇄를 위해 설정된 주파수 범위 및 코일(102)의 인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전자파를 최대로 감쇄할 수 있는 용량 값이 결정된다. 즉, 이와 같이 결정된 캐패시터(103)의 용량 값을 적용한 필터부(101)를 장착함에 의해,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The capacitor 103 determines a capacitance value capable of attenu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the maximum by using the frequency range set for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on and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oil 102. That is, by installing the filter unit 101 to which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103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can be effectively attenuated.

일실시예로서, 코일(102)의 양 단부 및 캐패시터(103)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캐패시터(103)가 코일(102)의 양 단부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the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102 and the capacitor 103. In this case, the capacitor 103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102, but is connected using a substrate.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장치(12)는 송신 코일인 충전용 코일(122)을 이용하여 무선통신기기(13)로 충전 에너지를 공급한다(도 10에서 무선통신기기(13) 및 수신 코일은 미도시). 이 때, 고출력 신호의 전송에 의해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고, 전자파는 Z방향을 따라 방사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supplies charging energy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using the charging coil 122, which is a transmission coil (in Fig.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and the receiving coil Not shown). At this time, an electromagnetic wave is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of the high output signal,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adiated along the Z direction.

이 때, 필터부(101)는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하기 위해 전자파 방사방향(80)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전자파 방사방향(80)은 Z방향에 해당하고, 전자파 방사방향(80)의 가로방향은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된 평면에 대응하는 X-Y방향에 해당한다.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101 is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80 in order to attenuate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80 corresponds to the Z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80 corresponds to the X-Y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lane o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루프 형태의 코일(102) 및 캐패시터(103)의 구성을 포함한 필터부(101)를 전자파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함에 의해, 무선충전장치(12)의 충전 동작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lter portion 101 including the constitution of the closed loop type coil 102 and the capacitor 103 is dispos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12 can be effectively attenuat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코일(102)과, 코일(102)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 및 캐패시터(103)로 구성된다. 이 때, 코일(102)은 복수의 와이어, 즉, 제1와이어(1021), 제2와이어(1022), 제3와이어(1023), 제4와이어(1024) 및 그 이상이나 이하의 와이어들을 묶은 다발 형태(harness)로 제작된다.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 plurality of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e filter unit 101 is composed of a coil 102, a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102, and a capacitor 103. At this time, the coil 102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wires, that is, a first wire 1021, a second wire 1022, a third wire 1023, a fourth wire 1024, It is made in harness.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되고, 커넥터(1061, 1062) 상호간은 직접 연결된다. 이 때,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복수의 와이어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도록 커넥터(1061, 1062)의 각 단자와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한다. 예로서, 제1와이어(1021)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1061)의 1번 단자에 연결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1062)의 2번 단자에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제2와이어(1022)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1061)의 2번 단자에 연결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1062)의 3번 단자에 연결하도록 한다. A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the connectors 1061 and 1062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connect each terminal of the connectors 1061 and 1062 to a plurality of wires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in a closed loop form. As an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wire 102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2. One end of the second wire 10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1022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2.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와이어 각각의 양 단부를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의 각 단자와 연결함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By connecting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s with each terminal of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wires can be connected in a closed loop form.

도시된 예에서,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상호간 직접 연결되도록 각각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방식으로 제공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are provided in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respectively,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캐패시터(103)는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 중 제4와이어(1024)에 연결되도록 한다. The capacitor 103 is connected to the fourth wire 1024 of the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와이어(1021, 1022, 1023, 1024)와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1061, 1062)의 구성을 이용하여 폐루프 형태의 코일(102)을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osed loop type coil 102 is formed by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s 1061 and 106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ires 1021, 1022, 1023, and 1024 and the plurality of wires. It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와이어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코일(102)과, 코일(102)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 PCB(20) 및 캐패시터(103)로 구성된다. 이 때, 코일(102)은 복수의 와이어, 즉, 제1와이어(1021), 제2와이어(1022), 제3와이어(1023), 제4와이어(1024) 및 그 이상이나 이하의 와이어들을 묶은 다발 형태(harness)로 제작된다.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 plurality of wires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filter unit 101 includes a coil 102, a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102, a PCB 20 and a capacitor 103 . At this time, the coil 102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wires, that is, a first wire 1021, a second wire 1022, a third wire 1023, a fourth wire 1024, It is made in harness.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된다. 이 때,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복수의 와이어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도록 커넥터(1061, 1062)의 각 단자와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한다. 예로서, 제1와이어(1021)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1061)의 1번 단자에 연결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1062)의 2번 단자에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제2와이어(1022)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1061)의 2번 단자에 연결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1062)의 3번 단자에 연결하도록 한다. A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At this time,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connect each terminal of the connectors 1061 and 1062 to a plurality of wires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in a closed loop form. As an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wire 102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2. One end of the second wire 10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1022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of the connector 1062.

도시된 예에서, 한 쌍의 커넥터(1061, 1062)는 상호간 직접 연결되지 않고. PCB(20)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이 때, PCB(20) 상에 커넥터(1061, 1062) 상호간 각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패턴(201)을 형성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air of connectors 1061 and 1062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using the PCB 20. At this time, a connection pattern 201 for connecting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s 1061 and 1062 to each other is formed on the PCB 20.

캐패시터(103)는 PCB(20) 상에 형성된 연결패턴(20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한다.The capacitor 103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atterns 201 formed on the PCB 20.

일실시예로서, 폐루프 형태의 코일(102)을 제작하기 위해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함에 있어, 복수의 와이어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커넥터와, PCB(20)에 제1 커넥터와 연결용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제2커넥터를 각각 암/수 커넥터 방식으로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in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to form a closed-loop coil 102, a pair of first connecto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provided separately for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may be separately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와이어(1021, 1022, 1023, 1024)를 이용하여 폐루프 형태의 코일(102)을 제작하는 경우 PCB(20) 상에 복수의 와이어(1021, 1022, 1023, 1024)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osed loop type coil 102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plurality of wires 1021, 1022, 1023, and 1024, the plurality of wires 1021, 1022, 1023, and 1024 may be implemen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FPCB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폐루프 형상의 도체 패턴(1025)과, 도체 패턴(1025)이 형성된 FPCB(연성기판, Flexible PCB)(22), 도체 패턴(1025)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PCB(20), 및 캐패시터(103)로 구성된다. 이 때, 도체 패턴(1025)는 도 10의 구성 중 싱글 와이어로 이루어진 폐루프 형태의 코일(102)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FPCB(22) 상에 코일(102)에 대응하는 폐루프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 패턴(1025)의 형성면은 전자파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된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n FPCB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he filter portion 101 includes a closed loop-shaped conductor pattern 1025, an FPCB (Flexible PCB) 22 on which a conductor pattern 1025 is formed, and a conductor pattern 1025 A PCB 20 connecting both ends, and a capacitor 103. At this time, the conductor pattern 1025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op type coil 102 made up of a single wir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and has a closed loop typ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102 on the FPCB 22 . In this embodiment, the formation surface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is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PCB(20)는 도체 패턴(1025)의 양 단부 및 캐패시터(103)를 연결한다. 이 경우 캐패시터(103)가 도체 패턴(1025)의 양 단부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PCB(20) 상의 패턴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The PCB 20 connects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and the capacitor 103. In this case, the capacitor 103 is not connected directly to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but is connected using a pattern on the PCB 2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대신 FPCB(22) 상에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102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osed loop type coil may be formed by using a wire instead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corresponding to the coil on the FPCB 22.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FPCB 및 PCB를 이용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복수의 도체 패턴(1025)과, 복수의 도체 패턴(1025)이 형성된 FPCB(22), FPCB(22)와 연결되는 PCB(20), 및 캐패시터(103)로 구성된다. 또한, FPCB(22)와 PCB(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FPCB(22)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커넥터연결부(221)와, PCB(2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커넥터(203)를 더 포함한다.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using an FPCB and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he filter portion 101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or patterns 1025, an FPCB 22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ductor patterns 1025, a PCB 20 connected to the FPCB 22, And a capacitor 103. The FPCB 22 includes a pair of connector connection portions 22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PCB 22 and a pair of connectors 2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CB 20, The connector 203 of FIG.

도시된 예에서, 복수의 도체 패턴(1025)는 도 12의 구성 중 복수의 와이어(1021, 1022, 1023, 1024)로 이루어진 코일(102)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FPCB(22) 상에 복수의 와이어(1021, 1022, 1023, 1024)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 패턴(1025)의 형성면은 전자파 방사방향을 따라 배치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lurality of conductor patterns 1025 correspond to the coils 102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wires 1021, 1022, 1023, and 1024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2, And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wires 1021, 1022, 1023, and 1024 ar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formation surface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is arranged along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한 쌍의 커넥터연결부(221)는 복수의 도체 패턴(1025)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FPCB(22)를 PCB(20)과 연결하기 위해 PCB(20)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커넥터(203)와 연결된다. The pair of connector connecting portions 22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 patterns 1025 and are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ors 203 provided on the PCB 20 for connecting the FPCB 22 to the PCB 20. [ Lt; / RTI >

PCB(20)는 한 쌍의 커넥터(203)의 각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패턴(202)를 형성한다. The PCB 20 forms a connection pattern 202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pair of connectors 203.

캐패시터(103)는 PCB(20) 상에 형성된 연결패턴(20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한다. The capacitor 103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atterns 202 formed on the PCB 20.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루프 형태의 코일을 FPCB(22) 상에 복수의 와이어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1025)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losed loop type coil by forming a conductor pattern 1025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ires on the FPCB 22.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 거치대의 표면에 형성한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12)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예컨대 무선충전장치 거치대(130)의 둘레부(1010)에 형성된다. 즉, 필터부(101)는 무선충전장치 거치대(130)의 둘레부(1010)에 장착되는 방식이 아닌, 둘레부(1010)의 표면 또는 안쪽에 직접 도체 패턴(102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 패턴(1025)의 형성면은 전자파 방사방향을 따라 배치된다.Fig. 15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formed on a surfac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he filter unit 101 is formed in the inner structure of the automobil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2 is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peripheral portion 10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older 130. That is, the filter unit 101 is implemented by a method of directly forming the conductor pattern 1025 on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1010, instead of being mounted on the peripheral portion 10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and 130 do. In this embodiment, the formation surface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is arranged along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이 때, 필터부(101)는 폐루프 형태의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1025)과 도체 패턴(1025)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103)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101 includes a capacitor 103 connecting the conductor pattern 1025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op type coil and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 자체의 둘레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폐루프 형태의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직접 형성하여 동일한 전자파 감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a closed-loop coil can be directly form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cture itself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to provide the same electromagnetic wave damping effect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감쇄장치(10)는 다중 필터부(14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중 필터부(140)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다중 코일(142)과,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다중 캐패시터(1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 패턴(1025)의 형성면은 전자파 방사방향을 따라 또는 전자파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다중 필터부(140)의 다중 코일(142) 및 다중 캐패시터(143)를 형성하는 각 코일 및 캐패시터는 도 10 내지 도 15의 각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및 캐패시터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16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ultipl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0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multiple filter unit 140. The multiple filter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coils 142 including a plurality of coils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143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In this embodiment, the formation surface of the conductor pattern 1025 is arranged along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o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direction. Each of the coils and capacitors forming the multiple coils 142 and the multiple capacitors 143 of the multiple filter unit 140 may adopt coils and capacito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10 to 15 or a combination thereof.

이 경우, 다중 필터부(140)의 구성을 이용하여 보다 넓고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를 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ttenuate electromagnetic waves having a wider and diverse frequency band by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le filter unit 140. [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 의한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 그래프(150)를 도시한 예이다. 도시된 그래프는 필터부(101)가 하나의 코일 및 하나의 캐패시터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impedance)를 측정한 것이다. 이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제1주파수 대역(151)에 있어 임피던스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하나의 코일 및 하나의 캐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부(101)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의 감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7 is an example of an impedance graph 150 for each frequency band of electromagnetic waves by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shown in FIG. 1, the impedance of each frequency ban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easured when the filter unit 101 is composed of one coil and one capacitor. In this case, it is shown that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151 of the entire frequency band is decreasing. That is, when the filter unit 101 composed of one coil and one capacitor is used, the attenuation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expected.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필터부에 의한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 그래프(160)를 도시한 예이다. 도시된 그래프는 다중 코일(142)과 다중 캐패시터(143)을 포함하는 다중 필터부(140)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 전자파의 주파수 대역별 임피던스를 측정한 것이다. 이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제1주파수 대역(161), 제2주파수 대역(162), 제3주파수 대역(163), 제4주파수 대역(164)에 있어 임피던스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다중 코일(142)과 다중 캐패시터(143)로 구성된 다중 필터부(140)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코일 및 하나의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넓고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의 감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 18 is a graph showing an impedance graph 160 for each frequency band of an electromagnetic wave by the multipl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graph is a measurement of the impedance of each frequency ban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case of a multi-filter unit 140 including multiple coils 142 and multiple capacitors 143. In this case, the magnitudes of the impedance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161, the second frequency band 162, the third frequency band 163, and the fourth frequency band 164 of the entire frequency band decrease.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multiple filter unit 140 composed of the multiple coils 142 and the multiple capacitors 143,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 wider and diverse frequency band is expected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one coil and one capacitor .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 자동차
10: 전자파 감쇄장치
11: 바디
12: 무선충전장치
13: 무선통신기기
1010: 둘레부
101: 필터부
102: 코일
103: 캐패시터
104: 제어부
128: 절연체 케이스
129: 충전 패드
140: 다중 필터부
142: 다중 코일
143: 다중 캐패시터
20: PCB
22: FPCB
1: Automotive
10: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11: Body
12: Wireless charging device
1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10:
101:
102: Coil
103: Capacitor
104:
128: Insulator case
129: Charging Pad
140:
142: multiple coils
143: Multi-
20: PCB
22: FPCB

Claims (13)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에 있어,
상기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사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바디의 일 영역을 감싸고 상기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를 갖는 다른 영역에 장착되고,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생되는 전자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파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 동안 측정되는 상기 전자파의 크기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 및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 범위가 조절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다중코일과 상기 다중코일과 각각 연결되는 다중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다중필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In a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a radial direction to cover one area of an automobile body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a radiation dir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charg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automobile;
And a filter portion mounted in another region having the peripheral portion and including a coil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a capacit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Wherein the filter unit sets a frequency range of an electromagnetic wave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and sets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the capacity range of the capacitor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measured during the set frequency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Mounted in a regulated state,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multiple filter unit including multiple coils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multiple capacitors connected to the multiple coil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by being enclosed or embedded in the peripheral por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된 평면에 대해 0° 내지 90° 이내의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mounted at a position which forms an angle of 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plane o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코일 위에 덮이는 절연체 케이스의 외곽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by being enclosed or embedd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n insulator case covered on a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절연체 케이스 위의 미끄럼 방지용 패드의 외곽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by being enclosed or embedded in an outer periphery of a non-slip pad on an insulator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코일의 인덕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의 폐루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inductance of the coil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losed loop of the coil based on the measured inductance of the coil.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의 양 단부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section further comprises a substrate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il and the capacitor.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necto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when the coil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Wherein the capacitor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pair of connectors.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와;
상기 한 쌍의 커넥터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pair of connecto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when the coil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nnectors and the capacitor.
제1항에 있어,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연성기판과;
상기 도체 패턴의 양 단부 및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is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the conductor pattern;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ductor pattern and the capacitor.
제1항에 있어,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도체 패턴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연결부를 포함하는 연성기판과;
상기 커넥터연결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커넥터와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is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conductive pattern and a pair of connector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ductive pattern;
And a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capacitor.
제1항에 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을 상기 둘레부에 외장 또는 내장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by enclosing or embedding a conducto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il in the peripheral portion.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용 전자파 감쇄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 automobi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170058377A 2017-05-11 2017-05-11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43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77A KR101943973B1 (en) 2017-05-11 2017-05-11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77A KR101943973B1 (en) 2017-05-11 2017-05-11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16A KR20180124216A (en) 2018-11-21
KR101943973B1 true KR101943973B1 (en) 2019-01-31

Family

ID=6460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377A KR101943973B1 (en) 2017-05-11 2017-05-11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9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8964A (en) * 2011-02-01 2012-09-13 Honda Motor Co Ltd Contact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5023631A (en)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Electromagnetic field suppressor an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226B1 (en) * 2011-01-14 2013-05-30 한국과학기술원 Loop type EMF shielding apparatus comprising automatic controller, power supply and pick-up including the loop type EMF shielding apparatus, and EMF shielding method by using the loop type EMF shielding apparatus
JP6437182B2 (en) * 2013-05-17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KR101921700B1 (en) * 2016-04-08 2018-11-26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canceling leaked magnetic fie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8964A (en) * 2011-02-01 2012-09-13 Honda Motor Co Ltd Contact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5023631A (en)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Electromagnetic field suppressor an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16A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8904B2 (en)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mounted in a vehicle designed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8238984B2 (en) Device for coupling and housing a mobile telephone in a motor vehicle
US9620282B2 (en) Noncontact connector apparatus and system using inductive coupling between coils
JP5264974B2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6550073B (en) Equipment component appli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3730919B (en) For reduc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during wireless charging
KR102048427B1 (en) Detection and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JP7109983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970464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using inductive coupling between coils
US9209520B2 (en) Hybrid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12534730B (en)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s
WO2018186954A1 (en) Field shaper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171686B2 (en)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CN113809840A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60174407A1 (en)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KR101943973B1 (en) Car having wireless charger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same
CN110034379B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80120048A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EMI Filter
EP3588980B1 (en) Ite hearing device
JP5692903B2 (en) High frequency noise filter for vehicle equipment and filter connection method
EP3157101B1 (en) Electromagnetic device
CN105593066B (en) Vehicle-mounted terminal setting structure
CN210838113U (en) Antenna device
CN109273825B (en) Electronic device
EP3333973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