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869B1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869B1
KR101943869B1 KR1020180077348A KR20180077348A KR101943869B1 KR 101943869 B1 KR101943869 B1 KR 101943869B1 KR 1020180077348 A KR1020180077348 A KR 1020180077348A KR 20180077348 A KR20180077348 A KR 20180077348A KR 101943869 B1 KR101943869 B1 KR 10194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ath
collecting
syrin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배
Original Assignee
유공유체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공유체산업(주) filed Critical 유공유체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7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A FILTER ASSEMBLY FOR SYRINGE AND AN INTEGRATED FILTER SYRIN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약액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실린더에 대하여 약액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의 네크 부위에는 주사 바늘을 고정하는 니들 홀더의 착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약액은 액상과 분말의 혼합액 또는 액상의 것으로, 주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앰플에 담겨져 보관이 이루어지고, 사용시 앰플의 네크 부위를 절단하여 개방한 후 주사바늘을 위치시켜 실린더 내에 약액을 흡입토록 하거나 앰플의 개구를 합성고무로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주사바늘로 합성고무를 뚫고 앰플 내에 위치시킨 후 실린더 내로 약액을 흡입하게 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때,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에는 앰플의 개방 과정에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파편, 합성고무 조각 등의 이물질들이 함께 혼입될 수 있고, 주사기 내에 혼입된 이물질들은 인체 내에 약액과 함께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내부로 주입되는 이물질들은 인체의 혈관을 따라 이동하며 혈관 내벽뿐 아니라 인체의 장기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대한 많은 연구와 많은 제품 출시가 되었다. 다만, 기존의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지 못하여, 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의 필터 주사기는 약액 흡입 시 배압이 크게 걸려, 약액의 흡입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의 필터 주사기는 약액 흡입과정에서 이물질 등을 포집한 뒤에, 새로운 주사 바늘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약액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포집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고,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도록, 상기 포진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는 상기 개폐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와 이격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포집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보다 상기 제2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이 더 많도록, 상기 제1 필터부보다 더 큰 이물질이 유동될 수 있는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바늘부; 및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양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바늘본체부 및 상기 바늘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포집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2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바늘본체부 및 상기 바늘 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포집본체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판 형상이며,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약액이 유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약액이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약액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바늘부 및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양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에 따르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구비하는 주사바늘부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로 약액이 유입되는 경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서 약액이 배출되는 경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S10)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100) 및 상기 수용 공간(S10)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S40)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20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S10)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S10)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S40)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200)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200)는 상기 연통 공간(S40)을 제공하는 주사바늘부(210) 및 상기 연통 공간(S40)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주사기본체부(100)는 상기 수용 공간(S10)을 제공하는 실린더(110), 상기 수용 공간(S10) 상에서 상기 실린더(110)의 내면을 따라 왕복 운동될 수 있는 피스톤(120) 및 상기 실린더(110)에 연결되어 상기 연통 공간(S40)과 상기 수용 공간(S10)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 공간(S20)을 제공하는 연결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0)에 상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주사바늘부(210) 및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구비하는 주사바늘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부(210)는 상기 연통 공간(S40)을 제공하는 바늘본체부(211),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221, 도 3 참조)가 안착되는 안착부(212) 및 상기 바늘본체부(211)에 연결되며 약액이 유동되며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바늘(21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부(210)는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늘본체부(211)는 상기 바늘(213)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삽입 공간(S50) 및 상기 삽입 공간(S50)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 공간(S4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늘본체부(211)는 상기 연결부(130)에 외삽되어 상기 실린더(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통 공간(S40)에는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 도 1 참조)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늘본체부(211)는 상기 바늘(213)이 삽입되도록 삽입 공간(S50)을 제공하는 제1 내면(A10), 상기 제1 내면(A10)과 이웃되는 제2 내면(A20), 상기 제2 내면(A20)과 이웃되며 상기 안착부(212)가 돌출되는 제3 내면(A30) 및 상기 제3 내면(A30)과 이웃되는 제4 내면(A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내면을 상기 제1 내면(A10), 상기 제2 내면(A20), 상기 제3 내면(A30) 및 상기 제4 내면(A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내면(A1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의 직경은 상기 제2 내면(A2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안착부(212)는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상기 제3 내면(A3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안착부(212)는 상기 제3 내면(A30)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2)에는 후술하는 상기 포집부(22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2)는 상기 제3 내면(A3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안착부(212b) 및 상부안착부(21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안착부(212b)는 상기 제2 내면(A20)과 이웃될 수 잇다.
상기 상부안착부(212a)는 상기 제4 내면(A40)과 이웃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안착부(212b)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2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안착부(212a)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2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안착부(212b)는 상기 상부안착부(212a)보다 상기 제3 내면(A30)으로부터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중심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하부안착부(212b)가 형성하는 공간의 직경인 제1 직경(D10)은 상기 상부안착부(212a)가 형성하는 공간의 직경인 제2 직경(D20)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하부안착부(212b)는 상기 제3 내면(A30)으로부터 복 수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안착부(212b)는 제1 하부안착부(212b-1) 및 제2 하부안착부(212b-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안착부(212b-1)와 상기 제2 하부안착부(212b-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하부안착부(212b-1)와 상기 제2 하부안착부(212b-2) 사이에는 상기 제3 내면(A30)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안착부(212b)가 4 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안착부(212b)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212)는 제1 안착부(212) 및 제2 안착부(212)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221)가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포집부(221)가 포위되게 상기 제2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착부(212) 및 상기 제2 안착부(21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부(212)는 후술하는 제1 상부안착부(212a-1) 및 제1 하부안착부(212b-1)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212)는 후술하는 제2 상부안착부(212a-2) 및 제2 하부안착부(212b-2)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부안착부(212a)는 상기 제3 내면(A30)으로부터 복 수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안착부(212a)는 제1 상부안착부(212a-1) 및 제2 상부안착부(212a-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부안착부(212a-1)와 상기 제2 상부안착부(212a-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상부안착부(212a-1)와 상기 제2 상부안착부(212a-2) 사이에는 상기 제3 내면(A30)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안착부(212b)가 4 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안착부(212b)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하부안착부(212b-1)와 상기 제2 하부안착부(212b-2) 사이에서 약액에 노출되는 제3 내면(A30) 및 상기 제1 상부안착부(212a-1)와 상기 제2 상부안착부(212a-2) 사이에서 약액에 노출되는 제3 내면(A30)은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안착부(212b-1)와 상기 제2 하부안착부(212b-2) 사이에서 약액에 노출되는 제3 내면(A30) 및 상기 제1 상부안착부(212a-1)와 상기 제2 상부안착부(212a-2) 사이에서 약액에 노출되는 제3 내면(A30)은 일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복 수의 하부안착부(212b)들 사이의 공간 및 복 수의 상부안착부(212a)들 사이의 공간으로 약액이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약액은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될 수 있다.
고정부(214)는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상기 제4 내면(A4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4)는 상기 상부안착부(212a)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4 내면(A4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14)는 상기 제4 내면(A40)에 복 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4)와 상기 상부안착부(212a) 사이에 후술하는 유로조절부(22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 부분은 상기 고정부(214)와 상기 상부안착부(212a)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상기 고정부(214)와 상기 상부안착부(212a) 사이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S10, 도 1 참조)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100,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210) - 상기 주사바늘부(210)는 상기 수용 공간(S10)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S40, 도 2 참조)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S4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S30)을 제공하는 포집부(221)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S30)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221)는 상기 포집 공간(S30)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221a) 및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상기 연통 공간(S40) 방향으로 상기 포집본체부(221a)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22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221)는 상기 포집본체부(221a)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221a)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부(22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포집본체부(221a)는 내부에 상기 포집 공간(S3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집본체부(221a)는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포집본체부(221a)는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제1 포집본체부(221a-1) 및 상기 제1 필터부(221b)가 연결되는 제2 포집본체부(221a-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는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와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 간에 형성되는 단차로 인해 상기 포집본체부(221a)는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외형은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는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외면에는 상기 제1 필터부(221b)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초음파 열 융착 방식으로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필터부(221b)가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에 고정되는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외형은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필터부(221b)는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상기 포집 공간(S30)에서 상기 삽입 공간(S50)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 상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후술하는 외력전달부보다 더 작은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이 더욱 미세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221c)는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위치고정부(221c)는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외주면을 따라서 링 형상으로서,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222a) 및 상기 개폐부(222a)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222a)에 연결되는 상기 개폐부(222a)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222b)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222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약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타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2a)는 상기 수용 공간(S10) 내의 기압 변화에 따라서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2a)는 후술하는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례로, 상기 개폐부(222a)는 얇은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개폐부(222a)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외력전달부(222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원형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전달부(222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상기 수용 공간(S10) 내의 압력에 따라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상기 약액의 흐름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2a)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위치 이동이 되면서 상기 개폐부(222a)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2b)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들을 통해 상기 약액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약액이 상기 외력전달부(222b)를 통해 유동되면서 상기 외력전달부(222b)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전달부(222b)에 형성되어 있는 단일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 필터에 형성되어 있는 단일 구멍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필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2b)의 하면은 상기 개폐부(222a)의 상면에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의 형태가 꼬깔 모양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여과 면적이 증가되어, 약액 흡입 시 배압이 적게 걸려, 약액 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의 형태가 꼬깔 모양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기존 주사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가 상기 주사바늘부(210)에 배치된 상태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바늘본체부(211)에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배치된 경우를 가정할 경우, 도 2의 X-X'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4(b)는 바늘본체부에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가 배치된 경우를 가정할 경우 도 2의 Y-Y'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집부(221)는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상기 연통 공간(S40) 내의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는 상기 하부안착부(212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둘레면은 상기 상부안착부(212a)의 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는 상기 제2 내면(A20) 및 상기 제3 내면(A30)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는 상기 바늘본체부(211)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가 상기 제2 내면(A20) 및 사익 제3 내면(A30)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221c)는 상기 상부안착부(212a)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221c)에 의해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는 상기 제3 내면(A30)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221c)에 의해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는 상기 제3 내면(A30)과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약액은 균일하게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포집부(221)의 일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221)의 일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개폐부(222a)가 상기 외력전달부(222b)보다 상기 포집부(221)에 더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상기 포집 공간(S3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222a)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포집부(221)와 상기 고정부(2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2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면은 상기 포집부(221)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상기 연통 공간(S40)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면은 상기 포집부(221)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상기 연통 공간(S4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면은 상기 고정부(214)에 의해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면은 상기 고정부(214)에 의해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이하,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220)가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로 약액이 유입되는 경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서 약액이 배출되는 경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제1 위치일 경우 제2 경로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S10, 도 1 참조)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1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S10)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2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포집부(221)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포집부(221)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2a)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개폐부(222a)는 상기 제1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221a)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2a)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개폐부(222a)는 상기 제1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221a)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이 저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상기 포집본체부(22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이 고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상기 연통 공간(S40)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도록, 통과되도록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상기 포집본체부(221a)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S10) 내에 약액을 수용시키기 위해, 상기 바늘(213)을 용기(미도시)이 내의 약액에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120, 도 1 참조)이 상기 실린더(110, 도 1 참조)를 기준으로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S10)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이 확장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S10)은 저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약액은 상기 바늘(213)이 제공하는 공간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연통 공간(S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S10)이 저압으로 형성되는 것에 따라,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상기 포집부(221)로부터 이격되어 제2 경로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222a)의 하면은 상기 제1 포집폰체부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제1 형상은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중심이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상면(일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바늘(213)을 통해 상기 연통 공간(S40)으로 유입된 상기 약액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는 상기 제1 필터부(221b)와 상기 바늘(213) 사이의 연통 공간(S40), 제1 필터부(221b), 상기 포집 공간(S30) 및 유로조절부(222)를 통과하는 약액의 유동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되지 않고, 상기 포집부(221)를 관통하여 유동되는 약액의 유동 경로일 수 있다.
또한, 제2 경로는 상기 제1 필터부(221b)와 상기 바늘(213) 사이의 연통 공간(S40), 상기 포집부(221)와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이격 공간, 상기 포집부(221)와 상기 유로조절부(22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유로조절부(222)를 통과하는 약액의 유동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에 저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약액은 상기 연통 공간(S40)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상에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바늘(213)을 통해 상기 연통 공간(S40)으로 유입된 상기 약액은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의 구멍은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경로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은 상기 제2 경로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하는 상기 약액은 상기 포집 공간(S30)을 통과하여 유동된 후에 상기 유로조절부(222)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바늘(213)을 통해 상기 연통 공간(S40)으로 유입된 상기 약액은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액은 상기 포집부(221)의 외둘레면과 상기 바늘본체부(211)의 내면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은 상기 제1 하부안착부(212b-1)와 상기 제2 하부안착부(212b-2) 사이의 상기 제3 내면(A30) 및 상기 제1 상부안착부(212a-1)와 상기 제2 상부안착부(212a-2) 사이의 상기 제3 내면(A30)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은 상기 제2 포집본체부(221a-2)의 상면과 상기 개폐부(222a)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에, 개폐부(222a)의 관통홀 및 외력전달부(222b)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상기 수용 공간(S10)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보다 상기 제2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이 더 많도록 상기 제1 필터부(221b)보다 더 큰 이물질이 유동될 수 있는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액 으로부터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상기 연통 방향에서 상기 수용 공간(S10)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받게 될 수 있고, 상기 외력전달부(222b)는 이러한 외력을 상기 개폐부(222a)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로전달부는 상기 포집부(221)와 더욱 더 크게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경로 상에 유동되는 유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에 유입된 상기 약액에는 상기 외력전달부(222b)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전달부(222b)가 필터링할 수 있는 이물질의 크기가 10μm라면, 상기 수용 공간(S10)에는 10μm미만의 크기의 이물질(D)이 부유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포집부(221)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로서, 상기 제1 경로(직선 경로)보다 더 빠른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S10)에 상기 약액을 수용시키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부터 약액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피스톤(120)을 상기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 공간(S10)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이 축소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S10)은 고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이 고압으로 형성되는 것에 따라,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로조절부(222)가 상기 포집부(221)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제2 형상은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중심이 상기 수용 공간(S10)에서 상기 연통 공간(S4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로조절부(222)는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222a)의 하면은 상기 제1 포집본체부(221a-1)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약액이 유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약액은 상기 제1 경로로만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약액은 상기 유로조절부(222)를 통과하여, 상기 포집 공간(S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포집 공간(S30)으로 유입된 상기 약액은 상기 제1 필터부(221b)를 통과하여 상기 바늘(213)을 통해 주사기(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부(221b)는 매우 미세한 이물질까지도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필터부(221b)를 통과한 상기 약액에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물질(D)들은 상기 포집 공간(S30) 내에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물질(D)들은 상기 제1 필터부(221b)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형상 변형 과정에서 상기 유로조절부(222)의 둘레 부분은 상기 포집부(221) 및 상기 고정부(214)에 의해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에따르면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약액을 수용시키는 과정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약액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서 제조 단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단순한 필름으로서, 탄성적인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발생되는 불량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필터 주사기는 앰플에서 주사 바늘로 양액에 함유되어 있는 흡입된 유리 가루, 고무 가루 또는 이물질 등을 필터로 포집한 뒤에, 인체 내에 주입 시 주사 바늘을 빼내어 새로운 바늘로 교체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에 따르면,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유로를 서로 다르게 하여, 주사 바늘을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바늘로 약액을 흡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주사기 100 : 주사기 본체부
110 : 실린더 120 : 피스톤
130 : 연결부 200 :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
210 : 주사바늘부 211 : 바늘본체부
212 : 안착부 213 : 바늘
214 : 고정부 220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221 : 포집부 222 : 유로조절부

Claims (11)

  1.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접촉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포집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고,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이 통과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함 - 의 상기 연통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접촉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 및 상기 포집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보다 상기 제2 경로 상으로 유동되는 상기 약액의 양이 더 많도록,
    상기 제1 필터부보다 더 큰 이물질이 유동될 수 있는 필터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7.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바늘부; 및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접촉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포집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바늘본체부 및 상기 바늘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포집부가 포위되게 상기 제2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는 서로 이격된,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부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바늘본체부 및 상기 바늘 본체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본체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연통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포집본체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포집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
  10. 삭제
  11.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용 바늘 조립체는,
    상기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바늘부 및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는,
    상기 이물질이 포집되는 공간인 포집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부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 공간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경로인 제1 경로 및 상기 약액이 상기 포집부를 포위하며 유동되는 경로인 제2 경로 중에서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는,
    상기 제2 경로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통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이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경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포집부와 접촉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며,
    상기 수용 공간이 고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포집 공간에서 상기 수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주사기.
KR1020180077348A 2018-07-03 2018-07-03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KR10194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48A KR101943869B1 (ko) 2018-07-03 2018-07-03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48A KR101943869B1 (ko) 2018-07-03 2018-07-03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869B1 true KR101943869B1 (ko) 2019-04-17

Family

ID=6628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348A KR101943869B1 (ko) 2018-07-03 2018-07-03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8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028B1 (ko) *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84487B1 (ko) * 2016-01-07 2016-12-0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1711090B1 (ko) * 2015-08-17 2017-02-2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1795445B1 (ko) * 2016-12-23 2017-11-10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KR20180056821A (ko) * 2016-11-20 2018-05-3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90B1 (ko) * 2015-08-17 2017-02-2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1618028B1 (ko) *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84487B1 (ko) * 2016-01-07 2016-12-0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20180056821A (ko) * 2016-11-20 2018-05-3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KR101795445B1 (ko) * 2016-12-23 2017-11-10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7280B (zh) 带有一体的过滤器的止回阀
EP1093826B1 (en) Pre-filled syringe
US9724474B2 (en) Filter syringe
AU2016320415B2 (en) Filtering Syringe
US20120022449A1 (en) Filter device and liquid in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4516610A (ja) フィルターニードル
US20160144110A1 (en) Connector and transfustion set
MX2007004018A (es) Dispositivos de jeringa y metodos para mezclar y administrar medicacion.
US6773427B2 (en) Infusion container
AU2016346622B2 (en) Filtering Syringe
CN106102914A (zh) 用于液体样品的过滤装置
KR101943869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US20200330698A1 (en) Outer cap of liquid medicine-injecting device
KR20160078299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JP2023514615A (ja) カバー体及びそれを有する薬液注入装置
KR101891223B1 (ko)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JP5947592B2 (ja) 注射器、ピストン及び注射器用シリンジ
KR102219938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19937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1744291B1 (ko) 의료용 약액 필터링장치
KR20190038126A (ko) 3중 여과 필터 주사기
KR102353507B1 (ko) 주사기용 안전필터 조립체
KR101617122B1 (ko) 주사기용 필터 유닛
CN115531963A (zh) 过滤装置以及过滤方法
KR20190054481A (ko) 안전 필터 주사기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