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37B1 - 볼 케이스 - Google Patents

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37B1
KR101943537B1 KR1020180126754A KR20180126754A KR101943537B1 KR 101943537 B1 KR101943537 B1 KR 101943537B1 KR 1020180126754 A KR1020180126754 A KR 1020180126754A KR 20180126754 A KR20180126754 A KR 20180126754A KR 101943537 B1 KR101943537 B1 KR 10194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d
receiving
space
golf bal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오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규 filed Critical 오민규
Priority to KR102018012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37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16 priority patent/WO2020085615A1/ko
Priority to JP2020533066A priority patent/JP699998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1Ball holders attached to the play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Abstract

본 발명은 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수납물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와 같은 구성 없이도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구속시켜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는, 상부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 수납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볼 케이스{BALL CASE}
본 발명은 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공, 야구공, 테니스공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간편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는 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퍼가 홀을 이동하며 게임을 하게 되면 티샷 등이 OB(out of bound)가 나거나 워터 헤저드에 빠져 골프 공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게 된다.
이때, 골퍼는 새로운 공으로 게임을 진행하여야 됨에 따라 골퍼가 골프백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새로운 골프공으로 준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게임 진행을 원만하게 진행하지 못하게 되어 후속 다른 팀이나 동료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다수의 골퍼는 이러한 일을 방지하고자 여분의 골프공과 티를 1~2개씩 바지 주머니에 미리 집어넣고 라운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는 주머니가 돌출되어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걸음을 걷기에도 불편하 고 스윙이나 퍼팅 등의 동작이 불안정한 자세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골프용품을 허리에 차고 휴대할 수 있게 하여 필요할 때마다 인출해서 간단히 끄집어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골프공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었는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2890호에 의한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이하'종래기술'이라 함)와 같은 다수의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은,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일측이 개구된 관상 투명체이며, 이 개구된 일측이 상기 외부케이스의 타측에 내부둘레에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하는 회동 결합부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 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골프공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의 내부에 골프공을 인입하거나 또는 몸체의 외부로 골프공을 인출할 때 마다 내부케이스를 회동시켜 외부케이스의 배출구와 내부케이스의 배출구를 일치시켜야 하고, 골프공을 인출한 후에는 내부케이스를 다시 반대로 회동시켜 외부케이스의 배출구와 내부케이스의 배출구를 어긋나게 하여 골프공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2890호(2005. 06. 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수납물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와 같은 구성 없이도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구속시켜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는, 상부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 수납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수납공간에는 복수개의 수납물이 다단으로 수납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인출구의 상부에 위치되며 최상단에 위치된 수납물과 접촉되는 인출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인출방지부에 의해 고정된 수납물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홀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물의 측면을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의 최하단에 위치된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부재,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출입홀을 통해 수납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하는 이동부재가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덮개부재와 승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수납물의 가압에 의해 하강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꽂이부가 형성된 클립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또는 클립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골프장갑에 구비되는 벨크로드가 부착되는 장갑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는 보조수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부의 내부에 고정되며 볼마커가 부착되는 볼마커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는, 수납된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구속시켜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어, 사용상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가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골프공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가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에서 골프공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수납물을 홀딩시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관된 수납물을 간편한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볼 케이스(1)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1)는 수납부(10), 홀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납물은 골프공, 야구공, 테니스공이나 기타 다양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물이 골프공으로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부(10)는 골프공(9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골프공(90)이 인입되는 인입구(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골프공(9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b)이 형성되며, 측면에 골프공(90)이 인출되는 인출구(10c)가 형성된다.
아울러, 수납부(10)는 인출구(10c)와 반대되는 지점에 후술되는 홀딩부(20)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홀을 갖는다.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의 직경은 골프공(90) 보다는 다소 넓게 형성되며, 그 미세한 간격의 차이는 1mm ~ 2mm 이내일 수 있다.
따라서, 골프공(90)의 인입 및 인출 시 간섭을 방지하고 골프공(9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 시에는 흔들림이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10)에는 골프공(90)이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이 다단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수납부(10)가 길죽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두개의 골프공(90)을 수납한 예를 도시하였다.
나아가, 수납부(10)의 인출구(10a)의 양측면은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C"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수납부(10)가 원통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골프공(9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원통형상 외에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수납부(10)의 상부에는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출방지부(11)가 형성되고, 수납부(10)의 하측 개방된 부분에는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을 지지하면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이 하강 작동을 통해 인출방지부(11) 영역에서 벗어나 인출구(10c)를 통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4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납부(10)의 상부는 소정길이 개방되어 있으며, 인출방지부(11)는 수납부(10)의 상부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구(10c)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수납부(10)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납부(10)와 인출방지부(11)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인출방지부(11)는 수납공간(10b)의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의 일부분과 접촉되어, 골프공(90)이 인출구(10c)를 통해 임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인출방지부(11) 중 골프공(90)과 접촉되는 내측면은 골프공(90)과 이격되지 않고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나아가, 수납부(10)의 상부 측면에는 홀딩부(20)를 은닉시키기 위한 수용부(30)가 형성된다.
즉, 수용부(30)는 홀딩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중에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대략 다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홀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부(30)의 수용공간은 통과홀과 연결된다. 따라서, 홀딩부(20)는 일부분이 통과홀을 통과하여 수납공간(10b)에 위치된다.
특히, 수용부(30)의 바닥면은 홀딩부(2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골프공(90)을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수용공간의 좌측입구에서 우측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는다.
그리고, 수용부(30)의 천장면에는 홀딩부(20)가 수용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면(31)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중앙부분에는 홀딩부(20)를 경사진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경사유지면(32)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탄성지지부(40)는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탄성지지부(40)는 덮개부재(41), 승강부재(42), 복귀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41)는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10)와 동일한 단면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41)는 수납부(10)의 하부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개방부분을 폐쇄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덮개부재(41)와 수납부(10)에 서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석을 각각 매립함으로써, 수납부(10)에 덮개부재(41)를 부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덮개부재(41)와 수납부(10)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홈에 끼움고정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수납부(10)에 덮개부재(41)를 끼움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덮개부재(41)와 수납부(10)에는 서로 체결되는 나선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수납부(10)에 덮개부재(41)를 체결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덮개부재(41)에는 승강부재(42)의 승강을 가능케 하기 위한 출입홀(41a)이 형성된다.
이때, 출입홀(41a)은 다수개로 적용되며, 덮개부재(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후술되는 승강부재(42)가 균형 있는 자세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승강부재(42)는 상기 수납부(10)와 동일한 단면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공간(10b)에 수납된다.
승강부재(42)는 수납공간(10b)에서 덮개부재(41)의 상부에 위치되며, 가장자리에는 출입홀(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부재(421)가 형성된다.
이동부재(421)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승강부재(42)의 아래로 돌출되며, 출입홀(41a)을 따라 승강이동 되면서 수납공간(10b)의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42)의 직경은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며, 그 미세한 간격의 차이는 1mm ~ 2mm 이내일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재(42)가 승강 시 간섭을 방지하면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 시에는 흔들림이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귀부재(43)는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이 하강작동 될 수 있도록 승강부재(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복귀부재(43)는 공지의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복귀부재(43)가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복귀부재(43)는 덮개부재(41)와 승강부재(42)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단이 덮개부재(4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승강부재(42)의 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귀부재(43)는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 인출구(10c)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강시킬 경우 하강되는 승강부재(42)와 덮개부재(41)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을 인출시킴으로 인해 골프공(90)의 가압력이 소멸될 경우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승강부재(42)를 상승시켜 원위치 시킨다.
한편, 홀딩부(20)는 인출방지부(11)에 의해 고정된 골프공(9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구성으로, 탄성부재(21), 가압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는 가압부재(22)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수용부(3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하단이 수용부(3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대략 중앙부분이 경사유지면(31)에 지지되어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한다.
가압부재(22)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압부재(22)의 수용공간에는 탄성부재(21)의 상측 일부분이 수용 및 고정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2)도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한다.
이때, 가압부재(22)는 일부분이 수용부(30)의 지지면(32)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분은 수납부(10)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에 위치된다.
그리고, 가압부재(22)는 탄성부재(21)의 탄성력으로 수납공간(10b)에 위치된 부분이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의 측면을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이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이 홀딩부(20)에 의해 홀딩됨으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9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90)도 함께 홀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골프용품을 수납부(10)에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부(50), 장갑부착부(60), 볼마커부착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클립부(50)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금속 등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수납부(10)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홈(10d)에 장착된다.
그리고, 클립부(50)의 외면에는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는 복수개의 꽂이부(51)가 형성된다.
꽂이부(51)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금속 등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꽂이부(51)에 골프티 또는 이와 유사한 물건을 꽂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골프를 하는 과정에서 골프티가 필요할 경우 꽂이부(51)에 고정된 골프티를 간편하게 꺼내 사용하면 된다.
한편, 장갑부착부(60)는 공지의 벨크로드(111)로 형성될 수 있다.
장갑부착부(60)는 수납부(10) 또는 클립부(50)의 외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수납부(10)와 클립부(5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장갑부착부(60)가 클립부(50)의 외면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골프장갑(100)의 끈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벨크로드(111)를 장갑부착부(60)에 부착하면 볼 케이스(1)에 골프공(90)과 골프장갑(100)을 함께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골프장갑(100)을 주머니에 구겨 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골프장갑(100)의 수명과 품질이 불필요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프장갑(100)을 들고 다니다가 분실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볼 케이스(1)의 외면에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조수납부(70)가 형성되고, 볼마커부착부(80)는 보조수납부(70)의 내부공간에 고정된다.
볼마커부착부(80)는 자석재질로 형성됨으로, 사용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볼마커(110)를 볼마커부착부(80)에 부착하여 보관하며 되고, 골프를 하는 과정에서 볼마커(110)가 필요할 경우, 볼마커부착부(80)에 부착된 볼마커(11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볼 케이스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볼 케이스(10)의 수납공간(10b)에 위치되는 가압부재(22)를 손가락이나 막대 등의 도구로 젖혀 수용부(30)의 수용공간에 위치시킨 다음, 2개의 골프공을 수납부(10)의 인입구(10a)에 차례대로 넣어 수납공간(10b)에 수납한다.
따라서, 먼저 수납되는 골프공은 승강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고, 나중에 수납되는 공은 먼저 수납된 골프공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2)에서 손가락을 떼면, 가압부재(22)가 탄성부재(21)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의 측면을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가압하여 2개의 골프공을 수납공간에 구속시킨다.
따라서,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에 골프공을 보관할 때에 골프공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골프공을 분실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수납부(10)에 수납된 골프공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이 인출방지부의 영역에서 벗어나 인출구(10c) 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손으로 잡고 수평방향으로 당겨 인출하면 된다.
즉,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골프공에 대한 가압부(22)의 구속력이 저하되기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골프공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면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도 하강되어 승강부재(42)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이동부재(421)의 일부분이 출입홀(41a)을 통해 인출되어 덮개부재(41)의 하부로 돌출되며, 탄성부재(43)는 덮개부재(41)와 승강부재(42)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수납공간(10b)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소멸됨으로, 복귀부재(43)가 원래의 형태로 팽창되어 승강부재(42) 및 하단에 위치된 골프공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납부(10)의 수납공간(10b)에 남아 있는 골프공을 마저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볼 케이스 10 : 수납부
10a : 인입구 10b : 수납공간
10c : 인출구 10d : 장착홈
11 : 인출방지부 20 : 홀딩부
21: 탄성부재 22 : 가압부재
30 : 수용부 31 : 지지면
32 : 경사유지면 40 : 탄성지지부
41 : 덮개부재 41a : 출입홀
42 : 승강부재 421 : 이동부재
43 : 복귀부재 50 : 클립부
51 : 꽂이부 60 : 장갑부착부
70 : 보조수납부 80 : 볼마커부착부
90 : 골프공 100 : 골프장갑
101 : 벨크로드

Claims (7)

  1. 상부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수납물이 다단으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 수납물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
    상기 수납공간의 최하단에 위치된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인출구의 상부에 위치되며 최상단에 위치된 수납물과 접촉되는 인출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인출방지부에 의해 고정된 수납물을 가압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부재,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출입홀을 통해 수납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출입하는 이동부재가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덮개부재와 승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수납물의 가압에 의해 하강 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볼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홀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물의 측면을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볼 케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꽂이부가 형성된 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볼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또는 클립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골프장갑에 구비되는 벨크로드가 부착되는 장갑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볼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는 보조수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부의 내부에 고정되며 볼마커가 부착되는 볼마커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볼 케이스.
KR1020180126754A 2018-10-23 2018-10-23 볼 케이스 KR10194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54A KR101943537B1 (ko) 2018-10-23 2018-10-23 볼 케이스
PCT/KR2019/008716 WO2020085615A1 (ko) 2018-10-23 2019-07-15 볼 케이스
JP2020533066A JP6999982B2 (ja) 2018-10-23 2019-07-15 ボール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54A KR101943537B1 (ko) 2018-10-23 2018-10-23 볼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37B1 true KR101943537B1 (ko) 2019-01-29

Family

ID=6532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54A KR101943537B1 (ko) 2018-10-23 2018-10-23 볼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99982B2 (ko)
KR (1) KR101943537B1 (ko)
WO (1) WO20200856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90A (ko) * 2019-03-06 2020-09-16 정금혜 골프공 지지구
WO2024043371A1 (ko) * 2022-08-26 2024-02-29 (주)솔림 휴대용 골프용품 케이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693U (ko) * 1989-10-03 1991-05-29
KR950007425Y1 (ko) * 1992-11-05 1995-09-11 이민식 휴대용 예비 골프공 보관통
US6102263A (en) * 1998-12-07 2000-08-15 Rosato; Daniel P Smart caddy
KR200363895Y1 (ko) * 2004-07-19 2004-10-11 김성자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50062890A (ko) 2003-12-19 2005-06-28 강희동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417042Y1 (ko) * 2006-03-04 2006-05-23 차익지 스포츠용 볼 휴대케이스
KR20110103487A (ko) * 2010-03-15 2011-09-21 김진영 라운드용 골프클립
JP2014054306A (ja) * 2012-09-11 2014-03-27 Kinki Kuresuko:Kk ボール収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162U (ja) * 1983-09-28 1985-04-23 山下 芳男 ゴルフボ−ル携帯容器
US4781307A (en) * 1986-11-17 1988-11-01 Golf Cad-Eze Corporation Combination golf ball and tee dispenser
JP3004232U (ja) * 1994-05-13 1994-11-08 道浩 田中 ゴルフボール等の保持具
US20040004097A1 (en) * 2002-07-08 2004-01-08 Harold Seenauth Ball carrying container and dispenser
US20100187252A1 (en) * 2009-01-26 2010-07-29 New Possibilities, Inc. After-Market Golf Ball Container For Attaching To Golf Cart
US20130020342A1 (en) * 2011-07-19 2013-01-24 Global Marketing Products, Inc. Storing,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693U (ko) * 1989-10-03 1991-05-29
KR950007425Y1 (ko) * 1992-11-05 1995-09-11 이민식 휴대용 예비 골프공 보관통
US6102263A (en) * 1998-12-07 2000-08-15 Rosato; Daniel P Smart caddy
KR20050062890A (ko) 2003-12-19 2005-06-28 강희동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363895Y1 (ko) * 2004-07-19 2004-10-11 김성자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417042Y1 (ko) * 2006-03-04 2006-05-23 차익지 스포츠용 볼 휴대케이스
KR20110103487A (ko) * 2010-03-15 2011-09-21 김진영 라운드용 골프클립
JP2014054306A (ja) * 2012-09-11 2014-03-27 Kinki Kuresuko:Kk ボール収集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55693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90A (ko) * 2019-03-06 2020-09-16 정금혜 골프공 지지구
KR102173120B1 (ko) * 2019-03-06 2020-11-02 정금혜 골프공 지지구
WO2024043371A1 (ko) * 2022-08-26 2024-02-29 (주)솔림 휴대용 골프용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9982B2 (ja) 2022-02-04
JP2021522869A (ja) 2021-09-02
WO2020085615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334A (en) Golf club rack
US4730728A (en) Golf accessory carrying device
US20050252802A1 (en) Golf club saver
KR101943537B1 (ko) 볼 케이스
US5641103A (en) Ball sleeve
US5103974A (en) Adjustable golf club holder insert
US4699303A (en) Golf article retaining device
US5086948A (en) Tennis ball pack dispensing and retrieving apparatus
WO2002014182A1 (en) The smart caddy
US5466027A (en) Ball retrieving and storage device
JP4410420B2 (ja) ゴルフクラブ支持装置
US8739970B2 (en) Golf bag with mechanism to secure clubs
GB2331465A (en) Golf bag club-holding plate and locking mechanism therefor
US20080156753A1 (en) Cue Pod
US20070034641A1 (en) Ball carrier apparatus
US20040182726A1 (en) Golf bag
US20040004097A1 (en) Ball carrying container and dispenser
KR101320547B1 (ko) 회전형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KR20180001161U (ko) 착탈 가능한 골프티꽂이
US7384347B2 (en) Golf ball retrieval device
US20040016787A1 (en) Golfing accessory
US5833091A (en) Portable see-through golf ball dispenser
US9993696B2 (en) Golf ball dispenser
US20050126939A1 (en) Adjustable hanging sports equipment holder and dispenser
US6669065B1 (en) Golf tee holder an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