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00B1 -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 Google Patents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00B1
KR101943500B1 KR1020170123122A KR20170123122A KR101943500B1 KR 101943500 B1 KR101943500 B1 KR 101943500B1 KR 1020170123122 A KR1020170123122 A KR 1020170123122A KR 20170123122 A KR20170123122 A KR 20170123122A KR 101943500 B1 KR101943500 B1 KR 10194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eg member
joint
body portion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to KR102017012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63H11/20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with pairs of legs, e.g.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생물상태의 곤충의 움직임과 유사하며, 일부 관절의 분리가 가능한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주면이 곤충의 머리와 가슴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외주면이 곤충의 몸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몸체부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다리부와, 제2몸체부의 정면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INSECT TOY HAVING JOINT}
본 발명은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생물상태의 곤충의 움직임과 유사하며, 분리가 가능한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곤충에 관한 자연과학 교육에 있어서, 시청각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던 과거와는 달리, 직접 현장에 나가서 곤충을 잡거나 채집하는 등의 체험 학습 위주로 변화되고 있다.
체험 학습의 경우, 아이들에게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촉각 및 창의력 발달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으나, 예측 불가능한 곤충의 움직임에 의해 일부 아이들에게는 공포감을 주어, 곤충에 대한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다.
또한, 생물 상태의 곤충은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체험 학습에 제공되는 곤충의 경우 스트레스에 의해 일반적인 곤충에 비해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생명윤리적인 논란도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동물 및 곤충의 모형을 직접 만들어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자연과학교육 교재가 개발되었으나, 실제 곤충의 움직임과 유사하지 않아 학습용으로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생물 상태의 실제 곤충의 움직임과 유사하며, 학습 효율이 향상된 곤충 모형 완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332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물 상태의 실제 곤충의 움직임과 유사하며, 학습 효율이 향상된 곤충 모형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주면이 곤충의 머리와 가슴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외주면이 곤충의 몸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몸체부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다리부와, 제2몸체부의 정면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에는 한 쌍의 다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자석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리부는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석이 결합되고, 제1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제1자석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가 서로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자석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원뿔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되고, 제1자석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가 상호 번갈아 가면서 지면을 밟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부는 일단이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다리부재와, 일단이 제1다리부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다리부재와, 일단이 제2다래부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제1다리부재는 일단에 제2다리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 형상의 조인트가 형성되고, 제2다리부재는 일단에 조인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제3다리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형상의 조인트가 형성되고, 제3다리부재는 일단에 조인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조인트의 내부공간에는 제3자석이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홈과 인접한 내면에 제4자석이 결합되며, 제3자석과 제4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고, 홈에 삽입된 조인트는 제3자석 및 제4자석에 의해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외력에 의해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제1자석에 회동력을 제공하며, 모터축에 회전체가 결합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제1자석은 회전체의 일면에 편심된 위치에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곤충과 유사한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창의력 및 촉각 발달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 부위가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곤충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의 다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장수 풍뎅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를 실시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1, 이하, 곤충 모형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모형 완구(1)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곤충 모형 완구(1)는 제1몸체부(10), 제2몸체부(20), 다리부(30) 및 날개부(40)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10)는 외주면이 곤충의 머리와 가슴 모양으로 형성된다. 더듬이 또는 뿔이 있는 곤충의 경우, 외주면에 더듬이 또는 뿔이 결합될 수 있다.
제2몸체부(20)는 외주면이 곤충의 배모양으로 형성되며, 일영역에 제1몸체부(10)가 삽입되도록 함몰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10)의 일영역이 함몰부(240)로 삽입되어,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10)는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제1몸체부(10)의 회동 가능한 일정 각도범위는 0도 내지 20도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 범위는 곤충의 몸통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다.
다리부(30)는 외주면이 곤충의 다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의 배면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도면은 제1몸체부(10)에 한 쌍의 다리부(30)가, 제2몸체부(20)에 두 쌍의 다리부(3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리부(30)는 제1다리부재(300), 제2다리부재(310) 및 제3다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30)는 제1다리부재(300) 내지 제3다리부재(320)에 조인트 및 홈을 형성하여, 곤충의 다리 움직임과 유사하게 관절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인트 및 홈에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관절운동이 유지되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다리부재(300)는 일단이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2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다리부재(300)는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의 배면에 형성된 구 형상의 조인트(120, 2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조인트(120, 230)는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에 결합되는 다리부(30)의 개수만큼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몸체부(20)에 결합된 제1다리부재(300)를 예로 설명하나, 제1몸체부(20)에 결합된 제1다리부재(300)도 이와 동일하다.
제1다리부재(300)는 일단에 홈(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에 조인트(3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다리부재의 홈(301)은 제2몸체부(20)의 조인트(23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다리부재의 홈(301)이 제2몸체부의 조인트(23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2몸체부의 조인트(230)의 외주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다리부재의 홈(301)과 제2몸체부의 조인트(230) 내부에는 서로 인력이 발생하는 한 쌍의 자석(미도시)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자력에 의해 제2몸체부의 조인트(230)와 제1다리부재의 홈(301)의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제2다리부재(310)는 일단에 홈(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에 조인트(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다리부재의 홈(311)은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다리부재의 홈(311)이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의 외주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와 제2다리부재의 홈(311)의 내부에는 서로 인력이 발생하는 제3자석(304) 및 제4자석(31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자력에 의해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와 제2다리부재의 홈(311)의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는 내부공간(306)을 가질 수 있으며, 제3자석(304)은 내부공간(306)을 이루는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다리부재(310)의 위치가 변화되어 제4자석(313)의 위치가 변화된다 하더라도, 제3자석(304)이 제4자석(313)의 위치에 따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1다리부재(300)와 제2다리부재(310)의 관절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다리부재의 조인트(302)의 내부공간(306)에는 제3자석(304)이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벽(3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305)은 실제 곤충의 관절이 움직이는 범위 내에서 제3자석(304)이 움직이도록, 제3자석(304)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자석(304)의 회동 범위를 넘어서는 범위에 제2다리부재의 제4자석(313)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 제4자석(313)이 제3자석(304)과의 인력에 의해 이끌리게 되어, 제2다리부재(310)의 위치가 실제 곤충이 움직이는 범위 내로 자동 조정되거나, 제1다리부재(300)와 제2다리부재(310)의 관절운동이 유지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제3다리부재(320)는 일단에 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다리부재의 홈(321)은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다리부재의 홈(321)이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의 외주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와 제3다리부재의 홈(321)의 내부에는 서로 인력이 발생하는 제3자석(315) 및 제4자석(32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자력에 의해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와 제3다리부재의 홈(321)의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는 내부공간(316)을 가질 수 있으며, 제3자석(315)은 내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다리부재(320)의 위치가 변화되어 제4자석(322)의 위치가 변화된다 하더라도, 제3자석(315)이 제4자석(322)의 위치에 따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다리부재(310)와 제3다리부재(320)의 관절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2다리부재의 조인트(312)의 내부공간(316)에는 제3자석(315)이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벽(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314)은 실제 곤충의 관절이 움직이는 범위 내에서 제3자석(315)이 움직이도록, 제3자석(31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20)와 제1다리부재(300), 제1다리부재(300)와 제2다리부재(310), 제2다리부재(310)와 제3다리부재(320)는 서로 자석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자석 간에 발생하는 인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각 다리부재의 분리를 통해 곤충의 관절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날개부(40)는 제2몸체부(20)의 정면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한 쌍이 결합된다. 이때, 날개부(40)의 회동 가능한 일정 각도 범위는 0도 내지 45도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는 곤충의 날개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날개부(40)는 제2몸체부(20)의 정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부(20)는 정면에 한 쌍의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고, 날개부(40)는 돌출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40)의 관통홀이 돌출부(220)에 끼워짐으로써, 날개부(40)가 제2몸체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날개부(40)는 돌출부(220)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한편, 돌출부(220)는 날개부(40)측에 위치한 일단은 외면을 향해 연장되어, 날개부(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0)는 제2몸체부(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돌출부(220)를 분리함으로써, 제2몸체부(20)에 결합된 날개부(40)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40)가 결합되는 제2몸체부(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홈과 치합하는 암나사홈이 형성된 함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보통의 곤충 또는 종래의 곤충 모형 완구의 경우, 일부 몸통이 날개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몸통의 외주면 형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은 제2몸체부(20)의 외주면이 몸통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부(40)의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살아있는 곤충을 해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곤충의 외형을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곤충 모형 완구(1)의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는 각각 내부에 내부공간(100, 200)을 가진다. 내부공간(100, 200)에는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20)의 배면에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바(Bar) 형상의 제1자석(110, 2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30)는 제1자석(110, 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자석(303)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자석(303)은 제1자석(110, 210)과 달리 회동되지 않고, 결합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제2자석(303)은 다리부(3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심미감의 향상을 위해 다리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자석(110, 210)과 제2자석(303)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자석(110, 210)의 회동에 의해 각각 제2자석(303)이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30)가 서로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제1자석(110, 210)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원뿔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할 수 있다. 즉, 제1자석(110, 210)의 회동에 의해 다리부(30)는 노젓기 운동을 하게 된다.
제1자석(110, 210)의 회동 시 다리부(30)의 운동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 궤적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보다 아래 있을 경우, 다리부(30)의 제1다리부재(300)는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20)와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며, 곤충 모형 완구(1)가 전진하는 방향인 제1방향을 향해 지면과 맞닿지 않은 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궤적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보다 위에 있을 경우, 거리에 따른 인력이 감소하며 다리부(30)의 제1다리부재(300)는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20)와 결합된 일단을 제외하고는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20)와 이격 공간을 두고 위치하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향해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자석(110, 210)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30)중 하나의 다리부(30)는 지면을 밟는 상태로, 제2방향을 향해 움직이고, 다른 하나의 다리부(30)는 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로 제1방향을 향해 움직이며, 자석의 회동에 의해 지면을 밟는 상태와 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가 반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곤충 모형 완구(1)는 제1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곤충 모형 완구(1)는 제1자석(110, 210)이 개수만큼 모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터부(50)는 제1자석(110, 21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축에 회전체(5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자석(110, 210)은 회전체(500)의 일면에 편심된 위치에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자석(110, 210)이 회전체(500)의 일면에 편심된 위치에 경사지도록 결합됨으로 인해, 제1자석(110, 210)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원뿔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모터부(50)는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부(50)는 전원부가 작동되는 경우, 젼류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충 모형 완구(1)는 모터부(50)가 형성됨으로써, 모터부(5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이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곤충 모형 완구(1)는 실제 곤충과 유사한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창의력 및 촉각 발달에 도움을 주며, 관절 부위가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곤충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10 : 제1몸체부
20 : 제2몸체부
30 : 다리부
40 : 날개부
50 : 모터부

Claims (6)

  1. 외주면이 곤충의 머리와 가슴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외주면이 곤충의 몸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정면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자석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석이 결합되고,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1자석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서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원뿔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되고,
    상기 제1자석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상호 번갈아 가면서 지면을 밟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다리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다리부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다리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다리부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2다리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 형상의 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다리부재는 일단에 조인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제3다리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형상의 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3다리부재는 일단에 조인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조인트의 내부공간에는 제3자석이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홈과 인접한 내면에 제4자석이 결합되며,
    상기 제3자석과 상기 제4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고,
    상기 홈에 삽입된 조인트는 상기 제3자석 및 상기 제4자석에 의해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외력에 의해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자석에 회동력을 제공하며, 모터축에 회전체가 결합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회전체의 일면에 편심된 위치에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KR1020170123122A 2017-09-25 2017-09-25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KR10194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22A KR101943500B1 (ko) 2017-09-25 2017-09-25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22A KR101943500B1 (ko) 2017-09-25 2017-09-25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00B1 true KR101943500B1 (ko) 2019-01-30

Family

ID=6527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22A KR101943500B1 (ko) 2017-09-25 2017-09-25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440A (en) * 1985-07-08 1986-12-16 Mattel, Inc. Animated toy
JPS63186490U (ko) * 1987-05-22 1988-11-30
JP2003029623A (ja) * 2001-07-13 2003-01-31 Art Clay Kk 生物模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06935A (ko) * 2012-03-21 2013-10-01 이승현 결합위치의 변위가 가능한 자석탈부착 유희용구
KR20140003327U (ko) 2012-11-27 2014-06-05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곤충모형 작동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440A (en) * 1985-07-08 1986-12-16 Mattel, Inc. Animated toy
JPS63186490U (ko) * 1987-05-22 1988-11-30
JP2003029623A (ja) * 2001-07-13 2003-01-31 Art Clay Kk 生物模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06935A (ko) * 2012-03-21 2013-10-01 이승현 결합위치의 변위가 가능한 자석탈부착 유희용구
KR20140003327U (ko) 2012-11-27 2014-06-05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곤충모형 작동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312B1 (ko) 조립식 다관절 공룡모델
US4038775A (en) Doll body with magnet and pole pieces and detachable appendages
EP3505221B1 (en) Prefabricated dinosaur model
CA2436191A1 (en) Manipulative toy having interchangeable appendages
US11161052B2 (en) Modeling device, method, and system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US4643691A (en) Articulated doll arrangement
US9539520B2 (en) Manipulatable construction toy set for toddlers, young children and others
US10695683B2 (en) Action character models and accessories with movable parts
JP2022516017A (ja) 創造的な構築セットの付属品
GB2408219A (en) Foam material modular toy structure
US10232276B2 (en) Action character models and accessories with movable parts
KR101943500B1 (ko) 관절을 갖는 곤충 모형 완구
US7524231B2 (en) Doll and face-licking puppy combination
JP2015033563A (ja) 人形用磁力挟み込み式関節および該関節を備えた人形
US4622020A (en) Glove puppet figure assembly and powered wing drive mechanism
CN215232118U (zh) 能够摆动的积木结构
JP3184404U (ja) 置物
US3531893A (en) Magnetically responsive doll eye assembly
KR200472220Y1 (ko) 완구의 관절구조
JP2003029623A (ja) 生物模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26122A (ko) 척추동물의 포식활동 재현 학습교구
CN207203455U (zh) 一种多动作的手动玩具
KR200391283Y1 (ko) 자석을 이용한 가변 인형
US4608025A (en) Glove puppet figure assembly with articulated head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