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228B1 -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228B1
KR101943228B1 KR1020170181436A KR20170181436A KR101943228B1 KR 101943228 B1 KR101943228 B1 KR 101943228B1 KR 1020170181436 A KR1020170181436 A KR 1020170181436A KR 20170181436 A KR20170181436 A KR 20170181436A KR 101943228 B1 KR101943228 B1 KR 10194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block
security device
nod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김재훈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에이치닥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한국영업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닥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한국영업소 filed Critical 에이치닥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한국영업소
Priority to KR102017018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보안 장치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아울러,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상기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와;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보안 장치 정보와 공개키를 추출하고,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의 아이피 주소와 상기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를 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를 포함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BLOCKCHAIN SYSTEM FOR VIRTUAL CURRENCY}
본 발명은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해킹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안성을 강화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폐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대규모의 노드들 사이에서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된 장부의 데이터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 수렴 알고리즘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능력은 노드가 익명으로 실행되거나, 연결이 좋지 않거나, 심지어 신뢰할 수 없는 운영자가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페이팔과 같은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을 필요를 없게 하는데, 모든 탈중앙 가상화폐(또는 암호화폐)의 노드는 부분 또는 전체의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장부에는 수표나 영수증 또는 약속어음의 교환내역이 기록되는 반면에, 블록체인은 그것 자체가 거래장부인 동시에 거래증서(수표, 영수증, 약속어음)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가상화폐 또는 암호화폐는 화폐를 따로 조폐하는 중앙은행이 존재하지 않고 일정한 주기마다 블록(Block)을 찾아내고 보상을 받아가는 식으로 화폐가 생성된다. 블록은 해당 암호화폐가 사용하는 해시(hash) 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는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이용해 일일이 맞는 함수를 대입하는 식으로 해시(hash)를 찾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채굴(mining)이라 한다.
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거래 내역이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전송되므로 거래 내역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다. 블록은 발견된 날짜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의 집합을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 칭하는 것이다.
즉,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로서 기존의 중앙 서버에 거래기록을 보관하는 것과는 달리,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기록을 보여주며 서로 비교해 위조를 막을 수 있는 등 그 장점이 상당히 많다.
그런데 블록체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드가 서로 연결 및 통신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종래에는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노드의 운영에 제한이 없어 신뢰하지 못하는 노드들이 상당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신뢰하지 못하는 노드들이라 함은 그 운영 주체에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노드 자체의 보안성이 떨어지는 것들을 의미한다.
각 노드들은 다수의 채굴 참여자들과 연계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이익(가상화폐)을 각 채굴 참여자들에게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노드 운영자 스스로의 악의적 행위에 의해 또는 외부로부터의 해킹에 의해 각 채굴 참여자에게 할당되는 가상화폐들이 제3자에게 이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종의 보안사고 가능성으로 인해 블록체인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선뜻 가상화폐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07333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접속하는 각 노드들의 운영 주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해킹 공격에 따른 가상화폐 참여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보안 장치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아울러,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상기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와;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보안 장치 정보와 공개키를 추출하고,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의 아이피 주소와 상기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를 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를 포함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의한 가상화폐 채굴은 상기 블록체인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유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접속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보안 장치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아울러,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상기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블록체인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보안 장치 정보를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와 통신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는, 상기 보안 장치가 물리적으로 탈착되는 보안 장치 연결부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하고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키 생성 등록부와;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상기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요청부와; 상기 블록체인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탈착식 보안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접속하는 각 노드들에 대한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무단으로 노드를 운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운영 주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해킹 공격에 따른 가상화폐 참여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송금 또는 개인키 확인과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별도의 보안 장치에 저장된 송금 보안키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성 강화가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서 생성한 전자지갑이 보안 장치에 동일하게 저장됨으로써, 보안 장치 소유자는 전자지갑을 생성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장치는 물론이고 다른 컴퓨터에 해당 보안 장치를 연결해서도 자신의 전자기갑을 이용-예를 들어 가상화폐 송금 등-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한편 블록체인 노드 장치의 전자지갑으로의 송금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시 자동으로 다른 전자지갑으로 재송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블록체인 노드 장치의 해킹되는 경우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보안성 강화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신뢰를 줌으로써, 가상화폐 이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 노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의 각 실시예별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또는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장치(100),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서, 그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인터페이스는 보안 장치(100) 외부에 구비된 푸시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일 수 있다.
물론 보안 장치(100)에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 역시 사용자가 해당 보안 장치(100)를 구입한 이후 해당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초로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보안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각종 요청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보안 장치(100)는 인증 처리 수행 결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요청에 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장착되는 경우 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전원 공급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장치(100)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분리 제거하는 경우 보안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와 통신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된 노드 장치에 대한 각종 관리를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각 보안 장치 정보와 특정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운영 주소를 매칭시켜 저장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보안 장치(100)의 구매자로부터 입력 또는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보안 장치(100) 구매자는 그 보안 장치(100)를 다른 보안 장치와 구별되도록 하는 보안 장치 정보, 예를 들어 그 보안 장치(100)의 고유 시리얼 번호와 그 보안 장치(100)가 장착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가 설치 및 운영될 주소(일 예로 도, 시, 군 단위 우편 주소)를 입력하여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정보들을 서로 매칭시켜 일종의 '인증 정보'로써 등록하는 것이다.
물론 보안 장치(100) 구매자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자신의 인적사항을 입력하여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보안 장치 정보와 그 인적사항을 매칭시켜 인증정보로써 등록할 수 있다.
이처럼 보안 장치(100) 구매자가 보안 장치 정보, 운영 주소, 인적사항 등을 입력하기 위해 별도의 노트북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서버상에 입력하는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일종의 인증 정보가 기 등록된 상태에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노드 인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그 수신된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보안 장치 정보와 공개키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 인증 요청 신호의 아이피 주소와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를 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운영 주소(즉,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운영 주소)를 확인하고, 그 운영 주소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 대역을 기 저장된 아이피 주소 대역 테이블(미 도시함)을 참조하여 추출한 후, 그 추출한 아이피 주소 대역에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a0101b'라는 보안 장치 정보에 매칭 등록된 블록체인 노드 장치 운영 주소가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인 경우,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보안 장치 정보가 'a0101b' 인 경우에는 그 노드 인증 요청 신호의 아이피 주소가 해당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지리적 주소와 아이피 주소 대역을 매칭시켜 관리하는 것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결과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가 기 등록된 지리적 주소에 대응하여 추출한 아이피 주소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인증 성공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인증에 성공한 경우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를 포함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 인증 성공 메시지에는 앞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노드 인증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공개키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지갑을 이용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개키는 전자지갑에 대한 주소(지리적 주소가 아니라 송금, 이체 등을 위한 계좌 주소)를 의미한다.
한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가상화폐(암호 화폐)의 채굴은 물론이고 가상화폐에 대한 송금, 이체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먼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아울러,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전자지갑용으로 기 생성 및 등록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고, 전자지갑용으로 생성 및 등록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은 물론이고 가상화폐 송금 또는 이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의한 가상화폐 채굴은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유효하게 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 체인 기술 자체는 중앙 집중식이 아니라 분산식으로 운영되므로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가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그 인증 성공 메시지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공개키에 대한 송금, 이체 등에 대해 유효하다고 인정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공개키(즉, 전자지갑 주소)에 대한 송금 요청 등이 있는 경우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는 해당 송금 요청을 처리하지 않고 에러 메시지를 요청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요청을 무시하여 드롭처리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 400)는 반드시 상술한 과정을 통해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 인증이 이루어져야만 가상화폐 채굴에 따른 보상을 받거나 가상화폐에 대해 송금 또는 이체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가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서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 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대응되는 전자 지갑으로의 송금 또는 이체 요청이 블록체인 상에서 발생한다 하여도, 다른 블록체인 노드 장치(400)가 이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결국 블록체인 상에서 해당 이체 처리는 유효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가상화폐에 대해 타 계좌(타 블록체인 노드 장치(400)의 전자 지갑)로의 송금 또는 이체 처리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송금 등을 위한 별도의 패스워드 즉,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설정한 후, 해당 2차 보안용 패스워드 또는 해당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hash)값을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 후, 추후 송금 또는 이체 요청시 해당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개인키 조회 요청이나 가상화폐 채굴에 따라 전자지갑에 저장된 가상화폐에 대한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함과 아울러 보안 장치(100)에 기 저장된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요청하고,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와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요청(개인키 조회 요청 또는 송금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보안 장치(100)에 2차 보안용 패스워드가 저장된 경우의 예를 설명한 것이고, 만일 보안 장치(100)에 2차 보안용 패스워드에 대한 해시값이 저장된 경우에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개인키 조회 요청이나 가상화폐 채굴에 따라 전자지갑에 저장된 가상화폐에 대한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함과 아울러 보안 장치(100)에 기 저장된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값의 전송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값과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값을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를 설정한 후 해당 자동 송금 주소의 해시값과 자동 송금 보안키의 해시값을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후 블록체인으로부터 자체 등록된 공개키에 해당하는 전자지갑 주소로 송금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대한 검증을 보안 장치(100)에 요청하고, 보안 장치(100)로부터 기 등록된 해시값에 기초하여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검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블록체인으로부터 송금된 가상화폐를 자동 송금 주소로 자동 송금 처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전자지갑으로 들어오는 가상화폐를 자동으로 별도의 전자지갑으로 자동 이체시켜 해킹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도 2에는 상술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 연결부(210), 키 생성 등록부(220), 요청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보안 장치 연결부(210)는 앞서 설명한 보안 장치(100)가 물리적으로 탈착되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원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 생성 등록부(220)는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하고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요청부(23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기 생성 및 등록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40)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30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40)는 블록체인에 연결된 경우 무조건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 서버로부터 자신의 전자지갑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야 비로소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것이다.
기타 상술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주요 처리 과정은 모두 제어부(2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제어부(240)의 처리와 관련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1)의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제어 흐름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제2 보안용 패스워드(일명 송금 보안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장착 및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는데(단계 S1), 그 상태에서 기 구비된 물리적 버튼을 이용한 정상적인 패스워드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성화상태라 함은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각종 요청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비활성화 상태라 함은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요청에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가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안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다가(단계 S3), 물리적 버튼을 통한 패스워드 입력이 있는 경우(단계 S5) 그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패스워드를 비교하고(단계 S7), 그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에는(단계 S9)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단계 S11).
한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송금 보안키 입력이 있는 경우(단계 S13)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에 송금 보안키 저장을 요청한다(단계 S15).
보안 장치(100)는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송금 보안키를 저장하고(단계 S17), 그 송금 보안키 저장 완료 메시지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19).
이에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송금 보안키 저장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여(단계 S21)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송금 보안키가 정상적으로 보안 장치(100)에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과정을 거쳐 보안 장치(100)에 송금 보안키가 등록이 완료된 이후, 실제 송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장착 연결되어 있고(단계 S31), 기본으로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33).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사용자 등의 송금 요청을 감지한 경우(단계 S35) 보안 장치(1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37).
이 상태에서 보안 장치(100)는 물리적 버튼을 통한 패스워드 입력을 대기하는데, 만일 물리적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 경우(단계 S39) 보안 장치(10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 후(단계 S41) 연결 확인 응답 신호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43).
이에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송금 관련 정보 입력창을 표시하여(단계 S45) 송금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송금 관련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송금액을 수신할 수신 전자지갑 주소, 송금액은 물론이고, 송금 보안키도 포함된다.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이 중 송금 보안키를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한다(단계 S47).
보안 장치(100)는 도 3을 통해 등록된 송금 보안키와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송금 보안키를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고(단계 S49), 그 검증 결과 메시지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51).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송금 보안키 검증 결과 메시지가 '검증 성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단계 S53) 송금 절차를 수행하고(단계 S55), 만일 송금 보안키 검증 결과 메시지가 '검증 실패'에 해당하는 경우(단계 S53)에는 송금 절차를 중단한다(단계 S57).
여기서 송금 절차의 수행은 자체 등록된 전자지갑에서 소정의 금액을 다른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전자지갑에 대응되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송금과 관련된 정보(송금할 상대 전자지갑의 공개키, 송금 금액 등)를 암호화 기법으로 서명한 후 블록체인망에 올리는 과정(즉, 해당 서명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다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들이 해당 블록을 공유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암호화기법 및 블록체인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송금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때는 보안 장치(100)의 검증을 거친 경우에만 가능하여 무단으로 제3자가 가상화폐를 타인에게 송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전자지갑 소유자에게 유리한 기능, 예를 들어 가상화폐를 채굴하거나 가상화폐를 송금 받는 경우에는 보안 장치(100)의 검증 필요 없이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가상화폐 채굴시 필요한 전자지갑의 개인키는 메모리상에 저장 및 관리하여 외부의 해킹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금 보안키에 검증을 보안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그 검증 과정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에 송금 보안키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송금 보안키와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송금 보안키를 스스로 비교하여 검증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자동 송금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보안 장치(100)에 등록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장착 및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는데(단계 S6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단계 S63).
한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자동 송금 요청을 감지한 경우(단계 S65) 보안 장치(1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한다(단계 S67).
이 상태에서 보안 장치(100)는 물리적 버튼을 통한 패스워드 입력을 대기하는데, 만일 물리적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 경우(단계 S69) 보안 장치(10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 후(단계 S71) 연결 확인 응답 신호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73).
이에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자동 송금 관련 정보 입력창을 표시하여(단계 S75) 자동 송금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자동 송금 관련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자동 송금 금액을 수신할 전자지갑의 주소 즉, 자동 송금 수신 주소는 물론이고, 자동 송금 보안키도 포함된다.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이러한 자동 송금 수신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를 자체 저장함(단계 S77)과 아울러 그들의 각각의 해시값을 산출한 후 보안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79).
즉,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자동 송금 수신 주소의 해시값과 자동 송금 보안키의 해시값을 각각 생성하거나 이들의 해시값을 통합적으로 생성한 후,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면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각의 해시값을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보안 장치(100)는 자동 송금 수신 주소의 해시값과 자동 송금 보안키의 해시값을 서로 매칭 등록한 후(단계 S81), 그 등록 결과 메시지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83).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등록 결과 메시지를 표시하여(단계 S85)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자동 송금과 관련된 정보가 정상적으로 보안 장치(100)에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이후 자동 송금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 송금 절차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송금을 받은 경우(단계 S91)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자체 등록되어 있던 자동 송금 수신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대한 해시값을 생성한 후 보안 장치(100)에 전송하여 그 검증을 요청한다(단계 S93).
보안 장치(100)는 기 등록되어 있던 자동 송금 수신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대한 해시값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해시값을 비교하여 검증을 하고(단계 S95), 그 검증 결과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97).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결과 메시지가 '검증 성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단계 S99) 블록체인 망으로부터 수신된 송금 금액에 대해 자동 송금 수신 주소로의 자동 송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단계 S101), 만일 보안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결과 메시지가 '검증 실패'에 해당하는 경우에는(단계 S99) 자동 송금 절차를 중단한다(단계 S103).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동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주소에 검증을 보안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그 검증 과정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는 보안 장치(100)에 자동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수신 주소에 대한 해시값을 요청하여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자동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수신 주소에 대한 해시값과,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수신 주소에 대한 해시값을 스스로 비교하여 검증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동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수신 주소에 대한 해시값이 보안 장치(100)에 저장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해시값이 아니라 자동 송금 보안키 및 자동 송금 수신 주소 그 자체가 보안 장치(10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보안 장치(100)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은 그 순서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이러한 보안 장치(100)에서의 패스워드 입력 과정은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필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한 번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보안 장치(100)가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분리되기 전까지는 다시 패스워드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보안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 장착되는 경우 그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로부터 전원 공급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장치(100)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200)에서 분리 제거하는 경우 보안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100 : 보안 장치
200 : 블록체인 노드 장치 300 : 블록체인 관리 서버
210 : 보안 장치 연결부 220 : 키 생성 등록부
230 : 요청부 240 : 제어부

Claims (6)

  1.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보안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보안 장치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키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와;
    전자지갑을 위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아울러, 그 생성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안 장치 정보와 상기 생성된 공개키를 포함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블록체인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한 개인키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채굴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 장치와;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보안 장치 정보와 공개키를 추출하고,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의 아이피 주소와 상기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를 기 등록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 블록체인 노드 장치를 포함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는 블록체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에 의한 가상화폐 채굴은 상기 블록체인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에 유효하게 되며,
    상기 블록체인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장치의 구매자로부터 그 보안 장치에 대응되는 보안 장치 정보와 해당 보안 장치와 연결되어 운영될 블록체인 노드 장치의 지리적 운영 주소를 입력받아 인증 정보로써 상호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보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지리적 운영 주소의 아이피 주소 대역을 기 저장된 아이피 주소 대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한 후, 그 추출한 아이피 주소 대역에 상기 노드 인증 요청 신호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가 포함되는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는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를 설정한 후 해당 자동 송금 주소의 해시값과 상기 자동 송금 보안키의 해시값을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블록체인으로부터 자체 등록된 공개키에 해당하는 전자지갑 주소로 송금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대한 검증을 상기 보안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기 등록된 해시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송금 주소와 자동 송금 보안키에 대한 검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송금된 가상화폐를 상기 자동 송금 주소로 자동 송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노드 장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를 설정한 후 해당 2차 보안용 패스워드 또는 해당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값을 상기 보안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개인키 조회 요청이나 가상화폐 채굴에 따라 전자지갑에 저장된 가상화폐에 대한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보안 장치에 기 저장된 2차 보안용 패스워드 또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의 해시값의 전송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 또는 그 해시값과 상기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2차 보안용 패스워드 또는 그 해시값을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81436A 2017-12-27 2017-12-27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KR10194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36A KR101943228B1 (ko) 2017-12-27 2017-12-27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36A KR101943228B1 (ko) 2017-12-27 2017-12-27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228B1 true KR101943228B1 (ko) 2019-01-28

Family

ID=6526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436A KR101943228B1 (ko) 2017-12-27 2017-12-27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2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88A (ko) 2019-03-28 2020-10-07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7473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21103794A1 (zh) * 2019-11-29 2021-06-03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在区块链中实现隐私保护的高效交易方法及装置
KR20210099814A (ko) * 2020-02-05 2021-08-13 논스랩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189972A (zh) * 2022-09-13 2022-10-14 四块科技(深圳)有限公司 保障节点安全挖矿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88A (ko) 2019-03-28 2020-10-07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7473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235566B1 (ko) * 2019-04-04 2021-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21103794A1 (zh) * 2019-11-29 2021-06-03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在区块链中实现隐私保护的高效交易方法及装置
KR20210099814A (ko) * 2020-02-05 2021-08-13 논스랩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59826B1 (ko) 2020-02-05 2022-02-09 논스랩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189972A (zh) * 2022-09-13 2022-10-14 四块科技(深圳)有限公司 保障节点安全挖矿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22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화폐용 블록체인 시스템
CN114600419B (zh) 具有权益证明区块链支持的加密资产托管系统
US10601805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with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of user and access devices
US20220215355A1 (en) Method for directly transmitting electronic coin data records between terminals and payment system
US12014338B2 (en) Device for directly transmitting electronic coin data records to another device, and payment system
EP3509006B1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230103038A1 (en) Method for directly transferr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between terminals, payment system, currency system and monitoring unit
US7362869B2 (en) Method of distributing a public key
KR100336259B1 (ko)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내에 파일의 억세스를 허용하는 당사자 상호작용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및 당사자가 개인정보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US20170352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 distributed ledger
KR102202547B1 (ko) 액세스 요청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19481A1 (en) Cyberspace Trusted Identity (CTI) Module
CN110679113A (zh) 使用区块链进行访问控制的工业网络以及访问控制方法
JP2023535013A (ja) 量子安全支払いシステム
US10402823B1 (en) System for exchanging private keys for mutual settlements between users of a cryptocurrency outside blockchains
CN108629583A (zh) 基于分布式技术实现数字资产在映射链上的映射系统及相应方法
US114051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keys for signing transactions using key of cluster managed i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KR101923943B1 (ko)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JP2022517289A (ja) 仮想ブロックチェーンを有するデュアル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デジタル電子機器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20190132047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90132159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90132054A (ko)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US20230084651A1 (en) Method, terminal, monitoring entity, and payment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coin datasets
KR101941625B1 (ko) 선택적 인증을 통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7324941B2 (ja) 金融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