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652B1 - 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 Google Patents

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652B1
KR101942652B1 KR1020170069453A KR20170069453A KR101942652B1 KR 101942652 B1 KR101942652 B1 KR 101942652B1 KR 1020170069453 A KR1020170069453 A KR 1020170069453A KR 20170069453 A KR20170069453 A KR 20170069453A KR 101942652 B1 KR101942652 B1 KR 10194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ial
item
resident
remode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8247A (en
Inventor
전한종
김민경
이병수
박상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8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몸이 불편한 거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을, 거주자가 생활하기에 적합한 주택으로 개조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이 개시된다.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은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지식 베이스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웹 기반으로 입력받는 웹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규칙 기반 추론 모듈; 및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BIM 모듈을 포함한다.A residential custom-built residential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is provided to support residential residential residential persons, such as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to convert them to a residential type suitable for living. The resident-customized faultless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comprises: a knowledge base module for generating a remodeling candidate item for a house and priority information for the item to be modified based on the reference data; A web module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a residence of the resident to determine a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on a web basis; A rule-based reasoning module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modified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 item to be modified for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nd a BIM modul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Description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몸이 불편한 거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을, 거주자가 생활하기에 적합한 주택으로 개조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dential-custom-built residential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a residential resident who is physically uncomfortable, such as a disabled person or an aged resident, to a residence suitable for living.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증가됨에 따라 전체 인구수 대비 장애인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 주택에서 생애주기 동안 신체적 기능변화에 따른 맞춤형 주택개조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A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has recentl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increased relative to the total population, and accordingly, customized home renovations are required in residential houses due to changes in physical functions during the life cycle. In Korea, municipalities, including Seoul, are implementing housing renovation projects for the disabled.

그러나 장애인주거의 열악한 환경에 비해 공공지원 금액의 미흡, 전문전담인원 부재, 거주자 의견의 미 반영 등이 지적되고 있고, 편의시설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일지역에서의 개조사업 비용에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compared to the poor environment of the disabled residents, it is pointed out that the public assistance amount is insufficient, the lack of specialized personnel and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are notic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is not made, have.

이러한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또한 거동이 불편한 거주자에 적합하도록 주택이 개조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신체적 가동범위, 보조자 필요 유무 및 거주주택에서 수행할 수 있는 주생활행위 등과 같이 거주자의 특성과 기존 주택현황, 한정된 개조비용에 적합한 무장애 주택개조의 해법을 선택할 수 있는 무장애 주택 개조설계지원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for such a project to be efficiently carried out and to be adapted to a resident who is inconveni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 such as the range of physical operation of the resident, the need for an assista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o support the reconstruction of faultless housing, which can select the solution of the faultless house adaptation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us and the limited reconstruction cost.

관련 선행문헌으로 비특허 문헌인 "거주자맞춤형 무장애주택개조 설계지원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개발, 김민경, 이병수, 전한종, 대한건축학회 창립 70주년기념대회 및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5. 10", 특허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831호가있다.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a residential-custom-built residential home improvement design support system for non-patent documents, Minsky Kim, Byoung Soo, Han Jong-chon, The 70th Anniversar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nd Architects, 2015. 10 " Korean Patent No. 10-1641831.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몸이 불편한 거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을, 거주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에 따라 거주자가 생활하기에 적합한 주택으로 개조하는 것을 지원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dential custom-built residential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residential residential residents living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to convert residential and residential housing to a residential type suitable for living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지식 베이스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웹 기반으로 입력받는 웹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규칙 기반 추론 모듈; 및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BIM 모듈을 포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wledge base module for generating a home remodeling candidate item and a priority information item for the item to be modified based on the reference data; A web module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a residence of the resident to determine a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on a web basis; A rule-based reasoning module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modified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 item to be modified for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nd a BIM modul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remodeling decision item.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거주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verting a residential property of a residential home,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based on reference data, Rece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a residence of the resident to determine a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And determin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for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 및 거주 주택에 특성에 적합한 거주 주택의 개조 항목을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거주자 맞춤형 주택의 리모델링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deling of a residence-customized house can be supported by determining and providing remodeling items of a residential house suitable for the resident and the residential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의 특성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거주자의 특성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조 결정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개조 결정 항목에 대한 BIM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sidential-custom-built non-defective housing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istic information table of a res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perty information table of a residential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ce.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ey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BIM model for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residence-customized unfurnished house remodeling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거주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에 기반하여, 거주 주택을 거주자가 생활하기에 적합하도록 개조하는 것을 지원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sidential custom-built residential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residential residential living residence and residential residential living residen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uncomfortable residents and residences.

일반적으로 주택은 정상인이 생활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생활하기에 불편한 측면이 있다. 이에, 장애인 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생활하기 편리하도록 주택을 개조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거주 주택에서 불편함없이 보다 편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개조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거주 주택의 리모델링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Generally, houses a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normal people to live, a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the disabled or the elderly are inconvenient to liv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home for residents with disabilitie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items to be modified so tha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live more comfortably without inconvenience. The proposed system can support the remodeling design.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된 거주자 및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개주 후보 항목 중에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 특성 정보는 개조 항목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매개 변수 값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매개 변수 값에 따라서 거주 주택의 개조 항목이 결정될 수 있다. 개조 항목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매개 변수 값은 개조 사례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e remodeling decision item among preset remembrance candidate it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entered resident and the residence. The property informa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rameter values for determining the remodeling items, and the remodeling items of the residential hous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se parameter values. A plurality of parameter values for determining a modification item can be predetermined, with the modification example as reference data.

그리고 결정된 개조 항목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으로 시각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And the modified items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sidential-custom-built non-defective housing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 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은 지식 베이스 모듈(110, Knowledge Base Module), 웹 모듈(120),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 Rule Base Reasoning Module) 및 BIM 모듈(140)을 포함한다.The system for supporting residential adaptation of a dwelling-free housing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wledge base module 110, a web module 120, a rule base reasoning module 130, and a BIM module 140 do.

지식 베이스 모듈(110)은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한다. 일실시예로서, 레퍼런스 데이터는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주택 개조 사례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는, 개조 후보 항목 중에서 개조 필요의 정도가 얼마나 높은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Based on the reference data,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generates priority information on the item of the home remodeling candidate and the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data may be housing retrofit case data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The priority information for the candidate for modification means information about how high the degree of need for modification is among the candidates for conversion.

즉, 지식 베이스 모듈(110)은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거주하는 주택을 개조한 실제 사례에 기반하여, 개조 후보 항목 및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거주자들이 주로 개조한 항목들은 개조의 필요성이 높은 항목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개조 후보 항목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개조 후보 항목의 개조 건수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may generate the item to be modified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based on the actual case where the elderly person or the disabled person resides in the house. For example, in the reference data, the items mainly reshaped by the residents can be regarded as items requiring a lot of modification, so they can be determined as the items to be converted, and the prioriti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tems to be modified.

개조 후보 항목은 거주자의 주 생활 공간인 출입문, 침실, 휠체어 보관소, 거실 및 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조 후보 항목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 개주 후보 항목에 대핸 생활 공간은 달라질 수 있다. 개조 후보 항목 각각에는,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매개 변수가 할당될 수 있다.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may be a remodeling candidate item for at least one of a door, a bedroom, a wheelchair storage room, a living room, and a toilet, which is a main living space of a resident. Each of the modified candidate items may be assigned a parameter for judg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웹 모듈(120)은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웹 기반으로 입력받는다.The web module 120 receives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ts and residents of the residents to judge the remodeling decision item among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on a web basis.

거주자 특성 정보는 거주자의 신체 치수, 가동범위, 장애 정도, 보조기구 정보 및 보조자의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는 주거 유형 정보 및 생활 공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모듈(120)로 입력되는 특성 정보는 개조 후보 항목에 할당된 매개 변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웹 모듈(120)은 결정된 특성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sident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resident's physical size, the operating range,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auxiliary apparatus information and the assistant's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hous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residential type information and the living space information can d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put to the web module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arameter assigned to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 and the web module 12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determin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개조 후보 항목, 우선순위 정보 및 특성 정보에 따라서,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determines an item of modification to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he item of the candidate for modification,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개조 후보 항목의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 생활 공간/객체의 수치, 생활 공간/객체의 속성을 검토하여,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매개 변수 값와 임계값을 비교하는 공간 판별식을 이용하여, 개조 후보 항목 중에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서, 개조 결정 항목에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examines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the living space / object, and the living space /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of the item to be modified, and determines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 To this end,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an determine a modification decision item among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s by using a space discrimination expression for comparing a parameter valu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priority information, priority can be assigned to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BIM 모듈(140)은 개조 결정 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모델링된 생활 공간의 개조 항목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개조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BIM module 140 visually displays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remodeling design using the modeled living space remodeling item.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 및 거주 주택에 특성에 적합한 거주 주택의 개조 항목을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거주 주택의 리모델링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deling of a residential house can be supported by determining and providing remodeling items of the residential house suitable for the resident and the residential house.

이하 각 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지식 베이스 모듈, 웹 모듈><Knowledge base module, web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의 특성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거주자의 특성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도 6 및 도 7은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FIG. 2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istic information table of a res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table showing a characteristic information table of a resid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show interfaces for enter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FIGS. 6 and 7 show interfaces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house.

지식 베이스 모듈(110)은 개조 후보 항목 및 우선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할 수 있다. 개조 후보 항목 각각에는,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매개 변수가 할당된다.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can construct a database by converting the item of the candidate for modification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Each of the modified candidate items is assigned a parameter for judg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일예로서, 출입문에 대한 개조 후보 항목으로서, 출입문으로 이어지는 전면 통로, 출입문의 폭, 출입문의 손잡이의 높이/형태, 단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면 통로가 좁고 출입문의 폭이 좁다면, 휠체어가 통과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출입문의 손잡이가 지나치게 높다면 휠체어에 앉아있는 거주자가 손잡이를 잡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출입문에 단차가 존재하고 단차가 지나치게 높다면, 휠체어가 출입문을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개조할 필요가 있다.As an example of a candidate for retrofitting a door, it may include a front passage leading to the door, a width of the door, a height / shape of the handle of the door, a step, and the like. If the front passageway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door is narrow, it may be difficult for the wheelchair to pass through, and if the handle of the door is too high, a resident sitting on the wheelchair may have difficulty gripping the handle. Also, if there is a step on the door and the step is too hig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heelchair so that it is not inconvenient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to live because the wheelchair can hardly pass through the door.

그리고 출입문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거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출입문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거주자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휠체어를 사용하는지 여부, 거주자가 휠체어에 앉아있을 때 손이 닿을 수 있는 영역의 범위, 휠체어의 폭 및 거주자의 팔 움직임의 폭 등 거주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거주 주택의 출입문을 여닫는 방식(미닫이, 여닫이 등), 출입문의 폭, 출입문 전면의 통로 폭, 출입문 손잡이와 측면 벽과의 거리, 출입문 손잡이의 높이/형태, 단차의 높이 등에 대한 거주 주택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he door has been modified, information on the door of the house where the resident resides is required, and information on the resident is also needed.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resident is needed, such as whether a resident uses a wheelchair, a range of areas that a resident can reach when the resident is sitting in a wheelchair, a width of a wheelchair, and a width of the arm movement of a resident, Information on the residential housing is required for the way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sliding door, casement door, etc.), width of the door, width of the doorway at the front of the doorway, distance between door handles and side walls, height / shape of door handles, .

즉, 출입문에 대한 개조 항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거주 주택 출입문을 여닫는 방식, 출입문의 폭, 출입문 전면의 통로 폭, 단차의 높이, 출입문 손잡이의 높이/형태, 출입문 손잡이와 측면 벽과의 거리 등, 생활 공간 및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수치들이 매개 변수가 될 수 있다. 또한 거주자의 휠체어의 사용 여부, 보조자의 필요여부, 거주 방식(입식, 좌식 등) 역시 매개 변수가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etermine the items to be modified for the doo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residence, the width of the door, the width of the doorway at the front of the door, the height of the doorway, the height / shape of the door handle, Specific figures for the object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living space are needed, and these values can be parameters. Also, whether the occupant's wheelchair is used, whether the assistant is needed, and the type of residence (standing, sitting, etc.) can also be a parameter.

따라서, 지식 베이스 모듈(110)은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면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매개 변수를 미리 지정한다. 이러한 매개 변수는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변수로서, 거주자 및 거주 주택별로 지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sets a parameter for determin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in advance while building a database for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 These parameters are variables for judging remodeling decision items, and can be specified for residents and residential houses.

도 2는 거주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매개 변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개 변수는 지식 베이스 모듈(110)에서 미리 지정된 매개 변수에 대응된다. FIG. 2 shows an example of a parameter according to the resident's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ich corresponds to a parameter previously specified in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In FIG.

거주자 특성 정보의 매개 변수는 장애 극복을 위한 보조 기구로서 주로 사용하는 주사용 보장구, 실내외 보장구, 앉은 자세 유지 여부, 상지 사용 여부, 거주자 시야/팔의 도달 범위, 내부 생활 방식(입식, 좌식 등), 주생활 행위 종류,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ameters of resident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re as follows: main use guarantee, indoor and outdoor guarantee, maintenance of sitting position, use of upper limb, reach of sight / arm of resident, , Type of main activity, and numerical value.

또한 도 3은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에 따른 매개 변수를 도시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러한 매개 변수는 지식 베이스 모듈(110)에서 미리 지정된 매개 변수에 대응된다. 거주 주택 특성 정보의 매개 변수는 주택 유형, 공간 요소, 형태 요소, 설치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FIG. 3 also shows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and likewise, these parameters correspond to the parameters previously specified in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The parameters of residential hous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housing type, space factor, form factor and installation factor.

웹 모듈(1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거주자의 신체 치수, 장애 정도, 신체의 가동범위, 보조기구 정보, 주거 유형 정보 및 생활 공간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받는데,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매개 변수에 대한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b module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physical dimensions of the resident,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movable range of the body, the auxiliary equipment information, the housing type information, and the living space, You can enter a value for a variable.

일예로서, 웹 모듈(12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거주자에게 제공하여, 특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eb module 120 may provide a resident with a web-based interface to receiv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웹 모듈(120)은 거주자의 신체 치수, 신체 부위 사용 가능 여부와 같은 장애 정도, 휠체어와 같은 보조 기구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웹 모듈(120)은 한옥, 공동 주택 등과 같은 주거 유형 정보, 생활 공간인 출입문에 대한 높이, 폭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web module 12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occupant, the extent of the obstacle such a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ody part, information on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wheelchair, and the lik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web module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residential type information such as a hanok, apartment house, height, width, and the like of a door that is a living space.

전술된 바와 같이, 웹 모듈(120)로 입력되는 특성 정보의 매개 변수는 지식 베이스 모듈(110)의 매개 변수에 대응되며, 웹 모듈(120)은 지식 베이스 모듈(110)의 매개 변수에 따라 적응적으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거주자로부터 특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rameters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put to the web module 120 correspond to the parameters of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and the web module 120 adapts according to the parameters of the knowledge base module 110 You can configure the interface to receive property information from residents.

<규칙 기반 추론 모듈, <Rule-based reasoning module, BIMBIM 모듈> Modul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조 결정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개조 결정 항목에 대한 BIM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ey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BIM model for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개조 후보 항목 및 우선순위 정보를 지식 베이스 모듈(130)에 질의하고, 리턴된 정보와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 즉,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자 및 거주자가 거주하는 거주 주택의 특성에 적합한 개조 항목을 결정한다.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queries the knowledge base module 130 for the item to be modified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uses the returned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information to determine a modification decision item for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That is,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determines a remodeling i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 and the residence where the resident resides.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개조 후보 항목의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 생활 공간/객체의 수치, 생활 공간/객체의 속성을 검토하여,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examines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the living space / object, and the living space /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of the item to be modified, and determines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

예를 들어, 생활 공간이 출입문인 경우, 객체는 손잡이, 단차 등이 될 수 있으며, 수치는 출입문, 손잡이 등에 대한 수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속성이란 출입문의 방향, 재료 등, 수치 외에 생활 공간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이다. 그리고 이러한 객체, 수치 및 속성 정보는 매개 변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iving space is a doorway, the object may be a handle, a step, and the numerical value indicates a numerical value for a door, a handle, and the like. And, the property is the value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living space in addition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direction, material, etc. of the door. These object, numerical and attribu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parameters.

먼저,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를 검토하여, 개조 결정 항목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예를 들어, 출입문에 단차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단차는 개조 결정 항목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후,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은 생활 공간 및 객체의 수치, 생활 공간의 속성을 검토하여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한다. First,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firstly checks the object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and filters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s. For example, if there is no step at the door, the step can be excluded from the remodeling decision. Then,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 examines the attributes of the living space, the numerical values of the object, and the living space to judge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

이 때,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수학식 1]과 같은, 공간 판별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간 판별식에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매개 변수 값을 대입하여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an use a spatial discriminant, such as Equation (1), and determine a modification decision item by substituting a parameter valu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to a spatial discriminant .

Figure 112017053283575-pat00001
Figure 112017053283575-pat00001

[수학식 1]에서 Lv는, 거주자가 입력한 출입문의 단차를 나타내며, Lv#h는 임계값을 나타낸다.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자의 입력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즉,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으면, 출입문의 단차를 개조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Equation (1), Lv represents a step of a door entered by a resident, and Lv # h represents a threshold value.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an determine the step of the door as a modification item if the input value of the occupant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at is, if [Equation 1] is not satisfied.

여기서, 임계값은 거주자 및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의 임계값이, 거주자의 다리가 불편한 경우의 임계값보다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t and the residence. For example, a threshold value when a resident uses a wheelchair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when a resident's leg is uncomfortable.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자의 주 생활 공간인 출입문, 침실, 휠체어 보관소, 거실 및 화장실 각각의 개조 항목 후보 중에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며, 일실시예로서, 생활 공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문은 현관 또는 대문일 수 있다.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determines the items to be remodeled among the candidates for the remodeling items of the doors, the bedroom, the wheelchair storage room, the living room, and the toilet, which are the main living areas of the occupant. In one embodiment, , It is possible to judge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 Here, the door may be an entrance or a gate.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 주택 출입문의 전면 통로, 폭, 손잡이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고, 단차 제거, 경사로 설치, 손잡이 설치, 리프트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예를 들어, 전면 통로, 폭, 손잡이의 수치를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임계값과 비교하고 거주자가 생활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 개조 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ront passages, widths, and handles of the residential home doors are modified, and can determine whether steps are removed, ramps are installed, handles are installed, or lifts are installed.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ompares numerical values of front passages, widths, and handles, for example, with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 and may determine the item as a modification i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inappropriate for living.

또한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 주택의 휠체어 보관 장소의 위치, 점유 면적, 콘센트 위치의 개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유 면적이 좁다거나 콘센트 위치가 휠체어를 충전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개조 항목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ocation, occupancy area, and outlet location of the wheelchair storage place of the residence can be modified. For example, if the occupied area is narrow or the outlet location is located at a height not suitable for charging a wheelchair, it can be determined as a modification item.

또한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 주택 침실의 핸드레일 위치, 리프트 점유 면적의 개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침대에서 잡고 일어나기에 침대 측면에 위치한 핸드레일 위치가 부적절할 경우, 개조 항목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andrail position and the lift occupied area of the residential house bedroom are modified. For example, if a resident is caught on the bed and the position of the handrail on the side of the bed is improper, it may be determined as a remodeling item.

또한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 주택 화장실의 단차 제거 여부를 판단하고, 위생기기/세정기기의 위치의 개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자가 화장실로 진입하기에 단차가 너무 높다거나, 양변기/세면기 등이 거주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높이에 위치한 경우 개조 항목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ep of the toilets of the residential home is removed, and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anitary / cleaning device is modified. If the wheelchair user enters the toilet, the level is too high, or if the toilet / washbasin is located at a height that is inconvenient for the resident to use, it can be decided as a remodeling item.

또한 규칙 기반 추론 모듈(130)은 거주 주택 스위치의 위치, 작동 방식의 개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기에 위치가 너무 높다거나 또는 스위치를 누르기 어려운 경우, 개조 항목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and operation mode of the residential home switch is modified. For example, if a resident is too high to activate the switch, or if it is difficult to press the switch, it can be determined as a retrofit item.

도 8은 출입문에 설치된 객체인 도어락의 점유 면적을 검토하여 얻어진 판단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때, 판단 결과는 키노트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키노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조 결정 항목에 대한 개조 가이드 라인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지식 베이스 모듈은 미리 저장된 키노트를 개조 결정 항목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8 is a diagram showing a judgment result obtained by examining an occupied area of a door lock which is an object installed in a door.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the key note. As shown in FIG. 9, the keynote provides visualization of the modification guideline information for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and the knowledge base module can provide the previously stored keynot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BIM 모듈(140)은 상용화된 BI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개조 결정 항목에 대한 정보 즉, 매개 변수 값을 시각화되는 공간 객체의 변수에 가이드한다. 개조 결정 항목이 출입문의 손잡이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M 모듈(140)은 출입문의 변수에 매개 변수 값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BIM 모듈(140)은 입력된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로부터 BIM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The BIM module 140 uses the commercialized BIM software to gu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modification decision item, that is, the parameter value, to the variable of the spatial object to be visualized. If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is the handle of the door, as shown in FIG. 10, the BIM module 140 can guide the parameter value to the door door parameter. That is, the BIM module 140 can generate the BIM model from the inputted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hous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residence-customized unfurnished house remodeling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은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거주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S1110)한다. 그리고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수신(S1120), 즉 입력받고, 개조 후보 항목, 우선순위 정보 및 특성 정보에 따라서,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S1130)한다.The residential-custom-built residential home remodeling desig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priority information on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and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of the residence based on the reference data (S1110). In step S1120,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nd the resident is received to determine the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That is, the residential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S1130). &Lt; / RTI &gt;

단계 S1010에서 설계 지원 시스템은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주택 개조 데이터인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개조 후보 항목의 개조 건수를 추출하고, 개조 건수에 따라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조 건수가 많은 개조 후보 항목에 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In step S1010, the design support system extracts the number of modifications of the item to be modified from the reference data, which is housing modification data of the elderly or the disabled, and generates pri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difications. A higher priority may be assigned to a retrofit candidate with a higher number of retrofits.

[표 1]은 레퍼런스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개조 후보 항목의 개조 건수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the number of modified items of the candidate items obtained from the reference data.

Figure 112017053283575-pat00002
Figure 112017053283575-pat00002

단계 S1130에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서, 개조 결정 항목에 우선순위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주자는 자신의 경제 상황등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개조할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130, a priority may be assigned to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according to the priority information, so that the resident can determine an item to be converted first in consideration of his / her economic situation and the like.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4)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주택 개조 사례 데이터인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지식 베이스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웹 기반으로 입력받는 웹 모듈;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규칙 기반 추론 모듈; 및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BIM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조 후보 항목은
상기 거주자의 주 생활 공간인 출입문, 침실, 휠체어 보관소, 거실 및 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조 후보 항목이며,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포함되는 생활 공간의 객체를 검토한 후, 상기 생활 공간/상기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의 수치 및 상기 생활 공간/상기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의 속성을 검토하여,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되,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매개 변수 값과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공간 판별식을 이용하여,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에서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며,
상기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는
한옥 또는 공동 주택을 나타내는 주거 유형 정보 및 상기 생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A knowledge base module for generating a home remodeling candidate item and a priority information item for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based on reference data that is housing remodeling case data of the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A web module for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a residence of the resident to determine a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on a web basis;
A rule-based reasoning module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modified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 item to be modified for the residence of the resident; And
And a BIM modul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The modified candidate item
A remodeling candidate item for at least one of a door, a bedroom, a wheel chair storage, a living room, and a toilet as a main living space of the resident,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After reviewing the object of the living space included in the item of the modification candidate, the user examines the value of the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 the living space and the attribute of the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 the living space, Determining a modification decision item among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s by using a space determination expression for comparing a parameter valu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a threshold value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house
Hous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house or a house and information on the living space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 특성 정보는
상기 거주자의 신체 치수, 장애 정도, 보조기구 정보를 포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dent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The occupant's body size, the degree of disturbance,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서, 상기 개조 결정 항목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ity information, a priority is assigned to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거주 주택 출입문의 전면 통로, 폭, 손잡이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고, 단차 제거, 경사로 설치, 손잡이 설치, 리프트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Whether or not the front passageway, the width, and the handle of the residential home door are remodeled is judged,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step is removed, the ramp is installed, the handle is installed,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거주 주택의 휠체어 보관 장소의 위치, 점유 면적, 콘센트 위치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storage place, occupied area,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거주 주택 침실의 핸드레일 위치, 리프트 점유 면적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hand rail position and lift occupied area of the residential house bedroom are modified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거주 주택 화장실의 단차 제거 여부를 판단하고, 위생기기/세정기기의 위치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tep of the residential house toilet has been removed an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sanitary /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기반 추론 모듈은
상기 거주 주택 스위치의 위치, 작동 방식의 개조 여부를 판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le-based reasoning module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location and operation mode of the residential home switch is modified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 모듈은
상기 개조 결정 항목에 대한 개조 가이드 라인 정보인 키노트를 제공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owledge base module
Providing a keynote as modification guideline information for the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Residential residential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design support system.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주택 개조 사례 데이터인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거주 주택의 개조 후보 항목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거주자 및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주자의 거주 주택에 대한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조 후보 항목은
상기 거주자의 주 생활 공간인 출입문, 침실, 휠체어 보관소, 거실 및 화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조 후보 항목이며,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개조 후보 항목에 포함되는 생활 공간의 객체를 검토한 후, 상기 생활 공간/상기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의 수치 및 상기 생활 공간/상기 생활 공간에 설치된 객체의 속성을 검토하여,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되,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매개 변수 값과 상기 특성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공간 판별식을 이용하여, 상기 개조 후보 항목 중에서 상기 개조 결정 항목을 판단하며,
상기 거주 주택의 특성 정보는
한옥 또는 공동 주택을 나타내는 주거 유형 정보 및 상기 생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방법.
Generating remodeling candidate items of the residential house and priority information on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s based on reference data that is housing reconstruction case data of the elderly or disabled persons;
Rece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resident and a residence of the resident to determine a remodeling decision item of the remodeling candidate item; And
Determining a modification determination item for the residential house of the resident according to the modified candidate item,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modified candidate item
A remodeling candidate item for at least one of a door, a bedroom, a wheel chair storage, a living room, and a toilet as a main living space of the residen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odification item
After reviewing the object of the living space included in the item of the modification candidate, the user examines the value of the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 the living space and the attribute of the object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 the living space, Determining a modification decision item among the modification candidate items by using a space determination expression for comparing a parameter valu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a threshold value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house
House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house or a house and information on the living space
How to support resident -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상기 개조 후보 항목의 개조 건수를 추출하고, 상기 개조 건수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거주자 맞춤형 무장애 주택개조 설계 지원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iority information
Extracts the number of modified versions of the item to be modified from the reference data, and generates the pri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dified versions
How to support resident - customized housing reconstruction.
KR1020170069453A 2017-01-26 2017-06-05 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KR1019426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352 2017-01-26
KR20170012352 2017-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47A KR20180088247A (en) 2018-08-03
KR101942652B1 true KR101942652B1 (en) 2019-01-25

Family

ID=6325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53A KR101942652B1 (en) 2017-01-26 2017-06-05 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6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852B1 (en) * 2021-06-17 2021-12-01 주식회사 플레져그룹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and exterior based on life patter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050A (en) * 1999-11-30 2001-06-08 Sekisui Chem Co Ltd Design support system
JP2008027346A (en) 2006-07-25 2008-02-07 Sumitomo Forestry Co Ltd Designing method of housing member and design program for hous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067B2 (en) * 1998-03-09 2001-02-19 東陶機器株式会社 How to make a house remodeling plan considering the elderly
KR20160041203A (en)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제너럴유스 Living-alone elder care system using ontolog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050A (en) * 1999-11-30 2001-06-08 Sekisui Chem Co Ltd Design support system
JP2008027346A (en) 2006-07-25 2008-02-07 Sumitomo Forestry Co Ltd Designing method of housing member and design program for hous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47A (en)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Automating code checking for building designs-DesignCheck
US20080189166A1 (en) Computer-based method of recommending modifications to residential or commercial property
Bo'sher et al. Accessibility of America's Housing Stock: Analysis of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AHS)
Bashiti et al. Physical barriers fa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PwDs) in shopping malls
KR101942652B1 (en) Custom-barrier-free housing remodeling architecture-design supporting system
Sangelkar et al. Adapting ada architectural design knowledge for universal product design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A function based approach
Shahrom et al. Universal design in hous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review
Lansley et al. Assessing the adaptability of the existing homes of older people
Grant et al. Housing and Indigenous disability: lived experiences of housing and community infrastructure
JP4549514B2 (en) Facilit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hasan et al. Ergonomics of living environment for the people with special needs
Valderrama-Ulloa et al. A tool for universal accessibility assessment in the interior of dwellings
Boydell Best Practice in Housing Design for Seniors' Supportive Housing
Karpunina et al. MAIN DIRECTIONS OF FORMATION OF ACCESSIBLE HOME ENVIRONMENT FOR CLIENTS OF SOCIAL SERVICES
Jrade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ith Universal Design Requirements for Highly Accessible Homes
Nicał Selected technical solutions in construction for elderly people in Poland
Goodacre et al. Enabling older people to stay at home: How adaptable are existing properties?
Albritton Aging in Place: Design Guidelines for New Construction in Residential Design
Grant et al. Lived experiences of housing and community infrastructure among Indigenous people with disability
Gobtop et al. Housing the elderly: Investigating solutions to help seniors age in place
SERIES 3. INTERIOR SPACES
Peavey et al. A Study of Innovative Assistive Devices for Aging in Place
Bergeron Role of acceptable solutions in evaluating innovative designs
Tilley et al. Functional Planning
CN117853277A (en) Barrier-free reconstruction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old and disabled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