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105B1 -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 Google Patents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105B1
KR101942105B1 KR1020120113478A KR20120113478A KR101942105B1 KR 101942105 B1 KR101942105 B1 KR 101942105B1 KR 1020120113478 A KR1020120113478 A KR 1020120113478A KR 20120113478 A KR20120113478 A KR 20120113478A KR 101942105 B1 KR101942105 B1 KR 10194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d
applic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341A (ko
Inventor
김동진
김승혜
배재현
홍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1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1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을 제공한다.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해 착신자로부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거절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RECEIVE REFUSE METHOD OF INCOMING TERMINAL AND THE INCOMING TERMINAL}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신자가 통화를 위한 착신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응하여 통화를 거절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에 관한 것 입니다.
착신자는 통화를 위해 수신되는 전화에 대하여 착신자의 상황에 따라 수신되는 전화를 수신 거부한다. 구체적으로, 착신자는 수신 거부를 위해 단말기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수신되는 전화를 수신 거부한다. 그리고, 착신자는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거절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달한다. 또한, 단말기에 착신자의 상황에 적당한 거절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착신자는 착신자의 상황에 맞게 거절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의 수신 거부 방법은, 착신자가 수신 거부를 할 때 마다 매번 단말기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조작을 잘못한 경우, 착신자는 착신자의 상황과 관계없는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착신자는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의 조작을 최소화하고, 착신자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신 거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응하여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 착신자의 상황을 표현하는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송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 착신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송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해 착신자로부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거절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상기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상기 컨텐츠로 결정하는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발신 단말에 전송 한 후,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해 착신자로부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 거절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통화 거절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결정부;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통화 종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상기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상기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발신 단말에 전송 한 후,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결정하는 메시지 결정부;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통화 종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응하여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 착신자의 상황을 표현하는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 착신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실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실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착신 단말(102)은 발신 단말(101)과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102)은 발신 단말(101)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102)은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 발신 단말(101)로부터 수신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102)은 회의 중인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대응하여 착신자에 의해 수신된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102)은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102)은 통화가 수신된 시점의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는 이미지, 텍스트, 음악,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02)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102)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102)은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응하여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 착신자의 상황 또는 미리 설정된 착신 단말(10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컨텐츠, 메시지 등을 발신 단말(101)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통화 거절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02)은 착신자에게 수신된 통화에 대한 통화 거절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 이외에 착신자의 추가적인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착신 단말(201)은 통화 수신부(202), 통화 거절 신호 수신부(203), 컨텐츠 결정부(204), 통화 종료부(205)로 구성될 수 있다.
통화 수신부(202)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거절 신호 수신부(203)는 수신된 통화에 대해 착신자로부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거절 신호 수신부(203)는 착신자로부터 착신 단말(201)을 터치, 버튼 클릭 등의 동작을 통해 통신 거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결정부(204)는 통화 거절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컨텐츠 결정부(204)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착신 단말(201)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결정부(204)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착신 단말(201)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은 착신 단말(201)에서 수행 중인 네비게이션, 메신저, 롤플레잉 게임, 음악, 동영상 등의 착신자가 이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은 착신 단말(201)에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착신자에게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컨텐츠 결정부(204)는 착신 단말(201)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결정부(204)는 착신 단말(201)에 디스플레이되어 실행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결정부(204)는 착신 단말(201)에 활성화된 음악, 게임, 지하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디스플레이되어 실행되는 게임, 지하철 어플리케이션, 음악 순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컨텐츠 결정부(204)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착신 단말(201)에서 수행중인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캡쳐하고, 해당 화면을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은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발신자는 거절된 통화에 대응하여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이미지를 전달받음으로써,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쉽고,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결정부(204)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착신 단말(201)을 통해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컨텐츠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는 착신 단말(20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유사한 개념형식으로 분류한 것 일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는 건강, 게임, 금융, 교육, 날씨, 내비게이션, 뉴스, 쇼셜 네트워킹, 유틸리티 등 다양한 개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것은 착신자의 사적인 정보와 관련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 즉, 착신 단말(201)은 어플리케이션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결정함으로써, 착신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201)은 네이트온, MSN, 카카오톡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메신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합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것은 착신자가 네이트온, MSN, 카카오톡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수신된 통화의 시점에 메신저를 하고 있는 착신자의 상황이 중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는 각각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201)은 어플리케이션의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카테고리를 설명할 수 있는 ‘게임 중입니다.’라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결정부(204)는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결정부(204)는 개인 정보 보호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결정부(204)는 위에 기재된 결정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착신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통화 종료부(205)는 컨텐츠 결정부(204)에서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종료부(205)는 컨텐츠를 전달한 후, 착신 단말(201)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301)에서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은 착신자에 의해 통화가 수신되기 이전부터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은 착신자에 의해 게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등의 동작이 수행되는 중간에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착신 단말은 수신된 통화에 대해 착신자로부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은 착신자로부터 착신 단말에 가해지는 충격, 착신 단말에 포함된 버튼 또는 스위치,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서부터 일정 간격의 시간 등을 통해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착신 단말은 통화 거절 신호에 따른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은 통화 거절 신호에 대응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된 시점의 착신 단말의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은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서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 중이던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착신 단말의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착신 단말은 통화가 수신된 시점에서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 중이던 네비게이션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에 결정된 컨텐츠를 전송 한 후, 착신 단말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착신 단말(501)은 통화 수신부(502), 동작 상태 확인부(503), 메시지 결정부(504), 통화 종료부(505)로 구성될 수 있다.
통화 수신부(502)는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착신 단말의 배터리 전원이 없는 경우,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연결된 경우, 통화가 수신되어, 일정 시간 동안 착신자로부터 조작이 없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상태는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이 수신 가능한 상태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동작 상태는 통화를 할 수 있는 동작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레로,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 단말의 배터리 전원이 없는 상태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여 수신된 통화와 연결할 수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15%인 경우,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수신된 통화와 연결할 수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착신 단말의 동작이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연결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 단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컴퓨터와 연결된 착신 단말의 접속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착신 단말의 동작이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착신 단말에 의해 착신자가 수신된 통화와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착신 단말(501)은 착신자의 현재 상황 이외에도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착신자 및 착신 단말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위에 기재된 확인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통화가 수신되어, 일정 시간 동안 착신자로부터 조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작 착신 단말이 통화가 수신되어,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가 부재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동작 상태 확인부(503)는 착신자의 회의, 운전, 샤워, 수면 등의 상황에 의한 부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결정부(504)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발신 단말에 전달할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즉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메시지 결정부(504)는 착신 단말의 배터리 전원이 없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배터리 잔여량이 부족하여 통화가 자동으로 거절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종료부(505)는 메시지 결정부(504)에서 결정된 메시지를 발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종료부(505)는 메시지를 전달한 후, 착신 단말(501)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6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601)에서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은 착신자에 의해 통화가 수신되기 이전부터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착신 단말은 착신자에 의해 게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등의 동작이 수행되는 중간에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착신 단말은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착신 단말은 착신자의 현재 상황과 동시에 착신 단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착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착신 단말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각 이벤트마다 서로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은 이벤트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결정할 수 이다.
단계(604)에서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 결정된 메시지를 전송 한 후, 착신 단말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발신 단말
102: 착신 단말

Claims (14)

  1.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통화를 거절하기 위한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착신자가 착신 단말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착신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캡쳐 화면 또는, 착신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를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캡쳐 화면을 상기 컨텐츠로 결정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컨텐츠로 결정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발신 단말에 전송 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7. 삭제
  8. 착신 단말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통화에 대응하여 착신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통화를 거절하기 위한 통화 거절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 거절 신호 수신부;
    상기 통화 거절 신호 를 수신한 시점에서 착신자가 착신 단말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착신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캡쳐 화면 또는, 착신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를 착신자의 통화 거절과 관련된 컨텐츠로 결정하는 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전송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통화 종료부
    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착신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착신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캡쳐 화면을 상기 컨텐츠로 결정하는 착신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 단말을 통해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컨텐츠로 결정하는 착신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발신 단말에 전송 한 후, 통화를 종료하는 착신 단말.
  14. 삭제
KR1020120113478A 2012-10-12 2012-10-12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KR10194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78A KR101942105B1 (ko) 2012-10-12 2012-10-12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78A KR101942105B1 (ko) 2012-10-12 2012-10-12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41A KR20140047341A (ko) 2014-04-22
KR101942105B1 true KR101942105B1 (ko) 2019-04-11

Family

ID=5065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478A KR101942105B1 (ko) 2012-10-12 2012-10-12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35B1 (ko) 2014-12-05 2016-10-11 (주)넥스윌 착신 단말의 상태 분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995A (ja)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16B1 (ko) * 2004-02-27 2006-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신 마취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0364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영상통화 거부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영상통화 단말기
KR101043168B1 (ko) * 2009-03-18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995A (ja)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41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990B1 (ko) 휴대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수발신장치 및 수발신방법
KR10212103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80600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essag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92246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7823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leting instant messaging information
US201301174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ktop sharing processing
US20140325385A1 (en) Methods and instant messaging client devices for performing im using menu option
KR20140040771A (ko) 메시지 처리 기법
CN106063235A (zh) 一种语音播放方法和语音播放设备
US10453160B2 (en) Embeddable communications software module
US20150149567A1 (en) Smart notifications
KR101942105B1 (ko)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US20140295801A1 (en) Image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369506B2 (en) Informing a teleconference participant that a person-of-interest has become active within the teleconference
CN106888150B (zh) 即时消息处理方法和装置
WO2019023974A1 (zh) 多主题对话的通信控制装置和方法、及计算机处理设备
KR101437521B1 (ko) 스팸 문자 메시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N103959207A (zh) 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9859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구분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10069913A (ko) 질문/답변 기반의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739558B1 (ko) 조건부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91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92295B1 (ko) 통화 처리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20140023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