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864B1 -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 Google Patents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864B1
KR101941864B1 KR1020160099461A KR20160099461A KR101941864B1 KR 101941864 B1 KR101941864 B1 KR 101941864B1 KR 1020160099461 A KR1020160099461 A KR 1020160099461A KR 20160099461 A KR20160099461 A KR 20160099461A KR 101941864 B1 KR101941864 B1 KR 10194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ttery
laminate
res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3770A (en
Inventor
히로카즈 이이즈카
유키 사토
쿠니히로 다케이
야스히로 가네다
아키라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028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8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수율 및 생산성으로 제조가 가능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로서, 박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제1 기재층, 제1 접착제층, 제1 부식 방지층, 스테인레스 강박,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로서, 상기 제1 기재층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e for a battery enclosure which has excellent properties and can be produced with high yield and productivity, and which can attain a thin film. 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comprising at least a first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 stainless steel foil and a second base layer in this order,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is a layer made of polyolefin,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is a layer formed of an adhesive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 to 20 parts by mass of the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B).

Description

전지 외장용 적층체, 전지 외장체 및 전지{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2차 전지나 커패시터 등의 외장체로서 양호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전지 외장체 및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application as an external body such as a secondary battery or a capacitor, and a battery external body and a battery obtained by using the laminate.

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는 중,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자연 에너지의 활용과 함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로서, 리튬 이온 전지 등의 2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가 주목을 끌고 있다.A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and capacitors such a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a storage battery for storing electric energy in conjunction with utilization of natural energy such as sunlight and wind power .

이들 전지에 사용되는 외장체로는, 소형화와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금속박과 수지층을 적층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오목부를 갖는 트레이 형상이 되도록 드로잉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여, 외장체 용기 본체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체 용기 본체와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성형하여 외장체 덮개부를 얻는다. 이 외장체 용기 본체의 오목부에 전지 본체를 수납한 후, 수납된 전지 본체를 덮도록 외장체 덮개부를 겹치고, 용기 본체와 외장체 덮개부의 측연부를 접착함으로써, 외장체에 전지 본체가 수납된 전지가 얻어진다.As an external body used for these batteries, 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in which a metallic foil and a resin layer are laminated is used for the purpose of miniaturization and weight saving. The laminate for external use of the battery is formed by drawing or the like so as to have a tray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to obtain an external casing body. Fur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mentioned outer casing body, the battery casing laminate is molded to obtain an outer casing body. The battery body is hous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casing body, the outer casing body is covered with the cover body so as to cover the battery body housed therein, and the container body and the side shell portion of the casing body are bonded to each other, Is obtained.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기재층과, 알루미늄박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전지 외장용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in which a base layer, an aluminum foil and an innermost layer composed of a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layer are laminated in this order.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33393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33393

2차 전지 등의 전지의 응용 분야가 넓어지는 와중에, 소형이며 대용량을 갖는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동일하게 전지 외장용 적층체도 기계적 강도, 내수성, 내약품성(내전해액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적층체 자체를 박막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기계적 강도, 내수성, 내약품성(내전해액성) 및 차광성은, 주로 전지 외장용 적층체 내의 금속박 등의 무기물층에 의해 확보되고 있다. 금속박으로는 가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the field of application of batterie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development of compact and large-capacity batteries has been progressing. Similarly, it is required that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use is made thinner while maintaining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electrolyte resistance). In general, the mechanical strength, wat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lectrolyte resistance) and light shielding property of the battery external laminate are mainly ensured by an inorganic layer such as a metal foil in a battery laminate. As a metal foil, an aluminum foil excellent in workability is widely used (se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알루미늄박은 다른 금속박에 비해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높은 수율로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다른 금속박에 비해 찌르기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 이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알루미늄박의 두께를 일정 이하로 할 수 없어, 알루미늄박이 사용되고 있는 현황에서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박막화도 곤란하였다.However, since the aluminum foil is superior in workability to other metal foil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minate with a high yield, while the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tiffness and the lik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metal foil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obtain mechanical strength,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foil can not be made to be a certain value or less, an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aluminum foil is used, it is also difficult to make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use thinner.

본 발명은 상기 현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막화가 가능하고, 또한 각종 특성이 우수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laminate for thin-film formation and excellent in various characteristics.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알루미늄박을 대신하여 스테인레스 강박을 사용함으로써, 찌르기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담보하면서 박막화가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강박을 사용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면, 종래의 알루미늄박에서는 볼 수 없는 접착 불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면 결함이나, 내전해액성에 과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부식 방지제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강박과 기재층을 바람직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를 새롭게 알아내는 것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stainless steel foil is used in place of aluminum foil to adopt a configuration capable of thinning while ensuring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tab strength. However, when a laminate for external battery use is produced using a stainless steel foil,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of surface defects and electrolyte resistance which are considered to be caused by poor adhesion which can not be seen in conventional aluminum foil.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peatedly conducted intensive investigations and succeeded in finding out an adhesive capable of favorably bonding a stainless steel foil surface-treated with a corrosion inhibitor to a base layer,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적어도 제1 기재층, 제1 접착제층, 제1 부식 방지층, 스테인레스 강박,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로서, 상기 제1 기재층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이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for battery enclosure comprising at least a first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 stainless steel foil and a second base layer in this o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s a layer made of an adhesive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 to 20 parts by mass of a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B) Which is 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use.

상기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und containing the plurality of epoxy groups is preferably a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상기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0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poxy equivalent of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is preferably 100 to 300.

상기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preferably has a bisphenol A structure.

상기 제1 부식 방지층은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preferably contains a halogenated metal compound.

상기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은 철, 크롬, 망간 또는 지르코늄의 염화물 또는 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halide compound is preferably a chloride or fluoride of iron, chromium, manganese or zirconium.

상기 제1 부식 방지층은 폴리비닐알코올 골격을 갖는 수지와, 불화 금속 화합물과, 인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preferably contains a resin having a polyvinyl alcohol backbone, a fluorinated metal compound and a phosphoric acid compound.

상기 스테인레스 강박의 두께는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is preferably 10 to 30 占 퐉.

상기 제1 기재층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ase layer is preferably homopolypropylene or block polypropylene.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구비하는 전지 외장체로서, 전지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제1 기재층측이 당해 내부 공간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체이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outer body having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of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battery outer shell has an internal space for housing the battery, and the first base layer side of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becomes the internal space side It is a battery external body which is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2 양태의 전지 외장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이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battery casing of the second aspect.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수율 및 생산성으로 제조가 가능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는 박막화가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laminate for external use which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can be produced with high yield and productivity. Further,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2차 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사용하여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사용하여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laminate for covering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laminate for battery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나,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전지 외장용 적층체][Battery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use]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이하, 간단히 「적층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적어도 제1 기재층, 제1 접착제층, 제1 부식 방지층, 스테인레스 강박,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로서,(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a " laminate ")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first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 stainless steel foil, In the order named, a laminate for battery enclosure,

상기 제1 기재층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고,The first base layer is a layer made of polyolefin,

상기 제1 접착제층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다.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n adhesive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 to 20 parts by mass of the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laminate 10 for a battery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0)는 제1 기재층(11)과, 제1 접착제층(12)과, 제1 부식 방지층(13)과, 스테인레스 강박(14)과, 제2 부식 방지층(16)과, 제2 접착제층(17)과, 제2 기재층(15)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lamin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amin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a first base layer 11, a first adhesive layer 12,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a stainless steel foil 14, 16, a second adhesive layer 17, and a second base layer 15 in this order.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0)는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부식 방지층(13) 및 제2 부식 방지층(16)과, 제1 부식 방지층(13) 위에 제1 접착제층(12)을 개재하여 적층된 제1 기재층(11)과, 제2 부식 방지층(16) 위에 제2 접착제층(17)을 개재하여 적층된 제2 기재층(15)을 구비하는 7층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layered produc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first adhesive And a second base layer 15 laminated on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with a second adhesive layer 17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1 being laminated via the layer 12, .

이하, 각 층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each lay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기재층(11)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이소부틸렌,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11 is a layer made of polyolefin. Examples of the layer made of polyolefin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1-butene, polyisobutylene, a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Olefin, and a block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have.

그 중에서도, 제1 접착제층(12)과의 접착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호모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이하, 「호모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이하, 「블록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이하, 「랜덤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호모 PP 또는 블록 PP가 보다 바람직하고, 기계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블록 PP가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m, homopolypropylene (propylene homopoly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homo PP") and propylene-ethylene block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mopolymer") are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12 , &Quot; block PP "), and a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random PP "). Of these, block PP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homo PP or block PP is more preferable and mechanical strength is excellent.

제1 기재층(11)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The first base layer 11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제1 기재층(11)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의 융점은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 필요한 내열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elting point of the polyolefin layer used in the first base layer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the heat resistance required for the battery laminate 10 for a battery.

제1 기재층(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0㎛로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11 may be, for example, 1 to 30 占 퐉.

제1 접착제층(12)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다.The first adhesive layer 12 is a layer made of an adhesive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 to 20 parts by mass of the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B).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지 외장용 적층체는 기계적 강도, 내수성, 내약품성(내전해액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이들 특성의 상당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 내의 금속박이 담당하고 있어, 전지의 내구성이라는 관점에 있어 전지 외장체의 금속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리고, 전지 사용시에 당해 금속박이 녹 등에 의해 열화되지 않도록, 방청 처리가 실시된 금속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is required to have various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electrolyte resistance). A large number of these characteristics are occupied by the metal foil in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use, and the metallic foil of the battery exterior bod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view of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It has been a common practice to use a metal foil subjected to anti-corrosive treatment so that the metal foil is not deteriorated by rust or the like during use of the battery.

종래 사용되고 있던 알루미늄박에 대해서는, 양호한 부식 방지 효과를 갖는 부식 방지 처리제(부식 방지층)의 구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As to aluminum foil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the constitution of a corrosion inhibiting treatment agent (corrosion inhibiting layer) having a good corrosion prevention effect is widely known.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박막화와 기계 강도(찌르기 강도 등)의 양립을 위해, 스테인레스 강박을 채용한다. 스테인레스 강철은 금속 중에서는 녹슬기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전해액과 접촉할 수 있는 등의 극단적인 상황하에서 사용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스테인레스 강박은 종래와 동일하게 방청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강박에 양호하게 방청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방청 처리제와 종래의 알루미늄박용 방청 처리제는 상이한 조성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inless steel foil is employ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both thinning and mechanical strength (stiction strength, etc.). Although it is known that stainless steel is difficult to rust in me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inless steel foil of the battery laminate for use in an extreme situation, such as being able to contact an electrolytic solution, is rust-inhibit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anti-corrosive agent capable of imparting a satisfactory anti-corrosive effect to the stainless steel foil and the anti-corrosive agent for the conventional aluminum foil may have different compositions.

그러나, 이러한 스테인레스 강박용 방청 처리제로 이루어지는 제1 부식 방지층을 스테인레스 강박 표면에 형성한 결과, 종래의 접착제로는 당해 제1 부식 방지층 표면과 제1 기재층 표면을 양호하게 접착하지 못하여, 접착 불량에 의한 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However, as a result of forming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made of such a rust-inhibiting agent for stainless steel foil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the conventional anticorrosion layer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can not be satisfactorily adhered to each other, Which can cause surface defects.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검토를 행하여, 스테인레스 강박용의 방청층(제1 부식 방지층)과 제1 기재층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로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알아내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further investigations and found that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which are adhesives capable of satisfactorily adhering the rust preventive layer (first corrosion- An adhesive containing 1 to 20 parts by mass of (B) a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그리고, 제1 기재층과, 이러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제층과, 제1 부식 방지층과, 스테인레스 강박을 사용함으로써, (1) 스테인레스 강박에 의한 기계적 강도(찌르기 강도 등)의 향상과 박막화의 실현, (2) 제1 부식 방지층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박의 방청 효과와 그에 따른 내구성의 향상, (3) 제1 접착제층에 의한 기계적 강도(박리 강도 등)의 향상과 적층체 제조시의 접착 불량에 기인하는 면 결함의 발생 저감 및 수율의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By using the first base layer, the first adhesive layer made of such an adhesive,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nd the stainless steel foil, it is possible to (1)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stiffness and the like) (2) improvement of the anticorrosive effect of the stainless steel foil by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nd accordingly durability, (3)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strength (peel strength etc.) by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poor adhesion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laminate Reduction in occurrence of surface defects and improvement in yield can be achieved.

·접착제·glue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접착제층(12)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B) 1∼2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12 contains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1 to 20 parts by mass of the compound (B)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이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를 「(A) 성분」,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를 「(B)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may be referred to as "component (A)" and the compound (B)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may be referred to as "component (B)".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본 발명에 있어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카르복시기나 무수 카르복실산기 등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is a polyolefin resin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has an acidic functional group such as a carboxyl group or a carboxylic anhydride group in the polyolefin resin.

(A) 성분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변성이나,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와 올레핀류의 공중합 등에 의해 얻어진다. 그 중에서도 (A) 성분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산변성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nent (A) is obtained by modifying a polyolefin resin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or copolymerizing an olefin with an acid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mong them,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obtained by acid-modifying the polyolefin-based resin.

산변성 방법으로는, 유기 과산화물이나 지방족 아조 화합물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폴리올레핀 수지와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용융 혼련하는 그래프트 변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 modification method include graft modification in which a polyolefin resin and an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re melt-kneaded in the presence of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n organic peroxide or an aliphatic azo compound.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이소부틸렌,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α-올레핀과의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호모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이하, 「호모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이하, 「블록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이하, 「랜덤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랜덤 PP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olefin resin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1-butene, polyisobutylene, a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Olefin, a block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 Among them, homopolypropylene (propylene homopoly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homo PP"), a block copolymer of propylene-ethylen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block PP"), a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random PP "), and random PP is particularly preferable.

공중합하는 경우의 상기 올레핀류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틸렌, 1-헥센, α-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lefins in the case of copolymerization include olefin-based monomers such as ethylene, propylene, 1-butene, isobutylene, 1-hexene, and -olefin.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과, 카르복시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기를 동일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로서, 각종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The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 compound hav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a carboxylic acid anhydride group in the same molecul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arious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dicarboxylic acids, and acid anhydrides of dicarboxylic acids.

카르복시기를 갖는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나딕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엔도-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엔딕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containing an acidic functional group having a carboxyl group (mono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e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aleic acid, nad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citracon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2.2.1] -5-heptene-2,3-dicarboxylic acid (endic acid), and the like.

카르복실산 무수물기를 갖는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카르복실산 무수물기함유 모노머)로는, 무수 말레산, 무수 나딕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엔딕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carboxylic 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nhydride group include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anhydride monomers such as maleic anhydride, nad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citraconic anhydride, .

이들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A) 성분에 있어서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se acid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e component (A).

그 중에서도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후술하는 (B) 성분과의 반응성이 높다는 점에서 산무수물기를 갖는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며, 무수 말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m, the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an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an acid anhydride group in view of high reactivity with the component (B) described later, more preferably a carboxylic 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 desirable.

산변성에 사용된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일부가 미반응인 경우는, 미반응의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에 의한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미반응의 산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제거한 것을 (A)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used for acid modification is unreacted, the unreacted acidic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removed in advance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adhesive force by the unreacted acidic functional group- As shown in Fig.

(A) 성분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올레핀류 유래의 성분은 (A) 성분의 전체량 100질량부에 대해, 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ponent (A),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polyolefin resin or olefin is preferably 50 parts by mass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nent (A).

(A) 성분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가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A) 성분과 후술하는 (B)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접착제를 형성하는 경우이면, (A) 성분의 융점은 100℃∼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은 열라미네이트용 접착제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dhes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no organic solvent and the adhesive is formed by melt kneading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described later,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180 < / RTI > The adhesive layer made of such an adhesive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adhesive layer for thermal lamination.

상기 범위의 융점을 갖는 (A)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방법 및 일반적인 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도, (A) 성분과 후술하는 (B) 성분을 (A) 성분의 융점보다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용융 혼련할 수 있다. 또한, 용융 혼련을 사용하여 (A) 성분과 후술하는 (B) 성분을 반응시키는 경우, (A) 성분에 비해 (B) 성분의 융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범위의 융점을 갖는 (A)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B) 성분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By using the component (A) having the above melting point in the above range, even whe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general apparatus are used,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described below are melt-kneaded at a temperature sufficiently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can do. When the component (A) is reacted with the component (B) described below by using melt knea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B) is lower than that of the component (A) By using the component (B), the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component (B) can be increas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A) 성분의 융점은 후술하는 (B)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A) 성분의 융점은 (B) 성분의 융점보다 10℃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융점이 (B) 성분보다 충분히 높음으로써, 용융 혼련을 행했을 때 (B) 성분이 먼저 용융하여, 수지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의 (A) 성분 중에 침투해, 균일하게 (A) 성분과 (B) 성분이 반응하는 결과, 양호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B) described later, but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More preferably 20 ° C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 C or higher.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is sufficie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onent (B), so that the component (B) is first melted when the melt-kneading is carried out to penetrate into the component (A) As a result of the reaction betwee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good durability can be obtained.

한편, 제1 접착제층(12)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층으로 하는 경우이면, (A) 성분의 융점은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50∼100℃로 비교적 저융점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강박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즉 100℃ 부근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1 부식 방지층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박과 제1 기재층을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first adhesive layer 12 as the adhesive layer for dry laminatio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50 to 100 ° C. It is possible to form a layer made of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olefin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at a melting point of 50 to 100 DEG C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improv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t which distortion does not occur, The stainless steel foil having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can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그 중에서도 (A) 성분으로는, 접착성 및 적당한 융점이라는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as the component (A),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and a suitable melting point.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Compound (B)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B) 성분은 에폭시기를 복수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B) 성분은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되고 고분자 화합물이어도 된다. (A) 성분과의 혼화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B) 성분은 고분자 화합물(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B) 성분은 저분자 화합물인 것도 바람직하다.(B) is a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The component (B) may be a low molecular compound or a high molecular compound. (B) is preferably a polymer compound (resi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miscibility with the component (A).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 (B) is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solubility in a solvent.

(B) 성분의 구조는 에폭시기를 복수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스페놀류와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합성되는 페녹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분자 당 에폭시 함량이 높고, (A) 성분과 함께 특히 치밀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of component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plurality of epoxy group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henoxy resins synthesized from bisphenols and epichlorohydrin;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s; And a bisphenol-type epoxy resin.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epoxy content per molecule is high and a particularly dense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formed together with the component (A).

본 발명에 있어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산축합하여 얻어지는 페놀노볼락 수지를 기본 구조로 하고, 그 구조의 일부에 에폭시기가 도입된 화합물이다.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의 1분자 당 에폭시기 도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에폭시기 원료와 페놀노볼락 수지를 반응시킴으로써, 페놀노볼락 수지 중에 다수 존재하는 페놀성 수산기에 다수의 에폭시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통상은 다관능 에폭시 수지가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is a compound having a phenol novolac resin obtained by acid condensation of phenol and formaldehyde as a basic structure and having an epoxy group introduced into a part of its structure. The amount of the epoxy group introduced per molecule in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by reacting the epoxy group raw material such as epichlorohydrin with the phenol novolac resin, a large number of phenolic hydroxyl groups present in the phenolic novolak resin The epoxy group is usually introduced, so that it is a polyfunctional epoxy resin.

그 중에서도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기본 골격으로서 페놀노볼락 구조를 가지며, 또한 비스페놀 A 구조를 아울러 갖는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의 비스페놀 A 구조는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비스페놀 A의 양단 수산기가 에폭시기 함유기 등의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Among them,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is preferably a bisphenol A novolak type epoxy resin having a phenol novolak structure as a basic skeleton and having a bisphenol A structure in combination. Here, the bisphenol A structure in the phenol novolak-type epoxy resin may be a structure derived from bisphenol A, and both terminal hydroxyl groups of bisphenol A may be substituted with groups such as epoxy group-containing groups.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일례로는, 하기 화학식(1)로 나타내는 수지를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bisphenol A novolak type epoxy resin, a resi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an be mentioned.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1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1

[식(1) 중, R1∼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0∼10의 정수이며, RX는 에폭시기를 갖는 기이다.][In the formula (1),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n is an integer of 0 to 10, and R X is a group having an epoxy group.

식(1) 중, R1∼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n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R3, R4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In the formula (1),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Whe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R 3 and R 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식(1)로 나타내는 수지 중은 하기 (i)∼(iii)의 적어도 어느 1개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satisfies at least any one of the following (i) to (iii).

(i) R1 및 R2의 양쪽 모두가 메틸기, (ii) R3 및 R4의 양쪽 모두가 메틸기, (iii) R5 및 R6의 양쪽 모두가 메틸기(i) both R 1 and R 2 are methyl groups, (ii) both R 3 and R 4 are methyl groups, and (iii) both R 5 and R 6 are methyl groups

예를 들면, 상기 (i)을 만족함으로써, 식(1)에 있어서 R1 및 R2가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당해 탄소 원자가 결합하는 2개의 히드록시페닐기가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For example, by satisfying the above (i),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structure in which a carbon atom to which R 1 and R 2 bond in the formula (1) and two hydroxyphenyl groups to which the carbon atom is bonded are derived from bisphenol A do.

식(1) 중, RX는 에폭시기를 갖는 기이다. 에폭시기를 갖는 기로는, 에폭시기, 에폭시기와 알킬렌기의 조합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글리시딜기가 바람직하다.In the formula (1), R X is a group having an epoxy group. Examples of the group having an epoxy group include an epoxy group, a combination of an epoxy group and an alkylene group, and among them, a glycidyl group is preferable.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0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 당량(g/eq)은 에폭시기 1개 당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이며, 이 값이 작을 수록 수지 중의 에폭시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폭시 당량이 비교적 작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첨가량을 비교적 소량으로 한 경우에도,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와 피착체의 접착성이 양호해지며, 또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와 상기 (A) 성분이 충분히 가교된다.The epoxy equivalent of the bisphenol A novolak type epoxy resin is preferably 100 to 300, more preferably 200 to 300. The epoxy equivalent (g / eq) 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poxy resin per epoxy group, and the smaller the value, the more epoxy groups in the resin. By using a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having a relatively small epoxy equivalent, even when the amount of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added is relatively small, the adhesion between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and the adherend becomes good,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and the component (A) sufficiently crosslink.

이러한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의 jER154, jER157S70, jER-157S65; DIC사 제조의 EPICLON N-730A, EPICLON N-740, EPICLON N-770, EPICLON N-775(이상, 모두 상품명)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Examples of such bisphenol A novolak type epoxy resins include jER154, jER157S70, jER-157S65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EPICLON N-730A, EPICLON N-740, EPICLON N-770 and EPICLON N-775 (all trade names) manufactured by DIC may also be used.

상기와 같은 에폭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A) 성분의 산성 관능기와 (B) 성분의 에폭시기의 쌍방이 피착체(특히 피착체가 갖는 수산기 등의 관능기)에 대한 접착성 관능기로서 기능함으로써, 제1 기재층(11)과 제1 부식 방지층(13)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By using the epoxy resin as described above, both of the acidic functional group of the component (A) and the epoxy group of the component (B) function as an adhesive functional group to an adherend (in particular,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contained in the adheren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exert excellent adhesion to the layer 11 and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또한, (A) 성분의 산성 관능기의 일부와 (B) 성분의 에폭시기의 일부가 반응해, (A) 성분과 (B) 성분의 가교 구조가 이루어지고, 이 가교 구조에 의해 수지의 강도가 보강되어 우수한 접착성과 함께 양호한 내구성이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A part of the acid functional group of the component (A) reacts with a part of the epoxy group of the component (B)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and the strength of the resin is reinforced by the crosslinked structure And it is considered that excellent durability is obtained together with excellent adhes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에 있어서,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B) 성분은 1∼20질량부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B) 성분이 5∼10질량부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B) 성분이 5∼7질량부이다.In the adhes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mponent (A). More preferably, the amount of the component (B) is 5 to 10 parts by mass, and most preferably the amount of the component (B) is 5 to 7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mponent (A) to b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목적에 따라 혼화성이 있는 첨가제, 부가적인 수지,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The adhes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suitably contain miscible additives, an additional resin, a plasticizer, a stabilizer, a colorant,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는 추가로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Further,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r may not further contain an organic solvent.

유기 용제를 함유하여 액상의 접착제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바람직한 접착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접착제를 하층이 되는 층의 위에 도포 및 건조시킴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When an organic solvent is contained and made into a liquid adhesive, for example, a preferable adhesive for dry laminates can be used. Th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nd drying such a liquid adhesive on a layer to be a lower layer.

한편,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용융 혼련하고, 그 후 압출 성형 등을 함으로써, 열라미네이트 등에 바람직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rganic solvent is not contained, an adhesive layer preferable for thermal lamination can be formed by melting and kneading an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nd an epoxy resin, followed by extrusion molding or the like.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경우,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는 상술한 수지를 바람직하게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분이 3∼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2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above-mentioned resin preferably, and for example, toluene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olid content is preferably 3 to 30 mass%, more preferably 5 to 25 mass%, and further preferably 10 to 20 mass%.

제1 접착제층(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10㎛로 할 수 있다.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1 기재층(11)과 스테인레스 강박(14)을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시킬 수 있어, 층간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2 may be, for example, 0.5 to 10 占 퐉. By setting the thickness to be within this range, the first base layer 11 and the stainless steel foil 14 can be bonded with a high adhesive force, and delamination between layers can be prevented.

본 양태에 있어서 제1 부식 방지층(13)은 스테인레스 강박(14)의 녹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is a layer for preventing corrosion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due to rust and the like.

제1 부식 방지층(13)은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을 직접 스테인레스 강박(14)의 표면에 도금 처리해도 된다. 이러한 제1 부식 방지층(13)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강박에 양호하게 방청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preferably contains a halogenated metal compound, and 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rectly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By forming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it is possible to impart a rust prevention effect to the stainless steel foil.

그 중에서도, 제1 부식 방지층(13)은 수용성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성 수지와,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과,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수용성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further contains a water-soluble resi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is formed by applying a water-soluble resin, a halogenated metal compound and a water-soluble paint containing a chelating agent, desirable.

·수용성 도료· Water-soluble paints

(수용성 수지)(Water-soluble resin)

수용성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water-soluble resin,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polyvinyl ether-based resin.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수지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at least one water-soluble resin selected from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a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saponifying a polymer of a vinyl ester-based monomer or a copolymer thereof.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로는, 포름산비닐, 초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지방산비닐에스테르나, 벤조산비닐 등의 방향족 비닐에스테르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 or copolymer of the vinyl ester monomer include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ester monomers such as vinyl formate, vinyl acetate, vinyl fatty acid esters such as vinyl butyrate, and aromatic vinyl esters such as vinyl benzoate, And copolymers of other monomers.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알킬비닐에테르 등의 에테르기 함유 모노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토초산알릴, 아세토초산에스테르 등의 카르보닐기(케톤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염화비닐이나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류, 및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ether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lkyl vinyl ether, diacetone acrylamide, diacetone (meth) acrylate, allyl acetoacetate and acetoacetic ester Monomers containing a carbonyl group (ketone group),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maleic anhydride,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idene chloride, and unsaturated sulfonic acid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90∼100몰%가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90 to 100 mol%, more preferably 95 mol% or more.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알킬에테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카르보닐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세토아미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크릴니트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카르복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에테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카르보닐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카르복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an alkyl ether-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 carbonyl-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n acetoacetyl-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n acetamide-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n acrylonitrile-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silicone-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and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s. Among these, an alkyl ether-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 carbonyl-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 carboxyl-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nd an acetoacetyl-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are preferable.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니혼 사꾸비 포바루(주) 제조의 J-포바루 DF-20(상품명), 닛뽕 카바이도 고교(주) 제조의 크로스머 H시리즈(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Commercially available polyvinyl alcohol resins generally available include, for example, J-POVARU DF-20 (trade name), manufactured by Nippon Sake Bee Povalu Co., Ltd., crossmers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H series (trade nam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로는,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이소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이소부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노르보닐비닐에테르, 알릴비닐에테르, 노르보르네닐비닐에테르,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의 지방족 비닐에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로는, 상술한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vinyl ether-based resin include ethyl vinyl ether, n-propyl vinyl ether, isopropyl vinyl ether, n-butyl vinyl ether, isobutyl vinyl ether, 2-ethylhexyl vinyl ether, cyclohexyl vinyl ether, ,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vinyl ethers such as allyl vinyl ether, norbornenyl vinyl ether, 2-hydroxyethyl vin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and copolymer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ether-based monomer include the same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above-mentioned vinyl ester-based monomer.

특히,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2-히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기타 각종 글리콜이나 다가 알코올의 모노비닐에테르 등의 수산기를 갖는 지방족 비닐에테르를 모노머에 포함하는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는 수용성을 가지며, 또한 수산기에 대한 가교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polyvinyls containing monomers such as 2-hydroxyethyl vin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2-hydroxypropyl vinyl ether, and other various glycol or monovinyl ethers of polyhydric alcohols, The ether-based resin has water-solubility and can be used favo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can perform a crosslinking reaction with hydroxyl groups.

이들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는 비닐에테르 모노머가 수지의 제조(중합) 공정에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닐에스테르계 폴리머를 경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는 달리, 비누화 처리를 거치지 않고 제조 가능하다. 또한,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와 비닐에테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비닐에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이외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Unlik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roduced via a vinyl ester-based polymer, these polyvinyl ether-based resins can be produced without saponification because they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polymerization) of a resin of a vinyl ether monomer Do. Further, a copolymer containing a vinyl ester monomer and a vinyl ether monomer, or a vinyl alcohol-vinyl ether c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the same may also be used. A mixtur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polyvinyl ether-based resin other than the polyvinyl ether-based resin may be used.

수용성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중 어느 한 쪽만을 사용해도 되고, 양쪽 모두를 병용해도 된다.As the water-soluble resin, either on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polyvinyl ether-based resin may be used, or both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Metal halide compound)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은 상술한 수용성 수지와 혼합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수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preferably has water solubility in that it needs to be mixed with the above-mentioned water-soluble resin.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크롬, 할로겐화철, 할로겐화지르코늄, 할로겐화티탄, 할로겐화하프늄, 티탄할로겐화수소산 및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는, 염소, 브롬, 불소를 들 수 있으며, 염소 또는 불소가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이다.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includes, for example, chromium halide, iron halide, zirconium halide, titanium halide, hafnium halide, titanium hydrohalide acid and salts thereof. Examples of the halogen atom include chlorine, bromine and fluorine, preferably chlorine or fluorine.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fluorine.

그 중에서도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로는, 철, 크롬, 망간 또는 지르코늄의 염화물 또는 불화물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is preferably a chloride or fluoride of iron, chromium, manganese or zirconium.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은 내전해액성 등의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즉, 스테인레스 강박(14)의 표면을 부동태화하여, 전해액에 대한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에는 상기 수용성 수지를 가교시키는 작용도 있다.The metal halide compou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hemical resistance such as electrolyte resistance. That is,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made passivated,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enhanced. 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also has a function of crosslinking the water-soluble resin.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수용성 도료는 킬레이트제를 함유한다. 당해 킬레이트제는 금속 이온에 배위 결합하여, 금속 이온 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Water-soluble paints contain chelating agents. The chelating agent is a material capable of coordinating to a metal ion to form a metal ion complex.

킬레이트제는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에서 유래된 금속 화합물(산화크롬 등)과 상기 수용성 수지를 결합시켜, 제1 부식 방지층(13)의 압축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제1 부식 방지층(13)의 두께가, 예를 들면 0.2㎛를 초과하고 1.0㎛ 이하인 경우에도, 제1 부식 방지층(13)이 취화(脆化)하여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스테인레스 강박(14)과 제1 접착제층(12) 사이의 접착 강도, 및 스테인레스 강박(14)과 그 상층측의 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chelating agent binds the water-soluble resin to a metal compound (such as chromium oxide) derived from a halogenated metal compoun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is not brittle and cracks and peeling do not occur even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0.2 탆 and not more than 1.0 탆. Therefor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2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layer on the upper layer can be increased.

또한, 킬레이트제는 수용성 수지 또는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과 화학 반응함으로써, 수용성 수지를 내수화하는 작용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helating agent has a function of hydrating the water-soluble resin by chemically reacting with the water-soluble resin or the metal halide compound.

킬레이트제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 옥시카르복실산계, (폴리)인산계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chelating agent, for example, aminocarboxylic acid chelating agents, phosphonic acid chelating agents, oxycarboxylic acid based chelating agents and (poly) phosphoric acid chelating agents can be used.

아미노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로는, 예를 들면, 니트릴로삼초산(NTA), 히드록시에틸이미노이초산(HIDA), 에틸렌디아민사초산(EDTA),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삼초산(HEDTA), 디에틸렌트리아민오초산(DTPA), 트리에틸렌테트라민육초산(TTHA), 트랜스시클로헥산디아민사초산(CyDTA), 1,2-프로판디아민사초산(1,2-PDTA), 1,3-프로판디아민사초산(1,3-PDTA), 1,4-부탄디아민사초산(1,4-BDTA), 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사초산(DPTA-OH),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초산(GEDTA), 에틸렌디아민오르토히드록시페닐초산(EDHPA),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SS-EDDS),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EDDS), β-알라닌이초산(ADA), 메틸글리신이초산(MGDA), L-아스파라긴산-N,N-이초산(ASDA), L-글루타민산-N,N-이초산(GLDA), N,N'-비스(2-히드록시벤질)에틸렌디아민-N,N'-이초산(HBEDDA)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minocarboxylic acid chelating agent include nitrilo triacic acid (NTA), hydroxyethyl imino acid acetic acid (HIDA), 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EDTA), hydroxyethyl ethylenediamine triacetic acid (HEDTA) (DTPA), triethylenetetramine acetic acid (TTHA), transcyclohexanediaminesacetic acid (CyDTA), 1,2-propanediamine succinate (1,2-PDTA), 1,3-propanediamine (1,3-diamino-2-hydroxypropanesulfonic acid (DPTA-OH), glycol ether diaminesacetic acid (GEDTA), ethylenediamine orthohydroxyphenyl acetic acid (EDHPA), SS-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SS-EDDS), 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EDDS), beta -alanine acetic acid (ADA), methylglycine diacetic acid ), L-aspartic acid-N, N-diacid (ASDA), L-glutamic acid-N, N-diacetic acid (GLDA), N, N'- - Isochol acid (HBEDDA).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로는, 포스폰산(HP(=O)(OH)2)에서 유도되는 -P(=O)(OH)2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N,N-트리메틸렌포스폰산(NTMP),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HEDP),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EDTMP),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DTPMP),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복실산(PBTC),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NTMP)을 들 수 있다.The phosphonic acid-based chelat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having a -P (═O) (OH) 2 structure derived from a phosphonic acid (HP (═O) (OH) 2 ) , N-trimethylenesphosphonic acid (NTMP), 1-hydroxyethylidene-1,1-diphosphonic acid (HEDP), ethylenediamine-N, N, N ' , Diethylenetriaminepenta methylenephosphonic acid (DTPMP), 2-phosphonobutane-1,2,4-tricarboxylic acid (PBTC), and nitrilotris (methylenephosphonic acid) (NTMP).

옥시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로는, 글리콜산, 시트르산, 말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톤산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oxycarboxylic acid-based chelating agent include glyco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gluconic acid, and glucoheptonic acid.

(폴리)인산계 킬레이트제로는, 인산, 메타인산, 트리폴리인산, 테트라폴리인산, 피로인산, 오르토인산, 헥사메타인산 및 이들의 염 등이 있다.(Poly) phosphate-based chelating agents include phosphoric acid, metaphosphoric acid, tripolyphosphoric acid, tetrapolyphosphoric acid, pyrophosphoric acid, orthophosphoric acid, hexametaphosphoric acid and salts thereof.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킬레이트제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키레스트 PD-4H(PDTA) 등의 아미노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 키레스트 PH-540(EDTMP), 키레스트 PH-210(HEDP), 키레스트 PH-320(NTMP), 키레스트 PH-430(PBTC) 등의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이상, 모두 키레스트(주) 제조의 킬레이트제이며, 표기는 상품명)를 들 수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helating agents include, for example, aminocarboxylic acid chelating agents such as keyrest PD-4H (PDTA); Phosphonic acid chelating agents such as keyrests PH-540 (EDTMP), keyrest PH-210 (HEDP), keyrest PH-320 (NTMP) and keyrest PH- ), And the notation is a trade name).

그 중에서도 킬레이트제로는,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 (폴리)인산계 킬레이트제 등의 인산계의 킬레이트제(인산 화합물)가 바람직하고,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가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m, a chelating agent such as a phosphonic acid-based chelating agent and a (poly) phosphoric acid based cheating agent is preferable, and a phosphonic acid-based chelating agent is more preferable.

수용성 도료의 전체 고형분 중, 수용성 수지는 3∼30질량%가 바람직하고, 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성 도료의 전체 고형분 중,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은 20∼60질량%가 바람직하고, 3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40∼5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성 도료의 전체 고형분 중, 킬레이트제는 20∼60질량%가 바람직하고, 30∼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5∼4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water-soluble resin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 to 30 mass%, more preferably 5 to 20 ma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to 15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water-soluble paint. The content of the halogenated metal compound in the total solids of the water-soluble paint is preferably from 20 to 60 mass%, more preferably from 30 to 55 mass%, and even more preferably from 40 to 50 mass%. Of the total solids content of the water-soluble paint, the amount of the chelating agent is preferably from 20 to 60 mass%, more preferably from 30 to 50 mass%, still more preferably from 35 to 45 mass%.

수용성 도료는 수용성 수지와,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과, 킬레이트제를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이 바람직하다.The water-soluble paint can be produced by dissolving a water-soluble resin, a metal halide compound, and a chelating agent in a solvent containing water. The solvent is preferably water.

수용성 도료 중의 고형분 농도는 제1 부식 방지층(13)의 도포성 등을 고려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0.1∼10질량%로 할 수 있다.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the water-soluble pai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atability and the like of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but may be generally from 0.1 to 10% by mass.

제1 부식 방지층(13)의 두께는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초과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부식 방지층(13)의 두께를 0.05㎛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내부식성을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 부여함과 함께, 스테인레스 강박(14)과 제1 접착제층(12)의 접착 강도, 및 스테인레스 강박(14)과 제1 기재층(11)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is preferably 0.05 탆 or more, more preferably 0.1 탆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is 0.05 占 퐉 or more so that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is imparted to the battery laminate 10 an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2,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first base layer 11 can be increased.

또한, 제1 부식 방지층(13)의 두께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부식 방지층(13)의 두께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스테인레스 강박(14)과 제1 접착제층(12)의 접착 강도를 높임과 함께, 재료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is preferably 1.0 탆 or less, more preferably 0.5 탆 or less.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to 1.0 m or less,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2 can be increased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suppressed.

스테인레스 강박(14)은 스테인레스 강철제의 금속박으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등의 스테인레스 강철로 구성된다. 오스테나이트계로는, SUS304, 316, 301 등이 있고, 페라이트계로는 SUS430 등이 있으며, 마르텐사이트계로는 SUS410 등이 있다.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a metal foil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made of stainless steel such as austenitic, ferritic, martensitic or the like. Examples of the austenite system include SUS304, 316, and 301, ferritic stainless steel such as SUS430, an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uch as SUS410.

스테인레스 강박(14)은 알루미늄박 등의 다른 금속박에 비해, 찌르기 강도,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높기 때문에, 40㎛ 이하의 얇은 두께로 사용한 경우에도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결과, 스테인레스 강박(14) 및 적층체(10) 전체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Compared to other metal foils such as aluminum foil, the stainless steel foil 14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tabbing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Therefore, even when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used at a thickness of 40 占 퐉 or less, . As a result, the entir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laminated body 10 can be thinned.

또한, 기계적 강도가 높음으로써, 드로잉 성형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할 때, 핀홀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적층체로 밀폐된 내용물의 누출(예를 들면, 전지의 액누출)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테인레스 강박(14)은 다른 금속박에 비해 내부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열화를 양호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is hig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pinholes when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by drawing-forming, and consequently to reduce leakage of the sealed contents (for example, liquid leakage of the battery) It becomes possible. Further, since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s compared with other metal foils, deterioration due to corrosion can be well prevented.

스테인레스 강박(14)의 두께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며, 5∼40㎛가 바람직하고, 10∼30㎛가 보다 바람직하며, 10∼20㎛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2차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했을 때 전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강박(14)의 두께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를 충분히 얇은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충분한 드로잉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preferably 1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5 to 4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30 占 퐉,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20 占 퐉. By setting the upper limit value to be equal to or more than the lower limit value,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is given to the laminate 10 for battery exterior use and durability of the battery can be increased when used in a battery such as a secondary battery. Further,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laminate body 10 for battery exterior can be made sufficiently thin and sufficient drawability can be imparted.

제2 부식 방지층(16)은 제1 부식 방지층(13)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제2 접착제층(17)은 제1 접착제층(12)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일반적인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제2 접착제층(17)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10㎛로 할 수 있다.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2 기재층(15)과 스테인레스 강박(14)을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시킬 수 있어, 층간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17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dhesive layer 12, or may be a layer made of an adhesive such as a general urethane adhesive, an epoxy adhesive,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7 may be, for example, 0.5 to 10 mu m. By setting the thickness to be within this range, the second base layer 15 and the stainless steel foil 14 can be bonded with a high adhesive force, and interlayer delamination can be prevented.

제2 기재층(15)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ET 필름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base layer 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For example,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Polyamide resins such as nylon (Ny); Polyolefin resins such as stretched polypropylene (OPP); Polyether ether ketone (PEEK), polyphenylene sulfide (PPS), and the like can be used. Of these, a PET film is preferable.

제2 기재층(15)의 두께는, 예를 들면, 1∼50㎛로 할 수 있고, 1∼30㎛가 바람직하며, 3∼11㎛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15 may be, for example, 1 to 50 탆, preferably 1 to 30 탆, more preferably 3 to 11 탆.

제2 기재층(15)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다층 구조를 갖는 제2 기재층(15)의 예로서, 2축 연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ONy) 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이 적층된 2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재층(15)은 3층 이상의 필름이 적층된 다층 구조여도 된다.The second base layer 15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Examples of the second base layer 15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e a two-layer film in which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film is lamin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amide resin film (ONy). Here, the second base layer 15 may b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hree or more films are laminated.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기재층(15)은 최외층이 된다. 이 때문에, 제2 기재층은 수지에 추가로 안료 등의 착색료를 함유함으로써, 원하는 색이나 디자인을 갖고 있어도 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second base layer 15 is the outermost layer. Therefore, the second base layer may contain a coloring agent such as a pigment in addition to the resin, so that the second base layer may have a desired color or design.

제2 기재층(15)은 융점이 200℃ 이상의 내열성 수지 필름을 사용한 단층 또는 다층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열성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PET 필름, PEN 필름, PBT 필름, 나일론 필름, PEEK 필름, PPS 필름 등이 있지만, 특히, 비용이라는 점에서 유리한 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열성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의 내열성을 높이고, 전지 외장용 적층체(10)가 사용되는 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base layer 15 is preferably made of a single-layer or multilayer film using a heat-resistant resin film having a melting point of 200 ° C or higher. Examples of such a heat-resistant resin film include a PET film, a PEN film, a PBT film, a nylon film, a PEEK film, a PPS film, and the like. By using such a heat-resistant resin film, the heat resistance of the battery laminate 10 can be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laminate 10 can be improved.

도 1에 나타낸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서는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양면에 제1 부식 방지층(13) 및 제2 부식 방지층(16)이 형성되어 있지만,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를 사용한 전지 외장체에 있어서 내면측이 되어, 전해액 등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은 제1 기재층(11)측이다. 이 때문에, 부식 방지층은 적어도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제1 기재층(11)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도 1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서 제2 부식 방지층(16)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n the battery laminate 10 shown in Fig. It is the first base layer 11 sid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or the like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uter body. Therefore, the corrosion inhibiting layer may be formed at least on the side of the first base layer 11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That is,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ve layer 16 may be omitted from the battery laminate 10 of Fig.

도 1에 나타낸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서는 제2 기재층(15)을 최외층으로 하고 있지만, 제2 기재층(15)의 외면측에 추가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battery laminate 10 shown in Fig. 1, the second base layer 15 is the outermost layer, but a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base layer 15.

코팅층(제1 코팅층)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 수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페녹시 수지, 불소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셀룰로오스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PPE),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PPS), 폴리아릴에테르 수지(PA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PEEK)로 이루어지는 수지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coating layer (the first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urethane resin, acrylic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vinylidene chloride-vinyl chloride copolymer resin,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resin, polyester resin, epoxy resin, phenol resin, (PEEK), which is made of a resin, a cellulose ester resin, a cellulose ether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phenylene ether resin (PPE), a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PS), a polyaryl ether resin (PAE), and a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nd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resin groups.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se resin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코팅층은 상기 수지를 일반적인 유기 용제에 용해하여 조제된 용제형 도료를 도포·건조시켜 형성된 박막 경화층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a thin film-hardened layer formed by dissolving the resin in a general organic solvent and applying and drying the prepared solvent-type paint.

코팅층의 형성에 의해,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의 절연성을 높임과 함께,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의 표면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10)가 전해액에 접한 경우에도 외관의 변화(변색 등)를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ulating property of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10 and prevent the surface of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10 from being scratched. Further, even when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10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appearance (discoloration or the like).

또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용제형 도료에 착색제나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코팅층을 착색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문자, 도형, 화상, 모양 등을 표시하도록 착색이나 인쇄를 추가하여 의장성을 높일 수도 있다.The coating layer can be colored by adding a coloring agent or a pigment to a solvent-type paint forming the coating layer. 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may be colored or printed so as to display characters, figures, images, shapes, and the like to enhance designability.

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20㎛로 할 수 있고, 2∼10㎛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may be, for example, 0.1 to 20 탆, preferably 2 to 10 탆.

도 1에 나타낸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서는 제2 기재층(15)과 제2 접착제층(17)이 직접 접하고 있지만, 제2 기재층(15)의 내면측에 의장성을 높이기 위한 인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second base layer 15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7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battery laminate 10 shown in Fig. 1, but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base layer 15 has a printed layer May be formed.

인쇄층은 상술한 코팅층과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The print layer ca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ating layer.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의 두께는 10∼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00㎛가 보다 바람직하며, 30∼100㎛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10 is preferably 10 to 500 mu m, more preferably 20 to 200 mu m, and further preferably 30 to 100 mu m.

전지 외장용 적층체(10)가 사용되는 전지로는, 2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 등의 2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 등의 전해액에 유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유기 전해질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류를 매질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battery in which the laminate body 10 for external use of a battery is used include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as a secondary battery or a capacitor such a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r the like using an organic electrolyte. As the organic electrolyte, a carbonate is generally used as a medium, such as propylene carbonate (PC), diethyl carbonate (DEC), ethylene carbonate and the like, but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박의 한쪽 면에 제1 부식 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형성된 제1 부식 방지층 위에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제1 기재층과 형성된 제1 접착제층이 접하도록 배치하고, 당해 적층체를 라미네이트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a process of forming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on one side of a stainless steel foil, a step of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the formed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nd a step of disposing the first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laminating the laminate.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우선, 스테인레스 강박(14)의 한쪽 면에 제1 부식 방지층(13)을 형성한다.First,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성 도료를 스테인레스 강박(14)의 표면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킨다. 이 때, 스테인레스 강박(14)의 한쪽 면에만 수용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제1 부식 방지층(13)만을 형성해도 되고,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양면에 수용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제2 부식 방지층(16)을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제2 부식 방지층(16)을 형성하는 경우, 제2 부식 방지층(16)은 제1 접착제층(12) 등을 형성하기 전의 단계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부식 방지층(13)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water-soluble paint as described abov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followed by heating and drying. Only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may be formed by applying a water-soluble paint to only one sid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or the water-soluble paint may be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When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is forme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is preferably formed at a stage before the first adhesive layer 12 is formed, and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It is more preferable to be formed at the same time.

또한, 제1 부식 방지층(13) 및 제2 부식 방지층(16)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스테인레스 강박(14)을 수용성 도료에 침지하여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양면에 수용성 도료를 부착시킨 후, 가열 건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are simultaneously formed,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s immersed in a water-soluble paint to adhere the water-soluble paint to both surface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It is also preferable to dry.

다음으로, 제1 부식 방지층(13) 위에, 제1 접착제층(12)을 형성한다.Next, the first adhesive layer 12 is formed on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강박(14)의 제1 부식 방지층(13)이 형성된 면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하여 건조시킨다.Specifically, a layer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14 on which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is formed, and if necessary, the layer is heated and dried.

접착제가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열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인 경우, (A) 성분과 (B) 성분을 용융 혼련함으로써 양 성분을 반응시킨 후, 제1 부식 방지층(13)위에 도포해 건조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12)이 형성된다.When the adhesive is an adhesive for a thermal laminate containing no organic solvent, the components (A) and (B) are melted and kneaded to reac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then the first component is coated on the first corrosion- An adhesive layer 12 is formed.

용융 혼련은 1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플라스트밀, 가열 롤 니더 등의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용융 혼련시의 에폭시기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수분 등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휘발 성분은 미리 장치 외로 제거해 두고, 또한, 반응 중에 휘발 성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탈기 등에 의해 수시로 장치 외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산성 관능기로서 산무수물기를 갖는 경우, 에폭시기와의 반응성이 높고, 보다 온화한 조건하에서 반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시의 가열 온도는 양 성분이 충분히 용융되며, 또한 열분해되지 않는다고 하는 점에서, 240∼300℃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혼련 온도는 용융 혼련 장치로부터 압출된 직후에 있어서의, 용융 상태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열전대를 접촉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e melt kneading, known devices such as a single screw extruder, a multi-screw extruder, a Banbury mixer, a plastmill, and a heating roll kneader can be used. In order to suppress the decomposition of the epoxy group at the time of melt kneading, the volatile component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epoxy group such as water is removed beforehand from the apparatus, and when volatile components are generated during the reaction, Do. When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has an acid anhydride group as an acid functional group, it is preferable that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has high reactivity with an epoxy group and enables a reaction under milder conditions.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lt kneading is preferably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240 to 300 DEG C in that both components are sufficiently melted and not thermally decomposed. Here, the kneading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a method such as bringing the thermocouple into contact with the adhesive resin composition in a molten state immediately after being extruded from the melt kneading apparatus.

또한, 접착제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인 경우, (A) 성분과 (B) 성분을 유기 용제 중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제1 부식 방지층(13) 위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1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접착제층(12)의 형성은 후술하는 제1 기재층(11)과의 라미네이트 공정과 함께,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터 등을 이용하여 일련의 공정으로서 행해도 된다.When the adhesive is an adhesive for dry lamination comprising an organic solvent, the components (A) and (B) ar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the solution is applied on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1 adhesive layer 12 is formed. The first adhesive layer 12 may be formed as a series of processes by using a known dry laminator or the like in addition to a lamination process with a first base layer 11 described later.

그 후, 제1 기재층(11)과 형성된 제1 접착제층(12)이 접하도록 배치하고, 당해 적층체를 라미네이트한다. 라미네이트는 70∼15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시의 압력은 0.1∼0.5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first base layer 11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2 forme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aminate is laminated. The laminate is preferably a dry laminate at 70 to 150 캜. The pressure at the time of dry laminating is preferably 0.1 to 0.5 MPa.

구체적으로는, 제1 기재층(11)을 구성하는 필름을 미리 준비하고, 당해 필름을 제1 접착제층 위에 배치한 후에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행한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의 온도는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1 기재층(11)과, 제1 부식 방지층(13) 및 스테인레스 강박(14)이 양호하게 접착되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접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재료나 융점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70∼150℃이고, 80∼120℃가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 film constituting the first base layer 11 is prepared in advance, the film is plac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n dry lamination is performed. The temperature of the dry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irst base layer 11 and the first corrosion preventive layer 13 and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re favorably bonded via the first adhesive layer,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12.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dry lamination is generally 70 to 150 캜, preferably 80 to 120 캜.

본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는 제1 기재층(11)과 제1 부식 방지층(13) 및 스테인레스 강박(14)이 제1 접착제층(12)을 개재하여 접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접착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라미네이트시에 200℃ 초과의 가온이 필요한 열라미네이트를 대신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채용함으로써, 라미네이트시의 온도를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Since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ase layer 11,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13 and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re bonded via the first adhesive layer 12, It becomes possible to adopt the same dry laminate. Further, by employing a dry laminate in place of a thermal laminate requiring heating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200 DEG C during laminati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lamination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아 팽창하기 어려운 스테인레스 강박에 고열을 부가한 경우, 스테인레스 강박의 폭방향으로 뒤틀림(컬)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강박을 사용하여 열라미네이트를 행하는 경우, 면 내에서 충분히 열이 전파되지 않아, 폭방향으로 열압착 롤러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생기거나, 롤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나 뒤틀림 자체에 의해 열압착시에 접힘이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강박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고온까지 가열을 행하는 경우, 가공 속도의 저하나 필요한 열량의 증대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Generally, when high heat is added to a stainless steel foil which is difficult to expand due to its low thermal conductivity, warpage (curl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ainless steel foil is apt to occur. When such a stainless steel foil is used for thermal lamination, heat is not sufficiently propagated in the surface, and a portio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thermocompression rollers in the width direction is generated, or is not in contact with the roll, Folding or wrinkling may occur at the time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When the stainless steel foil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t which distortion does not occur, the productivity may be lowered due to a reduction in the processing speed or an increase in the required amount of heat.

그리고, 본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제조에 있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채용하는 경우, 접힘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여, 바람직한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dry laminate is employed in the production of the cell exterior laminate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olding and wrinkles, and to produce a preferable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여기서, 제1 접착제층(12)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1 기재층(11)을 배치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하는 공정은 일련의 공정으로서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행해도 된다.Her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12 and the step of (dry) laminating the first base layer 11 may be performed using a known (dry) lamination apparatus as a series of steps .

제2 부식 방지층(16), 제2 접착제층(17), 제2 기재층(15)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리 제2 기재층(15) 위에 제2 접착제층(17)을 형성하여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한다. 그리고, 당해 2층 적층체와, 제1 기재층(11), 제1 접착제층(12), 제1 부식 방지층(13), 스테인레스 강박(14) 및 제2 부식 방지층(16)을 갖는 적층체를, 제2 접착제층(17)과 제2 부식 방지층(16)이 접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7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forming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the second adhesive layer 17 and the second base layer 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second adhesive layer ( 17 are formed so as to form a laminate composed of two layers. The laminate having the two-layer laminate and the first base layer 11, the first adhesive layer 12,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13, the stainless steel foil 14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7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1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aminate for battery enclosure 10 composed of seven layers can be manufactured.

이상, 도 1에 나타내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10)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battery laminate 10 shown in Fig. 1.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changes.

예를 들면, 제2 부식 방지층(16)을 형성하지 않고, 6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For example,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ve layer 16 may not be formed but may have a six-layer structure.

또한, 제1 기재층(11)의 제1 접착제층(12)과 접하지 않는 측이나, 제2 기재층(15)의 제2 접착제층(17)과 접하지 않는 측에 다른 층을 형성하여, 7층 또는 8층 이상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Another lay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base layer 11 that does not contact the first adhesive layer 12 or on the side of the second base layer 15 that does not contact the second adhesive layer 17 , Seven layers, or eight layers or more.

[전지 외장체][Battery external body]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전지 외장체는 제1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구비하는 전지 외장체로서, 전지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제1 기재층측이 당해 내부 공간측이 되는 전지 외장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재층이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제1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단부를 밀봉하는 등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The battery exterior body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exterior body having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of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battery exterior body has an internal space for housing the battery,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side of the battery exterior laminate Is a battery external body. Specifically, this is obtained by molding the battery enclosure laminate of the first aspect into a desired shape so that the first base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and sealing the end portion as necessary.

전지 외장체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전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The shape, size and the like of the battery exterior body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attery to be used.

전지 외장체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도 2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부재(예를 들면, 용기 본체 및 덮개부)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The battery external body may be composed of one member 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members (for example, a container body and a lid portion) as described later using Fig.

[전지][battery]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전지는 제2 양태의 전지 외장체를 구비한 것이다.The battery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battery housing of the second aspect.

전지로서는 2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 등의 2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 등의 전해액에 유기 전해질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attery include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which is a secondary battery, and an organic electrolyte, for example, a capacitor such a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일례로서, 2차 전지(40)의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2차 전지(40)는 전지 외장용 용기(20)에 리튬 이온 전지(27)를 내포한 것이다.As an example,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40 is shown in Fig. The secondary battery (40) contains the lithium ion battery (27) in the battery external container (20).

전지 외장용 용기(20)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30)와,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로 이루어지는 덮개부(33)를 겹치고, 주연부(29)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부호 28은 리튬 이온 전지(27)의 양극 및 음극에 접속된 전극 리드이다.The battery external container 20 is obtained by overlapping the container body 30 made of the laminate body 10 for battery exterior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d portion 33 made of the laminate body 10 for battery exterior, As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n electrode lead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ion battery 27.

도 2에 나타내는 전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battery shown in Fig. 2 can be manufactured as follows.

우선,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를 오목부(31)를 갖는 트레이 형상이 되도록 드로잉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여, 용기 본체(30)를 얻는다. 오목부(31)의 깊이는, 예를 들면, 2㎜ 이상으로 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a), the battery laminate 10 is molded into a tray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31 by drawing or the like to obtain a container body 30. [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31 can be, for example, 2 mm or more.

용기 본체(30)의 오목부(31)에 리튬 이온 전지(도 2 중의 리튬 이온 전지(27))를 수납한다.A lithium ion battery (lithium ion battery 27 in Fig. 2)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31 of the container main body 30.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외장용 적층체(10)로 이루어지는 덮개부(33)를 용기 본체(30) 위에 겹치고, 용기 본체(30)의 플랜지부(32)와 덮개부(33)의 주연부(34)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2차 전지(40)가 얻어진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전지에서는 용기 본체(30)의 상면이 덮개부(33)에 덮임으로써, 오목부(31)와 덮개부(33)에 의해 전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3 (b), the lid portion 33 formed of the laminate body 10 for a battery exterior body is overlaid on the container body 30, and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container body 30, The secondary battery 40 shown in Fig. 2 is obtained by heat-sealing the peripheral portion 34 of the secondary battery 33 as shown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 is covered with the lid portion 33, so that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i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31 and the lid portion 33.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지는 이하와 같이 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manufactured as follows.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50)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일단측의 일부를 드로잉 성형 등에 의해 전지 외장용 적층체(50)의 제1 기재층측으로부터 가압해 성형하여, 오목부(51)를 갖는 성형체(55)를 얻는다. 오목부(51)의 깊이는, 예를 들면, 2㎜ 이상으로 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a), a portion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battery outer layer 50 is pressed from the first base layer side of the battery outer layer 50 by drawing or the like, To obtain a formed body 55 having the concave portion 51.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51 can be, for example, 2 mm or more.

다음으로, 도시는 생략하나, 성형체(55)의 오목부(51)에 리튬 이온 전지(도 2 중의 리튬 이온 전지(27))를 수납한다.Next, a lithium ion battery (lithium ion battery 27 in FIG. 2) is housed in the concave portion 51 of the molded body 55, although the illustration is omitted.

다음으로, 성형체(55)의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단측의 일부에 있어서, 성형체(55)의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절곡선(L)을 형성하도록 제1 기재층측으로 절곡시킨다. 여기서, 성형체(55)에 있어서, 절곡선(L)에 대해 오목부(51)측의 영역을 「제1 영역(551)」, 절곡선(L)에 대해 오목부(51)와는 반대측의 영역을 「제2 영역(552)」으로 한다.Next, in a part of the other end side where the concave portion 51 of the formed body 55 is not formed, the folded body is bent toward the first base layer side so as to form a folding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rmed body 55 . Here, in the molded body 55, the region on the concave portion 51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ing line L is referred to as a " first region 551 ", a region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oncave portion 51 with respect to the folding line L, Quot; second area 552 ".

다음으로, 제1 영역(551)에 있어서의 오목부(51) 주위(52)의 제1 기재층과, 제2 영역(552)에 있어서 주위(52)와 겹쳐지는 제1 기재층(주연부(54))을 중첩시킨다. 이로 인해, 제1 영역(551)의 오목부(51)에 제2 영역(552)이 겹쳐치게 된다.The first base layer of the periphery 52 of the concave portion 51 in the first region 551 and the first base layer in the second region 552 overlapping the periphery 52 54). As a result, the second region 552 overlaps the concave portion 51 of the first region 551.

다음으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1) 주위의 제1 기재층과 제2 영역(552)의 제1 기재층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체를 갖는 2차 전지(60)가 얻어진다. 즉, 도 4(b)에 나타내는 전지에서는 오목부(51)의 상면이 제2 영역(552)에 덮임으로써, 오목부(51)와 제2 영역(552)에 의해 전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4 (b), the first base layer around the concave portion 51 and the first base layer of the second region 552 are heat-sealed to form a battery case made of one member The secondary battery 60 is obtained. That is, in the battery shown in Fig. 4 (b),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51 is covered with the second region 552, so that the inner space accommodating the battery by the concave port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52 .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15, 비교예 1∼5][Examples 1 to 15,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실시예 1∼5)(Examples 1 to 5)

우선, 두께 20㎛의 스테인레스 강박을 준비하였다. 이 스테인레스 강박의 양면에 수용성 도료(도포량 12g/㎡)를 도포하고, 200℃의 오븐에서 가열 건조시켜, 표 1 중에 나타내는 두께의 제1 부식 방지층 및 제2 부식 방지층을 각각 형성하였다.First, a stainless steel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prepared. A water-soluble paint (coating amount: 12 g / m 2) wa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stainless steel foil and heated and dried in an oven at 200 ° C to form a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and a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having thicknesses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수용성 도료는 수산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함유 비결정 폴리머의 0.2질량%와, FeCl2·4H2O의 0.8질량%와,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상품명: 키레스트 PH-320, 키레스트(주) 제조)의 0.7질량%를 물에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액이다.The water-soluble paint contains 0.2% by mass of a polyvinyl alcohol skeleton-containing amorphous polymer having hydroxyl groups, 0.8% by mass of FeCl 2 .4H 2 O, nitrilotris (methylenephosphonic acid) (trade name: Keyrest PH-320,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is dissolved in water.

그 후, 형성된 제1 부식 방지층 위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께 3㎛의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1 접착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15℃)의 100질량부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화학(주)사 제조, 상품명: jER157S70, 점도=80, 에폭시 당량=210)의 7질량부를 실온에서 10분간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Thereafter, the first adhesive was applied onto the formed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to form a first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m. 100 parts by mass of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15 ° C) and 7 parts by mass of a novolak type epoxy resin (trade name: jER157S70, viscosity = 80, epoxy equivalent = 210) By mass fo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이 스테인레스 강박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1 접착제층과, 두께 6㎛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재층을 120℃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적층하였다.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laminate including the stainless steel foil and the first base layer made of the polypropylene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6 占 퐉 were laminated by dry lamination at 120 占 폚.

또한, 두께 6∼8㎛의 흑색을 갖는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재층 위에, 우레탄계 접착제(주제: TM-K55(상품명, 도요 모톤사 제조), 경화제: CAT-10L(상품명, 도요 모톤사 제조))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제층(두께 3㎛)을 도포에 의해 성형하였다.Further, a urethane adhesive (subject: TM-K55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YOTO MOTON CO., LTD.) And a curing agent: CAT-10L (trade name) were laminated on a second base layer made of a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yo Moton Co., Ltd.)) was formed by coating.

이 제2 접착제층과,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2 부식 방지층을 대향시켜, 8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적층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얻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ve layer in the laminate thus obtained were opposed to each other and laminated by dry lamination at 80 DEG C to obtain a battery laminate.

얻어진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표면 결함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조건에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면 결함」으로서 표 1에 나타낸다.The surface defects of the obtained battery exterior laminate were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under the following evaluation condition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s " surface defects ".

A: 1㎡ 당, 면 내의 결함이 1개도 관찰되지 않았다.A: No defect in the surface was observed per 1 m < 2 >.

B: 1㎡ 당, 면 내의 결함이 1∼5개 관찰되었다.B: 1 to 5 defects in the surface were observed per 1 m 2.

C: 1㎡ 당, 면 내의 결함이 6∼10개 관찰되었다.C: 6 to 10 defects in the surface were observed per 1 m < 2 >

D: 1㎡ 당, 면 내의 결함이 11개 이상 관찰되었다.D: More than 11 defects in the surface were observed per 1 m < 2 >.

3g의 전해액(LiPF6을 1mol/리터 첨가한 에틸렌카보네이트:디에틸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1:1:1 vol%의 용액)을 준비하고,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사용해 제작한 3방 시일 백(안치수 30㎜×50㎜, 히트 시일폭이 7㎜) 내에 충전하였다. 이 3방 시일 백을 85℃의 항온조 내에서 2000시간 정치하였다.3 g of an electrolytic solution (a solution of ethylene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 1: 1: 1 vol% in which 1 mol / liter of LiPF 6 was added) 30 mm x 50 mm, heat seal width 7 mm). The three bags were sealed in a thermostatic chamber at 85 DEG C for 2,000 hours.

2000시간 경과 후, 3방 시일 백을 개봉하고, 금속박보다 내측의 층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해,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내전해액성」으로서 표 1에 나타낸다.After the lapse of 2000 hours, the three-chamber sealed bag was open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of the inner layer from the metal foil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s " electrolyte resistance. &Quot;

A: 박리가 관찰되지 않았다A: No peeling was observed

B: 약간의 박리가 관찰되었지만, 허용 범위 내였다B: A slight exfoliation was observed, but within acceptable limits

C: 박리가 관찰되었다C: Peeling was observed

D: 전체면에 걸쳐 박리되었다D: Peeled across the entire surface

또한, 상기 전해액 침지 후의 시험편을 순수에 10시간 침지한 후, 순수로부터 꺼내, 육안에 의해 상태의 관찰을 행하였다.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를 「수침지 후」로서 표 1에 나타낸다.The test piece after immersing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immersed in pure water for 10 hours, taken out from the pure water, and visually observed by visual observation. The results of evaluation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1 as " after immersion in water ".

A: 박리가 관찰되지 않았다A: No peeling was observed

B: 약간의 박리가 관찰되었지만, 허용 범위 내였다B: A slight exfoliation was observed, but within acceptable limits

C: 박리가 관찰되었다C: Peeling was observed

D: 전체면에 걸쳐 박리되었다D: Peeled across the entire surface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200㎜×100㎜ 사이즈로 잘라 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을 100㎜×50㎜ 사이즈의 냉간 성형용 장치에 세트하고, 드로잉 깊이 6㎜의 조건에서 엠보스 가공을 행하였다. 성형 연신부에 있어서의 파단이나 핀홀의 발생에 관해 육안 또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을 행하였다. 동일한 시험을 10회 행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를 행한 결과를 「성형성」으로서 표 1에 나타낸다.The battery external laminate was cut into a size of 200 mm x 100 mm to obtain a test piece. This test piece was set in a device for cold forming of a size of 100 mm x 50 mm, and embossing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a drawing depth of 6 mm. Observation was made with naked eyes or an optical microscope with regard to breakage and occurrence of pinholes in the molded elongate portion. The same test was carried out ten times,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1 as " moldability ".

A: 성형 연신부에 파단이 일어나지 않고, 핀홀도 발생하지 않았다.A: No breakage occurred in the molded extension portion, and pinholes were not generated.

B: 성형 연신부에 허용 범위 내의 약간의 파단이 일어났거나, 또는, 핀홀이 발생한 샘플이 10 샘플 중 1∼3 샘플이었다.B: A slight rupture occurr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in the stretch forming part, or a sample in which pinholes occurred was 1 to 3 samples out of 10 samples.

C: 성형 연신부에 작은 파단이 일어났거나, 또는, 핀홀이 발생한 샘플이 10 샘플 중 1∼5 샘플이었다.C: A small fracture occurred in the molding extrusion or a sample in which pinholes occurred was 1 to 5 samples out of 10 samples.

D: 성형 연신부에 큰 파단이 일어났거나, 또는, 핀홀이 발생한 샘플이 10 샘플 중 6 샘플 이상이었다.D: A large breakage occurred in the molding extrusion, or a sample in which pinholes occurred was 6 or more out of 10 samples.

(실시예 6∼10)(Examples 6 to 10)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접착제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adhesive shown in Table 1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for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ame evaluations as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1)(Example 11)

제1 접착제층과 제1 기재층의 12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200℃의 열라미네이트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were changed to dry laminate at 120 ° C at 200 ° C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2)(Example 12)

제1 기재층을 블록 PP 필름에서 랜덤 PP 필름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first base layer was changed from the block PP film to the random PP film, and the same evaluations as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3∼14)(Examples 13 to 14)

두께 20㎛의 스테인레스 강박을, 표 1에 나타내는 두께의 스테인레스 강박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a stainless steel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changed to a stainless steel foil having a thickness shown in Table 1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5)(Example 15)

제1 및 제2 부식 방지층을 불화크롬의 도금 처리에 의해 행하여, 두께 250㎛의 제1 및 제2 부식 방지층을 얻은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corrosion inhibiting layers were formed by chromium fluoride plating to obtain first and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250 탆, The same evaluation was mad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금속박으로서, 스테인레스 강박을 대신하여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고, 또한, 제1 접착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만을 가지며,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갖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s the metal foil,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was used in pl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and an adhesive having only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DEG C) as the first adhesive agent and not having a phenol novolac- A battery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mad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금속박으로서, 스테인레스 강박을 대신하여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하고, 제1 및 제2 부식 방지층의 0.8질량%의 FeCl2·4H2O를 대신하여 0.8질량%의 CrF3·3H2O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s the metal foil,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was used in place of the stainless steel foil, and 0.8% by mass of CrF 3 쨌 3H 2 O was used instead of FeCl 2揃 4H 2 O of 0.8% by mass of the first and second corrosion- A battery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it was us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제1 접착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만을 갖고,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갖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an adhesive having only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 C) and no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제1 부식 방지층 및 제2 부식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were not formed, and the same evaluations as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접착제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adhesive shown in Table 1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for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ame evaluations as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2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2

표 1 중, 각 약기호는 각각 이하의 의미를 갖는다.In Table 1, the respective weak symbols have the following meanings.

(bPP):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block polypropylene

(rPP):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random polypropylene

(Ad-NV1):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상품명: jER154, 에폭시 당량=178)의 5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NV1):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5 parts by mass of solid content 15% by mass of novolac epoxy resin (trade name: jER154, epoxy equivalent = 178) Of toluene solution adhesive

(Ad-NV2):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 jER154의 2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NV2): 100 parts by mass of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2 parts by mass of a novolak epoxy resin jER154 in toluene solution with a solid content of 15%

(Ad-NV3):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 jER154의 7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NV3):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7 parts by mass of novolak epoxy resin jER154 in toluene solution with a solid content of 15%

(Ad-NV4):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 jER154의 10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NV4):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10 parts by mass of a novolak epoxy resin jER154 in toluene solution with a solid content of 15%

(Ad-NV5):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 jER154의 15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NV5):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15% by mass of novolak epoxy resin jER154 in toluene solution with a solid content of 15%

(Ad-NV6):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140℃)의 100질량부, 및 노볼락 에폭시 수지 jER154의 5질량부를 갖는 접착제(Ad-NV6): 100 parts by mass of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140 ° C) and 5 parts by mass of an novolac epoxy resin jER154

(Ad-BPNV):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비스페놀 A 구조를 갖는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화학 제조, 상품명: jER157S70, 점도=80; 에폭시 당량=210)의 5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BPNV):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占 폚) and 100 parts by mass of a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having a bisphenol A structure (trade name: jER157S70, viscosity = 80; 210) having a solid content of 15% and having 5 parts by mass of a toluene solution adhesive

(Ad-PN):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의 100질량부, 및 페녹시 수지(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상품명: 에피코트 1001, 에폭시 당량=450)의 5질량부를 갖는 고형분량 15%의 톨루엔 용액 접착제(Ad-PN): 100 parts by mass of a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80 ° C) and 5 parts by mass of a phenoxy resin (trade name: Epikote 1001, epoxy equivalent: 450) % Toluene solution adhesive

(Ad-PP):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140℃)의 100질량부를 갖는 접착제(Ad-PP): Adhesive having 100 parts by mass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melting point: 140 ° C)

(SUS): 스테인레스 강박(SUS): Stainless steel obsession

(AL): 알루미늄박(AL): Aluminum foil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5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는 면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전해액이나 물에 접촉했을 때도 박리가 저감되며, 또한, 양호한 성형성을 갖는 것으로서, 비교예 1∼5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에 비해 우수한 특성(가공성·성형성, 기계적 강도, 약액·수내성)을 갖고 있었다.As is apparent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the battery laminate for Examples 1 to 15 suppressed the generation of surface defects, reduced peeling even when contact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or water, and had good moldability. (Formability, moldability, mechanical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as compared with the battery laminat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실시예 16∼24][Examples 16 to 24]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제1 부식 방지층 및 제2 부식 방지층 내의 0.8질량%의 FeCl2·4H2O를 대신하여, 0.8질량%의 표 2 중에 나타내는 할로겐화 금속을 사용해 실시예 16∼24의 검토를 행하였다. 평가 방법, 평가 기준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In Example 3, the use of 0.8% by mass of the metal halide shown in Table 2 instead of 0.8% by mass of FeCl 2 .4H 2 O in the first corrosion preventing layer and the second corrosion preventing layer . Th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are the same as in Example 1 and the lik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3
Figure 112016075923759-pat00003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로서 각종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obtained even when various compounds were used as metal halide compounds.

Claims (11)

적어도 제1 기재층, 제1 접착제층, 제1 부식 방지층, 스테인레스 강박,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로서,
상기 제1 기재층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A)의 100질량부와,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B)의 2∼7질량부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상기 복수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에폭시 당량이 100∼300인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
A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lamination comprising at least a first bas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a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a stainless steel foil and a second base layer in this order,
The first base layer is a layer made of polyolefin,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n adhesive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and 2 to 7 parts by mass of the compound (B) containing a plurality of epoxy groups,
Wherein the compound containing the plurality of epoxy groups is a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having an epoxy equivalent of 100 to 3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비스페놀 A 구조를 갖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has a bisphenol A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식 방지층이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contains a halogenated metal compoun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 금속 화합물이 철, 크롬, 망간 또는 지르코늄의 염화물 또는 불화물인 전지 외장용 적층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tal halide compound is a chloride or fluoride of iron, chromium, manganese or zirconiu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식 방지층이 폴리비닐알코올 골격을 갖는 수지와, 불화 금속 화합물과, 인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지 외장용 적층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orrosion inhibiting layer contains a resin having a polyvinyl alcohol skeleton, a metal fluoride compound, and a phosphoric acid comp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박의 두께가 10∼30㎛인 전지 외장용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inless steel foil has a thickness of 10 to 30 占 퐉.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이 호모 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인 전지 외장용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is homopolypropylene or block polypropylene.
제 1 항의 전지 외장용 적층체를 구비하는 전지 외장체로서,
전지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전지 외장용 적층체의 제1 기재층측이 당해 내부 공간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외장체.
A battery external body comprising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application of claim 1,
And the first base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battery external application is the internal space side.
제 10 항의 전지 외장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A battery comprising the battery casing according to claim 10.
KR1020160099461A 2015-09-17 2016-08-04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KR1019418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4343 2015-09-17
JP2015184343 2015-09-17
JP2016116658A JP6768364B2 (en) 2015-09-17 2016-06-10 Battery exterior laminate, battery exterior and battery
JPJP-P-2016-116658 2016-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70A KR20170033770A (en) 2017-03-27
KR101941864B1 true KR101941864B1 (en) 2019-01-24

Family

ID=583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61A KR101941864B1 (en) 2015-09-17 2016-08-04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68364B2 (en)
KR (1) KR101941864B1 (en)
TW (1) TWI6104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2437B2 (en) * 2015-11-16 2020-07-15 藤森工業株式会社 Battery exterior laminate, battery exterior body and battery
WO2018164219A1 (en) * 2017-03-08 2018-09-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and battery
JP2020161326A (en) * 2019-03-26 2020-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uter packaging body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JP7339938B2 (en) * 2020-11-27 2023-09-06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TTERY GROUP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7093898B1 (en) 2021-09-24 2022-06-30 藤森工業株式会社 Encapsulating film, electrode lead wire members and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121B2 (en) 2010-07-30 2014-07-02 藤森工業株式会社 Battery exterior laminate
TWI501446B (en) * 2010-09-08 2015-09-21 Toppan Printing Co Ltd Exterior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TWI511351B (en) * 2010-10-14 2015-12-01 Toppan Printing Co Ltd Lithium-ion battery exterior materials
JP6019645B2 (en) * 2012-03-21 2016-11-02 凸版印刷株式会社 Exterior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TWI588237B (en) * 2012-09-28 2017-06-21 住友金屬鑛山股份有限公司 Conductive adhesive
JP6188009B2 (en) * 2013-03-11 2017-08-30 藤森工業株式会社 Battery exterior laminate
JP6672600B2 (en) * 2015-03-27 2020-03-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Battery packaging material
JP6686587B2 (en) * 2015-03-30 2020-04-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Battery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tery
JP6724483B2 (en) * 2015-03-31 2020-07-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old for molding battery packag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1932A (en) 2017-06-16
JP2017059523A (en) 2017-03-23
JP6768364B2 (en) 2020-10-14
KR20170033770A (en) 2017-03-27
TWI610488B (en) 201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798B1 (en)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KR101941864B1 (en)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KR101868793B1 (en)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CN113263812B (en) Laminate for battery outer package, and battery
KR101868804B1 (en)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package, and battery
KR102005248B1 (en) Resin coated metal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resin coated metal laminate, battery package, and battery
CN107004781B (en) Laminate for nonaqueous battery exterior packaging
KR101941862B1 (en)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for battery packages, battery package, and battery
CN106549118B (en)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packaging,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for battery exterior packaging, and battery
JP2021073655A (en) Laminated body for nonaqueous battery exterior
JP2019212630A (en) Laminate for nonaqueous battery exterior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