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08B1 -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08B1
KR101941508B1 KR1020120019308A KR20120019308A KR101941508B1 KR 101941508 B1 KR101941508 B1 KR 101941508B1 KR 1020120019308 A KR1020120019308 A KR 1020120019308A KR 20120019308 A KR20120019308 A KR 20120019308A KR 101941508 B1 KR101941508 B1 KR 10194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fresh rate
electronic device
valu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566A (ko
Inventor
박경민
이동화
최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에서 화면 출력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메모리의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정적인 영상 또는 동적인 영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상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에서 화면 출력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전자 장치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의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더하여, 최근에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화면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에 맞게 출력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읽어서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화면 재생률을 60Hz로 정의하여, 1초에 60번 출력 버퍼에 접근하여 영상 데이터를 읽어온다.
이때, 전자 장치는 높은 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에 밝고 뚜렷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잦은 출력 버퍼로의 접근으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정적인 화면에서는 화면 재생률이 낮아도 되나 전자 장치에서는 높은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여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출력 버퍼로의 접근 횟수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의 화면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정적인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동적인 화면의 화면 재생률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동작 상태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메모리의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정적인 영상 또는 동적인 영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상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정적인 영상 또는 동적인 영상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구분된 영상에 따라 화면 재생율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영상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출력하는 화면 정보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 재생률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의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의 화면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는 출력 화면을 정적인 화면과 동적인 화면을 구분하고 정적인 화면의 화면 재생률 동적 화면의 화면 재생률보다 낮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정지 화면의 화면 재생률을 동적 화면의 화면 재생률보다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정적인 화면은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움직임이 적은 화면으로 사실상 정지된 화면으로 정의할 수 있는 화면을 말한다. 물론 객체의 움직임이 적은 것은 움직이는 객체의 수를 의미할 수 있고, 객체의 움직임을 위한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적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는 화면을 구성하는 메뉴 항목, 아이콘, 소프트키 등은 물론이고 화면에 출력되는 모든 영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웹브라우져 화면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검색어 입력 창, 실시간 정보, 서비스 메뉴 항목, 즐겨찾기 메뉴 등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이하 설명에서 화면 재생률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횟수로 출력 버퍼로의 접근 횟수를 의미하고,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110), 프로세서(processor) 유닛(100), 통신 유닛(130), 외부 포트(140), 오디오 IC(Integrated Circuit) 유닛(150), 스피커(160), 마이크로폰(170),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80), 터치스크린(190),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91),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120), 영상 처리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8)를 포함한다.
메모리(110)와 외부 포트(14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processor) 유닛(100)은 메모리 제어기(101), 프로세서(processor)(102) 및 주변 인터페이스(10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30)은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or)(132)와 RF IC 유닛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Unit)(131)을 포함하고, 입출력 시스템(180)은 터치스크린 제어기(181)와 기타 입력 제어기(182)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참조번호 미기재)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는 한 가지 예이며,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구성요소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도시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configuration)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configuration element)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는 디스플레이부(128)를 통해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예;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저장부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111),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12),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1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115)을 포함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111)은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과 같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11)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12)은, RF IC 유닛(131)이나 외부 포트(140)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은 터치스크린(19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더하여,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은 디스플레이부(128)에 출력된 정적 화면에 대하여 동적 화면의 화면 재생률보다 낮은 화면 재생률을 설정하고, 설정된 화면 재생률에 맞게 화면을 출력시킨다.
더하여,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정보(프로세서 처리량,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의 사용 여부, 하드웨어 가속기의 사용 여부 등)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시키고, 변경된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시킨다. 이는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많거나 그래픽 프로세서가 동작하는 경우 동적인 화면이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15)는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 리케이션, 부호화(coding),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음악 플레이어(music player)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00)은 메모리 제어기(101), 프로세서(processor)(102) 및 주변 인터페이스(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01)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제어기(101), 프로세서(102) 및 주변 인터페이스(103)는 단일 칩 또는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101)는 프로세서(102) 또는 주변 인터페이스(10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인터페이스(103)는 전자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02) 및 메모리(110)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저장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통신 모듈(130)은 RF(Radio Frequency) 처리부(131) 및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or)(132)를 포함한다.
RF 처리부(131)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RF 처리부(131)는 기저대역 처리부(132)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RF 처리부(131)는 안테나를 통해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부(132)로 전송한다. 여기서, RF 처리부(131)는 RF 트랜시버(transceiver), 증폭기(amplifier), 튜너(tunor), 오실레이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 칩셋(COding DECoding chip set),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한다.
외부 포트(140)는 전자 장치가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포트(140)는 USB 또는 FIREWIRE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eaker)(160) 및 마이크로폰(170)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 시스템(160)은 터치 스크린(190)과 기타 입력/제어 장치(191)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10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타 입력 제어기(182)는 다수 개일 수 있으며, 기타 입력/제어장치(191)와 전기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타 입력/제어장치(191)는 버튼(button), 다이얼(dial), 스틱(stick), 스위치(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로커 버튼(rocker button) 등이 사용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에 전달하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같은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DMA 제어기(120)는 메모리 또는 출력 버퍼로의 접근을 제어한다. 즉, 설정된 화면 재생률에 맞게 메모리 또는 출력 버퍼로 접근하도록 한다. 일 예로, DMA 제어기(120)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보다 적은 횟수로 메모리에 접근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한 후, 영상 처리부(122)로 제공한다. 이때, DMA 제어기(120)은 획득한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의 출력 버퍼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2)는 출력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출력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8)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22)는 동적으로 변경되는 화면 재생률에 맞게 출력 버퍼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128)에 출력하는 것으로, 동적인 화면보다 정적인 화면을 낮은 속도로 디스플레이부(128)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8)는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8)는 영상 처리부(122)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2)의 화면 판단부(124)는 디스플레이부(128)에 출력된 화면이 정적인 화면인지 또는 동적인 화면인지 판단하고, 재생률 변경부(126)는 화면 판단부(124)의 판단 결과 또는 전자 장치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정보(프로세서 처리량, 그래픽 프로세서의 사용 여부, 하드웨어 가속기의 사용 여부 등) 등을 이용하여 화면 재생률을 변경한다.
일 예로, 재생률 변경부(126)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임계값 이상의 프로세서 처리량을 확인한 경우,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재생률 변경부(126)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래픽 프로세서가 동작함을 확인한 경우,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재생률 변경부(126)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을 위한 하드웨어 가속기가 동작함을 확인한 경우,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화면 판단부(124) 및 재생률 변경부(126)의 역할은 영상 처리부(122)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부(122)는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낮은 화면 재생률을 설정하여 화면을 출력시키고, 동적인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낮은 화면 재생률을 높게 변경시키도록 처리한다. 이때, 정적인 화면은 사용자의 입력(키입력, 터치 입력), 하드웨어 동작(그래픽 프로세서, 하드웨어 가속기)에 따라 동적인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먼저 201단계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 후, 203단계로 진행하여 재생률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201단계는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메뉴 출력 화면)과 같이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동적인 화면(예; 동영상 재생 화면,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재생률 제어 정보는 출력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이벤트 판단에 해당하는 정보로, 출력된 화면에 대한 정보, 프로세서의 처리량, 실행되는 프로세서의 종류, 사용되는 코덱 정보, GPU를 통한 하드웨어 가속, 하드웨어 가속기 이용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저주파수(LF: Low Frequency)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한지 또는 고주파수(LF: High Frequency)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한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재생률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품질 저하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변경된 재생률로 전자 장치는 정적인 화면(예;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한 화면, 브라우져를 출력한 화면 등)에 대하여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재생률을 설정할 수 있다. 더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재생률은 화면 출력에 최적화된 재생률로 전자 장치는 동적인 화면(예; 동영상 재생 화면, 페이지 전환되는 화면 등)에 대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재생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낮은 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 화면의 페이지가 변경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고, 반대로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의 처리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동적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205단계는 전자 장치에 출력된 화면이 정적인 화면인지 또는 동적인 화면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만일, 205단계에서 정적인 화면이 출력되어 저주파수(LF)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의 초당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모든 화면(정적인 화면 및 동적인 화면)에 대하여 고정적인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나 본 발명에서는 정적인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동적인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보다 낮은 화면 재생률을 설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205단계에서 동적인 화면이 출력되어 고주파수(HF)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의 초당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화면 재생률 고주파수로 설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위와 같이 화면 재생률을 설정한 전자 장치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화면 출력 동작을 종료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211단계에서 화면 출력 동작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211단계에서 화면 출력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적인 화면 재생률을 설정하는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전자 장치는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출력 화면을 전환시키는 경우에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고,
2) 전자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시 중지하는 경우에는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할 수 있다.
3) 전자 장치에서 프로세서의 처리량 많거나 그래픽 프로세서(GPU), 그래픽 프로세서에 의한 하드웨어 가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더라도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은 30Hz,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은 60Hz로 가정할 경우, 전자 장치는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 버퍼 또는 메모리로 30번 접근하여 출력 화면에 대한 프레임을 획득하여 출력하고,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 버퍼 또는 메모리로 60번 접근하여 출력 화면에 대한 프레임을 획득하여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고정적으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보다 전력 소모를 줄어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적인 화면은 출력 화면의 모든 객체가 움직이지 않는 정지 화면이 될 수 있고, 더하여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움직임이 적은 화면이 될 수 있다. 즉, 실시간 정보(예; 날씨, 주식 정보 등)에 대항하는 객체가 갱신되는 웹 브라우져 화면은 동적인 화면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웹 브라우져 화면에 대하여도 정적인 화면으로 정의하여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보다 낮은 화면 재생률(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 및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은 수치로 정의할 수 있으나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은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보다 낮은 값이고,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은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보다 높은 값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품질 저하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정적인 화면과 동적인 화면이 동일한 화면 재생률로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먼저 301단계에서 저주파수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설정한 후, 303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는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화면 재생률로 설정하는 것으로, 일 예로, 전자 장치는 부팅시 초기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03단계는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예; 메뉴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은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터치 스크린 입력, 키패드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은 페이지 이동, 화면 확대/축소,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으로 기 출력된 정적인 화면이 동적인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만일, 305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시키는 과정을 재수행한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출력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으로의 접근 횟수를 줄이는 것이다.
한편, 305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로 설정된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의 재생률로 설정(변경)한 후, 30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터치 릴리즈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311단계에서 터치 릴리즈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하면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한다.
한편, 311단계에서 터치 릴리즈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는 기능이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313단계는 터치 릴리즈가 발생한 후에도 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할 것인지 파악하는 과정이 된다.
만일, 313단계에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는 기능이 실행됨을 확인할 경우, 전자 장치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한 후, 317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한다. 이는 전자 장치가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가 될 수 있다.
한편, 313단계에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전자 장치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설정한 후, 321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다. 이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화면 넘김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변경한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먼저 401단계에서 저주파수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설정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는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화면 재생률로 설정하는 것으로, 일 예로, 전자 장치는 부팅시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03단계는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예; 메뉴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그래픽 프로세서의 정보를 확인한 후, 407단계로 진행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한지 확인한다. 이는 동적인 화면을 출력시키는 그래픽 프로세서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407단계는 그래픽 프로세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동적인 화면이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만일, 407단계에서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로 설정된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의 재생률로 설정(변경)한 후, 411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409단계에서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한 후, 415단계로 진행하여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다.
위와 같이 그래픽 프로세서의 동작에 따라 화면 재생률을 변경한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에서는 동적인 화면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그래픽 프로세서의 동작 정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처리량, 그래픽 프로세서의 동작에 따른 하드웨어 가속, 하드웨어 가속기 이용 여부에 따라 동적인 화면의 출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도 5(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3)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501)할 경우,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refresh rate)을 설정(507)한다. 만일,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30Hz일 경우, 영상 처리부(505)는 1초동안 30번 DMA(5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할 경우에도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사용한다. 만일,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60Hz일 경우, 일반적인 전자 장치의 영상 처리부는 1초동안 60번 DMA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며, 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도 5(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3)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501)에서 사용자의 입력(510)을 감지할 경우,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변경(512)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505)는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에 맞게 DMA(5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3)에 출력시킨다.
만약, 전자 장치는 도 5(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3)에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릴리즈(520)를 감지할 경우,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변경(522)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505)는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에 맞게 DMA(5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3)에 출력시킨다. 즉, 전자 장치는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여 동적인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03)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601)할 경우,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refresh rate)을 설정(607)한다. 만일,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30Hz일 경우, 영상 처리부(605)는 1초동안 30번 DMA(6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할 경우에도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사용한다. 만일,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이 60Hz일 경우, 일반적인 전자 장치의 영상 처리부는 1초동안 60번 DMA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며, 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03)에 정적인 화면을 출력한 상태(601)에서 사용자의 입력(610)을 감지할 경우,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변경(612)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605)는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에 맞게 DMA(6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603)에 출력시킨다.
만약, 전자 장치는 도 6(c)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가속기가 동작(620)(예; 동영상 재생)되는 경우, 영상 처리부(또는 영상 처리부의 재생률 변경부)에서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을 유지(622)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605)는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에 맞게 DMA(606)에 접근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603)에 출력시킨다.
이상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가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 또는 고주파수로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화면 재생률을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 한 후, 출력 화면, 사용자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등급의 화면 재생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에 대한 재생률(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먼저 701단계에서 저주파수를 이용하여 출력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설정한 후,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화면 재생률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재생률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에서, 재생률 제어 정보는 출력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이벤트에 해당하는 정보로, 출력된 화면에 대한 정보, 프로세서의 처리량, 실행되는 프로세서의 종류, 사용되는 코덱 정보, GPU를 통한 하드웨어 가속, 하드웨어 가속기 이용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재생률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이는 출력 화면이 정적인 화면에서 동적인 화면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705단계에서 화면 재생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하면서 정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705단계에서 화면 재생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화면 재생률을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설정(변경)한 후, 70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변경)된 화면 재생률로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즉, 전자 장치는 화면 재생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정적인 화면을 출력시키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713단계로 진행하여 동작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타이머는 변경된 화면 재생률을 유지하는 시간으로, 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거나 바로 종료되는 것이 아님으로 일정 시간 동안은 변경된 화면 재생률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만일, 713단계에서 동작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721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처리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한 후, 713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이는 화면 재생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후, 출력 화면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에 화면 재생률 변경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도 동적인 화면을 출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713단계에서 동작된 타이머가 만료됨을 확인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721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한다.
만일, 715단계에서 영상 처리부가 동작 중임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유지한 후, 719단계로 진행하여 동적인 화면을 출력시킨다.
한편, 715단계에서 영상 처리부가 동작 중이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723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고주파수의 화면 재생률을 저주파수의 화면 재생률로 변경한 후, 725단계로 진행하여 정적인 화면을 출력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프로세서 유닛 110: 메모리 122: 영상 처리부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제 1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제 2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더라도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1 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 2 값보다 높고 상기 제 1 값보다 낮은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처리량,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의 사용 여부, 하드웨어 가속기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의 크기 변경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 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은 상기 제 2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제 1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제 2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더라도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1 값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 2 값보다 높고 상기 제 1 값보다 낮은 범위에 포함되는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시스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처리량,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의 사용 여부, 하드웨어 가속기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 크기 변경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 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을 상기 제 2 값보다 높게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인 영상 데이터 에 대한 화면 재생률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은 상기 제 2 값으로 설정되는 동안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화면 재생률은 상기 제 2 값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19308A 2012-02-24 2012-02-24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4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08A KR101941508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08A KR101941508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66A KR20130097566A (ko) 2013-09-03
KR101941508B1 true KR101941508B1 (ko) 2019-04-12

Family

ID=4944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308A KR101941508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2619B (zh) * 2020-05-03 2023-11-10 渴创技术(深圳)有限公司 基于软件类型和鼠标指针位置自动降低扩展屏幕刷新频率方法
KR20220017296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4047A (ja) * 2002-05-27 2005-11-10 セン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のリフレッシュレートを制御するイメージ又は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KR100890841B1 (ko) * 2006-03-23 2009-03-27 원 랩탑 퍼 차일드 어소시에이션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유닛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셀프 리프레싱디스플레이 컨트롤러
US8451279B2 (en) * 2006-12-13 2013-05-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justing a refresh rate of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66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71121B (zh) 一种应用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11866433B (zh) 视频源切换方法、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162254B (zh) 一种显示方法和终端设备
CN107257510B (zh) 视频统一播放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59098B (zh) 数据更新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9407920B (zh) 一种状态图标显示方法、状态图标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9558046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7808107B (zh) 一种应用消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7734172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3613064B (zh) 视频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9101151B (zh) 一种信息显示处理方法及终端设备
KR100630150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방법
CN111083568A (zh) 视频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806826A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270853B (zh) 一种消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196781B (zh) 界面的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11158815B (zh) 一种动态壁纸模糊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53262B (zh) 帧显示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795021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908342B (zh) 一种显示消息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089935B (zh) 一种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移动终端
CN112612552B (zh) 应用程序资源加载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941508B1 (ko) 전자 장치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748970B (zh) 消息的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1694536A (zh) 音频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