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473B1 - Can opener - Google Patents

Can op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473B1
KR101941473B1 KR1020170139038A KR20170139038A KR101941473B1 KR 101941473 B1 KR101941473 B1 KR 101941473B1 KR 1020170139038 A KR1020170139038 A KR 1020170139038A KR 20170139038 A KR20170139038 A KR 20170139038A KR 101941473 B1 KR101941473 B1 KR 10194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arm
open
state
open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룡
Original Assignee
권오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룡 filed Critical 권오룡
Priority to KR102017013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4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opener including: a body; and an open arm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in the body and equipped with a ring insertion part inserted toward the inside of an open ring of a can to an outside on an end. The body includes: a minimal restrictive wall and a maximal restrictive wall restricting a rotation displacement of the open arm to be rotatable from a state of minimally bending to a state of maximally unfolding in the body; and a detent device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n arm in a state of minimally bending about the body.

Description

캔 오프너{CAN OPENER}Can Opener {CAN OPENER}

본 발명은 캔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용 고리가 구비된 캔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캔 오프너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op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 opener that allows a can provided with an open can to be opened more easily.

각종 음식물 등이 포장되어 있는 다양한 통조림 캔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캔 중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캔을 오픈하여 그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캔의 상측면에 오픈용 고리를 구비하고 있다.Various canned cans packed with various foods and the like are distributed in the market. In the can, a user can open the can without having a separate mechanism, and an open loop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used have.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오픈용 고리를 구비한 캔을 예시한 것으로서, 통상 사용자는 상기 캔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오픈용 고리를 들어올리고 당기는 조작으로 캔의 상측면을 뜯어내어 오픈하게 된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an having an opening ring as described above. Normally, a user lifts the opening r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n to pull out the upper side of the can to open the can.

그러나, 상기 오픈용 고리는 캔의 상측면에 거의 평행한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오픈용 고리와 상측면 사이에 틈새가 좁아서, 이를 들어올리는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고리를 들어올리려는 조작 시 손톱이 찢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since the open ring is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can, and the gap between the open ring and the upper side is narrow,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ring is not easy. In addition, An accident such as tearing or breaking of the nails may occur during operation.

또한, 일단 고리를 들어올린 후 고리를 당겨서 상기 캔의 상측면을 뜯어내려면 캔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리에 상당한 힘을 주어 당겨야 하는데, 어린이나 여성 및 노인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조작에 체력적 부담이 느껴지게 되고, 또한, 캔의 상측면이 뜯겨져서 오픈되도록 하는 힘이 상기 고리를 통해서만 전달되어야 하는 상황이므로 고리를 당기는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기 쉽고, 이러한 통증 등으로 주의가 분산되어 캔을 잘못 잡거나 하면 바로 해당 부위가 베이는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높다. In addition, once lifting the hook and pulling the hook to pull out the upper side of the can, it is necessary to pull the hook with a strong force on the hook while holding the can. In the case of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In addition, since the force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to be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loop, it is easy to feel pain in the finger pulling the loop, There is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the bay.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ve concep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it is a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KR 1020170056336 AKR 1020170056336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리를 들어올리는 불편함과 고리를 잡아당겨서 캔의 상측면을 뜯어내는 동안 사용자의 손에 과도하게 힘이 집중되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게 캔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 캔 오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diaper comprising: So that the can can be opened comfortably and safe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캔 오프너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바디;body;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캔의 오픈용 고리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끼워지는 고리끼움부를 일단에 구비한 오픈암;으로 구성되고;And an open arm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provided with an annular fitting portion at one end which is fitte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opening ring of the can;

상기 바디에는 상기 오픈암이 상기 바디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펴진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오픈암의 회전 변위를 제한하는 최소제한벽 및 최대제한벽이 구비되며;Wherein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inimum restricting wall and a maximum restricting wall for restricting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open arm such that the open arm is rotatable from a minimum bending state to a maximally exten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ody;

상기 오픈암이 바디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 디텐트기구A detent mechanism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n arm in a state of minimally bending with respect to the body;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상기 바디는 'ㄱ'자형으로 형성되고;The body is formed in an " a "shape;

상기 오픈암은 타단이 상기 바디의 'ㄱ'자형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고정되고, 상기 바디보다 작은 'ㄱ'자형을 이루어 형성되며;The open arm is hinged at one end of the 'a' -shaped shape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a smaller shape than the body;

상기 고리끼움부는 상기 오픈암의 일단부가 상기 'ㄱ'자형 내측으로 더욱 구부러진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annular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open arm is incl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A' shape.

상기 오픈암이 고정된 쪽의 상기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오픈암이 위치한 반대쪽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인 안착되기 편안하게 파지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grip protrusion may be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end of the body on the side where the open arm is fixed so that the user's finger is se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 arm.

상기 디텐트기구는The detent mechanism

상기 오픈암의 타단부에 형성된 디텐트홈과;A detent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상기 오픈암의 타단부가 회동되는 주변의 상기 바디에 형성된 디텐트돌기와;A detent projection formed on the body around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상기 디텐트돌기가 형성된 부위가 상기 오픈암의 회동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텐트돌기가 형성된 부위를 탄성플레이트 상태로 만들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탄성형성홀;An elastic forming hole formed in the body so that a portion where the detent projection is forme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open arm is rotated, the portion having the detent projection formed into an elastic plate state;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상기 오픈암이 바디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 까지는 최소 85도 이상의 회전 변위를 가지도록 상기 최소제한벽 및 최대제한벽이 구비되며;The minimum limiting wall and the maximum limiting wall are provided to have a rotational displacement of at least 85 degrees from the minimum bending state to the maximum unfolding state of the open arm with respect to the body;

상기 오픈암의 고리끼움부가 캔의 오픈용 고리를 캔의 상측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지지점 역할을 하도록 오픈암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pen end of the open arm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of the open arm to serve as a fulcrum when lifting the open ring of the ca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n.

본 발명은 고리를 들어올리는 불편함과 고리를 잡아당겨서 캔의 상측면을 뜯어내는 동안 사용자의 손에 과도하게 힘이 집중되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게 캔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convenience of lifting the hook and opening of the can while comfortably and safely opening the can by preventing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force on the user's hand while pulling the hook and tearing the top surface of the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오프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오픈암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캔 오프너의 오픈암이 최대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캔 오프너로 캔을 오픈하는 상황을 설명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an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en arm is bent at a minimum,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 arm of the can opener of FIG. 1 is fully opened; FIG.
Figs.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an is opened by the can op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캔 오프너(1)의 실시 예는 바디(3)와, 상기 바디(3)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캔의 오픈용 고리(9)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끼워지는 고리끼움부(5)를 일단에 구비한 오픈암(7)으로 구성된다.1 to 5, an embodiment of a can ope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3, and a can body 3,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3, And an open arm 7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n annular fitting portion 5 to be fitted toward the other end.

즉, 본 발명 캔 오프너(1)는 바디(3)와 오픈암(7)의 회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구성되어, 캔을 오픈하는 동작 중에 상기 바디(3)에 대한 오픈암(7)의 회전이 수반되어 용이하게 캔을 오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can ope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body 3 and the open arm 7 so that the rotation of the open arm 7 with respect to the body 3 during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can So that the can can be easily opened.

상기 바디(3)에는 상기 오픈암(7)이 상기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펴진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오픈암(7)의 회전 변위를 제한하는 최소제한벽(11) 및 최대제한벽(13)이 구비되고, 상기 오픈암(7)이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 디텐트기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dy 3 is provided with a minimum restricting wall 11 for restricting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open arm 7 such that the open arm 7 is rotatable from a state of being minimally bent relative to the body 3 to a state of being maximally expanded And a detent mechanism 15 equipped with a maximum limiting wall 13 and resiliently supporting the open arm 7 in a state of minimum bending with respect to the body 3.

상기 오픈암(7)이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 까지는 최소 85도 이상의 회전 변위를 가지도록 상기 최소제한벽(11) 및 최대제한벽(13)이 구비되며, 상기 오픈암(7)의 고리끼움부(5)가 캔의 오픈용 고리(9)를 캔의 상측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지지점 역할을 하도록 오픈암(7)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7)를 더 구비한 구조이다.The minimum limiting wall 11 and the maximum limiting wall 13 are provided so as to have a rotational displacement of at least 85 degrees from the minimum bending state to the maximum unfolding state of the open arm 7 with respect to the body 3, The annular fitting portion 5 of the open arm 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7 protruding outward of the open arm 7 so as to serve as a support point when lifting the open ring 9 of the ca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n, .

실질적으로, 상기 오픈암(7)은 상기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까지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fact, the open arm 7 is configured to be rotated about 90 degrees from the minimum bending state to the maximum un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ody 3.

상기 바디(3)는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픈암(7)은 타단이 상기 바디(3)의 'ㄱ'자형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9)로 고정되고, 상기 바디(3)보다 작은 'ㄱ'자형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고리끼움부(5)는 상기 오픈암(7)의 일단부가 상기 'ㄱ'자형 내측으로 더욱 구부러진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픈암(7)의 'ㄱ'자 형상 중 큰 변이 상기 바디(3)의 'ㄱ' 형상 중 작은 변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is fixed to the one end of the body 3 by a hinge 19 so that the body 3 3), and the annular portion 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pen arm 7 so as to be incl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A' shape. At this time, a larger side of the 'a' shape of the open arm 7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 smaller side of the 'a' shape of the body 3.

실질적으로 상기 고리끼움부(5)는 캔의 상측면에 대해 거의 평행한 상태의 오픈용 고리(9)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얇고 뾰족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annular fitting portion 5 is formed into a thin and pointed U-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be easily fitted in the opening ring 9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상기 오픈암(7)이 고정된 쪽의 상기 바디(3)의 단부에는 상기 오픈암(7)이 위치한 반대쪽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기 편안하게 파지돌기(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The grip protrusion 21 is integrally protruded on the end of the body 3 on the side where the open arm 7 is fixed so that the user's finger is easily se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 arm 7.

상기 디텐트기구(15)는 상기 오픈암(7)의 타단부에 형성된 디텐트홈(23)과; 상기 오픈암(7)의 타단부가 회동되는 주변의 상기 바디(3)에 형성된 디텐트돌기(25)와; 상기 디텐트돌기(25)가 형성된 부위가 상기 오픈암(7)의 회동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텐트돌기(25)가 형성된 부위를 탄성플레이트 상태로 만들도록 상기 바디(3)에 형성된 탄성형성홀(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tent mechanism 15 includes a detent groove 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A detent projection (25)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body (3) where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is rotated; In order to elastically deform the portion where the detent projection 25 is formed when the open arm 7 rotates, the body 3 And an elasticity-forming hole 27 formed in the elastic layer 27. [

즉, 상기 바디(3)에 형성된 탄성형성홀(27)에 의해 상기 디텐트돌기(25)가 형성된 바디(3)의 일부가 바디(3) 자체와는 별도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상기 오픈암(7)의 회동 시 변형을 흡수하고 상기 디텐트돌기(25)가 상기 디텐트홈(23)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That is, part of the body 3 formed with the detent projection 25 is elastically deformed separately from the body 3 by the elastic formation hole 27 formed in the body 3, 7 so that the detent protrusions 25 ar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detent grooves 23.

이는 디텐트기구(15)를 구성하기 위해 별도의 스프링 등을 구비하지 않고 자체적인 구조와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저감 및 원가 저감의 효과를 가져온다.The detent mechanism 15 does not have a separate spring or the like and implements the same function using its own structur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cost.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캔 오프너(1)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can ope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캔의 오픈용 고리(9)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리끼움부(5)를 외측을 향해 끼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nular fitting portion 5 is fitt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opening ring 9 of the can.

이때 상기 오픈암(7)은 바디(3)에 대해 최대한 펼쳐져 있는 상태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3)와 오픈암(7) 및 상기 오픈암(7)의 고리끼움부(5)는 대체로 도 6과 같은 3각형 고리(9) 형상으로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고리끼움부(5)를 캔의 오픈용 고리(9)에 끼울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 arm 7 is fully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body 3, and the body 3, the open arm 7 and the annular portion 5 of the open arm 7 are substantially extended 6,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t the annular fitting portion 5 into the opening ring 9 of the can.

상기와 같이 고리끼움부(5)가 고리(9)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3)를 전체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캔의 오픈용 고리(9)를 들어올리도록 하여 캔을 오픈한다.4, the user can rotate the body 3 as a whole to lift up the opening ring 9 of the can, so that the can is opened Open.

이때, 상기 지지돌기(17)는 상기 고리(9)를 들어올리는 지지점 역할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17 serves as a support point for lifting the ring 9.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캔은 일부분 오픈되지만, 최종적으로 캔의 상측면을 완전히 뜯어내어 분리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상기 바디(3)를 도 4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5, the body 3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se of FIG. 4,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n. .

이때 상기 디텐트기구(15)에 의해 상기 오픈암(7)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때까지 바디(3)를 회전시킨다.At this time, the body 3 is rotated by the detent mechanism 15 until the open arm 7 can be kept at the minimum bending state.

도 5는 이와 같이 바디(3)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상기 바디(3)의 파지돌기(21)에 손가락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바디(3)의 타단을 지지대 삼아 상기 바디(3)를 회전시키면서 당기면 상기 캔의 상측면이 뜯겨져서 캔을 완전히 오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dy 3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finger 3 is positioned on the gripping projection 21 of the body 3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3 is supported by the body 3 The upper side of the can is torn to open the can completel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캔 오프너(1)는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캔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이 베이거나 하는 안전 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n ope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open the can with relatively simple and easy operation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캔 오프너
3; 바디
5; 고리끼움부
7; 오픈암
9; 고리
11; 최소제한벽
13; 최대제한벽
15; 디텐트기구
17; 지지돌기
19; 힌지
21; 파지돌기
23; 디텐트홈
25; 디텐트돌기
27; 탄성형성홀
One; Can opener
3; body
5; Ring portion
7; Open arm
9; ring
11; Minimum limiting wall
13; Maximum limiting wall
15; Detent mechanism
17; Support projection
19; Hinge
21; Phalanx
23; Detent home
25; Detent projection
27; Elastic forming hole

Claims (5)

바디(3);
상기 바디(3)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캔의 오픈용 고리(9)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끼워지는 고리끼움부(5)를 일단에 구비한 오픈암(7);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3)에는 상기 오픈암(7)이 상기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펴진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오픈암(7)의 회전 변위를 제한하는 최소제한벽(11) 및 최대제한벽(13)이 구비되며;
상기 오픈암(7)이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 디텐트기구(15)를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기구(15)는, 상기 오픈암(7)의 타단부에 형성된 디텐트홈(23)과;
상기 오픈암(7)의 타단부가 회동되는 주변의 상기 바디(3)에 형성된 디텐트돌기(25)와; 상기 디텐트돌기(25)가 형성된 부위가 상기 오픈암(7)의 회동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텐트돌기(25)가 형성된 부위를 탄성플레이트 상태로 만들도록 상기 바디(3)에 형성된 탄성형성홀(2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캔 오프너.
A body 3;
And an open arm 7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3 and provided with an annular fitting portion 5 which is fitt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opening ring 9 of the can at one end;
The body 3 is provided with a minimum restricting wall 11 for restricting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open arm 7 such that the open arm 7 is rotatable from a state of being minimally bent relative to the body 3 to a state of being maximally expanded ) And a maximum restricting wall (13);
And a detent mechanism (15)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n arm (7) in a state of being minimally bent with respect to the body (3)
The detent mechanism 15 includes a detent groove 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A detent projection (25)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body (3) where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is rotated; In order to elastically deform the portion where the detent projection 25 is formed when the open arm 7 rotates, the body 3 (27) formed on the base
And a can ope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3)는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픈암(7)은 타단이 상기 바디(3)의 'ㄱ'자형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9)로 고정되고, 상기 바디(3)보다 작은 'ㄱ'자형을 이루어 형성되되, 상기 오픈암(7)의 'ㄱ'자 형상 중 큰 변이 상기 바디(3)의 'ㄱ' 형상 중 작은 변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끼움부(5)는 상기 오픈암(7)의 일단부가 상기 'ㄱ'자형 내측으로 더욱 구부러진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캔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3) is formed in an a-shape;
The other end of the open arm 7 is fixed to the one end of the body 3 by a hinge 19 so as to be rotatable and is formed in a smaller shape than the body 3, The larger one of the 'a' shape of the open arm 7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maller one of the 'a' shape of the body 3;
The annular portion 5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open arm 7 is incl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 a "
And a can open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픈암(7)이 고정된 쪽의 상기 바디(3)의 단부에는 상기 오픈암(7)이 위치한 반대쪽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기 편안하게 파지돌기(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캔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2,
A grip protrusion 21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body 3 on the side where the open arm 7 is fixed so that the user's finger is se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 arm 7
And a can open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암(7)이 바디(3)에 대해 최소로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 까지는 최소 85도 이상의 회전 변위를 가지도록 상기 최소제한벽(11) 및 최대제한벽(13)이 구비되며;
상기 오픈암(7)의 고리끼움부(5)가 캔의 오픈용 고리(9)를 캔의 상측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지지점 역할을 하도록 오픈암(7)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7)를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캔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nimum limiting wall 11 and the maximum limiting wall 13 are provided such that the open arm 7 has a rotational displacement of at least 85 degrees from the minimum bending state to the maximum sprea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body 3;
The annular fitting portion 5 of the open arm 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7 protruding outward of the open arm 7 so as to serve as a support point when lifting the open ring 9 of the ca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n, Further comprising
And a can opener.
KR1020170139038A 2017-10-25 2017-10-25 Can opener KR101941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38A KR101941473B1 (en) 2017-10-25 2017-10-25 Can op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38A KR101941473B1 (en) 2017-10-25 2017-10-25 Can ope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473B1 true KR101941473B1 (en) 2019-01-24

Family

ID=6527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38A KR101941473B1 (en) 2017-10-25 2017-10-25 Can ope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4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397U (en) * 1989-03-10 1990-09-20
KR200272086Y1 (en) * 2001-05-22 2002-04-13 김명선 Bottle opener with a billboard
JP3164733U (en) * 2010-09-24 2010-12-16 公子 西川 Pull top opener
JP2016094237A (en) * 2014-11-17 2016-05-26 文比古 大越 Full-open end can opener
KR20170056336A (en) 2015-11-13 2017-05-23 김향미 Circular ring opener for beverage ca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397U (en) * 1989-03-10 1990-09-20
KR200272086Y1 (en) * 2001-05-22 2002-04-13 김명선 Bottle opener with a billboard
JP3164733U (en) * 2010-09-24 2010-12-16 公子 西川 Pull top opener
JP2016094237A (en) * 2014-11-17 2016-05-26 文比古 大越 Full-open end can opener
KR20170056336A (en) 2015-11-13 2017-05-23 김향미 Circular ring opener for beverage c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18316A (en) Cosmetic container
HK1016414A1 (en) Package closure and package preparation
KR101941473B1 (en) Can opener
MY139669A (en) Push-up dispenser
US4765208A (en) Devices facilitating a quick and trouble-free opening of beer and other beverage cans
JP2000185736A (en) Can container with pull-tab
KR100302638B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JP3191038U (en) Cane with stand
KR100869636B1 (en) safe vessel
KR101713485B1 (en) Easy open lid
KR200293478Y1 (en) An apparatus for fixing a front door
KR200206679Y1 (en) A can having lift protrusion the use of knob
JPH09290827A (en) Easily raiseable tab for can
US1218884A (en) Can-opener.
JP2006290572A (en) Tape cutter
KR200174376Y1 (en) Can with a ring
JPH086795Y2 (en) Bottle opener
KR200289208Y1 (en) Door-ring can lid
JP2008174276A (en) Lid opening implement for pull-top container
KR20230063509A (en) Sticker with cloth to help open the wrapper
JP2019031310A (en) Can opening tool
KR101029832B1 (en) Closing prevent apparatus for door equipped with automatic reversible stopper
KR200312171Y1 (en) Structure of can end
JP2001323710A (en) Door stopper
JPH11218115A (en) 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