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13B1 - Scree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cree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913B1
KR101940913B1 KR1020170086269A KR20170086269A KR101940913B1 KR 101940913 B1 KR101940913 B1 KR 101940913B1 KR 1020170086269 A KR1020170086269 A KR 1020170086269A KR 20170086269 A KR20170086269 A KR 20170086269A KR 101940913 B1 KR101940913 B1 KR 10194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screen
display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8297A (en
Inventor
히로유키 야마모토
다이키 니시라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된 콘텐츠를 복수개 기억하는 기억부(1)와, 윈도우(100)를 콘텐츠 페인(102) 및 유틸리티 페인(104)을 포함하는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는 설정부(2)와, 기억부(1)로부터 콘텐츠를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4)와,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관련 정보 표시부(6)를 구비하고, 콘텐츠 표시부(4)는,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의해 표시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for manipulating other content related to the main content.
A setting unit 2 for dividing the window 100 into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a content pane 102 and a utility pane 104; A content display section 4 for reading a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nd displaying the read content on the content pane 102; And a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for displaying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point on the utility pane 104.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displays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And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s requested, the content is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1 and displayed on the content pay-in 102. [

Figure 112017065105818-pat00001
Figure 112017065105818-pat00001

Description

화면 표시 장치{SCREEN DISPLAY DEVICE}[0001] SCREEN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종래부터, 하나의 윈도우를 내부 프레임에 따라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종 화면의 표시를 하는 GUI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각각 상이한 복수의 윈도우를 링크 표시시키는 GUI도 알려져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 GUI is known in which one window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ccording to an internal frame, and various screens are display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Also known is a GUI for link-displaying a plurality of different windows.

이러한 GUI에서는, 메인 표시 영역 또는 메인 윈도우에 표시되어 있는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설정 또는 변경 등)를 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다른 표시 영역 또는 다른 윈도우에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우수한 조작성을 발휘할 수 있다.In this GUI, a menu screen for performing some processing (setting or changing) on the main content displayed in the main display area or the main window is displayed in another display area or another window. As a result, excellent operability can be exerted when a certai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main content.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951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89514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0681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206816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는 이루어지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display for manipul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main content is not performed.

한편, 빌딩, 공장 또는 플랜트 등의 I/O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서는, 다종 다양한 콘텐츠를 순차 전환하면서 확인 작업을 행하고 있다. 예컨대, 어떤 하나의 감시 포인트에 이상이 발견된 경우에는, 그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콘텐츠(서머리 그래프, 타임 스케줄, 이벤트 프로그램 등)를 순차 확인한다. 이러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 경험이 얕아 업무 스킬이 미숙한 베이직 사용자에게, 종래 기술에서는 조작에 익숙해질 때까지 이용하기 어려운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a surveillance system for monitoring an I / O such as a building, a factory, or a plant, various kinds of contents are sequentially switched and a check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any one of the surveillance points, the contents (summary graph, time schedule, event program, etc.) related to the surveillance point are sequentially checked. If this work is necessary, it is difficult to use until the skilled user is familiar with the operation of the basic user who is not skilled at th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를 할 수 있는 화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main content for manipulating other related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된 콘텐츠를 복수개 기억하는 기억부와, 윈도우를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는 설정부와, 기억부로부터 콘텐츠를 읽어내어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기억부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제1 표시부는,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읽어내어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다.A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information indicating an object, a setting unit for dividing the window into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 first display unit for reading the content and displaying it on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generating related information representing another content related to the object from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s request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display unit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area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main content for manipulating other related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윈도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 표시부에 의해 유틸리티 페인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설정부에 의한 윈도우의 설정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표시 영역에 대한 변경 조건과, 윈도우를 축소 및 확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 표시부에 의해 유틸리티 페인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indow set by the sett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window setting change by the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diagrams showing a change condition for each display area, to be.
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화면 표시 장치는, 빌딩, 공장 또는 플랜트 등의 시설에 있어서의 I/O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탑재되어, 감시 포인트(오브젝트)에 관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화면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부(1), 설정부(2), 입력 접수부(3), 콘텐츠 표시부(제1 표시부)(4), 메인 리스트 표시부(5), 관련 정보 표시부(제2 표시부)(6)를 구비한다. 또한, 화면 표시 장치는, 시스템 LSI 등의 처리 회로나, 메모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등에 의해 실현된다.The screen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surveillance system that monitors I / O in a facility such as a building, a factory, or a plant, and displays contents related to the surveillance point (object). 1,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unit 1, a setting unit 2, an input reception unit 3, a content display unit (first display unit) 4, a main list display unit 5, And a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second display section) 6. The screen display device is realized by a processing circuit such as a system LSI or a CPU or the like that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or the like.

기억부(1)는 복수의 콘텐츠를 기억하는 것이다. 이 콘텐츠의 타입(종별)으로서는, 그래픽(서머리 그래프), 차트/트렌드, 포인트, 디바이스, 로그, 스케줄(타임 스케줄), 캘린더, 이벤트 프로그램, 정시 데이터 출력(일월주연보), 수치 연산 제어, 조건 판단 제어, 화재 제어, 정전 및 복전 제어, 전력 디맨드 제어, 외부 움직임정보(移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는, 상기 콘텐츠의 오브젝트인 감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The types of contents (types) of this content are graphical (summarized graph), chart / trend, point, device, log, schedule (time schedule), calendar, event program, Judgment control, fire control, power failure and power failure control, power demand control, and external motion information (transfer). Further, information indicating a monitoring point, which is an object of the content, is associated with the content.

설정부(2)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표시되는 윈도우(100)를,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윈도우(100)를, 타이틀 바(101), 콘텐츠 페인(제1 표시 영역)(102), 메뉴 페인(103) 및 유틸리티 페인(제2 표시 영역)(104)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도 3 참조). 또한, 콘텐츠 페인(102)은,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다. 또한, 메뉴 페인(103)은, 메인 콘텐츠와 동일한 타입의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메인 리스트(메뉴 화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다. 또한, 유틸리티 페인(104)은, 메인 콘텐츠와 동일한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실시형태 1에서는 관련 리스트(110)와 요약 화면(120))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다.The setting unit 2 divides the window 100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not shown) such as a display into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window 100 is divided into the title bar 101, the content pane (first display area) 102, the menu pane 103, and the utility pane (second display area) 104 (See FIG. 3). The content pane 102 is a display area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displayed. The menu pane 103 is a display area in which a main list (menu screen) in which content of the same type as the main content is listed is displayed. The utility pane 104 is a display area in which related information (related list 110 and summary screen 120 in Embodiment 1) indic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same monitoring point as the main content is displayed.

입력 접수부(3)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다.The input accepting unit 3 accepts an input by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콘텐츠 표시부(4)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기억부(1)로부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하는 것이다. 즉, 콘텐츠 표시부(4)는, 메인 리스트 표시부(5)에 의해 표시된 메인 리스트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 표시부(4)는,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의해 표시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실시형태 1에서는, 요약 화면 표시부(62)에 의해 표시된 요약 화면(120)에 대하여 상기 요약 화면(120)이 나타내는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s main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content pane 102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result by the input accepting section 3. [ That is,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main list displayed by the main list display section 5,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s main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content pane 102.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s request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mmary display section 62 displays the summary screen 120) (For example, display of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120 is requested), the content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1 as main content and displayed on the content pane 102. [

메인 리스트 표시부(5)는, 콘텐츠 표시부(4)가 읽어낸 콘텐츠의 타입에 기초해서, 기억부(1)로부터 상기 타입의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메인 리스트를 생성하여 메뉴 페인(103)에 표시하는 것이다.The main list display section 5 generates a main list in which contents of the above type are listed from the storage section 1 based on the type of contents read by the contents display section 4 and displays them on the menu pane 103 will be.

관련 정보 표시부(6)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 관련 정보 표시부(6)는, 실시형태 1에서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 및 요약 화면 표시부(62)를 갖는다.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monitoring poi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when the monitoring poi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s displayed by the contents display section 4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by the input reception section 3 And displays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utility pane 104. FIG.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has a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and a summary screen display section 62 in the first embodiment.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것이다.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the list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nitoring poi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when the monitoring poi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s displayed by the contents display section 4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by the input reception section 3 And displays the related list 110 on the utility pane 104.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기억부(1)로부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것이다. 즉,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에 의해 표시된 관련 리스트(110)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generates a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1 and displays it on the utility pane 104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by the input reception unit 3. That is,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lated list 110 displayed by the related list display unit 61,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generates the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1, (104).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기억부(1)는, 오브젝트인 감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된 콘텐츠를 복수개 기억한다. 또한, 설정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00)를, 타이틀 바(101), 콘텐츠 페인(102), 메뉴 페인(103) 및 유틸리티 페인(104)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관련 정보 표시부(6)가 관련 리스트 표시부(61) 및 요약 화면 표시부(62)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Further, the storage unit 1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surveillance point as the object. The setting unit 2 divides the window 100 into a title bar 101, a content pane 102, a menu pane 103 and a utility pane 104 as shown in Fig. 3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has a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and a summary screen display section 62. FIG.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입력 접수부(3)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201).In the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as shown in Fig. 2, first, the input reception unit 3 judges whether or not the display request of the contents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T201).

이 단계 ST201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부(4)는,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단계 ST202). 즉, 콘텐츠 표시부(4)는, 메인 리스트 표시부(5)에 의해 표시된 메인 리스트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 표시부(4)는, 요약 화면 표시부(62)에 의해 표시된 요약 화면(120)에 대하여 상기 요약 화면(120)이 나타내는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서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 또한, 초회의 표시에서는, 예컨대, 미리 설정된 타입(서머리 그래프 등)의 콘텐츠를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201 that the input accepting section 3 has accepted the display request for the content,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s the main content, (Step ST202). That is,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main list displayed by the main list display section 5,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s main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content pane 102. The content display unit 4 displays the summary screen 120 displayed on the summary screen 120 by the display unit 62.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120 is requested on the summary screen 120 displayed by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As the main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content pane 102. [ In the initial display, for example, the content of a preset type (summary graph, etc.) is displayed.

계속해서, 메인 리스트 표시부(5)는, 콘텐츠 표시부(4)가 읽어낸 콘텐츠의 타입에 기초해서, 기억부(1)로부터 상기 타입의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메인 리스트를 생성하여 메뉴 페인(103)에 표시한다(단계 ST203). 예컨대, 메인 리스트 표시부(5)는, 메인 콘텐츠로서 서머리 그래프가 표시된 경우, 시설 내의 각 층 또는 각 장소 등의 다른 서머리 그래프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폴더를 트리 구조로 표시한다.Subsequently, the main list display section 5 generates a main list in which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type are listed from the storage section 1, based on the type of contents read by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Step ST203). For example, when a summary graph is displayed as the main content, the main list display unit 5 displays a folder in a tree structure, which allows switching to another summarized graph such as each floor or each place in the facility.

계속해서, 입력 접수부(3)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204).Subsequently, the input reception unit 3 judges whether or not the surveillance poi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display unit 4 by the user (step ST204).

이 단계 ST204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가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단계 ST205).If the input reception unit 3 determines that the surveillance point has been selected from the content in the step ST204, the related list display unit 61 displays an association (list) of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surveillance point from the storage unit 1 And displays the list 110 on the utility pane 104 (step ST205).

한편, 단계 ST201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는,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20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201 that the content request for content has not been received, the input receiving unit 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ccepted the display request for the content summary screen 120 (step ST206).

이 단계 ST206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가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단계 ST207). 즉,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에 의해 표시된 관련 리스트(110)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206 that the input accepting unit 3 has accepted the display request for the content summary screen 120,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displays the summary screen of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1 120) and displays it on the utility pane 104 (step ST207). That is,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lated list 110 displayed by the related list display unit 61,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generates the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1, (104).

여기서,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00)를, 콘텐츠 페인(102) 및 유틸리티 페인(104)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윈도우(100) 상에, 메인 콘텐츠와, 메인 콘텐츠의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3, the window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including a content pane 102 and a utility pane 104. In this case, Thus, on one window 100, the main content and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watched point of the main content can be displayed.

또한,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의해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4에서는, 도 4a에 그래픽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도 4b에 차트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며, 도 4c에 스케줄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관련 리스트(110)와, 상기 관련 리스트(110)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a∼도 4c에 도시된 관련 정보는, 유틸리티 페인(104) 상에 일람 표시된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104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in the first embodiment. In Fig. 4, graphical related information is shown in Fig. 4A, related information in the chart is shown in Fig. 4B, and related information of a schedule is shown in Fig. 4C. FIG. 4 also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lated list 110 and the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s selected in the related list 110 are displayed. In addition, the related information shown in Figs. 4A to 4C is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104 as a list.

도 4의 예에서는, 우선,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모든 타입의 관련 리스트(110)를 유틸리티 페인(104)에 일람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관련 리스트(110)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가 선택되면,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요약 화면(120)에, 상기 요약 화면(120)이 나타내는 콘텐츠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상세」 버튼(120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요약 화면(120)의 「상세」 버튼(1201)이 눌리면, 콘텐츠 표시부(4)는, 상기 요약 화면(120)이 나타내는 콘텐츠를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In the example of Fig. 4, firstly,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a list of all types of related lists 110 representing other related contents in the utility pane 104. Fig. Then, when a desired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lated list 110 by the user,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displays the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on the utility pane 104. In the example of FIG. 4, the summary screen 120 is provided with a "detail" button 1201 for requesting display of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120. When the user presses the "Detail" button 1201 on the summary screen 120,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displays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120 on the content pane 102. [

이와 같이, 윈도우(100)를 콘텐츠 페인(102)과 유틸리티 페인(104)으로 나누어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리스트(110)의 표시, 요약 화면(120)의 표시, 콘텐츠의 표시와 같은 순서로 단계적으로 표시를 함으로써, 경험이 적은 사용자라도 단계를 좇아, 상세를 표시해야 할 콘텐츠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요약 화면(120)을 확인한 후에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화면 천이를 행할 필요는 없고, 상세를 표시해야 할 콘텐츠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By dividing the window 100 into the content pane 102 and the utility pane 104 and displaying them,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next operation. Further, by stepwise displaying in the order of the display of the related list 110, the display of the summary screen 120, and the display of contents, even a less experienced user can easily find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detail You can.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 after confirming the summary screen 120,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screen transition unnecessarily, and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detail can be easily found.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감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된 콘텐츠를 복수개 기억하는 기억부(1)와, 윈도우(100)를 콘텐츠 페인(102) 및 유틸리티 페인(104)을 포함하는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는 설정부(2)와, 기억부(1)로부터 콘텐츠를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4)와,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관련 정보 표시부(6)를 구비하고, 콘텐츠 표시부(4)는,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의해 표시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읽어내어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메인 콘텐츠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nitoring point, and the storage unit 1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contents pane 102 and the utility pane 104 A content display section 4 for reading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content pane 102;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for generating, from the storage section (1),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surveillance point and displaying it on the utility pane (104), and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The content is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1 and displayed on the content payout 102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s request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6, With respect to, enabling a display for operating the other content related.

또한 상기에서는, 윈도우(100)의 각 표시 영역의 크기를 고정으로 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부(2)는, 각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설정부(2)는,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표시 영역에 대한 변경 조건을 이용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00)의 확대 또는 축소 등을 행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ize of each display area of the window 100 is fix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tting unit 2 may change the size of each display area. 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2 enlarges or shrinks the window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B, using the changing condition for each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5A.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를 추가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obtained by adding an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to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of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only different portions are described.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일람 표시한 아이콘군 화면(13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것이다.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displays the icon group screen 63 from the storage section 1 when the monitoring poi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by the input reception section 3, And displays the icon group screen 130 on the utility pane 104 by listing icons representing the types of contents.

또한,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입력 접수부(3)에 의한 접수 결과에 따라,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에 의해 표시된 아이콘군 화면(130)으로부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상기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the list of icons on the icon group screen 130 displayed by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on the basis of the acceptance result by the input accepting section 3, (110) that lists the other contents of the type indicated by the icon from the list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104).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 2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 1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예의 단계 ST205를 단계 ST701로 변경하고, 단계 ST206의 전단에 단계 ST702, ST703을 추가한 것이다. 그 밖의 동작은 동일하며,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step ST205 of the example of oper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changed to step ST701, ST702, and ST703 are added. The other operations are the s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only the different parts are described.

단계 ST701에서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콘텐츠 표시부(4)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감시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 이 때,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모든 타입의 관련 리스트(110)를 일람 표시한다. 또한,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는, 기억부(1)로부터 상기 다른 콘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일람 표시한 아이콘군 화면(13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In step ST701, when the monitoring poi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a related list 110 (a list of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monitoring point from the storage section 1) And displays it on the utility pane 104. [ At this ti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a list of all the related lists 110 of all types.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generates an icon group screen 130 in which icons indicating the types of the other contents are displayed from the storage section 1 and displays them on the utility pane 104. [

한편, 단계 ST201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는,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아이콘의 선택을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702).On the other hand, in step ST20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isplay request has not been accepted, the input reception unit 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ccepted the selection of the icon (step ST702).

이 단계 ST702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가 아이콘의 선택을 접수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기억부(1)로부터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상기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단계 ST703).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702 that the input accepting section 3 has accepted the selection of the icon,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the list of the other contents of the type indicated by the icon from the storage section 1 The related list 110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104 (step ST703).

한편, 단계 ST702에 있어서, 입력 접수부(3)가 아이콘의 선택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퀀스는 단계 ST206으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T702 that the input accepting section 3 has not accepted the selection of the icon, the sequence proceeds to step ST206.

도 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 표시부(6)에 의해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8에서는, 도 8a에 그래픽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도 8b에 차트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며, 도 8c에 스케줄의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아이콘군 화면(130)과, 상기 아이콘군 화면(130)에서 선택된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관련 리스트(110)와, 상기 관련 리스트(110)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tility pane 104 by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6 in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8, graphical related information is shown in Fig. 8A, related information in the chart is shown in Fig. 8B, and related information of a schedule is shown in Fig. 8C. 8 shows an icon group screen 130 and a related list 110 of the type indicated by the icon selected on the icon group screen 130 and a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selected in the related list 110. [ As shown in Fig.

도 8의 예에서는, 우선, 관련 리스트 표시부(61) 및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는, 모든 타입의 관련 리스트(110) 및 아이콘군 화면(130)을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아이콘군 화면(130) 중에서 원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관련 리스트(110)만을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관련 리스트(110)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가 선택되면, 요약 화면 표시부(62)는,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120)을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요약 화면(120)의 「상세」 버튼(1201)이 눌리면, 콘텐츠 표시부(4)는, 상기 요약 화면(120)이 나타내는 콘텐츠를 콘텐츠 페인(102)에 표시한다.In the example of Fig. 8, first,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and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display the related list 110 of all types and the icon group screen 130 on the utility pane 104. Fig.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con from the icon group screen 130, the related list display unit 61 displays only the related list 110 of the type indicated by the icon on the utility pane 104. [ Then, when a desired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lated list 110 by the user,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62 displays the summary screen 120 of the content on the utility pane 104. When the user presses the "Detail" button 1201 on the summary screen 120, the content display section 4 displays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120 on the content pane 102. [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아이콘군 화면(130)을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는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를 구비하고, 관련 리스트 표시부(61)는,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63)에 의해 표시된 아이콘군 화면(130)으로부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기억부(1)로부터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110)를 생성하여 유틸리티 페인(104)에 표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효과에 덧붙여, 아이콘군 화면(130)의 표시, 관련 리스트(110)의 표시, 요약 화면(120)의 표시, 콘텐츠의 표시와 같은 순서로 단계적으로 표시를 함으로써, 경험이 적은 사용자라도 단계를 좇아, 상세를 표시해야 할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section 63 for generating the icon group screen 130 and displaying it on the utility pane 104.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61 displays, When the icon is selected from the icon group screen 130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63, the related list 110 that lists other contents of the type indicated by the icon is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play of the icon group screen 130, the display of the related list 110, the display of the summary screen 120, and the display of the contents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By stepwise displaying, even a less experienced user can more easily find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detail, following the step.

또한, 실시형태 1, 2에서는, 화면 표시 장치가, 빌딩, 공장 또는 플랜트 등의 I/O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탑재되고, 감시 포인트에 관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윈도우(100)에, 메인 콘텐츠와, 상기 메인 콘텐츠로부터 선택된 오브젝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이면 좋으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creen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surveillance system for monitoring I / O such as a building, a factory, or a plant, and is described as displaying contents related to the surveillance poi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cree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main content and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other contents related to an object selected from the main content can be applied to one window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combined with each embodiment, or a modification of any component of each embodiment, or omitting any component in each embodiment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 기억부 2 : 설정부
3 : 입력 접수부 4 : 콘텐츠 표시부(제1 표시부)
5 : 메인 리스트 표시부 6 : 관련 정보 표시부(제2 표시부)
61 : 관련 리스트 표시부 62 : 요약 화면 표시부
63 :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 100 : 윈도우
101 : 타이틀 바 102 : 콘텐츠 페인(제1 표시 영역)
103 : 메뉴 페인 104 : 유틸리티 페인(제2 표시 영역)
110 : 관련 리스트 120 : 요약 화면
130 : 아이콘군 화면 1201 : 「상세」 버튼
1: storage unit 2: setting unit
3: input reception section 4: content display section (first display section)
5: main list display part 6: related information display part (second display part)
61: related list display part 62: summary screen display part
63: Icon group display screen 100: Window
101: Title bar 102: Content pane (first display area)
103: Menu pane 104: Utility pane (second display area)
110: Related list 120: Summary screen
130: Icon group screen 1201: Details button

Claims (4)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된 콘텐츠를 복수개 기억하는 기억부와,
윈도우를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는 설정부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콘텐츠를 읽어내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콘텐츠로부터 오브젝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관련 리스트 표시부와,
상기 관련 리스트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관련 리스트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약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요약 화면 표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읽어내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요약 화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요약 화면에 대하여 상기 요약 화면이 나타내는 콘텐츠의 표시가 요구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읽어내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representing objects,
A setting unit that divides the window into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 first display section for reading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first display region,
A second display unit for generating, from the storage unit, related information indicating another content related to the object and displaying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second display area when the objec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s,
A related list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 related list in which the different contents are listed and displaying the related list in the second display area,
A summary screen display section for generating a summary screen of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section and displaying the summary screen on the second display area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lated list displayed by the related list display section,
And,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the content on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s request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reads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display of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ummary screen is requested to the summary screen displayed by the summary screen display unit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다른 콘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일람 표시한 아이콘군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련 리스트 표시부는, 상기 아이콘군 화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아이콘군 화면으로부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타입의 상기 다른 콘텐츠를 리스트화한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con group screen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n icon group screen in which icons indicating the types of the other contents are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icon group screen on the second display area,
Wherein the related list display unit generates a related list in which the other contents of the type represented by the icon are listed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icon is selected from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ed by the icon group screen display unit, Area in the display area.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wherein the setting unit is capable of changing sizes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KR1020170086269A 2016-07-14 2017-07-07 Screen display device KR1019409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9293 2016-07-14
JP2016139293A JP6725172B2 (en) 2016-07-14 2016-07-14 Screen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297A KR20180008297A (en) 2018-01-24
KR101940913B1 true KR101940913B1 (en) 2019-01-21

Family

ID=6099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69A KR101940913B1 (en) 2016-07-14 2017-07-07 Scree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25172B2 (en)
KR (1) KR101940913B1 (en)
CN (1) CN10762383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4994B2 (en) * 2019-02-26 2021-07-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Screen creation device and screen cre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258A (en) * 2001-09-13 2003-03-20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Facility management supporting device
JP2003141659A (en) * 2001-10-31 2003-05-16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Facility managing device
JP2010146104A (en) * 2008-12-16 2010-07-01 Daikin Ind Ltd Facility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facility device management system
JP2016018395A (en) * 2014-07-08 2016-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514A (en) 2000-12-22 2002-07-05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Facility management device
JP4193629B2 (en) * 2003-07-25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Screen display device, program, and screen display method
JP4168336B2 (en) * 2003-08-22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JP2005091430A (en) * 2003-09-12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comparison display method, device therefor and image comparison display program
TW200723049A (en) * 2005-12-07 2007-06-16 Era Digital Media Co Single page website organization method
CN101331438B (en) * 2006-02-23 2010-08-18 富士通株式会社 Maintenance guidance display device, maintenance guidance display process
JP2009116718A (en) * 2007-11-08 2009-05-28 Hitachi Ltd Plant monitoring control system
JP4921338B2 (en) * 2007-12-14 2012-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5358945B2 (en) * 2007-12-25 2013-1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2117206A (en) * 2009-12-30 2011-07-06 捷达世软件(深圳)有限公司 Ion control dynamic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1122402A1 (en) * 2010-03-31 2011-10-06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Inspec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JP5797536B2 (en) * 2011-11-28 2015-10-21 アズビル株式会社 Device status display device and device status display method
JP2014206816A (en) 2013-04-11 2014-10-30 アズビル株式会社 Facility monitoring device and facility monitoring method
KR102092316B1 (en) * 2013-10-14 2020-03-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monitoring
JP2014170564A (en) * 2014-04-15 2014-09-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Electronic device
CN105763851A (en) * 2016-04-05 2016-07-13 赣州市金电电子设备有限公司 Forest fire prevention video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electronic government affair network plat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258A (en) * 2001-09-13 2003-03-20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Facility management supporting device
JP2003141659A (en) * 2001-10-31 2003-05-16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Facility managing device
JP2010146104A (en) * 2008-12-16 2010-07-01 Daikin Ind Ltd Facility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facility device management system
JP2016018395A (en) * 2014-07-08 2016-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5172B2 (en) 2020-07-15
JP2018010511A (en) 2018-01-18
KR20180008297A (en) 2018-01-24
CN107623839A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069B2 (en) Thin client system, server apparatus, cli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1729211B1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splay information that configures a screen with multiple screen elements
JP51857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10287750A1 (en) Link server and program thereof, website browsing system, website browsing method, and website browsing program
TWI541748B (en) Device and method for a multi-mode of detailed information of stocks
US200903076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et of display screen windows
US2008024445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preview function
KR1009597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partial window screen
KR101940913B1 (en) Screen display device
CN103376973A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virtual-sheet management apparatus, and virtual-sheet management method
US201103209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US1191494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server apparatus, and system
US81910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118587B2 (en) Display device, monitoring system hav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14416248A (en) Convers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JP4205712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9509772B1 (en) Visualization and control of ongoing ingress actions
CN112835665A (en) Dynamic preview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askbar application
JP2018010189A (en) Screen display device
US20160028783A1 (en) System for simultaneous remote management of documents
JP6406269B2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64451B2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1756803B1 (en) Bridge system extending mobile operating system
JP6315074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6577731B2 (e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