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45B1 - 횡동요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횡동요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45B1
KR101940345B1 KR1020140059782A KR20140059782A KR101940345B1 KR 101940345 B1 KR101940345 B1 KR 101940345B1 KR 1020140059782 A KR1020140059782 A KR 1020140059782A KR 20140059782 A KR20140059782 A KR 20140059782A KR 101940345 B1 KR101940345 B1 KR 10194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inner member
ship
offshore structur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359A (ko
Inventor
이성균
정병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3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재; 및 상기 내부재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재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는,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내부재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내부재 이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적재 조건에 따라 탱크 내부 유동의 수위 역시 변화하게 되고,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내부재의 위치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수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 위치에 내부재를 배치시킴에 의해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이 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고, 횡동요 저감장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동요 저감장치{Roll stab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횡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바람이나 해수 유동 등에 의해 여러 방향의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해양구조물의 운동 중에서 횡동요(rolling)는 피칭(pitching)이나 요잉(yawing) 등과 같은 다른 모드의 운동에 비하여 감쇠 계수가 매우 작으며, 이는 온화한 해상에서도 큰 횡동요 운동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해상에서의 안정성과 작업성을 위하여 횡동요를 감소시키는 장치로 빌지 킬(bilge-keel)을 주로 사용해 왔다. 빌지 킬은 선박 등의 좌우 요동인 횡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판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선저와 선박 측벽이 만나는 선박의 좌우 빌지 스트레이크(bilge strake)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빌지 킬 선박이 횡동요를 할 때 와류를 발생시키는데, 설치시 부가적인 비용이 많지 않음에 따라 대부분의 선박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횡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 안티-롤링 탱크(anti-rolling tank)나 핀 스태빌라이저(fin stabilizer)를 사용하고 있다. 안티-롤링 탱크는 선박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물탱크 내부 유동의 공진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동식과 능동식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핀 스태빌라이저는 빌지에 핀을 부착시켜 횡동요에 따라 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핀에 양력을 발생시켜 부가적인 복원력과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빌지 킬은 여러 가지 위험성으로 인해 선박의 빌지 반경과 선측 그리고 선저를 벗어나게 설계할 수 없기 때문에 횡동요의 감쇠 성능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빌지 킬 만으로 횡동요 감쇠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할 경우에는 안티-롤링 탱크나 핀 스태빌라이저와 같은 장비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안티-롤링 탱크는,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선박에 장착되고 있으며, 크게 U-타입(U-type)과 직사각형 형태인 플룸-타입(Flume-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플룸-타입이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안티-롤링 탱크를 적용하면, 횡동요 고유주기에서는 횡동요 응답이 줄어들지만, 고유주기보다 크거나 낮은 주기에서 안티-롤링 탱크로 인해 횡동요 응답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롤링 탱크 내부에 격벽 또는 기둥과 같은 내부재를 설치하여, 안티-롤링 탱크 내부의 유동을 교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의 횡동요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과 함께,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64085호 (등록일: 2012.07.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적재 조건에 따라 탱크 내부 유동의 수위를 변화시키더라도,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이 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횡동요 저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재; 및 상기 내부재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재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는, 직사각형 형태인 플룸-타입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는, 상기 탱크의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탱크의 좌우측벽부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거나, 상기 좌우측벽부에 더하여 상기 탱크의 중앙부 또는 다른 부분에 추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적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탱크 내부 유동의 수위에 따라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는, 표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다공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격벽;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격벽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은, 상기 탱크의 바닥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탱크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내부재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내부재와 교차되도록 상기 탱크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일 베어링; 상기 스크류의 타측에 설치되는 헤드 베어링; 및 상기 헤드 베어링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류는, 상기 격벽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는,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내부재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내부재 이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적재 조건에 따라 탱크 내부 유동의 수위 역시 변화하게 되고,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내부재의 위치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수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 위치에 내부재를 배치시킴에 의해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이 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고, 횡동요 저감장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가 구비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횡동요 저감장치 설치 유무에 따른 횡동요 주기에 대한 횡동요 응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가 구비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동요 저감장치(100)는, 탱크(110),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를 포함한다.
탱크(11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F)를 수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가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F)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이 횡동요할 때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단면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왕복 이동하며, 반횡동요 모멘트를 발생시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동요를 저감시킬 수 있다. 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F)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적재 조건에 따라 탱크(110) 내부 유동의 수위가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은 해상에서 원유나 천연가스를 생산/공급하는 플랜트 등을 탑재한 구조물, 예를 들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구조물이나, 컨테이너선, 여객선, 화물선 그 밖의 다양한 목적을 가진 선박도 해당될 수 있다.
탱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형상 등에 따라 탱크(11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탱크(11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탱크(1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중심선(CL)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탱크(11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111)과 우측벽(11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인 플룸-타입(Flume-type)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는,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탱크(110)의 좌우측벽(111, 112)에 대향하여 탱크(110)의 좌우측벽부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적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탱크(110) 내부 유동의 수위에 따라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가 배치되는 최적의 위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실험 또는 경험을 통해 최적 위치 값을 찾아냄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내부재(120, 130)가 탱크(110)의 좌우측벽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내부재(120, 130) 뿐만 아니라 중앙부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분에도 추가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추가 배치되는 내부재 각각에 후술할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내부재 이동장치가 추가 설치되어 가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 각각은, 탱크(110) 내부의 유체(F)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동요에 대한 반횡동요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단면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왕복 이동할 때, 이동 유체(F)에 의한 충격이 탱크(110)의 좌측벽(111) 및 우측벽(112)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 각각은 유체(F)가 탱크(110)의 좌측벽(111) 및 우측벽(112)을 충격하기 전에 유체(F)의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 각각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적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탱크(110) 내부 유동의 수위에 따라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격벽(121, 131), 레일(122, 132), 연결부(123,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격벽(121, 131)은, 표면에 복수의 관통홀(121a, 131a)이 형성된 다공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탱크(110) 내부의 유체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동요에 대한 반횡동요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횡단면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왕복 이동할 때, 이동 유체(F)에 의한 충격이 탱크(110)의 좌측벽(111) 및 우측벽(112)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F)는 각 격벽(121, 13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21a, 131a)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각 격벽(121, 131)은,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후술할 레일(122, 132)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술할 연결부(123, 133)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레일(122, 132)은, 각 격벽(121, 131)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안내할 수 있도록, 탱크(110)의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각 연결부(123, 133)는, 각 격벽(121, 131)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의 구동력을 각 격벽(121, 131)에 전달함에 의해 각 격벽(121, 131)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는,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에 대응되도록 탱크(11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를 좌우 방향으로 가변시켜 최적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탱크(110)의 외부는 탱크(110)의 상부 또는 하부일 수 있고, 탱크(110)의 내부는 탱크(110)의 천장, 중간부분 또는 바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 각각이 탱크(1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며, 이때 제1 내부재 이동장치(140)는 제1 내부재(120)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내부재 이동장치(150)는 제2 내부재(130)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 각각은, 스크류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 각각이 스크류 컨베이어 구조일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스크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 각각은,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 각각과 교차되도록 탱크(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덮개(141, 151)와, 덮개(141, 151)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142, 152)와, 스크류(142, 152)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일 베어링(143, 153)과, 스크류(142, 152)의 타측에 설치되는 헤드 베어링(144, 154)과, 헤드 베어링(144, 154)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45, 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각 스크류(142, 152)에는 격벽(121, 131)의 각 연결부(123, 133)가 연결되어,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의 구동력이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에 전달될 수 있다.
각 구동부(145, 155)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근접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횡동요 저감장치 설치 유무에 따른 횡동요 주기에 대한 횡동요 응답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제1 곡선(P1)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에 탱크(110)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이고, 제2 곡선(P2)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에 탱크(110)가 설치되었을 때이고, 제3 곡선(P3)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에 탱크(110)와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가 설치했을 때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곡선(P2)은, 제1 곡선(P1)과 비교하여 횡동요 고유주기에서는 횡동요 응답이 줄어들지만, 횡동요 고유주기보다 크거나 낮은 주기에서는 횡동요 응답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3 곡선(P3)은, 제2 곡선(P2)과 비교하여 횡동요 고유주기에서 횡동요 응답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제1 곡선(P1) 또는 제2 곡선(P2)에 나타난 횡동요 고유주기보다 크거나 낮은 주기에서 횡동요 응답이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3 곡선(P3)에 해당되는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적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탱크(110) 내부 유동의 수위에 따라 제1 및 제2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수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 위치에 제1 및 제2 내부재(120, 130)를 배치시킴에 의해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이 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는바, 주변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제3 곡선(P3)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장치(100)는, 탱크(110)에 수용된 유체(F)의 수위를 계측할 수 있는 수위계측장비(도시하지 않음)를 비롯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등의 관련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내부재(120, 13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내부재 이동장치(140, 150)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적재 조건에 따라 탱크(110) 내부 유동의 수위 역시 변화하게 되고,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내부재(120, 130)의 위치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10)의 좌우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수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 위치에 내부재((120, 130)를 배치시킴에 의해 횡동요 고유주기에서의 운동응답이 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고, 횡동요 저감장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100: 횡동요 저감장치
110: 탱크 111: 좌측벽
112: 우측벽 120: 제1 내부재
130: 제2 내부재 121, 131: 격벽
121a, 131a: 관통홀 122, 132: 레일
123, 133: 연결부 140: 제1 내부재 이동장치
150: 제2 내부재 이동장치 141, 151: 덮개
142, 152: 스크류 143, 153: 테일 베어링
144, 154: 헤드 베어링 145, 155: 구동부

Claims (11)

  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재; 및
    상기 내부재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재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재는,
    표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다공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격벽;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격벽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탱크 내부의 유체가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횡동요에 대한 반횡동요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횡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이동 유체에 의한 충격이 상기 탱크의 좌측벽 및 우측벽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직사각형 형태인 플룸-타입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재는,
    상기 탱크의 좌우측벽에 대향하여 상기 탱크의 좌우측벽부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거나, 상기 좌우측벽부에 더하여 상기 탱크의 중앙부 또는 다른 부분에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재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적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탱크 내부 유동의 수위에 따라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변되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탱크의 바닥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탱크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내부재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내부재 이동장치는,
    상기 내부재와 교차되도록 상기 탱크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일 베어링;
    상기 스크류의 타측에 설치되는 헤드 베어링; 및
    상기 헤드 베어링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격벽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장치.
KR1020140059782A 2014-05-19 2014-05-19 횡동요 저감장치 KR10194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82A KR101940345B1 (ko) 2014-05-19 2014-05-19 횡동요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82A KR101940345B1 (ko) 2014-05-19 2014-05-19 횡동요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59A KR20150133359A (ko) 2015-11-30
KR101940345B1 true KR101940345B1 (ko) 2019-01-21

Family

ID=5486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782A KR101940345B1 (ko) 2014-05-19 2014-05-19 횡동요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3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82A (ja) * 2002-09-04 2004-03-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減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85B1 (ko) 2009-09-15 2012-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횡동요 저감 장치
KR101271684B1 (ko) * 2011-03-10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 장치
KR101434153B1 (ko) * 2012-08-29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형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82A (ja) * 2002-09-04 2004-03-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減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59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04B1 (ko) 슬로싱 방지 장치 및 슬로싱 방지 방법
KR101164085B1 (ko) 해양구조물의 횡동요 저감 장치
CN105711757A (zh) 一种用于液货舱的稳液装置
CN104890830A (zh) 深水动力定位半潜式平台调谐垂荡板减摇减荡控制系统
KR101168311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및 선박의 횡동요 제어 방법
CN102917967B (zh) 液体稳定设备
CN205707179U (zh) 一种用于液货舱的稳液装置
KR101221547B1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940345B1 (ko) 횡동요 저감장치
JP5552637B2 (ja) スロッシング荷重軽減装置及びスロッシング荷重軽減装置付き船舶
KR101139129B1 (ko) 선박의 전복 방지 시스템
Tondl et al. Dynamic absorbers for an externally excited pendulum
KR20150133358A (ko) 횡동요 저감장치
KR20140144555A (ko)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KR20150145321A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101826682B1 (ko) 챔퍼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847015B1 (ko)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101826680B1 (ko) 유동 차단용 기구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70001996U (ko)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0474803Y1 (ko) 횡동요 감쇠 탱크
KR101826681B1 (ko) 유동 차단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654227B1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60007951A (ko) 횡동요 저감장치
KR200469023Y1 (ko) 해상구조물의 동요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