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895B1 - 선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반 조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9895B1 KR101939895B1 KR1020170037688A KR20170037688A KR101939895B1 KR 101939895 B1 KR101939895 B1 KR 101939895B1 KR 1020170037688 A KR1020170037688 A KR 1020170037688A KR 20170037688 A KR20170037688 A KR 20170037688A KR 101939895 B1 KR101939895 B1 KR 101939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angle
- unit
- adjusting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01—Display racks with slotted uprigh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7/00—Measuring gravitational fields or waves; Gravimetric prospecting or detec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압 및 슬립이 방지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 전단면과, 전단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상향의 각도를 갖는 판형상의 연장면과, 연장면으로부터 다시 연장되어 전단면과 평행하되 전단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오목홈과 볼록홈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요철이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면의 일측으로, 하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면을 통해 선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가압 전단부(110); 프레임면이 가압 전단부(110)에 형성된 체결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프레임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90˚누운 구조로 전단에는 가압 전단부(110), 후단에는 고정부(140)의 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으며, 고정부(140)와 맞닿는 면은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가 형성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와 맞닿는 면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120);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하단부에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맞물림 가능한 요홈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가 길이 조절 이전의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20 내지 30˚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각 요홈과 회전축의 체결 위치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길이 조절단(130a); 및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높이 방향에서 길이 조절단(13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35 내지 45˚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조절단(130a)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홈 내부로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고정부(140)와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어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홈을 따라 체결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와 이루는 각도를 디폴트(default)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35 내지 45˚로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단(130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을 용이하게 길이와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쇼케이스 내에서의 선반의 상태 및 유해물질 여부 검출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압 및 슬립이 방지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 전단면과, 전단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상향의 각도를 갖는 판형상의 연장면과, 연장면으로부터 다시 연장되어 전단면과 평행하되 전단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오목홈과 볼록홈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요철이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면의 일측으로, 하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면을 통해 선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가압 전단부(110); 프레임면이 가압 전단부(110)에 형성된 체결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프레임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90˚누운 구조로 전단에는 가압 전단부(110), 후단에는 고정부(140)의 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으며, 고정부(140)와 맞닿는 면은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가 형성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와 맞닿는 면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120);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하단부에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맞물림 가능한 요홈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가 길이 조절 이전의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20 내지 30˚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각 요홈과 회전축의 체결 위치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길이 조절단(130a); 및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높이 방향에서 길이 조절단(13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35 내지 45˚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조절단(130a)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홈 내부로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고정부(140)와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어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홈을 따라 체결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와 이루는 각도를 디폴트(default)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35 내지 45˚로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단(130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을 용이하게 길이와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쇼케이스 내에서의 선반의 상태 및 유해물질 여부 검출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쇼케이스 내부에서 선반을 지지하면서 각도 및 길이, 그리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선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 등에 설치된 쇼케이스용 선반은 구매자가 상품의 식별 및 선택이 편리하도록 선단에 항상 상품을 진열시키게 된다. 선반의 선단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자가 꺼내게 되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선반의 기울기에 의해 차기에 진열된 상품이 미끄러지면서 선반의 선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선반은 상품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선출(先出)된 상품의 위치로 차기 상품이 이동되도록 상품의 바닥 접촉면을 다수의 롤러로 장착하고 다수의 상품이 열을 이루면서 진열되도록 수직벽을 설치하여 구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에 적치된 상품을 정리하거나 인출하기 위해서는 선반의 길이와 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와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선반을 용이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선반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반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쇼케이스 내에서의 선반의 상태 및 유해물질 여부 검출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반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가압 및 슬립이 방지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 전단면과, 전단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상향의 각도를 갖는 판형상의 연장면과, 연장면으로부터 다시 연장되어 전단면과 평행하되 전단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오목홈과 볼록홈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요철이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면의 일측으로, 하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면을 통해 선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가압 전단부(110); 프레임면이 가압 전단부(110)에 형성된 체결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프레임 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90˚ 누운 구조로 전단에는 가압 전단부(110), 후단에는 고정부(140)의 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으며, 고정부(140)와 맞닿는 면은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가 형성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와 맞닿는 면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120);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하단부에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맞물림 가능한 요홈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가 길이 조절 이전의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20 내지 30˚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각 요홈과 회전축의 체결 위치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길이 조절단(130a); 및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높이 방향에서 길이 조절단(13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35 내지 45˚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조절단(130a)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홈 내부로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고정부(140)와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어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홈을 따라 체결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와 이루는 각도를 디폴트(default)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35 내지 45˚로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단(130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전단이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의 회전축 및 고정재를 통해서 선반 지지부(120)와 체결되며, 후단이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위치한 뒤,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는 체결홈과 포개지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하 조절부(150)는, 지주 형태로, 양 측면이 폭 방향으로 가압되어 높이가 긴 형태의 육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중 고정부(140)와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뒷면에는 2개의 제 1 지지단(160)이 형성되며, 하단 중 뒷면에는 중앙에 하나의 제 2 지지단(1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 1 지지단(160)은, 2개 모두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외부에 형성된 2개의 삽입홈으로 체결이 되어 선반 조절 장치(10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 2 지지단(170)은,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8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 홈(190) 중 하나에 체결되어,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거리측정센서로 발광부(1) 및 수광부(2)를 더 구비하며, 발광부(1)는 선반 지지부(120)의 측면에서 유선형을 이루는 영역에서 전방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적외선 파장의 광원을 수광부(2)를 향하여 조사하며, 수광부(2)는 가압 전단부(110)의 연장면의 후단에서 발광부(1)의 발광축과 수광축이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발광부(1)에서 조사된 광원의 세기를 수광부(2)가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 중 각도 조절단(130b)과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형성되어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 간의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는 각도센서(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가압 전단부(110)의 지지면 중 중앙 상부면에 가속도 센서(4-1) 및 중력 센서(4-2)가 집적되어 형성되어 가압 전단부(110)의 가속도와 중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는 선반 상태 센서 모듈(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가압 전단부(110)의 지지면 중 전단에 지지면과 직각을 이루고 형성된 보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가압 전단부(110)의 내측의 유해물질을 측정한 뒤,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00a)로 전송하는 유해물질 검출 모듈(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을 용이하게 길이와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작업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는, 쇼케이스 내에서의 선반의 상태 및 유해물질 여부 검출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좌측면도(도 2a) 및 배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우측면도(도 3a) 및 전면도(도 3a)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상하 조절부(1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가압 전단부(1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제 2 지지단(170)과 수직 프레임(18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반 조절 장치(100)에 추가로 구성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좌측면도(도 2a) 및 배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우측면도(도 3a) 및 전면도(도 3a)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상하 조절부(1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가압 전단부(1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제 2 지지단(170)과 수직 프레임(18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반 조절 장치(100)에 추가로 구성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좌측면도(도 2a) 및 배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우측면도(도 3a) 및 전면도(도 3a)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상하 조절부(1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가압 전단부(1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선반 조절 장치(100) 중 제 2 지지단(170)과 수직 프레임(18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선반 조절 장치(100)는 쇼케이스 내부에서 선반을 지지하면서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 선반 지지부(120),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 고정부(140), 상하 조절부(150), 제 1 지지단(160), 제 2 지지단(170), 수직 프레임(180), 그리고 프레임 홈(190)을 구비한다.
여기서, 가압 전단부(110)는 선반 지지부(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 및 슬립이 방지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 전단면과, 전단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상향의 각도를 갖는 판형상의 연장면과, 연장면으로부터 다시 연장되어 전단면과 평행하되 전단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오목홈과 볼록홈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요철이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면의 일측으로, 하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면을 통해 선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선반 지지부(120)는 프레임면이 가압 전단부(110)에 형성된 체결면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 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90˚ 누운 구조로 전단에는 가압 전단부(110), 후단에는 고정부(140)의 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선반 지지부(120) 중 고정부(140)와 맞닿는 면은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가 형성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와 맞닿는 면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는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으로 이루어진다.
길이 조절단(130a)은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하단부에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맞물림 가능한 요홈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가 길이 조절 이전의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20 내지 30˚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길이 조절단(130a)은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각 요홈과 회전축의 체결 위치를 외력으로 조절함으로써,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각도 조절단(130b)은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높이 방향에서 길이 조절단(13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35 내지 45˚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도 조절단(130b)은 길이 조절단(130a)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홈 내부로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고정부(140)와 체결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도 조절단(130b)은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홈을 따라 체결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함으로써,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와 이루는 각도를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디폴트(default)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35 내지 45˚로 조절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에 의해 가압 전단부(110) 및 선반 지지부(120)는 회전형 선반 구조를 제공한다.
고정부(140)는 전단이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의 회전축 및 고정재를 통해서 선반 지지부(120)와 체결되며, 후단이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위치한 뒤,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는 체결홈과 포개지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하 조절부(150)는 지주 형태로, 양 측면이 폭 방향으로 가압되어 높이가 긴 형태의 육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중 고정부(140)와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뒷면에는 2개의 제 1 지지단(160)이 형성되며, 하단 중 뒷면에는 중앙에 하나의 제 2 지지단(17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지지단(160)은 2개 모두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외부에 형성된 2개의 삽입홈으로 체결이 됨으로써, 선반 조절 장치(10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 2 지지단(170)은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8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 홈(190) 중 하나에 체결됨으로써,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수직 프레임(180)은 외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뒷면으로는 높이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프레임 홈(190)이 형성되며, 전면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 조절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반 조절 장치(100)에 추가로 구성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거리측정센서로 발광부(1) 및 수광부(2)를 구비하며, 각도센서(3), 선반 상태 센서 모듈(4)로 가속도 센서(4-1) 및 중력 센서(4-2), 그리고 유해물질 검출 모듈(5)을 구비한다.
여기서 발광부(1)는 선반 지지부(120)의 측면에서 유선형을 이루는 영역에서 전방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적외선 파장의 광원을 수광부(2)를 향하여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광부(2)는 가압 전단부(110)의 상술한 연장면의 후단에서 발광부(1)의 발광축과 수광축이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발광부(1)에서 조사된 광원의 세기를 수광부(2)가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한다.
각도센서(3)는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 중 각도 조절단(130b)과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 간의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한다.
선반 상태 센서 모듈(4)은 가압 전단부(110)의 상술한 지지면 중 중앙 상부면에 가속도 센서(4-1) 및 중력 센서(4-2)가 집적되어 형성됨으로써, 가압 전단부(110)의 가속도와 중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한다.
유해물질 검출 모듈(5)은 가압 전단부(110)의 상술한 지지면 중 전단에 지지면과 직각을 이루고 형성된 보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됨으로써, 가압 전단부(110)의 내측의 유해물질에 해당하는 포름알데히드 등을 측정한 뒤,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00a)로 전송한다.
또한, 선반 조절 장치(100)는 선반 조절 장치(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아두이노 기반의 제어부(100a), 그리고 제어부(100a)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입출력부(100b)를 추가로 구비할 있으며, 제어부(100a)로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100a-1),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 유해 물질 감지 수단(100a-3), 그리고 제 1 송수신부(100a-4)를 포함하며, 입출력부(100b)로 제 2 송수신부(100b-1), 입력모듈(100b-2), 그리고 출력모듈(100b-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100a-1)은 수광부(2)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수신하며, 각도센서(3)로부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 간의 각도 측정값을 수신한 뒤, 광원의 세기로부터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연산하며, 각도 측정값과 함께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부(100b)는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길이값과 각도 측정값을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선반 상태 센서 모듈(4)로부터 가속도 측정값 및 중력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한 뒤, 선반 조절 장치(100) 상부에 놓인 선반의 추락을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가속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가속도보다 크게 변화하는 경우, 선반이 이미 추락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중력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중력값보다 크게 변화하는 경우, 선반의 무게로 인해 선반의 추락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선반의 추락 상태 또는 추락 가능 상태를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부(100b)는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선반의 추락 상태 또는 추락 가능 상태를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할 수 있다.
유해 물질 감지 수단(100a-3)은 유해물질 검출 모듈(5)로부터 유해물질이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어 통지를 받은 경우, 유해물질 요소 정보를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부(100b)는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유해물질 요소 정보를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유해물질 검출 모듈(5)은 가스센서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쇼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스모그, 메탄 또는 일산화탄소 이외에 또 다른 유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쇼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선반 조절 장치(100)가 복수개인 경우, 쇼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라인센서와 제 1 송수신부(100a-3)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구비된 라인센서를 통해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에 진열된 제품이 기 설정된 라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라인과 대응하는 선반 조절 장치(100)의 식별ID를 포함하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1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쇼케이스 내부의 라인센서는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기 또는 감압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발광부
2 : 수광부
3 : 각도센서
4 : 선반 상태 센서 모듈
4-1 : 가속도 센서
4-2 : 중력 센서
5 : 유해물질 검출 모듈
100 : 선반 조절 장치
100a : 제어부
100a-1 :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
100a-2 : 선반 상태 감지 수단
100a-3 : 유해 물질 감지 수단
100a-4 : 제 1 송수신부
100b : 입출력부
100b-1 : 제 2 송수신부
100b-2 : 입력모듈
100b-3 : 출력모듈
110 : 가압 전단부
120 : 선반 지지부
130 : 길이 및 각도 조절부
130a : 길이 조절단
130b : 각도 조절단
140 : 고정부
150 : 상하 조절부
160 : 제 1 지지단
170 : 제 2 지지단
180 : 수직 프레임
190 : 프레임 홈
2 : 수광부
3 : 각도센서
4 : 선반 상태 센서 모듈
4-1 : 가속도 센서
4-2 : 중력 센서
5 : 유해물질 검출 모듈
100 : 선반 조절 장치
100a : 제어부
100a-1 :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
100a-2 : 선반 상태 감지 수단
100a-3 : 유해 물질 감지 수단
100a-4 : 제 1 송수신부
100b : 입출력부
100b-1 : 제 2 송수신부
100b-2 : 입력모듈
100b-3 : 출력모듈
110 : 가압 전단부
120 : 선반 지지부
130 : 길이 및 각도 조절부
130a : 길이 조절단
130b : 각도 조절단
140 : 고정부
150 : 상하 조절부
160 : 제 1 지지단
170 : 제 2 지지단
180 : 수직 프레임
190 : 프레임 홈
Claims (10)
- 선반 지지부(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 및 슬립이 방지된 요철 형상이 형성된 전단면과, 전단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상향의 각도를 갖는 판형상의 연장면과, 연장면으로부터 다시 연장되어 전단면과 평행하되 전단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오목홈과 볼록홈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요철이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면의 일측으로, 하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면을 통해 선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압 전단부(110);
프레임면이 가압 전단부(110)에 형성된 체결면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 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90˚ 누운 구조로 전단에는 가압 전단부(110), 후단에는 고정부(140)의 면과 맞닿아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선반 지지부(120) 중 고정부(140)와 맞닿는 면은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를 이루는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이 형성되기 위해, 가압 전단부(110)와 맞닿는 면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120);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조절단(130a)이,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하단부에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맞물림 가능한 요홈이 복수개가 형성되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가 길이 조절 이전의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20 내지 30˚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각 요홈과 회전축의 체결 위치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각도 조절단(130b)이, 선반 지지부(120)의 유선형 면적에서 높이 방향에서 길이 조절단(13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35 내지 45˚로 상향을 향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조절단(130a)과 마찬가지로 형성된 홈 내부로 회전축 및 회전축 고정재를 통해 고정부(140)와 체결 연결되어 형성되며, 회전축으로 고정된 고정부(140)를 중심으로 홈을 따라 체결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하여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와 이루는 각도를 디폴트(default) 상태로부터 상향으로 35 내지 45˚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에 의해 가압 전단부(110) 및 선반 지지부(120)는 회전형 선반 구조를 제공하는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
전단이 길이 조절단(130a) 및 각도 조절단(130b)의 회전축 및 고정재를 통해서 선반 지지부(120)와 체결되며, 후단이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위치한 뒤,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 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는 체결홈과 포개지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0);
지주 형태로, 양 측면이 폭 방향으로 가압되어 높이가 긴 형태의 육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중 고정부(140)와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뒷면에는 2개의 제 1 지지단(160)이 형성되며, 하단 중 뒷면에는 중앙에 하나의 제 2 지지단(170)이 형성되며, 제 1 지지단(160)이 2개 모두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외부에 형성된 2개의 삽입홈으로 체결이 됨으로써, 선반 조절 장치(10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 2 지지단(170)이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8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 홈(190) 중 하나에 체결됨으로써, 상하 조절부(15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하 조절부(150); 및
외부에 고정되며, 뒷면으로는 높이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프레임 홈(190)이 형성되며, 전면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수직 프레임(180); 을 구비하여 쇼케이스 내부에서 선반을 지지하면서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는 선반 조절 장치에 있어서,
발광부(1) 및 수광부(2), 각도센서(3), 선반 상태 센서 모듈(4)로 가속도 센서(4-1) 및 중력 센서(4-2), 유해물질 검출 모듈(5) 외에, 선반 조절 장치(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아두이노 기반의 제어부(100a), 그리고 제어부(100a)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입출력부(100b)를 추가로 구비하며, 제어부(100a)로는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100a-1),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 유해 물질 감지 수단(100a-3), 그리고 제 1 송수신부(100a-4)를 포함하며, 입출력부(100b)로는 제 2 송수신부(100b-1), 입력모듈(100b-2), 그리고 출력모듈(100b-3)을 포함하며,
발광부(1)는, 선반 지지부(120)의 측면에서 유선형을 이루는 영역에서 전방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적외선 파장의 광원을 수광부(2)를 향하여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광부(2)는, 가압 전단부(110)의 연장면의 후단에서 발광부(1)의 발광축과 수광축이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발광부(1)에서 조사된 광원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며,
각도센서(3)는, 길이 및 각도 조절부(130) 중 각도 조절단(130b)과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 간의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며,
선반 상태 센서 모듈(4)은, 가압 전단부(110)의 지지면 중 중앙 상부면에 가속도 센서(4-1) 및 중력 센서(4-2)가 집적되어 형성됨으로써, 가압 전단부(110)의 가속도와 중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00a)로 전송하며,
유해물질 검출 모듈(5)은, 가압 전단부(110)의 지지면 중 전단에 지지면과 직각을 이루고 형성된 보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됨으로써, 가압 전단부(110)의 내측의 유해물질을 측정한 뒤,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00a)로 전송하며,
길이 및 각도 감지 수단(100a-1)은,
수광부(2)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수신하며, 각도센서(3)로부터 선반 지지부(120)와 고정부(140) 간의 각도 측정값을 수신한 뒤, 광원의 세기로부터 선반 지지부(120)가 고정부(140)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연산하며, 각도 측정값과 함께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하여, 입출력부(100b)에 의해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길이값과 각도 측정값을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하도록 하며,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선반 상태 센서 모듈(4)로부터 가속도 측정값 및 중력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한 뒤, 선반 조절 장치(100) 상부에 놓인 선반의 추락을 예측하기 위해, 가속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가속도보다 크게 변화하는 경우, 선반이 이미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며, 중력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중력값보다 크게 변화하는 경우, 선반의 무게로 인해 선반의 추락 가능으로 판단하며, 선반의 추락 상태 또는 추락 가능 상태를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하여, 입출력부(100b)에 의해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선반의 추락 상태 또는 추락 가능 상태를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하도록 하며,
유해 물질 감지 수단(100a-3)은,
유해물질 검출 모듈(5)로부터 유해물질이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어 통지를 받은 경우, 유해물질 요소 정보를 입출력부(100b)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100a-4)를 제어하여, 입출력부(100b)에 의해 제 2 송수신부(100b-1)를 통해 유해물질 요소 정보를 수신한 뒤, 출력모듈(100b-3)로 출력하도록 하며,
선반 상태 감지 수단(100a-2)은,
쇼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선반 조절 장치(100)가 복수개인 경우, 쇼케이스 내부에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하여 형성된 라인센서와 제 1 송수신부(100a-3)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구비된 라인센서를 통해 쇼케이스 내부의 선반에 진열된 제품이 기 설정된 라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라인과 대응하는 선반 조절 장치(100)의 식별ID를 포함하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100a)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7688A KR101939895B1 (ko) | 2017-03-24 | 2017-03-24 | 선반 조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7688A KR101939895B1 (ko) | 2017-03-24 | 2017-03-24 | 선반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8218A KR20180108218A (ko) | 2018-10-04 |
KR101939895B1 true KR101939895B1 (ko) | 2019-01-17 |
Family
ID=6386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7688A KR101939895B1 (ko) | 2017-03-24 | 2017-03-24 | 선반 조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8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390B1 (ko) * | 1996-11-14 | 2005-11-28 |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 3-아미도크로마닐설포닐(티오)우레아,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518A (ja) * | 2000-04-25 | 2001-10-30 | Kanebo Ltd | 化粧品陳列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7149Y1 (ko) * | 1990-05-18 | 1992-10-08 | 한정식 | 조립틀체용 프레임 |
KR200156602Y1 (ko) * | 1997-07-25 | 1999-09-01 | 배길성 | 쇼케이스의 도어 손잡이 |
KR101126263B1 (ko) * | 2010-02-11 | 2012-03-20 | 권상우 | 쇼케이스용 회동식 선반받침대 |
-
2017
- 2017-03-24 KR KR1020170037688A patent/KR101939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518A (ja) * | 2000-04-25 | 2001-10-30 | Kanebo Ltd | 化粧品陳列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390B1 (ko) * | 1996-11-14 | 2005-11-28 |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 3-아미도크로마닐설포닐(티오)우레아,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8218A (ko)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X2013010929A (es) | Soporte de recipiente y portador de recipiente. | |
KR101939895B1 (ko) | 선반 조절 장치 | |
WO2008113328A3 (de) | Me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konzentrationsbestimmung von blutzucker und/oder laktat in biologischen systemen | |
EP2736824B1 (en) | Bulk-product conveyor with sensor | |
ES2425236T3 (es) | Aparato de entrega - deslizamiento - desprendimiento de material para la caracterización de barritas desodorantes y antitranspirantes | |
WO2007008438A3 (en) | Sensor for pulsed deposition monitoring and control | |
WO2007064564A3 (en) | Non-encumbering, substantially continuous patient daily activity data measurement for indication of patient condition change for access by remote caregiver | |
TWM577790U (zh) | 用於機器人的夾具系統 | |
WO2008127867A3 (en) | Cerebrospinal fluid evaluation systems | |
KR101939900B1 (ko) | 회전 걸이 기반 하이브리드 선반 조절 장치 | |
GB201314801D0 (en) | Sensor Testing Device and Sensor testing method | |
CN207585545U (zh) | 一种门框幕墙用型材弯曲度检测机 | |
CN104607816B (zh) | 一种多穴分油管焊接机 | |
US20220016354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jector activities | |
CN103776408B (zh) | 产品厚度自动快速定位检测治具 | |
AU2014201886B2 (en) | Measurement apparatus and wood processing system with such a measurement apparatus | |
KR101938475B1 (ko) | 슬롯형 하이브리드 선반 조절 장치 | |
ATE446939T1 (de) | Materialhandhabungsvorrichtung | |
CN203422084U (zh) | 一种平面度测量装置 | |
KR101673994B1 (ko) | 3차원 측정기 | |
CN208012942U (zh) | 一种纸杯质量检测装置 | |
CN206010502U (zh) | 一种可调工件夹持工装 | |
EP2779131B1 (en) | Heat-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smoke | |
KR102053368B1 (ko) | 압연재용 폭 측정장치 | |
KR102328301B1 (ko) | 자동 곡 가공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