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98B1 -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98B1
KR101939698B1 KR1020180069620A KR20180069620A KR101939698B1 KR 101939698 B1 KR101939698 B1 KR 101939698B1 KR 1020180069620 A KR1020180069620 A KR 1020180069620A KR 20180069620 A KR20180069620 A KR 20180069620A KR 101939698 B1 KR101939698 B1 KR 101939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circuit
protection relay
connection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안전써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안전써비스(주) filed Critical 한국전기안전써비스(주)
Priority to KR102018006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보호계전기와 시험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오결선에도 불구하고 시험장치 내부 접점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기 보호계전기(40)와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를 시험하는 시험장치(8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시험장치(80)의 일측 출력 접점(86)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단자(102);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전압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104);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 설치되되, 입력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 전원을 일방향으로 정류하며, 입력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정류회로부(110);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여자되는 단락 보호계전기(140); 및 상기 정류회로부(110)와는 별도의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직렬로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폐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가 직접 연결되는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여자될 때 개방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을 포함하는 단락 보호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장치(80)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에 연결할 때 단락 보호장치(100)를 매개로 연결함으로써,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22번 단자에 연결하는 정상 결선의 경우에는 정류회로부(110)가 동작하지 않고 단락 보호 회로부가 시험장치(80)와 전동기 보호계전기(40)를 직렬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라인이 형성되어 정상적인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24번 단자에 연결하는 오결선의 경우에는 단락 보호장치(100)의 저항(R1)에 의하여 1차적으로 단락전류를 제한하고,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여 시험장치(80)와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연결을 개방시킴으로써 시험장치(80) 내부에서 출력 접점(84, 86)에 연결된 스위치(82)나 접점 등이 단락되어 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SHORT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CONTACT DAMAGE OF TEST EQUIPMENT FOR MOTOR PROTECTION RELAY}
본 발명은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이상 유무를 시험하는 시험장치가 오결선으로 인해 내부 접점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기 보호계전기와 시험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오결선에도 불구하고 시험장치 내부 접점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보호계전기(MPR: Motor Protection Relay, 이하 'MPR'이라 칭함)는 전동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 단락, 역상, 결상, 지락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이를 검출하여 전동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동기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도 1은 MPR이 전동기에 부가되는 회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용전원을 수용하는 인입라인(10)에는 진공 차단기(20)가 설치되며, 진공 차단기(20)의 후단에는 계기용 변류기(30)가 설치된다. 계기용 변류기(30)는 교류 상용전원을 계기용 소전류로 변환하여 MPR(40)에 전달한다. MPR(40)은 계기용 전류가 과도하게 흐를 경우 여자되며, MPR(40)에 의해 진공 개폐기(50)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면 전동기(6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MPR(40)의 동작 특성은 사용시간과 환경 등에 의해 변화되며, MPR(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시험해야 한다. MPR(40)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MPR(40)의 동작을 위한 직류 전원부(70)와 MPR(40) 사이에 시험장치(80)를 연결해야 한다.
도 3은 MPR의 시험 환경 결선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MPR(40)의 동작특성 시험 시에 전동기의 기동 실패 및 회전자의 구속 기능에 대한 보호 특성 시험을 위하여, MPR(40)의 동작전원(DC 110V) 단자(P)와 MPR(40)의 전압입력단자 22번에 시험장치(80)의 출력 접점(84, 86)을 연결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 접점(84)은 직류 전원부(70)의 P상에 연결하며, 제2 출력 접점(86)은 도 3에서 실선으로 묘사된 ①번 라인과 같이 연결해야 한다.
그런데, 제1 출력 접점(84)을 P상에 연결하는 것은 쉽지만, 제2 출력 접점(86)을 22번 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착오로 24번 단자에 연결하는 경우(도 3에서 점선으로 묘사된 ②번라인과 같이)가 종종 발생된다. 이때, MPR(40)의 동작전원인 P상과 N상 사이의 DC 110V 전원에 단락이 발생되며, 시험장치(80) 내부에서 출력 접점(84, 86)에 연결된 스위치(82)나 접점 등이 소손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이에 MPR(40)의 시험이 중단됨은 물론, 매우 고가의 장비인 시험장치(80)를 유지보수 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5892호
본 발명은 전동기 보호계전기와 전동기 보호계전기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전동기 보호계전기에 대한 오결선 시에 시험장치와 전동기 보호계전기 간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킴으로써, 오결선에 의한 시험장치 내부 접점 등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는, 전동기 보호계전기(40)와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를 시험하는 시험장치(8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시험장치(80)의 일측 출력 접점(86)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단자(102);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전압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104);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 설치되되, 입력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 전원을 일방향으로 정류하며, 입력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정류회로부(110);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여자되는 단락 보호계전기(140); 및 상기 정류회로부(110)와는 별도의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직렬로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폐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가 직접 연결되는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여자될 때 개방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을 포함하는 단락 보호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는, 상기 단락 보호 회로부는,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제2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2), 및 저항(R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는,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 저항(R2)과 함께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용 부저(120), 또는,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 저항(R3)과 함께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발광하는 경고 표시용 LED(1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에 따르면, 시험장치(80)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에 연결할 때 단락 보호장치(100)를 매개로 연결함으로써,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22번 단자에 연결하는 정상 결선의 경우에는 정류회로부(110)가 동작하지 않고 단락 보호 회로부가 시험장치(80)와 전동기 보호계전기(40)를 직렬로 연결하는 바이패스라인이 형성되어 정상적인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24번 단자에 연결하는 오결선의 경우에는 저항(R1)에 의하여 단락전류를 1차적으로 제한하고,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여 시험장치(80)와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연결을 개방시킴으로써 시험장치(80) 내부에서 출력 접점(84, 86)에 연결된 스위치(82)나 접점 등이 단락되어 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전동기에 전동기 보호계전기가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한 회로도,
도 2는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시험 환경을 예시한 회로도,
도 3은 전동기 보호계전기와 시험 장치 간의 오결선 상태를 예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 보호장치가 개재된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시험 환경을 예시한 회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 보호장치의 회로 구성 및 오결선 상태의 단락 보호 동작을 예시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 보호장치가 개재된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시험 환경을 예시한 회로도이다.
먼저, 전동기 보호계전기(MPR: Motor Protection Relay, 40, 이하 'MPR'이라 칭함)는 전동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 단락, 역상, 결상, 지락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이를 검출하여 전동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동기 보호 장치이다.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PR(40)은 사용시간 및 환경 등에 의해 동작 특성이 변화하므로,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동작 성능을 시험해야 한다.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MPR(40)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80)는 다양한 전원 특성 및 부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며, 매우 고가의 장비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PR(40)과 시험장치(8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착오로 인해 직류 전원부(70)의 출력라인이 단락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며, 이는 시험장치(80) 내부의 구성품들 중 스위치나 접점 등에서 소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단락 보호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R(40)과 시험장치(80) 사이에 연결되는 장치로서, 시험을 위한 결선이 잘못된 경우에도 시험장치(80) 내 접점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호하는 장치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락 보호장치(10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 보호장치의 회로 구성 및 오결선 상태의 단락 보호 동작을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PR(40)의 동작전원(DC 110V) 단자(P)와 시험장치(80)의 제1 출력 접점(84)이 접속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시험장치(80)의 제2 출력 접점(86)과 MPR(40)의 전압입력라인(예컨대, 22번 단자 또는 24번 단자) 사이에 본 발명의 단락 보호장치(100)가 연결된다.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1 접속 단자(102)는 시험장치(80)의 제2 출력 접점(86)에 접속되며, 제2 접속 단자(104)는 MPR(40)의 전압입력 단자 22번에 접속된다.
단락 보호장치(100) 내부의 회로 구성을 살피면, 제1 접속 단자(102)와 제2 접속 단자(104)를 직접 연결하는 직렬 라인에는 제1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제2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2), 및 저항(R1)이 직렬 연결되어 단락 보호 회로부를 구성한다.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Ry-b2)은 평상시, 즉,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폐로 상태를 유지하며, 단락 보호계전기(140)에 전원이 투입되어 여자되면 개로되는 접점이다.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Ry-b2) 2개를 직렬로 연결하는 회로 구성은 저항(R1)과 함께 시험장치 오결선에 의한 단락전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어느 하나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이 고장나서 폐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이 정상 동작하여 회로의 개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단자(102)와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는 정류회로부(110)가 설치된다. 정류회로부(110)는 브리지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입력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 전원을 일방향으로 정류하지만, 입력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락 보호장치(100)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 양단에는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연결된다. 예컨대 단락 보호계전기(140)는 DC 110V 5A의 동작특성을 가지며, 2개의 b접점을 보유한 계전기이다.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는 저항(R2)과 함께 직렬 접속되어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용 부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는 저항(R3)과 함께 직렬 접속되어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발광하는 경고 표시용 LED(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락 보호장치(100)가 정상 결선과 오결선 시에 각각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MPR(40)의 절체 스위치가 연결된 22번 단자에 정상적으로 결선한 경우, MPR(40)의 전압입력단자 22번 및 24번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는 단락 보호장치(100)의 저항(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크고, 전류도 수 mA에 불과하므로 정상적으로 직류 전압이 인가가 되고, 단락 보호장치(100)로 유입되는 전원은 저항(R1)에 의한 전압강하분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류회로부(110)가 동작하지 않고, 단락 보호계전기(140) 역시 비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접속 단자(102)와 제2 접속 단자(104) 사이를 직렬 연결하는 제1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및 제2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2)은 폐로 상태를 유지하며, 단락 보호 회로부의 직렬 라인이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여 시험장치(80)의 제2 출력 접점(86)과 MPR(40)의 22번 단자가 직접 연결된 상태와 동일하므로, 정상적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 보호장치(100)의 제2 접속 단자(104)를 MPR(40)의 24번 단자에 결선한 오결선 상태라면, 제2 접속 단자(104)가 동작전원의 N상에 접속된 상태에 놓이게 되어 단락보호장치(100)의 제1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과 제2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1)사이에 동작전원 DC 110 V가 인가되나, 저항(R1)에 의하여 전류가 시험장치(80)의 접점을 손상할 우려가 없는 작은 전류로 제한하게 된다.
또한, 정류회로부(110)의 입력단에도 DC 110V의 직류 전원이 인가된다. 만약, 제1 접속 단자(102)와 제2 접속 단자(104)가 반대로 접속된 상태라면, 정류회로부(110)의 입력단에는 역방향의 DC 110V가 인가될 것이다. 어느 경우라도, 정류회로부(110)에서 정류된 전원이 단락 보호계전기(140)에 인가된다. 따라서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여자되며, 2개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Ry-b2)들은 개로 된다.
시험장치(80)의 제2 출력 접점(86)과 MPR(40)의 24번 단자 사이에서 회로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험장치(80) 내부로 단락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40 : 전동기 보호계전기(MPR) 70 : 직류 전원부
80 : 시험장치 82 : 스위치
84 : 제1 출력 접점 86 : 제2 출력 접점
100 : 단락 보호장치 102 : 제1 접속 단자
104 : 제2 접속 단자 110 : 정류회로부
120 : 경고용 부저 130 : 경고 표시용 LED
140 : 단락 보호계전기

Claims (3)

  1. 전동기 보호계전기(40)와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를 시험하는 시험장치(8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시험장치(80)의 일측 출력 접점(86)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단자(102);
    상기 전동기 보호계전기(40)의 전압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104);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 설치되되, 입력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 전원을 일방향으로 정류하며, 입력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정류회로부(110);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여자되는 단락 보호계전기(140); 및
    상기 정류회로부(110)와는 별도의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직렬로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폐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가 직접 연결되는 바이패스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락 보호계전기(140)가 여자될 때 개방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을 포함하는 단락 보호 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보호 회로부는,
    상기 제1 접속 단자(102)와 상기 제2 접속 단자(10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1), 제2 단락 보호계전기 b접점(Ry-b2), 및 저항(R1)을 포함하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 저항(R2)과 함께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용 부저(120), 또는, 상기 정류회로부(110)의 출력단에 저항(R3)과 함께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회로부(110)에서 직류 출력이 발생할 경우 발광하는 경고 표시용 LED(130)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KR1020180069620A 2018-06-18 2018-06-18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KR10193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20A KR101939698B1 (ko) 2018-06-18 2018-06-18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20A KR101939698B1 (ko) 2018-06-18 2018-06-18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98B1 true KR101939698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620A KR101939698B1 (ko) 2018-06-18 2018-06-18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7101A (zh) * 2020-03-06 2020-06-12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电气控制装置、方法和机器人
KR102579950B1 (ko)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861U (ko) * 1995-05-16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류전원의 극성전환장치
KR20160038251A (ko) * 2014-09-30 2016-04-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 계전기 테스트 장치
KR20170129433A (ko) * 2016-05-17 2017-11-27 새한테크놀로지(주) 쇼트 발생시 출력차단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861U (ko) * 1995-05-16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류전원의 극성전환장치
KR20160038251A (ko) * 2014-09-30 2016-04-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 계전기 테스트 장치
KR101735892B1 (ko) 2014-09-30 2017-05-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 계전기 테스트 장치
KR20170129433A (ko) * 2016-05-17 2017-11-27 새한테크놀로지(주) 쇼트 발생시 출력차단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7101A (zh) * 2020-03-06 2020-06-12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机器人的电气控制装置、方法和机器人
KR102579950B1 (ko)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6450B (zh) 具有电压监控的绝缘监控装置及基于其的方法
US710348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US7133266B1 (en) Electrical wiring device
JPH0526410B2 (ko)
US20190157855A1 (en) Phase-to-phase surge protective devices
WO2011106261A1 (en) Protective switch with status detection
CN109314024A (zh) 用于车辆的配电器和保险系统
KR101939698B1 (ko)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험장치의 접점 소손 보호를 위한 단락 보호장치
US9722408B2 (en) ARC-free capacitor trip device
US8427794B2 (en) Multi-pol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US11867748B2 (en) Electrical control device detection circuit, detection method, and electric vehicle
US20110026179A1 (en) Protection Device
JPH07255124A (ja) 相順配線保護装置
US11486907B2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n impedance of a protective conductor, and charging control unit
US20040012265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redundant power supplies selection
US11588316B2 (en) Circuit with timing function and leakage protection plug
US10194504B2 (en) Lighting system
US20030107851A1 (en) Mobile high voltage network
JP5335032B2 (ja) 直流地絡検出装置、直流回路の地絡検出方法および直流電源の切り替え方法
US20230307901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interruption device for power cord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appliances
US20230402833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interruption device for power cord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appliances
KR101036287B1 (ko) 위상 감지 회로 및 다상 전원을 사용하는 장치
US20220344927A1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20180045451A (ko) 누전차단기
US11165276B2 (en)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