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81B1 - Portable Cooker - Google Patents
Portable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9681B1 KR101939681B1 KR1020170118610A KR20170118610A KR101939681B1 KR 101939681 B1 KR101939681 B1 KR 101939681B1 KR 1020170118610 A KR1020170118610 A KR 1020170118610A KR 20170118610 A KR20170118610 A KR 20170118610A KR 101939681 B1 KR101939681 B1 KR 101939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outer container
- container
- flange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등산,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할 때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When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etc. are carried out, portable cooking utensils are used to cook food.
휴대용 조리용기의 열원으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가스, 숯, 전기 등은 운반상의 불편함, 화재발생의 위험, 사용 장소의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Gas, charcoal, electricity and the like conventionally used as a heat source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have disadvantages such as in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risk of fire occurrence, limitation of use place, etc. Recently, a heating element, which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water,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to be used is being used.
도14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5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6은 도1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17은 도16의 C영역의 확대도이고, 도18은 도1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19는 도18의 D영역의 확대도이고,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 뚜껑받침부의 확대사시도이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utensil,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utensil,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4,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D in Fig. 18, and Figs. 20 and 21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lid-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110)와, 외용기(110)의 상측에 설치된 내용기(120)와, 내용기(120)의 상측에 설치된 용기뚜껑(130)과, 내용기(1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뚜껑받침부(140)와, 뚜껑받침부(140)를 구속하기 위한 받침구속부(150)와, 내용기(120)와 외용기(110) 사이에 설치된 폐루프형태의 외용기밀폐부재(160)와, 용기뚜껑(130)과 내용기(120) 사이에 설치된 폐루프형태의 뚜껑밀폐부재(170)와, 외용기(110)에 설치된 안전밸브(191)와, 외용기(110)와 용기뚜껑(130)에 하나씩 설치된 증기배출밸브(192)를 갖고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es an
외용기(110)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외용기바디부(111)와, 외용기바디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외용기플랜지(112)를 갖고 있다.The
내용기(120)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바디부(121)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내용기바디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를 갖고 있다.The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는 상면이 후술하는 받침부플랜지(142)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airtight sealing
전술한 구성을 갖는 내용기(120)는 내용기바디부(121)의 바닥면과 외용기바디부(11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126)이 마련되고,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가 외용기플랜지(1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In the
용기뚜껑(130)은 덮개부(131)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덮개부(131)의 종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요형(凹形)의 뚜껑밀폐부재홈부(135)와, 뚜껑밀폐부재홈부(135)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뚜껑걸림판부(132)와, 덮개부(13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뚜껑손잡이(133)를 갖고 있다.The
뚜껑걸림판부(132)는 후술하는 뚜껑걸림부(143)의 배치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lid
전술한 구성을 갖는 용기뚜껑(130)은 덮개부(131)가 내용기바디부(121)의 개구영역을 덮고, 뚜껑걸림판부(132)가 후술하는 뚜껑걸림수평면부(143b)의 하측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The
뚜껑받침부(140)는 원형띠 형태의 받침부바디부(141)와, 받침부바디부(141)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플랜지(142)와, 받침부플랜지(142)에 분산 형성된 뚜껑걸림부(143)와, 받침부바디부(141)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된 복수의 외용기걸림부(144)를 갖고 있다.The
각 뚜껑걸림부(143)는 받침부플랜지(14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뚜껑걸림수직면부(143a)와, 뚜껑걸림수직면부(143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뚜껑걸림수평면부(143b)를 갖고 있다.Each
외용기걸림부(144)는 후술하는 외용기걸림판부(153)의 배치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out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뚜껑받침부(140)는 받침부바디부(141)가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외표면을 둘러싸고, 받침부플랜지(142)의 저면이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받침구속부(150)는 외용기바디부(111)의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용기손잡이(151)와, 외용기플랜지(112)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복수의 외용기걸림판부(153)와, 받침부바디부(141)의 외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뚜껑받침부손잡이(152)를 갖고 있다.The
한 쌍의 외용기손잡이(151)에는 정렬안내홈(151a)과 구속홈(151b)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한 쌍의 뚜껑받침부손잡이(152)에는 정렬안내홈(151a)와 구속홈(151b)에 각각 대응하는 정렬돌부(152b)와 구속돌기(152c)가 형성되어 있다.An aligning
그리고 뚜껑받침부손잡이(152)에는 구속돌기(152c)를 일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152a)과, 구속돌기(152c)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탄성력을 축적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An
위에서 설명한 뚜껑받침부(140)를 외용기(110)에 결합시키는 구성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2089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coupling the
외용기밀폐부재(160)는 대략 꺽쇠단면형태의 외용기밀폐바디부(161)와, 외용기밀폐바디부(161)로부터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외용기밀폐날개부(162)를 갖고 있다.The outer
외용기밀폐부재(16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The outer
외용기밀폐부재(160)는 외용기밀폐바디부(161)가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에 진입하고, 외용기밀폐날개부(162)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외용기플랜지(1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outer
뚜껑밀폐부재(170)는 대략 꺽쇠단면형태의 뚜껑밀폐바디부(171)와, 뚜껑밀폐바디부(171)로부터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뚜껑밀폐날개부(172)를 갖고 있다.The
뚜껑밀폐부재(17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The
뚜껑밀폐부재(170)는 뚜껑밀폐바디부(171)가 뚜껑밀폐부재홈부(135)에 진입하고, 뚜껑밀폐날개부(172)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안전밸브(191)는 외용기(110)의 증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어가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밸브(191)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증기배출밸브(192)는 내용기(120)와 외용기(110)의 증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어가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기배출밸브(192)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용기밀폐부재(160)는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에 설치되어 있고, 뚜껑밀폐부재(170)는 뚜껑밀폐부재홈부(135)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외용기밀폐날개부(162)의 하단이 외용기플랜지(1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내용기(120)가 외용기(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A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is assumed that the outer
뚜껑받침부(14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먼저 외용기걸림판부(153)가 외용기걸림부(144)의 사이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렬돌부(152b)가 정렬안내홈(151a)의 종단에 도달할 때까지 뚜껑받침부(140)를 회전시킨다.The
정렬돌부(152b)가 정렬안내홈(151a)의 종단에 도달할 때 구속돌기(152c)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구속홈(151b)에 진입한다.When the
구속돌기(152c)가 구속홈(151b)에 진입하면 뚜껑받침부(14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뚜껑밀폐부재(170)와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 사이의 접촉상태,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와 받침부플랜지(142) 사이의 접촉상태 및 외용기밀폐부재(160)와 외용기플랜지(112)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된다.When the restricting
뚜껑받침부(140)를 외용기(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조작버튼(152a)을 조작하여 구속홈(151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속돌기(152c)를 직선이동시킨 상태에서 뚜껑받침부(1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용기뚜껑(1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뚜껑받침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The
먼저 뚜껑걸림판부(132)를 뚜껑걸림부(143)의 사이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뚜껑걸림판부(1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143b)의 하측으로 진입하도록 용기뚜껑(130)을 회전시킨다.The
뚜껑걸림판부(1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143b)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뚜껑밀폐부재(170)는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에 접촉하고, 뚜껑걸림판부(132)는 뚜껑걸림수평면부(143b)의 저면에 접촉한다.The
용기뚜껑(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구속부(150)에 의해 뚜껑받침부(14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뚜껑밀폐부재(170)와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 사이의 접촉상태 및 뚜껑걸림판부(1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143b)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음식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Food can be cooked in the following way.
먼저 외용기(110)의 바닥면에 발열체(201)와 물을 투입한다(도22 참조).First, the
발열체(201)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Heat is generated by the hydration reaction between the
다음에 내용기(120)와 뚜껑받침부(140)를 설치한다.Next, the
다음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내용기(120)에 담은 다음, 용기뚜껑(130)을 설치한다.Next, the food to be cooked is placed in the
용기뚜껑(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발열체(201)로부터 내용기(12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은 가열된다.The food is heated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따르면, 용기뚜껑(130)에 뚜껑밀폐부재홈부(135)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용기뚜껑(130)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since the lid sealing
그리고 뚜껑밀폐부재(170)가 뚜껑밀폐부재홈부(13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밀폐부재(170)의 교체와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또한 뚜껑밀폐날개부(172)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뚜껑밀폐부재(170)가 설치되기 때문에 내용기(120) 내의 열기가 뚜껑밀폐날개부(172)와 내용기밀폐부재홈부(122)의 상면 사이를 통해 내용기(120)의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23 참조).Since the
내용기(120)로부터 외부로 열기가 배출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진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A second problem arises that the cooking time is prolonged if the heat is released from the
또한 외용기밀폐날개부(162)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외용기플랜지(1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외용기밀폐부재(160)가 설치되기 때문에 발열체수용공간(126) 내의 열기가 외용기밀폐날개부(162)와 외용기플랜지(112)의 상면 사이를 통해 외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23 참조).Since the outer
발열체수용공간(126)으로부터 외부로 열기가 배출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진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A second problem arises that the cooking time is prolonged if heat is discharged from the heating-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0687호(등록일자: 2016년 12월 22일, 발명의 명칭: 휴대용 조리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 related prior art documen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0687 (registered on Dec. 22, 2016, entitled Portable Cooking Container), and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Lt; / RTI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뚜껑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뚜껑밀폐부재의 교체와 세척이 용이하고 용기뚜껑과 내용기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lid is simplified, the lid sealing member is easily replaced and cleaned, and the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s container is improv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외용기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외용기플랜지를 구비한 외용기와,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바디부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내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밀폐부재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바디부의 바닥면과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가 상기 외용기플랜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내용기와, 원형띠 형태의 받침부바디부와 상기 받침부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플랜지와 상기 받침부플랜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뚜껑걸림수직면부와 상기 뚜껑걸림수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뚜껑걸림수평면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뚜껑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받침부바디부가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를 둘러싸고 상기 받침부플랜지의 저면이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뚜껑받침부와, 덮개판부와 상기 덮개판부의 종단에 분산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뚜껑걸림판부를 가지고 상기 뚜껑걸림판부가 상기 뚜껑걸림수평면부의 하측으로 진입하고 상기 덮개판부가 상기 내용기바디부의 개구영역을 덮도록 상기 내용기의 상측에 설치된 용기뚜껑과, 폐루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플랜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외용기밀폐부재와, 폐루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뚜껑과 상기 내용기 사이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뚜껑밀폐부재를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받침부는 상기 받침부플랜지의 종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밀폐부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밀폐부재는 뚜껑밀폐바디부와 상기 뚜껑밀폐바디부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뚜껑밀폐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뚜껑밀폐날개부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상기 덮개판부의 저면에 접촉하고 상기 뚜껑밀폐바디부가 상기 내용기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밀폐바디부를 통해 상기 밀폐부재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뚜껑걸림판부가 상기 뚜껑걸림수평면부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 상기 뚜껑밀폐부재와 상기 덮개판부 사이의 접촉상태, 상기 뚜껑밀폐부재와 상기 내용기 사이의 접촉상태,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와 상기 받침부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 및 상기 외용기밀폐부재와 상기 외용기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상기 뚜껑받침부를 구속하는 받침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outer container body portion open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n outer container flange bent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body portion, A concave main body portion and a concave main body closing member groov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be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 container body having a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and the inner container member groove being disposed above the outer container flange, A receiving flange bent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lid vertical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flange, A plurality of lid engaging portions each having a lid-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bent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body surrounds the contents airtight member groov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flang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lid engaging plate portions dispersedly formed at the ends of the lid plate portion so that the lid engaging plate portion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lid 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An outer container closure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and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A lid seal formed of a resilient material and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s container, Wherein the lid-receiving portion includes a lid-clos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an end of the receiving-portion flange, and the lid-closure member includes a lid-closing body portion and a lid- The lid-closing body having a lid-closing wing portion extend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lid-closing wing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late portion in an upwardly inclined state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To said closure inventory station; A state in which the lid-engaging plate portion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lid-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lid plat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content container, And a support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lid support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flange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sealing member and the outer container flange are respectively maintained.
여기서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외용기밀폐부재는 외용기밀폐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밀폐바디부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외용기밀폐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외용기밀폐바디부가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에 진입하고 상기 외용기밀폐날개부가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상기 외용기플랜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outer container closure member has an outer container closed body portion and an outer container closed wing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inwardly from the outer container closed body portion so a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content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rmetically closed body par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in a state where the hermetically sealed member enters the groove part and the outer container sealing wing part is inclined downward inward.
그리고 용기뚜껑과 내용기 사이의 밀폐성이 더욱더 향상되도록,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용기바디부와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 사이에서 상기 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내용기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밀폐부재는 하단이 상기 내용기지지면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furthermore, the content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content detecting surf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content gas sealing member groove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ent container body portion, so that the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 container is further improved; Preferably, the lid sealing member is installed such that its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ent receiving surface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부재고정부를 갖도록 뚜껑받침부를 형성하고 뚜껑밀폐날개부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덮개판부의 저면에 접촉하고 뚜껑밀폐바디부가 내용기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뚜껑밀폐부재를 밀폐부재고정부에 결합하는 한편, 뚜껑걸림판부가 뚜껑걸림수평면부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 뚜껑밀폐부재와 덮개판부 사이의 접촉상태, 뚜껑밀폐부재와 내용기 사이의 접촉상태, 내용기밀폐부재홈부와 받침부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 및 외용기밀폐부재와 외용기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뚜껑받침부를 구속하는 받침구속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뚜껑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뚜껑밀폐부재의 교체와 세척이 용이하고, 용기뚜껑과 내용기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내용기 내의 열기가 뚜껑밀폐날개부와 덮개판부 사이를 통해 내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음).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d-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hermetically-closed part, and the lid-closing wing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late portion with the upwardly inclined in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A state in which the lid-engaging plate portion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lid-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lid plat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content container, The structure of the lid of the container is simplified, and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lid can be simplified by configuring the lid supporting portion to constrain the lid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member groove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flange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sealing member and the outer container flange, The memb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cleaned, and the hermeticity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s container is improved (the heat in the contents container is sealed by the lid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ent contain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wing portion and the cover plate portion).
용기뚜껑과 내용기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ightness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s container is improved, the cooking tim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olong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3의 C영역의 확대도,
도5는 도1의 B-B'선 단면도,
도6은 도5의 D영역의 확대도,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받침부의 확대사시도,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구속부의 확대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15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6은 도14의 A-A'선 단면도,
도17은 도16의 C영역의 확대도,
도18은 도14의 B-B'선 단면도,
도19는 도18의 D영역의 확대도,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 뚜껑받침부의 확대사시도,
도22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3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C in Fig. 3,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D in Fig. 5,
7 and 8 are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id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ase restrai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utensil,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4,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 in Fig. 16,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4,
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D in Fig. 18,
20 and 21 are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id receiving portion,
2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utensil,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utensil.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C영역의 확대도이고, 도5는 도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6은 도5의 D영역의 확대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받침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구속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C in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D in FIG. 9 and 10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a base restrai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10)와, 외용기(10)의 상측에 설치된 내용기(20)와, 내용기(20)의 상측에 설치된 용기뚜껑(30)과, 내용기(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뚜껑받침부(40)와, 뚜껑받침부(40)를 구속하기 위한 받침구속부(50)와, 내용기(20)와 외용기(10) 사이에 설치된 폐루프형태의 외용기밀폐부재(60)와, 용기뚜껑(30)과 내용기(20) 사이에 설치된 폐루프형태의 뚜껑밀폐부재(70)와, 외용기(10)에 설치된 안전밸브(91)와, 외용기(10)와 용기뚜껑(30)에 하나씩 설치된 증기배출밸브(92)를 갖고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외용기(10)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외용기바디부(11)와, 외용기바디부(1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외용기플랜지(12)와, 외용기바디부(11)의 외표면에 결합된 외용기손잡이(13)를 갖고 있다.The
본 명세서에서 "외측"이라는 용어는 용기(외용기 또는 내용기)의 바깥쪽을 의미하고 "내측"이라는 용어는 용기의 안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 outer "means outside the container (outer container or contents container) and the term" inside "
내용기(20)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바디부(21)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내용기바디부(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요형(凹形)의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와, 내용기바디부(21)와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 사이에 형성된 내용기지지면부(23)를 갖고 있다.The
내용기지지면부(23)는 내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된다.The cont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용기(20)는 내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과 외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26)이 마련되고,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가 외용기플랜지(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The
외용기(10)와 내용기(20)는 깊이를 달리하여(도11의 내용기 20' 참조)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용기뚜껑(30)은 원형의 덮개판부(31)와, 덮개판부(31)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뚜껑걸림판부(32)와, 덮개판부(31)에 설치된 뚜껑손잡이(33)를 갖고 있다.The
각 뚜껑걸림판부(32)는 후술하는 뚜껑걸림부(43)의 배치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Each lid latch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뚜껑(30)은 덮개판부(31)가 내용기바디부(21)의 개구영역을 덮고, 뚜껑걸림판부(32)가 후술하는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하측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The
뚜껑받침부(40)는 원형띠 형태의 받침부바디부(41)와, 받침부바디부(41)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플랜지(42)와, 받침부플랜지(42)에 분산 형성된 뚜껑걸림부(43)와, 받침부플랜지(42)의 종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밀폐부재고정부(44)와, 뚜껑걸림부(43)의 2개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스토퍼턱(45)을 갖고 있다. The
각 뚜껑걸림부(43)는 받침부플랜지(4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뚜껑걸림수직면부(43a)와, 뚜껑걸림수직면부(43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뚜껑걸림수평면부(43b)를 갖고 있다.Each
밀폐부재고정부(44)는 받침부플랜지(42)의 종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곡면형태의 밀폐부재고정스커트부(44a)와, 밀폐부재고정스커트부(44a)로부터 내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고정수평면부(44b)를 갖고 있다.The clos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뚜껑받침부(40)는 받침부바디부(41)가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의 외표면을 둘러싸고, 받침부플랜지(42)의 저면이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받침구속부(50)는 좌받침구속부(51)와, 힌지핀(52d)에 의해 좌받침구속부(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받침구속부(52)와, 좌받침구속부(51)와 우받침구속부(52) 상호간을 체결하는 체결조작부(53)를 갖고 있다.The
좌받침구속부(51)는 원호형태의 좌받침구속바디부(51a)와, 좌받침구속바디부(51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좌받침구속상부플랜지(51b)와, 좌받침구속바디부(51a)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좌받침구속하부플랜지(51c)를 갖고 있다.The left-
우받침구속부(52)는 원호형태의 우받침구속바디부(52a)와, 우받침구속바디부(52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우받침구속상부플랜지(52b)와, 우받침구속바디부(52a)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우받침구속하부플랜지(52c)를 갖고 있다.The right and the left restraining
체결조작부(53)는 우받침구속바디부(52a)의 일단에 결합된 체결편(53a)과, 체결편(53a)에 결합된 잠금레버(53c)와, 잠금레버(53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루프 형태의 체결고리(53b)와, 좌받침구속바디부(51a)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체결홈부(53d)를 갖고 있다.The
체결편(53a)에는 한 쌍의 지지벽부(53e)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잠금레버(53c)에는 한 쌍의 레버절곡부(53f)가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lever bends 53f are formed on the
잠금레버(53c)는 지지벽부(53e)와 레버절곡부(53f)에 체결되는 회동핀(53g)을 통해 체결편(53a)에 결합된다.The
결고리(53b)는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 레버절곡부(53f)의 중간쯤에 결합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조작부(53)는 체결홈부(53d)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잠금레버(53c)를 회동조작함으로써 체결고리(53b)와 체결홈부(53d) 사이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도10 참조).The
외용기밀폐부재(60)는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의 홈내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외용기밀폐바디부(61)와, 외용기밀폐바디부(61)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외용기밀폐날개부(62)를 갖고 있다.The outer
외용기밀폐부재(6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The out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용기밀폐부재(60)는 외용기밀폐바디부(61)가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에 진입하고 외용기밀폐날개부(62)가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외용기플랜지(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In the outer
뚜껑밀폐부재(70)는 고정수평면부(44b)에 대응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된 뚜껑밀폐바디부(71)와, 뚜껑밀폐바디부(71)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뚜껑밀폐날개부(72)를 갖고 있다.The
뚜껑밀폐부재(7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뚜껑밀폐부재(70)는 뚜껑밀폐날개부(72)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덮개판부(31)의 저면에 접촉하고, 뚜껑밀폐바디부(71)의 하단이 내용기지지면부(23)의 상면에 접촉하고, 뚜껑밀폐바디부(71)가 고정수평면부(44b)에 억지끼움되도록 설치된다.The
안전밸브(91)와 증기배출밸브(92)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용기밀폐부재(60)는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에 설치되어 있고, 뚜껑밀폐부재(70)는 밀폐부재고정부(44)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외용기밀폐날개부(62)의 하단이 외용기플랜지(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내용기(20)가 외용기(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A method of using the portabl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uter
뚜껑받침부(4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먼저 받침부플랜지(42)가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의 상면에 접촉하고, 뚜껑밀폐바디부(71)의 하단이 내용기지지면부(23)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뚜껑받침부(40)를 설치한다.The
다음에 체결고리(53b)가 체결홈부(53d)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좌받침구속부(51)와 우받침구속부(52)가 받침부바디부(41)를 둘러싸도록 받침구속부(50)를 설치한다(도12 참조).The
다음에 좌받침구속바디부(51a)의 내표면과 우받침구속바디부(52a)의 내표면이 받침부바디부(41)에 접촉하도록 좌받침구속부(51)와 우받침구속부(52)를 뚜껑받침부(40)에 접근시킨다(도12 참조). 좌받침구속부(51)와 우받침구속부(52)가 뚜껑받침부(40)에 접근하는 동안 좌받침구속상부플랜지(51b)의 저면과 우받침구속상부플랜지(52b)의 저면이 받침부플랜지(42)의 상면에 접촉하고, 좌받침구속하부플랜지(51c)의 상면과 우받침구속하부플랜지(52c)의 상면이 외용기플랜지(12)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도13 참조).The left and
다음에 체결고리(53b)를 체결홈부(53d)에 체결한다. 좌받침구속부(51)와 우받침구속부(52)가 뚜껑받침부(40)에 접근한 상태에서 체결고리(53b)가 체결홈부(53d)에 체결되면 뚜껑받침부(4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뚜껑밀폐부재(70)와 내용기(20) 사이의 접촉상태,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와 받침부플랜지(42) 사이의 접촉상태 및 외용기밀폐부재(60)와 외용기플랜지(12)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된다.Next, the
용기뚜껑(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뚜껑받침부(40)에 설치될 수 있다.The
먼저 뚜껑걸림판부(32)를 뚜껑걸림부(43)의 사이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뚜껑걸림판부(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하측으로 진입하도록 용기뚜껑(30)을 회전시킨다. 용기뚜껑(30) 회전동작은 뚜껑걸림판부(32)가 스토퍼턱(45)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The
뚜껑걸림판부(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뚜껑밀폐날개부(72)는 덮개판부(31)의 저면에 접촉하고, 뚜껑걸림판부(32)는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저면에 접촉한다.The lid sealing wing portion 72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용기뚜껑(3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구속부(50)에 의해 뚜껑받침부(4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뚜껑밀폐부재(70)와 덮개판부(31) 사이의 접촉상태 및 뚜껑걸림판부(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가 유지된다.The
음식물은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The food can be cook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플랜지(42)의 종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밀폐부재고정부(44)를 갖도록 뚜껑받침부(40)를 형성하고 뚜껑밀폐날개부(72)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덮개판부(31)의 저면에 접촉하고 뚜껑밀폐바디부(71)가 내용기(20)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뚜껑밀폐부재(70)를 밀폐부재고정부(44)에 결합하는 한편, 뚜껑걸림판부(32)가 뚜껑걸림수평면부(43b)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 뚜껑밀폐부재(70)와 덮개판부(31) 사이의 접촉상태, 뚜껑밀폐부재(70)와 내용기(20) 사이의 접촉상태, 내용기밀폐부재홈부(22)와 받침부플랜지(42) 사이의 접촉상태 및 외용기밀폐부재(60)와 외용기플랜지(12)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뚜껑받침부(40)를 구속하는 받침구속부(50)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뚜껑(3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뚜껑밀폐부재(70)의 교체와 세척이 용이하고, 용기뚜껑(30)과 내용기(20)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내용기 내의 열기가 뚜껑밀폐날개부와 덮개판부 사이를 통해 내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음). 용기뚜껑(30)과 내용기(20)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외용기밀폐날개부(62)가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외용기플랜지(1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발열체수용공간 내의 열기가 외용기밀폐날개부와 외용기플랜지의 상면 사이를 통해 외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음). The outer
외용기(10)와 내용기(20)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ing time from becoming long if the hermeticity between the
또한 내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내용기지지면부(23)를 갖도록 내용기(20)를 형성하는 한편, 하단이 내용기지지면부(23)에 접촉하도록 뚜껑밀폐부재(70)를 설치함으로써, 용기뚜껑(30)과 내용기(20)사이의 밀폐성이 더욱더 향상된다.The
10, 110 : 외용기 11, 111 : 외용기바디부
12, 112 : 외용기플랜지 20, 120 : 내용기
21, 121 : 내용기바디부 22, 122 : 내용기밀폐부재홈부
23 : 내용기지지면부 30, 130 : 용기뚜껑
31 : 덮개판부 32, 132 : 뚜껑걸림판부
40, 140 : 뚜껑받침부 41, 141 : 받침부바디부
42, 142 : 받침부플랜지 43, 143 : 뚜껑걸림부
44 : 밀폐부재고정부 50, 150 : 받침구속부
51 : 좌받침구속부 52 : 우받침구속부
53 : 체결조작부 60, 160 : 외용기밀폐부재
61, 161 : 외용기밀폐바디부 62, 162 : 외용기밀폐날개부
70, 170 : 뚜껑밀폐부재 71, 171 : 뚜껑밀폐바디부
72, 172 : 뚜껑밀폐날개부 131 : 덮개부
135 : 뚜껑밀폐부재홈부 144 : 외용기걸림부
151 : 외용기손잡이 152 : 받침부손잡이
153 : 외용기걸림판부10, 110:
12, 112:
21, 121: an
23: contents base
31:
40, 140: a
42, 142: receiving
44: Closed-door
51: left-foot restraining part 52: right-foot restraining part
53: fastening
61, 161: outer container
70, 170: lid sealing member 71, 171: lid sealing body part
72, 172: lid sealing wing part 131: lid part
135: lid sealing member groove part 144: outer container latching part
151: outer container handle 152: handle handle
153: outer container holding plate
Claims (3)
상기 뚜껑받침부는 상기 받침부플랜지의 종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밀폐부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밀폐부재는 뚜껑밀폐바디부와 상기 뚜껑밀폐바디부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뚜껑밀폐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뚜껑밀폐날개부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상기 덮개판부의 저면에 접촉하고 상기 뚜껑밀폐바디부가 상기 내용기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밀폐바디부를 통해 상기 밀폐부재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뚜껑걸림판부가 상기 뚜껑걸림수평면부의 하측으로 진입한 상태, 상기 뚜껑밀폐부재와 상기 덮개판부 사이의 접촉상태, 상기 뚜껑밀폐부재와 상기 내용기 사이의 접촉상태,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와 상기 받침부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 및 상기 외용기밀폐부재와 상기 외용기플랜지 사이의 접촉상태가 각각 유지되도록 상기 뚜껑받침부를 구속하는 받침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An outer container having a concave outer container body portion open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n outer container flange bent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body portion and an outer container having a concave inner container And a concave shaped body sealing member groov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ents body body portion so as to be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ents body body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portion A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therebetween such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 lid engaging vertical 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face of the sub flange and the receiving portion flange, and a lid engaging vertical face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d engaging vertical face portion The lid support body having a plurality of lid holding portions each having a curved lid-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the lid support body including a lid support body which surrounds the lid member, A cover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d holding plate portions dispersedly formed at the ends of the lid plate portion so that the lid latching plate portion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lid horizontal surface portion and the lid plate portion covers the opening region of the content- An outer container sealing member of elastic material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and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And a lid sealing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ents container, Come on.
Wherein the lid-receiving portion includes a lid-closing body portion and a lid-closing blade extending upwardly inward from the lid-closing body portion, the lid- The lid-closing body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late portion in a state of upward inclination of the lid-closing wing portion with the lid- Being;
A state in which the lid-engaging plate portion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lid-engaging horizontal surfac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lid plate portion,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id sealing member and the content container, And a support restricting portion restricting the lid support portion such that a contact state between the support flange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closure member and the outer container flange is maintained, respectively.
상기 외용기밀폐부재는 외용기밀폐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밀폐바디부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 외용기밀폐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외용기밀폐바디부가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에 진입하고 상기 외용기밀폐날개부가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룬 상태로 상기 외용기플랜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container closure member has an outer container closed body portion and an outer container closed wing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nward from the outer container closed body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Wherein the outer container sealing vane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flange in a downwardly inclined manner inward.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용기바디부와 상기 내용기밀폐부재홈부 사이에서 상기 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내용기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밀폐부재는 하단이 상기 내용기지지면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ent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content defin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tent medium body portion and the content airtight member groove portion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ent medium body portion;
Wherein the lid sealing member is installed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content receiving surfac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8610A KR101939681B1 (en) | 2017-09-15 | 2017-09-15 | Portable Cooker |
PCT/KR2018/006942 WO2019054607A1 (en) | 2017-09-15 | 2018-06-20 | Portable cook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8610A KR101939681B1 (en) | 2017-09-15 | 2017-09-15 | Portable Coo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9681B1 true KR101939681B1 (en) | 2019-01-17 |
Family
ID=6527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8610A KR101939681B1 (en) | 2017-09-15 | 2017-09-15 | Portable Coo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6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336U (en) * | 2019-04-15 | 2020-10-23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
2017
- 2017-09-15 KR KR1020170118610A patent/KR1019396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336U (en) * | 2019-04-15 | 2020-10-23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KR200492874Y1 (en) | 2019-04-15 | 2020-12-24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1163B1 (en) | A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 manual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locking | |
KR101237429B1 (en) | Pot of sealing type | |
KR102472981B1 (en) | A bayonet-fitting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 vessel handle | |
KR100917694B1 (en) | portable cooker for heating of heating medium | |
KR20080012188A (en) | Closure lid for open mouth containers | |
KR101690687B1 (en) | Portable Cooker | |
KR101939681B1 (en) | Portable Cooker | |
KR20190138342A (en) | Portable Cooker | |
KR20210001471A (en) | Vapor-sealed container | |
JP6343704B2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492874Y1 (en) | Portable Cooker | |
JP6133381B2 (en) | Beverage container | |
KR102057938B1 (en) | Cover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 |
KR101568168B1 (en) | lid for vacuum pot | |
KR20170070600A (en) | Clean cover for electrical pressure cooker | |
KR102166514B1 (en) | pressure cooker | |
KR101440990B1 (en) | Pot of sealing type | |
JP2019088732A (en) | Cooking container | |
KR101996881B1 (en) | Vaportight container | |
JP2009225926A (en) | Rice cooker | |
KR102427182B1 (en) | electric cooker | |
KR101648067B1 (en) |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 |
WO2019054607A1 (en) | Portable cooking container | |
KR101526944B1 (en) | cover for cookware | |
CN111110021A (en) | Pressure cooking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