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56B1 -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56B1
KR101939656B1 KR1020170078986A KR20170078986A KR101939656B1 KR 101939656 B1 KR101939656 B1 KR 101939656B1 KR 1020170078986 A KR1020170078986 A KR 1020170078986A KR 20170078986 A KR20170078986 A KR 20170078986A KR 101939656 B1 KR101939656 B1 KR 10193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evator
apron
passeng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094A (en
Inventor
전경한
윤지택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
Priority to KR102017007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56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66B13/285Toe guards or apron devic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바닥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 패널, 에이프런 패널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 패널, 및 확장 패널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 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의 설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승객이 탈출하려는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도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An elevator apron structur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ron panel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a bottom surface of an elevator, an enlarged panel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and an end panel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enlarge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apron for an elevato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iel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rescued in the elevator can be ensur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s body constructed in the elevator is gu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ayer to escape the passenger, thereby further en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Apron Structure for Elevator}[0001]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의 설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승객이 탈출하려는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도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r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structure for an elevator, which can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of an apron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ituation of a building, And the occupant's body is gu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ayer to be escaped by the passenger so that the passenger's safety can be further ensured.

도 1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인해 정지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을 구조함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로부터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층의 바닥면으로 승객이 탈출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승객이 건물의 하부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1, when the passenger is escaping from the elevato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is stopped, in the case where the elevator is stopped due to a failure, in the rescue of the passenger inside the elevato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There is a risk that the passenger may fall 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rough the space of the building.

이에 따라, 구조 과정에서 승객이 건물 하부로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바닥부에는 승객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이 설치되기 마련이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a passenger from falling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n the course of construction, an elevator apron is gener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falling down.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은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승객이 탈출하는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or apron completely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ssenger escaping layer in order to maximiz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은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에 제한히 있는 관계로, 엘리베이터의 정지 위치에 따라서 에이프런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apron for elev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limited to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pace not blocked by the apr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elevat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의 설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승객이 탈출하려는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도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stallation length of an apron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building,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rescued in the elevator, And the passenger is gu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ayer to be escaped, thereby further securing passengers' safe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바닥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 패널(100); 상기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 패널(200); 및 상기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 패널(30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structure for an elevator, including: an apron panel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a bottom surface of an elevator; An extension panel 20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And an end panel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nel 200. [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패널(300)은 상기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d panel 300 is developed in an oblique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nel 200.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의 설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apron for an elevato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iel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rescued in the elevator can be ensur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승객이 탈출하려는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도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s body constructed in the elevator is gu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ayer to escape the passenger, thereby further en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인해 정지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내부 승객의 구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제1 변형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제2 변형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assenger in an elevator when a conventional elevator stops due to a failure;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levator apr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pron structur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an apron structur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levator structur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프런 구조체는 에이프런 패널(100), 적어도 하나의 확장 패널(200), 및 단부 패널(300)을 포함한다.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levator apr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n apr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ron panel 100, at least one expansion panel 200, and an end panel 300.

도 2에서와 같이 에이프런 패널(100)은 엘리베이터 바닥부(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확장 패널(200)은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 패널(300)은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2, the apron panel 100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bottom 10, the expansion panel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nel 200.

확장 패널(200)은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개됨으로써, 에이프런 패널(100)의 길이를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확장 패널(200)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extension panel 20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to thereby extend the length of the apron panel 100 downward.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a plurality of units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한편, 단부 패널(30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최하단에 설치됨으로써, 에이프런 패널(100)의 길이를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 2에서와 같이 설치 방향이 연직 방향이 아닌 경사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이 단부 패널(30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승객 구조의 안정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end panel 300 is install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elevator apr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apron panel 100 downwar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body of the passenger being rescued in the elevator is guided by the end panel 300 away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ed floo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additionally securing 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에이프런 패널(100), 확장 패널(200), 단부 패널(30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 패널인 결합부(130,230,330)가 형성되어 있다.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pron structur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pron panel 100, the extension panel 200, and the end panel 300, coupling portions 130, 230, and 330, which are side panel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이와 같이 에이프런 패널(100), 확장 패널(200), 단부 패널(30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130,230,330)로 인해, 확장 패널(20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이 수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에이프런 패널(10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확장 패널(200)이 수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4, the end panel 300 is housed in the extension panel 200 by the coupling parts 130, 230, and 330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pron panel 100, the extension panel 200, and the end panel 300,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pansion panel 200 is formed inside the apron panel 100 as shown in FIG.

아울러, 도 3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부(330)의 상단은 확장 패널(20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부(230)의 하단과 힌지 방식의 결합 부재인 회동부(27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3,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art 33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nd panel 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23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pansion panel 200 and the hinge- (270).

한편,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는 단부 패널(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인 지지부(250)가 확장 패널(2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250)에 의해 단부 패널(300)의 후면 상단이 지지됨으로써, 단부 패널(300)이 반대 방향(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해당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supporting portion 250 which is a memb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end panel 3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panel 200. The supporting portion 250 extends from the extending panel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d panel 300 from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pace direc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250)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약 30°)만큼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 결과가 도 3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은 경사면을 이루는 지지부(2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25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nel 200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30 degrees)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3, the end panel 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s 250 forming the inclined surfaces, thereby forming inclined surfaces at the same angle.

한편, 이와 같이 단부 패널(300)이 경사면을 형성함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은 단부 패널(30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해당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도됨으로써, 탈출 과정에서 승객은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As the end panel 300 forms the inclined surface, the passenger's body, which is constructed in the elevator, is guided by the end panel 300 to move away fr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During the escape, the passenger can feel the psychological stability.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확장 패널(20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부(230)의 상단은 에이프런 패널(100)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부(130)의 하단과 힌지 방식의 결합 부재인 회동부(17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3,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3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pansion panel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pron panel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hinge- And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an eccentric portion (170).

한편,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는 확장 패널(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인 지지부(150)가 에이프런 패널(1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50)에 의해 확장 패널(200)의 후면 상단이 지지됨으로써, 확장 패널(200)이 반대 방향(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해당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supporting portion 150 which is a memb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extending panel 2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and extends from the apron panel 100. The supporting portion 150 supports the extending panel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panel 200 from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pace direc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150) 또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약 15°)만큼 절곡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확장 패널(200)은 경사면을 이루는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ortion 15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art (15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of the same angle.

이와 같이 확장 패널(200) 또한 경사면을 형성함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서 구조되는 승객의 몸은 확장 패널(20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과 해당 층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유도됨으로서, 탈출 과정에서 승객은 보다 큰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As the expansion panel 200 also forms the inclined surface, the body of the passenger, which is constructed in the elevator, is guided by the expansion panel 200 to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space between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the floor of the floor, Passengers can feel a greater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during the escape.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에이프런 패널(100)의 상단에는 엘리베이터 바닥부(10)의 측면에 결합 시공되는 결합 패널인 제1 고정부(110)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에이프런 패널(100)의 상단에는 엘리베이터의 하부면에 결합 시공되는 결합 패널인 제2 고정부(120)가 제1 고정부(110)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1, a first fixing part 110, which is a joining panel joi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bottom part 1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And a second fixing part 120, which is a joining panel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 패널(200)에는 단부 패널(300)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에이프런 패널(100)에는 확장 패널(200)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구조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구조체를 구조 현장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nd panel 300 is formed in the expansion panel 200, and the space in which the expansion panel 200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apron panel 100, The apr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as long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tructure site.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층의 지면과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의 높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확장 패널(200)과 단부 패널(300)이 모두 전개된 상태에서 승객을 구조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the floor of the elevator is large, the passenger is structured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expansion panel 200 and the end panel 300 are expanded as shown in FIG. 3 .

한편,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층의 지면과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의 높이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은 확장 패널(2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회동되고, 단부 패널(300)을 수납하고 있는 확장 패널(200)은 다시 에이프런 패널(1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에이프런 구조체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5, the end panel 300 is rotated to be accommodated in the enlarged panel 200, and when the height of the end panel 300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panel of the elevator, The extension panel 200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anel 200 is housed inside the apron panel 100 again.

만약,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층의 지면과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의 높이 차이가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이 확장 패널(2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의 에이프런 구조체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the bottom of the elevator is about midway, the apron in the rotated state such that the end panel 300 is housed inside the expansion panel 200 as shown in FIG. You can also use structures.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조자가 단부 패널(300)이 확장 패널(2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 패널(300)과 확장 패널(200)을 결합하는 회동부(270)의 힌지 구동을 구속하는 회동 멈춤구를 회동부(270)에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4, when the end panel 300 is not required to be used, the end panel 300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side the expanded panel 200 A pivot stop for restricting the hinge drive of the pivot portion 270 coupling the end panel 300 and the extension panel 2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ivot portion 270. [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 및 확장 패널(200)의 사용이 모두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구조자가 단부 패널(300)이 내부에 수납된 확장 패널(200)을 에이프런 패널(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확장 패널(200)과 에이프런 패널(100)을 결합하는 회동부(170)의 힌지 구동을 구속하는 회동 멈춤구를 회동부(170)에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5, when the use of both the end panel 300 and the extension panel 200 is not required, the expander panel 200 in which the resterter end panel 300 is housed is connected to the apron panel 100, A pivot stop for restricting the hinge driving of the pivoting part 170 that connects the extension panel 200 and the apron panel 100 to the pivoting part 170 is added to the pivoting part 170 .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구조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확장 패널(200) 및 단부 패널(300)이 갑작스럽게 도 3에서와 같이 전개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5에서의 제1 고정부(110)의 전면(前面)에는 확장 패널(200)의 후면에 빗장 방식으로 설치되는 회전식 빗장 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5, in order to prevent the expansion panel 200 and the end panel 300 from suddenly expanding as shown in FIG. 3 in a situation where the rescuer does not intend, A rotary bolst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200 in a latching manne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그에 따라, 구조자가 회전식 빗장 장치의 빗장을 해제하는 경우에 확장 패널(200)이 자중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며 전개되고, 확장 패널(200)의 회동에 따른 충격 및 단부 패널(300)의 자중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단부 패널(300)이 추가적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rescuer releases the bolt of the rotary knob, the extension panel 200 pivots and unfolds downward as shown in Fig. 4 by its own weight, and the impact due to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anel 200, The end panel 300 may be further deployed as shown in FIG.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승객 구조의 신속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상술한 회전식 빗장 장치는, 빗장의 회전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구조자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peed and safety of the passenger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rotary type ratchet device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그에 따라, 구조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회전식 빗장 장치의 제어 신호를 회전식 빗장 장치로 발신하고, 그에 따라 회전식 빗장 장치의 제어부는 구조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빗장이 해제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에이프런 구조체의 전개 설치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escuer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rotary knocking device to the rotary knocking device through its own mobile terminal, so that the control part of the rotary knocking device controls the driving par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scuer, So that the expansion installation of the apr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remotely.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엘리베이터 바닥부, 100: 에이프런 패널,
110: 제1 고정부, 120: 제2 고정부,
200: 확장 패널, 300: 단부 패널,
130,230,330: 결합부, 150,250,350: 지지부,
170,270: 회동부.
10: elevator floor, 100: apron panel,
110: first fixing unit, 120: second fixing unit,
200: extension panel, 300: end panel,
130, 230, 330: coupling portion, 150, 250, 350:
170,270: Rotary.

Claims (2)

엘리베이터 바닥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에이프런 패널(100);
상기 에이프런 패널(1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 패널(200);
상기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 패널(300); 및
상기 확장 패널(200)의 후면에 설치되는 빗장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패널(200)에는 상기 단부 패널(300)이 수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이프런 패널(100)에는 상기 확장 패널(200)이 수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빗장 장치의 빗장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확장 패널(200)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며 전개되고, 상기 확장 패널(200)의 회동에 따른 충격 및 상기 단부 패널(3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단부 패널(300)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며 전개되며,
상기 단부 패널(300)과 상기 확장 패널(200)을 결합하는 회동부(270)의 힌지 구동을 구속하는 회동 멈춤구를 상기 회동부(270)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고,
상기 확장 패널(200)과 상기 에이프런 패널(100)을 결합하는 회동부(170)의 힌지 구동을 구속하는 회동 멈춤구를 상기 회동부(170)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것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
An apron panel 10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elevator floor;
An extension panel 20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pron panel 100;
An end panel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nel 200; And
A latching device (2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200)
/ RTI >
The extension panel 20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nd panel 300 therein,
The apron panel 100 has a space in which the expansion panel 200 is accommodated,
When the latch of the latch device is released, the extension panel 200 is pivoted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impact due to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anel 200 and the weight of the end panel 300 The end panel 300 is pivoted downwardly,
A pivot stop for restricting the hinge driving of the pivoting part 270 coupling the end panel 300 and the extension panel 20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pivoting part 270,
Wherein the pivot stopper for restricting the hinge driving of the pivoting unit 170 coupling the extension panel 200 and the apron panel 10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pivoting unit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패널(300)은 상기 확장 패널(200)의 하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인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anel (300) extends in an oblique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nel (200).
KR1020170078986A 2017-06-22 2017-06-22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KR1019396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86A KR101939656B1 (en) 2017-06-22 2017-06-22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86A KR101939656B1 (en) 2017-06-22 2017-06-22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94A KR20190000094A (en) 2019-01-02
KR101939656B1 true KR101939656B1 (en) 2019-01-17

Family

ID=6502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86A KR101939656B1 (en) 2017-06-22 2017-06-22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1871B (en) * 2019-09-30 2023-11-17 因温特奥股份公司 Elevator installation
EP4038006A1 (en) * 2019-09-30 2022-08-10 Inventio AG Elevato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7725A1 (en) * 2006-12-19 2009-11-12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2407B3 (en) * 2006-05-13 2007-08-23 W & W Aufzugs- Und Industriekomponenten Gmbh & Co. Kg Elevator cabin three-part telescopic apron has a damper to reduce noise levels, when moving from the retracted to the extended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7725A1 (en) * 2006-12-19 2009-11-12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94A (en)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656B1 (en) Apron Structure for Elevator
JP2009544872A (en) Seismic curtain wall with hanging glass panel
WO2005100227A2 (en) Elevator recessed car top for refuge area
US20070246694A1 (en) Life Saving Implement
KR20090059359A (en) Basket for fire truck
JP2008044735A (en) Toe guard device for elevator
KR10163057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lame propagation using solar panel
JP2018068847A (en) Damping device and for emergency escape rope
JP2778514B2 (en) Partition wall
JP2001090382A (en) Locking device for base isolating structure
JPH09201423A (en) Emergency escape chute
JP2010070320A (en) Safety switch for elevator maintenance operation and elevator
JP4799500B2 (en) Ladder fixing jig
JPH11200660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for construction
JP4060286B2 (en) Consolidated framework scaffold
KR100666659B1 (en) Basket for fire truck
USRE26121E (en) Safety building construction
KR101920154B1 (en) Ladder for elevator pit
JP4189284B2 (en) Evacuation ladder device
KR101257878B1 (en) Openimg System for Elevater Door
KR200209814Y1 (en) An Aerial Ladder Truck Provided With A Subsidiary Ladder For Rescue
JP6722444B2 (en) Seismic isola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397463B1 (en) Vehicle Mounting Safety Air Cushion for Lifesaving
JPH09135912A (en) Emergency escape device
WO2004067895A1 (en) Escape ladd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