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448B1 -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448B1
KR101939448B1 KR1020160173702A KR20160173702A KR101939448B1 KR 101939448 B1 KR101939448 B1 KR 101939448B1 KR 1020160173702 A KR1020160173702 A KR 1020160173702A KR 20160173702 A KR20160173702 A KR 20160173702A KR 101939448 B1 KR101939448 B1 KR 10193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oints
control
use cas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13A (ko
Inventor
김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4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27Database with information on how to control or test different applian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03Detect during start, number of modules, groups, sub grou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2Data acquisitio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와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와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와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METHOD OF GROUPING CONTROL POINT BY USECASE AND DEVICE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학교, 관공서, 오피스텔, 호텔, 공장 등 일정한 공간적 구획을 가지는 빌딩의 경우 각 구획 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피제어기기(Controlled device)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에어컨, 공기청정기, 냉장고, TV 등 다양한 가전기기들, 그리고 특정한 공업용 환경에서 이용되는 장비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들 가전기기 및 장비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가전기기 및 장비기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해당 빌딩 내에 모든 가전기기 및 장비기기들이 동일한 회사의 제품이거나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제품이 아닌 경우에 이들을 중앙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체 가전기기들 및 장비기기들을 제어함에 있어서 단순한 사용방식이 아니라 스케줄화되고 이들을 그룹핑해야 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체 피제어기기들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므로 이를 중앙에서 포괄적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을 중앙에서 여러 방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이 공통으로 보유하는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다종 다양한 피제어기기를 유즈케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의 동작에 대해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여 피제어기기들을 그룹핑하여 적합한 유즈케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와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와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와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는 다수의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공조장치들의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와,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와, 외부에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와,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은 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을 제어부가 그룹핑을 수행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및 이들 제어포인트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이 공통으로 보유하는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다종 다양한 피제어기기를 유즈케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피제어기기들의 동작에 대해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여 피제어기기들을 그룹핑하여 적합한 유즈케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피제어기기, 예를 들어 공조장치들의 제어와 관련한 입력/출력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화면을 인터페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제어포인트를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공조장치와 같은 피제어기기들을 논리적 공간, 물리적 공간, 또는 피제어기기가 가지는 하위 특성들에 따라 검색할 수도 있고 그룹핑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포인트를 가지는 기기들과 제어장치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포인트 간의 케이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어장치가 전술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리스트업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라이머리 리스트업된 제어포인트들을 피제어기기별로 리스트업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별 유즈케이스를 선택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에 의해 동일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동시에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은 유즈케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제어기기의 하위 종류별로 유즈케이스를 구성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그룹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사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유즈케이스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사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유즈케이스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즈케이스 내에서 상이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중심으로 피제어기기가 공조장치인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를 공간에 따라 그룹핑하여 유즈케이스로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들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중앙에서 다수의 가전기기들의 제어포인트(Control Point)를 확인하고, 이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특정한 유즈케이스(Usecase)를 위한 아이콘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아이콘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그룹핑된 제어포인트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어장치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이들 제어포인트를 이용하여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즈케이스는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의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단위가 된다.
제어장치는 전술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 장치를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제어장치는 전술한 제어포인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별도의 장치를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어장치는 빌딩 자동화를 위한 BMS(Building Management System)의 일부이거나 건물의 에너지를 관리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획된 공간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위 개념의 건물을 빌딩이라고 지시하지만, 이는 통상의 빌딩 개념을 포함하며, 공장과 같이 다수의 기기들이 배치되는 집합적 건물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빌딩들의 피제어기기들을 어느 하나의 빌딩에 위치한 제어장치가 제어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빌딩은 현실에서의 하나의 건물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구획된 공간에 각각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논리적인 경계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포인트를 가지는 기기들과 제어장치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시스템 또는 제어시스템의 일부가 되는 제어장치(Control device)(100)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를 거쳐서 다양한 피제어기기들(101a~101e)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들은 온도나 습도, 인체 등을 감지하는 센서형 기기(101a), 에어컨과 온풍기, 공기정화기 등과 같은 공조형 기기(101b), 형광등, LED등, 스탠드와 같은 조명형 기기(101c), 냉장고, 전기레인지,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조리형 기기(101d), 그리고 공장과 같은 공간에서 사용하는 장비형 기기(101e)들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는 일부 피제어기기들(101a~101e)의 제어포인트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장치(100)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를 통해서 일부 피제어기기들(101a~101e)의 제어포인트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포인트를 통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들(101a~101e)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는 각각의 피제어기기들(101a~101e)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장치(100)는 일부 피제어기기들(101f~101j)의 제어포인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제어장치(100)가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의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00)는 하나이상의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들을 통하여 다수의 피제어기기들(101a~101e)을 간접적으로 제어하거나, 혹은 다수의 피제어기기들(101f~101j)의 제어포인트에 직접 연결하여 피제어기기들(101f~101j)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가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101a~101j)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달리, 동일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하나의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조형 피제어기기들(101b, 101g)에 대해 하나의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포인트 간의 케이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장치(100) 또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는 다수의 제어포인트를 포함하며 이들 제어포인트들은 피제어기기들(101i, 101j)의 제어포인트에 연결된다. 다만 이러한 연결이 제어포인트 사이의 일대일로 물리적 링크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200과 같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00) 또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에 포함된 제어포인트들과 피제어기기들(101i, 100j)의 제어포인트들은 케이블(200)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들 간의 논리적인 링크는 점선과 같다.
제어포인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피제어기기들(101i, 101j)은 제어포인트를 통하여 특정한 유형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특정한 유형의 신호로 기기들의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포인트들을 신호의 유형으로 나눌 경우 아날로그 제어 포인트(Analog Control Point)와 디지털 제어 포인트(Digital Control Point), 유니버셜 포인트(Universal Control Point)가 된다. 또한 송수신으로 나눌 경우 입력 제어포인트(Input Control Point)와 출력 제어포인트(Output Control Point)가 된다. 이를 조합하면 제어포인트는 하기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UI(Universal Input), UO(Universal Output)등으로 구분된다. 제어장치(100) 또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의 입력단은 피제어기기들(101i, 101j)의 출력단에, 그리고 제어장치(100) 또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의 출력단은 피제어기기들(101i, 101j)의 입력단에 각각의 신호 유형(아날로그, 디지털, 유니버셜 등)에 따라 논리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케이블에서 이들 다양한 신호의 유형을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케이블이 다수의 제어포인트들을 결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입력 제어포인트로 AI_1, DI_1 및 UI_1이 도시되며, 출력 제어포인트로 AO_1, DO_1 및 UO_1이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종류(아날로그-디지털-유니버셜, 입력-출력)의 제어포인트가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I_1, AI_2, ..., AI_N과 같이 N개의 아날로그 입력 제어포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제어포인트는 물리적인 제어포인트 뿐만 아니라 논리적 제어포인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제어포인트가 물리적으로도 구별될 수도 있고, 내부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논리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어포인트는 피제어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형 기기(101a, 101f)의 경우에는 센싱한 온도, 인체 감지한 정보 등 센싱한 정보를 숫자 또는 온/오프 정보로 AO 또는 DO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로부터 센서를 온/오프 시키거나 센서의 감지를 높이거나 낮추는 등의 제어 신호를 AI 또는 DI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공조형 기기(101b, 101g)의 경우에도 해당 공간의 온도, 바람의 세기 정보, 온/오프 정보를 AO 또는 DO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조형 기기(101b, 101g)를 온/오프 시키거나 희망온도를 설정하거나,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AI 또는 DI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장치가 전술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리스트업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포인트를 특정한 구획 별로 혹은 피제어기기들의 특성 별로 리스트업할 수 있다. 1차로 각 제어포인트를 리스트업하는 기준을 프라이머리 리스트업(primary listup)이라고 한다. 프라이머리 리스트업을 위해 제어장치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접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어장치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특정한 범위(도 3에서는 제1구역의 제1서브로 지시된) 내에 제어장치가 취득한 다수의 제어포인트들이 나열되어 있다. 전술한 특정한 범위라는 것은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 별로 혹은 특정 공간에 대해 설치된 다수의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들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서브"라는 것은 특정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를 지시할 수도 있고, 특정 공간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열된 제어 포인트들은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들이며, 둘 이상의 제어포인트들이 어느 하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가 될 수 있다. 출력 제어포인트(AO, DO, UO)등은 제어기기의 출력 사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기본그룹 하에 "제1서브"라는 범위 내의 모든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아이콘(301 내지 318)화 시켜 프라이머리 리스트업 된 형태를 보여준다. 타사의 공조장치나 기타 제어장치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을 오픈받아야 하나 실질적으로 통신을 통한 연동이 어렵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피제어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IO(Input/Output)에 해당하는 제어포인트를 통한 타사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개별 제어포인트들이 리스트업되며 이들이 하나의 피제어기기로 통합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왜냐하면 피제어기기들이 가지는 제어포인트들이 1차적으로 리스트업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명세서의 제어장치는 프라이머리 리스트업된 제어포인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라이머리 리스트업된 제어포인트들을 피제어기기별로 리스트업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프라이머리 리스트업된 제어포인트들을 기기별 유즈케이스에 따라 재배열 한 것이다. 도 4에서 특정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줄여서 포인트)를 401 또는 40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피제어기기의 종류 또는 명칭은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서브가 특정한 건물의 영역을 의미한다면 해당 영역에 대한 명칭(예를 들어 2학년 1반이라거나 901호 라는 명칭)을 미리 약속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피제어기기의 종류가 확인되면 401a 및 402a와 같이 해당 기기의 종류를 표상하는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인터페이스에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도 4의 기기별 유즈케이스에 따른 재배열은 특정한 공간 또는 특정한 게이트웨이 또는 그 외의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기기들 별로 제어포인트를 결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제품군들로 구성된 피제어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및 출력 제어 포인트를 묶어 하나의 사용자 아이콘을 생성하여, 해당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출력 제어 포인트의 경우, 해당 기기가 제공하는 정보의 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제어 포인트의 경우, 해당 기기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한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 역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제어포인트들을 정렬하거나 그룹핑을 하는 것은 사용자가 개별 제어포인트를 하나씩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라, 제어장치(100)가 프라이머리 리스트업한 제어포인트에서 기기별로 혹은 제어포인트 별로 정렬하여 유즈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기기별 유즈케이스를 제공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간별 유즈케이스를 선택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제어포인트들을 프라이머리 리스트업한 화면(300) 또는 제어포인트들을 기기별 유즈케이스에 따라 피제어기기별로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 화면(400)을 제어장치가 출력할 수 있다. 이들 출력한 화면에서 별도의 화면 혹은 해당 화면 내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물리적 공간에 따라 그룹핑을 하거나(510) 논리적 공간에 따라 그룹핑(520)을 할 수 있다. 물리적 공간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특정 층, 특정 건물 등이 될 수 있다. 논리적 공간은 논리적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1학년이 사용하는 교실들, 2학년이 사용하는 교실들 등이 될 수 있다. 이들 공간에 대한 설정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피제어기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매핑되거나, 혹은 이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별도로 매핑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공간에 대한 선택이 완료하면 해당 공간의 피제어기기들의 종류를 530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은 가장 상위의 개념으로 피제어기기들의 상위 종류들로 나눌 수 있으며, 이보다 더 상세하게 피제어기기들의 하위 종류로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형 기기의 경우에는 형광등, LED등과 같이 세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센서형 기기인 경우에도 인체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방범 센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공조형 기기인 경우에도, 에어컨, 공기정화기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기기 전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간별 유즈케이스는 특정한 층들, 혹은 특정한 교실들, 특정한 객실들과 같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그룹핑된 공간들에 설치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미리 설정된 특정한 층들의 모든 공조형 기기들의 제어포인트들을 종류별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AI 포인트들을 모두 리스트업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층들의 모든 공조형 기기들의 온/오프 상황을 제어하고 온/오프를 시키기 위해 제어포인트들을 종류별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 제어포인트들에 대해 대표 제어포인트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즈케이스에 의해 동일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동시에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10은 도 5에서 논리적 공간에 대한 선택(520)을 통해 A동 전체를 선택한 후 학년별로 그룹핑하며, 기기별 선택(530)에서 조명형 기기를 선택한 유즈케이스를 적용한 인터페이스이다. 조명형 기기를 논리적 공간(Zone) 별로 그룹제어를 할 수 있다. 이는 학년별로 학업 종료 시간이 다를 경우 적용할 수 있다. 610에서 상단의 611은 유즈케이스를 나타내는 명칭을 보여준다. 그리고 좌측에는 612와 같이 유즈케이스가 적용되는 기기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배치된다. 612에서 조명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학년이라는 논리적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피제어기기들의 대표 제어포인트들이 배치되어 있다. 615를 보면 1학년 및 2학년은 OFF 된 상태를, 3학년 및 4학년은 ON 된 상태를 보여준다. 피제어기기들의 DI 제어포인트에서 확인된 피제어기기들의 상태를 60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615의 학년별 아이콘을 터치할 경우, 이는 해당 학년의 피제어기기들의 DO 제어포인트로 On/Of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3학년 On이라 표시된 항목을 터치나 클릭과 같이 선택할 경우 제어장치는 대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선별하여 이들 피제어기기들의 DI 제어포인트로 Off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은 제어장치가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전송할 수 있다.
620은 610과 유사한 구성으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유즈케이스이다. 도 5에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선택(510) 및 공조형 기기 중에서 에어컨을 선택한 유즈케이스를 적용한 인터페이스이다. 에이컨을 물리적 공간인 층별로 그룹제어를 할 수 있다. 621은 유즈케이스를 나타내는 명칭을 보여준다. 에어컨이라는 공조형 기기의 하위 종류를 표시하고 있다. 622는 유즈케이스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온/오프를 나타내는 스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622의 아이콘의 다른 실시예로 에어컨을 도시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6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물리적 공간에 대해 On/Off에 대한 현재 상태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대표 제어포인트가 625에 표시되어 있다.
630은 에어컨과 같은 공조형 기기를 제어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포함한 유즈케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에너지 관리 운전이라는 유즈케이스의 명칭이 631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컨이라는 공조형 기기를 제어함을 632와 같이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유즈케이스는 두 종류의 하위 유즈케이스를 가지고 있는데, 635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를 중풍으로 설정하고 25~27도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부분과, 636과 같이 에너지 관리해제로 강풍으로 20-27도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610은 특정한 조명그룹을 제어하는 유즈케이스이며, 620은 특수한 시간에 특정한 물리적 공간의 공조형 기기들을 제어하는 유즈케이스이며, 630은 특수한 시간에 그룹핑된 기기들의 온도를 제어하는 유즈케이스이다.
도 6과 같이 동시에 제어하는 특정한 제어포인트에 대한 그룹핑을 하여 아이콘을 생성함으로써 제어의 효율성과 시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30과 같이 전체 실내기의 설정온도 아이콘 생성하여 해당 아이콘 선택 후 온도 변경 시 전체 실내기의 온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610 또는 620과 같이 학년 별 또는 층별 조명 또는 실내기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할 경우, 특정 학년, 예를 들어 1학년 실내기를 온/오프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해당 학년 수업 종료 후 에어컨을 한번에 정지 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같은 유즈케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각각 도 6의 유즈케이스를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710은 도 6의 610을, 720은 도 6의 620을, 730은 도 6의 630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서 유즈케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유즈케이스의 명칭(711, 721, 731) 영역과 이미지 영역(712, 722, 732)에 적합한 정보를 입력한다. 732와 같이 공조형 기기들이 피제어기기로 선택되는 경우 자동으로 732와 같이 에어컨 기기가 표시될 수 있다.
유즈케이스의 일 실시예는 DO 그룹 제어이다. 710과 같이 피제어기기의 DI 제어포인트와 연결된 DO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의 경우 피제어포인트의 DI를 통해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의 610에서 살펴보았다.
유즈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는 On/Off 그룹 제어이다. 720과 같이 피제어기기의 특정한 제어포인트가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경우 해당 제어포인트들을 그룹지을 수 있다. 이때 그룹핑의 기준으로 피제어기기들이 위치한 물리적 공간 혹은 논리적 공간을 통해 그룹 1 내지 그룹 4로 결정할 수 있다.
유즈케이스는 또한 다양한 방식의 그룹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730과 같이 공조형 기기들에 대해 그룹핑을 지은 후, 그룹지은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는 두 가지 유즈케이스(제어1 및 제어2)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유즈케이스를 등록(739 버튼 이용)한 후 도 6의 630과 같이 공조형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아이콘들(635, 636)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에서 유즈케이스를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추가/변경"이라 표시된 버튼(719, 729, 739)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유즈케이스에서는 각각의 그룹제어에 대해 기간을 입력하여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710의 경우 그룹 1의 온 및 오프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제어기기의 하위 종류별로 유즈케이스를 구성한 도면이다. 즉, 공조기 중에서도 에어컨이거나 칠러 혹은 공기정화기와 같이 특정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 중에서도 어느 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들을 다시 하위의 세부 종류들로 그룹핑한 유즈케이스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구역에 포함되는 칠러(Chiller)들을 하위 종류로 분류하였다. 801 내지 806은 각각 스크롤 방식과 스크류 방식, 공랭식과 수랭식, 터보와 흡수식 등의 조합에 따라 분류되는 칠러들을 그룹핑하였다. 즉, 801은 제1구역의 칠러들 중에서 스크롤 공랭식인 모든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 지은 것이다. 801을 확대하여 살펴보면, 좌측에는 스크롤 공랭식을 대표하는 아이콘(815)가 배치되며, 810은 모든 스크롤 공랭식 피제어기기들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포인트를 보여준다. 810은 출력 제어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현재 0.0도를 출력한 상태이다. 810은 모든 스크롤 공랭식 피제어기기들로부터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제어포인트를 보여준다.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값을 보여줄 수 있고,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표값을 보여주거나 혹은 피제어기기별로 확인된 값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그룹핑된 대표 제어포인트를 이용하므로 제어장치는 801의 810 부분을 선택하여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제어장치에서 발생한 제어 신호는 그룹핑된 모든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통해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801의 우측 하단에 "상세보기"라 표시된 영역을 터치 또는 선택할 경우 스크롤 공랭식에 그룹핑된 모든 피제어기기들이 나열될 수 있다. 또는 스크롤 공랭식에 그룹핑된 모든 피제어기기들 중에서 제어포인트를 통해 입력된 온도의 값에 따라 그룹핑된 또다른 하위 그룹에 대한 아이콘이 801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811은 그룹핑된 칠러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부분 역시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값을 보여줄 수 있고,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표값을 보여주거나 혹은 피제어기기별로 확인된 값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타사의 공조형 기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제어기기를 제어장치에서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을 오픈 받아야 하나 실질적으로 통신을 통한 연동이 어려운 반면,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IO 제어포인트를 통한 타사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별 IO 제어포인트를 각각 등록할 경우, 각각의 제품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유즈케이스별로 제어포인트 그룹핑을 구현할 경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별로 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타사의 피제어기기 역시 연동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중앙에서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해야 하는 제어장치의 특성상 여러 대의 피제어기기(예를 들어 실내기 등)들을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제어하고자 하는 각각의 실내기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해서 제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유즈케이스를 적용할 경우 제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누락되는 피제어기기들이 없어 제어의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사무실이 밀집한 빌딩, 학교, 호텔, 관공서 등에서는 중앙의 제어장치가 다양한 유즈케이스를 적용하여 피제어기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통합적 관리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의 각각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들을 도 6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이콘 형태로 그룹핑할 경우 제어의 효율성과 시각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포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포인트(AI 입력을 통한 온도, 압력, DI 입력을 통한 알람 모니터링 등)와 출력 포인트(AO 출력을 통한 온도, 압력, DO 출력을 통한 ON/OFF 제어 등)들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아이콘으로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패턴 분석을 통하여 자주 사용하는 그룹제어포인트에 대하여 아이콘 생성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콘을 생성함으로써 고객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고자 한다.
이하, 제어장치에서 각각의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어장치(100)는 제어부(1100), 인터페이스부(1200),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1600)로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포인트 연결부(1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포인트 연결부(1150)는 제어부(1100)가 피제어기기기들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중에서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160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는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는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에 저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1200)는 외부에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다.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는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제어부(1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 그룹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터페이스부(1200)는 제어장치(100)에서 저장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된 정보들 중에서 선택을 하여 선택된 정보를 다시 전술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부들에 업데이트를 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출력된 정보의 선택은 터치패널에서 터치를 수행하거나, 마우스를 통해 클릭하거나, 혹은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는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을 포함한다.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는 피제어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10의 1300을 살펴보면, 시리얼 번호(Serial_Num), 피제어기기들의 식별정보(ID)가 있으며, AO/DO/AI/DI/UO/UI 등의 제어포인트의 타입(Cptype),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 식별자(Gateway_ID), 피제어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논리적 공간인지, 물리적 공간인지에 대한 정보(Location_Type), 그리고 피제어기기가 위치하는 공간, 그리고 피제어기기에 대한 휴먼리더블(Human Readable)한 이름(N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별로 다양한 유즈케이스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별로 상이한 부분은 시리얼 넘버(Serial_Number)와 식별정보(ID)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내에 해당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모두 나열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미도시되었으나 기기의 유형(조명, 공조형, 센서형, 조리형, 장비형 등)을 명시하는 필드도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에 포함될 수 있다.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 구성의 실시예는 표 1과 같다.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실시예
Serial_Num Id Cptype Gateway_ID Location_Type Location Name
1 Light_01 DI NULL Logical 1학년 1학년 1반 조명
2 Light_02 DI NULL Logical 1학년 1학년 2반 조명
3 Aircon_01 DI NULL Logical 1학년 1학년 1반 에어컨
4 Aircon_02 DI NULL Logical 1학년 1학년 2반 에어컨
다음으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 역시 시리얼 번호(Serial_Num), 피제어기기들 또는 유즈케이스 또는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ID)가 있다. 그리고 역시 AO/DO/AI/DI/UO/UI 등의 제어포인트의 타입(Cptype)과, 이 제어포인트에서 어떠한 값 또는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된 데이터(Data). 그리고 시간에 대한 정보(Time)를 저장할 수 있다.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 구성은 표 1의 내용을 반영할 수 있으며, Time 필드는 해당 제어포인트에서의 입출력이 발생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특정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에 결합된 피제어기기들이 동일하게 동작하는 경우, 해당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의 정보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는 시리얼 번호(Serial_Num)와 유즈케이스의 식별정보(ID), 그리고 유즈케이스에 포함되는 피제어기기들의 리스트(Dev_Group_List)와 선택적으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들의 리스트(Gateway_Group_List)가 있다.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기기들이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도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될 수 있다.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의 구성에서 하나의 피제어기기가 다수의 제어포인트를 가질 경우,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의 시리얼 번호(Serial_Num)가 피제어기기들의 리스트(Dev_Group_List)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에 결합된 피제어기기들이 모두 유즈케이스에 포함될 경우, 해당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110)의 정보가 피제어기기들의 리스트(Dev_Group_List)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Cptype은 공통으로 제어되는 제어포인트를 지시하며, 특정한 값을 부여할 경우, 해당 값이 데이터 필드(Data)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유즈케이스가 동작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도 Time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일정한 기간을 가지는 경우, 기간에 대한 정보가 Time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온/오프가 셋트로 동작하는 유즈케이스의 경우 온/오프의 시간 정보가 모두 하나의 Time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동작할 경우(예를 들어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동작하는 경우) 해당 주기에 대한 정보도 Time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160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1600)는 제어하는 피제어기기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특정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에 대해 일괄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확인할 때,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어떠한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를 통하여 특정한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접근이 필요한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가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부들을 이용하여 피제어기기들을 그룹핑하여 유즈케이스를 생성하고, 유즈케이스 별로 피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기반하여 중앙장치인 제어장치(100)가 제어포인트의 정보를 취합하여 유즈케이스에 따라 리스트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에 저장된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00)에서 출력하고,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을 제어부(1100)가 그룹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0)가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및 이들 제어포인트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할 수 있다. 후술할 도 16에서 이러한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100)는 도 10의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100)가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제어기기들과 연결되어 있어 피제어기기에서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거나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그룹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과정을 통하여 제어부(1100)는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에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 정보를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혹은 내부 로직에 따라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을 선택한다(S1101). 그리고 제어부(1100)는 기기 유형별 선택이 필요한지를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혹은 자동으로 확인한다(S1102). 유형별 선택이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기기 유형을 선택한다(S1103). 이후 제어부(1100)는 선택된 공간 또는 선택된 기기 유형에 따라 제어포인트들을 리스트업한다(S1104). 제어포인트는 기기별로 다양할 수 있으므로, 제어포인트의 타입에 따라 리스트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0)는 DO 제어포인트들을 리스트업하거나 AI제어포인트를 리스트업 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선택된 제어포인트들을 제어부(1100)는 그룹핑할 제어포인트로 선택한다(S1105). 이때, 제어포인트를 다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의 경우 피제어기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포인트와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포인트를 모두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혹은 기존의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서 도출된 로직에 따라 제어부(1100)는 그룹핑할 제어포인트에 대한 데이터를 설정한다(S1106). 예를 들어 온도를 설정하거나, 온/오프를 설정하거나, 혹은 유즈케이스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서 도출된 로직이란,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에서 발생했던 입출력 정보들을 취합하여 대표값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서 조명이 온/오프된 경우, 해당 시간에 대응하여 조명을 온/오프 시키도록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실내온도에서 실내기를 오프하는 경우, 해당 온도를 최대값으로 하여 실내기를 제어하도록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0)는 선택한 제어포인트 정보와 설정한 데이터를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한다(S1107). 저장된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는 제어부(1100)가 자동으로 유즈케이스에 따라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상태를 유즈케이스 별로 표시하며, 제어신호를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의 과정을 통해 도 6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유즈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에서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과 이들 제어포인트들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이상을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하는 세부적인 실시예로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1300)에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 정보를 제어부(1100)가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사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유즈케이스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1100)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서 피제어기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한다(S1201). 미리 정해진 기준이란, 특정한 공간 혹은 특정한 기기 또는 특정한 일자를 기준으로 하여 히스토리 데이터베이부(1400)에 저장된 피제어기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유사도 범위 내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다(S1202). 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온 또는 오프된 조명기기들, 25도 전후로 온 또는 오프된 실내기들이 유사도 범위 내의 피제어기기들이며 이들을 온 또는 오프 시키거나 온도를 조절하는 부분이 제어포인트가 된다. 이후 인터페이스부(1200)는 전술한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혹은 자동으로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S1202에서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이 동일한 제1유즈케이스에 속할 경우, 제어부(1100)는 그 외의 다른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1유즈케이스에 포함되도록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저장된 제1유즈케이스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룹핑의 세부적인 실시예로, 제어부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서 피제어기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S1201) 유사도 범위 내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고(S1202), 인터페이스부(1200)가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사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유즈케이스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1100)는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을 일괄하여 실행한다(S1301). 일괄 제어의 범위로는 각각의 피제어기기들을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동일하게 제어한 경우를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일괄하여 제어 및 실행한 정보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한다(S1302). 제어부(1100)는 일괄 제어된 내용에 대해 유즈케이스의 생성 및 아이콘 생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인터페이스부(1200)에 표시한다(S1303). 그리고 유즈케이스 및 아이콘 생성을 선택한 경우(S1304) 도 7에서 살펴본 유즈케이스 및 아이콘 생성 화면에 진입하여(S1305), 유즈케이스와 유즈케이스를 구성하는 아이콘들을 추가 및 생성한다(S1306). S1304에서 선택하지 않은 경우, 일괄 제어는 일회적인 것일 수 있으므로, 현상태를 유지한다(S1307).
도 13의 유즈케이스 생성은 동일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들을 그룹핑하고 이들 피제어기기들을 공통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아이콘을 통해 확인 또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유즈케이스 및 아이콘 생성에 관한 내용이다.
도 13을 요약하면, 그룹 제어를 실행하여 그룹제어 실행 내용을 리스트업하고 DB에 저장하는 단계(S1301), 그립제어 내용을 기억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그룹제어 리스트와 실행내역을 분석하여 유사실행내용을 리스트업하는 단계(S1302), 그리고 해당 기능에 대한 아이콘을 생성할 것인지를 팝업 창을 통해 확인하여(S1303), 확인한 결과 아이콘 생성을 선택하는 경우(S1304). 아이콘을 생성하는 화면에 진입하여(S1305) 아이콘을 추가 및 생성할 수 있다(S1306).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가 유즈케이스 내에서 상이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핑되어 유즈케이스를 구성하는 피제어기기들 중에서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과 상이하게 동작하는 피제어기기가 확인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0)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1400)에서 검색한다(S1401). 그리고 이들을 시간별로, 또는 제어신호별로 리스트업한다(S1402). 예를 들어 조명을 온/오프 하는 유즈케이스라면 조명을 온 하는 제어신호를 제1제어포인트로 보내면 유즈케이스 내에 포함된 피제어기기들은 모두 온이 된다. 그러나 해당 피제어기기들 중에서 어느 피제어기기가 다시 오프가 되었다는 상태가 제2제어포인트를 통해 확인되며 이러한 오프가 되었음을 제2제어포인트를 통해 누적하여 확인될 경우, 그러한 피제어기기는 유즈케이스의 제어와 일치되지 않는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리스트업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일정 수준을 넘어서 상이한 히스토리를 가지는 경우 제어부(1100)는 이들을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리스트업 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일부는 유즈케이스에서 제거되고 이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제거된 사항이 반영된다(S1404).
정리하면, 제어부(1100)가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에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검색하고, 제어부(1100)는 검색된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따. 이는 제어부(1100)가 제1피제어기기를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1500)의 항목에서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5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중심으로 피제어기기가 공조장치인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면이다.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0)는 제어부(2100), 인터페이스부(2200),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23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2500),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2600)로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포인트 연결부(2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인 구성은 도 9와 유사하므로 도 9를 참조하며 공조장치의 제어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2300)는 다수의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공조장치들의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일 실시예로 제어포인트가 온/오프를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디지털 제어포인트(DI/DO)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의 다른 실시예로, 현재 공조장치가 동작하는 설정온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제어포인트(AI/AO)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2500)는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2300)에 저장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예를 들어, 그룹핑된 공조장치들의 디지털 제어포인트(또는 유니버셜 제어포인트)를 이용하여 온/오프 혹은 개/폐 등을 제어하도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 제어포인트를 이용하여 그룹핑된 공조장치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제어포인트(또는 유니버셜 제어포인트)를 이용하여 공조장치의 설정온도를 제어하도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6, 도 8에서 살펴보았다.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는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며, 제어부(2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를 공간에 따라 그룹핑하여 유즈케이스로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도 5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200)에서 공조장치가 배치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을 선택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100)는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2300)에서 선택된 공간에 배치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인터페이스부(2200)에서 출력한다. 출력된 형태는 도 3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도 16과 같이 제어포인트의 기능에 따라 배열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6의 1601은 A동의 1학년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공조장치들의 식별정보 및 이들의 제어포인트를 리스트하고 있다. 제조사에 따라 혹은 공조장치에 따라 제어포인트는 다양할 수 있다.
출력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혹은 출력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자동으로 선별한 결과가 1602이다.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포인트들을 선택한 상태이다. 선택한 제어포인트들은 제어부(2100)에 의해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250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10의 1500을 참조하면 표 2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표 2의 유즈케이스를 인터페이스부(2200)에서 표시하는 형태는 1603과 같다.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
Serial_Num Id Dev_Group_List Cptype Data Time
1 A동1학년에어컨운전제어 {Aircon_01, Aircon_02, Aircon_03, Aircon_04, Aircon_05, ...} 온/오프 온/오프 NULL
뿐만 아니라, 논리적 또는 물리적 공간 외에도 유사하게 동작하는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가 시간적 기준에 따라, 조절 온도에 따라, 혹은 바람의 세기에 따라 정렬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공조장치를 그룹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는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 확인되는 온/오프와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조장치들의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장치들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5개의 공조장치들의 온/오프 제어포인트에서의 동작에 관한 정보(Data)가 시간(Time)과 함께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10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a)에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 유사도 범위 내의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고 인터페이스부(2200)는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한 형태는 1701과 같이 온/오프 제어포인트들과 10시 08분에 온 시킬 수 있도록 그룹핑되는 공조장치들 및 이들의 제어포인트를 출력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출력한 형태의 다른 실시예로 1702와 같이 온/오프 제어포인트들과 10시08분에 온 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17시15분에 오프 시킬수 있도록 그룹핑되는 공조장치들 및 이들의 제어포인트를 출력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1701 또는 1702와 같이 유사한 제어포인트들이 출력되면 제어부(2100)는 인터페이스부(2200)에서 선택한 제어포인트들 혹은 자동으로 선택한 제어포인트들을 결합하여 유즈케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1701은 표 3과 같이 구현할 수 있으며, 1702는 표 4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
Serial_Num Id Dev_Group_List Cptype Data Time
2 1008On {Aircon_01, Aircon_02, Aircon_04, Aircon_05} 온/오프 10:08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
Serial_Num Id Dev_Group_List Cptype Data Time
3 1008On_1715Off {Aircon_01, Aircon_02, Aircon_05} 온/오프 온/오프 10:08
17:15
추가적인 실시예로, 유사도 범위 내의 공조장치들 중에서 동일한 유즈케이스에 속한 경우에는 해당 유즈케이스로 기타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Aircon_01 및 Aircon_02가 이미 제1유즈케이스에 온/오프와 관련하여 등록되어 있으며 온/오프 관련된 시간 정보가 표 4의 Time과 오차범위 내인 경우, Aircon_05를 제1유즈케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5와 같이 Aircon_01 및 Aircon_02가 "1007On_1720Off"라는 유즈케이스에 포함된 경우, Dev_Group_List에 Aircon_05를 추가시킬 수 있다.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
Serial_Num Id Dev_Group_List Cptype Data Time
4 1007On_1720Off {Aircon_01, Aircon_02} 온/오프 온/오프 10:07
17:20
정리하면, 제어부(2100)는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이 동일한 제1유즈케이스에 속할 경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1유즈케이스에 포함되도록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2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100)는 이미 존재하는 유즈케이스 내의 공조장치들 중에서 다르게 동작하는 것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확인되면, 이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0)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그룹핑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하게 온/오프 또는 온도 정보가 포함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공조장치의 제어포인트를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 4와 같이 저장된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2500)의 공조장치 중에서 Aircon_02의 오프 시간이 14:00 전후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2400)에 누적하여 저장된다면, 이 공조장치는 유즈케이스에 포함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유즈케이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즈케이스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시간과 온도를 변경하는 정보도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즈케이스 내에 그룹핑된 다수의 피제어기기들은 동일한 시나리오 하에 동작하도록 스케줄링된다.
도 17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공조제어장치의 설정화면에서 여러 공조 장치들의 동일 또는 유사 제어포인트를 묶어 하나의 아이콘으로 만드는 설정과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사 그룹제어를 반복하는지에 대한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제어포인트를 묶어 하나의 아이콘으로 만들지에 대해 확인을 통해 아이콘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즈케이스로 그룹핑되어 저장되는 정보들은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아이콘화 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피제어기기, 예를 들어 공조장치들의 제어와 관련한 입력/출력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화면을 인터페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제어포인트를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공조장치와 같은 피제어기기들을 논리적 공간, 물리적 공간, 또는 피제어기기가 가지는 하위 특성들에 따라 검색할 수도 있고 그룹핑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중앙에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한눈에 보고 싶은 기능들에 대한 그룹핑을 통한 제어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아이콘화 함으로써 선택 시 누락됨에 따른 제어가 되지 않는 어려움 해소 및 제어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쳐 파악하지 못한 그룹제어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면, 하나의 제어장치가 다수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각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포인트는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유니버셜 방식으로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제어포인트를 통한 피제어기기의 동작 상황에 대한 정보는 제어장치에 결합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0: 제어장치 101a~101j: 피제어기기
110: 제어포인트 게이트웨이 1100, 2100: 제어부
1200, 2200: 인터페이스부
1300: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
1400, 24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
1500, 2500: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
2300: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
1600, 2600: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7)

  1.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및 이들 제어포인트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의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단위인 유즈케이스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도출된 로직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에 대한 온도 또는 온/오프 또는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데이터로 설정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에서 발생했던 입출력 정보의 대표값을 적용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 정보를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피제어기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 유사도 범위 내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하며,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는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이 동일한 제1유즈케이스에 속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즈케이스에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포함시키며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유즈케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제1유즈케이스로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상기 제1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6. 다수의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조장치들의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및 이들 제어포인트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의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단위인 유즈케이스를 저장하는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
    외부에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을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도출된 로직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에 대한 온도 또는 온/오프 또는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데이터로 설정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에서 발생했던 입출력 정보의 대표값을 적용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공조장치가 배치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을 선택하는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장치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선택된 공간에 배치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출력된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 확인되는 온/오프와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공조장치들의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 유사도 범위 내의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하고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제1유즈케이스로 그룹핑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하게 온/오프 또는 온도 정보가 포함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공조장치의 제어포인트를 상기 제1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장치.
  10. 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다수의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을 제어부가 그룹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그룹핑된 제어포인트 및 이들 제어포인트에 적용할 데이터 또는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의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또는 이들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단위인 유즈케이스를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에서 발생했던 입출력 정보의 대표값을 적용하여 도출한 로직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에 대한 온도 또는 온/오프 또는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에서의 입력 또는 출력 히스토리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피제어기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논리적 공간 또는 물리적 공간에 배치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피제어기기기들의 제어포인트의 히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 유사도 범위 내의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 중에서 둘 이상이 동일한 제1유즈케이스에 속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즈케이스에 상기 그룹핑된 제어포인트들을 포함시키며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유즈케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제1유즈케이스로 그룹핑된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피제어기기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제1피제어기기의 제어포인트를 상기 제1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는 공조장치이며,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에서 확인되는 온/오프와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공조장치들의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즈케이스 데이터베이스부에 그룹핑된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 중에서 동일 그룹 내의 다른 공조장치들의 제어포인트와 상이하게 온/오프 또는 온도 정보가 포함된 히스토리를 가지는 제1공조장치의 제어포인트를 상기 유즈케이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KR1020160173702A 2016-12-19 2016-12-19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193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02A KR101939448B1 (ko) 2016-12-19 2016-12-19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02A KR101939448B1 (ko) 2016-12-19 2016-12-19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13A KR20180071013A (ko) 2018-06-27
KR101939448B1 true KR101939448B1 (ko) 2019-01-16

Family

ID=6278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02A KR101939448B1 (ko) 2016-12-19 2016-12-19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4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67B1 (ko) * 2007-12-03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스케줄 그룹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514A (ko) * 2011-03-04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그룹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서버
KR20130022295A (ko) * 2011-08-25 201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제어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67B1 (ko) * 2007-12-03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스케줄 그룹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13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6883B2 (en) Lighting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lighting system
US20220035323A1 (en) Configuring a load control system
US20150198938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15003313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3595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20023215A1 (en) Digital space management system
KR20160146396A (ko) 객실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설정 방법
WO201812799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939448B1 (ko) 유즈케이스별 제어포인트를 그룹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1786660B1 (ko) 관제 맵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364398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US10848566B2 (en) Communications network
EP1480497B1 (en)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light fixtures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102034094B1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759886A (zh) 便于用户定制的建筑物自动化系统
JP2019129345A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WO2022085184A1 (ja) 操作端末および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US20220103870A1 (en) Hospitality property management tool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220109893A1 (en) Hospitality property management tool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WO2016195608A1 (en) Space automation application with ease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CN117693766A (zh) 信息输出方法、信息输出装置以及程序
Taylor et al. The Impact of Wall Control Performance on Connected Lighting Systems
JP5852066B2 (ja) 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6221914A (zh) 空调机管理装置以及非临时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