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49B1 -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 Google Patents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49B1
KR101939149B1 KR1020170024124A KR20170024124A KR101939149B1 KR 101939149 B1 KR101939149 B1 KR 101939149B1 KR 1020170024124 A KR1020170024124 A KR 1020170024124A KR 20170024124 A KR20170024124 A KR 20170024124A KR 101939149 B1 KR101939149 B1 KR 10193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center hole
rubber pa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7297A (en
Inventor
희민 박
안창모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49B1/en
Publication of KR2018009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포트 베어링의 기능을 가지면서 인발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트베처링은 중앙홀이 형성되며 고무패드홈에 수용 설치되는 고무패드; 저면에 돌출 형성된 소켓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단에 상기 소켓부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고무패드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단 내부에 고정되는 봉 형태의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preventing a pulling force which can effectively resist a pulling force while having a function of a port bearing, wherein the port beading includes a rubber pad formed with a center hole and accommodated in a rubber pad groove; An upper plate having a central hole formed through a socket portion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inserted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a center hole of the base plate; A lift-up draw-off port in the form of a bar,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the center hole of the rubber pa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enter hole of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end is fixed inside the upper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do.

Description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본 발명은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트 베어링의 기능을 가지면서 인발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 bearing made for preventing a draw.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 bearing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a pull-out force, which has a function of a port bearing and can more effectively resist a pulling force.

교량은 변형 및 뒤틀림 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그 안전성이나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교량 상부구조(슬래브)와 하부구조(교대 또는 교각) 사이에는 교량받침(SHOE)을 삽입하여 교량을 시공하게 된다.Bridges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can properly cope with deformation and warping so that their safety and durability can be ensured. In general, a bridge bearing (SHOE) is inserted between a bridge superstructure (slab) and a substructure The bridge will be constructed.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교량 상판과 교각 또는 교대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변형 및 비틀림을 흡수하고 교량 상판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여러 가지 하중을 교각 또는 교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교량받침은 여러 가지 타입이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bridge supports are installed between bridges and bridges or alternations to absorb deformation and torsion of bridges and to transfer various loads from bridges to bridges or alternations. Branch types have been developed.

도 1a는 종래 교량받침 중 포트받침의 시공단면도 및 설치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A shows a construction cross-sectional view and an installation view of a port support of a conventional bridge support.

즉, 상기 포트받침(1)은 하부판(11)에 고무(12)를 넣고 그 위에 중간판(13)을 얹어 고무(12)의 탄성변형에 의해 회전을 얻고 중간판(13)에 불소수지(PTFE)판(14)을 붙이고 윤활유를 주입하여 이동변위에 대한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That is, the port support 1 is formed by placing the rubber 12 on the lower plate 11 and placing the intermediate plate 13 thereon to obtain rotation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ubber 12, PTFE) plate 14 and lubricating oil is injected to reduce the friction coefficient against the displacement.

상기 하부판에 수용된 고무가 유체처럼 작용하여 수직반력을 골고루 분포시키고, 큰 회전각을 얻을 수 있으며 받침의 높이도 낮아 회전에 대한 안전성이 크며 회전에 따른 하중의 편심이 작아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rubber contained in the bottom plate acts like a fluid to distribute the vertical reaction force evenly and obtain a large rotation angle.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is low, the rotation safety is high and the eccentricity of the load due to rotation is small.

이러한 포트받침(1)은 고정타입과 일방향(교축, 교축직각)타입으로 작용방향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These port supports (1) are fixed type and one-way type (diagonal axis, diagonal axis perpendicular type), and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도 1b는 이러한 종래 포트받침에 있어 부반력 저항장치(5)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B shows the formation of the negative-reaction-resistance device 5 in such a conventional port support.

즉, 교량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판,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판, 상기 상·하부판의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완충부재(고무) 및 앵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트받침에 있어서, 사각 평판 형상의 상·하부판(2, 3), 상부가 하부판에 매입되는 앵커(4),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부반력 저항 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부반력 저항 장치(5)는That is, a port support including an upper pl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bridge upper plate, a lower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pier, a buffer member (rubber)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an anchor,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resistance device 5 includes a lower plate 2 and an upper plate 4 and an anchor 4 embedded in the lower plate and a sub reaction force resistance device 5 having a letter A cross section,

상부판에 형성된 함입부(21)와 부반력 저항 플랜지(22) 사이에 놓여지는 걸림부(51)와 상기 하부판(3)과 볼트 결합되는 볼트결합부(52)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으로서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다. And a bolt engaging portion 52 which is bolted to the lower plate 3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51 is position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21 form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resisting flange 22, Sectional shape.

즉, 상기 부반력 저항 장치는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부판과 볼트결합 됨으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상부판을 포함한 과도한 상부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 부반력 저항 장치가 그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That is,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resistance device has a 'A'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by a bolt, so that maintenance is easy, and when an excessive upper movement including the top plate occurs, It works to be able to give.

이러한 포트받침은 큰 지진 시 교량의 장대화로 인한 큰 수평력을 앵커부 매입 및 상부판의 볼트(Bolt)의 수량 및 규격의 조절로 수용하고, 유발되는 부반력 성분을 부반력 저항 장치가 부반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량의 내진성능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earthquake, the large lateral force due to the long-term interaction of the bridges is accommodated by adjusting the quantity and size of the bolts of the anchor portion and the upper plate, and the negative- So as to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seismic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bridge.

결국, 종래 포트받침에 있어 부반력 저항장치는 블록형태 부재를 외부 측방에 부착시켜 상부판이 걸려 지도록 하는 작용을 통해 인발을 방지하고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내구성이 떨어져 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측방에 설치하다 보니 인발 저항을 위하여 다수개를 설치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port support, the negative-reaction-resistance device prevents the pull-out by attaching the block-shaped member to the outer side and hanging the upper plate. However, sinc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ver time, And there is a limit to install a plurality of pieces for pull-out resistance as it is installed on the sid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7836호(발명의 명칭: 포트 베어링, 공고일자: 2009년01월12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77836 (Name of invention: port bearing, date of announcement: Jan. 12, 20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81604호(발명의 명칭: 부반력 포트받침, 공고일자: 2009년03월26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81604 (Name of the invention: Anti-rebound port base, date of announcement: March 26, 2009)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94891호(발명의 명칭: 앵커가 함입되어 볼트결합된 사각 내진포트받침, 공고일자: 2002년12월18일)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094891 (entitled: Rectangular Seismic Port Bearing Combined with Anchor and Bolted, Date of Announcement: December 18, 2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15813호(발명의 명칭: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공고일자: 2007년12월06일)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5813 (entitled "Seismic Retrofitting Method of Existing Bridges, Date of Announcement: December 06, 2007)

이에 본 발명은 포트 베어링에 있어서, 인발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며 제작공정도 용이하면 교체도 용이한 고정단 및 일방향 가동단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 bearing which is more effective for preventing a pull-out,

삭제delet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은 중앙홀 주위에 고무패드홈이 링 형태로 형성되며 양 측방에 파여진 수평홈 형태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블록이 몸통부 측면에 돌출 형성된 양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양 가이드플레이트가 양 측단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아래에 형성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의 고무패드홈에 수용 설치되는 고무패드; 저면에 원통형부재로서 돌출 형성된 소켓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단에 상기 소켓부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고무패드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하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 상단 내부에서 고정되는 봉 형태의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포함하여,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에 의하여 상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부플레이트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가 양 가이드플레이트에 가이드 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상단확장부에 상부락너트가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락너트에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의 상단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는 봉 형태로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락너트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단은 상부락너트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에 나사 체결되어 포트 베어링의 인발에 저항하며,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 하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저부마찰판과 저부 스테인레스판이 설치되며, 상기 저부마찰판은 상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지지하고, 작용하중을 하부 베이스플레이트로 전달하고, 상기 저부 스테인레스판은 저부마찰판과 하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마찰판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은 고무패드홈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소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소켓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하면서, 링형태의 고무패드의 중앙홀이 원통형소켓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제작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preventing a pull-out, comprising: an upper base plate having a rubber pad groove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a center hole, A guide block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body; A lower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both upper ends of both guide plates and formed below the upper base plate; A rubber pad formed with a center hole and accommodated in the rubber pad groove of the upper base plate; An upper plate having a central hole formed through a socket portion protruding as a cylindrical member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inserted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a center hole of the upper base plate; A lift-up draw-out bar in the form of a bar, which is fixed in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170, with the lower end thereof fixed to the center hole of the lower base plate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base plate is guided by both guide plates and moves in one direction while the upper plate is not pulled out from the upper base plate by the up-lift drawing stopper, And the upper lift nut is fastened to the upper lock nu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lift nu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upper lock nut. The up-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And the upper end is screwed to the upper plate by the upper lock nut to resist the pulling out of the port bearing, and a bottom friction plate and a bottom stainless plate ar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 plates, And the bottom friction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e plate to absorb and transmit the displacement transmitted from the upper base plate and to transmit the working load to the lower base plate, The stainless steel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friction plate and the lower base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ction of the bottom friction plate. The center hol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ocket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rubber pad groove, There Up there helix is formed - with the lift so that the pull-out room of the earth at the bottom fastening screws, the center hole of the ring-shaped rubber pad is designed to be installed in a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ylindrical socket.

본 발명에 의한 고정단 및 일방향 가동단용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은 체결방식으로 형성되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사용함에 따라 인발방지 효과가 매우 증진되며 추후 교체 시 회전방식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포트 베어링의 인발방지가 가능하게 된다.The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the pull-out prevention for the fixed end and the one-way movable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p-lift pull-out fixture formed by the fastening method to greatly enhance the pull-out prevention effec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withdrawal of the port beari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포트 베어링의 구성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고정단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방향 가동단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FIGS.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 bearing,
FIGS. 2A, 2B, and 2C are a top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preventing the fixed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and 3C are a configuration elevation, a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preventing unidirectional movable end withdrawal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100)-고정단][Port bearing (100) - Fixed end made for withdrawal prevention]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고정단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100)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조립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S. 2A, 2B, and 2C are a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port bearing 100 manufactured for preventing the fixed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포트 베어링(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고무패드(150), 상부플레이트(170),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 상부락너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rt bearing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a rubber pad 150, an upper plate 170, an up-lift draw-off region 180, and an upper lock nut 190.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미도시한 교량하부구조물(예컨대 교각)에 미리 설치된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First, the base plate 110 serves as a plate fixed to an unillustrated bridge substructure (for example, a pier)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중앙에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홀(11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중앙홀(111) 내주면은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어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하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hole 1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up-and-down drawing projection 180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111, So that it can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up-and-down pull-out stopper 180.

상기 중앙홀(111) 주위에는 고무패드홈(112)이 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패드홈(112)에는 고무패드(150)가 수용된다.And the rubber pad grooves 112 ar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groove around the center hole 111. The rubber pad 150 is accommodated in the rubber pad groove 112.

다음으로 상기 고무패드(150)는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의 온도, 작용하중에 의하여 교축방향등의 변위 발생을 상쇄 및 흡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역시 중앙홀(151)이 형성된 것이다.Next, the rubber pad 150 serves to offset and absorb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for example, girder) due to the temperature and the action load, and the up-lift drawing- The center hole 151 is formed.

상기 상부플레이트(170)는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에 미리 설치된 소울플레이트의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a와 같이 저면에 소켓부(172)가 돌출 형성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pper plate 170 serves as a plate fixed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of a soul plate pre-installed on a bridge overhead structure (for example, a girder). The upper plate 1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

상기 소켓부(172) 하단은 도 2c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고무패드홈(112) 상단 일정 깊이 삽입 될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172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10 so as to be inserted at a certain depth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pad groove 112 of the base plate 110 as shown in FIG.

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에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소켓부(172)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홀(171) 상단은 확폭되어 후술되는 상부락너트(190)가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A center hole 17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70 to penetrate through the socket portion 172 as shown in FIGS. 2A and 2B so that the up-and-down pull- And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171 is widened to accommodate the upper lock nut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원형 봉 형태로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홀(111)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락너트(19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역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2A and 2B,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up-draw draw-out stopper 180 so that a lower end thereof can be screwed into a center hole 111 of the base plate 110, A threaded portion is also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lock nut 190 can be screwed.

이러한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고무패드(150)의 중앙홀(15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The up-lift draw-off zone 180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hole 171 of the upper plate 170 and the center hole 151 of the rubber pad 150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나사 체결된 상태가 되고, 상단이 상부락너트(190)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170)에 체결되어 있어 작용하중에 의한 포트 베어링의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The lower end is screwed to the base plate 110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170 by the upper lock nut 190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isting the pulling out of the port bearing due to the operating load .

즉, 도 2c와 같이, 1개의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를 설치하여 포트받침의 인발방지가 가능하며 포트받침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C, it can be seen that a single up-lift draw-off stopper 180 is provided to prevent the draw-out of the port support and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 support.

상기 상부락너트(190)는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에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락너트로서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상단 확장부에 수용된다.The upper lock nut 19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center hole 171 of the upper plate 170 as a lock nut for screwing the up-lift drawing projection 180 into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170.

또한 상기 상부락너트(190)가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단 확장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면이 마감되도록 상부마감판(160)이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끼워져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중앙홀 상단 확장부 상면은 상부마감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73)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finishing plate 160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ock nut 190 is received i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groove 17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finishing plate can be mounted.

[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200)-일방향 가동단][Port bearing (200) designed for pullout prevention - one-way movable end)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방향 가동단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조립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3B and 3C illustrate a configuration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port bearing manufactured for preventing unidirectional movable end withdrawal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단으로 사용되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100)과 차이점은 베이스플레이트가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로 구분되고,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 측방에 양 가이드플레이트(230)가 더 형성되고,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에 저부마찰판(240)과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이 형성됨에 차이가 있다.The difference from the port bearing 100 used as a fixed end is that the base plate is divided into an upper base plate 210 and a lower base plate 220, And a bottom friction plate 240 and a bottom stainless plate 250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he lower base plate 220.

이에 일방향 가동단으로 사용되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200)은 도 3a와 같이,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가이드플레이트(230), 고무패드(150), 상부플레이트(170),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 상부락너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A, the port bearing 200, which is used as a one-way movable end, is constructed of an upper base plate 210, a lower base plate 220, a guide plate 230, a rubber pad 150, Plate 170, an up-lift draw-off zone 180, and an upper lock nut 190.

먼저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일방향 가동단으로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상에서 일방향(가동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양 측방에는 파여진 수평홈 형태의 슬라이딩홈(21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3A and 3B, the upper base plate 210 is installed as a one-way movable end so as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moving direction) on the lower base plate 22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nd a sliding groove 213 in the form of a horizontal groove is formed at the side.

나아가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중앙에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홀(21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홀(211) 주위에는 고무패드홈(212)이 링 형태로 홈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패드홈(212)은 고무패드(150)가 수용되는 부위임은 동일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3A and FIG. 3B, the upper base plate 210 has a center hole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up- It can be seen that the rubber pad grooves 212 are formed in the form of grooves in a ring shape. The rubber pad grooves 212 are the same as those in which the rubber pads 150 are accommodated.

이러한 중앙홀(211) 내주면은 역시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어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하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홀(211)은 고무패드홈(212)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소켓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소켓부(214)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하면서, 링형태의 고무패드(150)의 중앙홀(151)이 원통형소켓부(214)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hole 211 is also threaded to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up-lift draw-
The center hole 211 of the base plate 21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rubber pad groove 212.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The center hole 151 of the ring-shaped rubber pad 15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while the lower end of the up-lift draw-

또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상에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일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하는 것이 양 가이드플레이트(230)이다.In addition, both guide plates 230 are configured to guide the upper base plate 210 on the lower base plate 220 in one direction.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23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단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블록(231)이 상기 슬라이딩홈(213)에 삽입되어 있고, 몸통부(232)는 체결구에 의하여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고정되어 있다.3A and 3B, a guide block 23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2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13. The body 232 is fastened to the lower base And is fixed to the plate 220.

이에 상기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고정된 가이드플레이트(230)의 가이드블록(231)에 삽입된 슬라이딩홈(213)이 구비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일방향으로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되어 일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upper base plate 210 having the sliding groove 213 inserted in the guide block 231 of the guide plate 230 fixed to the lower base plate 220 is guided in one direction and is slid to move in one direction .

이러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딩홈(213)에 접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0)의 접촉면에는 스테인레스 판이 더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tainless steel plate is further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guide plate 230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roove 213 so as to facilitate the sliding.

나아가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에 저부마찰판(240)과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이 설치된다.Further, a bottom friction plate 240 and a bottom stainless plate 250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he lower base plate 220.

즉, 저부마찰판(24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전달되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지지하고, 작용하중을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3A and 3B,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plate that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absorbs the displacement transmitted from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ransmits the working load to the lower base plate 220.

상기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저부마찰판(240)과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마찰판(240)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수평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3A and 3B, the bottom stainless steel plate 250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and the bottom base plate 220 to prevent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from interfering with the action of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Able to know.

이러한 저부마찰판(240)과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은 후술되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되지 않아 별도의 중앙홀이 형성되지 않은 수평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and the bottom stainless steel plate 25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without a separate center hole because the up-lift draw-off region 18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penetrated.

다음으로 상기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미도시한 교량하부구조물(예컨대 교각)에 미리 설치된 앵커볼트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3A and 3B, the lower base plate 220 serves as a plate fixed to an unillustrated bridge lower structure (for example, a bridge bridge)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and is formed as a horizontal plate. However, Unlimited is as noted.

이러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는 상면 양 측단의 체결홀에 앞서 살펴본 양 가이드플레이트(220)가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이 상면에 양 가이드플레이트(220) 사이에 위치하여 수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base plates 220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220 by fastening means and the lower stainless plate 250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plates 220 It can be seen that it is accommodated.

다음으로 상기 고무패드(15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의 온도, 작용하중에 의하여 교축방향등의 변위 발생을 상쇄 및 흡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역시 중앙홀(151)이 형성되어 있다.3A and 3B, the rubber pad 150 serves to offset and absorb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e.g., girder) due to the temperature and the operation load, A center hole 151 is also formed so that the pullout stopper 180 can pass through.

상기 상부플레이트(17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에 미리 설치된 소울플레이트의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저면에 소켓부(172)가 돌출 형성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3A and 3B, the upper plate 170 serves as a plate fixed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of a sole plate pre-installed on a bridge overhead structure (for example, a girder), and is provided with a socket portion 172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소켓부(172) 하단은 도 3c와 같이,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고무패드홈(212) 상단 일정 깊이 삽입 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소켓부(172)는 상부플레이트(170) 저면에 원통형부재로서 돌출 형성되어 소켓부(172)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홀(211) 상단에 상기 소켓부(172)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3C, the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172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rubber pad groove 212 of the upper base plate 210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base plate 210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socket portion 172 is formed as a cylindrical memb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70 and has a center hole 171 passing through the socket portion 172. The center hole 211 of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socket part 172 is inserted and fixed at the upper end.

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에는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부(172)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홀(171) 상단은 확폭되어 후술되는 상부락너트(190)가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A center hole 171 passing through the socket portion 17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70 so that the up-and-down pull-out stopper 180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pper locknut 171 is widened to accommodate the upper locknut 190 described later.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원형 봉 형태로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홀(111)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락너트(19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역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3A and 3B,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up-draw draw-off stopper 18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draw draw-off stopper 180 can be screwed into the center hole 111 of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lock nut 190 can be screwed.

이러한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고무패드(150)의 중앙홀(15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The up-lift draw-off zone 180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hole 171 of the upper plate 170 and the center hole 151 of the rubber pad 150

이에 하단이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나사 체결된 상태가 되고, 상부락너트(190)에 의하여 상단이 상부플레이트(170)에 체결되어 있어 작용하중에 의한 포트 베어링의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190 is screwed to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170 by the upper lock nut 190 so as to resist the pulling of the port bearing due to the operating load. .

역시 도 3c와 같이, 1개의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를 설치하여 포트받침의 인발방지가 가능하며 포트받침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3C, it can be seen that one up-lift draw-off fixture 18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port support from being pulled out and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 support.

상기 상부락너트(19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에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락너트로서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상단 확장부에 수용된다.3A and 3B, the upper lock nut 190 is a lock nut for screwing the up-and-down pull-out stopper 180 into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170. The upper lock nut 190 has a center hole 171 ) Upper extension portion.

또한 상기 상부락너트(190)가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상단 확장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면이 마감되도록 상부마감판(160)이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끼워져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중앙홀 상단 확장부 상면은 상부마감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73)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finishing plate 160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ock nut 190 is received i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groove 17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finishing plate can be moun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200: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
110: 베이스플레이트 111: 중앙홀
112: 고무패드홈 150: 고무패드
151: 중앙홀 160: 상부마감판
170: 상부플레이트 171: 중앙홀
172: 소켓부 173: 장착홈
180: 업-리프트 인발방지구 190: 상부락너트
210: 상부 베이스플레이트 211: 중앙홀
212: 고무패드홈 213: 슬라이딩홈
214: 원통형소켓부 220: 하부 베이스플레이트
230: 가이드플레이트 231: 가이드블록
232: 몸통부
240: 저부마찰판 250; 저부 스테인레스판
100, 200: Port bearings designed for drawing prevention
110: base plate 111: center hole
112: rubber pad groove 150: rubber pad
151: center hole 160: upper finishing plate
170: upper plate 171: center hole
172: socket portion 173: mounting groove
180: Up-lift exit zone 190: Upper locknat
210: upper base plate 211: center hole
212: rubber pad groove 213: sliding groove
214: Cylindrical socket part 220: Lower base plate
230: guide plate 231: guide block
232: body portion
240: bottom friction plate 250; Bottom stainless steel plate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앙홀(211) 주위에 고무패드홈(212)이 링 형태로 형성되며 양 측방에 파여진 수평홈 형태의 슬라이딩홈(213)이 형성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슬라이딩홈(213)에 삽입되는 가이드블록(231)이 몸통부(232) 측면에 돌출 형성된 양 가이드플레이트(230);
상기 양 가이드플레이트(230)가 양 측단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아래에 형성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중앙홀(15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고무패드홈(212)에 수용 설치되는 고무패드(150);
저면에 원통형부재로서 돌출 형성된 소켓부(172)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홀(211) 상단에 상기 소켓부(172)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70);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고무패드(150)의 중앙홀(151)을 관통하여 하단이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중앙홀(211)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 상단 내부에서 고정되는 봉 형태의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를 포함하여,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에 의하여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상부플레이트(170)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양 가이드플레이트(220)에 가이드 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중앙홀(171) 상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상단확장부에 상부락너트(190)가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락너트(190)에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상단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봉 형태로서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중앙홀(211)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락너트(19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단은 상부락너트(190)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170)에 나사 체결되어 포트 베어링의 인발에 저항하며,
상기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에 저부마찰판(240)과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이 설치되며, 상기 저부마찰판(240)은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전달되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지지하고, 작용하중을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로 전달하고, 상기 저부 스테인레스판(250)은 저부마찰판(240)과 하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마찰판(240)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홀(211)은 고무패드홈(212)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소켓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소켓부(214)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하면서, 링형태의 고무패드(150)의 중앙홀(151)이 원통형소켓부(214)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
An upper base plate 210 having a rubber pad groove 212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the center hole 211 and formed with sliding grooves 213 in the form of horizontal grooves drilled on both sides;
A guide block 230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13 is protrud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32;
A lower base plate 220 fixed to both upper ends of the both guide plates 230 and formed below the upper base plate 210;
A rubber pad 150 formed with a center hole 151 and accommodated in the rubber pad groove 212 of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a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172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211 of the upper base plate 210. The lower end of the socket portion 172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11 of the upper base plate 210, An upper plate 170;
A lower end of the center hole 171 of the upper plate 170 and a center hole 151 of the rubber pad 150 are fixed to the center hole 211 of the lower base plate 220, Lift up draw-off zone (180) in the form of a rod fixed withi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The upper base plate 210 moves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plates 220 while the upper plate 170 is not pulled out of the upper base plate 210 by the up- ,
The upper lock nut 190 is received in the upper extended portion formed by expa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171 of the upper plate 170 and the upper end of the up- The up-lift draw-off stopper 180 has a threaded portion formed at its low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a lower end thereof can be screwed into a center hole 211 of a lower base plate 220, The upper lock nut 190 is screwed to the upper plate 170 by the upper lock nut 190 to resist the pulling of the port bearing,
A bottom friction plate 240 and a bottom stainless plate 250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he lower base plate 220.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is formed in a groove And absorbs the displacement transmitted from the upper base plate 210 and transmits the acting load to the lower base plate 220. The lower stainless plate 250 is coupled to the lower friction plate 240 and the lower base plate 2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bottom friction plate 240,
The center hole 211 of the base plate 21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protruding upward at the center of the rubber pad groove 212.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The center hole 151 of the ring-shaped rubber pad 15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ocket portion 214 while the lower end of the up-lift draw-
Port bearing made for withdrawal pre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확장부 상면은 장착홈(173)이 더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73)에 상부마감판(160)이 장착되어 상부락너트(190)가 상부플레이트 중앙홀 상단확장부에 수용되어 마감되도록 하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xtension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73 so that the upper finishing plate 160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173 so that the upper lock nut 190 is received in the upper plate central hole upper extension portion, The port bearing is designed for pullout prevention.
KR1020170024124A 2017-02-23 2017-02-23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KR101939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24A KR101939149B1 (en) 2017-02-23 2017-02-23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24A KR101939149B1 (en) 2017-02-23 2017-02-23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97A KR20180097297A (en) 2018-08-31
KR101939149B1 true KR101939149B1 (en) 2019-01-17

Family

ID=6340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124A KR101939149B1 (en) 2017-02-23 2017-02-23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2957A (en) * 2018-11-02 2019-01-01 贵州省交通规划勘察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nti-pulling ball-type bridge pad of Bidirectional slide
CN111172861B (en) * 2020-03-04 2021-09-21 山东首坤交通工程有限公司 High-speed bridge with bearing deformation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410A (en) * 1999-03-31 2000-10-10 Nippon Chuzo Kk Bearing of bridge or the like
KR101351069B1 (en) * 2013-10-01 2014-01-14 (주)디에스엘 A dumping bearing with a shock absorbing device
KR101415335B1 (en) * 2013-02-19 2014-07-04 손만길 Disk type elastomeric bearings
CN105908622A (en) * 2016-05-26 2016-08-31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Anti-drawing spherical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6685B2 (en) * 1995-09-08 1997-11-17 株式会社カイモン Elastic support device with built-in control device for lift and horizontal force
KR20020094891A (en) 2001-10-15 2002-12-18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A seismic rectangular pot bearing that anchor is sinked and bolted up
KR100845028B1 (en) 2007-09-19 2008-07-09 유니슨 주식회사 The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preexistence bridges
KR100881604B1 (en) 2008-06-19 2009-03-26 매크로드 주식회사 A highly stable negative reaction pot bearing for bridge
KR100877836B1 (en) 2008-08-18 2009-01-12 (주)광원아이앤디 Pot bea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410A (en) * 1999-03-31 2000-10-10 Nippon Chuzo Kk Bearing of bridge or the like
KR101415335B1 (en) * 2013-02-19 2014-07-04 손만길 Disk type elastomeric bearings
KR101351069B1 (en) * 2013-10-01 2014-01-14 (주)디에스엘 A dumping bearing with a shock absorbing device
CN105908622A (en) * 2016-05-26 2016-08-31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Anti-drawing spherical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97A (en)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49B1 (en) Pot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KR100810518B1 (en) A damper using super elastic shape memory alloy
US10407279B2 (en)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KR101171062B1 (en) Friction damper
US20170167155A1 (en) Sliding seismic isolator
KR101440878B1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with cover plate and fixing jig
CN111877147A (en) Bridge friction support
CN106132865A (en) Seismic events damps and intermediate support for escalator and the lateral of moving elevator
KR19990066356A (en) Rubber feet for seismic isolation of structures
KR20100084494A (en) Disc steel bearing for bridge
KR101415335B1 (en) Disk type elastomeric bearings
KR101949142B1 (en) Spherical bearing with drawing protecting punction
JP2006077503A (en) Horizontal load elastically bearing device
CN101718077B (en) Bridge girder anti-seismic bearing
KR102454872B1 (en) Device for fixing exterior building material using spring of earthquake proof type
KR200403138Y1 (en) Disc Type Bridge Feet
KR101341845B1 (en) Disk bearing structure for high load
KR101538956B1 (en) Bridge disk bearing structure
KR100767344B1 (en) Structure of rubber bearing arrangement for isolating seismic tremor in bridge and rubber bearing therefor
KR100881604B1 (en) A highly stable negative reaction pot bearing for bridge
KR102222899B1 (en) Spherical bearing for withdrawing protecting function using t-typed up-lift withdrawing protecting bar and guide plate
KR200250541Y1 (en) Pot bearing combined with spring damper device
KR100918090B1 (en) Sliding bearing for absorbing extensive displacement
KR20200116699A (en) Disk bearing for bridge
KR200262486Y1 (en) Spherical bridge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