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087B1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087B1
KR101939087B1 KR1020160129322A KR20160129322A KR101939087B1 KR 101939087 B1 KR101939087 B1 KR 101939087B1 KR 1020160129322 A KR1020160129322 A KR 1020160129322A KR 20160129322 A KR20160129322 A KR 20160129322A KR 101939087 B1 KR101939087 B1 KR 10193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housing
dischar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1243A (en
Inventor
손상혁
이정우
권혁주
이영구
김태윤
최지은
이건영
이종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2A/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96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63204A1/en
Priority to US15/338,261 priority patent/US10072858B2/en
Priority to US15/339,568 priority patent/US10267528B2/en
Priority to CN201611018929.2A priority patent/CN107014021B/en
Publication of KR2017005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를 거쳐 유동되는 토출유로 및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토출가습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급수유로에 배치되고, 상부 급수 시, 상기 수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레저버; 상기 급수레저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레저버의 물을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급수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의 작동과 관계없이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수 있고,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과도한 양의 물이 급수되더라도, 초과된 물이 인접한 토출유로로 넘친 후, 토출유로를 통해 수조로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being disposed on a water discharge channel that flows through the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channel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ter tank;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for covering the discharge flow passage and providing humidification to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ssage, where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s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flow passage A water supply reservoir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at the time of the upper water supply; And a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and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reservoir to the water storage tank.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nd even when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reservoir is supplied, It can be moved to the tank through the water tank.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cleanlines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 humidifier for providing moisture in the air, and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ly, a humidifier is classified into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atomized in a diaphragm, and a natural evaporation is performed in a vibration type and a humidifying filter which discharge water into the ai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ncludes a disk type humidifier in which a disk is rotated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ying filter type humidifier which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Respectively.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a part of the air flowing in the humidification process wa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humidifying function, the function of cleaning the air is weak.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in that the humidifier can not be operated only for air filtration because the humidifier is structured by adding filtration function dur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that humidific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desires air cleaning even in a high humidity condition.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operat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눈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intuitively confirm whether or not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본 발명은 외부에서 상부급수를 통해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 water tank through an upper water supply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토출유로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작동 중에, 상부급수되어도 급수구에서 공급된 물이 거꾸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hat preven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port from being scattered upside down during opera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 discharge channel.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를 거쳐 유동되는 토출유로 및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급수유로에 배치되고, 상부 급수 시, 상기 수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레저버; 상기 급수레저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레저버의 물을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급수구;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being disposed on a discharge flow passage flowing through the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reservoir arranged to stor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at the time of the upper water supply; And a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and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reservoir to the water storage tank.

상부 급수 시, 상기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물은 상기 토출유로로 넘쳐 유동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실 수 있다. At the time of the upper water supply,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reservoir flows over the discharge channel,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can be wetted.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토출가습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고 남은 물은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로 유동될 수 있다. And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for covering the discharge flow passage and providing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ssage, To the water tank.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조작급수구 및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그릴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조작급수구를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될 수 있다. The top cov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wate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a grill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hannel,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further comprises: Can be guided to the water reservoir through the operation water inlet.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급수레저버의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reservoir may be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the discharge flow path may be located outside the water supply reservoir.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토출가습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개구부; 상기 하우징개구부를 커버하는 급수캡;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급수캡 및 하우징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for covering the discharge flow passage and providing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ssage, where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A housing opening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open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a water supply cap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where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can be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cap and the housing.

상기 급수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ap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급수캡 표면을 따라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될 수 있다. The top water may be directed to the water reservoir along the water cap surface.

상기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물은 상기 하우징으로 넘쳐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실 수 있다.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reservoir may overflow into the housing to moisten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고 남은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로 낙하된 후, 상기 수조로 유동될 수 있다. And a visual body formed of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tank and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 water remaining after wetting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is dropped into the visual body, .

상기 급수구는 상기 급수캡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cap.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워터링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를 통과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부로 낙하될 수 있다. And a water ring housing disposed inside the water tub and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a water ring motor, wherein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inlet can be dropp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ring housing.

상기 급수구는 상기 급수캡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cap.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토출가습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토출가습매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지지하는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어퍼하우징개구부; 상기 토출가습매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지지하는 로어하우징; 상기 로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And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which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covers the discharge flow passage and provides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ssage, where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An upper housing disposed in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An upper housing opening formed in the upper housing and form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And a lower housing opening formed in the lower housing to form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opening, and the water regenerating bor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

상기 급수구는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또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급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캡은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하게 배치될 수 있다. And a water supply cap disposed above the upper housing opening or the lower housing opening and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wherein the water supply cap is provided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water supply reservoir Can be arranged to guide.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레저버를 형성하는 레저버베이스; 상기 레저버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레저버를 형성하는 레저버월;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또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급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레저버베이스 상측, 레저버월 안쪽 및 급수캡 바깥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A reservoir base which is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forms the water supply reservoir; A reservoir boss protruding upward from the reservoir base to form the water reservoir; And a water supply cap disposed above the upper housing opening or the lower housing opening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where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is disposed above the reservoir base, inside the reservoir,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cap.

상기 레저버베이스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formed in the reservoir base.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습청정장치의 작동과 관계없이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er.

둘째, 토출유로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중에 상부급수를 실시하여도, 급수구를 통해 급수된 물이 꺼꾸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even if the upper water supply is performed while the air is being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upside down.

셋째, 급수레저버와 연결된 급수구를 통해 물이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constantly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reservoir.

넷째, 토출유로 및 급수유로가 구분되어 형성되고, 급수유로가 가습유로에 개방되어 자유낙하하기 때문에,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Fourth, the discharge channel and the water channel are separately formed, and the water channel is opened to the humidification channel and falls freely. Therefore, no separate structure is required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th.

다섯째,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과도한 양의 물이 급수되더라도, 초과된 물이 인접한 토출유로로 넘친 후, 토출유로를 통해 수조로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even if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reservoir is supplied, the excess water can be overflowed to the adjacent discharge channel and then be moved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여섯째, 상부급수된 물이 수조의 수면으로 바로 낙하하지 않고, 워터링하우징에 낙하된 후 흘러내리기 때문에, 급수 시 발생되는 낙수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that is supplied from the upper part does not directly drop to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but flows down after falling down to the water ring housing, thereby minimizing the dripping noise generated during water supp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4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D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F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 flow of a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6. Fig.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6.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B in Fig.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C i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D in Fig.
1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F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clean module 100 and an air wash module 200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air-air clean module 100 sucks outside air, filters the air, and provides filtered air to the air-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the filtered air to perform humidification for providing moisture, and discharges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e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ed.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The user can separate the air wash module 200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clean the separated air wash module 200.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from which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ed.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e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is opened to the user.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filter assembly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cleaned after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ed from the base body 11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The user can supply wat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 water supply passage 109 capable of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flow path 109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a discharge flow path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at any tim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in operation,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assage 103.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able,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ispersedly disposed in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the flow path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the flow path of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ath 103 .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A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is defined as a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and a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fined a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channel 105.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이하,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The air-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a filter assembly 10 disposed in the base body 110 to filter air, and a filter assembly 110 disposed in the base body 110, And an air blowing unit 20 for blowing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in which water for humidification is stored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and a water tank 300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A humidifying medium (50) for humidifying the air to be humidifi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unit (400) and providing moisture to the air to be flowed, A visual body 210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00; a discharge channel 107,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a top cover assembly 230 having a supply flow path 109 formed therein.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유로(104)로 유동된다.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101, a filtration passage 102, a blowing passage 108, and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into the clean passage 104 via the filtration passage 102 and the air passage 108.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the humidifying passage 106,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are dispos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of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flow path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flow path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106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07.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communicates with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but is constructed such that only water can be supplied without discharging air.

먼저,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clean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The base body 110 includes an upper body 120 and a lower body 130. The upper body 120 is stacked on the lower body 130 and the upper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are assembled.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Air flows into the base body 110.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passage 101, the filtration passage 102 and the airflow passage 108 are disposed in the lower body 130 and the suction passage 101, the filtration passage 102 and the airflow passage 108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isposed in the upper body 120 and structures for guiding the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nd structures for mounting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isposed .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base body 110 includes an upper body 120 formed with an outer shape and a suction port 111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n upper body 120 formed to have an outer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do.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provides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performs filtering on the outside air.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The filter assembly 10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against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erforms filtration on the air flowing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forms a filtration channel 102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0 may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1)과, 상기 필터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ncludes a filter housing 11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130 and forming a filtering channel 102, a filter housing 11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11, And a filter (14) for filter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02).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12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01, and the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air passage 108.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into the air passage (108) through the filter passage (102).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The filter housing 12 is open at one si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ltration channel 102. The filter 14 may be releasably couple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formed laterally.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30. So that the filter 14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housing 12. [ The filter 14 is disposed so as to cross the filtration channel 102, and filter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lter 14 may be an 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that charges an applied power sourc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filter 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ollects foreign matter in the air through the filter material. The filter 14 may be arranged in various structures.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iltering method of the filter 14 or the filter material of the filter.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The filtration channel 102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ration channel 102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ir flow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That i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An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housing (12).

상기 필터항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An upper side of the filter casing 12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flows into the blowing unit 20.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air blowing unit 20 generates a flow of air. The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and allows air to flow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The air blowing unit 20 is composed of a blowing housing 150, a blowing motor 22 and a blowing fan 2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motor shaft of the blowing motor 22 is installed downward and is assembled with the blowing fan 24.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The air blowing housing 150 provides a flow path of air to be flowed. The blowing motor (22) and the blowing fan (24) are disposed in the blowing housing (150).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on the filter assembly 10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120.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forms an air blowing passage 108 therein.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in the blowing passage (108). The airflow passage 108 connects the filtration flow passage 102 and the clean connection flow passage 104.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air blowing fan 24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from the lower side and then discharges the ai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ir blowing fan 24 discharges air radially outward and upward. The blowing fan 24 is formed such that its outer end is directed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above the blowing fan 24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air to be flowed. The blowing motor 22 is enclosed by a blowing fan 24. The air blowing motor 22 is not located on the air flow path by the air blowing fan 24 but does not generate resistance and air flowing by the air blowing fan 24.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The upper body 12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base body 110 and includes an upper outer body 128 coupled to the lower body 130 and an upper outer body 128 disposed inside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air is guided to the water tank 300.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air guide 170.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body 120 separates and arranges the connecting passage and the water tank inserting space,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minimally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channel. Particularly, since the connecting passage is partitioned by the upper inner body and disposed outside the space where the water is stor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connecting passag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The upper inn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upper opening, and the water tub 300 is inserted. The upper inner body 140 forms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into which filtered air flows.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The upper inn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121 corresponding to the air wash inlet 31. The upper inlet 12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t is sufficient if the upper body 120 has a shape that exposes the air wash inlet 31 to the connecting passage 103.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air guide 170 guid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o the upper inlet 121. The air guide 170 collects the upward air along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inwardly. The air guide 170 switche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owever, the air guide 170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nd minimizes the angle, thereby minimiz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inner body 140 by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guides the air to the water tank 300 in a forward direction of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collects the air guid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supplies the collected air to the water tank 300. With this structure, the flow rate of air supplied to the water tub 30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The air guide 170 includes a guide 172 formed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switching unit 174 connected to the guide unit 172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guided air.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The air guide 170 forms a connection passage 103.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72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ltration channel 102, an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tching unit 174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ltration channel 102,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itching portion 17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guide 170. The switch portion 172 is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172 by a curved surface.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연결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Even if the switching portion 17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03 flows in a substantially inclined upward direction.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filtration flow passage 102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straight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172 is fix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upper end of the switch 174 is fixed to the upper inner body 140.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A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is formed outside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air guide 170 forms a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flows in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upper inlet 121 and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inner body 140 has a basket shape as a whole. The upper inner body 1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flat cross-section, and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is formed in a 360-degree forward direction.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The air guide 170 is configured to guide the filtered air to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and may not be inclu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ir guide 170 engages the upper inner body 140 or the upper outer body 128.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inner body 140. Particularly,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inlet 121 and guides the filtered air to the upper inlet 121. In plan view, the air guide 170 is donut shap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ner body 140.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guide 1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ner body 140 are aligned. An upper inner body ring 12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inner body 140 so as to be engaged with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guide 170.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An inner body extension part 148 connecting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inner body extension portions 148 are disposed. An upper inlet 12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body extensions 148 and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The inner body extension 148 corresponds to the water bath body extension 380. When the water tank 300 is mounted,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 part 380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body extension part 148. The inner body extension 148 and the water bath body extension 380 overlap inward.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joined to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The low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between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is guided to the upper inlet 121. [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diameter of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are identical or similar. The air guide 170 and the upper inner ring 126 are closely contacted to prevent leakage of the filtered air.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is disposed inside the air guide 170.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knob 129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body 128. As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120, the entire humidifying unit can be lifted through the handle 129.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The upper inner body 140 has a water tank insertion space 125 formed therein so that the water tank 300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inlet 121, and a water tank insertion space 125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e air flowing along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passes through the upper inlet (121). When the water tank 300 is placed in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125,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water inlet 121 flows into the water tank 300.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Meanwhile,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120.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structure of the visual body 210, but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ixed to the air wash module 2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deletable configuration.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outer visual body 214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body 128 as a continuous surface.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to a use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16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to the us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A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clos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has a donut shape in plan view.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on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inn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The display module 160 is position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or 26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position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display module 160 covers the upper inn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such that the user can not see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isplay module 160 are preferably seal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The inn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outer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outer visual body 218.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160 is formed in a ring sha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16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e surface of the display 1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or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Thus, when water is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may be projected or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160. When the water formed in the visual body 210 flows down, the display 160 has the same effect.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This effect gives the user a visual stimulus,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The water droplet image projected on the display 160 has a functional effect of not only the emotional effect that gives a refreshing feeling to the user but also the humidifying state.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160 is formed obliquely. The display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user side. Therefore, the inside is high and the outside is low.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The air wash module 200 provides humidification for filtered air. The air wash module 200 may implement a lane view in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The air wash module 2000 injects and circulates water in the water tank 300. The air wash module 200 converts water into small droplets and rinses the filtered air again through the scattered droplets When wash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scattered water, humidification and filtration are once again perform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 humidification passage 106,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a humidifying medium 50, a visual body 210, a top cover assembly 230, and a handle 180.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handle 180 is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rotated by the visual body 210, and stored in the visual body 210. Only the air wash module 200 can be easily lifted through the handle 18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300 and can guide air into the water tank 300.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and can guide air into the visual body 210.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dispose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may guide the air into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discharge passage 107 is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wer is supplied to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receives power from the air-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able from the air air clean module 100,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s.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Since the air-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wash module 200 are detachably assembled through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A connector 260 is dispos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of the air wash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and a display that require power. The air wash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top connector 27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6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detache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passage 107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top connector 2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60.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above the connector 260.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connector 260 through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water level indicator (not shown) for indica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is disposed around the water supply channel 109. Thus,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which is visible when the water is watered. By disposing the water level display portion on the copper line for watering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xcessively supplying the water, and to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in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The level indicator is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connector 260 allows effective construction of the upper water supply.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water tub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body 120. The water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0 and is rotated inside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00 includes a water tank body 320 in which water is stored, an air wash inlet 31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320, And a water bath body extension 380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upper sid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 part 380 extends upward from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 portion 380 forms the air wash inlet 31.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between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s 380.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320.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360 degre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water tank body 320. The air wash inlet 31 communicates with the humidifying connection passage 105.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extender (380) guides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into the water tank (300). Dripping noise can be minimized by guid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The water tank extender (38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water tank body 320.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 unit 380 may be disposed on the visual body 210 to form the air wash inlet 31. [ A part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 body extensions 380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and the rest of the water tank body extensions 380 is disposed in the visual body 210 to form an air wash inlet 31).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wash inlet 31 can be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visual body 210 and the water tank 300. Also,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n opening surface is formed in the visual body 210 to form an air wash inlet 31, and an opening surface may also be formed in the water tank 300 to form the air wash inlet 31.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fter the air wash inlet 31 is disposed in a separate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wash inlet 3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implementing a lane view inside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The watering unit 400 sucks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by rotating the water ring housing 800, suck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injects the pumped wate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watering unit 400 includes a watering housing 800 that sucks water inward, suck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then discharges the sucked wate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ring housing 800 is rotated to spray water. Water may be sprayed by using a nozzle instead of the water ring housing 8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by spraying water from the nozzle, and the rain view can be similar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ater may be sprayed from the nozzle and the nozzle may be rotated.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ring housing 800 sweeps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ring housing 800 may be spray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humidifying medium 50.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toward the visual body 210 may implement a lane view. The water sprayed toward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used to humidify the filtered air.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visual body 210 to implement a rain view, and water flowing in the visual body 210 may be wetted with the humidifying medium 50.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jetting opening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arranged in the watering housing 800. The water ejected from any one jetting port forms a dropl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o implement the lane view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jetting port wets the humidifying medium 50 to be used for humidification.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The water ring housing 800 injects water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 droplet of water droplet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user can see the droplet through the visual body 210.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flowing from the visual body 210 is used to humidify the humidifying medium 50 by wetting it.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wet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and the water flowing from the visual body.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is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300. At least a part of th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viewing through the insid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coupled to either the visual body 210 or the upper body 12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line of sight of the lane view.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12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the out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module 160.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or coated with a material reflecting light.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The droplet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is also proj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Thus, the user can observe the movement of the droplet in two places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with an air wash inlet 31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The air wash inlet 31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The air wash inlet 31 is an out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an inlet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air-air clean module 100 flows into the air-wash module 200 through the air-wash inlet 31.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humidifying medium 50 includes a water bath humidification medium 51 disposed at an inlet of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disposed at an outlet of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The outlet of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and the inlet of the discharge channel (10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flow path 107.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Since the connection passage 103,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are not formed through a structure such as a duct,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boundaries. However, when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106 in which humidification is performed is defined between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the connecting flow path 103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07 are naturally defined.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efined between the blowing housing 150 and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The discharge flow path 107 is defined after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disposed in the air wash inlet 31 of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may be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same plane, outside, or inside as the air wash inlet 31.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located inside the air wash inlet 31 because water is humidified for humidification.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water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It is preferable that water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disposed so as not to flow out of the water tank 300.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Thus,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provides humidification for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The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the water that is spontaneously evaporated in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natural evaporation refers to the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bsence of additional heat. As the contact with air increases, as the flow rate of air increases, the lower the pressure in the air, the more natural evaporation is promoted. The natural evaporation may be referred to as natural vaporization.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The humidifying medium 50 promotes natural evaporation of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wetted with water, but is not immersed in the water tub 300. [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not always wetted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because they are separated from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 That is,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wetted only when operated in the humidifying mode, and when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operated in the air clean mode, As shown in Fig.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covers the air wash inlet 31 and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of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106 or the inlet of the discharge flow path 107.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covers the discharge flow passage 107 and humidified air flows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and then into the discharge flow passage 107.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6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24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의 D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F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ottom of FIG. 6,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6,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Fig. 9B,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2, 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EE of Fig. 24,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D of Fig. 12, to be.

도면을 참조하여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 중에서 토출가습매체(55)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으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installed in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defined as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토출유로(107) 상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107.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may be install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별개의 구조물로 제작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may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급수유로(109) 중 일부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급수캡(430)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킨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forms a part of the water supply channel 109 and exposes a water supply cap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user.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바깥쪽으로 공기가 통과되고, 안쪽으로는 물이 통과될 수 있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되고 물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된다. The discharging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ir is passed through to the outside and water can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discharging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Air is pass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water is pa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는 바깥쪽에 공기가 통과되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하고, 안쪽에 물이 통과되는 급수유로(109)를 제공한다. The discharge and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provides a discharge flow passage 107 through which air flows outward and provides a water supply flow passage 109 through which water passes.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은 어퍼하우징(410), 로어하우징(420) 및 급수캡(43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 사이에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includes an upper housing 410, a lower housing 420, and a water supply cap 43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은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may be referred to as housings.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은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다.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상기 어퍼하우징(410)은 전체적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The upper housing 410 is formed in a donut shape as a whole.

상기 어퍼하우징(410)은 중앙에 배치된 어퍼이너프레임(412)과, 상기 어퍼이너프레임(412)의 중앙에 형성되고, 급수유로(109)를 제공하는 어퍼하우징개구부(415)와, 상기 어퍼이너프레임(412)과 이격되고, 외곽에 배치되는 어퍼아우터프레임(414)과, 상기 어퍼이너프레임(412) 및 어퍼아우터프레임(414)을 연결시키는 어퍼메쉬프레임(416)을 포함한다.The upper housing 410 includes an upper inner frame 412 disposed at the center, an upper housing opening 415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inner frame 412 and providing a water supply flow passage 109, And an upper mesh frame 416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412 and disposed at the outer periphery and an upper mesh frame 416 connecting the upper inner frame 412 and the upper outer frame 414. [

상기 로어하우징(420)은 전체적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wer housing 420 is generally formed in a donut shape.

상기 로어하우징(420)은 중앙에 배치된 로어이너프레임(422), 상기 로어이너프레임(422)의 중앙에 형성되고, 급수유로(109)를 제공하는 로어하우징개구부(425)와, 상기 로어이너프레임(422)과 이격되고, 외곽에 배치되는 로어아우터프레임(424)과, 상기 로어이너프레임(422) 및 로어아우터프레임(424)을 연결시키는 로어메쉬프레임(426)을 포함한다.The lower housing 420 includes a lower inner frame 422 disposed at the center, a lower housing opening 425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inner frame 422 to provide a water supply flow passage 109, A lower outer frame 424 spaced apart from the frame 422 and disposed at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lower mesh frame 426 connecting the lower inner frame 422 and the lower outer frame 424.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의 형상은 서로 대응된다.The shapes of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415) 및 로어하우징개구부(425)는 서로 연통된다. The upper housing opening 415 and the lower housing opening 42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은 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하우징(410) 및 로어하우징(420)은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하우징(410) 또는 로어하우징(420)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기(411)(41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421)(423)이 형성된다.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are assembled toge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are fitted together. To this end, one of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has fitting protrusions 411 and 413, and the other fitting groove 421 and 423 are formed.

본 실시예에서 끼움돌기(411)(413)는 어퍼하우징(410)에 형성되고, 끼움홈(421)은 로어하우징(420)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는 어퍼이너프레임(412) 및 어퍼아우터프레임(41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은 로어이너프레임(422) 및 로어아우터프레임(424)에 각각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projections 411 and 413 ar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fitting groove 421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420. Th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upper inner frame 412 and the upper outer frame 414, respectively.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lower inner frame 422 and the lower outer frame 424, respectively.

상기 급수캡(430)은 상기 어퍼하우징(410) 또는 로어하우징(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캡(430)은 로어하우징(420)과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급수캡(430)은 어퍼하우징(4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water supply cap 43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410 and the lower housing 4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ap 430 is detachably fitted to the lower housing 42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ap 43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410.

상기 급수캡(430) 및 로어하우징(420)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위해 결합돌기(437) 및 결합홈(427)이 형성된다. A coupling protrusion 437 and a coupling groove 427 are formed for detachable coupling of the water supply cap 430 and the lower housing 420.

상기 급수캡(430) 또는 로어하우징(42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4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42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캡(430)에 결합돌기(437)가 형성되고, 로어하우징(420)에 결합홈(427)이 형성된다. One of the water supply cap 430 and the lower housing 420 has a coupling protrusion 437 and the other coupling groove 427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protrusion 437 is formed in the water supply cap 430 and a coupling groove 427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420.

상기 결합돌기(437) 및 결합홈(427)은 수평방향에 대해 끼움결합을 형성한다. The engaging projections 437 and the engaging grooves 427 form a fitting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결합돌기(437)는 급수캡(43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27)은 로어하우징(420)의 중앙쪽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The coupling protrusion 437 protrudes radially outward of the water supply cap 430. The coupling groove 427 is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420.

상기 결합돌기(437)는 3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결합홈(427)은 이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427)에는 상기 결합돌기(437)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결합돌기걸림부(4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걸림부(428)는 로어하우징(420)의 반경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Three of the engaging projections 437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engaging grooves 427 are formed correspondingly. The engaging groove 427 is form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428 f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37. The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s 428 provide mutual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420.

상기 결합돌기걸림부(428)는 로어하우징(42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projection 428 may protrude radially inward of the lower housing 420.

사용자는 상기 급수캡(430)을 로어하우징개구부(425)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437) 및 결합홈(427)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7)가 상기 결합홈(427)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437)가 상기 결합돌기걸림부(428)을 타고 넘어가면서 "딸깍"하는 조작음 및 조작감을 형성시킨다. The user inserts the water supply cap 430 into the lower housing opening 425 and rotates the water supply cap 430 clockwise to engage the coupling protrusion 437 and the coupling groove 427. The engaging projection 437 engages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28 to form an operation sound and a feeling of operation that is "clicked" while the engaging projection 437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427.

한편,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에는 급수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하측으로 배수하는 급수구조(440)가 형성된다. Meanwhile,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0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structure 440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and draining the stored water to the lower side.

상기 급수구조(440)는 상기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되고, 물이 일시 저장되는 레저버(441, reservoir)와, 상기 급수레저버(441)에서 상기 수조(30)로 물을 배수시키는 급수구(445)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structure 440 includes a reservoir 441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channel 109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and a water reservoir 441 for draining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441 to the water tank 30 And a water supply port 445.

상기 레버저(441)는 어느 하나의 구조물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 구조물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441)를 형성시킨다. The lever lever 441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structures.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i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상기 급수레저버(441)는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된 어퍼하우징(410), 로어하우징(420), 급수캡(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저(441)는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된 어퍼하우징(410), 로어하우징(420), 급수캡(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410, the lower housing 420, and the water supply cap 430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ssage 109. The lever 441 may be formed through engagemen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410, the lower housing 420, and the water supply cap 430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ssage 109.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하우징(420) 및 급수캡(430)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441)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housing 420 and the water supply cap 430.

상기 로어하우징(420)은 레저버베이스(442) 및 레저버월(444)를 포함한다. The lower housing 420 includes a reservoir base 442 and a reservoir 444.

상기 레저버베이스(442) 및 레저버월(444)은 로어이너프레임(422)에 형성된다. The reservoir base 442 and the leisure broom 444 are formed in the lower inner frame 422.

상기 레저버베이스(44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레저버베이스(44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레저버베이스(442)와 로어메쉬프레임(426)이 연결된다. The reservoir base 442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is positioned above the reservoir base 442. The reservoir base 442 and the lower mesh frame 426 are connected.

상기 레저버월(444)은 상기 레저버베이스(44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저버월(444)의 안쪽에 상기 로어하우징개구부(425)가 배치되고, 바깥쪽에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급수캡(430)은 상기 레저버월(444)의 안쪽에 위치된다. The reservoir bases 442 are formed so that the reservoir bases 444 protrude upward. The lower housing opening 425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esilient bush 444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on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cap 430 is positioned inside the leisure broom 444.

상기 급수레저버(441)는 레저버월(444)의 안쪽, 레저버베이스(442)의 상측 및 급수캡(430) 바깥쪽 사이에 형성된다.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leisure broom 444,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base 442,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cap 430.

상기 레저버베이스(442)에는 급수구(445), 끼움홈(423), 결합홈(427)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445) 및 끼움홈(423)은 레저버월(444) 안쪽에 배치되고, 결합홈(427)은 레저버월(444) 바깥쪽에 배치된다. The reservoir base 442 is formed with a water supply port 445, a fitting groove 423, and a coupling groove 427. The water supply port 445 and the fitting groove 423 are disposed inside the leisure broom 444 and the coupling groove 427 is disposed outside the leisure broom 444.

상기 급수구(445)는 슬릿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445)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44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445)는 상기 레저버월(444)의 안쪽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formed in a slit shape.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formed to be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formed in an arc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formed along the inner boundary of the leisure broom 444.

상기 급수구(445)를 형성하는 슬릿의 폭은 0.7 내지 0.8mm로 형성되고, 길이는 제한이 없다. The width of the slit forming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0.7 to 0.8 mm, and the length is not limited.

상기 급수구(445)는 상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단면이 넓고 하측 단면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445)의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아래가 뾰족한 호퍼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water supply port 445 has a wide upper end surface and a narrower lower end surface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formed in a hopper shape having a sharp bottom when view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상기 급수구(445)는 이러한 단면형상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고, 물은 하측으로 배수되게 할 수 있다. The water inlet 445 may block the flow of air through this cross-sectional shape and allow water to drain downward.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공기는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유동되는 바, 상기 급수구(445)를 통해서도 일부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레저버(441)에 물이 저장되면, 상기 급수구(445)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급수레저버(441)에 저장된 물의 자중이 공기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Whe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s operated, the air flows from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to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may be par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5. However, when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no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5. Because the weigh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441 is larger than the air pressure.

상기 급수구(445) 단면을 넓게 형성하는 경우, 공기가 토출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급수레저버(441)에 저장된 물이 상측으로 흩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If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supply port 445 is wide, air can be discharged. In this process,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may be scattered upward.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구조(440)는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급수를 하더라도 급수레저버(441)에서 물이 급수 반대방향으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structure 4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water from being scatte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whe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is operated.

상기 급수레저버(441)의 용량을 조절하여 급수구(445)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구(445)를 통해 토출 가능한 풍압보다 급수레저버(441)에 저장된 물의 자중에 의한 압력이 더 크도록 제작할 수 있다. The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can be adjusted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445. For example, the press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may be made larger than the wind pressur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5.

더불어, 슬릿형태로 제작된 상기 급수구(445)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경우, 저항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가습매체(55)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이 공극이 급수구(445)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공기는 저항이 작은 토출가습매체(55) 쪽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급수레저버(441)에 물이 저장되는 경우, 자중에 의해 물은 급수구(445)를 통해 배수된다.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water supply port 445 formed in a slit shape is narrow, the air can be caused to flow to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by the resistance. Whe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has a gap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supply port 445, the air flows towar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with a small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5 by its own weight.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급수구(445)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5 by various methods.

사용자가 급수캡(430) 위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급수레저버(441)에 일시 저장된다. 상기 급수레저버(441)에 저장된 물은 급수구(445)를 통해 하측으로 배수된다. 상기 급수레저버(441)의 물은 레저버베이스(442)에 형성된 결합홈(427)을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레저버(441)의 물은 로어하우징개구부(425)를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upplies water over the water supply cap 430, the supplied wat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is drained downward through a water supply port 445.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can also be drained through the engagement groove 427 formed in the reservoir base 442.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reservoir 441 can also be drained through the lower housing opening 425.

가습청정장치가 가동 중인 경우, 급수된 물 중 일부는 상기 레저버베이스(442)의 하측에 배치된 수차하우징(80)에 의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으로 비산될 수 있고, 나머지는 수조(30)로 낙하된다. Whe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is in operation, some of the water supplied may be scattered to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by the aberration housing 80 disposed below the reservoir base 442, (30).

가습청정장치가 정지 중인 경우, 급수된 물은 수조(30)로 낙하된다. Whe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s stopped, the water is dropped into the water tank 30. [

상기 급수레저버(441)의 용량보다 많은 물이 공급되는 경우, 레저버월(444)을 넘어 밖으로 넘칠 수 있다. 상기 레저버월(444) 밖으로 물이 넘치더라도 급수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로 낙하되거나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린 물도 상기 수조(30)의 내부로 안내된다. If more water than the capacity of the water reservoir 441 is supplied, it can overflow the water beyond the reservoir 444. Even if the water overflows out of the leisure broom 444, the water is dropped or flowed into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lowing along the visual body 210 is also guided into the water tub 30.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작동과 무관하게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30 regardless of the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토출가습매체하우징(400)이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탑커버어셈블리(230)의 구성 없이도 가습청정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400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230.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without the top cover assembly 23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 : 수조 40 : 수차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거치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가습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60 : 커넥터
400 : 토출가습매체하우징 410 : 어퍼하우징(410)
420 : 로어하우징 430 : 급수캡
440 : 급수구조 441 : 급수레저버
442 : 레저버베이스 444 : 레저버월
445 : 급수구
10: filter assembly 20: blowing unit
30: water tank 40: aberration unit
51: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5: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100: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mounting body 130: lower body
150: blower housing 160: display module
200: Humidification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260: Connector
400: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410: Upper housing 410
420: Lower housing 430: Water supply cap
440: Water supply structure 441: Water supply reservoir
442: Leisure base 444: Leisure broom
445: Water supply

Claims (18)

물이 저장되고, 바닥 및 상기 바닥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개구면이 형성되는 수조;
상기 측벽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개구면을 커버하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안쪽에 배치된 급수유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유로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토출유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는 토출가습매체;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부 급수 시, 상기 상부급수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급수레저버;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레저버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유로 및 급수유로를 분리시키는 레저버월;
상기 급수레저버와 상기 수조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급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개구면은 상기 토출유로 및 급수유로에 개방되는 가습청정장치.
A water reservoir in which water is stored, a side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and upward from the bottom is formed, and an opening surface having an open top is formed;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side wall and covering the opening surface; A water supply flow path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 discharge channel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located outside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surround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which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ssage and covers the discharge flow passage;
A water supply reservoir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supplied in the upper water supply;
A resilient boss which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and protrudes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to form the water supply reservoir and separates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 water supply port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with the water supply reservoir,
And the opening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open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he water supply flow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급수 시, 상기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물은 상기 레저버월을 넘어 상기 토출유로로 넘쳐 유동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reservoir overflows over the discharge flow path and flows over the water discharge reservoir to we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고 남은 물은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로 유동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water remaining after wetting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flows in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discharge chan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 상측에 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조작급수구 및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그릴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조작급수구를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o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Wherein the top cover assembly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wate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a grill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hannel,
And the upper water supplied is guided to the water supply reservoir through the operation water inle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토출유로를 커버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개구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개구부를 형성시키는 상기 레저버월; 상기 하우징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캡;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급수캡 및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which covers the discharge passage and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A housing opening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open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the water supply channel; A resilient bos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defining the housing opening; Further comprising a water cap covering the housing opening and being re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water supply reservoir is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cap and the hous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ter supply ca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급수캡 표면을 따라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pper water is guided along the water cap surface to the water reservoi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레저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물은 상기 레저버월을 넘어 상기 하우징으로 넘쳐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reservoir overflows the housing beyond the resilient bubble to we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적시고 남은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로 낙하된 후, 상기 수조로 유동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visual body formed of at least a part of the side wall and being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inside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humidifying and humidifying medium is humidified, and water remaining in the humidifying medium is dropped into the visual body, and then flows into the water ta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급수캡에 의해 커버되어 안쪽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covered by the water supply cap and located insi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흡입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여 상기 수조의 측벽으로 분사하는 워터링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를 통과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부로 낙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ter tank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by a suction interval, And a water ring housing for pumping water toward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fall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ring housing.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급수캡에 의해 커버되어 안쪽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covered by the water supply cap and located in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토출가습매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지지하는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어퍼하우징개구부;
상기 토출가습매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를 지지하는 로어하우징;
상기 로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An upper housing opening formed in the upper housing and form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And a lower housing opening formed in the lower housing to form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opening,
The water-
Where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습청정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또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캡은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레저버로 안내하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water supply cap disposed above the upper housing opening or the lower housing open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And the water supply cap is arranged to guid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water supply reservoi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레저버를 형성하는 레저버베이스;
상기 레저버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레저버를 형성하는 상기 레저버월;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 또는 로어하우징개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하우징 또는 로어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급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레저버는 상기 레저버베이스 상측, 레저버월 안쪽 및 급수캡 바깥쪽 사이에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reservoir base which is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forms the water supply reservoir;
The reservoir boss protruding upward from the reservoir base to form the water reservoir;
And a water supply cap disposed above the upper housing opening or the lower housing opening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Wherein the water regulato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base, the inside of the reservoir bell, and the water cap outer sid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베이스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the reservoir base.
KR1020160129322A 2015-10-30 2016-10-06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39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6439.0A EP3163204A1 (en) 2015-10-30 2016-10-2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5/338,261 US10072858B2 (en) 2015-10-30 2016-10-2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5/339,568 US10267528B2 (en) 2015-10-30 2016-10-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1611018929.2A CN107014021B (en) 2015-10-30 2016-10-31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KR1020150156254 2015-11-07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60037235 2016-03-28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en) 2015-10-30 2016-03-2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201662355118P 2016-06-27 2016-06-27
US62/355,118 2016-06-27
KR20160083071 2016-06-30
KR1020160083071 2016-06-30
KR1020160083061 2016-06-30
KR1020160083061A KR20170051175A (en) 2015-10-30 2016-06-30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43A KR20170051243A (en) 2017-05-11
KR101939087B1 true KR101939087B1 (en) 2019-04-11

Family

ID=58742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23A KR101951325B1 (en) 2015-10-30 2016-10-06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0160129322A KR101939087B1 (en) 2015-10-30 2016-10-06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23A KR101951325B1 (en) 2015-10-30 2016-10-06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951325B1 (en)
CN (2) CN10701402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706A (en) 2018-02-06 2018-07-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Evaporative component and humidifier
KR20210071375A (en)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12254254B (en) * 2020-10-20 2021-08-17 温州卓耐环保设备有限公司 Environment-friendly air purification humidification instrument
CN114719363A (en) * 2022-03-28 2022-07-08 杭州乐秀电子科技有限公司 Low-noise humidif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041A (en) * 2004-03-25 2005-10-06 Seiichi Futaboshi Humidifying device
KR200421945Y1 (en) * 2006-04-19 2006-07-20 쿠쿠전자주식회사 humidifier
JP2011080734A (en) 2009-10-09 2011-04-21 Zojirushi Corp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2015059671A (en)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コロナ Mist generator
JP2015075285A (en) * 2013-10-09 2015-04-20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75Y1 (en) * 1991-07-27 1995-01-16 김남섭 Air cleaner and water spout
JPH1124759A (en) * 1997-06-30 1999-01-29 Aiwa Co Ltd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air purifying device, minus ion generating device, and humidifier
CN1294281A (en) * 1999-11-02 2001-05-09 蔡国隆 Spray-type constant-temp moistener
US6945519B2 (en) * 2003-09-25 2005-09-20 Sunbeam Products, Inc. Microorganism-resistant humidifier
CN102168874A (en) * 2011-05-07 2011-08-31 美的集团有限公司 Upper water adding humidifier
CN202853036U (en) * 2012-09-06 2013-04-03 岳增珉 Water upward adding humidifier provided with float bowl control valve
CN203190554U (en) * 2013-03-07 2013-09-11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Upper water adding humidifier
CN204555163U (en) * 2015-03-17 2015-08-12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A kind of gasifying type humidifier
CN104913390B (en) * 2015-06-19 2019-06-14 广东佰宝电器有限公司 Air cleaning ai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041A (en) * 2004-03-25 2005-10-06 Seiichi Futaboshi Humidifying device
KR200421945Y1 (en) * 2006-04-19 2006-07-20 쿠쿠전자주식회사 humidifier
JP2011080734A (en) 2009-10-09 2011-04-21 Zojirushi Corp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2015059671A (en)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コロナ Mist generator
JP2015075285A (en) * 2013-10-09 2015-04-20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44A (en) 2017-05-11
CN107014021B (en) 2020-02-07
CN106969456B (en) 2020-12-18
CN107014021A (en) 2017-08-04
KR20170051243A (en) 2017-05-11
KR101951325B1 (en) 2019-02-22
CN106969456A (en)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8903B (en)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KR10187126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6903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2153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22951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09458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6958882B (en)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3908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8048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20170122603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46276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38172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5931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41934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7101304B (en)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KR101957163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70051238A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