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83B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883B1 KR101938883B1 KR1020120021825A KR20120021825A KR101938883B1 KR 101938883 B1 KR101938883 B1 KR 101938883B1 KR 1020120021825 A KR1020120021825 A KR 1020120021825A KR 20120021825 A KR20120021825 A KR 20120021825A KR 101938883 B1 KR101938883 B1 KR 101938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nnection terminal
- guide screen
- user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식 가능한 객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입출력 수단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이드 화면을 상기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input / output means,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movement of the object when the recognizable objec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Generating a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input / output mea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put / output means,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guide screen on a screen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input / output means is mou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적절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여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는 셋탑 박스, PVR,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또는 각종 게임기 등과 연결되어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이와 같은 연결을 위해 HDMI, USB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연결 단자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는 그 기능 제어를 위해 케이스의 일부분에 로컬 키를 구비하고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the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the broadcas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on the display. Also,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set-top box, a PVR, a DVD or a Blu-ray player,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or a game machine to receive and output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The video display device has various complicated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HDMI, USB, or analog input / output terminal for such connection. Further,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al key in a part of the case for its function control.
최근에는 영상표시기기의 디자인 개선 측면에서 로컬 키와 또한, 연결 단자를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측면 또는 배면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측면 또는 배면에 상기 다수의 로컬 키를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move a local key and a connection terminal from a front side to a side or a back side in view of improving the design of a video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그러나, 사용자가 로컬 키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선 또는 전자 기기를 입력 단자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위치 및 시선을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가 위치한 배면 또는 측면으로 이동하여, 각 로컬 키의 위치와 해당 기능을 확인한 후 특정 로컬 키를 입력하거나, 각 연결 단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다시 정면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원하는 로컬 키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거나,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local key, or to connect the wiring or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input terminal, his or her position and line of sight are moved to the rear face or side face of the local key or connection terminal, Afte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local key and corresponding function, input the specific local key, check the position of each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 Then, there is the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back to the front to check whether the local key desired by the user is normally input or whether the connection is normal.
특히, 사용자가 전자 기기들과 영상표시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어떤 위치의 단자에 어떤 기기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배면으로 이동하여 배선 형태를 모두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Particularly, when the user tries to change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wiring pattern by moving to the back surface in order to check which device is currently connected to which terminal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상술한 로컬 키 입력시의 불편함 또는 다른 기기와의 연결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a local key or the inconvenience when connecting with other de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식 가능한 객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입출력 수단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이드 화면을 상기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input / output means, the method comprising: when a recognizable object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Sensing; Generating a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input / output means according to the sensed movement;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guide screen on a screen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input / output means is mount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인식 가능한 객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입출력 수단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가이드 화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이드 화면을 상기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 output unit,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object when the recognizable objec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part; A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moveme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guide screen on a screen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input / output unit is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의 위치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가이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로컬 키 입력 및 연결 단자 확인이 편리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guide screen for confirming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local key or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so that the local key input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dentification can be made convenient.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 단자의 연결 상태뿐만 아니라, 연결된 기기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isplay not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ut also the contents of the connected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grasp the connection state.
한편,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불필요한 디스플레이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screen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display.
또한,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terfac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영상표시기기에 실장된 로컬 키 및 연결 단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가이드 OSD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가이드 OSD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영상표시기기가 가이드 OSD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사용자의 제스처를 판단하여 가이드 OSD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의 방법에 따라 영상표시기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제스처에 따른 가이드 OSD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른 제스처와 가이드 OSD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연결 단자에 연결된 장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고,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방법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가 연결 상태의 변경을 감지하여 OSD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방법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local key and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a video display devic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guide OSD by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a guide OS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vely displaying the guide OS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guide OSD by determining a gestur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guide OSD according to a gesture by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 gesture and guide OSD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d reproducing content information of a device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pdating an OSD by detecting a change in a connection st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the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block diagrams herein represent conceptual views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of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depicted in the processor or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explicit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as hardware capable of running software,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for example, a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The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ternet function, Or an interface tha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a space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Also,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by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Therefor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d or delete various applications,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배면에 위치한 로컬 키와 연결 단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location of a local key and a connection terminal located on the back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센서부(110), 가이드 화면 생성부(120),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영상처리부(160), 제어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장착되는 입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표시기기(100)의 입출력을 위해 장착되는 여러 가지 수단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출력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서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 센서부(11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장칙된 연결 단자부(20)와, 로컬 키 입력을 위한 로컬 키 입력부(10)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입출력 수단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을 입출력 수단의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방송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따라서, 방송 인터페이스부(130)는 튜너(미도시), 복조부(미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튜너는, 연결 단자부(20)에 포함된 안테나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The tuner selects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connected through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한편,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uner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복조부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Also, the demodulation unit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performs COD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for example. Further, the demodulation unit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ion unit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can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the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may be input to 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연결 단자부(20)에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연결 단자부(20)와 연결되며,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rnal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할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Also, the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로컬 키 입력부(10)와 연결되어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거리 센서, 위치 센서, 움직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거리, 위치 또는 움직임에 의한 제스처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싱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 OSD 화면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OSD 생성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한편,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가이드 화면 생성부(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가이드 화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화면은 사용자에게 영상표시기기(10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On Screen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이드 화면은 영상표시기기(100)의 OSD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화면 생성부(120)는 실시 예에 따라서 OSD 생성부(120)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 표시되는 가이드 화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의 동작 방식에 대하여도 후술할 것이다.The guide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 OSD 생성부(12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OSD 또는 OSD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OSD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OSD 화면은, 영상표시기기(100)의 입출력 수단, 예를 들어 로컬 키 입력부 또는 연결 단자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OSD 화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SD screen generated by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OSD 화면은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일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guide OSD screen may be a local key guide OSD screen or a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screen.
로컬 키 가이드 OSD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장착된 로컬 키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키 가이드 OSD는 로컬 키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로컬 키 가이드 OSD는 로컬 키의 가상 이미지와 함께 해당 로컬 키의 기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키의 각 기능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로컬 키의 가상 이미지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e local key guide OSD may include a virtual image of the local key mounted on the
연결 단자 가이드 OSD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연결 단자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연결 단자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단자 가이드 OSD는 배면에 배치된 연결 단자를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may be display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연결 단자 가이드 OSD는 상술한 연결 단자부(20)에 포함된 안테나 연결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및 이더넷(Ethernet)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상 이미지들은 각 단자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면에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이에 대응되는 후면에 각 단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includes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 virtual image of at least one of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an Ethernet terminal. Each virtual image may correspond to a location where each terminal is mounted. Accordingly, when the virtual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또한,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을 각 단자가 장착된 위치 또는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로컬 키 입력부(10) 또는 연결 단자부(20)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표시기기(100)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센서부(110)의 거리 센서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측정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센서부(110)를 제어하고,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연결 단자 또는 로컬 키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10)는 거리 센서를 활성화 하고, 움직임 센서는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움직임 센서도 함께 활성화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높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에만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사용자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영상은 음영 처리하고, 가이드화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from the
한편, 제어부(170)는, 튜너, 복조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제어부(170)는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에 기초하여 OSD 생성부(120)를 통해 OSD 형태로 생성된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화면을 영상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며, 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의 포맷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와, 스케일링된 영상 신호와 가이드 화면을 혼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센서부(11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여 측정한다(S100).Referring to FIG. 3, the
센서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이를 위하여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광전형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전압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측정된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110),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센서부(110)를 제어한다(S120).Th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배면 또는 측면에 위치한 로컬 키 입력부(10)를 조작하거나, 연결 단자부(20)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표시기기(10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에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can access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다양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10)가 측정한 사용자의 움직임은 제어부(170)가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될 수 있다.The
이후,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OSD 생성부(120)를 통해 가이드 OSD를 생성한다(S130). Thereafter, the
가이드 OSD는 상술한 로컬 키 가이드 OSD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OSD는 로컬 키 입력부(10) 또는 연결 단자부(20)가 실장된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OSD를 통해 로컬 키의 위치 또는 연결 단자의 위치와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 상태를 가이드 OSD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어부(170)는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OSD 생성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OSD 생성부(120)는 제어부(170)를 통해 전달받은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각 단자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할 수 있다.The guide OS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local key guide OSD or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The guide OSD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oc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 중 어느 쪽에 접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판단하고, OSD 생성부(120)가 로컬 키 가이드 OSD를 생성할지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연결 단자부(20)에 대응되는 위치값과 로컬 키 입력부(10) 위치값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연결 단자부(20)의 위치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20)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생성된 가이드 OSD를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40).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가이드 OSD에 스케일링, 영상 혼합등의 영상 처리를 하여 가이드 OSD 화면을 생성하고, 적절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n,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OSD 화면은 각 가이드 OSD의 특성에 따라 로컬 키 가이드 OSD인 경우, 로컬 키의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연결 단자 가이드 OSD인 경우, 연결 단자의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OSD screen can be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cal key in the case of the local key guide OS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uide OSD.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Can be displayed to correspond.
도 4 및 도 5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and FIG.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도 4와 같이, 영상표시기기(100)는 다양한 센서부(1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2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일반적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4, the
그러나, 도 5와 같이 사용자(200)가 영상표시기기(100)에 일정 거리 이내 접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131) 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132)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132)은 각 연결 단자의 실장 위치 및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131)은 각 로컬 키의 실장 위치 및 각각의 로컬 키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5,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먼저, 센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한다(S200).First, the
이후, 제어부(170)는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하였는지 판단한다(S210).Thereafter, the
그리고,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S220). 센싱된 사용자의 움직임은 사용자 위치의 이동 정보, 움직임 방향 정보, 근접 센서에 의한 위치 정보, 제스처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use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ser's motion is sensed (S220). The motion of the sensed user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position,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by the proximity sensor, and gesture information.
다음, 제어부(170)는 이와 같은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로컬 키 표시 모드 또는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진입한다(S230, S240).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움직임이 로컬 키를 입력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응되는 경우, 로컬 키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움직임이 연결 단자 표시 모드에 대응되는 경우,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연결 단자부(20) 또는 로컬 키 입력부(10) 중 어느 하나에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 모드 판단을 위해 사용자 움직임으로부터, 이동 정보, 위치 정보, 방향 정보, 제스처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Next, the
그리고, 로컬 키 표시 모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70)는 로컬 키 가이드 OSD를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0)를 제어한다(S235). 그리고, 제어부(170)는 생성된 로컬 키 가이드 OSD에 대한 영상 처리를 거쳐, 로컬 키의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37).If the local key display mode is determined, the
한편,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0)를 제어한다(S250). 그리고, 제어부(170)는 생성된 연결 단자 가이드 OSD에 대한 영상 처리를 거쳐, 연결 단자의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6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display mode is selected,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센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고(S300), 제어부(170)는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하였는지 판단하며(S310),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S320).Referring to FIG. 7, first, the
이후, 제어부(17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사용자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한다(S330). 제어부(17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100)를 기준으로 어디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사용자 위치는 영상표시기기(100)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된 특정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가 로컬 키 입력부(10) 주변인지 또는 연결 단자부(20) 주변인지를 판단한다(S340, S350).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상술한 특정 좌표 정보를 추출하고, 기 설정된 로컬 키 입력부(10)의 실장 좌표 정보와 연결 단자부(20)의 실장 좌표 정보와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로컬 키 입력부(10) 또는 연결 단자부(20) 중 어느 하나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사용자가 로컬 키 입력부(10) 주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70)는 로컬 키 가이드 OSD를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0)를 제어한다(S34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located around the local
한편, 연결 단자부(20) 주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하도록 OSD 생성부(120)를 제어한다(S36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생성된 가이드 OSD에 대한 영상 처리를 거쳐, 로컬 키 입력부(10) 또는 연결 단자부(20)의 실장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70).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위치에 따라 가이드 OSD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display of a guide OSD screen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의 배면에는 일측에 로컬 키 입력부(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측에 연결 단자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로컬 키 입력부(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좌측에 연결 단자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이며 각 연결 단자부(20)와 로컬 키 입력부(10)의 위치 및 배치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ocal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100)는 사용자(200)가 접근하더라도 연결 단자부(20) 또는 로컬 키 입력부(10)에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이드 OSD 화면이 아닌 일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컬 키 입력부(10) 주변으로 접근하는 경우,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13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로컬 키의 위치와 기능을 파악하고 입력할 수 있게 된다.8A, when the
도 9(a)는 도 8(a)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은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 단자부(10) 주변으로 접근하는 경우,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13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을 통해 연결 단자의 위치 및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 또는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가이드 OSD 화면만을 볼 수 있게 되고, 불필요한 가이드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g. 9 (a) illustrates a situ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 However, as shown in FIG. 9 (b),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70)는 로컬 키 표시 모드 또는 연결 단자 표시 모드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설정한다(S400). 제스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 제조시에 기 설정될 수도 있다. 제스처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동작 센서 또는 위치 인식 센서 등을 통하여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이후, 센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고(S410), 제어부(170)는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하였는지 판단하며(S420),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S430).Thereafter,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로컬 키 표시 제스처 또는 연결 단자 표시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S440). 제어부(170)는 로컬 키 표시 모드 또는 연결 단자 표시 모드에 대응되는 제스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스처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스처와 기 저장된 제스처와 비교판단하여 로컬 키 표시 제스처 또는 연결 단자 표시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n, the
이후, 제어부(170)는 판단된 제스처에 따라 로컬 키 표시 모드 또는 연결 단자 표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진입한다(S450). 그리고, 해당 표시 모드에 따른 가이드 OSD를 생성하고, 적절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S460). 표시 모드 진입과 가이드 OSD 생성 및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도 11 및 도 12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가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해당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도 11(a)와 같이, 사용자가 근접하더라도, 특별한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영상표시기기(100)는 가이드 OSD 화면 없이 일반 수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손을 움직임으로써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로컬 키 표시 제스처에 대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스처에 대응되는 로컬 키 가이드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 when there is no special movement even if the user is close to the user, the
또한, 도 12(a)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스처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 OSD화면 없는 일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2(b)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손을 움직이는 것을 센서부(110)가 센싱하고, 센싱된 움직임이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에 대응되는 제스처인 경우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이 적절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Also in Fig. 12 (a),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does not correspond to the gesture, it indicates that the guide OSD screen-free general image is displayed. When the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스처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Figures 13-16 illustrate how a user sets a ges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스처 설정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S500).First,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스처 설정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제스처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수신한다(510). 제스처 입력 화면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제어부(170)는 사용자(200)가 적절한 움직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센서부(110)를 통해 센싱되고 있는 현재 사용자(200)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200)의 움직임을 참고로 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이후, 제어부(170)는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가이드 OSD를 선택한다(S520). 제어부(170)는 도 15와 같이, 가이드 OSD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 화면을 통해 제스처에 대응되는 가이드 OSD를 선택할 수 있다. 가이드 OSD 선택 화면은 예를 들어, 로컬 키 또는 입력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 확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530). 선택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제스처 입력 과정으로 되돌아가거나, 제스처 설정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선택 확인 화면은 도 1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와 이에 대응되도록 선택된 가이드 OS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n,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설정이 확인된 경우 입력된 제스처와 선택된 가이드 OSD를 대응되도록 설정하고, 설정을 저장한다(S540). 이와 같이 저장된 제스처는 제스처 설정 이후 사용자의 움직임이 로컬 키 표시 모드 또는 연결 단자 표시 모드 중 어느 모드의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f the setting is confirmed, the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17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먼저 연결 단자 표시 모드에 진입한다(S600). 제어부(170)는 도 6, 도 7 또는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에 기초하여 연결 단자 표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의 연결 상태 변경에 따라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100)와 타 기기를 연결 한 경우에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이후,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610).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신호의 형식을 확인하고, 어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의 변화에 따라 직접적으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확인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확인된 연결 상태에 따라 OSD 생성부(120)를 통해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를 연결 단자부(20)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620). 연결 단자 가이드 OSD는 연결 단자부(20)의 배치 및 연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에 연결된 기기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630). 제어부는 연결 단자부(20)로부터 직접 신호를 받아 판단하거나,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정보, 재생 중인 영상에 대한 정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그리고, 컨텐츠가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확인된 컨텐츠 정보를 해당 연결 단자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S640). 확인된 컨텐츠 정보는 연결 단자 OSD 화면의 각 연결 단자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와 함께 표시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연결 단자를 통해 어떠한 기기가 연결되었으며 어떤 컨텐츠가 전송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If the content is confirmed, 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650).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를 통해 연결된 기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MI 단자의 경우, 제어부(170)는 연결된 기기의 컨텐츠 재생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연결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거나, 연결 단자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컨텐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데, 제어부(170)는 상술한 HDMI단자가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된 HDMI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컨텐츠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컨텐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660). 컨텐츠 인터페이스 화면은 연결된 기기의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 화면은 컨텐츠 재생을 위한 재생 메뉴, 상세 정보 메뉴, 미리 보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ntent interface is available,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컨텐츠 컨트롤 신호를 해당 연결 기기에 전송한다(S6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메뉴를 선택 입력한 경우, 제어부(170)는 이에 따른 재생 제어 신호를 연결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컬 키, 리모컨 또는 센서부(11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제어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연결 기기는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연결 기기의 동작에 따른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f there is a user input on the content interface screen, the
도 18은 도 17의 흐름도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도 18과 같이,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표시 모드로 진입한 경우,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표시하고, 해당 연결 기기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when the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HDMI장치, USB장치 및 안테나선이 연결되어 있음을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가이드 OSD 화면에는 HDMI 단자, USB 단자 및 안테나 단자의 가상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연결된 USB장치의 용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USB 장치 내에 재생 가능한 동영상의 목록 및 미리보기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각 동영상의 형식 및 재생 시간 정보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The
또한,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제어부(170)는 연결된 HDMI기기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재생 버튼, 미리보기 버튼과 같은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가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0은 이에 따른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pdating 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연결 단자 표시 모드로 진입한다(S700).Referring to FIG. 19, first,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710).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거나, 연결 단자부(20)의 각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각 단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확인된 연결 상태에 따라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OSD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하고, 영상 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720).Then, the
이후, 제어부(170)는 연결 상태에 변경이 있는지 판단한다(S730). 제어부(17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연결 상태에 변경이 있는지 체크하여 그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연결 상태의 변경을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연결 단자부(20)에서 전송되는 연결 단자 변경 신호에 따라 연결 상태의 변경을 감지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연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OSD 생성부(120)를 통하여 연결 상태 변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740),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업데이트한다(S7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status has been changed, the
도 20과 같이, 연결 상태 변경 알림 메시지는 연결된 기기, 예를 들어 HDMI 4번 포트에 연결된 기기의 화면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기 연결 후 한 번의 선택만으로도 연결된 기기로 화면 전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0, the connection status chang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a menu screen for inquiring whether to switch the screen of a connected device, for example, a device connected to the
그리고,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OSD 생성부(120)는 연결된 기기를 화살표로 표시하고,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연결 단자 가이드 OSD를 생성함으로써, 최근 사용자가 연결한 기기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방금 연결한 기기가 정확히 연결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0, the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결 단자 가이드 OSD 화면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최근 연결한 기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빠른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OSD screen update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recently connected device, and the screen switching is performed quickl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되는 가이드 화면에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 위치한 입출력 단자로서,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의 가상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화면은 각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움직임이 센싱되는 객체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1 및 도 22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21 and 2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사용자의 손(200)을 객체로 하여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의 손(200)의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 또는 제스처에 따라, 상단 가이드 화면(133), 측면 가이드 화면(134) 또는 하단 가이드 화면(135)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손(200)의 움직임이 영상표시기기(100)의 상단에 장착된 연결 단자 또는 로컬 키에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단 가이드 화면(133)을 연결 단자 또는 로컬 키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손(200)의 움직임이 영상표시기기(100) 측면에 장착된 연결 단자 또는 로컬 키에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측면 가이드 화면(134)을 이에 대응되는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손(200)의 움직임이 영상표시기기(100) 하단에 장착된 연결 단자 또는 로컬 키에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하단 가이드 화면(134)을 이에 대응되는 하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도 21에서, 각 가이드 화면은 입출력 단자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며, 입출력 단자는 연결 단자로서, 이어폰 단자, HDMI단자 또는 Micro USB 단자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로컬 키로서 볼륨업, 볼륨 다운, 전원 또는 잠금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입출력 수단을 로컬 키 또는 연결 단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가이드 화면을 통하여 각 입출력 수단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Fig. 21, each guide screen includes a virtual image for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may be a connection terminal and may include a virtual image of an earphone terminal, an HDMI terminal or a Micro USB terminal, Down, power, or lock key.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input / output means to a local key or a connection terminal as an embodiment. The user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each input / output means through the guide screen.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1과 다른 내용은 동일하나, 움직임 센싱하는 객체가 사용자의 손가락(200)인 것이 차이가 있다. 도 21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손(200)의 움직임을 근접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22 shows an operation method of the
그러나, 도 22에서는 제어부(170)가 사용자 손가락(200)의 움직임을 근접 센서, 카메라 센서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를 통하여도 검출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터치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손가락(2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경우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가이드 화면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이드 화면 표시를 위한 손가락 제스처를 터치 스크린 입력을 통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However, in FIG. 22, th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a RAM, a CD -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인식 가능한 객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입출력 수단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가이드 화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이드 화면을 상기 입출력 수단이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1 위치에 장착된 로컬 키, 및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2 위치에 장착된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상기 제1 위치로 근접하는 것으로 센싱되면, 상기 로컬 키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로컬 키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상기 제2 위치로 근접하는 것으로 센싱되면, 상기 연결 단자의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로컬 키 가이드 화면을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연결 단자 가이드 화면을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A video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input / output means,
A sensor unit for sensing movement of the object when the recognizable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movement;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guide screen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at which the input / output unit is mounted,
Wherein the input /
A local key mount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Wherein the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comprises:
A local key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local key is generated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sensed as coming close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nsor unit,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sensed as being close to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sensor unit, a connection terminal guide screen including a virtual image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generated,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ocal key guide screen to correspond to the first position or displays the connection terminal guide scree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가이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guide screen according to the guide screen display mod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movement.
상기 가이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으로부터 인식된 제스처와 대응되는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화면을 생성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determines a guide screen display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from the sensed movement and generates the guid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guide screen display mode.
상기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는 로컬 키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 또는 입력 단자 가이드 화면 표시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영상표시기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screen display mode is at least one of a local key guide screen display mode and an input terminal guide screen display mod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수단이 상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단자에 연결된 장치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a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based on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input / output means includes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장치가 제어 가능한 경우 상기 연결된 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ontrol interface of the connected device when the connected device is controlla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표시기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reproduces the content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control interface.
상기 가이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입출력 수단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가이드 화면을 업데이트 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screen generating unit determines a connection state of the input / output means and updates the guide screen when the connection state is changed.
상기 로컬 키 가이드 화면은 상기 로컬 키의 가상 이미지 및 상기 로컬 키에 대응되는 기능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키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l key guide screen includes a virtual image of the local key and text information o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l key,
And a local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cal key based on the sensed mov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1825A KR101938883B1 (en) | 2012-03-02 | 2012-03-02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1825A KR101938883B1 (en) | 2012-03-02 | 2012-03-02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0541A KR20130100541A (en) | 2013-09-11 |
KR101938883B1 true KR101938883B1 (en) | 2019-04-10 |
Family
ID=4945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1825A KR101938883B1 (en) | 2012-03-02 | 2012-03-02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8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8184B1 (en) | 2016-07-25 | 2024-05-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EP4421595A1 (en) | 2023-02-27 | 2024-08-28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Control unit and method for depicting a position of a connector recepta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8146A (en) * | 2000-02-23 | 2001-08-31 | Sony Corp | Video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7827B1 (en) * | 2008-08-28 | 2015-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of guiding input-signal for display |
KR20110072981A (en) * | 2009-12-23 | 2011-06-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10130955A (en) * | 2010-05-28 | 2011-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2012
- 2012-03-02 KR KR1020120021825A patent/KR10193888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8146A (en) * | 2000-02-23 | 2001-08-31 | Sony Corp | Video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0541A (en) | 2013-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5070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388082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700793B1 (en) | Display device | |
KR10122003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 |
KR102349861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 |
CN102957956B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KR20120054743A (en) |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voice and gesture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 |
US10063802B2 (en) |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 |
US20110304539A1 (en) |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051209A (en) |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image in multimedia device and thereof | |
US11132886B2 (en) | Display device | |
KR20160060846A (en) |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 |
KR101938883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114405A (en) |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it | |
KR101572842B1 (en) | Operating a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1599738B1 (en) |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 |
KR102334860B1 (en) |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99271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by using remote controller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 |
KR20160009415A (en) |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haring ccontents with external input appatatus | |
KR20140000928A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KR101828399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 |
KR102108064B1 (en) |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119133A (en) |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 |
KR101596673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KR20130070280A (en) | Remote controll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