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29B1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829B1 KR101938829B1 KR1020180034099A KR20180034099A KR101938829B1 KR 101938829 B1 KR101938829 B1 KR 101938829B1 KR 1020180034099 A KR1020180034099 A KR 1020180034099A KR 20180034099 A KR20180034099 A KR 20180034099A KR 101938829 B1 KR101938829 B1 KR 101938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learning
- neural network
- sea
- occurre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프로세서는 획득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짙은해무, 보통해무 또는 비해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짙은해무 또는 보통해무로 구분된 전처리 데이터를 해무자료로 설정하고, 설정된 해무자료를 예측하려는 시간으로 소정의 시간만큼 시간이동한 후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초기학습을 수행하고, 초기학습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된 획득된 데이터를 제거하여 해무자료를 재구성하며, 재구성된 해무자료를 이용하여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도록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딥 뉴럴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 이하 DNN)에서 수행되는 연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 가중치 분석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그래프의 예시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한 해무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해무예측 결과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이다.
Obs. ID | Observation time | Prediction time | Seafog | Thin seafog |
Thick seafog |
해운대 | 2017-12-06 14:00 | 2017-12-06 17:00 | 0 | 0 | 0 |
해운대 | 2017-12-06 14:00 | 2017-12-06 20:00 | 60 | 0 | 100 |
해운대 | 2017-12-06 14:00 | 2017-12-07 02:00 | 0 | 100 | 0 |
인천항 | 2017-12-06 14:00 | 2017-12-06 17:00 | 0 | 0 | 0 |
인천항 | 2017-12-06 14:00 | 2017-12-06 20:00 | 80 | 13 | 87 |
인천항 | 2017-12-06 14:00 | 2017-12-07 02:00 | 0 | 0 | 0 |
Claims (7)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에서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짙은해무, 보통해무 또는 비해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상기 짙은해무 또는 상기 보통해무로 구분된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해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려는 시간으로 시간이동을 수행한 후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초기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초기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된 상기 학습 데이터 중 일부 학습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학습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재구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도록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뉴럴 네트워크는 1차 뉴럴 네트워크 및 2차 뉴럴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데이터를 제 1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해무 상태 또는 비해무 상태를 제 1 출력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출력 값 중에서 상기 해무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제 2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짙은해무 상태 또는 보통해무 상태를 제 2 출력 값으로 산출하는 것인,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상기 데이터는, 기온, 수온, 해기차(기온-수온), 풍향, 풍속, 강우량, 습도, 이슬점온도, 일사량, 일조량, 시정거리, 조위, 파고, 파향, 파주기, 미세먼지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서 이상 값을 제거한 후, 선형 보간법 및 역거리 가중치법을 적용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학습 데이터에 오버샘플링(oversampl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뉴럴 네트워크를 구동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짙은해무, 보통해무 또는 비해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상기 짙은해무 또는 상기 보통해무로 구분된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예측하려는 시간으로 소정의 시간만큼 시간이동한 후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초기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초기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된 상기 학습 데이터 중 일부 학습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학습 데이터를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도록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뉴럴 네트워크는 1차 뉴럴 네트워크 및 2차 뉴럴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데이터를 제 1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해무 상태 또는 비해무 상태를 제 1 출력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출력 값 중에서 상기 해무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제 2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짙은해무 상태 또는 보통해무 상태를 제 2 출력 값으로 산출하는 것인,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 -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가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단계들은: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짙은해무, 보통해무 또는 비해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상기 짙은해무 또는 상기 보통해무로 구분된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 데이터에 대해,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려는 시간으로 시간이동을 수행한 후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초기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초기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된 상기 학습 데이터 중 일부 학습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학습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도록 상기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뉴럴 네트워크는 1차 뉴럴 네트워크 및 2차 뉴럴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데이터를 제 1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1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해무 상태 또는 비해무 상태를 제 1 출력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출력 값 중에서 상기 해무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제 2 입력 값으로 수신하여 상기 2차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결과로서 짙은해무 상태 또는 보통해무 상태를 제 2 출력 값으로 산출하는 것인, 어플리케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099A KR101938829B1 (ko) | 2018-03-23 | 2018-03-23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099A KR101938829B1 (ko) | 2018-03-23 | 2018-03-23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8829B1 true KR101938829B1 (ko) | 2019-01-16 |
Family
ID=6528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4099A Active KR101938829B1 (ko) | 2018-03-23 | 2018-03-23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829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358B1 (ko) * | 2019-10-22 | 2020-03-02 | (주)한국해양기상기술 | 고해상도 기상기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 및 테스트 방법,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
KR102122168B1 (ko) * | 2020-01-08 | 2020-06-11 | (주)유에스티21 | 해무 소산 예측 모델 학습 방법 선택 장치, 해무 소산 예측 모델 학습 방법 선택 방법, 해무 소산 예측 장치 및 해무 소산 예측 방법 |
CN112268312A (zh) * | 2020-10-23 | 2021-01-26 | 哈尔滨派立仪器仪表有限公司 | 一种基于深度学习的智慧供热管理系统 |
KR102220748B1 (ko) * | 2019-12-17 | 2021-02-26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딥러닝을 이용한 수온시계열 예측자료의 미래시점 자료동화를 통한 해양예측 시스템 |
KR102248963B1 (ko) * | 2020-06-23 | 2021-05-06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해무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
CN114386489A (zh) * | 2021-12-23 | 2022-04-22 | 宁波市气象服务中心 | 基于深度卷积神经网络的海雾实时反演模型的构建方法 |
CN114511061A (zh) * | 2021-12-29 | 2022-05-17 | 青岛市气象台 | 基于深度神经网络的岸滨地区海雾能见度预报方法 |
CN114791637A (zh) * | 2021-01-26 | 2022-07-26 | 厦门龙辉芯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海雾测报方法及系统 |
CN115271062A (zh) * | 2022-06-14 | 2022-11-01 | 宁波市气象服务中心 | 基于深度卷积神经网络模型的海雾能见度预报方法与系统 |
KR102460705B1 (ko) * | 2021-08-31 | 2022-11-03 | (주)유에스티21 |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촬영영상을 이용한 해무 판별 방법 및 그 장치 |
KR20230088146A (ko) | 2021-12-10 | 2023-06-1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일기도 기반의 해무 예측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03-23 KR KR1020180034099A patent/KR101938829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Culclasure, Andrew. "Using neural networks to provide local weather forecasts.", Georgia Southern University, 2013.* * |
Fabbian, Dustin, Richard de Dear, and Stephen Lellyett.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ecasts to predict fog at Canberra International Airport." Weather and forecasting 22.2, 2007.* *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358B1 (ko) * | 2019-10-22 | 2020-03-02 | (주)한국해양기상기술 | 고해상도 기상기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 및 테스트 방법,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
KR102220748B1 (ko) * | 2019-12-17 | 2021-02-26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딥러닝을 이용한 수온시계열 예측자료의 미래시점 자료동화를 통한 해양예측 시스템 |
KR102122168B1 (ko) * | 2020-01-08 | 2020-06-11 | (주)유에스티21 | 해무 소산 예측 모델 학습 방법 선택 장치, 해무 소산 예측 모델 학습 방법 선택 방법, 해무 소산 예측 장치 및 해무 소산 예측 방법 |
KR102248963B1 (ko) * | 2020-06-23 | 2021-05-06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해무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
CN112268312A (zh) * | 2020-10-23 | 2021-01-26 | 哈尔滨派立仪器仪表有限公司 | 一种基于深度学习的智慧供热管理系统 |
CN114791637A (zh) * | 2021-01-26 | 2022-07-26 | 厦门龙辉芯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海雾测报方法及系统 |
CN114791637B (zh) * | 2021-01-26 | 2024-04-16 | 厦门龙辉芯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海雾测报方法及系统 |
KR102460705B1 (ko) * | 2021-08-31 | 2022-11-03 | (주)유에스티21 |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촬영영상을 이용한 해무 판별 방법 및 그 장치 |
KR20230088146A (ko) | 2021-12-10 | 2023-06-1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일기도 기반의 해무 예측 장치 및 방법 |
CN114386489A (zh) * | 2021-12-23 | 2022-04-22 | 宁波市气象服务中心 | 基于深度卷积神经网络的海雾实时反演模型的构建方法 |
CN114511061A (zh) * | 2021-12-29 | 2022-05-17 | 青岛市气象台 | 基于深度神经网络的岸滨地区海雾能见度预报方法 |
CN115271062A (zh) * | 2022-06-14 | 2022-11-01 | 宁波市气象服务中心 | 基于深度卷积神经网络模型的海雾能见度预报方法与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8829B1 (ko) | 해무의 발생을 예측하는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장치 | |
US12293288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data preprocessing and augmentation for neural network climate forecasting models | |
Fan et al. | Deep learning-based feature engineering methods for improved building energy prediction | |
US1090944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global climate simulation models for training neural network climate forecasting models | |
US12204068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limate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
Pathak et al. | Fourcastnet: A global data-driven high-resolution weather model using adaptive fourier neural operators | |
Zrira et al. | Time series predic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based on BiLSTM model with attention mechanism | |
Zhang et al. | A neural network framework for fine-grained tropical cyclone intensity prediction | |
JP6679086B2 (ja) | 学習装置、予測装置、学習方法、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Nkiaka et al. | Using self-organizing maps to infill missing data in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from the Logone catchment, Lake Chad basin | |
US20220327335A1 (en) | Controlling asynchronous fusion of spatio-temporal multimodal data | |
Chen |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coastal wave height during typhoon warning period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 |
Berghout et al. | Auto-NAHL: A neural network approach for condition-based maintenance of complex industrial systems | |
Babovic et al. | From global to local modelling: a case study in error correction of deterministic models | |
Chen et al. | Short‐term wind speed forecasting study and its application using a hybrid model optimized by cuckoo search | |
Varalakshmi et al. | Tropical cyclone intensity prediction based on hybrid learning techniques | |
Naimi | On uncertainty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 |
Alex et al. | A method for weather forecasting using machine learning | |
CN117709732B (zh) | 结合气象监测数据的农业灾害报告生成方法及系统 | |
Yalçın | Weather parameters forecasting with time series using deep hybrid neural networks | |
Nath et al. |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prediction using unique hybrid deep learning algorithm | |
CN115759291A (zh) | 一种基于集成学习的空间非线性回归方法及系统 | |
da Silva et al. | Machine learning models applied to estimate the water temperature of rivers and reservoirs | |
Yu et al. | Bagg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 Generic Computing Framework Based on Machine-Learning algorithms for Regional Rainfall Forecasting in Upstate New York. Informatics 2021, 8, 47 | |
Mahmood | Rainfall prediction in Australia: Clusterwise linear regression approa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