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653B1 -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653B1
KR101938653B1 KR1020180097797A KR20180097797A KR101938653B1 KR 101938653 B1 KR101938653 B1 KR 101938653B1 KR 1020180097797 A KR1020180097797 A KR 1020180097797A KR 20180097797 A KR20180097797 A KR 20180097797A KR 101938653 B1 KR101938653 B1 KR 10193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ture
image
area
extrac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형
Original Assignee
남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형 filed Critical 남윤형
Priority to KR102018009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K9/00402
    • G06K9/344
    • G06K9/46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계약서에 직접 서명하지 않고, 서명용지에 서명을 하더라도, 이를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 간단히 촬영하여 해당 영상 내에서 서명에 해당하는 영역만 인식하여 이를 계약서 등이 부가하여 효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서명영상 추출부,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부 및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명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명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gnatur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 사용자가 계약서 등에 서명할 때에, 계약서에 직접 서명을 하지 않고, 서명영역이 인쇄된 용지에 서명을 하고 이를 촬영하기만 하여도 왜곡 없는 서명 영상을 필요한 계약서에 합성하여 계 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서명은 도장날인을 포함하고 왜곡이 없다는 것은 실물크기 인식을 포함한다).
여러 주체들 사이에서 계약할 일이 많아지면서, 계약서에 도장을 찍거나 서명을 해서 보관해야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계약서를 인쇄하여 날인하고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태블릿 등을 이용하여 서명을 하고 전자문서 형태로 저장하는 등의 기술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자문서 형태로 저장하는 경우는 터치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장을 날인할 수 없고 서명만이 가능하며, 애초에 계약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준비가 되어, 사용자의 서명이 해당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선행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629418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와 스캔용지를 이용한 실물크기 스캔 시스템 및 방법"은 스캔용지에 도장 등을 날인하면, 이를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날인한 도장 등의 이미지를 추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날인된 도장 형상 등의 필요한 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스캔영역을 구분하고, 스캔영역을 구별해 내기 위하여 인식 패턴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어, 스캔용지가 복잡해지고, 서명이나 도장 날인시 스캔 영역을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이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서명정보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9418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서명 또는 날인 정보를 왜곡 없이 인식하여, 계약서 등의 서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서명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원래의 계약서 용지의 서명영역 부분을 인쇄한만으로도 필요한 서명 또는 날인 정보를 왜곡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서명 또는 날인하는 과정에서 서명영역을 일부 벗어나는 경우에도, 서명 또는 날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빠지지 않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명 또는 날인을 촬영한 시점의 시간 정보 및 공간 정보를 저장하여, 향후 계약서의 날인에 대한 진정성 여부에 대한 문제 발생시, 날인 시간과 장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은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서명영상 추출부,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부 및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명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명영역은 사각형 테두리 및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에 기재된 내용을 1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로 확장된 2차 서명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 및 2차 서명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서명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상기 1차 서명영상을 구성하는 선 중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만나는 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과 끊김 없이 이어진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상기 2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인접한 픽셀이 유사 색상 범위의 색을 가지는 경우, 끊김없이 이어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명 저장부는 상기 합성한 이미지를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서명 또는 날인 정보를 왜곡 없이 인식하여, 계약서 등의 서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서명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원래의 계약서 용지의 서명영역 부분을 인쇄한만으로도 필요한 서명 또는 날인 정보를 왜곡없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명 또는 날인하는 과정에서 서명영역을 일부 벗어나는 경우에도, 서명 또는 날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빠지지 않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명 또는 날인을 촬영한 시점의 시간 정보 및 공간 정보를 저장하여, 향후 계약서의 날인에 대한 진정성 여부에 대한 문제 발생시, 날인 시간과 장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인식하는 서명영역이 인쇄된 서명용지 및 최종 합성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서명영상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서명영역을 벗어나는 서명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저장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101)은 영상 획득부(110), 서명영상 추출부(120), 왜곡 보정부(130), 서명 저장부(140) 및 위치정보 수신부(1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인 시스템 내에서 그 기능적인 역할로 구분되어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획득부(110)는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용지는 사용자로부터 서명 또는 도장 날인을 받기 위한 종이로, 사용자가 직접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준비된 용지에 서명하면 이 내용을 추출하여 저장하여 계약서에 붙여 사용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CCD와 같은 이미지 획득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달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서명인식 시스템(101)은 쉽게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면,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용지에 서명하여 인쇄하는 것만으로 계약서에 실제 날인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에서 촬영하는 용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서명이 기재될 계약서 등의 서류에 포함되어 있는 서명영역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서명영역이 준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획득부(110)에서 촬영한 정보를 그대로 서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서명영상 추출부(120)는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한다. 영상 획득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은 사용자가 서명한 서명영상뿐 아니라, 주변의 다른 것들도 찍혀있을 가능성이 높고, 서명만 화면에 들어가도록 촬영해야 한다면 이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서명영상 추출부(120)에서는 서명영상이 포함되게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서명영역안에 있는 내용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서명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명영상 추출부(120)에서 확인하는 상기 서명영역은 사각형 테두리 및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그 내부 공란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명영상 추출부(120)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에 기재된 내용을 1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로 확장된 2차 서명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 및 2차 서명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서명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서명 또는 날인을 할 때, 사각형의 서명영역 내에 서명이 모두 포함되도록 작성하면 쉽게 인식할 수 있지만, 이를 강요하게 되면 사용자의 서명 또는 날인시 매우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따라서, 서명영역 내부에 기재된 서명 부분을 1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고, 테두리 외부에 있는 서명 부분을 2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여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명 또는 날인시 서명영역의 테두리를 잠시 벗어나는 경우에도 서명 또는 날인을 정확히 인식해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인식을 위해,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120)는 상기 1차 서명영상을 구성하는 선 중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만나는 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과 끊김 없이 이어진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상기 2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서명영상 추출부(120)에서 추출하는 서명의 경우, 사용자가 대부분 한붓그리기와 같은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서명영역 바깥으로 일부가 기재되는 경우에도, 서명영역 내부의 서명 부분과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도록 그려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서명영역 내부의 서영 부분이 사각형 테두리를 가로질러 외부로 연결되는 경우, 이 부분에 연결된 것을 모두 2차 서명영상으로 인식하게 되면, 서명영역이 정해져 있더라도, 이를 벗어나서 사용자가 편하게 서명을 해도 이를 서명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정확한 추출을 위해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120)는 인접한 픽셀이 유사 색상 범위의 색을 가지는 경우, 끊김없이 이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서명을 하거나 날인을 할 때, 펜의 색을 바꿔가면서 쓰거나, 인주의 색상을 바꾸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유사한 동일한 색상으로 이어지는 픽셀들은 서명 또는 날인의 일부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미지의 각 색상의 값들을 유사 영역끼리 그루핑하고, 이를 통해 유사영역이 서명영역 내부 및 외부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되면, 이어지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서명을 인식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색상을 유사 영역으로 그루핑하여 처리하는 것은 종래의 다양한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왜곡 보정부(130)는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 사용자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용지를 인쇄할 때, 용지면에서 90도로 직각으로 촬영 각도를 유지하면서 촬영하지 않는 이상, 종이에 인쇄되고 서명/날인된 내용이 그대로 찍히지 않고 왜곡되어 찍히게 된다. 여기서 추출한 서명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서명이 왜곡된 상태가 되어, 실제 서명과 동일한 서명으로 인식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왜곡 보정부(130)에서는 이와 같은 촬영 시점에서 발생되는 왜곡을 보정하는데, 이를 위해서,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서명영역이 캡쳐된 영상에서도 각 꼭지점이 90도를 이루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보정을 하고,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하게 되면 서명도 원래의 용지의 비율에 맞게 보정되어, 실제 사용자가 한 서명과 왜곡 없이 그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서명 저장부(140)는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한다. 서명 기재 대상 용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약서와 같은 문서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서명영역에 사용자가 직접 서명하지 않고도, 별도의 서명용지에 인쇄를 하는 것만으로 계약서 등에 직접 서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이미지는 서명 저장부(140)에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보안을 위해서 암호화 등의 절차를 거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명 저장부(140)는 상기 합성한 이미지를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용지에 서명하여 제출하는 형태로 시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향후 사인이나 날인의 진정성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진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논란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명 저장부(140)에서는 단순히 서명정보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서명을 기재하여 모바일 단말기 등의 기기로 촬영한 시점의 일시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를 유력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자동차 매장에서 특정일에 매매계약을 체결한 경우라고 한다면, 이 내용을 촬영하는 시점과 장소 정보가 저장되어, 해당 자동차 매장의 위치에서 해당일에 실제 서명한 내용을 고객 단말기로 직접 촬영하였음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계약의 진정성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150)는 이와 같이 서명정보를 인식하는 서명인식 시스템(101)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위치정보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서명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향후 서명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가장 간단하게는 GPS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계약 등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휴대전화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확인 기술이나, Wifi, 블루투스 비콘 등을 이용한 실내 측위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구체적인 측위 방법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인식하는 서명영역이 인쇄된 서명용지 및 최종 합성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제로 서명을 하는 용지(102)는 서명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서명 영역(210)이 인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는 어느 계약에 대해서 서명하는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향후 서명이 어느 계약에 대한 것인지를 명확히 할 수도 있고, 단순한 설명 형태로 기재될 수도 있다.
이처럼 용지(102)의 서명영역 이외의 부분을 설명 등을 위해 활용하면서도, 전체 용지(102) 내에서 실제 서명이 기재된 것만 정확히 추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서명 영역(210)에 기재한 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101)을 통해 인식되어 실제 계약서(201)의 서명 영역(220)에 부가되게 된다. 따라서, 두 당사자가 꼭 만나서 대면으로 서명이나 날인을 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서명용지(102)의 서명영역(210)과 계약서(201)의 서명영역(220)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하여, 실제 계약서에 서명한 것과 같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서명영상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 용지(102)에서 서명영역에 사용자가 서명을 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101)에서 서명영역만을 도출하여 서명을 취득하여 계약서 등에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서명영역 안쪽에 정확히 날인을 하거나 서명을 하는 경우에는 손쉽게 해당 영역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편하게 서명하는 경우 서명영역을 벗어나서 서명하게 되는 경우도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도 진짜 서명 부분을 인식하여 추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서명영역을 벗어나는 서명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명영역에 사용자가 서명을 하는데, 서명이 서명영역의 밖을 벗어나는 경우,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면 서명영역 내부의 서명만을 취득하기 때문에, 서명이 잘려서 제대로 계약서 작성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서명영역 내부에 기재된 서명 부분(410)을 1차서명으로 인식하고, 1차서명에서 선이 이어져서 서명영역의 사각형 테두리에 도달하는 부분에 대해서 사각형 영역의 외부로 이어지는 선들(420, 붉은 색으로 표시)을 2차 서명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서명 작성시 한붓그리기 형태로 서명이 이어져 작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부에서 선이 끊기지 않고 이어지는 부분(420)을 서명으로 인식하여 서명영역 내부의 1차서명과 이를 결합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명한 전체 영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서명영역을 제공하면서도, 이 사각형의 내부에 맞춰 서명을 하도록 하는 불편함 없이 사용자가 편하게 서명을 해도 이를 정확히 인식해 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에서 저장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시스템(101)에서는 서명한 내용뿐 아니라, 서명을 하여 촬영한 장소와 일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어느 장소에서 어느 일시에 서명한 내용인지를 추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서명한 당사자가 서명한 사실을 부인하거나 하는 경우, 실제 계약서에 날인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서명의 진정성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서명한 시점과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입증해 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간편하게 별도 용지에 서명하면서도,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계약서에 날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인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명인식 방법은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서명합성 시스템(101)에 적용되는 기술적인 설명을 그대로 적용하여 이해할 수 있다.
영상 획득 단계(S601)에서는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용지는 사용자로부터 서명 또는 도장 날인을 받기 위한 종이로, 사용자가 직접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준비된 용지에 서명하면 이 내용을 추출하여 저장하여 계약서에 붙여 사용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명영상 추출 단계(S602)에서는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한다. 영상 획득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은 사용자가 서명한 서명영상뿐 아니라, 주변의 다른 것들도 찍혀있을 가능성이 높고, 서명만 화면에 들어가도록 촬영해야 한다면 이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서명영상 추출 단계(S602)에서는 서명영상이 포함되게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서명영역안에 있는 내용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서명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곡 보정 단계(S603)는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 사용자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용지를 인쇄할 때, 용지면에서 90도로 직각으로 촬영 각도를 유지하면서 촬영하지 않는 이상, 종이에 인쇄되고 서명/날인된 내용이 그대로 찍히지 않고 왜곡되어 찍히게 된다. 여기서 추출한 서명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서명이 왜곡된 상태가 되어, 실제 서명과 동일한 서명으로 인식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왜곡 보정 단계(S603)에서는 이와 같은 촬영 시점에서 발생되는 왜곡을 보정하는데, 이를 위해서,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서명영역이 캡쳐된 영상에서도 각 꼭지점이 90도를 이루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보정을 하고,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하게 되면 서명도 원래의 용지의 비율에 맞게 보정되어, 실제 사용자가 한 서명과 왜곡 없이 그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위치정보 수신 단계(S604)는 이와 같이 서명정보를 인식하는 서명인식 시스템(101)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위치정보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서명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향후 서명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가장 간단하게는 GPS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계약 등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휴대전화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확인 기술이나, Wifi, 블루투스 비콘 등을 이용한 실내 측위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구체적인 측위 방법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서명 저장 단계(S605)는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한다. 서명 기재 대상 용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약서와 같은 문서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서명영역에 사용자가 직접 서명하지 않고도, 별도의 서명용지에 인쇄를 하는 것만으로 계약서 등에 직접 서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이미지는 서명 저장 단계(S605)에서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데 보안을 위해서 암호화 등의 절차를 거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명 저장 단계(S605)는 상기 합성한 이미지를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용지에 서명하여 제출하는 형태로 시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향후 사인이나 날인의 진정성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진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논란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명인식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101: 서명인식 시스템
110: 영상 획득부 120: 서명영상 출력부
130: 왜곡 보정부 140: 서명 저장부
150: 위치정보 수신부

Claims (11)

  1.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서명영상 추출부;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부; 및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명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명영역은
    사각형 테두리 및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에 기재된 내용을 1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로 확장된 2차 서명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 및 2차 서명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서명영상을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상기 1차 서명영상을 구성하는 선 중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만나는 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과 끊김 없이 이어진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상기 2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영상 추출부는
    인접한 픽셀이 유사 색상 범위의 색을 가지는 경우, 끊김없이 이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명 저장부는
    상기 합성한 이미지를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시스템.
  6. 영상 획득부에서 서명 기재 대상 용지의 서명영역과 동일한 서명영역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서명영역에 서명이 기재된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서명영상 추출부에서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서명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서명영역에 기재된 서명을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서명영상 추출 단계;
    왜곡 보정부에서 상기 서명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서명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 및
    서명 저장부에서 상기 왜곡이 보정된 서명영상을 상기 서명 기재 대상 용지 이미지의 서명영역에 합성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명 저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명영역은
    사각형 테두리 및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명영상 추출 단계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 내부의 공란에 기재된 내용을 1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로 확장된 2차 서명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1차 서명영상 및 2차 서명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서명영상을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영상 추출 단계는
    상기 1차 서명영상을 구성하는 선 중에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만나는 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과 끊김 없이 이어진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기 사각형 테두리 외부의 선을 상기 2차 서명영상으로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영상 추출 단계는
    인접한 픽셀이 유사 색상 범위의 색을 가지는 경우, 끊김없이 이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명 저장 단계는
    상기 합성한 이미지를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명인식 방법.
  11.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80097797A 2018-08-22 2018-08-22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97A KR101938653B1 (ko) 2018-08-22 2018-08-22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97A KR101938653B1 (ko) 2018-08-22 2018-08-22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653B1 true KR101938653B1 (ko) 2019-01-15

Family

ID=6503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97A KR101938653B1 (ko) 2018-08-22 2018-08-22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9380A (zh) * 2021-04-22 2021-07-2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签名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992A (ja) * 2013-08-15 2015-02-23 コニカ ミノルタ ラボラトリー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文字のストロークを保護しながら、文書画像中の下線およびテーブルラインを除去する方法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992A (ja) * 2013-08-15 2015-02-23 コニカ ミノルタ ラボラトリー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文字のストロークを保護しながら、文書画像中の下線およびテーブルラインを除去する方法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9380A (zh) * 2021-04-22 2021-07-2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签名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179380B (zh) * 2021-04-22 2022-04-0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签名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9556B (zh) Photographic objects, image processing programs,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JP4904426B1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US9619701B2 (en) Using motion tracking and image categorization for document indexing and validation
KR101938653B1 (ko) 서명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8654218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ing object used for same
JP5651221B2 (ja) シンボル片、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7076216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02925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5035070A (ja) 画像照合装置、画像照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1740B2 (ja) 撮像対象物
JP5140773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70133923A (ko) 비가시성 마크를 갖는 노트 및 이를 이용한 정보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140767B2 (ja) 撮像対象物
JP5140777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602926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602927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140774B2 (ja) 透明シート
JP5140772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3200803A (ja) 携帯端末、シンボル用シート、補助具、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7014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画像処理方法、および透明シート
JP2007235382A (ja) 帳票画像取得システム
JP201206908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JP2014007768A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30080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