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638B1 -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 Google Patents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638B1
KR101938638B1 KR1020170043493A KR20170043493A KR101938638B1 KR 101938638 B1 KR101938638 B1 KR 101938638B1 KR 1020170043493 A KR1020170043493 A KR 1020170043493A KR 20170043493 A KR20170043493 A KR 20170043493A KR 101938638 B1 KR101938638 B1 KR 10193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chair
pi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2425A (en
Inventor
이민철
정은동
안경섭
강현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638B1/en
Publication of KR2018011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 기능을 갖는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 기능을 갖는 의자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어깨끈이 구비된 시트; 시트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다리; 및 시트와 거리조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재난 발생시 어깨끈을 사용하여 시트를 등에 메면, 등받이 및 시트가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한 의자로서 기능하고, 재난 용품을 구비할 새로운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일상 생활에 자연스럽게 상비할 수 있으며,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from a disaster is disclosed.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from a dis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at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A leg join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at; And a backrest which is adjustable in distance from the seat.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backrest and the seat protect the head and the vertebrae of the user when the shoulder strap is used to put the backrest on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nction as a chair which is easy for a user to access easily in a normal situation, does not require a new storage place for disaster articles, can naturally stand up in daily life, And a chair having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spin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본 발명은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의자로서 기능하고, 재난 발생시에는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that functions as a chair in a home or an office in the normal times and protects the user's head and spine in the event of a disaster .

우리나라가 지진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래 현재까지 연평균 30회이상 지진이 발생하였고, 비교적 짧은 기록을 가지고 판단하다 보니 그동안 지진안전지대로 알려져 왔다. 1986년 이전까지 지진 발생 횟수가 적다는 것과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이유로 내진설계를 거의 하지 않았으며, 내진설계 의무규정이 1988년에서야 6층이상 연면적 10만㎡ 이상의 건축물 대상으로 도입되었다. 1995년에는 6층 이상, 1만㎡ 이상으로 확대된 뒤, 2005년부터는 3층 이상, 1,000㎡ 이상으로 확대 적용되었으며, 2015년 개정을 통해 3층 이상 500㎡ 이상인 모든 건축물에 대해 내진설계를 의무화했다.Since 1978, when Korea started earthquake observation, there have been 30 times more earthquakes per year and it has been known as a seismic safety zone since it is judged with a relatively short record. Since 1986, there were few earthquake occurrences and the earthquake - resistant design requirement was not introduced due to the high construction cost. In 1988, the requirement for seismic design was introduced to buildings with a floor area of more than 100,000 ㎡. In 1995, it expanded from more than 6 floors to more than 10,000 square meters. From 2005, it was expanded to more than 3 floors and more than 1,000 square meters. By 2015, seismic design was required for all buildings over 500 square meters did.

일반적으로, 지진이 나면 식탁이나 책상 밑으로 피해야 한다고 알고 있지만 이는 목조건물이 많은 일본에서나 가능한 지진 대피 요령이고, 콘크리트 건물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된 대피 방법이 아니다. 지진 및 재난 발생시, 재난용품을 챙겨,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머리를 보호하며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In general, I know that if an earthquake occurs, it should be avoided at the table or under the desk. However, this is a possible earthquake evacuation in Japan where wooden buildings are many, and it is not a proper evacuation method in Korea where many concrete buildings are built.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disaster, it is most important to get disaster supplies and quickly evacuate the building, protect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body, the head.

의자(chair)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이자 가구의 하나로 등받이, 시트 및 그것을 받쳐주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의자는 실생활 어디든 사용되고 있으므로, 위급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하다.A chair is usually a tool for a person to sit on, and one of the furniture is made up of a backrest, a seat and a leg that supports it. Since the chair is used anywhere in the real world, it is easy for the user to access when an emergency occur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0524호에는 구명대 일체형 의자가 개시되며, 등록특허공보 제1120524호는 시트를 포함하는 의자로, 시트의 적어도 일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부력체가 충진되는 구명대를 포함하고, 구명대는 말굽 형상의 테두리 영역; 및 테두리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고 테두리 영역에 대해 절첩되어 테두리 영역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접힘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20524 discloses a life chair integrated type chair,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20524 discloses a chair including a sea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region of the seat, Wherein the life span comprises a horseshoe-shaped rim area; And a plurality of folded regions formed inside the frame region and folded over the frame reg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inside the frame region.

등록특허공보 제1120524호는 의자를 구성하는 시트 또는 등받이에 구명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일반 의자와 같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반면 위급상황시에는 구명대를 시트 또는 등받이로부터 분리하여 몸에 착용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별도의 착탈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자동차, 항공기 또는 선박등에서 공간을 보다 넓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지진 및 재난 발생시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사용자 보호 의자는 없었다.Patent Document 1120524 discloses that a lifebuoy is detachably coupled to a seat or a backrest constituting a chair so as to provide a comfortable seating feeling to the user like a normal chair in a norm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n an emergency, the lifebuoy is separated from a seat or a backres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by wearing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spac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pace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in automobiles, airplanes or ships. However, the prior art did not have a user protection chair to protect the head and spin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disast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0524호 (등록일: 2012.02.2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20524 (registered on February 20,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상비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재난 용품을 구비할 새로운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발생하면 등받이 및 시트가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diaper which is easy to access and which does not require a new storage space for disaster articles, And a user protection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어깨끈이 구비된 시트; 상기 시트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다리; 및 상기 시트와 거리조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재난 발생시 상기 어깨끈을 사용하여 상기 시트를 등에 메면, 상기 등받이 및 시트가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seat comprising: a seat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A leg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at; And a backrest that is adjustable in distance from the seat, wherein, when a disaster occurs, the backrest and the seat protect the user's head and spine when the shoulder strap is used to rub the seat back do.

상기 시트는,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서로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t includes a main body defining the storage space; 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opening or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each other.

상기 본체에는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끼임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n inner surface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and a protrusion to be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g.

상기 시트에는 제2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pipe may be coupled to the seat, and a first pi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may be coupled to the seat.

상기 등받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보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플레이트와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1 파이프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거리가 멀어질 때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인출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역전시키는 풀리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protective plate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ackrest or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backrest, wherein the protection plate and the second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the backrest, So that the protective plate is pulled out when the distance of the wire is increased.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한 의자로서 기능하고, 재난 용품을 구비할 새로운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일상 생활에 자연스럽게 상비할 수 있으며,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nction as a chair which is easy for a user to access easily in a normal situation, does not require a new storage place for disaster articles, can naturally stand up in daily life, And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for protecting the spine.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시트와 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eat and a leg of a chair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of Fig. 1; Fig.
FIG. 3 and FIG.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hair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hair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는, 평상시에는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상비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재난 용품을 구비할 새로운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발생하면 등받이 및 시트가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hair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user by virtue of natural abundance in the normal life and does not require a new storage place for providing the disaster goods and when the unpredictable disaster occurs, To protect the head and spine of the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시트와 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joining structure of a seat and a leg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chair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of FIG. 1.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10)는, 평상시에는 의자로서 기능하고, 재난 발생시에는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시트(100), 다리(200) 및 등받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hair 10 having a user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chair in normal times, and protects a user's head and spine when a disaster occurs, The seat 100, the legs 200, and the backrest 300. [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시트(100)는 평소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쿠션감이 엉덩이를 편안하게 지지하며 재난대비로 재난용품을 구비할 수 있고, 재난 발생시에는 사용자의 등에 멜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본체(120), 덮개(130), 어깨끈(110) 및 잠금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seat 100 normally has a cushioning feeling that comfortably supports the buttocks when the user sits and can provide disaster goods in case of a disaster. In case of a disaster, 130, a shoulder strap 110, and a locking means 140.

본체(120)와 덮개(130)는, 함께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일측면이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The main body 120 and the lid 130 together form a storage space therein, and one side is coupled by a hinge to open or close the storage space.

어깨끈(110)은, 평상시 의자로 기능할 때에는 바닥으로 늘어짐 없이 시트(100)에 형성되어 있고, 재난 발생시 사용자가 어깨끈(1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늘린 상태에서 어깨에 멜 수 있다.(도 5 참조)The shoulder strap 110 is formed on the seat 100 without sagging to the floor when it normally functions as a chair. When a disaster occurs, the user can grip the shoulder strap 110 with the elasticity of the shoulder strap 110 by being stretched. 5)

본체(120)와 덮개(130)는 잠금수단(140)에 의해 수납공간의 개방이 차단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20 and the lid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locking means 1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00)는 시트(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체(120)의 하단부에는 다리가 끼워지는 끼임홈(S1)이 형성된다. 평상시 다리(200)는 끼임홈(S1)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트(100)를 지지하며, 재난 발생시에는 끼임홈(S1)으로부터 분리된다. 끼임홈(S1) 내측면에는 오목부(210)가 형성되고, 다리의 상단부에는 오목부(210)에 삽입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legs 200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at 100.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20, a catching slot S1 into which a leg is inserted is formed. Normally, the leg 200 supports the seat 10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S1, and is separated from the slot S1 when a disaster occurs. A concave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S1 and a protrusion 220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e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0)는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재난 발생시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게 된다. 등받이(300)에는 제1 파이프(P1), 보호플레이트(400), 와이어(410) 및 풀리(420)가 설치된다.3 and 4, the backrest 300 normally supports the user's back and protects the user's head in the event of a disaster. A first pipe P1, a protection plate 400, a wire 410 and a pulley 420 are installed in the backrest 300. [

제1 파이프(P1)는 등받이(300)에 결합되고, 시트(100)에는 제2 파이프(P2)가 결합된다. 제1 파이프(P1)는 제2 파이프(P2)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시트(100)와 등받이(300)는 제1 파이프(P1)와 제2 파이프(P2)의 슬라이드 상대이동을 통해 간격이 조정된다. The first pipe P1 is coupled to the backrest 300 and the second pipe P2 is coupled to the seat 100. [ The first pipe P1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P2. The seat 100 and the backrest 300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the slid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보호플레이트(400)는, 등받이(300)로부터 돌출되어 머리를 보호하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구성으로서, 등받이(300)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된다. 등받이(300)에는 보호플레이트(400)가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The protection plate 400 protrudes from the backrest 300 and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backrest 300 to extend the area protecting the head. The back plate 30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protection plate 400 passes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r enters into the inside.

등받이(300), 제1 파이프(P1), 제2 파이프(P2) 및 보호플레이트(400)는 낙석 등의 강한 충격에 강한 내충격성은 물론, 화염과 열에 강한 내화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갖출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된다. The backrest 300, the first pipe P1, the second pipe P2, and the protection plate 400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strong impacts such as rockfall or the like, as well as a flame retardant and heat- .

보호플레이트(400)의 하단에는 와이어(410)의 일단이 결합된다. 와이어(410)의 타단은 제1 파이프(P1)와 제2 파이프(P2)의 내부를 통과하여 시트(100)에 결합된다. One end of the wire 4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on plate 400. The other end of the wire 41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nd is coupled to the seat 100.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10)는, 제2 파이프(P2)로부터 인출되는 제1 파이프(P1)의 인출길이(Δx)만큼 보호플레이트(400)가 등받이(300)로부터 인출된다. 4 and 5, the chair 10 having the user protection function from the dis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o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first pipe P1 from the second pipe P2 The plate 400 is pulled out of the backrest 300.

제1 파이프(P1)가 제2 파이프(P2)로부터 인출되면, 등받이(300) 내부의 와이어(410)는 제1 파이프(P1)의 인출길이(Δx)만큼 제1 파이프(P1)를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등받이(300)의 내부에는 와이어(410)의 이동방향을 바꿔주는 풀리(420)가 설치된다. When the first pipe P1 is pulled out of the second pipe P2, the wire 410 inside the backrest 300 is pulled downward toward the first pipe P1 by the pull-out length? X of the first pipe P1 . A pulley 420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410 is installed in the back 300.

따라서 재난발생시 사용자가 등받이(300)에 힘을 가하여 제2 파이프(P2)로부터 제1 파이프(P1)를 인출하면, 와이어(410)의 일단은 풀리(420)를 향해 상승하게 되며, 와이어(410)의 일단에 결합된 보호플레이트(400)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등받이(300)로부터 인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등받이(300)의 내면에는 보호플레이트(400)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 Accordingly, when a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ackrest 300 to pull out the first pipe P1 from the second pipe P2 in the event of a disaster, one end of the wire 410 rises toward the pulley 420 and the wire 410 The protective plate 400 coupl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300 moves upward and is withdrawn from the backrest 300. [ Although not shown, a railing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rest 300 so that the protection plate 400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재난상황을 벗어난 후 등받이(300)를 시트(100) 쪽으로 밀어 제1 파이프(P1)를 제2 파이프(P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 파이프(P1) 내부의 와이어(410)가 풀리(420) 쪽으로 이동하면서 보호플레이트(400)는 하강하여 다시 등받이(300)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다리(200)를 다시 끼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4, when the user pushes the backrest 300 toward the seat 100 to slide the first pipe P1 toward the second pipe P2 after the disaster, As the wire 410 moves toward the pulley 420, the protective plate 400 descends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backrest 300. In this state, the legs 200 can be used again as a chair.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한 의자로서 기능함으로써, 재난 용품을 구비할 새로운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상비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시 사용자가 다리를 분리한 후 등받이를 시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거리를 조정하여 보호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고 나서 어깨끈을 사용하여 어깨에 멤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functions as a chair which is easy for a user to access easily in a normal situation, a new storage place for disaster articles is not needed, and can naturally stand up in everyday life. In case of a disaster, A chair with user protection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spine in the event of an unpredictable disaster by using a shoulder strap to engage the shoulder strap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istan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eat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의자
100 : 시트 200 : 다리
110 : 어깨끈 210 : 오목부
120 : 본체 220 : 돌출부
130 : 덮개 300 : 등받이
140 : 잠금수단 P1 : 제1 파이프
S1 : 끼임홈 P2 : 제2 파이프
400 : 보호플레이트
410 : 와이어
420 : 풀리
10: Chair
100: sheet 200: leg
110: shoulder strap 210: concave
120: main body 220:
130: lid 300: backrest
140: locking means P1: first pipe
S1: Inlet P2: Second pipe
400: protective plate
410: wire
420: pulley

Claims (5)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어깨끈이 구비된 시트;
상기 시트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다리; 및
상기 시트와 거리조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재난 발생시 상기 어깨끈을 사용하여 상기 시트를 등에 메면, 상기 등받이 및 시트가 사용자의 머리 및 척추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 seat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A leg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at; And
And a backrest that is adjustable in distance from the seat,
Wherein the backrest and the seat protect the user's head and spine when the shoulder strap is used to rub the seat back when a disaster occ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서로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 기능을 갖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et
A body forming the storage space;
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opening or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nd a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body and the cover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끼임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의 상단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ss having an inner surface formed with a recess,
And a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제2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pipe is coupled to the seat,
Wherein the backrest is coupled to a first pi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보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플레이트와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1 파이프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등받이와 상기 시트의 거리가 멀어질 때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인출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역전시키는 풀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으로부터 사용자 보호기능을 갖는 의자.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plate protruding outward or coming in from the back,
The protection plate and the second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Wherein the backrest is provided with a pulley for revers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so that the protective plate is pulled ou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eat is increased.
KR1020170043493A 2017-04-04 2017-04-04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KR101938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3A KR101938638B1 (en) 2017-04-04 2017-04-04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3A KR101938638B1 (en) 2017-04-04 2017-04-04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5A KR20180112425A (en) 2018-10-12
KR101938638B1 true KR101938638B1 (en) 2019-01-15

Family

ID=6387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93A KR101938638B1 (en) 2017-04-04 2017-04-04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6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38Y1 (en) 2006-07-24 2006-10-04 최태진 Lifesaving chair
JP2008206934A (en) 2007-02-23 2008-09-11 Kazuhiro Suzuki Chair for earthquake evacuation
CN203885077U (en) 2014-05-27 2014-10-22 娄莹 Helmet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38Y1 (en) 2006-07-24 2006-10-04 최태진 Lifesaving chair
JP2008206934A (en) 2007-02-23 2008-09-11 Kazuhiro Suzuki Chair for earthquake evacuation
CN203885077U (en) 2014-05-27 2014-10-22 娄莹 Helmet chai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4470 UR
JP0317505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5A (en)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527B2 (en) Partition-provi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seating region of a seat
US20070001496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having a recessed surface for a cushion
WO2014057669A1 (en) Aircraft bathroom unit
US20140070575A1 (en) Chair cushion with pockets
KR101938638B1 (en) Chair with user protection against disasters
US20200245737A1 (en) Reconfigurable/convertible personal carry bag for electronic device that doubles as seat cushions, back rests, and/or lap or desktop cushions
JP2009112396A (en) Backrest device of chair
JP2003310776A (en) Evacuation box for disaster such as earthquake
US9408470B2 (en) Method of improving seat comfort, seat and cushion set according to the same
US20220022644A1 (en) Table Apparatus and Method
KR101078268B1 (en) A chair having a chamber pot for the old
KR101316114B1 (en) A chair
US20040100135A1 (en) Backrest assembly for a seating arrangement
US10194748B1 (en) Compressible sitting stool
US20080040848A1 (en) Spa with integrated step
US20060284460A1 (en) Furniture slipcover
TWI440435B (en) Seat and protection frame installation construction
KR102583528B1 (en) A functional sofa
JP6494102B2 (en) Chair
US2740132A (en) Cushion aligner for foldaway bed sofa
KR200333174Y1 (en) A seat with a ventilation opening
US11583091B2 (en) Seating furniture
JP2015085136A (en) Stool
JP5414230B2 (en) Seat and leg rest
TH19620A3 (en) Cushioned seat to reduce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