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20B1 - 전자펜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펜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20B1
KR101938520B1 KR1020180059647A KR20180059647A KR101938520B1 KR 101938520 B1 KR101938520 B1 KR 101938520B1 KR 1020180059647 A KR1020180059647 A KR 1020180059647A KR 20180059647 A KR20180059647 A KR 20180059647A KR 101938520 B1 KR101938520 B1 KR 10193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sensor
binding modul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순
Original Assignee
김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안순 filed Critical 김안순
Priority to KR102018005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서, 펜촉과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펜촉압력 감지센서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지우개와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지우개압력 감지센서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컬러 선택을 지원하는 다수의 컬러 버튼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펜촉압력 감지센서, 지우개압력 감지센서 및 컬러 버튼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펜{ELECTRIC PEN FOR INTERACTIVE BOARD}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랙티브 보드에 이용되며 외관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을 최소화시킨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
인터랙티브 보드는 통상, 터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터치 기능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제어의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제어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즉, 사용자는 판서를 원하지만, 판서를 위한 터치시 해당 위치 또는 판서 경로에 다른 콘텐츠로 링크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링크된 페이지가 출력되는 원치 않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터치 및 판서 제어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펜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전자펜을 이용하여 터치 및 판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판서모드 또는 터치모드를 선택하는 사전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모드 선택을 위한 버튼 조작이 너무 복잡할 뿐 아니라 다수의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펜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외관 상에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킨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4909호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보드에 이용되며 외관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을 최소화 시킨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펜에 있어서, 펜촉과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펜촉압력 감지센서가 내설되며, 지우개와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지우개압력 감지센서를 내설되고, 컬러 선택을 지원하는 다수의 컬러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펜촉압력 감지센서, 상기 지우개압력 감지센서 및 상기 컬러 버튼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며, 통신 및 저장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회로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상기 전자펜은 외주면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된 전자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색펜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직관성을 제공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외관 오염 및 스크래치 등을 최소화 시킨 전자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 모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모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우개 모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은, 펜촉(11')과 체결된 스프링(12')의 압력을 감지하는 펜촉압력 감지센서(13')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지우개(14')와 체결된 스프링(15')의 압력을 감지하는 지우개압력감지센서(16')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컬러 선택을 지원하는 다수의 컬러 버튼(17')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펜촉압력 감지센서(13'), 지우개압력 감지센서(16') 및 컬러 버튼(17')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며, 통신 및 저장처리를 수행하는 제어회로(18')를 내설시키고 있다.
여기서, 펜촉압력 감지센서(13') 및 지우개압력 감지센서(16')는, 스프링(12, 15')에 체결된 슬라이딩부재를 2개의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시키고,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대응하는 RC 공진, LC 공진을 통해 정전용량 변화를 확인 하여 해당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의 제어회로(18')는, 컬러 버튼(17')의 조작에 대응하여 컬러신호를 생성하는 컬러신호 생성부(21')와, 펜촉(11')의 압력에 대응하여 펜촉압력 감지센서(13')로부터 생성된두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지우개(14')의 압력에 대응하여 지우개압력 감지센서(16')로부터 생성된 지우개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컬러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컬러로의 컬러 전환 제어를 수행하고, 컬러신호와 두께 감지신호를 조합을 통해 해당 컬러의 두께 조절 제어를 수행하며, 지우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인터랙티브 보드에 판서된 데이터에 대한 삭제 제어를 수행하며, 컬러 전환 제어, 두께 조절 제어, 삭제 제어에 관한 데이터의 통신 전송 제어를 수행하며, 컬러 선택이 없을 경우에 터치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22')와, 제어부(22')의 통신 전송 제어에 대응하여 인터랙티브 보드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23')와,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자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컬러 버튼(17')은 청록색(Cyan) 버튼, 자주색(Magenta') 버튼, 노랑색(Yellow') 버튼, 검정색(blacK')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컬러신호 생성부(21')는 청록색(Cyan) 버튼, 자주색(Magenta') 버튼, 노랑색(Yellow') 버튼, 검정색(blacK') 버튼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색상(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레벨 결정부(211 ~214')와, 레벨 결정부(211 ~ 214')로부터 입력되는 값에 대응하여 색을 합성하는 색 합성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3')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컬러신호, 센싱신호(펜촉, 지우개')를 포함하여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에서 발생되는 임의의 신호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모듈(미도시)의 온(On) 절환이 이루어지며,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자동오프(Off')를 통해 인터랙티브 보드에 형성된 블루투스 통신모듈(미도시)과의 통신을 중지한다.
한편,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에 형성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자동오프 이후에는,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에 형성된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인터랙티브 보드에 형성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주기적으로 통신대기 정보를 전송하여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동작뿐 아니라, 인터랙티브 보드용전자펜(1')의 구동을 일시 중지시켜 전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의 온(On) 절환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22')는, 컬러신호 발생여부에 대응하여 터치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전환부(221')와, 컬러신호와 두께 감지신호를 조합을 통해 해당 컬러의 두께 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색 두께 조합부(222')와, 두께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 판서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 생성부(223')와, 지우개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 생성된 지우개 위치데이터와 판서 위치데이터를 매칭시켜 매칭되는 위치의 판서내용을 삭제하는 삭제위치 매칭부(2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의 각 모드별 사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펜 모드(도 4')는 컬러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거나, 슬라이딩시켜면, 컬러신호 생성부(21')에서 해당 컬러에 대응하는 컬러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로 전달한다(S11'). 한편, 펜촉압력 감지센서(13')로부터 두께 감지신호가 생성되면(S12'), 제어부(22')에서는 두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컬러의 두께를 조절한다(S13'). 이 때, 판서가 이루어지면 인터랙티브 보드 상의 위치를 확인하여 판서 위치데이터를 생성한다(S14'). 이 판서위치데이터는 지우개 기능이 동작할 때 이용하기 위함이다. 터치 모드(도 5')는 컬러버튼의 선택이 없을 경우에(S21') 제어부(22')에서는 터치모드로의 자동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22'). 이에 터치에 대응하여(S23') 콘텐츠의 링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S24'). 지우개 모드(도 6')는 지우개압력 감지센서(16')로부터 지우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S31'), 제어부(22')에서는 지우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지우개(14')가 터치되는 위치를 확인한다(S32').
터치되는 위치가 판서 위치데이터와 매칭되는 경우(S33'), 해당 판서내용을 삭제한다(S3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은, 외부에 컬러버튼을 다수 설치하여 사용자 선택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컬러버튼은 터치식 또는 기계식 조작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서시에 별도의 두께 조절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펜촉(11')의 압력을 통해 판서 두께가 자동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1')은, 지우개(14')의 압력이 인지되면, 위치 판별을 통해 판서된 내용이 삭제된다. 한편, 컬러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터치모드로의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전자펜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 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 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 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 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 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 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 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 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 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 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도 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81)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82)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83)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84)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은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82)은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은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은 상기 제2 유동수단(982)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55)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55)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5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81)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56)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55)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82)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82)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1.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83)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81)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55)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84)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56)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전자펜 13‘ : 펜촉압력 감지센서
16 ‘: 지우개압력 감지센서 18‘ : 제어회로
21‘ : 컬러신호 생성부 22‘ : 제어부

Claims (13)

  1.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펜은 펜촉과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펜촉압력 감지센서가 내설되며, 지우개와 체결된 스프링의 압력을 감지하는 지우개압력 감지센서를 내설되고, 컬러 선택을 지원하는 다수의 컬러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펜촉압력 감지센서, 상기 지우개압력 감지센서 및 상기 컬러 버튼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며, 통신 및 저장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회로를 내설시키고 있으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전자펜에 해당되는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결속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상기 지지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과, 상기 지지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을 포함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이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을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 및 제4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은 상기 제2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은 상기 제3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2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3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4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6 결속모듈은 제4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7 결속모듈은 제5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응하는 것인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은,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제1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기 제4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 및 제1-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와,
    제2 실린더부와, 상기 제2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과 상기 제5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와 제2-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와,
    제3 실린더부와, 상기 제3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과 상기 제6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와 제3-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 및 상기 제3 실린더부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 상기 제3-1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제2 실린더부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와 상기 제3-2 감지센서가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 상기 제3-2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1 피스톤부와 상기 제2-1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와 상기 제3-1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와 상기 제2-2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와 상기 제3-2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5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수단은 상기 제3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은 상기 제4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은 상기 제1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은 상기 제2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수단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는 상기 제6-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는 상기 제7-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는 상기 제6-1 감지센서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는 상기 제7-1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수단은 상기 제4-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의 상기 제6-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은 상기 제5-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의 상기 제6-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3 유동수단은 상기 제6-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의 상기 제4-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은 상기 제7-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자펜 가공시스템.
  13. 삭제
KR1020180059647A 2018-05-25 2018-05-25 전자펜 가공시스템 KR10193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47A KR101938520B1 (ko) 2018-05-25 2018-05-25 전자펜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47A KR101938520B1 (ko) 2018-05-25 2018-05-25 전자펜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520B1 true KR101938520B1 (ko) 2019-01-14

Family

ID=6502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47A KR101938520B1 (ko) 2018-05-25 2018-05-25 전자펜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795A (zh) * 2019-06-20 2019-09-20 北京京师英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黑板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US20150022503A1 (en) * 2013-07-22 2015-01-22 No Touch Technologies Llc Stylus pen
KR101595319B1 (ko) * 2014-11-13 2016-02-18 (주)컴버스테크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
KR101853593B1 (ko) * 2017-10-31 2018-04-30 전순자 대상물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US20150022503A1 (en) * 2013-07-22 2015-01-22 No Touch Technologies Llc Stylus pen
KR101595319B1 (ko) * 2014-11-13 2016-02-18 (주)컴버스테크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
KR101853593B1 (ko) * 2017-10-31 2018-04-30 전순자 대상물 인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795A (zh) * 2019-06-20 2019-09-20 北京京师英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黑板系统
CN110264795B (zh) * 2019-06-20 2020-04-24 北京京师英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黑板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20B1 (ko) 전자펜 가공시스템
CN102934069B (zh) 自动变形自适应用户接口装置和方法
US10569653B2 (en) Driver interface system
WO2008018102A3 (en) Interactive system
US20040095369A1 (en) Haptic interface device
WO2003075561A3 (en) Positive parental control
WO2007067974A3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edia retrieval, routing and playback
WO2006052447A3 (en) Control logic for fluid flow control devices
CN202155034U (zh) 液压驱动式4d动感座椅
TW200710781A (en) Display driver
EP1580502B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carbonated water fabricating unit
CA24832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n image using a touchscreen
CN104040464A (zh) 使用在三维空间中执行的手势以及相关的计算机程序产品控制车辆功能的方法和设备
WO2007143632A3 (en) Video game controller
US20170031470A1 (en) Touch pen with color adjustment
US20180193852A1 (en) Touch Controlled Shower Head
KR101534745B1 (ko) 제스처 인식 장치
KR101595319B1 (ko) 인터랙티브 보드용 전자펜
WO2006130753A3 (en) Laser projector with brightness control and method
FR2903027B1 (fr) Pistolet automatique de pulverisation
KR102276019B1 (ko)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EP1632952A3 (e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ontrolled by a micro-controller
KR101931910B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US2013021500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95315B2 (en) Interactive control device and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