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08B1 -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08B1
KR101938508B1 KR1020177022091A KR20177022091A KR101938508B1 KR 101938508 B1 KR101938508 B1 KR 101938508B1 KR 1020177022091 A KR1020177022091 A KR 1020177022091A KR 20177022091 A KR20177022091 A KR 20177022091A KR 101938508 B1 KR101938508 B1 KR 10193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gate
discharge
vaporiz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579A (ko
Inventor
김호연
박귀순
강성일
조선근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ublication of KR2017010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식 기화기에서 살수된 해수를 집수부로 모아 집수한 후 해수 방류관부와 해수 순환관부로 상기 해수식 기화기로 다시 재공급함으로써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해수식 기화기에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해양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온도 이하로 유지시켜 해수식 기화기 작동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이 필요없도록 하고, 인근 바다의 오염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하게 해수식 기화기 작동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이 필요없도록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G)는 석탄 또는 석유보다 청정한 화석연료로서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고, 통상적으로 천연가스는 액화상태를 의미하는 액화천연가스(LNG)로 LNG선을 이용하여 수송된다.
LNG가 차지하는 부피는 동일한 양의 천연가스가 기체상태에서 차지하는 부피의 1/600 정도만을 차지하므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수송하면 보다 경제적인 수송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천연가스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형 LNG선을 이용하여 수입국으로부터 수입하여 대형 저장시설 즉, LNG 저장 탱크에 액체상태로 저장한 후 기화기를 통해 기화시킨 후 계량설비를 거쳐 송출하여 각 가스 공급 공급소로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스 공급소에서 각 사용처로 천연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LNG는 대기식 기화기, 연소식 기화기, 해수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정해진 압력에서 LNG의 온도를 LNG의 끓는점 이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기화되고 있다.
상기 해수식 기화기(Open Rack Vaporizer)는 해수를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기 위한 설비로, 기화기의 열교환관의 표면에 해수를 살수하고 액화천연가스를 열교환관의 내부로 통과시켜 해수의 현열을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킨다.
상기 해수식 기화기는, 해수 공급 장치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기화기의 열교환관의 표면에 살수하며,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서 열교환관의 표면에 살수된 해수는 집수되어 다시 바다로 방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해수 공급 장치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 해수를 공급함에 있어 해수의 온도가 7℃ 이상인 경우 염소 용액을 주입하고 있다.
이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가 7℃ 이상인 경우 해수식 기화기의 설비 내에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해수공급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해수식 기화기 설비 내에서 성장된 해양 생물의 제거를 위한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해수 공급 장치는 온도가 7℃ 이상인 경우 상기 해수식 기화기로 공급되는 해수에 치아염소산 나트륨 용액과 같은 염소 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해수식 기화기 설비 내에 해양생물이 서식되고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서 살수된 해수는 해수 방류구를 통해 다시 바다로 방류되므로 해수에 염소 용액이 주입된 경우 바다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해수 방류구를 통해 염소 용액이 주입된 해수가 다시 바다로 방류되면 바다의 해수가 염소 용액에 의해 오염되어 인근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인근 해양의 양식장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수 공급 장치에 해수에 염소 용액을 공급하는 별도의 염소 용액 공급 설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해수식 기화기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비용, 상기 해수식 기화 설비를 유지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하게 해수식 기화기 작동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이 필요없도록 한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해수식 기화기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관부;
상기 해수 공급관부에 구비되는 해수 공급펌프;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서 살수된 해수를 모아 집수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집수된 해수를 다시 바다로 방류하는 해수 방류관부;
상기 해수 방류관부와 상기 해수 공급관부를 연결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해수를 다시 상기 해수 공급관부 내로 공급하는 해수 순환관부; 및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방류 게이트를 포함한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공급관부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와 상기 해수식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1공급관부재; 및 상기 해수 공급펌프와 바다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방류관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해수 순환관부와 연결되는 제1방류관부재; 및 상기 제1방류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방류 게이트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며 인근 바다까지 연장된 제2방류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순환관부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는, 인근 바다에서 상기 해수 공급관부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해수 온도 감지센서; 및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 상기 방류 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방류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이상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의 유로를 닫아 상기 제1방류관부재의 해수를 상기 해수 순환관부재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미만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의 유로를 열어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제2방류관부재를 통해 바다로 방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방류관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세워진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과 양 측면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류 게이트는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유로를 개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방류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게이트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는 상기 방류 게이트를 상, 하 이동시키는 게이트 작동부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방류 게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작동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1작동링크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작동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2작동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타 단이 상기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해수식 기화기에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해양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온도 이하로 유지시켜 해수식 기화기 작동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이 필요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사용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이 주입되지 않아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사용된 해수에 의한 인근 해양의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하고, 인근 해양의 양식장 등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해수에 염소 용액을 주입하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 비용을 절감하고, 해수식 기화기 작동 시 소요되는 운전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에서 해수의 방류 게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해수식 기화기 10 : 해수 공급관부
11 : 제1공급관부재 12 : 제2공급관부재
20 : 해수 공급펌프 30 : 집수부
40 : 해수 방류관부 40a : 바닥면
40b : 측면 40c : 유로
41 : 제1방류관부재 42 : 제2방류관부재
50 : 해수 순환관부 60 : 방류 게이트
61 : 게이트 안내레일 70 : 해수 온도 감지센서
80 : 게이트 제어부 90 : 게이트 작동부
91 : 제1작동링크부 92 : 제2작동링크부
93 : 유압실린더 93a : 실린더본체
93b : 피스톤 로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는, 해수식 기화기(1)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1) 내에서 기화기의 열교환관(1b)의 표면에 해수를 살수하는 해수 분사헤더(1a)에 연결되고, 상기 해수 분사헤더(1a)로 해수를 공급한다.
상기 해수 분사헤더(1a)는 상기 LNG가 통과하는 열교환관(1b)의 표면에 해수를 분사하여 상기 열교환관(1b)을 통과하는 LNG를 기화하는 구성으로 이는 통상의 해수식 기화기(1)의 구조와 동일하여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1)가 설치된 위치에서 인근 바다까지 연장되어 상기 바다의 해수를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상기 해수식 기화기(1) 즉, 상기 해수식 기화기(1)의 해수 분사헤더(1a)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해수 공급펌프(20)는 상기 해수 공급관부(10)에 장착되어 바다의 해수를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를 통해 상기 해수식 기화기(1) 내로 공급한다.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와 상기 해수식 기화기(1)를 연결하는 제1공급관부재(11) 및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와 바다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식 기화기(1) 내에서 상기 해수 분사헤더(1a)를 통해 LNG가 통과하는 열교환관(1b)의 표면에 살수된 해수는 집수부(30)를 통해 모아져 저장된다.
상기 집수부(30)에 모이는 해수는, 상기 LNG가 통과하는 열교환관(1b)과 열교환을 통해 LNG를 기화한 후 냉각되어 7℃이하의 온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집수부(30)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1)가 설치된 위치에서 인근 바다까지 연장되는 해수 방류관부(40)에 연결되며,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는, 상기 집수부(30)에 모인 해수를 인근 바다로 방류한다.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는, 방류 게이트(60)의 작동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어 해수의 방류를 제어한다.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와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는, 해수 순환관부(50)로 연결된다.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는,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를 통해 이동하는 해수 즉,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살수되고 집수된 해수를 다시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로 공급하여 해수를 순환시키는 관이다.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는 상기 집수부(30)와 상기 방류 게이트(60) 사이에서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와 연결된다.
상기 방류 게이트(60)는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의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를 통해 이동되는 해수를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를 통해 해수를 다시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로 공급되게 하거나, 인근 바다로 방류하도록 한다.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로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를 통해 이동되는 해수를 다시 공급한다.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는, 상기 집수부(30)와 상기 해수 순환관부(50)와 연결되는 제1방류관부재(41); 및 상기 제1방류관부재(41)에 연결되며 상기 방류 게이트(60)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며 인근 바다까지 연장된 제2방류관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된다.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에서 인근 바다까지 연장된 유로이고, 상기 제1방류관부재(41)는 상기 집수부(30)에서 상기 해수 순환관부(50)까지 연장된 유로이다.
상기 해수 공급펌프(20)는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를 통해 기설정된 유량의 해수 즉, 목표 유량의 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를 통해 인근 바다의 해수를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하기 위해서 필요한 흡입력보다 상기 제1방류관부재(41)의 해수를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력이 더 적게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방류 게이트(60)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닫은 후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 시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목표 해수 유량의 대부분을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로부터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나머지 유량이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로부터 공급된다.
즉, 상기 방류 게이트(60)를 닫으면 상기 해수식 기화기(1)를 거쳐 냉각된 해수 전량이 상기 해수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는, 인근 바다에서 상기 해수 공급관부(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해수 온도 감지센서(70); 및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 상기 방류 게이트(60)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방류 게이트(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는 상기 제2공급관부재(12) 또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2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를 통해 공급되는 인근 바다의 해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80)는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이상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60)로 상기 해수 방류관부(40) 즉,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닫는다.
상기 방류 게이트(60)가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닫으면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를 통해 인근 바다로 방출되는 해수 즉,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서 살수되고 상기 집수부(30)로 모아진 해수가 전량 상기 제1방류관부재(41),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해수는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LNG를 기화시키면서 냉각된 해수로 해수 온도가 8℃ 이하이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80)는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미만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60)로 상기 해수 방류관부(40) 즉,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열어 상기 제2방류관부재(42)를 통해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사용된 해수를 인근 바다로 방류한다.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미만인 경우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LNG를 기화시키면서 냉각되면 온도가 더 낮아지고, 이를 상기 해수 순환관부(50)로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순환하여 재사용하는 경우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LNG를 원활하게 기화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게이트 제어부(80)는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가 해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8℃ 이상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60)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닫아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사용되어 냉각된 8℃ 이하의 해수를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하여 해수식 기화기(1)의 기화에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제어부(80)는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가 해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8℃ 미만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60)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42)의 유로를 열어 상기 해수식 기화기(1)에서 사용되어 냉각된 해수를 다시 인근 바다로 방류하고, 상기 제2공급관부재(12)를 통해서 상기 제1공급관부재(11)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관부재(11)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해양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8℃ 미만의 해수만 공급되어 상기 해수식 기화기 설비 내에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염소 용액 공급이 필요없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해수 방류관부(40)는, 바닥면(40a)과 상기 바닥면(40a)의 양 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세워진 측면(40b)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40a)과 양 측면(40b)을 통해 유로(40c)가 형성되고, 상기 방류 게이트(60)는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의 유로(40c)를 개폐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의 양 측면(40b)에는 각각 상기 방류 게이트(6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게이트 안내레일(61)이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61)에는 상기 방류 게이트(60)를 상, 하 이동시키는 게이트 작동부(90)가 장착된다.
상기 게이트 작동부(90)는, 일단이 상기 방류 게이트(6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작동링크부(91);
일단이 상기 제1작동링크부(91)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6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작동링크부(92); 및
일단이 상기 제2작동링크부(9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타 단이 상기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6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유압실린더(93)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93)는, 실린더본체(93a)와 상기 실린더본체(93a) 내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93b)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본체(93a)는 상기 제2작동링크부(92)의 아래에서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6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93b)의 단부는 상기 제2작동링크부(9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93)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93b)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제1작동링크부(91)와 상기 제2작동링크부(92)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면서 상기 방류 게이트(60)를 상, 하 이동시켜 상기 해수 방류관부(40)의 유로(40c)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작동부(9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방류 게이트(60)를 안정적으로 상, 하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1) 작동 시 해수식 기화기(1)에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해양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온도 이하로 유지시켜 해수식 기화기(1) 작동시 공급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 주입이 필요없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1) 작동 시 사용되는 해수에 염소 용액이 주입되지 않아 해수식 기화기(1) 작동 시 사용된 해수에 의한 인근 해양의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하고, 인근 해양의 양식장 등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해수식 기화기(1) 작동 시 해수에 염소 용액을 주입하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 비용을 절감하고, 해수식 기화기(1) 작동 시 소요되는 운전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해수식 기화기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관부;
    상기 해수 공급관부에 구비되는 해수 공급펌프;
    상기 해수식 기화기에서 살수된 해수를 모아 집수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집수된 해수를 다시 바다로 방류하는 해수 방류관부;
    상기 해수 방류관부와 상기 해수 공급관부를 연결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해수를 다시 상기 해수 공급관부 내로 공급하는 해수 순환관부; 및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방류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 공급관부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와 상기 해수식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1공급관부재; 및
    상기 해수 공급펌프와 바다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방류관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해수 순환관부와 연결되는 제1방류관부재; 및
    상기 제1방류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방류 게이트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며 인근 바다까지 연장된 제2방류관부재를 포함하며,
    인근 바다에서 상기 제2공급관부재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해수 온도 감지센서; 및
    상기 방류 게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방류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순환관부는 상기 해수 공급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이상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의 유로를 닫아 상기 제1방류관부재의 해수를 상기 해수 순환관부를 통해 상기 제1공급관부재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해수 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온도가 8℃ 미만인 경우 상기 방류 게이트로 상기 제2방류관부재의 유로를 열어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제2방류관부재를 통해 바다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방류관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세워진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과 양 측면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류 게이트는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수 방류관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방류 게이트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게이트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는 상기 방류 게이트를 상, 하 이동시키는 게이트 작동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방류 게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작동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1작동링크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작동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2작동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타 단이 상기 상기 게이트 안내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KR1020177022091A 2014-12-16 2014-12-16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KR101938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2398 WO2016098916A1 (ko) 2014-12-16 2014-12-16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579A KR20170109579A (ko) 2017-09-29
KR101938508B1 true KR101938508B1 (ko) 2019-01-14

Family

ID=5612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091A KR101938508B1 (ko) 2014-12-16 2014-12-16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61346B2 (ko)
KR (1) KR101938508B1 (ko)
CN (1) CN107107991B (ko)
WO (1) WO20160989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57A (ko) 2021-03-25 2022-10-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식 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180812A1 (ko) * 2021-02-26 2022-09-01
WO2022180810A1 (ja) * 2021-02-26 2022-09-01 日揮株式会社 燃料気化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076B2 (ja) * 1975-07-16 1984-03-13 住友精密工業 (株) 液化天然ガス気化装置
JPH0534399Y2 (ko) * 1987-11-11 1993-08-31
JPH0516267Y2 (ko) * 1989-04-25 1993-04-28
JPH0893998A (ja) * 1994-09-20 1996-04-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昇温装置付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器
JP2001324094A (ja) * 2000-05-12 2001-11-22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液化ガス気化装置
EP1478875B1 (en) * 2002-02-27 2009-07-22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gasification of lng onboard a carrier
KR200410836Y1 (ko) * 2005-12-30 2006-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선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시스템
US8069677B2 (en) * 2006-03-15 2011-12-06 Woodside Energy Ltd. Regasification of LNG using ambient air and supplemental heat
KR101103769B1 (ko) * 2009-10-12 2012-01-06 주식회사 코와 히트펌프를 이용한 lng 기화공정 시스템
CN202082608U (zh) * 2011-06-20 2011-12-21 中国寰球工程公司 一种液化天然气lng的气化器系统及其控制系统
KR101353368B1 (ko) * 2012-06-04 2014-01-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ng부하 연동형 열병합발전을 이용한 lng 기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57A (ko) 2021-03-25 2022-10-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식 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7991A (zh) 2017-08-29
WO2016098916A1 (ko) 2016-06-23
JP6461346B2 (ja) 2019-01-30
KR20170109579A (ko) 2017-09-29
CN107107991B (zh) 2019-05-14
JP2018506684A (ja)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08B1 (ko) 해수식 기화기용 해수 공급 장치
JP5869000B2 (ja) 蒸気圧を利用した自動給水式蒸気発生器
KR20130102878A (ko) 가스배관 청소 장치
CN203529915U (zh) 一种利用清管阀配合清管分配器的多种介质储运装置
KR101065561B1 (ko)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KR101182628B1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시스템
KR101549607B1 (ko) 탱크의 압력조정장치
CN106574312B (zh) 冷却装置以及多室型热处理装置
KR20110003616A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운송선
KR101193530B1 (ko) 결빙방지 차량소독장치
KR100997154B1 (ko) 메탄 하이드레이트용 채광장치
KR102150801B1 (ko) 진공증발을 이용한 잠수함 연료전지용 산소탱크의 세정장치 및 방법
JP2005144213A (ja) 海洋生物の付着及び成長を抑制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27603B1 (ko) 스팀 보일러
KR101617734B1 (ko) 엔진의 배기가스 저감용 화학탱크 온도유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604299B1 (ko) 내연기관용 밸브 열처리용 냉각장치
CN207726741U (zh) 一种环保型碳素浸渍装置
KR10160962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KR102262054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054591A (ko) 소화 펌프를 이용한 씨 체스트 그리드의 청소 장치
KR101224933B1 (ko) 노즐타입 워터커튼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479878B1 (ko)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파이프라인 배출 시스템의 드라이아이스 유발 관내폐색 방지 장치
KR101479879B1 (ko) 공기의 열원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 시스템의 관내폐색 방지 방법
KR20160087494A (ko)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제어 장치
KR102112884B1 (ko) 선박의 결빙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