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04B1 -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 Google Patents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304B1
KR101938304B1 KR1020170054658A KR20170054658A KR101938304B1 KR 101938304 B1 KR101938304 B1 KR 101938304B1 KR 1020170054658 A KR1020170054658 A KR 1020170054658A KR 20170054658 A KR20170054658 A KR 20170054658A KR 101938304 B1 KR101938304 B1 KR 10193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uff
guide
tube portion
guide c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093A (ko
Inventor
오영준
권태동
오영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301,32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282776A1/en
Priority to PCT/KR2017/004964 priority patent/WO2017196134A1/en
Publication of KR2017012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54Redundant cuffs
    • A61M16/0459Redundant cuffs one cuff behind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8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tegrated means for changing the degree of curvature, e.g. for easy intub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External cuff pressure control or supply, e.g. synchronisation with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1Nasoendo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Abstract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는 튜브부, 제1 벌룬 및 제2 벌룬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는 관의 형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부는 기관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제1 벌룬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밀폐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상기 제2 벌룬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상기 밀폐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인입된 후 상기 기관을 밀폐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불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한다.

Description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ASYMMETRICAL-CUFFED ORAL OR NASAL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 삽관이 어려운 환자에 대하여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기관 삽관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관 삽관시 기관으로 보다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에 관한 것이다.
기관 삽관을 수행하는 경우, 주로 구강을 통해 삽관을 수행하는 구강 삽관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후두경을 이용하여 구강을 통해 삽관하는 시술법 또는 후두 마스크(laryngeal mask airway)를 이용한 시술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환자의 경추가 손상된 경우이거나, 턱관절 경직 등의 이유로 구강이 벌려지지 않는 경우, 구강의 외상이나 출혈이 있는 경우, 또는 혀 부종의 경우 등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한 삽관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하여는 맹목 기관삽관(blind endotracheal intubation)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맹목 기관삽관에 대하여 구강 삽관은 도 1에, 비강 삽관은 도 2에 도시하였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맹목 기관삽관의 경우, 튜브(11)의 끝단부(15)가 기도를 통해 기관(2)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식도(3)로 진입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며, 이에 따라 기관 삽관의 실패율이 높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62459호
(특허문헌 2) 미국 등록특허 5,785,051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한 기관 삽관, 특히 맹목 기관삽관의 경우 기관으로의 인입을 가이드하여 기관 삽관의 정확성 및 확률을 향상시키며 환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튜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또는 비강삽관 튜브는 튜브부, 제1 벌룬 및 제2 벌룬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는 관의 형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부는 기관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제1 벌룬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밀폐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상기 제2 벌룬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상기 밀폐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인입된 후 상기 기관을 밀폐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불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벌룬은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를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커프를 팽창시키며,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수축시키고, 상기 제1 벌룬은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밀폐 커프를 팽창시켜 상기 기관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밀폐 커프의 전단(前段) 또는 후단(後段)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는 상기 가이드 커프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의 전측(前側)부로 팽창되는 양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의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부는 튜브부 및 벌룬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는 관의 형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부는 기관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벌룬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불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거나 또는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인입된 후 상기 기관을 밀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벌룬은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를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커프를 팽창시키며,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수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벌룬은 상기 튜브부가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다시 팽창시켜 상기 기관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튜브 교환 카테터를 삽입한 후 밀폐용 커프가 구비된 추가 튜브부로 상기 튜브부를 대체하고 상기 기관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는 상기 가이드 커프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제1 가이드 커프, 및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제2 가이드 커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룬은, 상기 제1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1 벌룬, 및 상기 제2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2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커프의 부피는 상기 제2 가이드 커프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에 밀폐 커프 외에 가이드 커프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튜브부의 일 후측부에서만 팽창하여 튜브부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부를 기관 방향으로 가이드하므로, 특히 맹목 기관삽관(blind endotracheal intubation)에서 기관 삽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는 인두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두부 후측부와 접촉한 측이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를 인두부의 전측 방향으로 위치시키므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식도보다 전방에 위치한 기관으로 상기 튜브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후측부로 팽창되는 것은 물론, 전측부로도 팽창되며, 특히 후측부로 팽창되는 양이 전측부로 팽창되는 양 보다 커서, 상기 인두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두부 후측으로부터 튜브부를 인두부의 전측(前側)으로 위치시키되 인두부 전측으로 지나치게 가이드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식도보다 전방에 위치한 기관으로 상기 튜브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보다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커프보다 선행되는 튜브부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진입하도록 우선적으로 가이드하므로,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보다 후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튜브부가 식도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에 의해 가이드가 시작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기관으로의 진입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밀폐 커프보다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반구형 형상 또는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이 가능할 수 있어, 상기 튜브부의 기관으로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커프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튜브부를 기관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기관을 밀폐시키도록 팽창되므로, 상기 밀폐 커프와 상기 가이드 커프가 모두 형성된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설계되면서도, 기관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함은 물론 기관의 밀폐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커프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 및 전측으로 팽창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튜브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을 선택적으로 팽창시킴으로서, 기관으로의 가이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구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구강 기관삽관시 식도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비강 기관삽관시 식도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구강 기관삽관시 기관으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비강 기관삽관시 기관으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가이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밀폐 커프에 의한 기관밀폐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의 가이드 커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가이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기관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기관밀폐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삽관 튜브(100)는 튜브부(110), 제1 벌룬(120), 제2 벌룬(130), 밀폐 커프(140) 및 가이드 커프(15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110)는 유연한 소재를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중공(中空) 튜브이다.
상기 제1 벌룬(120)은 상기 튜브부(1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밀폐 커프(14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벌룬(120)은 제1 내관(12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관(121)은 상기 튜브부(1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에 위치한 밀폐 커프(14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벌룬(120)으로 공기 또는 유체가 인입되면 상기 밀폐 커프(140)는 팽창하며, 상기 제1 벌룬(12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상기 밀폐 커프(140)는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관(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00)의 격벽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벌룬(130)은 상기 튜브부(110)의 다른 측을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15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벌룬(130)은 제2 내관(1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관(131)은 상기 튜브부(110)의 다른 측을 통과하며 상기 밀폐 커프(140)보다 후측부에 상기 튜브부(110)에 형성된 가이드 커프(15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벌룬(130)으로 공기 또는 유체가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팽창하며, 상기 제2 벌룬(13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내관(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110)의 격벽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관(121)과는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커프(150)가 상기 튜브부(110)의 일 후측부, 예를 들어 하부 측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2 내관(131)은 상기 튜브부(110)의 하부측의 격벽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커프(140)는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벌룬(12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를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수축한다.
이 경우, 상기 밀폐 커프(140)는 상기 튜브부(110)의 최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는 상기 밀폐 커프(140)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된다.
상기 밀폐 커프(140)는 상기 튜브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밀폐 커프(140)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튜브부(110)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팽창한다.
그리하여, 상기 튜브부(110)가 기관 내로 삽관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 커프(140)가 팽창하는 경우 기관을 균일하게 밀폐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밀폐 커프(140)의 후방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사람의 평균 치수를 고려할 때, 상기 밀폐 커프(140)보다 약 5cm 이내 정도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제2 벌룬(13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를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수축한다.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둘레를 따라 팽창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110)의 둘레를 비 대칭적으로 불균일하게 팽창한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110)는 상기 가이드 커프(150)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도 4에 도시된 상태에 상기 가이드 커프(15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上側))을 관통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110)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단면이 비 대칭적 도우넛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튜브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튜브부(110)의 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튜브부(110)를 가이드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구강 기관삽관시 기관으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비강 기관삽관시 기관으로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10)를 이용하여 특히, 맹목 기관삽관(blind intubation)을 수행하는 경우,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는 신체 구조상 식도(3)가 기관(2)보다 후방(도시된 도면 상에서는 하부이지만 실제 사람이 앉거나 선 상태를 기준으로 보면 식도(3)는 기관(2)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함)에 위치하는 특성상, 튜브(11)의 끝단부(15)는 별도의 가이드가 없는 경우 식도(3) 방향으로 인입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고, 이에 따라 삽관의 정확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100)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튜브부(110)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삽관되어 인두부(4)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벌룬(130)을 통해 상기 가이드 커프(150)를 팽창시키면,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후측부에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전측부에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를 후방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150)가 상기 튜브부(110)를 기준으로 후측부에서 팽창되는 양이 전측부에서 팽창되는 양보다 크므로, 전체적으로는 상기 튜브부(110)를 전방 방향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다만, 상기 가이드 커프(150)가 상기 튜브부(110)를 기준으로 후측부에서만 팽창되는 경우 상기 튜브부(110)가 전방으로만 가이드되므로 지나치게 전방으로만 가이드되는 경우 상기 튜브부(110)는 상기 인두부(4)의 전측에 접촉될 수 있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지만 상기 튜브부(110)의 전측부에서도 일부 팽창하도록 상기 가이드 커프(15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튜브부(110)를 상기 기관(2)의 내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의 신체 구조상 식도(3)보다 기관(2)이 전방에 위치하므로, 전방으로 가이드된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는 자연스럽게 기관(2)의 내부로 삽관될 확률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기관 삽관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 후,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가 기관(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제2 벌룬(130)은 상기 가이드 커프(150)를 수축시킨다.
반면, 상기 제1 벌룬(120)은 상기 밀폐 커프(140)를 팽창시켜, 상기 기관(2)을 밀폐시켜 기관 삽관을 완료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후측부로만 팽창되는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튜브부(110)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삽관되어 인두부(4)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벌룬(130)을 통해 상기 가이드 커프(150)를 팽창시키면, 상기 가이드 커프(150)는 상기 튜브부(110)의 후측부에서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110)의 끝단부(111)를 전방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튜브부(110)가 기관(2)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삽관 튜브(200)는 튜브부(210), 제1 벌룬(220), 제2 벌룬(230), 밀폐 커프(240) 및 가이드 커프(25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210)는 유연한 소재를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중공(中空) 튜브이다.
상기 제1 벌룬(220)은 상기 튜브부(210)의 일 측을 통과하는 제1 내관(221)을 통해 상기 밀폐 커프(24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벌룬(220), 상기 제1 내관(221) 및 상기 밀폐 커프(240)의 구조 및 동작은, 상기 밀폐 커프(240)가 상기 가이드 커프(250)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1 벌룬(120), 상기 제1 내관(121) 및 상기 밀폐 커프(140)의 구조 및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벌룬(230)은 상기 튜브부(210)의 다른 측을 통과하는 제2 내관(231)을 통해 상기 가이드 커프(25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벌룬(230), 상기 제2 내관(231) 및 상기 가이드 커프(250)의 구조 및 동작은, 상기 가이드 커프(250)가 상기 밀폐 커프(240)의 전단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커프(250)가 반구형으로 팽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2 벌룬(130), 상기 제2 내관(131) 및 상기 가이드 커프(150)의 구조 및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250)는 상기 밀폐 커프(2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사람의 평균 치수와 상기 튜브부(210)의 가이드 상태를 고려하면, 상기 튜브부(210)의 끝단부(211)로부터의 이격 거리(D)는 1cm 내지 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250)는 상기 튜브부(210)의 끝단부(211)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끝단부(2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끝단부(211)가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프(250)는 상기 튜브부(210)의 후측부로만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한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250)는 상기 튜브부(210)의 후측부로만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프(250)의 단면이 절반이 절단된 도우넛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튜브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프(250)가 상기 튜브부(210)의 후측부로만 팽창됨에 따라 상기 튜브부(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튜브부(210)가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가이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200)를 이용하여 기관(2)으로의 삽관을 시도하는 경우, 우선, 상기 밀폐 커프(240)를 수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250)를 팽창시킨다.
상기 가이드 커프(250)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튜브부(210)는 상기 인두부(4)의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후측에 위치한 식도(3)가 아닌 전측에 위치한 기관(2) 방향으로 상기 튜브부(210)의 끝단부(211)가 인입된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밀폐 커프에 의한 기관밀폐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커프(250)가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210)의 끝단부(211)가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250)는 수축되고 상기 튜브부(210)는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계속 진입된다.
이 후, 상기 밀폐 커프(240)를 팽창시켜 상기 기관(2)을 밀폐시켜 기관 삽관을 완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의 가이드 커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200)는 가이드 커프(255)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200)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100)의 가이드 커프(15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상기 튜브부(210)의 둘레를 따라 팽창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210)의 둘레를 비대칭적으로 불균일하게 팽창한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상기 튜브부(210)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210)는 상기 가이드 커프(255)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상기 튜브부(210)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210)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단면이 비 대칭적 도우넛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튜브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255)는 상기 튜브부(210)의 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튜브부(210)의 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튜브부(210)를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커프(255)가 비대칭적으로 팽창함에 따른 상기 튜브부(210)의 가이드 방법 및 이에 따른 효과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300)는 튜브부(310), 제2 벌룬(330) 및 가이드 커프(35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310)는 유연한 소재를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중공(中空) 튜브이다.
상기 제2 벌룬(330)은 상기 튜브부(3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35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벌룬(330)은 제2 내관(3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관(331)은 상기 튜브부(3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35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벌룬(330)으로 공기 또는 유체가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팽창하며, 상기 제2 벌룬(33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수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밀폐 커프 없이, 상기 튜브부(310)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사람의 평균 치수와 상기 튜브부(310)의 가이드 상태를 고려하면, 상기 튜브부(310)의 끝단부(311)로부터의 이격 거리(D)는 1cm 내지 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상기 튜브부(310)의 끝단부(311)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끝단부(3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끝단부(311)가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100)의 가이드 커프(15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상기 튜브부(310)의 둘레를 따라 팽창하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310)의 둘레를 비대칭적으로 불균일하게 팽창한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상기 튜브부(310)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310)는 상기 가이드 커프(350)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상기 튜브부(310)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310)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단면이 비 대칭적 도우넛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튜브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상기 튜브부(310)의 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3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튜브부(310)의 전측부로 팽창한 부분은 상기 튜브부(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튜브부(310)를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커프(350)가 비대칭적으로 팽창함에 따른 상기 튜브부(310)의 가이드 방법 및 이에 따른 효과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비단 상기 튜브부(310)의 인입 방향을 가이드 하는 것 외에, 상기 튜브부(310)가 기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에는 팽창하여 상기 기관을 밀폐 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350)가 비대칭적으로 팽창함으로 상기 기관의 내측에서 상기 튜브부(310)가 중앙에 위치하지는 못하더라도 상기 기관의 내측을 밀폐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튜브부(310)가 상기 기관의 내측에서 중앙에 위치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상기 가이드 커프(350)에 의해 상기 튜브부(310)가 기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에, 상기 가이드 커프(350)가 형성된 상기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300)를 튜브 교환 카테터를 삽입한 후 밀폐 커프가 부착된 일반적인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로 대체하여 기관에 대한 밀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가이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300)를 이용하여 기관의 내측으로 삽관을 시도하는 경우, 우선, 상기 가이드 커프(350)가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310)의 끝단부(311)를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가이드 한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비대칭적으로 팽창하되 상기 튜브부(310)의 후측부가 전측부보다 더 팽창함으로써 상기 튜브부(310)의 끝단부(311)를 상기 인두부(4)의 전측부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이에 따라 식도(3)보다 전측에 위치한 기관(2)으로 상기 끝단부(311)는 인입된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기관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커프(350)에 의해 상기 튜브부(310)의 끝단부(311)가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수축하게 되며, 상기 튜브부(310)는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지속적으로 인입되어, 상기 튜브부(310)를 충분히 삽관한다.
이 경우, 상기 수축된 가이드 커프(350)도 상기 기관(2)의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튜브부(310)는 상기 기관(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통한 삽관시 가이드 커프에 의한 기관밀폐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 후,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다시 팽창하며, 이에 따라 상기 기관(2)의 내측은 밀폐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350)는 비대칭적으로 팽창하지만, 상기 기관(2)의 내측을 밀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관 삽관이 완료된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 커프(350)가 구비된 상기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300)를 삽관한 상태에서, 튜브 교환 카테터를 삽입한 후 밀폐 커프가 부착된 일반적인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로 대체하여 기관에 대한 밀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400)는 튜브부(410), 제1 벌룬(420), 제2 벌룬(430), 제1 가이드 커프(440) 및 제2 가이드 커프(45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부(410)는 유연한 소재를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중공(中空) 튜브이다.
상기 제1 벌룬(420)은 상기 튜브부(4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벌룬(420)은 제1 내관(42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관(421)은 상기 튜브부(410)의 일 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벌룬(420)으로 공기 또는 유체가 인입되면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는 팽창하며, 상기 제1 벌룬(42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는 수축하게 된다.
상기 제2 벌룬(430)은 상기 튜브부(410)의 다른 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벌룬(430)은 제2 내관(4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관(431)은 상기 튜브부(410)의 다른 측을 통과하며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벌룬(430)으로 공기 또는 유체가 인입되면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는 팽창하며, 상기 제2 벌룬(430)으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이탈되면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는 수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은 밀폐 커프 없이, 상기 튜브부(410)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사람의 평균 치수와 상기 튜브부(410)의 가이드 상태를 고려하면, 상기 튜브부(410)의 끝단부(411)로부터의 이격 거리(D)는 1cm 내지 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은 상기 튜브부(410)의 끝단부(411)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끝단부(4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끝단부(411)가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서 일체로 형성되던 가이드 커프가, 상기 튜브부(410)의 서로 다른 측 방향을 향해 서로 분리되며 팽창 또는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는 상기 튜브부(410)의 전측부에서 팽창되어, 전체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는 상기 튜브부(410)의 후측부에서 팽창되어, 전체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가진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는 단면 형상이 절단된 도우넛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튜브부(410)의 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도 단면 형상은 절단된 도우넛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튜브부(410)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된다.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가 상기 튜브부(410)의 후측부로 팽창함에 따라 상기 튜브부(4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가 상기 튜브부(410)의 전측부로 팽창함에 따라 상기 튜브부(4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튜브부(410)를 가이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가 팽창된 경우의 반구형 형상의 크기는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가 팽창된 경우의 반구형 형상의 크기보다 작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의 팽창된 부피가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튜브부(410)는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기관의 내측으로 가이드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이 비대칭적으로 팽창함에 따른 상기 튜브부(410)의 가이드 방법 및 이에 따른 효과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은 비단 상기 튜브부(410)의 인입 방향을 가이드 하는 것 외에, 상기 튜브부(410)가 기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에는 팽창하여 상기 기관을 밀폐 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50)이 비대칭적으로 팽창함으로 상기 기관의 내측에서 상기 튜브부(410)가 중앙에 위치하지는 못하더라도 상기 기관의 내측을 밀폐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튜브부(410)가 상기 기관의 내측에서 중앙에 위치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에 의해 상기 튜브부(410)가 기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이 형성된 상기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400)에 튜브 교환 카테터를 삽입한 후 밀폐 커프가 부착된 일반적인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로 대체하여 기관에 대한 밀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은 각각 제1 및 제2 벌룬들(420, 43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튜브부(410)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 커프(450)만 팽창되더라도 상기 튜브부(410)가 상기 인두부(4)의 전측부에 접촉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지 않고 상기 기관의 내측으로 가이드가 된다면, 상기 제1 가이드 커프(440)는 수축된 상태에서 기관 삽관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별로 기관이나 식도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을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구강 또는 비강삽관 튜브(400)를 이용한 구체적인 구강 또는 비강삽관 단계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구강 또는 비강 삽관 튜브(300)를 이용한 구강 또는 비강삽관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440, 450)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에 밀폐 커프 외에 가이드 커프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튜브부의 일 후측부에서만 팽창하여 튜브부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부를 기관 방향으로 가이드하므로, 특히 맹목 기관삽관(blind endotracheal intubation)에서 기관 삽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커프는 인두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두부 후측부와 접촉한 측이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를 인두부의 전측 방향으로 위치시키므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식도보다 전방에 위치한 기관으로 상기 튜브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후측부로 팽창되는 것은 물론, 전측부로도 팽창되며, 특히 후측부로 팽창되는 양이 전측부로 팽창되는 양 보다 커서, 상기 인두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두부 후측으로부터 튜브부를 인두부의 전측 방향으로 위치시키되 인두부 전측으로 지나치게 가이드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식도보다 전방에 위치한 기관으로 상기 튜브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보다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커프보다 선행되는 튜브부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진입하도록 우선적으로 가이드하므로,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보다 후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튜브부가 식도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커프에 의해 가이드가 시작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기관으로의 진입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밀폐 커프보다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반구형 형상 또는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이 가능할 수 있어, 상기 튜브부의 기관으로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커프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튜브부를 기관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기관을 밀폐시키도록 팽창되므로, 상기 밀폐 커프와 상기 가이드 커프가 모두 형성된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설계되면서도, 기관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함은 물론 기관의 밀폐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커프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 및 전측으로 팽창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튜브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커프들을 선택적으로 팽창시킴으로서, 기관으로의 가이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또는 비강 기관삽관 튜브는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한 기관 삽관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200, 300, 400 : 구강 또는 비강삽관 튜브
110, 210, 310, 410 : 튜브부
120, 220, 420 : 제1 벌룬
121, 221, 421 : 제1 내관
130, 230, 330, 430 : 제2 벌룬
131, 231, 331, 431 : 제2 내관
140, 240 : 밀폐 커프
150, 250, 350 : 가이드 커프
440 : 제1 가이드 커프 450 : 제2 가이드 커프

Claims (14)

  1. 관의 형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부는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밀폐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1 벌룬; 및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2 벌룬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인입된 후 상기 기관을 밀폐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불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 벌룬은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될때까지 상기 가이드 커프를 팽창시키고,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수축시키고,
    상기 제1 벌룬은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밀폐 커프를 팽창시켜 상기 기관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밀폐 커프의 전단(前段) 또는 후단(後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는 상기 가이드 커프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가 상기 밀폐 커프의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7. 관의 형태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부는 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를 통과하며 연장되어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벌룬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불균일하게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가 기관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거나 또는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으로 인입된 후 상기 기관을 밀폐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를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될때까지 상기 가이드 커프를 팽창시키며,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수축시키고,
    상기 벌룬은 상기 튜브부가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커프를 다시 팽창시켜 상기 기관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가 상기 기관 방향으로 인입되면, 튜브 교환 카테터를 삽입한 후 밀폐용 커프가 구비된 추가 튜브부로 상기 튜브부를 대체하고 상기 기관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둘레를 따라 비대칭 구형으로 팽창하여 상기 튜브부는 상기 가이드 커프의 중심으로부터 전측(前側)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後側)부로 팽창되는 양이 상기 튜브부의 전측(前側)부 팽창되는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프는,
    상기 튜브부의 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제1 가이드 커프; 및
    상기 튜브부의 후측부로부터 반구형 형상으로 팽창하는 제2 가이드 커프를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제1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1 벌룬; 및
    상기 제2 가이드 커프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제2 벌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커프의 부피는 상기 제2 가이드 커프의 부피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KR1020170054658A 2016-05-13 2017-04-27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KR10193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1,329 US20190282776A1 (en) 2016-05-13 2017-05-12 Asymmetrical-cuffed oral or nasal endotracheal tube
PCT/KR2017/004964 WO2017196134A1 (en) 2016-05-13 2017-05-12 Asymmetrical-cuffed oral or nasal endotracheal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21 2016-05-13
KR20160058621 201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93A KR20170128093A (ko) 2017-11-22
KR101938304B1 true KR101938304B1 (ko) 2019-04-10

Family

ID=6081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58A KR101938304B1 (ko) 2016-05-13 2017-04-27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282776A1 (ko)
KR (1) KR101938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15B1 (ko) * 2018-02-08 2019-11-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기관 삽관용 튜브
CN111346284A (zh) * 2020-03-12 2020-06-3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鼻部护理用通气气管防折损式辅助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073B2 (ja) 1995-11-03 2000-03-21 グルポ グリフォルス,エス.エー. タンパク質中のウイルスを不活性化する方法
WO2010129327A1 (en) 2009-05-05 2010-11-11 Tufts Medical Center Tracheal intub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1210A (en) * 1978-09-15 1982-07-27 Elam James O Cuffed endotracheal tube and method
JP3782123B2 (ja) * 1994-05-31 2006-06-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咽腔用エアウエイ
JP3024073U (ja) * 1995-09-21 1996-05-17 富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食道内挿入用チューブ
US5785051A (en) 1996-06-21 1998-07-28 University Of Rochester Signal generating endotracheal tube apparatus
US7942848B2 (en) * 2009-05-28 2011-05-17 Nader Rahimsobhani Medical apparatus for distribu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oreign substance to a predetermined area in living body
JP4634520B1 (ja) 2009-09-18 2011-02-23 医療法人社団神▲崎▼循環器クリニック 内視鏡式気管内挿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073B2 (ja) 1995-11-03 2000-03-21 グルポ グリフォルス,エス.エー. タンパク質中のウイルスを不活性化する方法
WO2010129327A1 (en) 2009-05-05 2010-11-11 Tufts Medical Center Tracheal intub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93A (ko) 2017-11-22
US20190282776A1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4380C (en) Laryngeal mask
US9320864B2 (en) Self-pressurizing supraglottic airway
EP0651664B1 (en) Laryngeal mask airway with concentric drainage of oesophagus discharge
JP5150851B2 (ja) 使い捨てラリンジアルマスク装置
JP6506610B2 (ja) 人工気道装置
US7694681B2 (en) Variable size endotracheal tube
MXPA04001648A (es) Dispositivo de ventilacion para una mascara laringeal.
ZA200600941B (en) Laryngeal Mask
KR101938304B1 (ko) 비대칭형 커프 구조를 갖는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US7013890B2 (en) Bronchial tube with an endobronchial Y-guide
KR101990336B1 (ko) 실리콘 밀폐 구조를 포함한 구강 또는 비강 기관 삽관 튜브
JP4424902B2 (ja) シングルルーメン挿管チューブを使用した気管支鏡挿入式気管支ブロッカー誘導システム
AU2004260552B2 (en) Laryngeal mask
US20190046748A1 (en) Ilma assembly having divided sheath
CA2100998C (en) Laryngeal mask airway with concentric drainage of oesophagus discharge
CN114010900A (zh) 免充气气管插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