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411B1 -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 Google Patents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11B1
KR101937411B1 KR1020170058725A KR20170058725A KR101937411B1 KR 101937411 B1 KR101937411 B1 KR 101937411B1 KR 1020170058725 A KR1020170058725 A KR 1020170058725A KR 20170058725 A KR20170058725 A KR 20170058725A KR 101937411 B1 KR101937411 B1 KR 10193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cking
wire
locking member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4362A (en
Inventor
허선호
강석주
이상동
윤성민
박기훈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11B1/en
Publication of KR2018012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for folding a headrest in a seat direction, if necessary, so 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a vehicle. A rotary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the rotary frame being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art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ry fram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a wire around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A ratchet member rotatably formed; And a pitch form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ratchet member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Description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folding a headrest in a seat direction when necessary, thereby improving the internal space utilization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착좌 시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및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the seat for a vehicle may include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hip portion of a passenger when seated, a seatback for supporting the passenger's back, and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neck and head of the passenger.

한편 차량용 시트는 착석한 승객에 따라 맞추어 적절한 안락감을 주기 위해서 시트백의 각도조절 기능(리클라이너), 시트 쿠션의 높이조절 기능,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기능(슬라이드장치)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 seat is basically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eat back angle adjustment function (recliner),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function, seat front / rear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slide device), etc. to provide appropriate comfort according to seated passengers can do.

아울러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전술한 시트의 기본적인 기능들 외, 승객의 편의를 위해서 또는 화물 적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시트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들을 더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hicle having two or more rows of three or more rows, the basic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seat, an additional function that can variously chang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eat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May be further provided.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팁 업(tip up) 기능이 있다. 팁 업이 가능한 시트는, 예컨대 미사용 중인 차량 시트에 대해 시트백과 시트 쿠션을 세워진 상태로 절첩시키고 이를 위해서 헤트 레스트를 폴딩시킴으로써, 차량 내 후열 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공간 활용을 높이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s one of these functions, there is a tip up function. The seat which can be tip-uped, for example, can fold the seat back and the seat cushion in a stan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unused vehicle seat and fold the heft rest for this purpose, thereby enhanc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assengers entering and leaving the rear seat in the vehicle, And can b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utilization.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헤드 레스트의 폴딩 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0447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캠과 회전캠이 서로 맞물린 록킹 상태에서 와이어로 회전캠을 회전시키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폴딩될 수 있다.Generally,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404478, when the rotating cam is rotated by a wire in a locked state in which the fixed cam and the rotating cam are meshed with each other, the fold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headrest is folded, .

한편, 종래의 헤드 레스트를 폴딩하기 위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에 조립되는 와이어는 공장 제조시 그 길이가 일정하지 못하여 조립 후 너무 느슨해져서 잡아 당겨도 폴딩 작동을 하지 못하거나 또는 조립 후 너무 팽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저절로 폴딩 작동되는 등 폴딩 작동의 제어가 원활하지 못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assembled to the headrest frame for folding the conventional headrest has a problem in that since the length thereof is not constan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factory, it becomes too loose after assembly and the folding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even if pull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folding operation is not smoothly controlled such as folding operation by itself.

이러한 와이어의 장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와이어 보호 튜브를 헤드 레스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에 다단 원주홈부를 형성하고, 작업자들이 조립 작업시 와이어의 길이나 장력에 따라 여러 개의 원주홈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게 하는 시도들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tension problem of the wire, conventionally, a multi-step circumferential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fastening portion for fixing the wire protection tube to the headrest fram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select and assemble any of the groov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들의 선택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한 오류가 여전히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후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및 와이어 튜브의 변형이나 마찰이나 길이 변화 등에 의해서 장력이 변하는 경우, 다시 폴딩 조작이 너무 둔감하거나 민감해지는 경향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in spite of such conventional efforts, errors caused by operator's mistakes still occur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workers, an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using for a long time after assembl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folding operation becomes too insensitive or sensitive again.

또한,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특성상, 조작하지 않더라도 와이어에는 많은 외력이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가혹한 환경에서 예기치 않게 헤드 레스트가 폴딩되어 안전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nn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many external forces, shocks, and vibrations are generated in the wire even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nd the headrest is unexpectedly folded in a harsh environment to cause safety accidents.

또한, 종래에는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시(unfolding)시 탄성 스프링의 하중이나 인체의 하중이 고정캠, 즉 록킹 부재에 집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하중이 고정 프레임 및 헤드 레스트 프레임의 정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치우쳐진 쪽으로의 변형을 유발시켜서 오동작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 차량 시험이나 인증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Conventionally, when the folding or unfolding is performed, the load of the resilient spring or the load of the human body is concentrated on the fixed cam, that is, the locking member. Such a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and headrest frame to on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phenomenon may be caused by causing deformation toward the biased side, and the rigidity and durability are deteriorated thereby adversely affecting vehicle testing and certification.

한편,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여 폴딩(folding) 과정에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정해진 정회전 각도에서 스톱되지 못하고 그 이상의 각도로 오버 폴딩(over folding)되거나 또는 언폴딩(unfolding) 과정에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정해진 역회전 각도에서 스톱되지 못하고 그 이상의 각도로 오버 언폴딩(over unfolding)되는 등 이 역시도 차량 시험이나 인증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headrest frame is structurally unstable and can not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forward rotation angle during a fold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over folding or unfolding at an angl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t is not stopped at a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angle, and over unfolding at an angl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has many problems such as adverse effect on vehicle test and cert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에 적당한 유격을 형성할 수 있어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결부에 단일 원주홈부를 이용하여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는 록킹 부재를 고정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고,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Error, etc.,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produc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afety,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By using a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portion in the faste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and reduce the assembly time, And the locking member is locat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ixed frame and the rotary frame, and the rigidity, durability, and operation precis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arranging the components evenly to the left and right, Avoid folding or over unfolding to achieve superior results in vehicle certification or testing To provide a headrest folding device that allows an object.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tionary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a seat side; A rotary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the rotary frame being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art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ry fram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a wire around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A ratchet member rotatably formed; And a pitch form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ratchet member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래칫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 및 상기 래칫 부재에 형성된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요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ng pin formed on one side of the ratchet member;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inge shaft to be rotatable about a second hinge axis formed on the ratchet member and having one side formed with a wire connection portion and a clearanc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loosely couple the protrusion pin And a yoke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크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는 정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상부와 접촉되고, 역회전시 여유 각도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하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wance groove portion of the yoke member contact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ed fin, the inner side portion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in, And may be formed in a C-shape or a closed arc shape with one side opened to prevent further ro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요크 부재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yoke member is normally rot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wherein the rotary frame includes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Wherein the left and right plates are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and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rotating frame are in balance of force Each of which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locking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nter position retain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so as to pass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lower plate of the revolving frame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revolving fram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래칫 부재를 상기 록킹 부재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이 위치될 수 있다.Further,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frame is folded; And a third resilient spring for restoring the ratchet member in a direction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wherein the third elastic spring urges the ratchet member in a direction toward the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spring and the third elastic spring can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frame further includes a stopper pin formed in a shape transverse from the left plate to the right plate of the rotating frame, The first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stopper pin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ontact surface from being biased in both directions, A third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ratchet member and a fourth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rotating frame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튜브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s protected by a wire tube, and the wire tube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part having a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fram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는 록킹 부재를 고정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고,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rrors in assembling parts, errors in assembling, errors in deformation during use, and errors in external force / impact / vibration during running are all actively accept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Also,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and reduce the assembling time, improve the productivity of assembly, and increase 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member, It is located at the center position and can arrange the components evenly horizontally to improve the rigidity, durability and precis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and prevent over folding or over unfolding phenomenon, Effect.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unlocked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5;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folding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such as a film,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lements may be directly "on", "connected",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r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do.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Also, relative terms such as "top" or "above" and "under" or "below" can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certain elements to other elements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ose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n the figures the elements are turned over so that the elements depicted as be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are orie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ample "top" may include both "under" and "top"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figure. If the element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the relative descriptions used herein can be interpreted according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2 in an enlarged manner.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크게 고정 프레임(10)과, 회전 프레임(20)과, 록킹 부재(30)와, 래칫 부재(40) 및 유격 형성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fixed frame 10, a rotating frame 20, a locking member 30 , A ratchet member 40 and a pitch forming device 60. [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시트백의 상단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시트백측 즉,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xed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eat back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t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시트백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시트백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세로 프레임(11)(11) 및 상기 세로 프레임(11)(11)들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xed frame 10 includes two vertical frames 11 (see Fig. 1)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back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tback ) 11 and a transverse frame 12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11, 11.

여기서, 상기 가로 프레임(12)은 스스로 회전되지 않지만, 후술될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형성된 힌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폴딩 및 언폴딩시 회전축, 즉 회전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형의 파이프나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2 is not rotated by itself but inserted into a hinge hole formed in the rotary frame 2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erve as a rotation axis or a rotation center when folding and unfolding the rotary frame 20. [ And may be formed into a circular pipe or a circular rod shape.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상기 회전 프레임(20)과,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와, 상기 와이어(50)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를 고정 지지하거나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각종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의 모든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들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10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rotary frame 20, the locking member 30, the ratchet member 40, the wire 50 and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60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rawings, and various structures of various pipes or rod shapes can be applied.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1 to 3, the rotary frame 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tationary frame 10, and is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기 가로 프레임(12)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인 것으로서, 상판(21), 좌측판(22), 우측판(23) 및 하판(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rotary frame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frame 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orizontal frame 12 of the fixed frame 10 A left side plate 22, a right side plate 23 and a lower side plate 24. The upper plate 21, the left plate 22, the right plate 23,

여기서,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것은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록킹 부재(30)나 상기 래칫 부재(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은 물론이고, 제품 제조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고장시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front and rear of the rotary frame 20 are ope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30 and the ratchet member 40 provided inside,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ork spa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pair and to facilitate the repair in case of failure.

따라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의해서 상기 시트백을 방향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가 폴딩될 수 있다.Therefore, the headrest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by the fixed frame 10 and the rotating frame 20 capable of rotating based on the fixed frame 10.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에 걸림홈부(F)가 형성되는 일종의 고정체일 수 있다.1 to 3, the locking member 30 may be a kind of fixing body provided on the fixing frame 10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 formed in a part thereof.

이와 대응되는, 상기 래칫 부재(4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F)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T)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T)가 상기 걸림홈부(F)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와이어(5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체일 수 있다.The ratchet member 40 corresponds to the ratchet member 40. The ratchet member 40 is formed in the rotary frame 20 a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 to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 to be locked, T may be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F so that the locking can be released by the wire 50 about the first hinge axis H1.

따라서, 상기 래칫 부재(40)는 언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와이어(50)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홈부(F)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부(T)가 이탈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atchet member 40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latching protrusion T can b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F of the locking member 30 to maintain the latching state. When the ratchet member 40 is in the folding state, The hook 50 is pivoted and the latching protrusion T is released from the latching groove F to release the latching state.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와이어(50)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50)와 상기 래칫 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완충 유격 장치일 수 있다.1 to 3,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wire 50 and the ratchet member 40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50. In addition, Which may be a kind of cushioning device.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래칫 부재(4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61) 및 상기 래칫 부재(40)에 형성된 제 2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50)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63)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61)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64)가 형성되는 요크(yoke)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60 includes a protruding pin 61 formed on one side of the ratchet member 40 and a protruding pin 61 formed on one side of the ratchet member 40 and a second hinge shaft 40 formed on the ratchet member 40. [ A wire connecting portion 63 connected to the wire 5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63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allow the protruding pin 61 to be loose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a yoke member 62 on which a plurality of yoke members 64 are formed.

도 4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1, and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부재(62)의 상기 여유홈부(64)는 상기 요크 부재(62)의 정회전시(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61)의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요크 부재(62)의 역회전시(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회전시) 여유 각도(K)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61)의 상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allowance groove portion 64 of the yoke member 62 is position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yoke member 62 The inner side portion of the yoke member 62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in 61 an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allowance angle K during reverse rotation of the yoke member 62 Shaped portion or a closed circular ar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in 61 and is no longer rotated.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요크 부재(62)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6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spring 65 to which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yoke member 62 is rotated forward have.

즉,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어(50)는 여러 가닥의 단위 와이어들이 서로 꼬여져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와이어(50)는 케이블 경로의 마찰 손실이나 제품 산포(공차)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와이어(50)의 길이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래칫 부재(40)가 상기 록킹 부재(30)에 불안정한 상태로 일부분만 걸려서 록킹이 유지되고 있는 현상, 즉 부분 록킹 상태가 발생될 수 있지만, 이러한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가 이러한 부분 록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초기 작동 스트로크의 일부분을 상술된 여유 각도(K)로 완충시켜서 조립자가 후술될 단일 원주홈부(51a)에만 조립하더라도 정상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조립자들이 여러 개의 원주홈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1개의 원주홈부에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in general, the wire 50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the unit wires, and the wire 50 is deformed such that the length is shortened due to frictional loss of the cable path or product dispersion (tolerance)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ratchet member 40 is partially locked in the unstable state of the locking member 30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length of the wire 50 so that the locking is maintained, that is, the partial locking state is generated However, even if the assembler assembles only to the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portion 51a to be described later by buffering a part of the initial operating stroke with the above-mentioned clearance angle K so that such a leg forming device 60 can prevent such partial locking phenomenon Allowing normal operation, thereby allowing the assembler to select one of the several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o assemble one circumferential groove It is possible to assemble easily and quickly to the groove portion, and the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그러므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tively accept errors such as errors in assembling parts, errors in assembly, distortion errors during use, and external / impact / vibration errors during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products. Thus, safety, reliability and durability Can greatly improv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록킹 부재(30)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12)의 중심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좌측판(22)과 상기 우측판(23)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30)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4, the locking member 30 may be install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2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The left side plate 22 and the right side plate 23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around the locking member 30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부재(30)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30)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에 형성된 가이드홀(G)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S)가 형성될 수 있다.1 to 5, the locking member 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30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30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tation frame 20, A center position maintaining protrusion S passing through a guide hole G formed in the lower plate 24 of the base plate 20 may be formed.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70) 및 상기 래칫 부재(40)를 상기 록킹 부재(30)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80)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3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50)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70)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80)이 위치될 수 있다.1 to 5, a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2, a second frame 3, a second frame 4, Further comprising a third resilient spring (80) to which a resilient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silient spring (70) and the ratchet member (4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30) The wire 50 and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60 are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mber 30 and the second elastic spring 70 and the third elastic spring 80 are positioned at the opposite side .

그러므로,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록킹 부재(30)를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기 가로 프레임(12)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positioning the locking member 30 in which the load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positioning it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tary frame 20,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precision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좌측판(22)에서 상기 우측판(23)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P)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30)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P)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F1)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F2)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40)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F3)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F4)이 형성될 수 있다.1 to 5, the rotating frame 20 is formed in a shape that traverses from the left side plate 22 to the right side plate 23 of the rotating frame 20 And a stopper pin (P), wherein the locking member (30) has a first contact surface (F1)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in (P) so as to prevent an unfolding in the unfolding mode in both directions, A second contact surface F2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lower plate 24 of the rotary frame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lower plate 24, A contact surface F3 and a fourth contact surface F4 contac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late 24 of the rotary frame 20 may be formed.

따라서, 무리한 힘이나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전복이나 긴급 사태를 예상하는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 folding or over unfolding of the headrest caused by unreasonable force or external force, so that excellent results can be obtained in the certification or test of a vehicle that predicts a collision, rollover, or emergency of the vehicle.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0)는 와이어 튜브(WT)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WT)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형성된 오목홈부(20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51a)가 형성된 체결부(51)가 형성될 수 있다.1 to 5, the wire 50 is protected by a wire tube WT, and the wire tube WT is supported by a concave groove portion 20a (not shown) formed in the rotary frame 20, And a fastening part 51 having a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part 51a formed at one side thereof can be formed.

따라서, 상기 체결부(51)에 상기 단일 원주홈부(51a)를 이용하면 어떠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1개의 원주홈부에만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if the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portion 51a is used in the fastening portion 51, the operator can assemble only one circumferential groove portion in any case,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reducing the assembly tim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assembly.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대기 상태(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ndby state (unfolded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1,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unlocked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folding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6, and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unfolding state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of FIG.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0)에 아무런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즉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걸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5 to 8,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fol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as shown in FIG. 5, The latching protrusion T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F of the locking member 30 so that the locking member 30 and the ratchet member 30 40 can be maintained as it is.

이 때, 만약, 상기 요크 부재(62)는 상기 여유 각도(K) 내에서는 회전된다 하더라도 상기 와이어(50)의 장력이 그대로 상기 래칫 부재(40)에 전달되지 않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yoke member 62 rotates within the clearance angle K, the tension of the wire 50 can be buffered not transmitted to the ratchet member 40 as it is.

그러므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tively accept errors such as errors in assembling parts, errors in assembly, distortion errors during use, and external / impact / vibration errors during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products. Thus, safety, reliability and durability Can greatly improve.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부재(62)는 상기 여유 각도(K) 이상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50)의 장력이 상기 래칫 부재(40)로 전달되어 상기 래칫 부재(40)가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폴딩될 수 있다.6, when the yoke member 62 is rotated over the clearance angle K, the tension of the wire 50 is transmitted to the ratchet member 40 so that the ratchet member 40 The rotation frame 20 can be fold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spring 70 while the locking of the locking member 30 and the ratchet member 40 is released.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A 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을 완료하면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제 3 접촉면(F3)이 상기 래칫 부재(40)와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 4 접촉면(F4)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전방부와 접촉되어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다.7, when the rotary frame 20 is rotated in the A direction to complete the folding, the locking member 30 contacts the third contact surface F3 with the ratchet member 40 And at the same time, the fourth contact surface F4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late 24 of the rotary frame 20 to prevent it from being overfolded in the folding mode in both directions.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제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을 B 방향으로 언폴딩시키거나 또는 전동으로 언폴딩시키면, 다시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걸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8, when the user forcibly unfolds or rotationally unfolds the rotary frame 20 in the direction B, the engaging groove portion F of the locking member 30 is retracted The latching protrusion T can be inserted so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30 and the ratchet member 40 can be maintained.

이 때,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제 1 접촉면(F1)이 상기 스토퍼 핀(P)과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면(F2)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후방부 접촉되어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mber 30 contacts the stopper pin P while the second contact surface F2 contacts the lower plate 24 of the rotary frame 20, So that it can be prevented in both directions from being over-folded in the unfolding mo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고정 프레임
11: 세로 프레임
12: 가로 프레임
20: 회전 프레임
21: 상판
22: 좌측판
23: 우측판
24: 하판
30: 록킹 부재
40: 래칫 부재
50: 와이어
51: 체결부
60: 유격 형성 장치
61: 돌출핀
62: 요크 부재
63: 와이어 연결부
64: 여유홈부
65: 제 1 탄성 스프링
70: 제 2 탄성 스프링
80: 제 3 탄성 스프링
100: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10: Fixed frame
11: Vertical frame
12: Horizontal frame
20: Rotating frame
21: Top plate
22: Left side plate
23: Right side plate
24: Lower plate
30: Locking member
40: ratchet member
50: wire
51:
60:
61: projecting pin
62: yoke member
63:
64:
65: first elastic spring
70: Second elastic spring
80: third elastic spring
100: headrest folding device

Claims (9)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가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A stationary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eat side;
A rotary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the rotary frame being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art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ry fram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a wire around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A ratchet member rotatably formed; And
A ratche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wire and the ratchet member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Lt; / RTI >
Wherein the fixed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The rotating frame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lower plate which are opened front and rea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orizontal frame,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Wherein the left plate and the right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locking member, respectively,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Wherein a center position hold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so as to pass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lower plate of the rotary frame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from deviating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tary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래칫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 및
상기 래칫 부재에 형성된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요크 부재;
를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comprises:
A protruding pin formed on one side of the ratchet member; And
A yoke portion having a wir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formed with a clearance groove portion for loosely coupling the protruding pin to the other side, absence;
The headrest folding device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는 정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상부와 접촉되고, 역회전시 여유 각도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하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yok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in an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allowance angle in the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inner rudder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in, And is formed into an open C-shaped or closed circular arc sha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요크 부재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comprises:
A first elastic spring to which a restoring force ac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yoke member is rotated forward;
The headrest f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래칫 부재를 상기 록킹 부재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이 위치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A stationary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eat side;
A rotary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the rotary frame being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art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ry fram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a wire around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A ratchet member rotatably formed; And
A ratche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wire and the ratchet member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Lt; / RTI >
Wherein the fixed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The rotating frame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lower plate which are opened front and rea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orizontal frame,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Wherein the left plate and the right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locking member, respectively,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A second elastic spring to which a restoring force ac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frame is folded; And
And a third resilient spring to which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atchet memb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In which the wire and the clearance forming device are positio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spring and the third elastic spring ar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for balance of force and space utilization, .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이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A stationary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eat side;
A rotary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the rotary frame being installed on the headrest sid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art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ry fram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by a wire around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A ratchet member rotatably formed; And
A ratche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wire and the ratchet member so as to form a clearance on the wire;
Lt; / RTI >
Wherein the fixed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The rotating frame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lower plate which are opened front and rea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orizontal frame,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Wherein the left plate and the right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locking member, respectively, so as to maintain a balance of force,
The rotating frame includes:
And a stopper pin formed in a shape transverse from the left plate to the right plate of the rotating frame,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in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formed so as to prevent the unfolding in the unfolding mode in both directions,
Wherein a third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atchet member and a fourth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re formed to prevent bi-directional overfolding in the fold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튜브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is protected by a wire tube,
Wherein the wire tube is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single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frame.
KR1020170058725A 2017-05-11 2017-05-11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KR101937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en) 2017-05-11 2017-05-11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en) 2017-05-11 2017-05-11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62A KR20180124362A (en) 2018-11-21
KR101937411B1 true KR101937411B1 (en) 2019-01-11

Family

ID=6460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en) 2017-05-11 2017-05-11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888B (en) * 2019-04-28 2021-03-0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Turnover headrest
CN111452690B (en) * 2020-05-14 2023-09-01 舟山市银岱汽车零部件有限公司 Supporting device of automobile headrest
US11584275B2 (en) * 2020-06-16 2023-02-21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Headrest assembly configured to resist vib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13B1 (en) 2003-03-24 2006-05-10 주식회사 우보테크 Headrest for cars
KR100582529B1 (en) * 2005-04-25 2006-05-22 주식회사 우보테크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KR100982796B1 (en) 2008-01-30 2010-09-16 정해일 Headrest for cars
KR101684319B1 (en)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13B1 (en) 2003-03-24 2006-05-10 주식회사 우보테크 Headrest for cars
KR100582529B1 (en) * 2005-04-25 2006-05-22 주식회사 우보테크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KR100982796B1 (en) 2008-01-30 2010-09-16 정해일 Headrest for cars
KR101684319B1 (en)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62A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KR101937411B1 (en) 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KR100601809B1 (en) Folding recliner of vehicular seat
US8459747B2 (en) Vehicle seat
JP4850476B2 (en) Vehicle seat
US10518672B2 (en) Vehicle seat
WO2012086803A1 (en) Vehicle seat
US6983993B2 (en) Vehicle seat with fold-flat position
US20100187874A1 (en) Internal structure of seatback connected to active headrest
US8376442B1 (en) Latch assembly for a rear row stadium style jump seat
US20170182916A1 (en) Headrest
KR101219311B1 (en) Headrest module for vehicle
US20180141473A1 (en) Vehicle seat
US20170313214A1 (en) Vehicle seat
JP5317721B2 (en) Vehicle seat
JP2002104039A (en) Pop-up seat
US10173569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736829B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rail of vehicles
JP6062347B2 (en) Vehicle seat
JP5003169B2 (en) Seat back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3977030B2 (en) Seat cushion lock structure for flip-up type storage seat
JP2018083451A (en) Vehicle seat
JP5446739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2013067281A (en) Shock absorbing sheet for vehicle
US10793042B2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