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912B1 -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912B1
KR101936912B1 KR1020180074484A KR20180074484A KR101936912B1 KR 101936912 B1 KR101936912 B1 KR 101936912B1 KR 1020180074484 A KR1020180074484 A KR 1020180074484A KR 20180074484 A KR20180074484 A KR 20180074484A KR 101936912 B1 KR101936912 B1 KR 10193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wire
sea
lo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수
최진휴
Original Assignee
(주)미래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해양 filed Critical (주)미래해양
Priority to KR102018007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6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해수면에 위치하는 부표, 부표에 구비되는 측류판, 해저면에 고정되는 위치설정수단 및 상기 부표가 해류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면 와이어를 감아 부표를 원위치시키는 회수수단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동안 특정 지점 인근에서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LONG-TERM OBSERVATION SYSTEM OF WAVE-INDUCED CURRENT}
본 발명은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해수면에 위치하는 부표, 부표에 구비되는 측류판, 해저면에 고정되는 위치설정수단 및 상기 부표가 해류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면 와이어를 감아 부표를 원위치시키는 회수수단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동안 특정 지점 인근에서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빈류는 쇄파대에서 파랑의 잉여 응력에 의해 해빈(해안선을 따라서 해파와 연안류가 모래나 자갈을 쌓아 올려서 만들어 놓은 퇴적지대를 말한다.)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안 수리 현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빈류는 사빈이 형성된 해수욕장이나 자연 사빈 해안에서 모래 자원의 유실을 초래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백사장 침식에 따른 배후지의 붕괴나 사빈 해안의 유실로 국가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다른 곳에서 침식된 모래가 작은 어항으로 유입되어 퇴적됨에 따라 어항 기능의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해빈류는 연안 가까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이동시켜 주변 양식시설에 피해를 입히는 흐름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해빈류의 정확한 관측과 동시에 해역의 여러 지점에서 발생되는 해빈류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신속하게 취득하여, 해빈류에 대한 해안 수리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해양조사자료를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해빈류의 해양조사자료는 연안해역을 유동하는 해빈류를 파악하여 태풍이나 쓰나미와 같은 기상이변 및 해양환경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는데 사용되거나, 해빈류와 함께 이동하는 어군 등을 파악하여 어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등 최근에는 그 이용가치가 점점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연안해역에서 해빈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GPS 발신기가 장착된 관측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 바, GPS가 장착된 측류 장치를 선박을 이용하여 인근 해역으로 운반시킨 다음, 해당 수역에서 해류의 흐름에 편승되도록 측류 장치를 띄움으로써, 약 15일 내지 30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측류 부이가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측정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해빈류의 관측 시에는 수면에 부유하여 관측해역에서 해빈류를 따라 흐름 이동이 되는 부표를 투하하고, 이렇게 투하된 부표의 흐름 이동을 무인항공기 등에 의해 측정하여 이를 통하여 관측자가 해빈류 흐름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해빈류 관측시에는 부표 투하수단 및 부표 투하갯수, 부표 회수수단 등에 의해 해빈류 관측의 정확성 및 효율성, 경제성 등과 같은 관측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82326호 "원격 제어가 가능한 유무인 해양 조사선"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격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유인 및 무인 겸용으로 해양 조사선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한 해양 조사선이 구비되어 유인 조사선의 경우 악천후 혹은 접근 위험지역에의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본 해양조사선을 통하여 수심 측정 불가능 지역이라도 용이하게 해양 조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유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크기 이상으로 선박을 필요로 하므로 이동성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무인으로 해양 조사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관측해역에 부표의 투하 및 부표의 회수를 직접 수행해야 되는 등 해빈류 관측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인 선박을 이용한 해빈류의 관측시에는 얕은 수심에서는 선박 항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측 수행에 차질이 발생하고, 용선할 선박의 사정에 따라 관측시간을 부득이하게 변경하여야 되며, 파고가 약간만 거칠어도 관측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68592호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는 조사선 본체에 선박운항수단, 선박운항정보시스템, 동력전달부, 운용제어장치부가 구비되어 있는 무인 조사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사선 본체에 장착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와, 상기 조사선 본체가 운항하면서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제어장비부는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에서 원격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부표회수장치는 상기 조사선 본체의 선미에 타,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후단에 연결되고 수면에 보유하고 있는 부표의 하부에서 측류판을 일정길이로 연결하도록 한 지지로프가 걸리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수안내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역시 무인 조사선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수의 부표를 조사선 본체에서 투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종국적으로 부표 투하를 위하여 조사선 본체를 해당 수역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기상 악화 및 고파랑 내습과 같이 선박 운항이 불가한 경우나 사람이 바다에 직접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수역으로서의 접근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따라 정확한 해빈류 관측이 어려우며,
바다의 흐름을 관측하는 해역에 따라 다양한 수심 조건에서 관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부표는 측류판이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깊은 수심의 해빈류를 정확하게 관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30252호 "해빈류 관측 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GPS 발신기가 내장된 부표에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관측 장치 자체가 원격으로 조종하여 자항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빈류 관측을 위한 해당 수역의 접근성에 상관없이 모든 수역에 해빈류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해빈류 관측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본 장치의 경우 조사기간 동안 해빈류 관측 장치의 위치를 계속 확인해야 하므로, 장기간의 해빈류를 관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표와, 해류의 흐름을 관측하는 측류판 및 상기 부표와 측류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해저면에 설치되는 위치설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위치설정수단에는 이동하는 부표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회수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특정한 위치에서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수단에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함에 따라 와이어가 최대로 풀어지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감겨 부표를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위치설정수단에 중량부재를 구비하여, 해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정위치 고정될 수 있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은
와이어가 연결되어 해수면에 위치하여 해빈류를 관측하는 부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해류에 따라 상기 부표를 이동시키는 측류판;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위치설정수단;
상기 위치설정수단에 구비되는 회수부재와, 상기 회수부재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해류에 의해 부표가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수부재가 회전하여 와이어를 상기 회수부배 외면에 감아 부표의 위치를 원위치시키는 회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은
부표와 해저면에 설치하는 위치설정수단을 와이어(로프)로 연결한 형태를 구성함에 따라 장기간 동안 특정 지점 인근에서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적정하게 설정한 후, 위치설정수단을 대상 지점에 투하하고, 와이어의 끝단에 해빈류를 관측하는 부표를 연결하여 투하하되, 해빈류에 따라 부표가 이동하여 와이어의 길이가 최대가 되면, 상기 회수수단에 의해 와이어를 감아 부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한 지점에서 장기간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고,
관측이 끝날 시점에 GPS를 이용하여 설치위치로 부표를 이동시켜 장비를 회수함으로서 보다 손쉽게 관측 시스템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의 회수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S)은 부표(10)와 측류판(20), 위치설정수단(30) 및 회수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표(10)는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부표(10)에는 상기 위치설정수단(30)과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11)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의 와이어(11)는 와이어(11), 로프, 줄 등의 다양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부표(10)의 하부에는 해류의 흐름을 측정하기 위한 측류판(2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측류판(20)은 와이어(1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와이어(11)를 따라 설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 즉 수심에 따라 상기 측류판(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류판(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날개(21)로 형성되어 해빈류의 변화에 의해 위치가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개별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부유가 전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수개로 형성된 날개(21)가 해빈류의 변화에 의해 회전 및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부유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류판(20)은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날개(21)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수 및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부유에는 수집된 위치 정보를 일정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송신하기 위한 GPS모듈, 해빈류의 흐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및 데이터저장부, 상기 데이터를 무선송신 시키기 위한 송수신부 등의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 부표(10)는 와이어(11)를 통하여 위치설정수단(3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는 회수수단(40)이 구비되고, 이 회수수단(40)에 와이어(11)가 결합되어 부표(10)와 위치설정수단(3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부(31)와, 상기 바닥부(31)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기둥프레임(32) 및 상기 기둥프레임(32)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며, 이 바닥부(31)와 각각의 기둥프레임(32)들 및 상부프레임(33) 내측에 공간부(30a)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둥프레임(32)과 상부프레임(33)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면과 측면은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해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면, 즉 상부프레임(33)들 사이를 통하여 와이어(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설정수단(30)은 해저면에 놓여지는 것으로서, 외력(해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3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량부재(35)가 구비되어 하중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바닥부(31)에는 별도의 결합고리(37)를 더 구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결합고리(37)에 앵커 등의 설치장치를 연결하여 해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위치설정수단(30)의 내측에는 와이어(11)가 연결되되, 상기 부표(10)가 이동하면, 와이어(11)를 당겨 상기 부표(10)를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회수수단(40)이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회수수단(40)은 회수부재(41)와, 상기 회수부재(41)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탄성부재(43)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회수부재(41)와, 상기 회수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3)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회수부재(41)는 상기 위치설정수단(30), 보다 정확하게는 바닥부(3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부재(41)의 외면에는 와이어(11)의 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회수부재(41)의 내측에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3)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 탄성부재(43)의 일단은 회수부재(41) 내측에 구비되는 결합봉(411)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43)의 타단은 상기 회수부재(4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탄성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스토핑이 구비되어 회수부재(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류에 의해 부표(10)가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수부재(41) 외면에 감겨있던 와이어(11)가 풀리게 되고, 와이어(11)의 길이가 최대치가 되는 경우, 상기 스토핑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3)의 복원력으로 회수부재(41)가 회전하여 와이어(11)를 외면에 감아 부표(10)를 다시 원위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수단(30)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위치설정수단(30)의 바닥부(31)에 중량부재(35)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량부재(35)의 저면에는 별도의 플랜지부(35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351)를 바닥부(31)에 변형볼트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수단(T)은 바닥부(31)에 구비되는 결합홈(T10)과, 상기 결합홈(T10)에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부(351)에 구비되는 통과공(T1)에 삽입되는 변형볼트(T20) 및 상기 변형볼트(T2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T10)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결합봉(T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상기 결합수단(T)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바닥부(31)에는 결합홈(T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홈(T10)은 일반적인 홈의 형상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우선 도면을 참조하여 그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결합홈(T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홈(T10)은 직선나선부(T11)와 사선형성부(T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입체적으로 보면, 상기 결합홈(T10)을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벽면에 직선나선부(T11)가 형성되고, 이 결합홈(T10)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돌기부(T14)가 구비되며, 이 돌출돌기부(T14)는 상기 결합홈(T10)의 저면 외측에서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외면을 사선형성부(T12)라 지칭하도록 한다.
상기 변형볼트(T20)는 헤드부(T21)와, 상기 헤드부(T21)에 구비되는 몸체부(T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부(T22)에는 상기 직선나선부(T1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T2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부(T22)는 상기 결합홈(T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도록 오목부(T22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형볼트(T20)가 상기 결합홈(T10)에 회전결합을 하면, 상기 돌출돌기부(T14)가 상기 오목부(T222)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변형볼트(T20)는 상기 플랜지부(351)에 구비되는 통과공(T1)을 관통하여 결합홈(T10)에 회전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형볼트(T20)의 헤드부(T21)가 상기 플랜지부(351)의 통과공(T1)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변형볼트(T20)의 헤드부(T21)에는 평탄한 가압부(T211)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T21)의 상면은 곡선형의 곡선부(T212)로 이루어져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변형볼트(T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T21)의 상면에는 드라이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변형볼트(T20)를 회전시켜 상기 통과공(T1)을 관통한 후 결합홈(T10)에 고정시키면 상기 중량부재(35)가 바닥부(31)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되는데,
보다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합봉(T30)을 더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결합봉(T30)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내측에는 상기 사선형성부(T12)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홈(T141)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조홈(T141)은 그 입체 형상을 볼 때 환형의 홈이 아니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보조홈(T141)은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외면이 곡선형을 이룸에 따라 상기 보조홈(T141)도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홈(T141)의 상부를 평면도로 보면 도 4의 확대도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봉(T30)은 몸통부(T31)와 상기 몸통부(T31)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T33)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다리부(T33)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T33)가 상기 보조홈(T141)에 휘어지며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형볼트(T20)에는 상기 결합봉(T30)이 내삽될 수 있는 내삽공(T24)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결합홈(T10)에 변형볼트(T20)를 회전시켜 결합 시킨 후, 상기 결합봉(T30)을 상기 변형볼트(T20)의 내삽공(T24)에 삽입하고, 상기 결합봉(T30)의 몸통부(T31)를 망치 등으로 치면 상기 몸통부(T31)가 상기 내삽공(T24) 내에 삽입되며, 이 때 상기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리부(T33)가 상기 보조홈(T141)에 끼워지게 되어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몸통부(T31)의 직경은 상기 내삽공(T24)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몸통부(T31)가 내삽공(T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다 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통부(T31)의 외면에는 환형돌기부(T311)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내삽공(T24)의 내측에는 상기 환형돌기부(T311)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홈부(T2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몸통부(T31)를 내삽공(T24)에 집어넣을 때 강한 힘을 주면 자연스럽게 환형돌기부(T311)가 상기 환형홈부(T241)에 끼워져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 경우에는 상기 몸통부(T31)의 직경이 상기 내삽공(T24)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구성하고, 상기 몸통부(T31)의 재질은 반 경질재질로 구성하여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부(T33)에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돌출돌기(T3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홈(T141)에는 상기 고정돌출돌기(T331)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끼움홈(T1411)(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돌출돌기부(T14)의 상부에는 진입안내뾰족부(T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부(T33)가 자연스럽게 보조홈(T141)에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10 : 부표 11 : 와이어
20 : 측류판 21 : 날개
30 : 위치설정수단 31 : 바닥부
32 : 기둥프레임 33 : 상부프레임
35 : 중량부재 351 : 플랜지부
37 : 결합고리
40 : 회수수단 41 : 회수부재
411 : 결합봉 43 : 탄성부재

Claims (4)

  1. 와이어(11)가 연결되어 해수면에 위치하여 해빈류를 관측하는 부표(10);
    상기 와이어(11)에 연결되어 해류에 따라 상기 부표(10)를 이동시키는 측류판(20);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위치설정수단(30);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1)의 단부가 결합되는 회수부재(41)와, 상기 회수부재(41)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3)를 포함하여,
    해류에 의해 부표(10)가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43)에 의해 상기 회수부재(41)가 회전하여 와이어(11)를 상기 회수부재(41) 외면에 감아 부표(10)의 위치를 원위치시키는 회수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는
    해저면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중량부재(3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량부재(35)에는 플랜지부(351)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351)가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 결합수단(T)을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결합수단(T)은
    상기 위치설정수단(30)에 구비되는 결합홈(T10)과 상기 결합홈(T10)에 체결되도록 상기 플랜지부(351)에 구비되는 통과공(T1)을 관통하는 변형볼트(T20) 및 상기 변형볼트(T2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T10)에 구비되는 보조홈(T141)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봉(T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3)는
    일단이 상기 회수부재(41)의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11)의 단부와 결합되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류판(20)는 다수의 날개(2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30)은
    바닥부(31)와, 상기 바닥부(31)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기둥프레임(32) 및 상기 기둥프레임(32)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33)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공간부(30a)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KR1020180074484A 2018-06-28 2018-06-28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KR10193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84A KR101936912B1 (ko) 2018-06-28 2018-06-28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84A KR101936912B1 (ko) 2018-06-28 2018-06-28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912B1 true KR101936912B1 (ko) 2019-01-11

Family

ID=6502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84A KR101936912B1 (ko) 2018-06-28 2018-06-28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36B1 (ko) * 2021-01-25 2021-06-17 (주)미래해양 해빈류 관측장치
KR102379117B1 (ko) * 2022-01-04 2022-03-25 황용희 대기전력 소모량이 저감된 iot 스마트 부표
KR102448527B1 (ko) * 2021-12-27 2022-09-29 황용희 Iot 스마트 부표
CN116923635A (zh) * 2023-07-28 2023-10-24 山东万创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油气开采深度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657367A (zh) * 2024-02-02 2024-03-08 浙江大学海南研究院 一种便携式自延展潜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36B1 (ko) * 2021-01-25 2021-06-17 (주)미래해양 해빈류 관측장치
KR102448527B1 (ko) * 2021-12-27 2022-09-29 황용희 Iot 스마트 부표
KR102379117B1 (ko) * 2022-01-04 2022-03-25 황용희 대기전력 소모량이 저감된 iot 스마트 부표
CN116923635A (zh) * 2023-07-28 2023-10-24 山东万创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油气开采深度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923635B (zh) * 2023-07-28 2024-01-30 山东万创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油气开采深度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657367A (zh) * 2024-02-02 2024-03-08 浙江大学海南研究院 一种便携式自延展潜标
CN117657367B (zh) * 2024-02-02 2024-04-05 浙江大学海南研究院 一种便携式自延展潜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912B1 (ko) 해빈류 장기 관측 시스템
US10578074B2 (en) Underwater energy generating system
EP3213121B1 (en) Touch down monitoring of an ocean bottom seismic node
CN108216492A (zh) 一种实现海洋数据区域监测的高精度潜标阵系统
KR101804181B1 (ko) 사진측량을 위한 연안기준점 표지판
AU2014279255B2 (en) Underwater mobile body
EP4063253A1 (en) A buoy for checking condi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tied to the said buoy
CN106352858A (zh) 一种大气海洋观测平台、系统、方法
CN105691556A (zh) 海洋环境噪声源记录浮标
KR101430252B1 (ko) 해빈류 관측 장치
CN206177295U (zh) 一种大气海洋观测平台、系统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CN206218176U (zh) 微小型潜艇
EP0788969A1 (fr) Véhicule subaquatique quasi immergé autopropulsé et radiocommandé
KR101536575B1 (ko) 해저면상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관측 시스템
KR102166842B1 (ko) 소형 수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환경 자료 관리 시스템
Heitsenrether et al. NOAA's recent development of a real-time ocean observing system to support safe navigation along US Arctic Coasts
Gould Direct measurement of subsurface ocean currents: a success story
Heitsenrether et al. Development of a standalone real-time water level measurement system to support safe navigation along Alaska's arctic coasts
JP6725811B2 (ja) ブイ式波高計測装置
Corredor et al. Platforms for coastal ocean observing
KR102385248B1 (ko) 서보모터를 이용한 소형 스마트 윈치
US20190033073A1 (en) Low cost ocean surface drifter for satellite tracking
KR20170127700A (ko) 바다 로드뷰 촬영 시스템
US20230011713A1 (en) Autonomous modular breakwa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