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34B1 -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 Google Patents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34B1
KR101936834B1 KR1020170060145A KR20170060145A KR101936834B1 KR 101936834 B1 KR101936834 B1 KR 101936834B1 KR 1020170060145 A KR1020170060145 A KR 1020170060145A KR 20170060145 A KR20170060145 A KR 20170060145A KR 101936834 B1 KR101936834 B1 KR 10193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conductor pattern
lambda
frequenc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5339A (en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3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8Integrated in a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입사각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 편파(TE편파, TM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 특성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한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는, 기판으로 형성되는 기판부(10); 상기 기판부(10)의 면상에 격자 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110)들이 형성되는 돌기부(100); 및 상기 돌기(110)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공진에 의해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도체패턴(210)들을 가지는 도체패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frequency stabiliz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cident angle, frequency s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larization (TE polarized wave, TM polarized wave), and easy to manufacture.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10 formed of a substrate; A protrusion (100)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arranged in a lattice form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0); And a conductor pattern part 20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110 and having conductor patterns 210 that selectively absorb frequencies by resonance.

Description

돌출형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본 발명은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사각에 따른 주파수 안정 특성, 편파(TE편파, TM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 특성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that is excellent in frequency s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cident angle, frequency s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larization (TE polarized wave, TM polarized wave), easy to manufacture, To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최근 들어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는 단위 셀로 선택한 구조의 기하학적인 모양뿐만 아니라, 단위 셀의 배열 형태 및 주기, 그리고 사용된 유전체 및 도체의 재질 특성 등에 따라 주파수 응답특성의 변화가 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정확하게 얻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제안되어 왔다.Recently,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SS)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the change of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depending on the geometry of the structure selected as the unit cell, the arrangement type and period of the unit cell, And various methods for accurately obtain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desired by a user have been studied and proposed.

일반적으로, 주파수 선택구조란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통과 혹은 차단시킬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곡면 또는 평면의 3차원적 표면(surface)을 의미한다.Generally, a frequency selective structure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surface of a curved surface or a flat surface artificially manufactured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pass or block a desired frequency.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8813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공간 필터 설계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의 단위 셀 구성 시, 사각형 모양 루프를 꼬불꼬불하게 적어도 한번 구부려, 꼬불꼬불하게 꺾인 사각형 모양 루프의 길이를 조정하는 단위 셀 구성 단계; 및 상기 FSS를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단위 구조들의 배열(단위 셀 배열)로 구성하여 공진주파수를 튜닝하는 단위 셀 배열 단계를 포함하는 단일 주파수 대역 필터링을 위한 공간 필터 설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The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118813. In the prior art document, in the spatial filter design method, when a unit cell of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 A unit cell constructing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ectangular loop which is bent at least once in a twisted manner; And a unit cell array step of tuning the resonance frequency by arranging the FSSs in an array of unit structures (unit cell array) having geometrically identical unit structures.

하지만, 선행문헌에는 2차원 표면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해 입사각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 편파(TE편파, TM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frequency stabiliz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and the frequency stability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TE polarized wave, TM polarized wave) are low due to the two-dimensional surface structure.

또한, 입사각 및 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을 얻고자 다수의 층을 구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입체형 패턴을 구성하는 경우 비아홀을 형성한 후 도체 패턴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Further, when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by forming a pattern with a plurality of layers in order to obtain frequency stabilization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incident angles and polarized wave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conductive pattern after forming a via hole,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881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188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격자 상으로 돌기를 형성한 후, 각각의 돌기에 주파수선택을 위한 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비아홀을 형성함이 없이 돌출형 3차원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입사각 및 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돌출형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 by forming a protrusion in a lattice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 while improving frequency s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cident angles and polarized wav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출형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기판으로 형성되는 기판부(10);A substrate portion (10) formed from a substrate;

상기 기판부(10)의 면상에 격자 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110)들이 형성되는 돌기부(100); 및A protrusion (100)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arranged in a lattice form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0); And

상기 돌기(110)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공진에 의해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도체패턴(210)들을 가지는 도체패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ductor pattern part 200 formed on a surface of the protrusions 110 and having conductor patterns 210 that selectively absorb a frequency by resonance.

상기 기판과 상기 돌기(110)들은,The substrate and the protrusions (110)

유전율 2.16, 유전정접(tanδ) 0.005인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A dielectric constant of 2.16, and a dielectric tangent (tan?) Of 0.005.

상기 돌기(110)들은,The protrusions (110)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대로 되는 기둥 또는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대로 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art is a column, the lower part is a polygonal column, the upper part is a polygonal pyramid, the lower part is a cylinder, the upper part is a truncated pyramid, or the lower part is a pyramid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olygonal prism pillars.

상기 돌기(110)들은,The protrusions (110)

밑면의 지름 또는 가로와 세로가 높이와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the same.

상기 돌기(110)들은,The protrusions (110)

상기 기판의 상부에 상기 기판과 동일한 재질의 유전체 물질을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 dielectric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by 3D printing.

상기 도체패턴(210)은,The conductor pattern 210 may be formed,

상기 돌기(110)들의 표면에 차폐대상 주파수에 대한 공진을 발생시키는 폭과 높이를 가지는 도전체를 3D 프린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nd by printing a conductor having a width and a height on the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10 to generate resonance with respect to a shielding target frequency.

상기 도체패턴(210)은,The conductor pattern 210 may be formed,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51λ 내지 0.53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중심부에 띠를 형성하는 중앙패치 도체패턴(211);A central patch conductor pattern 211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1 lambda to 0.53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and forms a band at the vertical cent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63λ 내지 0.65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상부에 띠를 형성하는 상부패치 도체패턴(213); 또는An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63 lambda to 0.65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to form a band o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or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57λ 내지 0.59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하부에 띠를 형성하는 하부패치 도체패턴(215);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A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7 lambda to 0.59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and forms a band at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As shown in FIG.

상기 도체패턴(210)은,The conductor pattern 210 may be formed,

차폐 대상 주파수에 대응하는 폭과 서로의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외주면의 둘레에 다단의 띠를 이루는 다단패치 도체패턴(217)으로 형성될 수 있다.Stage patch conductor pattern 217 that forms a plurality of band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to be shielded and a spacing between them.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격자 상으로 돌기를 형성한 후, 각각의 돌기에 주파수선택을 위한 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비아홀을 형성함이 없이 돌출형 3차원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입사각 및 편파에 따른 주파수 안정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by forming protrusions in a lattice pattern, conductor patterns for frequency selection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protrusions to form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without forming via holes, And the frequency stabiliz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is improved,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1)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돌기(110)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을 가지는 돌기(1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패치(middle patch) 도체패턴(211)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상부패치 도체패턴(213)을 가지는 돌기(1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부패치 도체패턴(213)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하부패치 도체패턴(215)을 가지는 돌기(1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하부패치 도체패턴(215)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다단패치 도체패턴(217)을 가지는 돌기(110)를 나타내는 도면.
1 shows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2 shows embodiments of the protrusion 110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trusion 110 having a central patch conductor pattern 211;
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iddle patch conductor pattern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patch conductor pattern 211. Fig.
6 is a view showing a protrusion 110 having an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7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FIG.
8 shows a protrusion 110 having a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9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trusion 110 having a multi-stage patch conductor pattern 217. Fig.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of disclosure, an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돌기(110)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otrusion 110 of FIG.

도 1과 같이 돌출형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상기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1)는, 기판으로 형성되는 기판부(10), 기판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돌기(110)들로 구성되는 돌기부(100) 및 돌기(110)들의 표면에 형성되는 3차원 도체패턴(210)들로 구성되는 도체패턴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1 hav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10 formed of a substrate and protrusions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0 Dimensional conductor patterns 210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00 and the protrusions 110. The conductor patterns 200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00 and the protrusions 110. [

상기 기판은 유전체 물질로 제작된다. 상기 유전체는 유전율 2.16, 유전정접(tanδ) 0.005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의 돌기(110)들이 형성되는 표면의 반대 표면에는 상기 도체패턴(210)들과 접속되어 접지를 형성하는 도체층인 접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is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The dielectric may b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2.16 and dielectric tangent (tan?) Of 0.005. A ground layer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rusions 110 are formed, which is a conductor layer connected to the conductor patterns 210 to form a ground.

상기 돌기(110)들은 상기 기판부(10)의 면상에 격자 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돌기(110)들은 도 2와 같이,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대로 되는 기둥 또는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대로 되는 기둥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10)들은 밑면의 지름 또는 가로와 세로가 높이와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110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0. As shown in FIG. 2, the protrusions 110 have a cone, a polygonal pyramid,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rism, a cylinder, a polygonal column, The column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colum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top as a truncated cone, or a column having a polygonal column as a lower portion and a polygonal column as an upper portion. The protrusions 1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bottom surface or the same height and width.

상기 돌기(110)들은 유전율 2.16, 유전정접(tanδ) 0.005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의 기판을 형성하는 동일한 유전체로 기판의 표면상에 사출성형 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11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3D printing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with the same dielectric material forming a substrate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2.16 and dielectric tangent (tan?) Of 0.005.

상기 도체패턴부(200)를 형성하는 도체패턴(210)들은 돌기(110)들의 표면에 차폐대상 주파수에 대한 공진을 발생시키는 폭과 높이를 가지는 도전체를 3D 프린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공진에 의해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전패턴(210)들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10은 다양한 도체 패턴을 가지는 삼각뿔대 형상의 돌기(110) 및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낸다.The conductor patterns 210 forming the conductor pattern part 200 are formed by 3D printing a conductor having a width and a height 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110 so as to generate resonance with respect to a frequency to be shielded, Thereby selectively shielding the frequency. These conductive patterns 2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FIGS. 3 to 10 illustrate a triangular pyramidal protrusion 110 having various conductor patterns and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이 형성된 돌기(110)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원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앙패치(middle patch) 도체패턴(211)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protrusion 110 formed with the center patch conductor pattern 21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dle patch conductor pattern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patch conductor pattern 211. FIG.

도 3과 같이, 상기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은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의 파장 λ의 0.51λ 내지 0.53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중심부에 띠를 이루며 형성된다.3, the center patch conductor pattern 211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1? To 0.53? Of the wavelength?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o be shielded, and is formed as a band 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protrusion 110 .

도 4의 경우, 상기 돌기(110)은 사각뿔대의 형상인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돌기(110)의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및 높이는 10mm가 되고, 상기 중앙패치 도체패턴(211)은 돌기(110)의 중앙부에서 모선의 길이가 4mm를 가지는 띠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FIG. 4, the protrusions 110 have a shape of a quadrangular pyramid.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10 are 10 mm and the center patch conductor pattern 211 is formed of a strip having a length of 4 mm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10.

상술한 도 4의 돌기(110)들로 구성되는 돌기부(100)를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의 경우 도 5와 같이, 15.82GHz의 TE편파와 15.72GHz의 TM편파와 공진되어 각각의 편파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the protrusions 100 formed of the protrusions 110 of FIG. 4, as shown in FIG. 5, the TE polarized wave of 15.82 GHz and the TM polarized wave of 15.72 GHz are resonated, .

도 6은 상부패치(top patch) 도체패턴(213)을 가지는 돌기(110)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protrusion 110 having a top patch conductor pattern 213. As shown in FIG.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패치 도체패턴(213)은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63λ 내지 0.65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상부에 띠를 이루도록 도체 물질을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다.6, the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63 lambda to 0.65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so that the conductor material Lt; RTI ID = 0.0 > 3D < / RTI >

도 7은 상부패치 도체패턴(213)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FIG.

도 7과 같이, 상기 도 6의 상부패치 도체패턴(213)을 가지는 돌기(110)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는 19.31GHz의 TE편파와 19.27GHz의 TM편파와 공진되어 각각의 편파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7,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including the protrusions 110 having the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of FIG. 6 is resonated with a TE polarized wave of 19.31 GHz and a TM polarized wave of 19.27 GHz, .

도 8은 하부패치(bottom patch) 도체패턴(215)을 가지는 돌기(110)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protrusion 110 having a bottom patch conductor pattern 215. FIG.

도 8과 같이, 상기 하부패치 도체패턴(215)는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57λ 내지 0.59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하부에 띠를 이루도록 도체 물질을 이용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다.8, the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7? To 0.59?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Of the shielding target, Lt; RTI ID = 0.0 > 3D < / RTI >

도 9는 하부패치 도체패턴(215)의 주파수 공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FIG.

도 9와 같이, 상기 도 8의 하부패치 도체패턴(215)을 가지는 돌기(110)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는 17.53GHz의 TE편파와 17.52GHz의 TM편파와 공진되어 각각의 편파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including the protrusions 110 having the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of FIG. 8 is resonated with the TE polarized wave of 17.53 GHz and the TM polarized wave of 17.52 GHz, .

도 10은 다단패치 도체패턴(217)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태의 돌기(110)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protrusion 110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yramid having a multi-stage patch conductor pattern 217. As shown in FIG.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도체 패턴은 차폐 대상 주파수에 대응하는 폭과 서로의 이격 간격(218)을 가지도록 외주면의 둘레에 다단의 띠를 이루는 다단패치 도체패턴(217)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10, the conductor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multi-stage patch conductor pattern 217 having a plurality of strip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shielding and a spacing 218 between them .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10: 기판부
100: 돌기부 110: 돌기
200: 도체패턴부 210: 도체패턴
211: 중앙패치 도전패턴 213: 상부패치 도전패턴
215: 하부패치 도전패턴 217: 다단패치 도전패턴
1: Frequency selection surface structure 10:
100: protrusion 110: protrusion
200: conductor pattern part 210: conductor pattern
211: center patch conductive pattern 213: upper patch conductive pattern
215: Lower patch conductive pattern 217: Multistage patch conductive pattern

Claims (8)

기판으로 형성되는 기판부(10);
상기 기판부(10)의 면상에 격자 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110)들이 형성되는 돌기부(100); 및
상기 돌기(110)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공진에 의해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도체패턴(210)을 가지는 도체패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패턴(210)은,
상기 돌기(110)들의 표면에 차폐대상 주파수에 대한 공진을 발생시키는 폭과 높이를 가지는 도전체를 3D 프린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A substrate portion (10) formed from a substrate;
A protrusion (100)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arranged in a lattice form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0); And
And a conductor pattern part (200) formed on a surface of the protrusions (110) and having a conductor pattern (210) for selectively absorbing a frequency by resonance,
The conductor pattern 210 may be formed,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med by 3D printing a conductor having a width and a height causing resonance with respect to a frequency to be shielded 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돌기(110)들은,
유전율 2.16, 유전정접(tanδ) 0.005인 유전체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and the protrusions (110)
A dielectric constant 2.16, and a dielectric tangent (tan?) Of 0.00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110)들은,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로 되는 기둥, 하부는 원기둥이고 상부는 원뿔대로 되는 기둥 또는 하부는 다각기둥이고 상부는 다각뿔대로 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s (110)
The lower part is a column, the lower part is a polygonal column, the upper part is a polygonal pyramid, the lower part is a cylinder, the upper part is a truncated pyramid, or the lower part is a pyramid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med of any one of a prismatic column and a polygonal prismatic colum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110)들은,
밑면의 지름 또는 가로와 세로가 높이와 같도록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s (110)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having a bottom diameter or width and height equal to h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110)들은,
상기 기판의 상부에 상기 기판과 동일한 재질의 유전체 물질을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s (110)
Wherein a dielectric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bstrate is formed on the substrate by 3D print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210)은,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51λ 내지 0.53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중심부에 띠를 형성하는 중앙패치 도체패턴(211);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63λ 내지 0.65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상부에 띠를 형성하는 상부패치 도체패턴(213); 또는
모선의 길이가 차폐 대상 전자파 파장 λ의 0.57λ 내지 0.59λ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기(110)의 수직 하부에 띠를 형성하는 하부패치 도체패턴(215);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The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claim 1,
A central patch conductor pattern 211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1 lambda to 0.53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and forms a band at the vertical cent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An upper patch conductor pattern 213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63 lambda to 0.65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to form a band o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or
A lower patch conductor pattern 215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s bar has a length of 0.57 lambda to 0.59 lambda of the electromagnetic wave wavelength lambda to be shielded, and forms a band at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 RTI > of th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210)은,
차폐 대상 주파수에 대응하는 폭과 서로의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외주면의 둘레에 다단의 띠를 이루는 다단패치 도체패턴(217)으로 형성되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The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claim 1,
A multi-stage patch conductor pattern (217) formed in a multistage ba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to be shielded and a spacing between them.
KR1020170060145A 2017-05-15 2017-05-15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KR101936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45A KR101936834B1 (en) 2017-05-15 2017-05-15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45A KR101936834B1 (en) 2017-05-15 2017-05-15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339A KR20180125339A (en) 2018-11-23
KR101936834B1 true KR101936834B1 (en) 2019-01-09

Family

ID=6456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45A KR101936834B1 (en) 2017-05-15 2017-05-15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8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91B1 (en) 2020-01-07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requency selective structure using laminated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321B1 (en) * 2022-04-25 2022-10-07 한화시스템(주) device having stealth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5205A (en) 2013-07-19 2013-11-2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Method for making curve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KR101504326B1 (en) 2014-02-05 2015-03-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structure i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KR101521211B1 (en) * 2014-01-27 2015-05-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roadband electromagnetic-wave absorber using meta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5205A (en) 2013-07-19 2013-11-2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Method for making curve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KR101521211B1 (en) * 2014-01-27 2015-05-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roadband electromagnetic-wave absorber using metamaterial
KR101504326B1 (en) 2014-02-05 2015-03-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structure i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ir K. Rashid 외 2인, "An Overview of Three-Dimensional Frequency-Selective Structures", IEEE Antennas and Propagation Magazine, Vol-56, No-3, 2014년 6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91B1 (en) 2020-01-07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requency selective structure using laminate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339A (en)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9298B2 (en) Multi-directional resonant-type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method for adjusting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performanc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9407011B2 (en) Broadband electromagnetic band-gap (EBG) structure
Deng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of a double-layer miniaturized-element frequency selective surface
JP6262617B2 (en) Surface current suppression filter and antenna device
AU7737001A (en) Multi-resonant, high-impedance surfaces containing loaded-loop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US9065180B2 (en) Surface for filtering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KR101936834B1 (en)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extruded 3 dimensional pattern structure
KR101664995B1 (en) Sheet f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 selectively
US20130278481A1 (en) Wideband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KR20190002515A (en) Stack patch antennas using dielectric substrates with patterned cavities
CN107171042B (en)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EP2499700B1 (en) Device for receiving and/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KR101921580B1 (en)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multiband
KR100866566B1 (en) Directional array structure antenna
JP4926099B2 (en)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 surface
EP3007272A1 (en) Ebg structure
US9768505B2 (en) MIMO antenna with no phase change
KR101063231B1 (en) Plannar omni-directional antenna using metamaterial technique
KR101756816B1 (en) Scalabl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miniaturized unit cell
KR100682996B1 (en)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 the filtering of a single frequency band
US20120146868A1 (en) Antenna superstrate composed of arrangement of cells with broken periodicity, antenna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473737B2 (en) Planar antenna
JP6769925B2 (en) Electromagnetic blocking structure, dielectric substrate and unit cell
KR101393280B1 (en) Dual band patch antenna
JP5698394B2 (en) Planar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