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065B1 -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 Google Patents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065B1
KR101936065B1 KR1020180043770A KR20180043770A KR101936065B1 KR 101936065 B1 KR101936065 B1 KR 101936065B1 KR 1020180043770 A KR1020180043770 A KR 1020180043770A KR 20180043770 A KR20180043770 A KR 20180043770A KR 101936065 B1 KR101936065 B1 KR 10193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inlet
overflow
shaft
ra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룡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최경룡
최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룡, 최원준 filed Critical 최경룡
Priority to KR102018004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0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A dehydration de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occulation mixing tank; a flocculant supplying unit; a sludge inlet unit; an organic flocculant charging unit; a rapid agitation unit; and a slow agit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hyd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blem of flocculated sludge being broken at the beginning of a dehydration device and a problem of leakage are solved by installing an inflow pipe, thereby enhancing dehydration efficiency.

Description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having enhanced efficiency of cohesion mixing tank,

본 발명은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슬러지의 탈수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 저류조에서 안정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며, 슬러지 인입부, 유기응집제 투입부, 급속교반부 및 완속교반부를 가진 응집혼화탱크에 상기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탈수가 잘되는 플록화된 슬러지를 만들고, 유입관과 주축베어링하우징부를 설치한 탈수장치로 탈수하는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dewatering system for increasing the dewatering efficiency using an agglomerate mixing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udge dewatering system for sludge dewatering system, comprising a sludge inlet, a sludge inlet, An agglomeration tank for making dewatered flocculated sludge by introducing a coagulant to be used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dge into a coagulation admixture tank having a slow stirring portion and dewatering by means of a dewatering device provided with an inlet pipe and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To increase the dehydration efficiency of the dehydrating device.

최근 생활하수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서 주변환경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고, 그에 따라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amount of living sewage is rapidly increasing, the pollution problem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seriously arising,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ffectively treat domestic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일반적으로, 물리/화학적 폐수처리기술은 중금속이 함유된 고농도의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 처리에 사용되며, 각종 약품이나 고분자 응집제 등으로 물과 분리하고 이때 생성된 중금속 함유 슬러지를 각종 탈수장치로 탈수 후 케이크는 건조시켜 매립하거나 소각하고, 탈리액은 생물학적 처리기술과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Generally, the physic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is used for treatment of domestic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heavy metals, and is separated from water by various chemicals or polymer flocculants, and the heavy metal-containing sludge generated at this time is dewatered The cake is dried and buried or incinerated, and the desalted liquid is processed using biological treatment and physical / chemical treatment techniques.

한편,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시설인 하수처리장의 경우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하수의 BOD농도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높아져서 슬러지중에 차지하는 미생물의 농도가 높아져서 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is a representative facility of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the BOD concentration of sewage introduced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becomes higher and the sedimentability of the sludge deteriorates.

또한, 기존 우수와 오수가 동시에 유입되는 관에서 우수와 오수가 분리되어 유입되는 관거로 하수관거 교체공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슬러지 중에 차지하는 무기성 고형물의 농도가 적어져서 침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sewage pipes are replaced with sewage pipes through which sewage and sewage are separated from the pipes in which the existing stormwater and sewage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the concentration of the inorganic solid in the sludge is reduced and the sedimentation property is lowered have.

그 결과, 기존의 설치 가동중인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의 농도저하로 탈수장치의성능저하 및 소화조(슬러지 감량화장치)의 성능저하가 발생되고 있다.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dewatering apparatus and the performance of the digester (sludge reducing apparatus) deteriorate due to the lowering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ludge in the existing sewage treatment plant in operation.

슬러지 처리 시스템은 침전지에서 고체와 액체의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되는 상등액을 월류시켜 방류시키고, 침전된 고형물을 침전물 이송 펌프로 침전물 이송관을 통해 슬러지 저류조로 이송시킨다.The sludge treatment system overflows the supernatant separate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solids and liquid in the sedimentation basin and transfers the sedimented solids to the sludge reservoir through the sediment transport pipe through the sediment transporting pump.

단, 침전된 고형물의 농도가 낮을 때는 농축장치를 통한 후 슬러지 저류조로 보내질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of precipitated solids is low, it may be sent to a post-sludge storage tank through a thickener.

이때, 슬러지 저류조로 이송된 침전 고형물은 수온, 슬러지 농도, 계절, 인발횟수 등에 따라 농도의 변화가 심하다.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precipitated solid transferred to the sludge storage tank varies greatly depending on water temperature, sludge concentration, season, and number of withdrawal.

슬러지 저류조에 저류된 슬러지는 슬러지 펌프를 통해 응집 혼화조로 이송된다. The sludge stor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is transferred to the coagulation tank through the sludge pump.

이와는 별도로,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응집제가 응집제 용해조에서 응집제 용해 교반장치에 의해 용해된 후 용해 응집제 이송펌프를 통해 응집 혼화조로 이송된다. Separately, the flocculant, which is dispensed to separate water from the sludge, is dissolved in the flocculant dissolver by the flocculant stirrer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locculant mix tank through the dissolved flocculant transfer pump.

상기 응집 혼화조로 이송되어온 슬러지와 응집제는 혼화조 교반장치에 의해 교반 혼합되며, 그 결과로서 플록(Floc : 응집체)이 형성된다. The sludge and the flocculant transferred to the coagulating bath are stirred and mixed by a mixing bath stirrer, and as a result floc (flocculent) is formed.

이렇게 형성된 플록은 플록 이송관을 통해서 탈수장치로 이송되어 탈수된다.The flock thus formed is conveyed to the dehydrating device through the flock conveying pipe and dehydrated.

상기 탈수장치는 내부에 스크류날개가 설치되어 일단부에 공급되는 플록화된 슬러지가 압축이동되면서 하부로 탈리여액이 배출되어 탈수가 이루어지고, 타단부로 케이크가 배출되는 스크류 타입의 다중원판 유동식이거나, 원심력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농축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외통과 내통으로 분리되어 있어 스크류의 차속으로 인해 슬러지를 이송하는 원심식 탈수기가 사용된다.The dewatering device may be a screw-type multi-disk fluid type in which a screw blade is provided therein and dewatering is performed while the flocked sludge supplied to one end is compressed and moved, A centrifugal dehydrator is used which is separated into an outer cylinder and an inner cylinder by centrifugal force to concentrate and separate the sludge and transfer the sludge due to the vehicle speed of the screw.

상기 다중원판 유동식 탈수장치는 동력소모가 적고, 내구성이 탁월하며, 저속회전으로 전동과 소음이 적며, 고회수율 효능(99% 이상)을 가지는 탈수 장치로, 신형이라 원심식에 의해 사용실적이 적은 문제점도 있으나, 반류수잉여슬러지와 부상슬러지 농축에 위한 농축장치로도 사용가능하다.The multi-disc type dewatering device is a dewatering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excellent durability, low speed rotation, low power and noise, and high recovery efficiency (over 99%). However, it can also be used as a concentrating device for concentrating surplus sludge and floating sludge.

다중원판 유동식 탈수장치는 스크류의 회전수가 약 3rpm이고, 다중원판 유동식 농축장치는 약 30rpm이라는 상이점이 있으나 원리는 대동소이하다.The principle of the multi-disk flow dewatering syste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crew rotation speed of about 3 rpm and the multi-disk flow concentrator is about 30 rpm.

상기 원심식 탈수기는 구성기가가 적으며, 밀혜형으로 악취발생이 적고, 무인 운전이 가능하나 고속회전으로 인한 소음 진동이 발생하고 동력소모가 많으며, 정밀하게 제작되어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으며, 이 또한 농축장치로도 사용가능하다.The centrifugal type dehydrator has a small number of constituent components and is less dense and odorous, and can operate unattended. However, it generates noises due to high speed rotation,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 is manufactured with high precision, It can also be used as a concentration device.

이때, 탈수장치의 안정적인 운전 및 자동화를 위해, 탈수장치에 유입되는 플록화된 슬러지는 응집 혼화조에서 가능한 한 일정한 농도와 수분을 갖게 하고 일정 강도를 가져 고형물이 잘 분리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and automation of the dewatering device, it is necessary that the flocized sludge introduced into the dewatering device has as uniform concentration and moisture as possible in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and has a certain strength so that the solid matter is well separated Do.

또한 탈수장치 내에서도 플록이 깨지지 않아야 한다.Flocs should also not break in the dehydrator.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0934578 (등록일자 : 2009년 12월 22일) 게시되고, 본 발명자가 발명한 유동링 자전 구조의 스크류식 탈수장치는 이송스크류의 말단 축에서 누설이 일어나는 문제와 응집혼화탱크에서 넘어온 플록화된 슬러지가 깨지는 문제와 투입구 부분에서 유동링과 고정링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The screw type dewatering device of the rotating ring rotating structure disclosed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4578 (registered on Dec. 22, 2009) discloses a problem in that leakage occurs at the end shaft of the transfer screw, There was a problem of cracking floc sludge from the tank and leakage between the fluid ring and the stationary ring at the inlet portion.

상기 응집 혼화조에서 형성된 플록이 깨지는 문제가 있어, 플록의 강도를 높이고,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cs formed in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are crack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locs and to cause the coagulation of poly iron and anionic materials and suspensions and suspended substances to be tightly aggregated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It became necessary to reduce the water content.

1.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1816693 (등록일자 : 2018년 01월 03일) 에너지 절약 작업환경 개선 스크류 프레스 탈수시스템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6693 (registered on Jan. 31, 2018) Energy saving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screw press dewatering system 2.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1433931 (등록일자 : 2014년 08월 19일) 슬러지 응집, 농축 및 스크류 프레스 탈수 시스템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3931 (Registration Date: Aug. 19, 2014) Sludge agglomeration, concentration and screw press dehydration system 3.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1640941 (등록일자 : 2016년 07월 13일) 슬러지 배관응집장치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0941 (Date of Registration: July 13, 2016) Sludge Pipeline Coagulation Device and Sludge Treatment System 4.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0934578 (등록일자 : 2009년 12월 22일) 유동링 자전 구조의 스크류식 탈수장치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4578 (Date of Registration: December 22, 2009) Screw-type dehydrator with rotating ring rotating structure 5. 한국등록 특허공보 제 10-1259907 (등록일자 : 2013년 04월 25일) 다중 원판형 슬러지 농축장치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9907 (Registration date: April 25, 2013) Multi-disk type sludge thickening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응집혼화탱크에 슬러지 인입부, 유기응집제 투입부, 급속교반부 및 완속교반부를 두어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며, 탈수장치의 초입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깨지는 문제 및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입관이 설치된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ludge inlet portion, an organic coagulant feed portion, a rapid stirring portion, and a slow stirring portion are provided in an aggregation admixture tank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sludge and slud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watering system that increases the dewatering efficiency by using an agglomeration tank equipped with an inflow pipe for solving the problem of cracking flocized sludge at the beginning of the dewatering device and the problem of leakage.

본 발명의 탈수장치시스템은 슬러지 저류조에서 안정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는 응집혼화탱크에 상기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를 만들고,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하며, 투입되는 슬러지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드는 상기 응집혼화탱크와; 상기 응집혼화탱크에 슬러지 중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철 특유의 플록 강도를 높이는 무기 고분자응집제인 폴리철과, 유기 고분자응집제인 폴리머로 구성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와; 상기 응집혼화탱크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된 것을 플렉서블한 플록공급라인으로 공급받고, 내부에 스크류날개가 설치되며 고정링과 유동링을 포함하는 고액분리부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압축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링의 스윙운동으로 하부로 탈리여액이 배출되어 탈수가 이루어지고, 타단부로 케이크가 배출되는 스크류 타입의 탈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wa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agulant tank in which a stabilized sludge is introduced in a sludge storage tank, a coagulant to be used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dge is injected into the floc sludge, An agglomeration tank in which an agglomerant is injected into the sludge to be converted into flourized sludge; A coagul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oagulant composed of poly iron as an inorganic polymer flocculant, which is chemically reacted with an anionic material and floating matters in the sludge, and a polymer as an organic polymer flocculant; The flocculated sludge overflowed in the coagulation and mixing tank is supplied to the flexible floc supply line, and the flaked sludge is compressed and moved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unit including the fixed ring and the floating ring, And a screw-type dewatering device in which the desorption filtrate is drained to the bottom by the swing motion of the flow ring, and the cake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상기 응집혼화탱크는 상기 폴리철이 상부에서 투입되고, 하부에서 슬러지가 인입되어 상기 폴리철과 슬러지의 균일한 혼합을 하는 슬러지 인입부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일정 높이에서부터 상단까지의 일측면을 공유하면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에서 인입된 슬러지가 월류되어 인입되고, 상기 폴리머가 상부에서 투입되는 유기응집제 투입부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와 유기응집제 투입부에서 응집제가 혼합된 슬러지가 측면의 하부 일정 높이에서 인입되며, 상기 응집제가 투입된 슬러지를 일정 회전수로 빠르게 교반하여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는 급속교반부와; 하류로 유입되어 상류로 오버플루되는 구조이며, 상기 급속교반부에서 일부 응집된 슬러지를 하부로 인입받아 일정 회전수로 천천히 교반하여 슬러지를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들고, 상부로 오버 플로되어 상기 탈수장치로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하는 완속교반부로 구성된다.Wherein the coagulant admixture tank comprises a sludge inlet portion for introducing sludg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y-iron, and a sludge inlet portion for uniformly mixing the sludge with the poly-iron; An organic coagulant injec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sludge inlet to share one side of the sludge inlet from a predetermined height, the sludge drawn in the sludge inlet being drawn over and the polymer injected from the top; The sludge mixed with the coagulant at the sludge inlet portion and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portion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lower height of the side surface and the sludge charged with the flocculant is rapidly stirred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to separate the polyferric and anionic materials, A rapid agitator for reducing the water content of the cake in the dewatering device by reducing the pore water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firmly aggregating the poly-iron, the anionic material and the suspended or suspended material, The sludge agglomerated to some extent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to make the sludge into flocked sludge, and the sludge is overflowed to the upper part, And a slow stirring portion for supplying sludge flocified.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측면 상부에는 레벨센서 브래킷이 형성되어 슬러지 인입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가 하부에서 측면으로 인입되며, 일단이 측면에 용접되는 인입엘보우와 상기 인입엘보우의 타단과 용접되는 인입수직단관과 상기 인입수직단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인입플랜지로 구성되어 슬러지 인입라인과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하부 바닥에는 내부 청소시 내부의 슬러지를 완전 배출하는 드레인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로 월류되는 양보다 인입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아 일정 높이까지 상기 슬러지가 차오르면 오버 플로되며, 일단이 정면에 용접되는 오버플로단관과 상기 오버플로단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오버 플로되는 방향을 90도 변경시키는 오버플로엘보우와 상기 오버플로엘보우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루수직단관과 상기 오버플루수직단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로플랜지로 구성되는 슬러지 오버플로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의 상기 오버플로노즐이 설치되는 내부에는 일정 높이에 도달될 때 상기 오버플로노즐로 오버 플로가 되도록 상기 오버플로노즐의 입구를 일정 높이로 둘러싸고 바닥이 있는 오버플로조가 형성된다.A level sensor bracke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udge inlet portion to provide a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ludge inlet portion.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sludge inlet portion from the lower side thereof, And a sludge draw-in nozzle connected to the sludge draw-in line. The sludge draw-in nozzl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aw-out vertical muffle. The sludge draw- A slud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sludge to the sludge supply unit; a drain nozzle for completely discharging sludge inside the sludge supply unit; and a sludge supply unit for supplying sludge to the sludge supply unit, An overflow single pipe welded to the front face, An overflow elbow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ingle pipe to change an overflowing direction by 90 degrees, an overflow vertical single pip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elbow, and an overflow flang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verflow vertical single pipe, And an overflow nozzle is formed in the sludge inlet. The inside of the overflow nozzle of the sludge inlet portion surrounds the inlet of the overflow nozzle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overflow the overflow nozzle when a predetermined height is reached, A rosin is formed.

상기 슬러지 인입부와 유기응집제 투입부가 공유하는 일측면에는 슬러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브이(V) 형상으로 90도 각도로 파인 브이 위어(V-Weir)가 형성된다.A V-Weir is formed at a 90-degree angle in a V-shap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sludge can be measured on one side shared by the sludge inlet portion and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portion.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에는 상기 브이 위어로 넘어온 상기 폴리철이 투입된 슬러지가 일정 수위가 되면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급속교반부의 일정 높이의 측면 하부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폴리머가 균등하게 혼합되도록 유량에 따라 일정 비율로 상기 폴리머가 투입되는 슬러지 공급관이 형성된다.When the sludge charged with the poly-iron fed to the V-weir reaches a certain level, the organic coagulant is introduced into the organic coagulant input portion and is supplied to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rapid stirring portion. A sludge supply pipe into which the polymer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ratio is formed.

상기 급속교반부에는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이기 위해 120~240rpm 사이의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급속교반부 측면의 일정 높이의 하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의 슬러지 공급관이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홀의 맞은 편 측면의 하부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일부 응집된 슬러지가 상기 완속교반부로 이동되는 하부오픈부가 형성된다.The rapid stir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apid stirring devic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between 120 and 240 rpm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causing the poly-iron, the anionic material, A sludge inlet hole for the sludge supply pipe of the organic coagulant input uni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apid agitating unit, and a low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surface of the sludge inlet hole has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A lower opening portion which is moved to the stirring portion is formed.

상기 급속교반장치는 7.5~15 대 1 사이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급속기어드모터와; 상기 급속기어드모터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기로 구성되고, 상기 급속교반기는 상기 급속기어드모터와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급속교반축과; 상기 급속교반축의 하단과 일정높이의 중단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펠러 타입인 2개의 급속교반날개로 구성된다.Wherein the rapid agitation device comprises: a rapid geared motor having a reduction ratio of between 7.5 and 15: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d a rapid agitator coupled to the rapid geared motor through a coupling to rotate at a reduced rotational speed, wherein the rapid agitator includes a rapid stirring shaft coupled with the rapid geared motor through coupling; And two rapid stirring blades each of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apid stirring shaft 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respectively, and of a propeller type.

상기 완속교반부는 상기 완속교반부에는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게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며, 10~60rpm으로 가변되는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완속교반부의 상부에는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될 수 있게 일정 넓이를 가진 오버플로헤드와; 상기 오버플로헤드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며, 플록화된 슬러지가 배출되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플록배출구로 구성된 플록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완속교반부의 하부 바닥에는 상기 완속교반부의 청소를 위한 드레인노즐이 형성된다.Wherein the slow stir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ow stirring device for rotating the circulating current to a turbulent flow state so as to smoothly form flocs in the slow stirring portion and rotating at a speed varying from 10 to 60 rpm, An overflow hea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ch that the sludge can overflow; And a floc discharge unit installed at an outer lower side of the overflow head and discharging the flocculated sludge and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flocked outlets, and a drain nozzle for cleaning the slow stirring unit, .

상기 완속교반장치는 30 대 1 또는 60 대 1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완속기어드모터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의 회전수를 주파수 조정으로 가변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기로 구성되고, 상기 완속교반기는 상기 완속기어드모터와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완속교반축과;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완속교반축의 일정높이에 각각 설치되며 4개의 수직 블레이드를 가지는 패들 타입인 2개의 완속교반날개와; 상기 완속교반축이 진동없이 정숙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완속교반축이 삽입되어 상기 완속교반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완속교반부의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하부 고정디스크로 구성된다.The slow stirring device includes a constant speed geared motor having a reduction ratio of 30 to 1 or 60 to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 inverter for vary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nstant speed geared motor by frequency adjustment; And a slow speed stirrer coupled to the slow geared motor through a coupling and rotating at a reduced rotational speed, wherein the slow speed stirrer includes a slow speed stirring shaft coupled with the full speed geared motor by coupling; Two slow stirring blades each of which is of a paddle type having four vertical blades respective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slow stirring shaft to make the rotating current turbulent in order to achieve floc formation smoothly; And a lower fixed disk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ow stirring shaft to smoothly rotate the slow stirring shaft without vibration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low stirring shaft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상기 하부 고정디스크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완속교반축이 삽입되는 축지지부와; 상기 축지지부의 하부 외주에 용접결합되며, 링 형상이고, 상기 완속교반부의 바닥에 고정되는 디스크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완속교반축이 삽입되며 면접촉하는 메탈부쉬와; 상기 메탈부쉬가 삽입되며 상기 디스크플랜지와 결합되는 지지외통으로 구성된다.Wherein the lower fixed disk has a shaft support portion into which the slow stirring shaft is inser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disc flange wel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and ring-shap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the shaft support portion having a metal bushing in which the slow stirring shaft is inserted and in surface contact therewith; And a support outer cylinder into which the metal bush is inserted and is engaged with the disk flange.

상기 탈수장치는 고형물이 응집되어 플록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면 상기 슬러지를 앞으로 전진시켜 농축을 거쳐 탈수되게 앞쪽으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스크류날개와, 상기 스크류날개가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로 회전되며 주축과 상기 주축의 양단에 각각 편심축을 가지는 이중축 구조인 스크류주축을 포함하는 이송스크류부와; 일정 부분의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부의 회전으로 플록화된 슬러지가 농축되면서 탈수되며, 슬러리가 분리된 탈리여액은 상기 편심축의 편심운동에 의한 유동링의 스윙으로 하부로 배출되는 고액분리부와; 상기 고액분리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부고정판에 결합되며, 상기 탈수장치에 인입되면서 일부 플록화가 깨진 슬러지를 안정화시켜 재응집시키며, 일정 길이를 가진 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watering device includes a screw blade having a screw va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to rotate the sludge forward when the flocked sludge is flocculated and solidified, And a screw main shaft having a double shaft structure having eccentric shafts at both ends of the main shaft, respectively; The sludge flociz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 screw part is dehydrated while being concent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 screw part, and the desorption filtrate from which the slurry is separated is discharged downward by the swing of the flow ring due to eccentric motion of the eccentric shaft Liquid separator; And an inflow pipe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inflow portion fixing plate, stabilizes and re-coagulates the sludge having a part of flocking broken while being drawn into the dehydration apparatus,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고액분리부는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내부에서 회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유입부고정판과 배출부고정판에 고정되는 3개의 고정바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바깥 원주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바와 체결되는 3개의 고정바체결리브가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고정링과; 상기 이송스크류부가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과 고정링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편심축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고 편심베어링이 설치되는 2개의 편심구동판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주축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3개의 유동축 사이에 설치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상기 유동축의 유동에 의해 스윙되고 자전되는 다수 개의 유동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is fixed in a fixed interval by being coupled to three fixing bar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ed in the inside of the conveying screw portion and fixed to the inlet portion fixing plate and the outlet portion fixing plate, and is formed in a thin ring- A plurality of fixing rings formed with three fixing bar fastening ribs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bar and including spacer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conveying screw portion is rotated insid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 and the stationary ring, each of the eccentric axial end portions is engaged, two eccentric drive plates which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and provided with eccentric bearings, And a plurality of fluid rings mounted between the three fluid coax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pindle, the fluid ring being in the shape of a thin ring and being swung and rotated by the flow of the fluid axis.

상기 주축의 전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부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진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링의 스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하여 슬러지 회수율을 높이며, 상기 주축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축베어링하우징부가 설치된다.The main shaft is provided with a main shaft at its front end to smoothly rotate the feed screw to prevent vibration to increase the sludge recovery rate by causing the swinging of the fluid ring to have a constant pattern and to prevent sludge and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 bearing housing portion is provided.

상술한 상기 탈수장치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by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르면 급속교반부가 형성된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며, 탈수장치의 초입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깨지는 문제 및 누설되는 문제를 유입관 설치로 해결하여 탈수효율을 높였고, 주축베어링하우징부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부의 진동을 막아 정숙운동으로 인한 유동링 운동에 균등 작동하여 슬러지 탈수 및 회수효율을 15% 향상시켰고, 수분과 가스로부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스크류주축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According to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enhanc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ent of the cake in the dewatering device is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having the rapid stirring portion, And the problem of leakage is solved by the inlet pipe installation, and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mproved.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onveying screw part and operate equally to the flow ring motion due to the silent movement, Improved dewatering and recovery efficiency by 15%, improved durability from moisture and gas, and prevented wear of screw spindle,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P & ID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급속교반부의 급속교반장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완속교반부의 완속교반장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완속교반부의 완속교반장치의 하부고정디스크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전체 A-A 섹션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B-B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이송스크류부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이송스크류부에 따른 스크류주축 개략도
도 15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고정링과 유동링 사시도
도 16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유입관 개략도
도 17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유입관 부품도
도 18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부 단면도
도 19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부 분해사시도
도 20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 개략도
도 21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 개략도
도 22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리데나 사시도
도 23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ayout diagram of a dehydrator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P & ID of a dehydrator system in which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gglomerated mixing tank according to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agglomeration tank according to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agglomerated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n agglomeration and mixing tank according to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agglome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rapid agitation device of a rapid agitation part of a flocculation and agglomeration tank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agglome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of a slow stirring apparatus of a slow stirring portion of an agglomerated mixing tank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fixed disk of a slow stirring apparatus of a slow stirring portion of an agglomerated mixing tank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 dehydrator of a dehydrator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ire AA section of the dehydrator of the dehydrator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watering device BB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ying screw section according to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view of a screw main shaft according to a conveying screw portion of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watering system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invention,
16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flow pipe according to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 inlet pipe part according to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according to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ng tank of the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according to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20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according 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ng tank of the invention
21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according 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wa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ng tank,
23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according 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irs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 definition of " coagulation "Quot; a dewatering device system "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enhanced by using the coagulating and mixing tank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배치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P & ID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정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평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에 따른 응집혼화탱크 측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급속교반부의 급속교반기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완속교반부의 완속교반기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응집혼화탱크의 완속교반부의 완속교반기의 하부고정디스크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전체 A-A 섹션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 B-B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이송스크류부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이송스크류부에 따른 스크류주축 개략도이고, 도 15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고정링과 유동링 사시도이며, 도 16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유입관 개략도이고, 도 17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유입관 부품도이며, 도 18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부 단면도이고, 도 19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20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 개략도이고, 도 21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 개략도이며, 도 22는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리데나 사시도이고, 도 23은 발명의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의 탈수장치의 주축베어링하우징부에 따른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 개략도이다.FIG. 1 is a layout diagram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 & ID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according to a dehydration system in which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dehydration system FIG.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according to a dehydration system in which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flocculation tank,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rapid agitating device of a rapid agitation part of a flocculation tank of a flocculation tank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efficiency is enhanced.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fixed disk of a slow stirrer of a slow stirring portion of a flocculation tank of a flocculation tank of a dehydrator system in which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using the flocc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dewatering system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a dewatering system FIG. 11 is a sectional AA view of the dewatering system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dewatering efficiency 13 is a view showing the dehydration apparatus of the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hyd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view of a screw main shaft according to a conveying screw portion of a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a screw- FIG. 16 is a schematic view of an inlet pipe according to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chematic view of a dewatering device And FIG. 17 is a view of the inlet pipe according to the dehydrating apparatus of the dehydrating apparatus system having increased dehydrating efficiency by using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of the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 dehydrating apparatus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according to the dewatering system of the system.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dehydration system of the dewatering system, 20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according 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according to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of a dewatering device of a dewatering system using an agglomerated admixture tank. FIG. 22 is a schematic view of a dewatering device system 23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according 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in which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coagulation admixtur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탈수장치시스템(A)은 침전지에서 침전된 슬러지 또는 슬러지농축장치에서 농축된 슬러지를 슬러지 저류조로 이송하여 안정화시킨 후 상기 슬러지를 응집혼화탱크(2)로 보내며, 슬러지가 인입되는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 상기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를 만들고,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하는 장치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dewatering system A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sludge concentrated in a sludge settling apparatus or a sludge concentration apparatus to a sludge storage tank to stabilize the sludge, 2), and a coagulant to be used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ng / mixing tank 2 into which the sludge is introduced to form a flocized sludge, and the flocized sludge is supplied and dehydrated .

상기 탈수장치시스템(A)은 인입되는 슬러지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드는 상기 응집혼화탱크(2)와;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 슬러지 중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철 특유의 플록 강도를 높이는 무기 고분자응집제인 폴리철(Ferric Sulfate :

Figure 112018056016483-pat00024
)과, 유기 고분자응집제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1)와;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된 것을 플렉서블한 플록공급라인(2423)으로 공급받고, 내부에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을 포함하는 고액분리부(32)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압축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운동으로 하부로 탈리여액이 배출되어 탈수가 이루어지고, 타단부로 케이크가 배출되는 스크류 타입의 탈수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watering system (A) comprises: the coagulation tank (2) for adding flocculant to the incoming sludge to form flocized sludge; Ferric Sulfate (SBR), which is an inorganic polymer coagulant that chemically reacts with anionic substances and suspended or suspended substances in sludge to increase the floc-specific floc strength,
Figure 112018056016483-pat00024
(1) for supplying a flocculant containing a polymer as an organic polymer flocculant; The flocked sludge overflowed in the coagulation and mixing tank 2 is supplied to the flexible flock supply line 2423 and the screw vane 312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fixed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are installed, The sludge flourized in the solid-liquid separating unit 32 is compressed and moved, the sludge is discharg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fluidizing ring 323 to the bottom, and the sludge is dewatered and the cake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And a dewatering device (3).

상기 탈수장치시스템(A)은 상기 탈수장치(3)에서 배출되는 케이크를 이송하는 케이크 이송 컨베이어(4)와, 상기 케이크를 일시 저장했다 배출하는 케이크 배출호퍼(5)가 포함될 수 있다.The dewatering system A may include a cake conveying conveyor 4 for conveying a cake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device 3 and a cake discharge hopper 5 for temporarily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ake.

상기 응집제 공급부(1)는 상기 폴리철을 저장하는 상기 폴리철 저장탱크(111)와, 상기 폴리철을 상기 폴리철 저장탱크(111)에서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 폴리철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폴리철 공급펌프(112)를 포함한 폴리철 공급장치(11)와; 폴리머 원액을 저장하는 폴리머 원액탱크(121)와, 상기 폴리머 원액을 물에 용해해 희석하는 폴리머 용해장치(122)와, 상기 폴리머 원액을 폴리머 원액탱크(121)에서 폴리머 용해장치(122)로 폴리머 공급하는 폴리머 원액공급펌프(1211)와, 희석된 폴리머를 희석폴리머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 공급하는 희석폴리머 공급펌프(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agulant feeder 1 comprises the poly-iron storage tank 111 for storing the poly-iron and the poly-iron from the poly-iron storage tank 111 to the coagulation- A poly-iron supply device (11) including a poly-iron supply pump (112) for supplying; A polymer dissolving apparatus 122 for dissolving the polymer stock solution in water to dilute the polymer stock solution, and a polymer solution tank for circulating the polymer solution from the polymer stock solution tank 121 to the polymer dissolving apparatus 122, And a dilute polymer feed pump 123 for feeding the diluted polymer to the coagulation and mixing tank 2 through a dilute polymer feed line.

슬러지는 슬러지 인입라인을 통해 상기 응집혼화탱크(2)로 인입된다.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on and mixing tank (2) through the sludge inlet line.

플록화된 슬러지는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서 플렉서블한 플록공급라인(2423)으로 상기 탈수장치(3)으로 공급된다.Floched sludge is fed into the dehydrating device 3 from the flocculation tank 2 by means of a flexible floc supply line 2423.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응집혼화탱크(2)는 상기 폴리철이 상부에서 투입되고, 하부에서 슬러지가 인입되어 상기 폴리철과 슬러지의 균일한 혼합을 하는 슬러지 인입부(21)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일정 높이에서부터 상단까지의 일측면을 공유하면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에서 인입된 슬러지가 월류되어 인입되고, 상기 폴리머가 상부에서 투입되는 유기응집제 투입부(22)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와 유기응집제 투입부(22)에서 응집제가 혼합된 슬러지가 측면의 하부 일정 높이에서 인입되며, 상기 응집제가 투입된 슬러지를 일정 회전수로 빠르게 교반하여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는 급속교반부(23)와; 하류로 유입되어 상류로 오버플루되는 구조이며, 상기 급속교반부(23)에서 일부 응집된 슬러지를 하부로 인입받아 일정 회전수로 천천히 교반하여 슬러지를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들고, 상부로 오버 플로되어 상기 탈수장치(3)로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하는 완속교반부(2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2 is provided with a sludge inlet 21 for introducing sludge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ly-iron, Wow; The sludge drawn in from the sludge inlet (21) flows in and flows through the sludge inlet (21) while sharing one side from a certain height to an upper end of the sludge inlet (21). The organic coagulant (22); The sludge mixed with the flocculant at the sludge inlet portion 21 and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portion 22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lower height of the sidewall and the sludge charged with the flocculant is rapidly stirred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Thereby mak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substance, suspended matter and suspended matter chemically react with each other to make the poly-iron and the anionic substance and the suspended and suspended substances hardly aggregate to reduce the pore water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ake in the dehydration apparatus A rapid stirring portion 23; The sludge is partially flocculated by the rapid agitating part 23 and is slowly stirr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to make flocculated sludge. The sludge is overflowed to the upper part, And a slow stirring section (24) for supplying flourized sludge to the dewatering device (3).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측면 상부에는 레벨센서 브래킷(2111)이 형성되어 슬러지 인입부(21)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211)가 설치된다.A level sensor bracket 2111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udge inlet portion 21 and a level sensor 211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ludge inlet portion 21 is installed.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가 하부에서 측면으로 인입되며, 일단이 측면에 용접되는 인입엘보우(2121)와 상기 인입엘보우(2121)의 타단과 용접되는 인입수직단관(2122)과 상기 인입수직단관(21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인입플랜지(2123)로 구성되어 슬러지 인입라인과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노즐(212)이 형성된다.The sludge is drawn to the side of the sidewall of the sludge inlet 21 and drawn into the sidewall of the sludge inlet 21. The sludge inlet 2117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inlet elbow 2121 and the inlet vertical pipe 2122 is welded to the other end of the inlet elbow 2121, And a suction flange 212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vertical single pipe 2122 to form a sludge inlet nozzle 212 coupled with the sludge inlet line.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하부 바닥에는 내부 청소시 내부의 슬러지를 완전 배출하는 드레인노즐(213)이 형성된다.A drain nozzle 213 for completely discharging sludge in the interior of the sludge inlet 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ludge inlet 21.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로 월류되는 양보다 인입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아 일정 높이까지 상기 슬러지가 차오르면 오버 플로되며, 일단이 정면에 용접되는 오버플로단관(2141)과 상기 오버플로단관(21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오버 플로되는 방향을 90도 변경시키는 오버플로엘보우(2142)와 상기 오버플로엘보우(2142)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루수직단관(2143)과 상기 오버플루수직단관(2143)의 하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로플랜지(2144)로 구성되는 슬러지 오버플로노즐(214)이 형성된다.The amount of sludge introduced into the sludge inlet portion 21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the organic flocculant injected into the sludge inlet portion 22 so that the sludge overflows when the sludge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n overflow elbow 214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elbow 2141 and an overflow elbow 214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elbow 2141 to change an overflowing direction by 90 degrees, A sludge overflow nozzle 214 composed of an overflow flange 2144 and a overflow flange 2144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verflow vertical single pipe 2143 is formed.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상기 오버플로노즐(214)이 설치되는 내부에는 일정 높이에 도달될 때 상기 오버플로노즐(214)로 오버 플로가 되도록 상기 오버플로노즐(214)의 입구를 일정 높이로 둘러싸고 바닥이 있는 오버플로조(215)가 형성된다.The overflow nozzle 214 of the sludge inlet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n inlet of the overflow nozzle 214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overflow the overflow nozzle 214 when a predetermined height is reached. And an overflow tank 215 having a bottom is formed.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와 유기응집제 투입부(22)가 공유하는 일측면에는 도 3과 같이 슬러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브이(V) 형상으로 90도 각도로 파인 브이 위어(V-Weir)(22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on one side shared by the sludge inlet portion 21 and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portion 22, a V-Weir ) 221 are formed.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브이 위어(221)로 넘어온 상기 폴리철이 투입된 슬러지가 일정 수위가 되면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급속교반부(23)의 일정 높이의 측면 하부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폴리머가 균등하게 혼합되도록 유량에 따라 일정 비율로 상기 폴리머가 투입되는 슬러지 공급관(22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sludge charged with the poly-iron fed into the V-shaped weir 221 reaches a certain level, the organic coagulant feed unit 22 is drawn into the organic coagulant feed unit 22, And the sludge supply pipe 222 into which the polymer is introduc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the flow rate so that the polymer is uniformly mixed.

상기 급속교반부(23)에는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이기 위해 120~240rpm 사이의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장치(231)가 설치된다.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causing the poly-iron, the anionic material, suspended matters and suspended substances to be tightly aggregated, the rapid stirring part 23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between 120 and 240 rpm 231 are installed.

상기 급속교반부(23) 측면의 일정 높이의 하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의 슬러지 공급관(222)이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홀(232)이 형성된다.A sludge inlet hole 232 to which the sludge supply pipe 222 of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unit 22 is connec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apid stirring unit 23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슬러지 인입홀(232)의 맞은 편 측면의 하부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일부 응집된 슬러지가 상기 완속교반부(24)로 이동되는 하부오픈부(233)가 형성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ludge inlet hole 232 is formed with a lower opening portion 233 at which the partially agglomerated sludge is moved to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상기 완속교반부(24)는 상기 슬러지가 충분히 응집할 수 있도록 슬러지가 1분 이상 체류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is sized to allow the sludge to stay for at least one minute so that the sludge can sufficiently aggregate.

상기 완속교반부(24)에는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게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며, 10~60rpm으로 가변되는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장치(241)가 설치된다.The slow stirring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slow stirring device 241 that turns the rotating current in a turbulent state so as to smoothly form flocs and rotates at a rotating speed varying from 10 to 60 rpm.

상기 완속교반부(24)의 상부에는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될 수 있게 일정 넓이를 가진 오버플로헤드(2421)와; 상기 오버플로헤드(2421)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며, 플록화된 슬러지가 배출되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플록배출구(2422)로 구성된 플록배출부(242)가 형성된다.An overflow head 24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flocized sludge can overflow; The flocked sludge is discharged at the lower end of the overflow head 2421, and a floc discharge portion 242 composed of one or more floc discharge openings 2422 is formed.

상기 완속교반부(24)의 하부 바닥에는 상기 완속교반부(24)의 청소를 위한 드레인노즐(243)이 형성된다.A drain nozzle 243 for cleaning the slow stirring part 2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art 24.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급속교반장치(231)는 상기 폴리철과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이기 위해 120~240rpm 사이의 일정 회전수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6, the rapid stirring apparatus 231 is operat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of 120 to 240 rpm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causing the poly-iron and the anionic material, Turns to the channel.

상기 급속교반장치(231)는 7.5~15 대 1 사이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급속기어드모터(2311)와; 상기 급속기어드모터(2311)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기(2312)로 구성된다.The rapid stirring apparatus 231 includes a rapid geared motor 2311 having a reduction ratio of 7.5 to 15 to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d a rapid agitator 2312 coupled to the rapid geared motor 2311 by coupling and rotating at a reduced rotational speed.

상기 급속교반기(2312)는 상기 급속기어드모터(2311)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급속교반축(23121)과; 상기 급속교반축(23121)의 하단과 일정높이의 중단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펠러 타입인 2개의 급속교반날개(23122)로 구성된다.The rapid agitator 2312 includes a rapid agitation shaft 23121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apid geared motor 2311 by coupling. And two rapid stirring blades 23122 each of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apid stirring shaft 23121 and sto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급속교반날개(23122)의 직경은 200mm이고, 높이는 6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rapid stirring vane 23122 is 200 mm and the height is 60 mm.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완속교반장치(241)는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게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며, 10~60rpm으로 가변되는 회전수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7, the slow stirring apparatus 241 turns the rotating current in a turbulent state to smooth floc formation, and rotates at a rotating speed varying from 10 to 60 rpm.

상기 완속교반장치(241)는 30 대 1 또는 60 대 1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완속기어드모터(2411)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의 회전수를 주파수 조정으로 가변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기(2412)로 구성된다.The slow stirring device 241 includes a constant speed geared motor 2411 having a reduction ratio of 30 to 1 or 60 to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 inverter for vary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ull geared motor 2411 by frequency adjustment; And a slow speed stirrer 2412 which is coupled with the full speed geared motor 2411 by coupling and rotates at a reduced rotation speed.

상기 완속교반기(2412)는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완속교반축(24121)과;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의 일정높이에 각각 설치되며 4개의 수직 블레이드(241221)를 가지는 패들 타입인 2개의 완속교반날개(24122)와;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진동없이 정숙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어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완속교반부(24)의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하부 고정디스크(24123)로 구성된다.The slow stirrer 2412 includes a slow stirring shaft 24121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constant speed geared motor 2411 by coupling. In order to smoothly form the floc, two smooth stirring blades 24122, which are paddle type, each of which is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and have four vertical blades 241221, )Wow;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is insert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so that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rotates silently without vibration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And a lower fixed disk 24123.

상기 완속교반날개(24122)는 300mm 높이에 폭 50mm의 수직 블레이드(241221)를 가지며 회전 직경이 750~8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low stirring blade 24122 preferably has a vertical blade 241221 having a height of 300mm and a width of 50mm and a rotation diameter of 750 to 850mm.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하부 고정디스크(24123)는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진동없이 정숙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어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완속교반부(24)의 바닥에 고정결합된다.8, the lower fixed disk 24123 is inserted into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so that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is silently rotated without vibration,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상기 하부 고정디스크(24123)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는 축지지부(241231)와; 상기 축지지부(241231)의 하부 외주에 용접결합되며, 링 형상이고, 상기 완속교반부(24)의 바닥에 고정되는 디스크플랜지(241232)로 구성되고, 상기 축지지부(241231)는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며 면접촉하는 메탈부쉬(2412311)와; 상기 메탈부쉬(2412311)가 삽입되며 상기 디스크플랜지(241232)와 결합되는 지지외통(2412312)으로 구성된다.The lower fixed disk 24123 includes a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into which the slowly stirring shaft 24121 is inser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disk flange 241232 weld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and ring-shap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is fixed to the bottom end of the slow stirring shaft 24, A metal bushing 2412311 into which surface 24121 is inserted and is in surface contact; And a support outer tube 2412312 into which the metal bush 2412311 is inserted and is engaged with the disk flange 241232.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탈수장치(3)는 고형물이 응집되어 플록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면 슬러지를 앞으로 전진시켜 농축을 거쳐 탈수되게 앞쪽으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스크류날개(312)와, 상기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로 회전되며 주축(3111)과 상기 주축(3111)의 양단에 각각 편심축(3112)을 가지는 이중축 구조인 스크류주축(311)을 포함하는 이송스크류부(31)와; 일정 부분의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부(31)의 회전으로 플록화된 슬러지가 농축되면서 탈수되며, 슬러리가 분리된 탈리여액은 상기 편심축(3112)의 편심운동에 의한 유동링(323)의 스윙으로 하부로 배출되는 고액분리부(32)와; 상기 고액분리부(32)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부고정판(361)에 결합되며, 상기 탈수장치(3)에 인입되면서 일부 플록화가 깨진 슬러지를 안정화시켜 재응집시키며, 일정 길이를 가진 유입관(33)과; 상기 유입관(33) 전단 상부의 상기 유입부고정판(361)에 설치되어 플록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는 슬러지 인입부(34)와; 상기 고액분리부(32)의 후단에 연이어 설치되며, 배출부고정판(362)과 상기 고액분리부(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케이크가 배출되는 케이크 배출부(35)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고액분리부(32)와 이송스크류부(31)가 내장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34)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33)의 일단이 설치되는 상기 유입부고정판(361)과, 상기 케이크 배출부(35)가 설치되는 배출부고정판(362)과, 탈수하면서 나온 액이 아래로 배출되는 여액배출호퍼(364)와, 각 장치가 설치되고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부(36)와; 상기 이송스크류부(31)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부(37)와; 상기 탈수장치(3)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고액분리부(32)의 이물질을 세척하는 스프레이장치(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dewatering device 3 includes a screw blade 312 (see FIG. 9) for sludge which is flocculated and flocculated when the solid material is flocculated, And a screw main shaft 311 having a double shaft structure having the main shaft 3111 and the eccentric shaft 3112 at both ends of the main shaft 3111. The screw main shaft 311 includes the screw vane 312, A conveying screw portion 31 for conveying the toner image; The sludge flociz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 screw part 31 is concentrated while being dewatered and the desorbed filtrate from which the slurry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which is discharged downward by a swing of the fluid ring 323 due to eccentric motion; The sludge is connected to the inflow portion fixing plate 361 at the front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and stabilizes and re-coagulates the sludge having some flocked portions while being drawn into the dewatering device 3, 33); A sludge inlet (34) installed in the inflow section fixing plate (36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pipe (33) and into which flocked sludge is introduced; A cake discharging portion 35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and having a discharging portion fixing plate 362 and a cake discharging portion 35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to discharge the cake; The inflow section fixing plate 361 having the solid-liquid separating section 32 and the conveying screw section 31 built therein and having the sludge inlet section 34 and one end of the inflow pipe 33 is installed, A discharge port fixing plate 362 on which the cake discharge port 35 is installed, a filtrate discharge hopper 364 through which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device is discharged downward, and a frame body (36); A drive unit (37) for rotating the feed screw unit (31); A controller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dewatering device 3; And a spray device (38) for cleaning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part (32).

상기 고액분리부(32)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유입부고정판(361)과 배출부고정판(362)에 고정되는 3개의 고정바(322)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바깥 원주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바(322)와 체결되는 3개의 고정바체결리브(3211)가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주는 스페이서(3212)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고정링(321)과;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321)과 고정링(3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편심축(3112)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3112)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고 편심베어링(3141)이 설치되는 2개의 편심구동판(31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3개의 유동축(324) 사이에 설치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상기 유동축(324)의 유동에 의해 스윙되고 자전되는 다수 개의 유동링(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lid-liquid separating section 32 is connected to three fixing bars 322,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e in the conveying screw section 31 and are fixed to the inlet fixing plate 361 and the discharging section fixing plate 362,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xing bars 3211 fastened to the fixing bars 3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formed with spacers 32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retaining rings 321; The conveying screw unit 31 is rotatably rotated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 321 and the stationary ring 321. The end of each eccentric shaft 3112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nd the two eccentric drive plates 314 are connected to the two eccentric drive plates 314 and are installed between the three main axes 324 which are rotated by the screw main axis 311, And a plurality of fluid rings 323 which are in the shape of a thin ring plate and swing and rotate by the flow of the fluid axis 324. [

상기 주축(3111)의 전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진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하여 슬러지 회수율을 높이며,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가 설치된다.The swinging of the fluid ring 323 has a constant pattern to increase the sludge recovery rate by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feed screw part 31 by smoothly rotating the feed screw part 31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shaft 3111,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for preventing sludge and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s provided.

본 발명의 탈수장치(3)에 따르면 상기 탈수장치(3)의 초입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깨지는 문제 및 누설되는 문제를 상기 유입관(33) 설치로 해결하여 탈수효율을 높였고,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부(31)의 진동을 막아 정숙운동으로 인한 상기 유동링(323)의 운동에 균등 작동하여 슬러지 탈수 및 회수효율을 15% 향상시켰고, 수분과 가스로부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According to the dewatering devic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breakage of the flooded sludge and leakage of the dewatering device (3) can be solved by installing the inflow pipe (33) And the sludge dewatering and recovery efficiency is improved by 15% by operating the moving ring portion 323 due to the silent movement. The durability is improved, and the wear of the screw main shaft 311 is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본 발명의 탈수장치의 고형물의 회수효율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2018년 02월 1일에 의뢰한 결과 유입슬러지의 TS(Total Solid)가 10700mg/L이고, 탈리여액의 부유물질이 37mg/L이어서, 고형물 회수율은 [유입슬러지(TS)-탈리여액(TS)] / 유입슬러지(S) X 100 이므로 계산하면 99.65% 가 나왔다.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solid material of the dewat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missioned on Feb. 1, 2018,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Fusion Test, and as a result, TS (Total Solid) of the inflow sludge was 10700 mg / L and the suspended material of the tear filtrate was 37 mg / , And the solids recovery rate is [Inflow Sludge (TS) - Tally Filtrate (TS)] / Inflow Sludge (S) X 100, which is 99.65%.

또한, 상기 유입관(33)과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를 설치하여 플록이 깨지는 것과 정숙 운전으로 유동링 운동이 일정 패턴을 가지게 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수를 높이면 농축장치로의 사용에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low pipe 33 and the spindle bearing housing portion 313 are provided to cause the flock to break and the flow of the fluidized ring to have a certain pattern due to the silent opera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feed screw is increased, .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고정링(321)은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유입부고정판(361)과 배출부고정판(362)에 고정되는 3개의 고정바(322)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바깥 원주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바(322)와 체결되는 3개의 고정바체결리브(3211)가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주는 스페이서(3212)를 포함하며 다수 개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xing ring 321 is fixed to the inlet stationary plate 361 and the outlet stationary plate 362 with both ends thereof being rotated inside the feed screw unit 31, And three fixing bar fastening ribs 3211 fastened to the fixing bar 322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ar 322, And a plurality of spacers 3212 are provided to maintain constant spacing.

상기 유동링(323)은 상기 이송스크류부(1)가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321)과 고정링(3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편심축(3112)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3112)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고 편심베어링(3141)이 설치되는 2개의 편심구동판(31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3개의 유동축(324) 사이에 설치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상기 유동축(24)의 유동에 의해 스윙되고 자전되며,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The moving ring 32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oving screw part 1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 321 and the stationary ring 321. The ends of the rotating eccentric shaft 31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oth ends are coupled to two eccentric drive plates 314 that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nd are provided with eccentric bearings 3141 so that the three main axes 311, 324, and is formed in a thin ring shape, and is swung and rotated by the flow of the moving shaft 24,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상기 유동링(323)은 상기 고정링(321)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간격에 유동(스윙)할 수 있게 삽입 배치하고, 상기 유동링(323)을 고정링(321) 사이에 유동할 수 있게 삽입할 때 그 두께는 상기 고정링(32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 사이에 형성된 미소간극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The floating ring 323 is inserted and arranged so as to sw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ed between the fixed rings 321 and inserted into the fixed ring 321 so as to flow between the fixed rings 321, The thickness of the fixing ring 32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rings 321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minute gap formed between the fixing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유동링(323)의 외주는 3개의 유동축(324)에 접촉 및 지지되므로, 유동축(324)의 편심 요동에 따라 상기 유동링(323)의 외주와 유동축(324)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과 각각의 링 중앙에 설치된 상기 이송스크류부(31)에 의해 압착되는 고체, 액체 혼합물의 압력에 의해 다수의 상기 유동링(323)은 개별적으로 스윙하며 자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 사이의 여과 간극의 바람직한 재생과 여과능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uid ring 323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three fluid axes 324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uid ring 323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uid axis 324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eccentric oscillation of the fluid axis 324, And the pressure of the solid and liquid mixture pressed by the feed screw section 31 provided at the center of each ring, the plurality of the flow rings 323 swing individually and rotate So that the desirable regeneration and filtration capability of the filtration gap between the fixed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is remarkably improved.

그리고, 상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은 수막으로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일어나지 않아 마모가 없어 내구성이 반영구적이다.Since the fixed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do not directly touch the water film, wear due to friction between them does not occur, and there is no wear, and the durability is semi-permanent.

또한, 상기 유동링(323)과 유동축(324)의 접촉 및 지지는 원형과 원형의 점접촉이므로 상기 유동링(323) 및 유동축(324)의 마모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있다. 혹 파손된 상기 유동링(323)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1개의 유동축(324)만을 해체하여 마모된 상기 유동링(323)만을 교체하고 해체한 1개의 상기 유동축(324)만을 체결하면 되므로, 마모된 유동링(323)의 교체 작업이 훨씬 간편해지는 효과도 있다. Since the contact and support between the floating ring 323 and the floating shaft 324 are point-contact with the circular and circular shapes, the floating ring 323 and the floating shaft 324 are not worn and can be used permanently.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broken fluid ring 323, only one fluid axis 324 is disassembled to replace only the fluid ring 323 which is worn out, and only one fluid axis 324 which has been disassembled is fasten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placement work of the worn fluid ring 323 becomes much simpler.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부(31)는 고형물이 응집되어 플록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면 슬러지를 앞으로 전진시켜 농축을 거쳐 탈수되게 앞쪽으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스크류날개(312)와, 상기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로 회전되며 주축(3111)과 상기 주축(3111)의 양단에 각각 편심축(3112)을 가지는 이중축 구조인 스크류주축(31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3, the conveying screw unit 31 has a screw blade 312, which is narrowed in pitch toward the front side so as to be dewatered by advancing the sludge forward when the flocked sludge is flocculated and solidified, And a screw main shaft 311 having a double shaft structure having the main shaft 3111 and the eccentric shaft 3112 at both ends of the main shaft 3111 and the screw vane 312 installed therein and rotat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상기 주축(3111)의 전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진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하여 슬러지 회수율을 높이며,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가 설치된다.The swinging of the fluid ring 323 has a constant pattern to increase the sludge recovery rate by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feed screw part 31 by smoothly rotating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shaft 3111,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for preventing sludge and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s provided.

상기 주축(3111)의 전단부에는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의 오링(3134)을 끼우기 위한 오링홈(31111)이 형성된다.An O-ring groove 3111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shaft 3111 to insert the O-ring 3134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상기 편심축(3112)의 양단에는 편심베어링(3141)이 설치되며, 상기 편심축(3112)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각각의 편심구동판(314)이 형성된다.Eccentric bearings 314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nd each eccentric drive plate 314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3112.

상기 편심구동판(314)에는 상기 유동축(324)이 결합되는 유동축결합구가 형성된다.The eccentric drive plate 314 is formed with a shaf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324 is coupled.

상기 편심베어링(3141)은 상기 슬러지가 베어링 내부로 침투하여 베어링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러버 실(Rubber Seal)을 가지는 볼베어링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ccentric bearing 3141 is preferably a ball bearing type having rubber seals on both sides to prevent the sludge from penetrating into the bearing and preventing the bearing from rotating smoothly.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스크류주축(311)은 상기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로 회전되며 주축(3111)과 상기 주축(3111)의 양단에 각각 편심축(3112)을 가지는 이중축 구조이다.14, the screw spindle 311 is provided with the screw vane 312 and is rotat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and has an eccentric shaft 3112 at both ends of the main shaft 3111 and the main shaft 3111 The branch is a dual axis structure.

상기 스크류주축(311)이 편심축(3112)를 가지므로 상기 편심축(3112)에 설치된 상기 편심구동판(314)이 편심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편심구동판(314)에 결합된 상기 유동축(324)이 따라서 편심운동을 하게 되고, 3개의 상기 유동축(324)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동링(323)도 자전운동과 스윙운동을 하게 된다.Since the screw main shaft 311 has the eccentric shaft 3112, the eccentric drive plate 314 installed on the eccentric shaft 3112 is eccentrically moved, And the fluid ring 323 provided between the three fluid dynamic shafts 324 is also subjected to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swing motion.

상기 스크류주축(311)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날개(312)와 스크류날개(31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슬러지 인입부(34) 쪽에서 상기 케이크 배출부(35) 쪽으로 갈수록 피치(P)가 좁아져서 상기 탈수부(320) 내의 압력이 점점 커지는 구조이다.The pitch P between the screw blade 312 and the screw blade 312 provided on the screw main shaft 311 becomes narrower from the sludge inlet 34 toward the cake outlet 35, And the pressure in the portion 320 gradually increases.

즉,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피치(P)는 점점 좁아지는 형태 즉 P1 > P2 > P3 > P4 > P5 >P6 >P7 >P8 >P9 로 되어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32)의 상기 고정링(321) 및 유동링(323) 내측에서는 점점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pitch P of the screw spindle 311 is gradually narrowed, that is, P1> P2> P3> P4> P5> P6> P7> P8> P9,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low ring 321 and the flow ring 323.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고정링(321)은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유입부고정판(361)과 배출부고정판(362)에 고정되는 3개의 고정바(322)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바깥 원주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바(322)와 체결되는 3개의 고정바체결리브(3211)가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주는 스페이서(3212)를 포함하며 다수 개가 설치된다.15, the stationary ring 32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ree fixing members 361, 362, 363, 363, 363, 363, Three fixed bar fastening ribs 3211 which are fixed to the fixed bar 322 and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ich are formed in a thin ring shape and are fastened to the fixing bar 322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spacers 3212 are provided.

각각의 상기 고정바체결리브(3211)에는 상기 고정바(322)가 끼워지는 체결홀(32111)이 형성된다.Each of the fixed bar fastening ribs 3211 has a fastening hole 3211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ar 322 is inserted.

상기 유동링(323)은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321)과 고정링(3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편심축(3112)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3112)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고 편심베어링(3141)이 설치되는 2개의 편심구동판(31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3개의 유동축(324) 사이에 설치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상기 유동축(324)의 유동에 의해 스윙되고 자전되며,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The moving ring 32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oving screw portion 31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 321 and the stationary ring 321. The ends of the rotating eccentric shaft 31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oth ends are coupled to two eccentric drive plates 314 that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nd are provided with eccentric bearings 3141 so that the three main axes 311, 324, and is formed in a thin ring shape, and is swung and rotated by the flow of the moving shaft 324,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상기 유동링(323)은 상기 고정링(321)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간격에 유동(스윙)할 수 있게 삽입 배치하고, 상기 유동링(323)을 고정링(321) 사이에 유동할 수 있게 삽입할 때 그 두께는 상기 고정링(321)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 사이에 형성된 미소간극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The floating ring 323 is inserted and disposed so as to sw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ed between the fixed rings 321 and inserted into the fixed ring 321 so as to flow between the fixed rings 321. [ The thickness of the fixing ring 32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rings 321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minute gap formed between the fixing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도 16과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유입관(33)은 상기 고액분리부(32)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부고정판(361)에 결합되며, 상기 탈수장치(3)에 인입되면서 일부 플록화가 깨진 슬러지를 안정화시켜 재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며, 150mm 에서 300mm의 길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00mm 길이를 가진다.16 and 17, the inflow pipe 3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32 and is coupled to the inflow portion fixing plate 361. The inflow pipe 33 is inserted into the dehydrator 3, Flocking stabilizes the broken sludge and re-agglomerates it, has a length of 150 mm to 300 mm, and preferably has a length of 200 mm.

상기 유입관(33)은 상기 탈수장치(3)에 인입되면서 일부 플록화가 깨진 슬러지를 안정화시켜 재응집시키며, 일정 길이를 가진 원통부(331)와; 상기 원통부(33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322)가 통과하는 체결홀(33211)이 있는 3개의 유입관체결리브(33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321)과 동일한 형상으로 1개는 상기 고정링(321)과 접촉하고 다른 1개는 유입부고정판에 접촉하는 2개의 리브플랜지(332)와; 상기 체결홀(33211)과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중공(3331)을 가져 상기 고정바(322)가 통과하며, 상기 리브플랜지(332)의 체결홀(33211)과 체결홀(33211) 사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리브플랜지(332)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고정바(322)를 가이드해주는 3개의 가이드관(333)으로 이루어진다.The inflow pipe (33) has a cylindrical portion (3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tabilizing and re-coagulating the sludge broken by flocking while being drawn into the dewatering device (3); Three inlet pipe coupling ribs 3321 each formed at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1 and weld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coupling hole 33211 through which the fixing bar 322 passes are formed to protrude, Two rib flanges 332 of the same shape as the ring 321, on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tationary ring 321 and the other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let stationary plate; The fixing bar 322 has a guide hollow 3331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fastening hole 33211 and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33211 of the rib flange 332 and the fastening hole 33211 by welding And three guide pipes 333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rib flange 332 and guiding the fixing bar 322. [

상기 원통부(331)의 양단에는 상기 리브플랜지(332)가 끼워져 용접되는 리브플랜지끼움부(3311)이 형성된다.A rib flange fitting portion 331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1 to weld the rib flange 332.

상기 가이드중공(3331)의 내부는 상기 고정바(322)이 통과하기 쉽게 내부면처리를 해야한다.The inside of the guide hollow 3331 must be subjected to an inner surface treatment so that the fixing bar 322 can easily pass through.

상기 리브플랜지(332)에는 상기 유동축(24)와의 선접촉을 위해서 유동축 접촉부(3322)가 형성된다.The rib flange 332 is provided with a fluid contact portion 3322 for line contact with the fluid axis 24.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진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하여 슬러지 회수율을 높이며,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smoothly rotates the feed screw portion 31 to prevent vibration, so that the swing of the fluid ring 323 has a constant pattern Thereby increasing the sludge recovery rate and preventing the sludge and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shaft 3111.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는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주축(3111) 일단에 끼워져 상기 스크류주축(311)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고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스크류주축(311)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주축베어링(3131)과; 상기 주축베어링(3131)의 케이스 역할을 하며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일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가 상기 스크류주축(311)에 걸리는 하중을 견디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유입부고정판에 설치되어 지지해주는 주축베어링하우징(3132)과;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의 상기 주축베어링(313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베어링(3131)에 슬러지와 수분이 인입되는 것을 2차로 막아주는 리데나(3133)와; 상기 주축(3111)의 오링홈(31111)과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의 일단부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1차로 막아주는 2개의 오링(3134)과;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의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설치되는 일단을 막아주어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3135)로 구성된다.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313 is fitt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3111 of the screw main shaft 311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crew main shaft 311 and to increase water tightness. A main shaft bearing 3131 for rotating the main shaft 3131;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main shaft bearing 3131 and serves as a case of the main shaft bearing 3131.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supports the screw main shaft 311,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inflow section fixing plate; A riser 3133 installed inside the main shaft bearing 3131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to block sludge and moisture from entering the main shaft bearing 3131; A pair of O-rings 31341 and 3134b installed inside the O-ring groove 31111 of the main shaft 3111 and one end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to prevent leakage of sludge and moisture on the main shaft 3111 )and; And a spindle bearing housing cover 3135 for blocking one end of the spindle bearing housing 3132 where the spindle bearing 3131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pindle bearing 3131 from being removed from the spindle bearing housing 3132 .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주축베어링(3131)은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주축(3111) 일단에 끼워져 상기 스크류주축(311)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고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스크류주축(311)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20,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s fitt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3111 of the screw main shaft 311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crew main shaft 311 and to increase water tightness. Thereby allowing the main shaft 311 to rotate smoothly.

상기 주축베어링(3131)은 베어링의 외측케이스 역할을 하는 베어링외륜케이스(31311)와; 상기 주축(3111)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주축(3111)과 같이 회전하는 베어링내륜케이스(31315)와; 상기 베어링외륜케이스(31311)와 베어링내륜케이스(31315)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해주며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볼(31312)과; 상기 볼(31312)을 일정 간격으로 잡아주며 자전할 수 있도록 볼 케이싱 역할을 하는 볼리테이너(31313)와; 슬러지와 수분이 상기 볼 측 내부로 침투하여 베어링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러버 실(Rubber Seal)(31314)로 이루어진다.The main shaft bearing 3131 includes a bearing outer ring case 31311 serving as an outer case of the bearing; A bearing inner ring case 31315 into which the main shaft 3111 is inserted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3111; A plurality of balls 31312 formed between the bearing outer ring case 31311 and the bearing inner ring case 31315 to smooth the rotation and support the load; A ball retainer 31313 serving as a ball casing for holding the balls 313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rotating the balls; A rubber seal 31314 is provided to prevent the sludge and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ball to prevent the bearing from rotating smoothly.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은 상기 주축베어링(3131)의 케이스 역할을 하며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일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가 상기 스크류주축(311)에 걸리는 하중을 견디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유입부고정판에 설치되어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serves as a case of the main shaft bearing 3131 and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1 and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portion 313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inflow section fixing plate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screw main shaft 311 and rotate smoothly.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은 유입부고정판(36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주축(3111)이 통과하는 고정판결합 플랜지부(31321)와; 상기 고정판결합 플랜지부(31321)에 연이어 형성되어 2개의 상기 오링이 설치되며, 주축통과중공(313221)이 형성되어 상기 주축(3111)이 통과하는 오링설치부(31322)와; 상기 오링설치부(31322)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리데나(3133)가 설치되며, 상기 리데나(3133)가 설치될 수 있게 상기 주축통과중공(313221)보다 큰 리데나설치중공(313231)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설치부(31322)와는 리데나턱(313232)이 형성되는 리데나설치부(31323)와; 상기 리데나설치부(31323)와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설치되며,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설치될 수 있게 상기 리데나설치중공(313231)보다 큰 주축베어링설치중공(313241)이 형성되어 상기 리데나설치부(31323)와는 베어링턱(313242)이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3135)가 설치되는 주축베어링설치부(31324)로 이루어진다.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inflow portion fixing plate 361 and includes a fixed plate coupling flange portion 31321 through which the main shaft 3111 passes; An O-ring mounting portion 31322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fixing plate-engaging flange portion 31321 and provided with two O-rings and having a main shaft through-hole 313221 formed therein to allow the main shaft 3111 to pass therethrough; The ribs 31323 are formed in a continuous manner with the O-ring mounting portion 31322 and are provided with ribs 313231 which are larger than the main shaft passing hollows 313221 so that the ribs 3133 can be installed. A mounting portion 31323 on which the o-ring mounting portion 31322 and the lead-in portion 313232 are formed; A spindle bearing mounting hole 313241 which is connected to the lead pin mounting portion 31323 and is provided with the main spindle bearing 3131 and is larger than the lead pin mounting hole 313231 so that the main spindle bearing 3131 can be installed, And a spindle bearing mounting portion 31324 having a bearing jaw 313242 formed on the lead frame mounting portion 31323 and a spindle bearing housing cover 3135 mounted on the end portion.

상기 고정판결합 플랜지부(31321)는 일정길이를 갖는 플랜지단관(313211)과; 상기 플랜지단관(313211)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고정판(361)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313212)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plate engaging flange portion 31321 has a flange end pipe 3132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upling flange 313212 which is connected to the flange single pipe 313211 and is coupled to the inlet fixing plate 361.

상기 결합플랜지(313212)는 슬러지 인입부(34)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부분의 호가 일정 크기로 커팅된 형상인 수평커팅부(3132121)가 형성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flange 313212 from interfering with the sludge inlet portion 34, a horizontal cutting portion 3132121 having a shape in which the arc of the upper portion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상기 주축베어링설치부(31324)일 단부에는 4개의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결합홀(313243)이 형성된다.Four spindle bearing housing cover engaging holes 313243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shaft bearing mounting portion 31324.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리데나(3133)는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의 상기 주축베어링(313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베어링(3131)에 슬러지와 수분이 인입되는 것을 2차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22, the riser 3133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shaft bearing 3131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so that sludge and moisture are introduced into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n a second order The giver plays a role.

상기 리데나(3133)는 상기 리데나설치중공(313231)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주축베어링(3131)의 베어링케이스(31311)와 접촉하는 외경부(31331)와; 상기 외경부(31331)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주축(3111)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슬러지와 수분이 주축(3111)을 타고 인입되는 것을 막는 내경부(31332)로 이루어진다.The ridener 3133 includes an outer diameter portion 31331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hollow 313231 and contacting the bearing case 31311 of the main shaft bearing 3131; And an inner diameter portion 31332 connected 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31331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shaft 3111 and preventing sludge and water from being drawn through the main shaft 3111.

상기 외경부(31331)에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하는 ㄴ 단면을 가지는 링(313311)이 삽입된다.A ring 313311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31331.

상기 내경부(31332)의 외측 내부에는 상기 주축(3111)과의 밀착을 위한 탄성스프링(313321) 삽입되어 설치된다.An elastic spring 313321 for tightly contacting the main shaft 3111 is installed inside the inside of the inside diameter portion 31332.

상기 내경부(31332)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13321)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설치홈(313322)이 형성된다.A spring mounting groove 313322 for mounting the elastic spring 313321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31332.

상기 내경부(31332)의 내측에는 슬러지와 수분이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상기 주축베어링(3131)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1차로 막아주는 먼지막이 붙이부(313323)와; 상기 먼지막이 붙이부(313323)를 통과한 슬러지와 수분이 상기 주축베어링(3131)에 접촉되는 것을 상기 탄성스프링(313321)의 압축력으로 상기 주축(3111)과 밀착시켜 막아주며 선접촉으로 압축력이 집중시키는 삼각돌기부(313324)가 형성된다.A dust separator 313323 for primarily preventing sludge and moisture from being drawn into the main shaft bearing 3131 side through the main shaft 3111, inside the inner diameter portion 31332; The sludge and moisture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dust separator 313323 ar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main shaft bearing 3131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313321 to close the main shaft 3111, A triangular protrusion 313324 is formed.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3135)는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의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설치되는 일단을 막아주어 상기 주축베어링(3131)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3,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3135 blocks one end of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on which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s installed, so that the main shaft bearing 3131 is inserted into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1 3132). ≪ / RTI >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3135)에는 상기 주축(3111)이 통과하는 주축통과중공(31351)과,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결합홀(313243)과 접시나사(31353)으로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홀(31352)이 형성되어,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3135)와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3132)는 접시나사(31353)으로 결합된다.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3135 is provided with a main shaft through hole 31351 through which the main shaft 3111 passes and a housing coupling hole 31352 coupled with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coupling hole 313243 by a cup screw 31353. [ And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cover 3135 and the main shaft bearing housing 3132 are coupled by a dish screw 31353.

본 발명의 응집혼화탱크(2)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A)에 따르면 급속교반부(23)가 형성된 상기 응집혼화탱크(2)를 사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3)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며, 상기 탈수장치(3)의 초입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깨지는 문제 및 누설되는 문제를 유입관 설치로 해결하여 탈수효율을 높였고, 상기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부(31)의 진동을 막아 정숙운동으로 인한 상기 유동링(323)의 운동에 균등 작동하여 슬러지 탈수 및 회수효율을 15% 향상시켰고, 수분과 가스로부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According to the dehydrator system A in which the dehydrat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void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is reduced by using the flocculation tank 2 in which the rapid agitator 23 is formed Thereby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ake in the dewatering device 3 and solving the problem of cracking flaked sludge at the beginning of the dewatering device 3 and the leakage problem by the installation of the inflow pipe to increase the dewatering efficiency, The housing part 313 is provided to prevent vibration of the conveying screw part 31 and to operate uniformly to the movement of the fluid ring 323 due to the silent movement to improve the sludge dewatering and recovery efficiency by 15% The durability of the screw main shaft 311 is improved to prevent wear of the screw main shaft 311,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A : 탈수장치시스템
1 : 응집제 공급부 11 : 폴리철 공급장치
111 : 폴리철 저장탱크 112 : 폴리철 공급펌프
12 : 폴리머 공급장치 121 : 폴리머 원액탱크
1211 : 폴리머 원액공급펌프 122 : 폴리머 용해장치
123 : 희석폴리머 공급펌프
2 : 응집혼화탱크
21 : 슬러지 인입부 211 : 레벨센서
2111 : 레벨센서 브래킷 212 : 슬러지 인입노즐
2121 : 인입엘보우 2122 : 인입수직단관
2123 : 인입플랜지 213 : 드레인노즐
214 : 오버플로노즐 2141 : 오버플로단관
2142 : 오버플로엘보우 2143 : 오버플로수직단관
2144 : 오버플로플랜지 215 : 오버플로조
22 : 유기응집제 투입부 221 : 브이 위어
222 : 슬러지 공급관 23 : 급속교반부
231 : 급속교반장치 2311 : 급속기어드모터
23111 : 기어드모터 브래킷
2312 : 급속교반기 23121 : 급속교반축
23122 : 급속교반날개 232 : 슬러지 인입홀
233 : 하부오픈부 24 : 완속교반부
241 : 완속교반장치 2411 : 완속기어드모터
2412 : 완속교반기 24121: 완속교반축
24122 : 완속교반날개 241221 : 수직 블레이드
24123 : 하부 고정디스크 241231 : 축지지부
2412311 : 메탈부쉬 2412312 : 지지외통
241232 : 디스크플랜지 242 : 플록배출부
2421 : 오버플로헤드 2422 : 플록배출구
2423 : 플록공급라인 243 : 드레인노즐
3 : 탈수장치
31. 이송스크류부 311 : 스크류주축
3111 : 주축 31111 : 오링홈
3112 : 편심축 312 : 스크류날개
313 : 주축베어링하우징부 3131 : 주축베어링
31311 : 베어링외륜케이스 31312 : 볼
31313 : 볼리테이너 31314 : 러버 실
31315 : 베어링내륜케이스
3132 : 주축베어링하우징 31321 : 고정판결합 플랜지부
313211 : 플랜지단관 313212 : 결합플랜지
3132121 : 수평커팅부 3132122 : 플랜지홀
31322 : 오링설치부 31323 : 리데나설치부
313231 : 리데나설치중공 313232 : 리데나턱
31324 : 주축베어링설치부 313241 : 주축베어링설치중공
313242 : 베어링턱 313243 :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결합홀
3133 : 리데나 31331 : 외경부
313311 : 링 31332 : 내경부
313321 : 탄성스프링 313322 : 스프링설치홈
313323 : 먼지막이 붙이부 313324 : 삼각돌기부
3134 : 오링 3135 : 주축베어링하우징커버
31351 : 주축통과중공 31352 : 하우징결합홀
31353 : 접시나사 314 : 편심구동판
3141 : 편심베어링 32 : 고액분리부
321 : 고정링 3211 : 고정바체결리브
32111 : 체결홀 3212 : 스페이서
322 : 고정바 323 : 유동링
324 : 유동축 325 : 편심구동판
3251 : 편심베어링 33 : 유입관
331 : 원통부 3311 : 리브플랜지끼움부
332 : 리브플랜지 3321 : 유입관체결리브
33211 : 체결홀 3322 : 유동축 접촉부
333 : 가이드관 3331 : 가이드중공
34 : 슬러지 인입부 35 : 케이크 배출부
36 : 본체프레임부 361 : 유입부고정판
362 : 배출부고정판 363 : 측면플레이트
364 : 여액배출호퍼 366 : 유동축 및 고정바 지지판
37 : 구동부 38 : 스프레이장치
4 : 케이크 이송 컨베이어 5 : 케이크 배출호퍼
A: Dewatering system
1: coagulant feeder 11: poly iron feeder
111: poly iron storage tank 112: poly iron feed pump
12: Polymer supply device 121: Polymer stock tank
1211: Polymer stock solution supply pump 122: Polymer dissolution apparatus
123: Dilute Polymer Feed Pump
2: coagulation tank
21: sludge inlet portion 211: level sensor
2111: Level sensor bracket 212: Sludge draw-in nozzle
2121: Inlet Elbow 2122: Inlet Vertical Single Pipe
2123: inlet flange 213: drain nozzle
214: overflow nozzle 2141: overflow nozzle
2142: overflow elbow 2143: overflow vertical pipe
2144: Overflow flange 215: Overflow flange
22: Organic coagulant input part 221: Vwyer
222: sludge supply pipe 23: rapid agitation part
231: Rapid stirring device 2311: Rapid geared motor
23111: Geared motor bracket
2312: Rapid stirrer 23121: Rapid stirrer shaft
23122: Rapid stirring wing 232: Sludge inlet hole
233: lower opening portion 24: slow stirring portion
241: Slow stirring device 2411: Completely geared motor
2412: Slow stirrer 24121: Slow stirrer
24122: Slow stirring blade 241221: Vertical blade
24123: Lower fixed disk 241231:
2412311: Metal bushing 2412312: Support shaft
241232: Disk flange 242: Floc discharge
2421: Overflow head 2422: Floc outlet
2423: Floc supply line 243: Drain nozzle
3: Dewatering device
31. Feed screw section 311: screw main shaft
3111: Spindle 31111: O-ring groove
3112: eccentric shaft 312: screw blade
313: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3131: Main shaft bearing
31311: Bearing outer ring case 31312: Ball
31313: Ball retainer 31314: Rubber seal
31315: Bearing inner ring case
3132: Spindle bearing housing 31321: Fixing plate coupling flange section
313211: Flanged end fittings 313212: Fitting flanges
3132121: Horizontal cutting part 3132122: Flange hole
31322: O-ring mounting part 31323: Leader mounting part
313231: Ridena installation hollow 313232: Ridena chin
31324: Spindle bearing mounting part 313241: Spindle bearing mounting hollow
313242: bearing chin 313243: spindle bearing housing cover engaging hole
3133: Ridena 31331:
313311: Ring 31332: Inner diameter
313321: Elastic spring 313322: Spring mounting groove
313323: Part with dust film 313324: Triangular protrusion
3134: O-ring 3135: Spindle bearing housing cover
31351: Spindle through hollow 31352: Housing coupling hole
31353: Plate screw 314: Eccentric drive plate
3141: eccentric bearing 32: solid-liquid separator
321: Retaining ring 3211: Fixing bar fastening rib
32111: fastening hole 3212: spacer
322: fixed bar 323: floating ring
324: Liquid shaft 325: Eccentric drive plate
3251: eccentric bearing 33: inlet pipe
331: cylindrical portion 3311: rib flange fitting portion
332: rib flange 3321: inflow tube fastening rib
33211: fastening hole 3322:
333: Guide tube 3331: Guide hollow
34: sludge inlet portion 35: cake outlet portion
36: main body frame part 361: inflow part fixing plate
362: discharge part fixing plate 363: side plate
364: Fluid discharge hopper 366: Fluid shaft and fixed bar supporting plate
37: driving part 38: spray device
4: Cake transfer conveyor 5: Cake discharge hopper

Claims (5)

슬러지 저류조에서 안정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는 응집혼화탱크(2)에 상기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를 만들고,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하는 탈수장치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시스템(A)은 인입되는 슬러지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드는 상기 응집혼화탱크(2)와;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 슬러지 중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철 특유의 플록 강도를 높이는 무기 고분자응집제인 ferric sulfate (
Figure 112019500770104-pat00025
)와, 유기 고분자응집제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1)와;
상기 응집혼화탱크(2)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된 것을 플렉서블한 플록공급라인(2423)으로 공급받고, 내부에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며 고정링(321)과 유동링(323)을 포함하는 고액분리부(32)에서 플록화된 슬러지가 압축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운동으로 하부로 탈리여액이 배출되어 탈수가 이루어지고, 타단부로 케이크가 배출되는 스크류 타입의 탈수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응집혼화탱크(2)는 상기 ferric sulfate가 상부에서 투입되고, 하부에서 슬러지가 인입되어 상기 ferric sulfate와 슬러지의 균일한 혼합을 하는 슬러지 인입부(21)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일정 높이에서부터 상단까지의 일측면을 공유하면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에서 인입된 슬러지가 월류되어 인입되고, 상기 폴리머가 상부에서 투입되는 유기응집제 투입부(22)와;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와 유기응집제 투입부(22)에서 응집제가 혼합된 슬러지가 측면의 하부 일정 높이에서 인입되며, 상기 응집제가 투입된 슬러지를 일정 회전수로 빠르게 교반하여 상기 ferric sulfate와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상기 ferric sulfate와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여 상기 탈수장치에서의 케이크 함수율을 줄여주는 급속교반부(23)와;
하류로 유입되어 상류로 오버플루되는 구조이며, 상기 급속교반부(23)에서 일부 응집된 슬러지를 하부로 인입받아 일정 회전수로 천천히 교반하여 슬러지를 플록화된 슬러지로 만들고, 상부로 오버 플로되어 상기 탈수장치(3)로 플록화된 슬러지를 공급하는 완속교반부(24)로 구성되고,
상기 급속교반부(23)에는 상기 ferric sulfate와 음이온성 물질 및 부유, 현탁물질이 단단하게 응집되게 하여 슬러지와 슬러지 사이의 간극수를 줄이기 위해 120~240rpm 사이의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장치(231)가 설치되며,
상기 급속교반부(23) 측면의 일정 높이의 하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의 슬러지 공급관(222)이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홀(232)의 맞은 편 측면의 하부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일부 응집된 슬러지가 상기 완속교반부(24)로 이동되는 하부오픈부(233)가 형성되며,
상기 급속교반장치(231)는 7.5~15 대 1 사이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급속기어드모터(2311)와;
상기 급속기어드모터(2311)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급속교반기(2312)로 구성되고,
상기 급속교반기(2312)는 상기 급속기어드모터(2311)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급속교반축(23121)과;
상기 급속교반축(23121)의 하단과 일정높이의 중단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펠러 타입인 2개의 급속교반날개(23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
A dewatering devic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ewatering system ") for supplying frozen sludge by supplying a coagulant to be introduced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dge into a flocculation and mixing tank 2 in which a stabilized sludge is introduced in a sludge storage tank A)
The dewatering system (A) comprises: the coagulation tank (2) for adding flocculant to the incoming sludge to form flocized sludge;
Ferric sulfate (2), which is an inorganic polymer flocculant that chemically reacts with anionic substances and suspended or suspended substances in the sludge to increase floc strength,
Figure 112019500770104-pat00025
(1) for supplying a flocculant containing a polymer as an organic polymer flocculant;
The flocked sludge overflowed in the coagulation and mixing tank 2 is supplied to the flexible flock supply line 2423 and the screw vane 312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fixed ring 321 and the floating ring 323 are installed, The sludge flourized in the solid-liquid separating unit 32 is compressed and moved, the sludge is discharg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fluidizing ring 323 to the bottom, and the sludge is dewatered and the cake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And a dehydrating device (3)
The coagulant admixture tank 2 includes a sludge inlet 21 for introducing the ferric sulfate into the upper portion and introducing sludge from the lower portion to uniformly mix the ferric sulfate and the sludge.
The sludge drawn in from the sludge inlet (21) flows in and flows through the sludge inlet (21) while sharing one side from a certain height to an upper end of the sludge inlet (21). The organic coagulant (22);
The sludge mixed with the flocculant at the sludge inlet portion 21 and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portion 22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lower height of the sidewall and the sludge charged with the flocculant is rapidly stirr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to form the ferric sulfate and the anionic The ferric sulfate, the anionic material, the suspen- sion and the suspended material are tightly aggregated to reduce the pore water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thereby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ake in the dehydration apparatus A rapid stirring portion 23;
The sludge is partially flocculated by the rapid agitating part 23 and is slowly stirr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to make flocculated sludge. The sludge is overflowed to the upper part, And a slow stirring part (24) for supplying sludge flocized by the dewatering device (3)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ores between the sludge and the sludge by firmly aggregating the ferric sulfate, anionic material, suspended solids and suspending substances, the rapid stirring part 23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between 120 rpm and 240 rpm 231,
A sludge inlet hole 232 to which a sludge supply pipe 222 of the organic flocculant input unit 22 is connec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apid agitation unit 23,
The low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ludge inlet hole 232 is formed with a lower opening portion 233 at which the sludge agglomerated to a certain height at the bottom is moved to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The rapid stirring apparatus 231 includes a rapid geared motor 2311 having a reduction ratio of 7.5 to 15 to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d a rapid agitator 2312 coupled to the rapid geared motor 2311 by coupling to rotate at a reduced rotational speed,
The rapid agitator 2312 includes a rapid agitation shaft 23121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apid geared motor 2311 by coupling.
And two rapid stirring vanes 23122 each of which is a propeller type and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apid stirring shaft 23121 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측면 상부에는 레벨센서 브래킷(2111)이 형성되어 슬러지 인입부(21)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211)가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가 하부에서 측면으로 인입되며, 일단이 측면에 용접되는 인입엘보우(2121)와 상기 인입엘보우(2121)의 타단과 용접되는 인입수직단관(2122)과 상기 인입수직단관(21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인입플랜지(2123)로 구성되어 슬러지 인입라인과 결합되는 슬러지 인입노즐(212)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하부 바닥에는 내부 청소시 내부의 슬러지를 완전 배출하는 드레인노즐(213)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로 월류되는 양보다 인입되는 슬러지의 양이 많아 일정 높이까지 상기 슬러지가 차오르면 오버 플로되며, 일단이 정면에 용접되는 오버플로단관(2141)과 상기 오버플로단관(21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오버 플로되는 방향을 90도 변경시키는 오버플로엘보우(2142)와 상기 오버플로엘보우(2142)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루수직단관(2143)과 상기 오버플루수직단관(2143)의 하단에 결합되는 오버플로플랜지(2144)로 구성되는 슬러지 오버플로노즐(214)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의 상기 오버플로노즐(214)이 설치되는 내부에는 일정 높이에 도달될 때 상기 오버플로노즐(214)로 오버 플로가 되도록 상기 오버플로노즐(214)의 입구를 일정 높이로 둘러싸고 바닥이 있는 오버플로조(215)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인입부(21)와 유기응집제 투입부(22)가 공유하는 일측면에는 슬러지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브이(V) 형상으로 90도 각도로 파인 브이 위어(V-Weir)(221)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응집제 투입부(22)에는 상기 브이 위어(221)로 넘어온 상기 ferric sulfate가 투입된 슬러지가 일정 수위가 되면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급속교반부(23)의 일정 높이의 측면 하부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폴리머가 균등하게 혼합되도록 유량에 따라 일정 비율로 상기 폴리머가 투입되는 슬러지 공급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vel sensor 211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ludge inlet 2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udge inlet 21,
The sludge is drawn to the side of the sidewall of the sludge inlet 21 and drawn into the sidewall of the sludge inlet 21. The sludge inlet 2117 is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inlet elbow 2121 and the inlet vertical pipe 2122 is welded to the other end of the inlet elbow 2121, And a suction flange 212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vertical single pipe 2122 to form a sludge inlet nozzle 212 coupled with the sludge inlet line,
A drain nozzle (213) for completely discharging sludge therei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ludge inlet (21)
The amount of sludge introduced into the sludge inlet portion 21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the organic flocculant injected into the sludge inlet portion 22 so that the sludge overflows when the sludge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n overflow elbow 214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elbow 2141 and an overflow elbow 214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elbow 2141 to change an overflowing direction by 90 degrees, A sludge overflow nozzle 214 composed of an overflow flange 2144 and an overflow flange 2144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verflow vertical single pipe 2143,
The overflow nozzle 214 of the sludge inlet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n inlet of the overflow nozzle 214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overflow the overflow nozzle 214 when a predetermined height is reached. And an overflow tank 215 having a bottom is formed,
A V-Weir 221 is formed at a 90-degree angle in a V-shape so as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sludge, on one side shared by the sludge inlet 21 and the organic coagulant input 22, Is formed,
When the sludge having the ferric sulfate injected into the VWir 221 reaches a certain level, the organic coagulant injecting unit 22 draws in the sludge and supplies the sludge to the lower side of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rapid agitating unit 23 And a sludge supply pipe (222) into which the polymer is inject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a flow rate so that the polymer is uniformly mixed. The dewatering device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교반부(24)는 상기 슬러지가 충분히 응집할 수 있도록 슬러지가 1분 이상 체류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완속교반부(24)에는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게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며, 10~60rpm으로 가변되는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장치(241)가 설치되고,
상기 완속교반부(24)의 상부에는 플록화된 슬러지가 오버 플로될 수 있게 일정 넓이를 가진 오버플로헤드(2421)와;
상기 오버플로헤드(2421)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며, 플록화된 슬러지가 배출되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플록배출구(2422)로 구성된 플록배출부(242)가 형성되며,
상기 완속교반부(24)의 하부 바닥에는 상기 완속교반부(24)의 청소를 위한 드레인노즐(243)이 형성되고,
상기 완속교반장치(241)는 30 대 1 또는 60 대 1의 감속비를 가지며, 극수가 4극인 완속기어드모터(2411)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의 회전수를 주파수 조정으로 가변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와 커플링으로 결합되어 감속된 회전수로 회전하는 완속교반기(2412)로 구성되고,
상기 완속교반기(2412)는 상기 완속기어드모터(2411)의 회전축과 커플링으로 결합되는 완속교반축(24121)과;
플록 형성을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회전류를 난류상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의 일정높이에 각각 설치되며 4개의 수직 블레이드(241221)를 가지는 패들 타입인 2개의 완속교반날개(24122)와;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진동없이 정숙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어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완속교반부(24)의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하부 고정디스크(24123)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고정디스크(24123)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는 축지지부(241231)와;
상기 축지지부(241231)의 하부 외주에 용접결합되며, 링 형상이고, 상기 완속교반부(24)의 바닥에 고정되는 디스크플랜지(241232)로 구성되고,
상기 축지지부(241231)는 상기 완속교반축(24121)이 삽입되며 면접촉하는 메탈부쉬(2412311)와;
상기 메탈부쉬(2412311)가 삽입되며 상기 디스크플랜지(241232)와 결합되는 지지외통(24123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is sized to allow the sludge to stay for at least one minute so that the sludge can sufficiently aggregate,
The slow stirring section 24 is provided with a slow stirring device 241 which makes the rotating current turbulent so as to smoothly form flocs and rotates at a rotating speed varying from 10 to 60 rpm,
An overflow head 24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flocized sludge can overflow;
A floc discharge portion 242 is formed at the lower outer side of the overflow head 2421, flocized sludge is discharged and one or more floc discharge openings 2422 are formed,
A drain nozzle 243 for cleaning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The slow stirring device 241 includes a constant speed geared motor 2411 having a reduction ratio of 30 to 1 or 60 to 1 and having a pole number of 4;
An inverter for vary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ull geared motor 2411 by frequency adjustment;
And a slow speed stirrer 2412 which is coupled with the full speed geared motor 2411 and rotates at a reduced rotational speed,
The slow stirrer 2412 includes a slow stirring shaft 24121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constant speed geared motor 2411 by coupling.
In order to smoothly form the floc, two smooth stirring blades 24122, which are paddle type, each of which is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and have four vertical blades 241221, )Wow;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is insert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so that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rotates silently without vibration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And a lower fixed disk 24123,
The lower fixed disk 24123 includes a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into which the slowly stirring shaft 24121 is inserted in a cylindrical shape;
A disk flange 241232 weld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and ring-shap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slow stirring portion 24,
The shaft support portion 241231 includes a metal bush 2412311 in which the slow stirring shaft 24121 is inserted and in surface contact therewith;
And a support outer tube (2412312) into which the metal bushing (2412311)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disk flange (241232). The dewater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3)는 고형물이 응집되어 플록화된 슬러지가 인입되면 상기 슬러지를 앞으로 전진시켜 농축을 거쳐 탈수되게 앞쪽으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스크류날개(312)와, 상기 스크류날개(312)가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로 회전되며 주축(3111)과 상기 주축(3111)의 양단에 각각 편심축(3112)을 가지는 이중축 구조인 스크류주축(311)을 포함하는 이송스크류부(31)와;
일정 부분의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부(31)의 회전으로 플록화된 슬러지가 농축되면서 탈수되며, 슬러리가 분리된 탈리여액은 상기 편심축(3112)의 편심운동에 의한 유동링(323)의 스윙으로 하부로 배출되는 고액분리부(32)와;
상기 고액분리부(32)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부고정판(361)에 결합되며, 상기 탈수장치(3)에 인입되면서 일부 플록화가 깨진 슬러지를 안정화시켜 재응집시키며, 일정 길이를 가진 유입관(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액분리부(32)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유입부고정판(361)과 배출부고정판(362)에 고정되는 3개의 고정바(322)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바깥 원주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바(322)와 체결되는 3개의 고정바체결리브(3211)가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주는 스페이서(3212)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고정링(321)과;
상기 이송스크류부(31)가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321)과 고정링(3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편심축(3112)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3112)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고 편심베어링(3251)이 설치되는 2개의 편심구동판(325)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주축(311)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3개의 유동축(324) 사이에 설치되며, 얇은 링판 형상이고, 상기 유동축(324)의 유동에 의해 스윙되고 자전되는 다수 개의 유동링(3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축(3111)의 전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부(31)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진동을 방지하여 상기 유동링(323)의 스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하여 슬러지 회수율을 높이며, 상기 주축(3111)을 타고 슬러지와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축베어링하우징부(3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혼화탱크를 사용하여 탈수능률을 증대한 탈수장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watering device (3) comprises a screw blade (312) for narrowing the pitch toward the front side to be dewatered by advancing the sludge forward when the flocked sludge is flocculated and solidified, and a screw blade A conveying screw portion 31 including a main shaft 3111 and a screw shaft 311 having a double shaft structure and having eccentric shafts 3112 at both ends of the main shaft 3111;
The sludge flociz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 screw part 31 is concentrated while being dewatered and the desorbed filtrate from which the slurry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which is discharged downward by a swing of the fluid ring 323 due to eccentric motion;
The sludge is connected to the inflow portion fixing plate 361 at the front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ing portion 32 and stabilizes and re-coagulates the sludge having some flocked portions while being drawn into the dewatering device 3, 33,
The solid-liquid separating section 32 is connected to three fixing bars 322,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e in the conveying screw section 31 and are fixed to the inlet fixing plate 361 and the discharging section fixing plate 362,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xing bars 3211 fastened to the fixing bars 3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formed with spacers 32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retaining rings 321;
The conveying screw unit 31 is rotatably rotated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 321 and the stationary ring 321. The end of each eccentric shaft 3112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3112 And two eccentric drive plates 325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by the eccentric bearing 3251 and are installed between the three main axes 324 which are rotated by the screw main axis 311, And a plurality of fluid rings (323) in the form of a thin ring plate and swinging and rotating by the flow of the fluid axis (324)
The swinging of the fluid ring 323 has a constant pattern to increase the sludge recovery rate by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feed screw part 31 by smoothly rotating the feed screw part 31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shaft 3111, And a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313) for preventing sludge and moisture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udge tank
KR1020180043770A 2018-04-16 2018-04-16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KR101936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70A KR101936065B1 (en) 2018-04-16 2018-04-16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70A KR101936065B1 (en) 2018-04-16 2018-04-16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065B1 true KR101936065B1 (en) 2019-03-22

Family

ID=6594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70A KR101936065B1 (en) 2018-04-16 2018-04-16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06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45B1 (en) * 2019-06-13 2020-10-27 주식회사 이앤에프 Movable multi-ring type dehydrator with cover for fixed ring
CN113087337A (en) * 2021-04-06 2021-07-09 深圳市捷晶能源科技有限公司 Sludge treatment system
CN114751621A (en) * 2022-05-07 2022-07-15 栗福林 Oily sludge treatment device with proportioning adjusting function for oil fiel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02A (en) * 1998-07-09 2000-02-07 김갑성 System for treating drain water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
KR100775644B1 (en) * 2006-05-18 2007-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e method for concentration and dewatering of waterworks sludge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108929A (en) * 2008-10-16 2008-12-16 (주)오에치케이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sludge
KR100934578B1 (en) 2009-09-11 2009-12-30 (주) 홍우엔지니어링 Screw type dehydration epuipment having selfrotated moving rings
KR101259907B1 (en) 2003-04-11 2013-05-02 홍상헌 Sludge Concentration Apparutus of Multiple Circle Plate Type
JP2014024054A (en) * 2012-07-27 2014-02-06 Gap-Jin Choi Moving type screw dewatering equipment
KR101433931B1 (en) 2014-06-23 2014-08-29 주식회사 로얄정공 Sludge thinckning system
KR101640941B1 (en) 2014-11-24 2016-07-19 이종욱 High speed mixing system of polymer for sludge
KR101816693B1 (en) 2017-03-02 2018-02-21 이종욱 Screw press dehyd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02A (en) * 1998-07-09 2000-02-07 김갑성 System for treating drain water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
KR101259907B1 (en) 2003-04-11 2013-05-02 홍상헌 Sludge Concentration Apparutus of Multiple Circle Plate Type
KR100775644B1 (en) * 2006-05-18 2007-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he method for concentration and dewatering of waterworks sludge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108929A (en) * 2008-10-16 2008-12-16 (주)오에치케이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sludge
KR100934578B1 (en) 2009-09-11 2009-12-30 (주) 홍우엔지니어링 Screw type dehydration epuipment having selfrotated moving rings
JP2014024054A (en) * 2012-07-27 2014-02-06 Gap-Jin Choi Moving type screw dewatering equipment
KR101433931B1 (en) 2014-06-23 2014-08-29 주식회사 로얄정공 Sludge thinckning system
KR101640941B1 (en) 2014-11-24 2016-07-19 이종욱 High speed mixing system of polymer for sludge
KR101816693B1 (en) 2017-03-02 2018-02-21 이종욱 Screw press dehydr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45B1 (en) * 2019-06-13 2020-10-27 주식회사 이앤에프 Movable multi-ring type dehydrator with cover for fixed ring
CN113087337A (en) * 2021-04-06 2021-07-09 深圳市捷晶能源科技有限公司 Sludge treatment system
CN113087337B (en) * 2021-04-06 2022-03-08 深圳市捷晶能源科技有限公司 Sludge treatment system
CN114751621A (en) * 2022-05-07 2022-07-15 栗福林 Oily sludge treatment device with proportioning adjusting function for oil field
CN114751621B (en) * 2022-05-07 2024-05-14 陕西雷光环保科技有限公司 Oily sludge treatment device with proportioning adjusting function for oil f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069B1 (en) Screw Type Dehydration and Concentration Epuipment Having Main Shaft Bearing Housing Part and Feed Pipe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Recovery
KR101936065B1 (en) Sludge Dehydration Equipment System Enhanced Efficiency Using Cohesion Mixing Tank
CN110382074B (en)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JP5490442B2 (en) Centrifuge
JP2005125138A (en) Concentrator
WO2019195997A1 (en) Printing and dyeing wastewater pre-treatment apparatus
JPH02160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ation
KR101052246B1 (en) A aerator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it
JP2013188751A (en) Centrifugal separating device
CN108465432B (en) Flocculant preparation device
JP5611688B2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sludge treatment method
CN110407417A (en) A kind of Forebay of Pumping Station water quality efficient process integrated equipment
JP2010057997A (en)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3005543A (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N108751611B (en) Efficient printing and dye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200392069Y1 (en) A concentrator laied sludge cohesion treating apparatus
CN202044815U (en) Spiral flocculation preconcentrator
JP2017131847A (en) Centrifugal separator
CN113371967A (en) Stacked screw type sludge dewatering machine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CN208632333U (en) Efficient printing and dye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213085754U (en) Steel rolling turbid circulating water treatment system
KR100931990B1 (en) Drum Sludge Thickener
CN204981223U (en) Novel cavitation air supporting machine
CN213294817U (en) Solid-liquid separation equipmen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CN216909935U (en) Desulfurization water recycl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