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994B1 -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994B1
KR101935994B1 KR1020170052861A KR20170052861A KR101935994B1 KR 101935994 B1 KR101935994 B1 KR 101935994B1 KR 1020170052861 A KR1020170052861 A KR 1020170052861A KR 20170052861 A KR20170052861 A KR 20170052861A KR 101935994 B1 KR101935994 B1 KR 10193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iming
laser
poin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299A (ko
Inventor
김동혁
변재정
한상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5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9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32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되어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영점조정이 용이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는, 선단부에 레이저발사기가 장착된 장입유도탄;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 장입유도탄에 장착되고,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나사; 및 장입유도탄과 결합을 이루고, 조준경이 장착된 발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WITH GUIDED MISSILE WITH ZERO CORRECTION SIGHT AND METHOD FOR ADJUSTING ZERO POI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되어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영점조정이 용이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전차유도탄 마일즈장치(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이하 MILES 라고도 함)는 도 1과 같이 레이저발사기 및 레이저감지기가 장착된 장입유도탄(200)과 조준경이 장착된 발사장치(100)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실제 교전과 같은 모의군사훈련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은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점과 조준경의 조준점이 일치하도록 정렬시키는 것으로, 영점조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면 조준해서 레이저를 발사하더라도 표적을 명중시킬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조준감사판을 근거리에 위치시킨 뒤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여 발사된 적색의 레이저가 조준감사판의 특정위치에 오도록 장치의 상하좌우 크릭나사를 조정해서 영점을 정렬시켰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조준감사판이 필요하여 전장 환경에서 실시하기에 불편하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안전한 장소에서 영점조정을 한 후 전장 환경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는 발사장치(100)와 장입유도탄(200)을 분리한 상태로 전장 환경에 이동시킨 뒤 발사장치(100)와 장입유도탄(200)을 결합하는 방식의 대전차유도탄과 같은 경우, 결합부분의 기계적 공차로 인해 사전에 맞춰 놓은 영점조정이 틀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585호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 및 이를 구비하여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영점조정이 용이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는, 선단부에 레이저발사기가 장착된 장입유도탄;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 장입유도탄에 장착되고,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나사; 및 장입유도탄과 결합을 이루고, 조준경이 장착된 발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조준감사경의 조준선과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사이거리는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점조정나사는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만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점조정나사는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좌우조정나사; 및 상하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준감사경은 내부에 반사경이 구비되어 조준방향이 사용자의 감사방향과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은, 원거리의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한 특징점에 대하여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의 조준점이 발사장치에 장착된 조준경의 조준점과 일치하도록,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준감사경의 조준선과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사이거리는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원거리는 수백 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점조정단계에서,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는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위치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만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을 적용하여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영점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입유도탄이 발사장치에 결합되는 마일즈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장입유도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마일즈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되어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영점조정이 용이한 마일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장입유도탄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장입유도탄이 발사장치와 결합된 마일즈장치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선단부에 레이저발사기(10)가 장착된 장입유도탄(300)과 상기 장입유도탄(300)과 결합되고, 조준경(90)이 장착된 발사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발사장치(100)의 조준경(90)을 확인하여 조준경(90)의 중심에 표시된 +자 모양의 조준점(P2)과 목표지점을 일치시킨 뒤, 레이저발사기(10)를 통해 레이저를 발사시킨다.
따라서 이때, 목표지점에 레이저가 정확하게 발사되기 위해서는 상기 조준경(90)의 조준점(P2)과 상기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발사 전 조준경(90)의 조준점(P2)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을 최대한으로 일치시키는 영점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인 마일즈장치(1000)의 영점조정은 별도의 조준감사판을 근거리에 위치시킨 뒤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여 발사된 적색의 레이저가 조준감사판의 특정 위치에 오도록 조정함으로써 영점조정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조준감사판이 필요한 이유로 전장 환경에서 실시하기에 불편하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적색의 레이저를 사용하는 이유로 적군에게 발견되어 위치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도 2, 도 3과 같이, 장입유도탄(300)에 내장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준감사경(20)은 레이저발사기(10)가 적색과 같은 유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거나 혹은 무색의 레이저를 발사하는 경우에도,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장착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조준감사경(20)은 도 2와 같이 조준선(L1)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과 평행을 이루고, 나아가 서로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과 평행을 이루며 서로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는바, 결과적으로 조준감사경(20)의 중심에 표시된 +자 모양의 조준점(P1)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과 근소한 오차거리 내에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거나 혹은 레이저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통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차거리 즉, 도 2에 도시된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의 사이거리(D)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최대한 근접한 것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통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거리(D)는 레이저발사기(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 예로 60cm 직경의 빔폭을 갖는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이거리(D)는 30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L2)과 평행하고, 상기 조준선(L1)과 상기 발사선(L2)의 사이거리(D)가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의 정확도는 거리가 조준거리가 멀수록 높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도 4와 같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판단된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조정하여 조준경(90)의 조준점(P2)의 위치와 일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영점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영점조정은 도 4와 같이 일정거리 이상 멀리 위치한 특징점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판단할 때, 판단의 정확도가 조준거리가 멀수록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영점조정거리(D')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조준감사경(20)과 조준경(90)의 이격거리(L)를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는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제적으로 영점조정을 실시한다는 것의 의미는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과 조준경(90)의 조준선(L3)이 서로 평행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경우에도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을 조준경(90)의 조준선(L3)과 서로 평행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즉, 도 4와 같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조준경(90)의 조준점(P2)의 위치와 일치시킴으로써, 영점조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조준경(90)의 조준점(P2)의 위치와 일치시키되, 동시에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이 조준경(90)의 조준선(L3)과 서로 평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이 조준경(90)의 조준선(L3)과 서로 평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끼인각(θ)의 크기가 90도에 근접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끼인각(θ)은 도 4와 같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이 조준경(90)의 조준선(L3)과 수직한 임의의 선과 이루고 있는 내각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040410540-pat00001
따라서 상기의 관계식을 바탕으로 끼인각(θ)의 크기가 90도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영점조정거리(D')가 조준감사경(20)과 조준경(90)의 이격거리(L)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가 되어야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수십 센티미터(cm) (약 20cm)인 이격거리(L)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인 수백 미터(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와 같은 원리는 원거리에 위치한 달로부터 빛이 평행하게 지구에 도달하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영점조정이 실시된 이후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 및 조준경(90)의 조준선(L3)이 모두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약 0.1~2.5km인 표적거리에 위치하는 목표지점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적거리는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와 같은 영점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의 위치가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의 위치와 동일하게 조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고 틀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도 2와 같이 장입유도탄(300)에 장착되고, 조준감사경(20)과 레이저발사기(10)가 함께 연결된 영점조정나사(40)를 포함하고, 이러한 영점조정나사(40)는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의 위치와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의 위치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만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영점조정나사(40)는 정교한 조정을 위해 도 2와 같이 상기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의 위치와 상기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좌우조정나사(41)와 상하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나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조준감사경(20)은 장입유도탄(300)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사용자가 외부에서 편리하게 감사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내부에 반사경(21)이 구비된 수직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준방향이 사용자의 감사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조준감사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거리 영점조정 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도록 배율조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는 도 2와 같이 조준감사경(20) 미사용 시 장입유도탄(300)에 결합되어 외부환경 및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조준감사경(20)을 감싸서 보호하는 하우징(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1001)의 영점조정방법은 도 4와 같이,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특징점에 대하여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L1)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L2)과 평행하게 장착된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이 발사장치에 장착된 조준경(90)의 조준점(P2)과 일치하도록 상기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지형지물은 일정거리 이상 멀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조준감사경(20)과 조준경(90)의 이격거리(L)를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인 수백 미터(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과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선(L2)의 사이거리(D)는 최대한 근접한 것이 조준감사경(20)의 조준점(P1)의 위치를 통해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거리(D)는 레이저발사기(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영점조정단계에서 상기 조준감사경(20)의 조준선(L1)의 위치는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L2)의 위치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만큼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별도의 조준감사판에 적색의 레이저를 발사하지 않아도 레이저발사기(10)의 발사점이 조준경(90)의 조준점(P2)과 일치된 영점조정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인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0 : 종래의 마일즈장치
1001 : 본 발명의 마일즈장치
100 : 발사장치
200 : 종래의 장입유도탄
300 : 본 발명의 장입유도탄
10 : 레이저발사기
20 : 조준감사경
21 : 반사경
30 : 하우징
40 : 영점조정나사
41 : 좌우조정나사
42 : 상하조정나사
90 : 조준경
L1 : 조준감사경의 조준선
L2 :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
L3 : 조준경의 조준선
P1 : 조준감사경의 조준점
P2 : 조준경의 조준점

Claims (9)

  1. 선단부에 레이저발사기가 장착된 장입유도탄;
    상기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이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
    상기 장입유도탄과 결합을 이루고, 조준경이 장착된 발사장치; 및
    상기 장입유도탄에 장착되고,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점이 상기 발사장치에 장착된 조준경의 조준점과 일치되도록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영점조정나사는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좌우조정나사; 및 상하로 조정하는 상하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과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사이거리는 상기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감사경은 내부에 반사경이 구비되어 조준방향이 사용자의 감사방향과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6. 원거리의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한 특징점에 대하여 장입유도탄에 내장되어 장착되되 조준선이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과 평행하도록 고정되어 장착된 조준감사경의 조준점이 발사장치에 장착된 조준경의 조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영점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과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사이거리는 상기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폭의 반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특징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거리는 수백 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점조정단계에서,
    상기 조준감사경의 조준선의 위치는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발사선의 위치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만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의 영점조정방법.
KR1020170052861A 2017-04-25 2017-04-25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KR10193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61A KR101935994B1 (ko) 2017-04-25 2017-04-25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61A KR101935994B1 (ko) 2017-04-25 2017-04-25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99A KR20180119299A (ko) 2018-11-02
KR101935994B1 true KR101935994B1 (ko) 2019-01-07

Family

ID=6432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61A KR101935994B1 (ko) 2017-04-25 2017-04-25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9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99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9685T3 (es) Pantalla de marcador láser dinámico para dispositivo de puntería
TWI429875B (zh) 用於傾斜射擊之彈道測距方法及系統
US9250035B2 (en) Precision aiming system for a weapon
US8619238B2 (en) Rangefinder for shooting device and method of aligning rangefinder to shooting device sight
CN110770529B (zh) 靶向系统
ES2669544T3 (es) Dispositivo de puntería para arma de fuego, arma de fuego y procedimiento para alinear un arma de fuego
US9335122B2 (en) System and method of aligning an accessory aimpoint to an aimpoint of a device
US9746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 engagement
US9784534B2 (en) Multi-aiming point reticle and optical scope incorporating the same
US10921092B2 (en) Viewfinder with mobile red dot and illuminator
CN211291370U (zh) 一种带有自校准功能的武装飞机轴线的校靶仪
US20120210625A1 (en) Non-lethal/lethal projectile launcher ranging and sighting system
RU2347999C2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управляемым снарядом с лазерной полуактивной головкой самонаведения по движущейся цели (варианты)
RU2538509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управляемой ракетой
KR101935994B1 (ko) 조준감사경이 탑재된 장입유도탄이 구비된 마일즈장치 및 이의 영점조정방법
CN211375202U (zh) 一种用于武装飞机多轴线的综合校靶仪
RU2291371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управляемым снарядом с лазерной полуактивной головкой самонаведения (варианты)
US4026190A (en) Mortar sighting device
CN102494556B (zh) 稳像发射机
RU2534206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управляемой ракетой
US20150276341A1 (en) Blank Firing Laser Adapter
KR101895055B1 (ko) 유탄발사기의 조준장치
CN106482703A (zh) 一种具有测距功能的经纬仪及其工作方法
KR102662578B1 (ko) 레이저 탄도 보정장치를 구비하는 마일즈 시스템 및 이의 탄도 보정방법
US20190011224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lignment of archery s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