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718B1 -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718B1
KR101935718B1 KR1020180047689A KR20180047689A KR101935718B1 KR 101935718 B1 KR101935718 B1 KR 101935718B1 KR 1020180047689 A KR1020180047689 A KR 1020180047689A KR 20180047689 A KR20180047689 A KR 20180047689A KR 101935718 B1 KR101935718 B1 KR 10193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unit
module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to KR102018004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택배 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폐열을 축열하여 이동 후 사용 장소에서 방열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상변화 물질을 보충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방열시 저장 열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방열 효율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Heat Storage Module Assembly for Thermal Energy Delivery}
본 발명은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택배 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폐열을 축열하여 이동 후 사용 장소에서 방열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와 같은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저장하여 온실이나 주택에 공급하는 열택배 사업이 시도되어 최근에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택배 사업은 제철소와 같은 공장의 가열로나 소각로 굴뚝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저장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폐열을 저장하는 매개체로는 잠열축열재라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축열 컨테이너에 폐열로 가열된 열매유와 같은 유체를 경유시키면 상변화 물질이 액상으로 변하면서 열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축열 컨테이너를 온실, 주택 등의 열 사용 장소로 배달하여 공기나 물을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축열 컨테이너에 저장된 열이 사용되면서, 축열 컨테이너에 저장된 상변화 물질은 잠열을 방열하면서 고체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열 컨테이너는 장기간 사용중에 유지 보수에 불편한 점이 있다. 축열 컨테이너의 상변화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나 상변화 물질을 보충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내부 구조를 분해하거나 상변화 물질을 보충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열 사용처에서 상변화 물질에 저장된 열을 방열하는 경우, 초기에는 열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저장열이 적어질수록 방열에 의한 열공급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변화 물질을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용이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열택배 방식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유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을 축열하거나 방열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열교환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열교환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 및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축열 챔버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체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저장하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축열 챔버에 채워지는 축열 물질과, 상기 모듈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외면에 상기 유닛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닛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축열 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상변화 물질을 보충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방열시 저장 열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방열 효율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축열 유닛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열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열 윤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밀폐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가 서로 연결되어 밀폐된 용기 형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는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어 흐르면서 열교환을 하여 열을 축열 유닛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에너지가 필요한 곳에 배달하면 축열 유닛에 저장된 열을 사용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유체를 유입시키면 유로를 흐르면서 축열 유닛과 접촉하여 축열 유닛에 저장된 열을 전달 받아 유체가 가열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모듈 본체(200)와 복수의 지지 부재(240)와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230)와 복수의 축열 유닛(100)을 구비한다.
모듈 본체(200)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모듈 본체(200)의 내부에는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열교환 챔버(201)가 형성된다. 모듈 본체(200)에는 유입구(210)과 유출구(220)가 형성된다. 열교환을 위한 공기, 물 등의 유체가 유입구(210)를 통해 열교환 챔버(201)로 유입되고 유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모듈 본체(200)의 열교환 챔버(201)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 부재(2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금속 재질의 지지 부재(24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열교환 챔버(201) 내부에 설치된다.
지지 부재(240)에는 각각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23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돌기 형태로 형성된 모듈 가이드 부재(230)가 인접하는 지지 부재(240)와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지지 부재(240)에 설치된다.
복수의 축열 유닛(100)은 각각의 지지 부재(240) 사이에 모듈 가이드 부재(23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사용되는 축열 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닛 본체(110)와 축열 물질(120)과 내부 핀(130)과 외부 핀(140)과 유닛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한다.
축열 유닛(100)의 유닛 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유닛 본체(110)의 내부에는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축열 챔버(111)가 형성된다. 유닛 본체(110)에는 캡 부재(160)가 설치되어 축열 챔버(1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유닛 본체(110)의 축열 챔버(111)에는 축열 물질(120)이 채워진다.
축열 물질(120)은 일반적으로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로 알려진 물질 들이 사용된다. 축열 물질(120)로 상변화 물질 이외에 화학적 축열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축열 물질(120)이 외부 열을 흡수하여 고온인 경우, 축열 물질(120)은 액체 상태가 된다. 축열 물질(120)에 저장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축열 물질(120)의 온도가 낮아지면 축열 물질(120)은 고체 상태가 된다.
캡 부재(160)를 유닛 본체(110)로부터 제거하여 축열 챔버(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축열 물질(120)을 축열 챔버(111)에 주입한다. 캡 부재(160)를 유닛 본체(110)에 결합하여 유닛 본체(110)의 축열 챔버(111)를 폐쇄한다.
유닛 본체(110)의 축열 챔버(111)에는 복수의 내부 핀(130)이 설치된다. 내부 핀(130)은 축열 챔버(111) 내면에서 축열 챔버(1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 핀(130)들(130)은 유닛 본체(110)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핀(130)이 축열 챔버(111)의 중심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면, 축열 챔버(111)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축열 및 방열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 핀(130)은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세레이션(serration) 가공하면, 축열 물질(120)과 내부 핀(13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닛 본체(110)의 외면에는 복수의 외부 핀(140)이 설치된다. 외부 핀(140)은 유닛 본체(110)의 외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외부 핀(140)이 유닛 본체(11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면, 유체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유닛 본체(110)의 외면에는 유닛 가이드 부재(150)가 형성된다. 유닛 가이드 부재(150)는 축열 유닛(100)을 모듈 본체(200)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유닛 가이드 부재(150)는 축열 유닛(100)을 모듈 가이드 부재(2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 가이드 부재(23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축열 유닛(100)의 유닛 가이드 부재(150)는 유닛 본체(11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유닛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유닛 가이드 부재(150)에는 가이드 홈(151)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모듈 가이드 부재(230)가 유닛 가이드 부재(150)의 가이드 홈(151)에 끼워지도록 하여, 축열 유닛(100)을 모듈 본체(200)에 밀어 넣는 방법으로 축열 유닛(100)을 모듈 본체(200)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닛 본체(110)와 내부 핀(130)과 외부 핀(140)과 유닛 가이드 부재(150)는 모두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등이 유닛 본체(110), 내부 핀(130), 외부 핀(140) 및 유닛 가이드 부재(150)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유닛 본체(110)에는 온도 센서(171)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닛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온도 센서(171)가 설치되어 위치 별로 유닛 본체(1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유닛 본체(110)에는 통신부(172)가 설치된다. 통신부(172)는 온도 센서(171)가 연결된다. 통신부(172)는 각 온도 센서(171)의 측정 값을 무선 신호로 외부로 송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닛 본체(110)에는 열전 소자(173)가 설치된다. 열전 소자(173)는 유닛 본체(110)의 온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킨다. 열전 소자(173)는 온도 센서(171) 및 통신부(1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열전 소자(173)에서 발생한 전력은 온도 센서(171)와 통신부(172)를 작동시키는 에너지 원으로 사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닛 본체(110)로부터 캡 부재(160)를 분리하고, 유닛 본체(110)의 축열 챔버(111) 내부에 축열 물질(120)을 채워 넣는다.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사용되는 축열 유닛(100)은 캡 부재(160)를 이용하여 축열 챔버(111)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축열 챔버(111)에 축열 물질(120)을 보충하거나 축열 물질(120)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사용하는 중에 축열 유닛(100)에서 축열 물질(120)이 누출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축열 유닛(100)에 캡 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출된 축열 물질(120)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열 물질(120)로 사용되는 상변화 물질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캡 부재(160)를 이용하여 축열 챔버(111)를 개방하고 축열 물질(120)을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축열 및 방열 환경에 따라 더 적절한 특성을 가지는 상변화 물질로 축열 챔버(111)를 채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와 같이 축열 물질(120)을 교체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장기간 사용하는 중에, 더 우수한 성능의 축열 물질(120)이 개발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언제든지 축열 물질(1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축열 유닛(10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축열 챔버(111) 내부의 축열 물질(120)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축열 챔버(111) 내부에 축열 물질(120)이 채워진 축열 유닛(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모듈 본체(200)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 가이드 부재(230)가 유닛 가이드 부재(150)의 가이드 홈(151)에 끼워지도록 하여, 축열 유닛(100)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축열 유닛(100)을 모듈 본체(20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축열 유닛(100)을 모듈 본체(200)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축열 유닛(100)이 파손되거나 축열 물질(120)이 누출된 경우에 쉽게 새로운 축열 유닛(100)으로 교체하여 모듈 본체(20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모듈 본체(200)에 유체를 흐르게 하여 축열 또는 방열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외부 핀(140)과 내부 핀(130)에 의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핀(140)은 유체와 축열 유닛(10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더욱 빠르게 열을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축열 챔버(111) 내부에 채워진 상변화 물질은 축열 챔버(111)의 내벽에 가까운 부분부터 고체로 변하기 시작하거나 반대로 고체가 액체로 변하기 시작한다. 축열 유닛(100)이 방열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축열 챔버(111)의 내벽 근처부터 상변화 물질이 열을 방출하고 고체로 변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고체 상태로 변한 상변화 물질이 일종의 단열 작용을 하여 축열 챔버(111) 중앙부의 상변화 물질이 열을 배출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열 유닛(100)의 경우 축열 챔버(111)의 내면에서 중앙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내부 핀(130)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방열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축열 챔버(111)의 내벽 근처의 상변화 물질이 고체로 변하더라도, 내부 핀(130)이 축열 챔버(111) 중앙부의 액체 상태의 상변화 물질과 접촉하여 열을 축열 챔버(111)의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축열 유닛(100)이 축열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축열 유닛(100)의 외부로부터 유체에 의해 전달 받은 열을 내부 핀(130)을 통해 축열 챔버(111) 중앙부까지 빠르게 전달한다. 따라서, 축열 챔버(111) 중앙부의 고체 상태의 상변화 물질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축열 물질(120)을 빠르게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축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내부 핀(130)의 작용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축열 및 방열 공정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열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축열 유닛(100)에 저장되고 사용되는 열 에너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축열 챔버(111) 중앙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핀(130)에 의해, 축열 챔버(111) 내부의 열용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도 축열 유닛(100)의 방열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에 설치된 3개의 온도 센서(171)는 그 온도 센서(171)가 설치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온도는 통신부(172)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소자(173)가 유닛 본체(110)의 자체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그 전력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171)와 통신부(172)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각 위치마다 측정된 온도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정보로 활용된다.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는 모듈 본체(200) 내의 복수의 축열 유닛(100) 마다의 온도를 파악하여 모듈 본체(200)의 열교환 챔버(201)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조정한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경우와 같이 모듈 본체(200)가 복수의 유입구(210)과 유출구(220)를 구비하고, 각 유입구(210)와 유출구(220)마다 개폐 밸브(211, 221)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 경우에 축열 유닛(100)의 온도 센서(171)의 측정값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모듈 본체(200)의 열교환 챔버(201) 내부의 각 위치마다 축열 유닛(100)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열교환 챔버(201) 내부의 온도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에 연결된 개폐 밸브(211, 221)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유체와 축열 챔버(111)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열교환 챔버(201) 내부의 위치에 따른 축열 유닛(100)의 온도 분포를 파악하여 모듈 본체(200)의 개폐 밸브(211, 221)를 개폐하는 방법으로 유체의 흐름을 조정하면,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의 전체적인 축열 및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소자(173)와 무선 통신 통신부(172)를 사용하면, 축열 유닛(100)의 구성과 주변 구성과의 연결을 단순화하면서도 온도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무선 통신으로 온도 값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172)와 열전 소자(173)를 구비하는 형태의 축열 유닛(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통신부(172)와 열전 소자(173)를 구비하지 않는 축열 유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축열 유닛의 온도 센서는 유선으로 외부 제어부에 연결되어 측정한 온도 값을 외부로 송신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열전 소자(173) 대신에 배터리를 유닛 본체에 설치하고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와 통신부를 작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전기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하여 온도 센서와 통신부를 작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유닛 가이드 부재(150)는 가이드 홈(151)을 구비하고 축열 모듈(200)에는 모듈 가이드 부재(230)가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축열 유닛의 유닛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모듈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축열 유닛(100)이 모듈 본체(20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클립 체결 방식으로 모듈 본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 스프링 형태의 클립으로 모듈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고 축열 유닛의 유닛 가이드 부재가 클립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모듈 본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환경과 용도 및 상변화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는 외부 핀(140)과 내부 핀(13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의 축열 유닛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축열 유닛(100)의 유닛 본체(110)가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열 유닛의 유닛 본체는 육각 기둥이나 팔각 기둥 등 다각형 기둥의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00: 모듈 본체 201: 열교환 챔버
210: 유입구 220: 유출구
230: 모듈 가이드 부재 240: 지지 부재
211, 221: 개폐 밸브
100: 축열 유닛 110: 유닛 본체
111: 축열 챔버 120: 축열 물질
130: 내부 핀 140: 외부 핀
150: 유닛 가이드 부재 151: 가이드 홈
160: 캡 부재 171: 온도 센서
172: 통신부 173: 열전 소자

Claims (8)

  1. 열택배 방식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유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을 축열하거나 방열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열교환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열교환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 및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 축열 챔버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체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저장하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축열 챔버에 채워지는 축열 물질과, 상기 축열 물질과 접촉하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축열 챔버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내부 핀과, 상기 유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외부 핀과, 상기 모듈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본체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닛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닛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축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가이드 부재와 상기 유닛 가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는 가이드 홈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열 유닛은, 상기 축열 챔버를 개폐하여 상기 축열 물질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본체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열 유닛의 유닛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열 유닛의 내부 핀과 외부 핀은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유닛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유닛 본체에 대해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물질은 상변화 물질(PCM)이고,
    상기 유닛 본체와 내부 핀과 외부 핀은 알루미늄 합금과 구리 합금과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인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는,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축열 유닛의 복수의 온도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에는 각각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KR1020180047689A 2018-04-25 2018-04-25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KR10193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89A KR101935718B1 (ko) 2018-04-25 2018-04-25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89A KR101935718B1 (ko) 2018-04-25 2018-04-25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718B1 true KR101935718B1 (ko) 2019-01-04

Family

ID=6501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89A KR101935718B1 (ko) 2018-04-25 2018-04-25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257A (ko) 2019-04-12 2020-10-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열저장 장치
CN114719654A (zh) * 2022-05-17 2022-07-08 苏州惟新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自然对流强化相变过程的相变蓄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784A (ja) * 2002-01-25 2003-07-30 Kubota Corp 蓄熱槽
JP2010216729A (ja) * 2009-03-17 2010-09-30 Nippon Light Metal Co Ltd 蓄熱体
WO2016016428A1 (fr) * 2014-07-31 2016-02-0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 stockage d'énergie par matériau à changement de phase et un procédé de stockage associ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784A (ja) * 2002-01-25 2003-07-30 Kubota Corp 蓄熱槽
JP2010216729A (ja) * 2009-03-17 2010-09-30 Nippon Light Metal Co Ltd 蓄熱体
WO2016016428A1 (fr) * 2014-07-31 2016-02-0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 stockage d'énergie par matériau à changement de phase et un procédé de stockage associ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257A (ko) 2019-04-12 2020-10-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열저장 장치
CN114719654A (zh) * 2022-05-17 2022-07-08 苏州惟新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自然对流强化相变过程的相变蓄能装置
CN114719654B (zh) * 2022-05-17 2024-02-13 苏州惟新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自然对流强化相变过程的相变蓄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471B2 (en) Cooling mechanism for batteries using L-V phase change materials
KR101935718B1 (ko) 열택배용 축열 모듈 조립체
US9863718B2 (en) Explosion-proof enclosures with active thermal management by heat exchange
US4131158A (en) Storage arrangement for thermal energy
US20100051227A1 (en) Thermal energy storage
EP3208556B1 (en) Cooling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ES2633804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conjunto de celdas de intercambio térmico y conjunto de celdas de intercambio térmico obtenido de este modo
KR100751485B1 (ko) 전기보일러
KR101935717B1 (ko) 열택배용 축열 유닛
KR20160035904A (ko) 히터봉과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축열식 보일러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KR101967119B1 (ko) 열택배 공급 장치 및 열택배 공급 시스템
KR20200081176A (ko) 열택배 공급 장치
FR3054650B1 (fr) Echangeur de chaleur, notamment pour la regulation thermique d'une unite de reserve d'energie, et ensemble forme dudit echangeur et de ladite unite.
CN217426877U (zh) 一种移动式储能电池热管理设备
KR20240090954A (ko) 전기 유체 히터
EP3147618A1 (en) Heat energy accumulator based on solid-liquid phase-change materia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unit
KR100637255B1 (ko) 전기보일러
KR20200120257A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열저장 장치
KR20100021255A (ko)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KR200392484Y1 (ko) 열교환기
KR20190031749A (ko) 발전 장치
CN220272648U (zh) 电池包
KR101515879B1 (ko) 전기보일러용 히터
CN211182441U (zh) 用于储能系统的温度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