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24B1 -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 - Google Patents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24B1
KR101935624B1 KR1020140156890A KR20140156890A KR101935624B1 KR 101935624 B1 KR101935624 B1 KR 101935624B1 KR 1020140156890 A KR1020140156890 A KR 1020140156890A KR 20140156890 A KR20140156890 A KR 20140156890A KR 101935624 B1 KR101935624 B1 KR 10193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blower
pipe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787A (ko
Inventor
진남기
Original Assignee
진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남기 filed Critical 진남기
Publication of KR2014014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포위식 후드인 실험실 후드나 페인트 분무도장 후드에 충분한 개구면 속도를 유지못할 경우와 포집형 후드인 측방형 후드나 슬롯 후드에서 후드의 가로 길이가 길어지고 배기구와의 거리가 멀어 질수록 흡인력이 저하되며 천개식 후드인 캐노피 후드 에서는 후드 경사각이 작아 후드가 넓게 퍼지면 흡인력이 저하되어 오염 물질이 실내로 확산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후드의 문제점인 각종 후드 입구에 공기 발생 장치인 블로워를 설치하여 후드 끝단부 내,외곽에 정체된 오염 공기를 블로워에 흡인한 공기로 토출 시켜 배기구로 밀어주어 배기 효율을 증대시킨 국소배기 후드 흡인장치다

Description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venturi hood suction device }
국소 배기를 이용한 환기분야
국소 배기란 오염원 근방 또는 전체를 포외 하여 둘러싼 흡입구이며 오염물의 비산 한계점 에서 공기 흐름을 후드로 향하게 배기 하는 것으로 오염물질 발생원 에서 확산 되기 전 포집 제거하는 장치이다
국소 배기는 오염 물질 발생량이 많고 독성이 강하며 근로자의 작업 위치가 발생원에 근접하며 발생 주기가 균일하지 않는 경우로 대부분 법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 10-2012-0040689호, 공개일자: 2012.04.27., 발명의 명칭: 캐노피 후드 및 주방용 후드 배기장치
천개식 후드인 캐노피 후드에서 경사각이 작아 후드가 넓게 퍼지면 오염 물질은 배기가 잘 안되 실내로 확산 된다.
삭제
국소 배기의 문제점은 흡입구에서 멀어지면 흡인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인 후드 흡인 장치는 각종 후드에 공기 발생 장치인 블로워를 설치하여 후드 외곽 주변의 정체된 오염 공기를 블로워로 흡인하여 실내 확산을 막으며 블로워로 흡입된 공기는 후드 내측으로 토출시켜 배기시킨다
오염원과 배기 닥트 간의 거리가 멀수록 후드의 흡입 효율은 급격히 떨어지기에 후드 흡입구 각 면에 블로워 를 설치하여 후드 주변부에 정체된 오염 공기를 흡입한 공기를 토출 시켜 후드 내 배기구로 밀어 배기하는 것이다
각종 후드 입구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후드 주변부의 정체된 오염 공기를 블로워가 흡인한 토출 공기로 밀어주면 배기 효율이 향상되고 후드 입구 주변부와 후드끝단의 정체된 오염 공기가 배기 된다.
주방,공장 후드에 적용 가능하여 오염원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건강과 쾌적한 근무 환경이 조성된다
도1은 블로워 분해도 이다
도2는 가변 파이프 캐노피 후드 단면 및 블로워 설치도 이다
도3은 격판 후드 투시 및 블로워 설치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으로 설명한다
우선 각도면 구성 요소의 참조 부호 중 동일한 부호는 같은 부호로 표시하였다
관련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 설명중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의 설명은 생략 하였다
도1의 블로워는 케이스(6), 흡기구(7), 토출구(8) 및 임페러(11), 필터(9)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6)는 대략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6)의 일 측에는 흡기구(7)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의 타 측에는 토출구(8)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 내부에 상기 임페러(11)가 설치되며, 상기 임페러(11)가 회전되면, 상기 흡기구(7)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었다가 상기 토출구(8)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블로워의 케이스(6) 흡기구(7)와 토출구(8)에 필터(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9)는 상기 임페러(11)의 회전에 따라 흡기구(7)로 흡기되었다가 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필터(9)는 교체될 수 있다.
필터는 오염 물질에 적합한 필터를 선택하여 각종가스,분진,냄새나 유적등 의 오염 물질이 걸러진다
후드 입구에 각종 오염 물질에 적합한 열감지쎈서,가스센서,기체센서,냄새쎈서 중 적합한 센서를 선택 설치하여, 그러한 센서에서 오염 물질이 감지되면 블로워가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가변 파이프 후드로 후드 내측에 2중 파이프로 원형,사각,타원,삼각형의 파이프중 하나의 파이프를 선택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파이프 끝단을 확관(13) 하면 선택한 파이프 형상의 벨마우스로 될수 있다. 공기 이송 파이프(12)인 공기 이송통로(12)는 겉 파이프(14) 속에 속 파이프(20)를 삽입 후 기밀을 위한 고무링(15)을 설치하며 속 파이프(20)가 입출 되어 흡입공기 위치가 조절되 흡입위치에 따라서 후드의 크기가 조절될수 있다.
후드 내측에 설치된 공기이송 파이프(12)와 수평형 블로워(3) 를 하나이상 설치하여 수평 블로워(3) 의 토출 공기로 밀어주면 후드 내측 배기구(4) 접속부에 경사지게 절단된 파이프 면(16)으로 수평 블로워(3) 의 토출 공기가 통과될때 공기 이송 파이프(12) 내부는 온도차에 의한 부력 상승 원리와 연돌 효과 및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파이프 입구 공기는 공기 이송 파이프(12) 로 흡입 배출된다.
상세히, 도 2에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바처럼, 후드 내측에 공기이송 파이프(12)와 수평 블로워(3)가 설치되고 블로워(3)가 작동되면, 공기는 블로워(3)를 통해 후드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후드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후드 내부, 즉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 외측을 따라 상승된 다음 후드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배기구(4)를 통해 후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 외측을 따라 상승된 다음 후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4) 접속부에 연결된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의 경사지게 절단된 파이프 면(16) 위를 지나가게 되면서, 그 경사지게 절단된 파이프 면(16)에 벤츄리 효과에 의해 부압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 내부에 부력 상승의 원리와 연돌 효과가 맞물려,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 내부에도 전체적으로 부압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공기이송 파이프(12) 저면에서도 공기 유입이 발생된다. 따라서, 공기이송 파이프(12) 입구의 공기가 공기이송 파이프(12)의 벨마우스로 원활하게 흡인될 수 있다.
스위치(5)는 수평 블로워(3) 전부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이때, 스위치(5)는 전원 공급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공기 이송 파이프(12) 의 각종 후드 적용은 후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할수 있으며 후드의 오염 공기가 배기구로 이송된다.
도3은 격판 후드로 본체가 외판(17)이 되고 내판(18) 과의 사이에 칸막이(19)를 설치하면 공기 이송 통로가 형성된 격판이 된다.
후드 내측에 설치된 격판 하단 주변부를 따라 내측으로 수평 블로워(3) 가 하나이상 설치되며 후드 내측 배기구(4) 접속부 에 경사지게 절단된 면으로 공기가 통과될 때 격판 내부는 온도차에 의한 부력 상승의 원리와 연돌 효과 및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배출된다
수평 블로워(3)는 스위치(5)와 함게 설치되며 스위치(5)는 수평 블로워(3) 전부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이때, 스위치(5)는 전원 공급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에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바처럼, 후드 내측면에 상기 격판 후드가 설치되고, 상기 격판 후드 하단 주변부에 수평 블로워(3)가 설치되고, 공기는 상기 수평 블로워(3)를 통해 후드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후드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후드 내부, 즉 상기 격판 후드 내부를 따라 상승된 다음 내측 배기구(4) 접속부 에 경사지게 절단된 면으로 공기가 통과될 때 후드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배기구(4)를 통해 후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벤츄리 효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 후드 내부에서의 부력 상승의 원리와 연돌 효과도 맞물려, 상기 격판 후드 내부에도 전체적으로 부압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격판 후드 저면에서도 공기 유입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격판 후드 입구의 공기가 상기 격판 후드 내부로 원활하게 흡인될 수 있다.
각종 후드 입구에 오염물질에 적합한 열감지쎈서,가스센서,기체센서,냄새쎈서중 적합한 센서를 선택 설치하여, 그러한 센서에서 오염 물질이 감지되면 블로워가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각종 후드 입구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후드 주변의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실내 확산을 방지하기에 작업자에게는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어 업무 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각각의 후드에서 오염 종류에 따라 블로워 의 모터는 고온의 열기가 발생 되는 후드는 내열 모터를 사용하며 가연성 가스가 발생 되는 곳에서는 방폭 모터를 적절하게 사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 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산업 현장의 각종 유해가스 및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국소 배기 장치에 적용하면 오염 공기가 신속히 배출된다
4.배기구
5.스위치
6.케이스
7.흡기구
8.토출구
9.필터
11.임페러
12.공기 이송 파이프
13.파이프 확관부
14.겉 파이프
15.기밀용 고무링
16.경사지게 절단된 파이프 면
20.속파이프

Claims (2)

  1. 후드 내측에 블로워와 공기 이송통로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공기 이송통로 흡입구는 벨마우스 이며 벨마우스 반대편 공기 이송통로 경사면으로 공기가 통과할때 벤츄리 효과로 공기가 흡입되는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이송통로는 가변 되게 설치되 후드 끝단의 흡입공기 위치가 조절되는 후드.
KR1020140156890A 2013-01-01 2014-11-12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 KR101935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13 2013-01-01
KR20130000013 2013-01-01
KR20130008974 2013-01-26
KR1020130008974 2013-01-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353A Division KR101486268B1 (ko) 2013-01-01 2013-11-19 각종 국소배기 후드 흡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787A KR20140147787A (ko) 2014-12-30
KR101935624B1 true KR101935624B1 (ko) 2019-01-04

Family

ID=517370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353A KR101486268B1 (ko) 2013-01-01 2013-11-19 각종 국소배기 후드 흡인장치
KR1020140156890A KR101935624B1 (ko) 2013-01-01 2014-11-12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353A KR101486268B1 (ko) 2013-01-01 2013-11-19 각종 국소배기 후드 흡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486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675B1 (ko) * 2016-08-31 2017-05-26 주식회사 재진엔지니어링 국소배기장치용 흡입장치
KR102077194B1 (ko) 2019-07-04 2020-04-07 백승일 탈부착식 흡입유도후드를 갖는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789A (ja) * 1996-04-03 1997-10-21 Toto Ltd レンジフード
KR100644837B1 (ko) * 2004-11-10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KR100608704B1 (ko) * 2004-12-2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KR100983811B1 (ko) * 2009-10-15 2010-09-27 고승대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268B1 (ko) 2015-01-28
KR20140088491A (ko) 2014-07-10
KR20140147787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9786A4 (ko) 국소 후드 배기 가압장치
US20070021047A1 (en) Air-isolator fume hood
JP2010138906A5 (ko)
KR101935624B1 (ko) 벤츄리 후드 흡인장치
KR20120040689A (ko)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CN104043632A (zh) 无管实验室排气柜装置
CN206746166U (zh) 万向抽气罩净气一体装置
KR101474822B1 (ko)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 및 상기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가 복수 개 적용되는 배기 시스템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JP3218042U (ja) 換気装置
FR2931348B1 (fr) Dispositif de cuisson
KR100742560B1 (ko) 오염물질 흡입용 회오리 발생기와 이 회오리 발생기가포함된 오염물질 흡입장치 및 오염물질 흡입유니트
WO2007107034A1 (fr) Structure d'aspiration d'appoint, et procédé correspondant
FI87399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nordnande av maskinell gasavlaegsning i ett rumsutrymme.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EP1635121B1 (en) Hood ventilation system
CN208832663U (zh) 一种水漆生产用通风厂房
JP2014025621A (ja) 給排気システム
FI9110U1 (fi) Alipainepuhallin
WO2015166947A1 (ja) 排気装置
KR102332704B1 (ko)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101029330B1 (ko) 오염물질 흡·배기 장치
CN202019498U (zh) 一种设有抽烟装置的浸锡炉
KR100821330B1 (ko) 오염물질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1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13

Effective date: 20181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