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30B1 -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30B1
KR101935330B1 KR1020180010732A KR20180010732A KR101935330B1 KR 101935330 B1 KR101935330 B1 KR 101935330B1 KR 1020180010732 A KR1020180010732 A KR 1020180010732A KR 20180010732 A KR20180010732 A KR 20180010732A KR 101935330 B1 KR101935330 B1 KR 10193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lict
recognition
factors
factor
construction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승헌
원진우
이창준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and a method there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selects a conflict factor of a construction project by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importance and determination of a decision maker among economic, institutional/procedural, technical/environmental factors. Furthermore,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analyzes a gap in recognition on the conflict factors by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conflict factors from participants, thereby evaluating a gap in recognition on the construction project among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lict factor which can occur in the construction project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by deriving conflict factors having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Description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설 프로젝트 초기 건설 갈등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관점에서 참여자들 간의 중요도 정보를 기반으로 갈등 인식의 격차를 분석하는 건설 프로젝트 참여자들 간의 갈등 인식 분석을 위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and more specifically, to evaluate the level of construction conflict in the early stages of a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nts from an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technic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 perception among construction project participants who analyze the gaps in conflict percep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nflict.

일반적으로 건설 산업은 다양한 주체가 다양한 장소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에 서로 다른 이해 관계를 가지고 활동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발주자, 설계자, 감리자, 원도급자, 하도급자 등 다수의 건설 산업 참여자들 사이에는 각기 다른 이해 관계에 따른 분쟁의 소지가 늘 잠재되어 있다. 건설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계약 당사자들이 다툼에 앞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various subjects operate in different places and at different times with different interest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disputes among different construction industry participants, such as the owner, designer, supervisor, contractor, subcontractor, due to different interests. If the contracting partie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ail to reach an agreement before a dispute, a dispute will arise.

그러므로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사업 참여자들을 둘러싼 갈등이 항상 발생하며,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고 참여자들 간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갈등의 수준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자들의 인식 격차에서 비롯되는데, 특히 발주자, 설계사, 시공사 등 직접 건설 프로젝트를 운영 및 관리하는 내부 참여자들 간의 갈등보다는 정부, 지역 주민, 시민 단체 등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영향을 받는 외부 참여자들 간의 갈등이 심각하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s always arise around the project participants, and as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ncreases and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level of conflict becomes more serious. These conflicts arise from the recognition gap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especially those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government, local residents and civic groups rather than conflicts among the internal participants who manage and manage direct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clients, designers, Conflicts among external participants are serious and have a greater impact on society.

이로 인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 정치적 대립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중 국책 사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갈등은 향후 정책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버넌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This causes not only the construction project but also economic problems such as economic loss and political confrontation. Since the national project is a large part of the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 the conflic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ocial policy as well as the future policy .

이에 따라, 시대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정부 주도의 사업 진행이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외부 참여자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내부 참여자들의 갈등 해결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식 격차를 고려하지 않은 채 갈등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뿐, 외부 참여자들의 인식 격차에 대한 분석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As a result, not only is government-led business progress more difficul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times, but also a way to mitigate conflic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needed. However, in spite of the increasing need for methods to resolve conflicts among external participa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resolving conflicts among internal participants, suggesting alternatives for conflict resolu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cognition gap, There is no analysis on the recognition gap of external participan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9064호(공개일 2009.02.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9064 (published on February 25, 20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110호(공개일 2015.07.09.)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80110 (Publication date 2015.07.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0159호(공고일 2006.01.1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40159 (Published on Jan. 10, 20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0197호(공개일 2010.09.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0197 (published September 15, 2010).

'건설사업 이해당사자 간 인식차이를 고려한 갈등지수 개발', 민장희, 이창준, 한승헌(2016.10),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47-48 페이지.'Development of conflict index consider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the stakeholders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Min Janghee, Lee Chang - joon, Han Seung - heon (2016.10),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 47-48. '갈등 관점의 공공 건설사업 연구트렌드 분석', 이창준, 장우식, 한승헌(2015.10),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5-6 페이지.'Trend Analysi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Perspective of Conflict', YC Chang, Woo Sik Won, Han Seung Heon (May 20, 2015),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5-6. '지역기반시설 설치사업의 갈등구조 분석 - 성미산 배수지 건설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전주상(2015.10), 사회과학연구, 26(4), 121-142 페이지.'Analysis of Conflict Structure in Local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Sungmisan Reservoir Construction Project', Jeonju Sangsang (2015.10), Social Science Research, 26 (4), 121-142.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외부 참여자들 간의 갈등 인식 격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설 프로젝트에 따른 다양한 갈등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외부 참여자들의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자 한다.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gap of conflict recognition among the external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evaluates the gap of the recognition of conflict among the external participants.

둘째,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들 중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세 가지 관점에 대해 건설 프로젝트에서 외부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rive the conflict factors among the external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with respect to the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technical / environmental aspects among the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셋째,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을 분석 및 평가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수준을 예측하고자 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d evaluates the factors of conflict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predicts future conflict levels in construction project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세 가지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갈등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수집, 평가하여 갈등 요인들에 대한 인식 격차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s, in order to mitigate the conflicts arising i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system for evaluating the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flict factors of the participants in terms of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technical / This paper analyzes the gaps i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factors and evaluates the gaps in the recognition of conflicts among the participants. The conflict evalu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ab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onflict factors that can occur in the construction project by deriving the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과, 의사 결정자에 따라 복수 개의 갈등 요인들을 선정하는 갈등 요인 선정부;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하여 참여자들 각각으로부터 갈등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정보와 중요도 정보에 따라 배분된 순위 정보가 포함된 인식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하는 데이터 수집부;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 정보와 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산출하는 요인별 분석부; 및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고, 합산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을 분석 및 평가하도록 하는 갈등 요인 평가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ystem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of a construction pro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istic of a construction project; a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a decision maker;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recognition data including ranking information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the importance information about the conflict factors from each of the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factors selected by the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A data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recognition data inputted from the data input unit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 conflict factor and a participant group; A factor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participant groups using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the ranking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analysis results into recognition scores to calculate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And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for weigh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points by applying the weight to the conflict factors and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flict factor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the summed scores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적어도 경제적 갈등 요인과,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을 복수 개씩 선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comprises: Among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at least one of economic conflict,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re selected.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는, 상기 경제적 갈등 요인으로 보상 수준의 비합리성 항목, 생계지원 대책 마련의 부족 항목, 지역발전 저해 항목, 사유재산 침범 항목, 지역이미지 실추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고; 상기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으로 비합리적인 보상제도 및 절차 항목, 사업추진의 불투명성 항목, 미흡한 주민참여절차 항목, 일방적인 입지 및 노선선정 절차 항목, 갈등해소 노력 부족 항목, 사업의 필요성 부재 항목, 사업의 시급성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으로 생태 환경 훼손 항목, 문화재 및 지역상징물 훼손 항목,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항목, 현 기술대안의 타당성 항목, 시설물의 위해성 및 위험 범위의 의견 불일치 항목, 문화재 및 지영상징물 존재 여부 의견 불일치 항목을 적어도 선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selects at least the irrationality of the compensation level, the lack of provision of livelihood support measures, the local development inhibition item, the private property inclusion item, and the local image disillusionment item as the economic conflict factors; The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include irrational reward system and procedure items, non-transparency items of project implementation, inadequate citizen participation procedure items, unilateral location and route selection procedure items, lack of conflict resolution effort, At least a choice of urgent items; In addition, there are disagreement items on the risk of ecological environm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and area symbol,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feasibility of existing technology alternatives, risks and risks of facilities, cultural property and geographical symbol At least choose whether to disagree with the opinion.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인별 분석부는,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가 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 중요도에 따른 갈등 요인들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갈등 요인들의 순위를 산출하는 순위 평가부; 및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와 순위로 평가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그룹별 평가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actor-by-factor analysis unit may include an importance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a conflict factor and a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importance of conflict factors to be prioritized when a construction project is performed; A ranking evaluator for calculating a ranking of conflict factors through relative comparison of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importance; After th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the recognition data collected by each participant group is evaluated in terms of importance and ranking.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recognition per participant group, and the recognition score And a group-specific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gap.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평가부는,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는 가중 합산부; 및 가중 합산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프로젝트 평가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may include: a weighted summation unit for weighting the scores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by the conflict factors by applying a weight to the conflict factors; And a project appraisal unit that evaluates the gaps in the perception of conflicts for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weighted cumulativ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s.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평가부는; 산출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의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통해 의사 결정자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판단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flict factor evaluator may includ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decision makers were able to identify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nflicts that may arise fro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in a construction project is provided.

이 특징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은, 갈등 요인 선정부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과, 의사 결정자에 의해 건설 프로젝트의 복수 개의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에서,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한 참여자들 각각의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별 분석부에서, 수집된 인식 데이터의 중요도와 순위에 따라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를 분석하고, 참여자 그룹별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갈등 요인 평가부에서, 산출된 갈등 요인별 인식 격차를 기반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evaluation method 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flict factor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plurality of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y the decision maker; The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recognition data of each participant on the selected conflict factors and analyzes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ranking of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in the analysis unit according to the factor of conflict, A step of calculating the gaps in perception of conflict factors; And evalua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in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calculated gaps in the perception of the conflict factors in the evaluation unit of the conflict factor.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적어도 경제적 갈등 요인과,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을 복수 개씩 선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step of selecting conflict factors comprises: Among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at least one of economic conflict,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re selected.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제적 갈등 요인으로 보상 수준의 비합리성 항목, 생계지원 대책 마련의 부족 항목, 지역발전 저해 항목, 사유재산 침범 항목, 지역이미지 실추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고; 상기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으로 비합리적인 보상제도 및 절차 항목, 사업추진의 불투명성 항목, 미흡한 주민참여절차 항목, 일방적인 입지 및 노선선정 절차 항목, 갈등해소 노력 부족 항목, 사업의 필요성 부재 항목, 사업의 시급성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으로 생태 환경 훼손 항목, 문화재 및 지역상징물 훼손 항목,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항목, 현 기술대안의 타당성 항목, 시설물의 위해성 및 위험 범위의 의견 불일치 항목, 문화재 및 지영상징물 존재 여부 의견 불일치 항목을 적어도 선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selecting conflict facto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rrationality of compensation level, lack of provision of livelihood support measures, inhibition of local development,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Select; The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include irrational reward system and procedure items, non-transparency items of project implementation, inadequate citizen participation procedure items, unilateral location and route selection procedure items, lack of conflict resolution effort, At least a choice of urgent items; In addition, there are disagreement items on the risk of ecological environm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and area symbol,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feasibility of existing technology alternatives, risks and risks of facilities, cultural property and geographical symbol At least choose whether to disagree with the opinion.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평가되고, 순위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인식 격차를 산출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compu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The ranking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conflict factors,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converting rankings into recognition scores.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갈등 요인들 각각을 7 점 척도에 따라 중요도 점수로 환산하고, 중요도 점수에 따른 순위를 평가한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compu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Each of the conflict factors is converted into the importance score according to the 7 point scale, and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importance score is evaluated.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중요도와 순위를 평가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를 산출한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compu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After th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ranking of each participant group are evaluated.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distribution per participant group,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는; 산출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의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통해 의사 결정자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판단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evaluating the conflict awareness gap comprise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decision makers were able to identify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nflicts that may arise from.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of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세 가지 관점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자들 특히, 외부 참여자들의 갈등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judge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of the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especially the external participants, in terms of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technical / environmental.

둘째, 본 발명은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세 가지 관점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외부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nflict factors that can occur in construction projects by deriving the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external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from three viewpoints of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technical / environmental It is possible.

셋째,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향후 발생할 갈등 수준을 예측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mitigating conflict from the early stage of a construction project by predicting future conflict level in a construction proj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갈등 요인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요인별 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순위 평가부에 의해 환산된 인식 점수의 차이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그룹별 평가부에 의해 도출된 갈등 인식 격차 분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갈등 요인 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nalysis unit for each factor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istribution of difference of recognition scores converted by the ranking evaluation unit shown in FIG. 3;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lict recognition gap analysis derived by the group-by-group evaluation unit shown in FIG. 3;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valuation procedure of a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 group.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세 가지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갈등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수집, 평가하여 갈등 요인들에 대한 인식 격차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한다.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evaluates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of the participants in terms of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aspects to mitigate conflicts in construction projects, We analyze the recognition gap of factors and evaluate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of participants' construction projects.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여자들 별로 가장 인식 격차가 큰 요인과 향후 발생할 갈등 요인의 수준을 예측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factors of conflict that may arise in a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factors of the largest recognition gap and the level of future conflict factors by the participants, We can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mitigate conflic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갈등 요인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요인별 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순위 평가부에 의해 환산된 인식 점수의 차이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그룹별 평가부에 의해 도출된 갈등 인식 격차 분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갈등 요인 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istribution of difference of recognition scores converted by the ranking evaluation unit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recognition scores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unit for each group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100)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여자들 별로 가장 인식 격차가 큰 요인과 향후 발생할 갈등 요인의 수준을 예측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하기 위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갈등 요인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갈등 요인들 각각을 참여자들이 판단하는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평가하여 인식 격차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도록 처리한다.Referring to FIGS. 1 to 6, a system for evaluating a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conflict factors that may occur in a construction project, and based on this, In order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mitigate conflic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y predicting the factors and the level of future conflict factors, various conflict factor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selected conflict factors , The evaluation of the rank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to evaluate the gaps in the recognition of the conflict factor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이러한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의 컴퓨터 시스템, 클라이언트와 서버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비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들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여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들을 분석 및 평가하도록 처리한다.Such a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100 is provided as a computer network system including,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portable computer, and the like, a client and a server, We collect the recognition data of the participants and process them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100)은 갈등 요인 선정부(110), 데이터 입력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요인별 분석부(140) 및 갈등 요인 평가부(150)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100 includes a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110, a data input unit 120, a data collection unit 130, a factor analysis unit 140, and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150 ).

구체적으로, 갈등 요인 선정부(110)는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예를 들어, 건설 목표, 범위 및 설계 방향 등)과, 의사 결정자 예를 들어, 건설 프로젝트 발주자, 시공업체 등이 객관적 또는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중요성과 필요성이 있는 복수 개의 갈등 요인들을 선정한다.Specifically, the conflict factor select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for example, the construction target, the scope and the design direction) and the decision maker, for example, the construction project owner or the contractor, We select multiple conflict factors with importance and necessity.

이 실시예의 갈등 요인 선정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제적 요인 선택부(112), 제도/절차적 요인 선택부(114) 및 기술/환경적 요인 선택부(116)로 구성되어, 각각이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복수 개의 경제적 갈등 요인과, 복수 개의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또는 복수 개의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을 선정한다.The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1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conomic factor selection unit 112, a system / procedure factor selection unit 114 and a technology / environment factor selection unit 116, as shown in FI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of conflict between two or more economic conflicts.

선정된 경제적 갈등 요인,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경제적 갈등 요인은 적어도 5 가지,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은 적어도 7 가지 그리고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은 적어도 6 가지가 선정된다.Selected economic conflict factors,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re are at least five economic conflicts, at least seven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s, and at least six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s.

Figure 112018010012401-pat00001
Figure 112018010012401-pat00001

즉, 경제적 요인 선택부(112)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경제적 관점에 따른 갈등 요인들 예컨대, 보상 수준의 비합리성 항목, 생계지원 대책 마련의 부족 항목, 지역발전 저해 항목, 사유재산 침범 항목, 지역이미지 실추 항목을 선택한다.That is, the economic factor selection unit 112 selects one of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based on economic factors such as irrationality of compensation level, lack of provision of livelihood support measures, inhibition of regional development, Select the highlighted item.

제도/절차적 요인 선택부(114)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제도적, 절차적 관점에 따른 갈등 요인들 예컨대, 비합리적인 보상제도 및 절차 항목, 사업추진의 불투명성 항목, 미흡한 주민참여절차 항목, 일방적인 입지 및 노선선정 절차 항목, 갈등해소 노력 부족 항목, 사업의 필요성 부재 항목, 사업의 시급성 항목을 선택한다.The institutional / procedural factor selection unit 114 selects, among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conflict factors based on the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viewpoints, such as unreasonable compensation plan and procedure items, opaque items of business promotion, inadequate citizen participation procedure items, And the route selection procedure item, conflict resolution effort effort item, absence of business necessity item, and urgency item of business are selected.

그리고 기술/환경적 요인 선택부(116)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기술적, 환경적 관점에 따른 갈등 요인들 예컨대, 생태 환경 훼손 항목, 문화재 및 지역상징물 훼손 항목,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항목, 현 기술대안의 타당성 항목, 시설물의 위해성 및 위험 범위의 의견 불일치 항목, 문화재 및 지영상징물 존재 여부 의견 불일치 항목을 선택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 environmental factor selection unit 116 may determine conflict factors based on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viewpoints among various conflict factors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damage items, cultural property and local symbol damage items, safety accident occurrence items, The disagreement item of the validity item, the risk and the risk range of the facility, the existence of the cultural property and the landmark symbol, or the disagreement item of the disagreement item.

따라서 갈등 요인 선정부(110)는 갈등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3 개의 분류 체계 즉,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중 총 18 개의 갈등 요인으로 선정한다. 이러한 갈등 인자의 선택은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 의사 결정자의 주관적인 중요성, 판단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order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conflicts, the conflict factor manager 110 selects 18 classification conflicts among the three classification systems: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The choice of such conflict factors can b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subjective significance of the decision maker, and the judgment.

데이터 입력부(120)는 갈등 요인 선정부(110)에 의해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하여 참여자들 예를 들어, 건설 프로젝트에 관여되는 내부 참여자, 외부 참여자들 각각으로부터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들에 대한 인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입력부(120)는 참여자들 중 특히, 외부 참여자를 중점으로 하여 인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인식 데이터는 참여자들 각각이 경제적 갈등 요인과,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 정보와, 이 중요도에 따라 배분된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The data input unit 120 receives data on the conflict factors selected by the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110 from the participant (s), for example, the internal partner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project, . In this embodiment, the data input unit 120 receives the recognition data by focusing on the external participants, in particular, among the participants. Here, the recognition data includes importance information that each participant recognizes for economic conflict,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nd ranking information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이러한 데이터 입력부(120)는 참여자들로부터 설문 조사를 통해 선정된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들에 대한 인식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참여자들 각각의 전자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스마트 폰 등)를 통해 인식 데이터를 전송받는다.The data input unit 120 receives input of recognition data on the selected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s throug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participants, or receives data on the electronic terminals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of each participant connected to the wired / Smart phone, etc.).

데이터 수집부(130)는 데이터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 등으로 분류한다. 예컨대, 참여자 그룹은 정부, 지역 주민, 시민 단체 등으로 분류된다.The data collecting unit 130 collects the recognition data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120 and classifies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 conflict factor, a participant group, and the like. For example, participant groups are classified as governments, local residents, civic groups, and so on.

요인별 분석부(140)는 각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 정보와 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인식 점수로 환산한다. 요인별 분석부(140)는 환산된 인식 점수를 이용하여 인식 격차를 산출한다.The factor analysis unit 140 analyzes the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each conflict factor and the participant group using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the ranking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analysis result into the recognition score. The factor-by-factor analysis unit 140 calculates the recognition gap using the converted recognition score.

이 실시예의 요인별 분석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요도 평가부(142), 순위 평가부(144) 및 그룹별 평가부(14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factor-by-factor analysis unit 14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riority evaluation unit 142, a ranking evaluation unit 144, and an evaluation unit 146 for each group.

중요도 평가부(142)는 각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가 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평가한다.The importance evaluation unit 142 evaluates the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each conflict factor and the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to be prioritized when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rried out.

순위 평가부(144)는 중요도에 따른 갈등 요인들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각 갈등 요인들의 순위를 산출한다. 여기서, 순위로 평가된 갈등 요인들은 순위 평가부(144)에 의해 중요도 점수로 환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bell) 모양의 형태로 분포된다. 예를 들어, 7 점 척도를 이용하는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된 갈등 요인 즉, 1 위에 해당되는 갈등 요인은 7 점으로 환산하고,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평가된 갈등 요인 즉, 18 위에 해당되는 갈등 요인은 1 점으로 환산된다. 따라서 순위를 점수로 환산하는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갈등 요인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인식 차이 분포는 의사 결정자, 중요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 가능하다.The rank evaluator 144 calculates the rank of each conflict factor through a relative comparison of the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Here, the conflict factors evaluated in rank are converted into importance scores by the ranking evaluation unit 144 and distributed in a bell-shaped form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7 point scale, the conflict factor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that is, the conflict factors in the first place are converted into 7 points, and the conflict factors evaluated as the least important, It is converted into 1 point. Therefore, by utilizing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rank to sc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conflict factors can be analyzed more finel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cognition difference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cision maker and the importance.

그리고 그룹별 평가부(146)는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와 순위로 평가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산출한다. 그룹별 평가부(146)는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를 산출한다. 여기서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는 평가가 진행 된 이후 참여자 그룹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갈등 요인별로 인식 분포가 만들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갈등 요인에 대한 평가가 참여자 그룹 A와 참여자 그룹 B로 구분되고, 참여자 그룹 A는 중요도 점수가 2 내지 7까지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퍼진 벨(bell) 모양의 인식 분포 형태를 가지며, 참여자 그룹 B는 중요도 점수 6 내지 7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벨(bell) 모양의 인식 분포 형태를 가진다.After th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the evaluation unit 146 evaluates the recognition data collected by the participant groups in terms of importance and ranking, and calculates the recognition score for each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distribution per participant group. The group-specific evaluation unit 146 calculates the recognition gap based on the perceived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Here, the perceptual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 groups is generated according to each participant group after the evaluation,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evaluation of one conflict factor is divided into a participant group A and a participant group B, and the participant group A has a bell-shaped recognition distribution form spreading relatively wide from 2 to 7 , And participant group B has a bell-shaped recognition distribution shape with a relatively narrow width of importance score of 6 to 7.

그리고 갈등 요인 평가부(150)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산출한다. 이 때,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산출한다.In order to analyze the gaps in recognition of conflic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y weigh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points for each conflict factor. In this case, the weight of conflict factors is used to calculate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이 실시예의 갈등 요인 평가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는 가중 합산부(152)와, 가중 합산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프로젝트 평가부(15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conflict factor evaluating unit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eighted summation unit 152 for weighting the scores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by each weight of the conflict factors, And a project evaluation unit 154 for evaluating the recognition gap of the conflict factor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따라서 갈등 요인 평가부(150)는 산출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의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및 의사 결정자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판단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150 evaluates the gap in recognition of conflicts among the participants on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the calculated scores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s, and thereby, the decision maker determines the most recognizable gap among the participants Determine the factors of conflict that may arise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determin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nflict factors.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비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valuation procedure of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for a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cedure is carried out by a computer program which is processed by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100)은 단계 S200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은 갈등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표 1에 도시된 3 개의 분류 체계 즉, 경제적, 제도/절차적,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중 총 18 개의 갈등 요인으로 선정한다. 이러한 갈등 인자의 선택은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 의사 결정자의 주관적인 중요성, 판단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100 of the construction pro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conflict factor of a construction project in step S200. Specifically, the factors of conflict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re selected as 18 conflict factors among the three classification systems shown in Table 1, namely, economic, institutional / procedural,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conflict perception. The choice of such conflict factors can b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subjective significance of the decision maker, and the judgment.

단계 S210에서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한 참여자들 각각의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식 데이터의 중요도와 순위를 통해 각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자들에 의해 중요도와 순위가 평가된 갈등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참여자 그룹에 따라 인식 격차로 계산한다. 즉, 각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평가되고, 순위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인식 격차를 산출한다.The recognition data of each participant on the selected conflict factors are collected in step S210, and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is analyzed for each conflict factor through the importance and ranking of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conflict factors whos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calculates it as the recognition gap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group. In other words, the ranking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conflict factor,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converting ranking into recognition score.

이 실시예에서 각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를 분석하는 단계(S220)는 의사 결정자에 의해 선택된 갈등 인자들을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자(예를 들어, 정부, 지역 주민 등)에 의해 중요도와 순위가 평가된다. 이 평가는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가 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갈등 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평가되며, 갈등 요인들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순위(rank)로 평가된다. 순위로 평가된 갈등 요인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 점 척도에 따라 1 내지 7 점을 가지는 중요도 점수로 환산된다. 또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와 순위가 평가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가 산출된다.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가 산출된다.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는 평가가 진행 된 이후 참여자 그룹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갈등 요인별로 인식 분포가 만들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analyz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by each conflict factor (S220) is that the conflict factors selected by the decision maker are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for example, government, local residents, etc.) . This evalua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that should be prioritized when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rried out and it is evaluated as rank by the relative comparison of conflict factors. The conflict factors evaluated as ranking are converted into importance scores having 1 to 7 points according to the 7-point scale as shown in FIG. After th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ranking of the recognition data collected by the participant group are evaluated, and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distribution per participant group.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the perceived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As shown in FIG. 5, perceptual distribution for each participant group is generated according to each participant group after the evaluation is proceeded.

이 실시예에서, 각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according to each recognition distribution.

Figure 112018010012401-pat00002
Figure 112018010012401-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3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4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X점 척도에 따른 중요도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5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6
인 평가자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7
는 '참여자 그룹 j'의 총 평가자 수를 나타낸다.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3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4
Indicates the importance score according to the X point scale for the 'conflict factor i' in the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5
, The importance score for 'conflict factor i' in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6
Indicates the number of evaluators,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7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evaluators of 'participant group j'.

수학식 1에 의해 참여자 그룹별로 인식 점수가 산출되면, 아래의 수학식 2을 통해 인식 격차 점수가 산출된다.When the recognition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Equation (1), the recognition gap score is calculat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6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9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1과 j2'의 인식 격차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0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1
는 '갈등 요인 i'에 대해 비교 참여자 그룹들의 인식 점수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2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3
의 평균을 나타내고, X는 X점 척도의 숫자 X를 나타낸다.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09
Is the recognition gap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1 and j 2 '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0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1
, 'Conflicting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2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13
And X represents the number X of the X point scale.

수학식 2에서 산출된 인식 격차 점수는 두 참여자 그룹 A, B의 인식 점수의 차이로 이뤄지며, 양(+)의 값과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여자 그룹 A의 시점에서, 양(+)의 값을 가지는 인식 격차 점수는 과대 평가된 갈등 요인이며, 음(-)의 값을 가지는 인식 격차 점수는 과소 평가된 갈등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식 격차 점수의 크기(절대값) 비교를 통해 가장 인식 격차가 큰 요인을 도출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gap score calculated in Equation (2) is the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scores of the two participant groups A and B, and can have a positive (+) value and a negative (-) value. As shown in FIG. 5, at the point of participant group A, the recognition gap score having a positive value is an overestimated conflict factor, and the recognition gap score having a negative (negative)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by comparing the magnitude (absolute value) of the recognition gap score.

이어서 단계 S220에서 산출된 갈등 요인별 인식 격차를 기반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이다.And then evalua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recognition gap by the conflict factors calculated in step S220.

이 실시예의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S220)에서는 단계 S210에서 산출된 개별 갈등 요인별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가중치는 최종 평가자(또는 의사 결정자)의 주관에 따라서 결정되며, 건설 프로젝트 갈등 인식 격차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된다.In the step S220 of evalua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in this embodiment, the score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lculated by weighted addition of the recognition gap score for each individual conflict factor calculated in the step S210. Here, the weigh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final evaluator (or the decision maker), and the gaps in recognition recogni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ar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4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4

여기서,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5
는 특정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6
은 단계 S200에서 선택한 갈등 요인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7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8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1과 j2'의 인식 격차 점수를 나타낸다.here,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5
, Which shows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of a specific construction project,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6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conflict factors selected in step S200,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7
Represents the weight for the 'conflict factor i', and
Figure 112018010012401-pat00018
Is the recognition gap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1 and j 2 ' for 'conflict factor i'.

이 실시예에서 산출된 건설 프로젝트 갈등 인식 격차는 0 내지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클수록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서 비교 참여자들 간의 인식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최종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recogni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in this embodiment has a value between 0 and 100. The larger the value, the greater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comparative participants in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project. This means that the conflict level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high .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can be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록 매체에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at is,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i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건설 프로젝트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110 : 갈등 요인 선정부
120 : 데이터 입력부
130 : 데이터 수집부
140 : 요인별 분석부
150 : 갈등 요인 평가부
100: Construction project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110: Conflict factor selection
120: Data input unit
130: Data collection unit
140: Factor analysis section
150: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Claims (14)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과, 의사 결정자에 따라 복수 개의 갈등 요인들을 선정하는 갈등 요인 선정부;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하여 참여자들 각각으로부터 갈등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정보와 중요도 정보에 따라 배분된 순위 정보가 포함된 인식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하는 데이터 수집부;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 정보와 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산출하는 요인별 분석부; 및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고, 합산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을 분석 및 평가하도록 하는 갈등 요인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인별 분석부에서는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되며,
[수학식 1]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7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8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9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X점 척도에 따른 중요도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0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1
인 평가자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2
는 '참여자 그룹 j'의 총 평가자 수를 나타낸다.)
상기 갈등 요인 평가부에서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참여자 그룹별로 인식 점수가 산출되면, 하기 수학식 2을 통해 인식 격차 점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4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1과 j2'의 인식 격차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5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6
는 '갈등 요인 i'에 대해 비교 참여자 그룹들의 인식 점수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7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8
의 평균을 나타내며, X는 X점 척도의 숫자 X를 나타낸다)
In the conflict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s: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Conflict Factors for Selecting Multiple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Decision Makers;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recognition data including ranking information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the importance information about the conflict factors from each of the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factors selected by the conflict factor selecting unit;
A data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recognition data inputted from the data input unit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 conflict factor and a participant group;
A factor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participant groups using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the ranking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analysis results into recognition scores to calculate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score; And
And a conflict factor evaluator that analyzes the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the weighted sum of the conflict awareness gap scores by applying the weight to the conflict factors,
In the factor-by-factor analysis unit, the recognition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7

(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8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29
Indicates the importance score according to the X point scale for the 'conflict factor i' in the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0
, The importance score for 'conflict factor i' in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1
Indicates the number of evaluators,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2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evaluators of 'participant group j'.)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calculates a recognition gap score using Equation (2) if the recognition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Equation (1).
&Quot; (2) "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3

(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4
Is the recognition gap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1 and j 2 '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5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6
, 'Conflicting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7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8
, And X represents the number X of the X point sca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적어도 경제적 갈등 요인과,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을 복수 개씩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comprises:
A system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construction project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economic conflict factors,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re selected from among various conflict factor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선정부는,
상기 경제적 갈등 요인으로 보상 수준의 비합리성 항목, 생계지원 대책 마련의 부족 항목, 지역발전 저해 항목, 사유재산 침범 항목, 지역이미지 실추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고;
상기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으로 비합리적인 보상제도 및 절차 항목, 사업추진의 불투명성 항목, 미흡한 주민참여절차 항목, 일방적인 입지 및 노선선정 절차 항목, 갈등해소 노력 부족 항목, 사업의 필요성 부재 항목, 사업의 시급성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으로 생태 환경 훼손 항목, 문화재 및 지역상징물 훼손 항목,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항목, 현 기술대안의 타당성 항목, 시설물의 위해성 및 위험 범위의 의견 불일치 항목, 문화재 및 지영상징물 존재 여부 의견 불일치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flict factor selection unit,
At least the irrationality of the compensation level, the lack of provision of livelihood support measures, the inhibition of local development, the invasion of private property, and the image of the local image are selected at least as the economic conflict factors;
The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include irrational reward system and procedure items, non-transparency items of project implementation, inadequate citizen participation procedure items, unilateral location and route selection procedure items, lack of conflict resolution effort, At least a choice of urgent items;
In addition, there are disagreement items on the risk of ecological environm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and local symbol, risk of accident occurrence, feasibility of current technology alternative, risk of facility and risk range, cultural property and geographical symbol Whether to disagree with the opinion, at least to select the item; A system for evaluating conflict factors in construction projec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인별 분석부는,
갈등 요인별, 참여자 그룹별로 분류된 인식 데이터를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관리가 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
중요도에 따른 갈등 요인들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갈등 요인들의 순위를 산출하는 순위 평가부; 및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수집된 인식 데이터를 중요도와 순위로 평가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그룹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ctor-
The importance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recognition data classified by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participant group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to be prioritized when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rried out.
A ranking evaluator for calculating a ranking of conflict factors through relative comparison of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importance; And
After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ranking, recognition data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is evaluated in terms of importance and ranking, and recognition score for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recognition distribution per participant group. And a group evaluating unit for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of the construction pro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평가부는,
갈등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가중 합산하는 가중 합산부; 및
가중 합산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프로젝트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A weighted summation unit for weighting the scores of conflict recognition perception by applying weighting to conflict factors; And
And a project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gaps i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factor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the weighted sum of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point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평가부는;
산출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의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통해 의사 결정자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may includ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decision makers were able to identify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nflict factors that may occur in the construction project.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갈등 요인 선정부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과, 의사 결정자에 의해 건설 프로젝트의 복수 개의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에서, 선정된 갈등 요인들에 대한 참여자들 각각의 인식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별 분석부에서, 수집된 인식 데이터의 중요도와 순위에 따라 갈등 요인별로 갈등 인식 격차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참여자 그룹별로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갈등 요인 평가부에서, 산출된 갈등 요인별 인식 격차를 기반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되며,
[수학식 1]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9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0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1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X점 척도에 따른 중요도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2
는 '참여자 그룹 j' 내에서 '갈등 요인 i'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3
인 평가자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4
는 '참여자 그룹 j'의 총 평가자 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참여자 그룹별로 인식 점수가 산출되면, 하기 수학식 2을 통해 인식 격차 점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5

(여기서,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6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1과 j2'의 인식 격차 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7
는 '갈등 요인 i'에 대한 '참여자 그룹 j'의 인식 점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8
는 '갈등 요인 i'에 대해 비교 참여자 그룹들의 인식 점수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9
Figure 112018083992969-pat00050
의 평균을 나타내고, X는 X점 척도의 숫자 X를 나타낸다.)
In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Determining Conflict Factors In the government, se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plurality of conflict factor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by the decision maker;
The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recognition data of each participant on the selected conflict factor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f the conflic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rank of the collected recognition data in the analysis unit according to the factor of conflict, Calculating a recognition gap of the conflict factors for each participant group; And
And evaluating the conflict recognition gap in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recognized gaps in the conflict factors calculated by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unit,
The recognition score for each participant group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112018083992969-pat00039

(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0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1
Indicates the importance score according to the X point scale for the 'conflict factor i' in the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2
, The importance score for 'conflict factor i' in 'participant group j'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3
Indicates the number of evaluators,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4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evaluators of the participant group j)
Wherein the recognition gap score i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2) if the recognition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Equation (1).
&Quot; (2) "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5

(here,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6
Is the recognition gap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1 and j 2 ' for 'conflict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7
Represents the recognition score of 'participant group j' for 'conflict factor i',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8
, 'Conflicting Factor i'
Figure 112018083992969-pat00049
and
Figure 112018083992969-pat00050
And X represents the number X of the X point sca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 중 적어도 경제적 갈등 요인과,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 및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들 각각을 복수 개씩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selecting the conflict factor comprises:
A method for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for a construction projec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economic conflict factors,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and technical /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are selected from among various conflict factor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제적 갈등 요인으로 보상 수준의 비합리성 항목, 생계지원 대책 마련의 부족 항목, 지역발전 저해 항목, 사유재산 침범 항목, 지역이미지 실추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고;
상기 제도/절차적 갈등 요인으로 비합리적인 보상제도 및 절차 항목, 사업추진의 불투명성 항목, 미흡한 주민참여절차 항목, 일방적인 입지 및 노선선정 절차 항목, 갈등해소 노력 부족 항목, 사업의 필요성 부재 항목, 사업의 시급성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기술/환경적 갈등 요인으로 생태 환경 훼손 항목, 문화재 및 지역상징물 훼손 항목,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항목, 현 기술대안의 타당성 항목, 시설물의 위해성 및 위험 범위의 의견 불일치 항목, 문화재 및 지영상징물 존재 여부 의견 불일치 항목을 적어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selecting the conflict factor comprises:
At least the irrationality of the compensation level, the lack of provision of livelihood support measures, the inhibition of local development, the invasion of private property, and the image of the local image are selected at least as the economic conflict factors;
The institutional / procedural conflict factors include irrational reward system and procedure items, non-transparency items of project implementation, inadequate citizen participation procedure items, unilateral location and route selection procedure items, lack of conflict resolution effort, At least a choice of urgent items;
In addition, there are disagreement items on the risk of ecological environm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and area symbol,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feasibility of existing technology alternatives, risks and risks of facilities, cultural property and geographical symbol Whether to disagree with the opinion, at least to select the item; A method for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in a construction proje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갈등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평가되고, 순위를 인식 점수로 환산하여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Wherein the ranking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ranking into the recognition score, thereby evaluating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갈등 요인들 각각을 7 점 척도에 따라 중요도 점수로 환산하고, 중요도 점수에 따른 순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And each of the conflict factors is converted to a priority score according to the 7-point scale, and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score is evaluat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중요도 및 순위 평가가 진행된 후, 참여자 그룹별로 중요도와 순위를 평가하고, 참여자 그룹별 인식 분포에 따라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참여자 그룹별 인식 점수를 통해 인식 격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nflict factor recognition gap comprises:
After the importance and ranking are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ranking of each participant group are evaluated. The recognition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ccording to the perception distribution of each participant group, and the recognition gap is calculated by the perceived score of each participant group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in the construction proje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갈등 인식 격차를 평가하는 단계는;
산출된 갈등 인식 격차 점수를 통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의 갈등 요인 인식 격차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통해 의사 결정자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자들 간에 가장 인식 격차가 큰 갈등 요인을 도출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Evaluating the conflict awareness gap comprise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decision makers were able to identify conflict factors with the greatest recognition gap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evaluation of the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 프로젝트의 갈등 요인 평가 시스템의 평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for evaluating a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a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3,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KR1020180010732A 2018-01-29 2018-01-29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KR101935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32A KR101935330B1 (en) 2018-01-29 2018-01-29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32A KR101935330B1 (en) 2018-01-29 2018-01-29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30B1 true KR101935330B1 (en) 2019-01-04

Family

ID=6501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32A KR101935330B1 (en) 2018-01-29 2018-01-29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233B1 (en) 2019-08-26 2020-09-09 주식회사 두근두근 On-line system for conflict management of public works and it's control method
KR102518298B1 (en) 2022-07-01 2023-04-05 주식회사 두근두근 Conflict analysis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233B1 (en) 2019-08-26 2020-09-09 주식회사 두근두근 On-line system for conflict management of public works and it's control method
KR102518298B1 (en) 2022-07-01 2023-04-05 주식회사 두근두근 Conflict analysis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nerandi et al. Measuring urban deprivation from user generated content
Brandão et al. The strength of co-authorship ties through different topological properties
KR101935330B1 (en) Conflict factor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project and method thereof
CN110942171A (en) Enterprise labor and resource dispute risk prediction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Rezaee Using Shapley value in multi-objective data envelopment analysis: power plants evaluation with multiple frontiers
CN108416368A (en) Th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of sample characteristics importance, electronic equipment
Alswailim et al. A reputation system to evaluate participants for participatory sensing
CN113205403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enterprise credit level, storage medium and terminal
Hu et al. Prioritizing disaster mapping tasks for online volunteers based on information value theory
CN106897743B (en) Mobile attendance anti-cheating big data detection method based on Bayesian model
KR101728666B1 (en) Method for scenery evaluation of debris barriers
JP5420795B2 (en) Technology development speed prediction apparatus and method
Kaczmarek Construction elements of bankruptcy prediction models in multi-dimensional Early Warning Systems
CN112085099B (en) Distributed student clustering integration method and system
KR101638739B1 (en) Atypical Text Data Processing Method
Collopy et al. Estimating the impact of systems engineers on systems design processes
CN112488743A (en) Satisfaction degree predic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04091A (en) Method For Credit Rating Based On Block Chain
CN110569475A (en) Evalu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netizen influence
Dong et al. Geography of broadband faults explored with a Bayesian spatio-temporal statistical model
KR20180096107A (en) A Marketing Target Network Analyzing System Using Bigdata and A Marketing Target Network Analyzing Method Using Bigdata
JP735949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rish et al. Quality Assessment of Building and Infrastructure Project Using Taguchi Methodology
Keith Separating risks from values in setting priorities for plant community conservation
Qi et al. Datafication in Smart Cities: Understanding How the Public Experience Urban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